KR20150085698A -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5698A
KR20150085698A KR1020140005661A KR20140005661A KR20150085698A KR 20150085698 A KR20150085698 A KR 20150085698A KR 1020140005661 A KR1020140005661 A KR 1020140005661A KR 20140005661 A KR20140005661 A KR 20140005661A KR 20150085698 A KR20150085698 A KR 20150085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laxative
osmotic
polyethylene glyco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홍렬
이봉상
김현일
이한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Priority to KR1020140005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5698A/ko
Publication of KR20150085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삼투성 하제 및 비삼투성 하제를 포함하는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제 조성물은 100 ml 당 폴리에틸렌글리콜 40 내지 60 g, 삼투성 하제 10 내지 28 g 및 비삼투성 하제 1 내지 20 mg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조성물은 장관 세척률이 우수하면서 복약순응도가 높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소량의 물과 함께 복용하여도 충분한 장관 세척 효과를 나타내어, 하제를 복용할 때 환자가 다량의 약물을 복용하여야 하는 고통을 경감시켜 준다.

Description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Laxative composition for colon cleansing}
본 발명은 장관 세척률이 우수하면서 복약순응도가 높은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장관 세척 방법에 관한 것이다.
X선 검사, 내시경술, 방사선 촬영 또는 수술 전 장관 세척 등에 있어서 장관 내부를 가능한 한 완전히 비우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수관장제(water-enemas) 또는 다양한 염을 포함한 고장 수용액(hypertonic aqueous solution) 등을 이용하여 장관 내부의 물질을 현탁액 형태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법이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황산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중탄산나트륨 및 수(水)결합 폴리에틸렌글리콜(PEG)로 이루어진 PEG/전해질 정화 조성물이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PEG/전해질을 포함하는 장관 하제 조성물은 2~3 시간 주기 내에 4L 정도 되는 용액을 마셔야 하기 때문에(Afridi et al., Gastrointest. Endosc., 1995, 41, 485-489), 대다수의 환자들이 과량의 투여량으로 인한 불편함, 구역질, 경련통 및 구토와 같은 부작용을 경험할 뿐만 아니라(Dipalma et al., Am. J. Gastroenterol., 2003, 98, 2187-2191), 짠맛이 강해 불쾌감을 호소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4L에 해당하는 PEG/전해질을 포함하는 장관 하제 조성물을 개선하기 위하여 인산나트륨 조성, 시트르산마그네슘 조성, 피코황산나트륨 조성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환자의 안전과 복약순응도 향상, 그리고 장관 세척률을 모두 만족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일 예로, 인산나트륨을 바탕으로 한 장관하제 조성물의 경우 고 삼투성 하제로써 상당량의 물을 장내로 유입시킴으로써 배변을 촉진되는 효과가 일어난다. 하지만, 중증의 급성 인산신장병증으로 인하여 신장의 영구적 장애를 초래하여 장기투석이 요구되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환자의 복약순응도 및 장관 세척률을 만족시키더라도 환자에게 사용할 수 없는 고 위험성 약물이다.
또한, 시트르산마그네슘, 피코황산나트륨 조성과 같은 장관하제 조성물의 경우 복용량이 적어 환자의 복약순응도가 높지만, 조성물 자체의 장관 세척률은 기존의 PEG/전해질을 포함하는 장관 하제 조성물에 비하여 현저히 떨어진다는 논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작용이나 불쾌감이 발생하지 않고, 소량의 약물을 복용하더라도 충분한 장관 세척 효과를 갖는 하제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관 세척용 하제에 있어서, 장관 세척률이 우수하면서도 안정성 등을 포함하는 복약순응도가 높은 하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장관 세척용 하제 약물을 소량 복용하여도 충분한 효과가 발휘되어, 하제 복용 시 다량의 약물을 마셔야 하는 환자의 고통을 줄일 수 있는 장관 세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폴리에틸렌글리콜, 삼투성 하제 및 비삼투성 하제를 포함하는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환자의 안전을 해치지 않으면서 복약순응도와 장관 세척률을 모두 만족시키는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을 연구하던 중, 폴리에틸렌글리콜, 삼투성 하제 및 비삼투성 하제를 특정 조성 비율로 포함하는 하제의 경우, 환자의 안전성 및 복약 순응도를 높임과 동시에 적은 복용량으로도 장관 세척효과가 우수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하제(purgative)"는 배변을 촉진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따라서, 하제는 설사 작용의 범주를 포함한다. 일 예로, 하제는 대장을 완전히("완전 변통, complete purgation") 또는 거의 완전히 비우는 강한 배변(stronger catharsis) 뿐만 아니라 설사("부분 변통, partial purgation")를 야기하는 가벼운 변통(mild catharsis)을 야기시키는 것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은 조성물 100ml 당 폴리에틸렌글리콜 40 내지 60g, 삼투성 하제 10 내지 28g 및 비삼투성 하제 1 내지 20mg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 100ml 당 폴리에틸렌글리콜이 40g 미만인 경우에는 하제로서의 장관 세척 효과가 떨어지고, 60g 초과인 경우에는 복용량 증가로 환자의 복약순응도가 떨어진다. 조성물 100ml 당 삼투성 하제가 10g 미만인 경우에는 삼투압이 등장액보다 떨어져 인체 내 흡수되는 수분량으로 인하여 복용량 대비 실제 하제로써 작용하는 용량이 줄어들고, 28g 초과인 경우에는 삼투압이 등장액보다 높아 장관 내에 머무를 때 체내의 수분을 끌어들여 체내 수분 밸런스에 영향을 준다. 조성물 100ml 당 비삼투성 하제가 1mg 미만인 경우에는 하제로써의 작용이 미비하고, 20mg 초과인 경우에는 과도한 대장 자극으로 복통을 초래한다.
상기 하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수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 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분자량이 1,000 미만인 경우에는 장 점막에서 쉽게 흡수되어 하제로 부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분자량이 2,000 내지 6,000 인 것이 사용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3,000 또는 4,800 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삼투성 하제는 장내 삼투압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그에 따라 장내 유체의 체류를 촉진시킨다. 상기 하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삼투성 하제로는 마그네슘 시트레이트,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 마그네슘 포스페이트, 마그네슘 설페이트, 마그네슘 타르트레이트, 소듐 포스페이트, 소듐 타르트레이트, 소듐 설페이트, 포타슘 타르트레이트, 마그네슘 옥사이드, 소듐 설페이트, 또는 이들의 염이나 글리세린, 솔비톨, 만니톨, 락티톨, 알콜 당, L-당,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락툴로스(lactulose)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삼투성 하제는 대장 점막에서 신경 말단을 직접적으로 자극하는 자극성 완하제(stimulant laxatives) 뿐만 아니라, 위장관의 운동성을 자극하는 위장운동성 완하제(prokinetic laxatives)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비삼투성 하제로는 미네랄 오일, 알로에, 비사코딜(bisacodyl), 피코황산나트륨(sodium picosulfate), 카산트라놀(casanthranol), 수피(cascara), 캐스터 오일(castol oil), 댄트론(dantron), 데하이드로콜릭 산(dehydroholic acid), 페놀프탈레인(phenolphthalein), 세노사이드(sennosides), 도쿠세이트(docusate), 베타나콜(bethanachol), 콜히친(colchicines), 미소프로스톨(misoprostol), 시사프라이드(cisapride), 노르시사프라이드(norcisapride), 파라핀(paraffin), 라인(rhein) 또는 테가세로드(tegaserod)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S1) 용기에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넣고 정제수 적량을 가하여 60℃로 가온하여 녹이는 단계, (S2) 삼투성 하제, 비삼투성 하제 및 감미제를 넣는 단계, 및 (S3) 정제수로 부피를 맞춘 후 80℃에서 완전히 녹이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제 조성물은 액상 제제로서 물,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 같은 용액제, 현탁액제, 유제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하제 조성물은 적당한 감미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등이 첨가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하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감미제는 통상적인 당류인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덱스트로오스, 프록토오스, 말토오스 뿐만 아니라, 적은 양으로도 감미 효과와 빠른 용해도를 나타내는 사카린, 사카린 나트륨, 자일리톨, 솔비톨, 만니톨, 말티톨, 락티톨, 이소말트, 스테비오사이드, 에리스리톨,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오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장관을 세척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척 방법은 상기 하제 조성물 100 내지 200mL 및 물 400 내지 600mL를 복용하고, 20분 이내에 추가로 물 400 내지 600mL를 복용하며, 동일한 방법으로 1회 추가 반복 복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제 조성물 125 내지 175mL 및 물 450 내지 550mL를 복용하고, 20분 이내에 추가로 물 450 내지 550 mL를 복용하며, 동일한 방법으로 1회 추가 반복 복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제 조성물 150mL 및 물 500mL를 복용하고, 20분 이내에 추가로 물 500mL를 복용하며, 동일한 방법으로 1회 추가 반복 복용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제 조성물 150mL 및 물 350mL를 30분 이내에 복용하고, 다시 30분 이내에 추가로 물 500mL를 복용한 다음, 최소 1시간은 쉰 후 동일한 방법으로 1회 추가 반복 복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제 조성물을 이용한 장관 세척 방법은 마시는 물의 양을 약 2L 정도로 감소시키더라도 장관 세척 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
본 발명은 상기 하제 조성물 100~200mL를 물 300~400mL에 희석하여 20~40분 이내에 복용하고 추가로 20~40분 이내에 물 400~600mL를 마신 다음, 50~70분 쉰 후 동일한 방법으로 추가 1회 반복 복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제 조성물의 1 부피당 물 5 내지 10 부피비와 함께 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제 조성물의 1 부피당 물 5.3 내지 8 부피비와 함께 복용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제 조성물의 1 부피당 물 5.5 내지 6 부피비와 함께 복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제 조성물과 물의 총 부피가 3.5 리터 이하로 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하제 조성물과 물의 총 부피는 2.5 리터 이하로 복용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리터 이하로 복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글리콜, 삼투성 하제 및 비삼투성 하제를 포함하는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 1 부피당 물 5 내지 10 부피비와 함께 복용하도록 기재된 복용설명서를 포함하는 장관 세척용 하제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장관 세척용 하제 제품에 포함되는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1 부피당 물 5.3 내지 8 부피비와 함께 복용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1 부피당 물 5.5 내지 6 부피비와 함께 복용될 수 있다.
상기 장관 세척용 하제 제품에 포함되는 조성물은 액상 제형으로 조성물 100 ml 당 폴리에틸렌글리콜 40 내지 60g, 삼투성 하제 10 내지 28g 및 비삼투성 하제 1 내지 20m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관 세척용 하제 제품에 포함되는 복용설명서는 조성물 100~200mL를 물 300~400mL에 희석하여 20~40분 이내에 복용하고 추가로 20~40분 이내에 물 400~600mL를 마신 다음, 50~70분 쉰 후 동일한 방법으로 추가 1회 반복 복용하도록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은 복약순응도가 높고 장관 세척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소량의 물과 함께 복용하여도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어, 하제를 복용할 때 다량의 약물을 복용해야 하는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켜 준다.
도 1은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원액) 100mL를 물 500mL에 희석하여 복용하고 다음 복용하기 전 추가로 물 500mL를 마신 다음, 동일한 방법으로 1시간 간격으로 추가 2회 반복 복용한 후, 내시경을 통해 장관 내부를 검사한 결과이다.
도 2는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원액) 100mL를 복용하고 물 500mL를 20분 이내에 마신 후에 다음 복용하기 전 추가로 물 500mL 마신 다음, 동일한 방법으로 1시간 간격으로 추가 2회 반복 복용한 후, 내시경을 통해 장관 내부를 검사한 결과이다.
도 3은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원액) 150mL를 물 500mL에 희석하여 복용하고 다음 복용하기 전 추가로 물 500mL를 마신 다음, 동일한 방법으로 1시간 간격으로 추가 1회 반복 복용한 후, 내시경을 통해 장관 내부를 검사한 결과이다.
도 4는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원액) 150mL를 물 350mL에 희석하여 30분 이내에 복용하고, 이후 다시 30분 이내에 추가로 물 500mL를 마신 다음, 최소 1시간 쉰 후 동일한 방법으로 추가 1회 반복 복용한 후, 내시경을 통해 장관 내부를 검사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는 성분으로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적절한 용기에 폴리에틸렌글리콜(수 평균 분자량 4800) 150g을 넣고 정제수 적량을 가하여 60℃로 가열하여 녹인 후, 솔비톨액(솔비톨 50%) 60mL, 피코황산나트륨 10mg 및 감미제를 첨가하고, 총 부피가 300mL가 되도록 정제수를 첨가한 다음 80℃에서 완전히 녹였다.
원료명 사용량
폴리에틸렌글리콜 4800 150g
솔비톨액(솔비톨 50%) 60mL
피코황산나트륨 10mg
감미제 적량
정제수 적량
총 부피 300mL
수 평균 분자량이 3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에 나타나 있는 성분으로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적절한 용기에 폴리에틸렌글리콜(수 평균 분자량 4800) 130g을 넣고 정제수 적량을 가하여 60℃로 가열하여 녹인 후, 솔비톨액(솔비톨 50%) 90mL, 피코황산나트륨 10mg 및 감미제를 첨가하고, 총 부피가 300mL가 되도록 정제수를 첨가한 다음 80℃에서 완전히 녹였다.
원료명 사용량
폴리에틸렌글리콜 4800 130g
솔비톨액(솔비톨 50%) 90mL
피코황산나트륨 10mg
감미제 적량
정제수 적량
총 부피 300mL
하기 표 3에 나타나 있는 성분으로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적절한 용기에 폴리에틸렌글리콜(수 평균 분자량 4800) 130g을 넣고 정제수 적량을 가하여 60℃로 가열하여 녹인 후, 솔비톨액(솔비톨 50%) 90mL, 비사코딜 15mg 및 감미제를 첨가하고, 총 부피가 300mL가 되도록 정제수를 첨가한 다음 80℃에서 완전히 녹였다.
원료명 사용량
폴리에틸렌글리콜 4800 130g
솔비톨액(솔비톨 50%) 90mL
비사코딜 15mg
감미제 적량
정제수 적량
총 부피 300mL
하기 표 4에 나타나 있는 성분으로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적절한 용기에 폴리에틸렌글리콜(수 평균 분자량 3350) 150g을 넣고 정제수 적량을 가하여 60℃로 가열하여 녹인 후, 솔비톨분말 54.6g, 피코황산나트륨 10mg 및 감미제를 첨가하고, 총 부피가 300mL가 되도록 정제수를 첨가한 다음 80℃에서 완전히 녹였다.
원료명 사용량
폴리에틸렌글리콜 3350 150g
솔비톨분말 54.6g
피코황산나트륨 10mg
감미제 적량
정제수 적량
총 부피 300mL
비교예 1
하기 표 5에 나타나 있는 성분으로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적절한 용기에 폴리에틸렌글리콜(수 평균 분자량 3350) 236g과 염화칼륨 2.97g, 염화나트륨 5.86g, 탄산수소나트륨 6.74g, 무수황산나트륨 22.74g을 첨가하고, 총 부피가 4L가 되도록 정제수를 첨가한 다음 완전히 녹였다.
원료명 사용량
폴리에틸렌글리콜 3350 236g
염화칼륨 2.97g
염화나트륨 5.86g
탄산수소나트륨 6.74g
무수황산나트륨 22.74g
정제수 적량
총 부피 4000mL
비교예 2
하기 표 6에 나타나 있는 성분으로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적절한 용기에 피코황산나트륨 0.01g, 산화마그네슘 3.5g, 구연산 12g, 탄산수소나트륨 0.3g 및 감미제를 첨가하고 총 부피가 2L가 되도록 정제수를 첨가한 다음 완전히 녹였다.
원료명 사용량
피코황산나트륨 0.01g
산화마그네슘 3.5g
구연산 12g
탄산수소나트륨 0.3g
감미제 적량
정제수 적량
총 부피 2000mL
비교예 3
주사용 생리식염수
< 실험예 1> 삼투압 비교
삼투압 측정기를 이용하여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에 대한 삼투압을 측정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내지 5는 함께 복용하는 물 양을 감안하여 희석하여 측정하였으며, 비교예 3은 체내 삼투압과 유사한 등장성 용액이다. 또한, 비교예 1과 비교예 2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틸렌글리콜/전해질로 구성된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 또는 피코황산나트륨으로 구성된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이다.
삼투압 복용량
실시예 1 265mOsmol 2L
실시예 2 267mOsmol 2L
실시예 3 327mOsmol 2L
실시예 4 326mOsmol 2L
실시예 5 267mOsmol 2L
비교예 1 248mOsmol 4L
비교예 2 44mOsmol 2L
비교예 3 304mOsmol -
상기 표 7과 같은 결과를 통해, 실시예 1 내지 5의 삼투압은 생리식염수인 비교예 3의 삼투압과 유사함을 확인하였고, 비교예 2의 삼투압이 가장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은 복용량을 감안하였을 때 삼투압이 양호한 수준이지만, 많은 양을 복용해야 하는 비교예 1의 특성 상 환자의 복용 편의성은 가장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전해질과 반응하지 않는 비이온성 고분자이므로, 복용 시 전해질이 체내에 흡수되는 점을 고려할 때, 4L의 복용량 가운데 실제로 하제로 작용하는 용량은 그 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 실험예 2> 물 복용량에 따른 장관 세척력 비교
실시예 1의 조성물 100mL를 물 500mL에 희석하여 복용하고 다음 복용하기 전 추가로 물 500mL를 마신 다음, 동일한 방법으로 1시간 간격으로 추가 2회 반복 복용한 후 내시경을 통해 장관 내부를 검사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의 조성물 100mL를 복용하고 물 500mL를 20분 이내에 마신 후에 다음 복용하기 전 추가로 물 500mL 마신 다음, 동일한 방법으로 1시간 간격으로 추가 2회 반복 복용한 후 내시경을 통해 장관 내부를 검사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의 조성물 150mL를 물 500mL에 희석하여 복용하고 다음 복용하기 전 추가로 물 500mL를 마신 다음, 동일한 방법으로 1시간 간격으로 추가 1회 반복 복용한 후 내시경을 통해 장관 내부를 검사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의 조성물 150mL를 물 350mL에 희석하여 30분 이내에 복용하고 추가로 30분 이내에 물 500mL를 마신 다음, 최소 1시간 쉰 후 동일한 방법으로 추가 1회 반복 복용한 후 내시경을 통해 장관 내부를 검사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실시예 1 및 5의 하제 조성물을 사용한 장관 세척 방법은 총 복용량을 물 2L 또는 하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물 2L로 감소시키더라도 장관 세척력이 충분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6)

  1. 폴리에틸렌글리콜, 삼투성 하제 및 비삼투성 하제를 포함하는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액상 제형으로 조성물 100ml 당 폴리에틸렌글리콜 40 내지 60g, 삼투성 하제 10 내지 28g 및 비삼투성 하제 1 내지 20m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수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투성 하제는 마그네슘 시트레이트,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 마그네슘 포스페이트, 마그네슘 설페이트, 마그네슘 타르트레이트, 소듐 포스페이트, 소듐 타르트레이트, 소듐 설페이트, 포타슘 타르트레이트, 마그네슘 옥사이드, 소듐 설페이트 및 이들의 염과 글리세린, 솔비톨, 만니톨, 락티톨, 알콜 당, L-당,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락툴로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삼투성 하제는 미네랄 오일, 알로에, 비사코딜(bisacodyl), 피코황산나트륨(sodium picosulfate), 카산트라놀(casanthranol), 수피(cascara), 캐스터 오일(castor oil), 댄트론(dantron), 데하이드로콜릭 산(dehydroholic acid), 페놀프탈레인(phenolphthalein), 세노사이드(sennosides), 도쿠세이트(docusate), 베타나콜(bethanachol), 콜히친(colchicines), 미소프로스톨(misoprostol), 시사프라이드(cisapride), 노르시사프라이드(norcisapride), 파라핀(paraffin), 라인(rhein) 및 테가세로드(tegasero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제, 현탁액제 및 유제 가운데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
KR1020140005661A 2014-01-16 2014-01-16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 KR20150085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661A KR20150085698A (ko) 2014-01-16 2014-01-16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661A KR20150085698A (ko) 2014-01-16 2014-01-16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698A true KR20150085698A (ko) 2015-07-24

Family

ID=53875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661A KR20150085698A (ko) 2014-01-16 2014-01-16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569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781A1 (ko) * 2015-06-22 2016-12-29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
WO2017131461A1 (ko) * 2016-01-28 2017-08-03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하제 조성물
CN116421636A (zh) * 2023-03-01 2023-07-14 武汉科技大学 一种老年人肠道清洁剂及其制备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781A1 (ko) * 2015-06-22 2016-12-29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
CN107787223A (zh) * 2015-06-22 2018-03-09 西梯茜生命工学股份有限公司 肠道清洁用泻剂组合物
WO2017131461A1 (ko) * 2016-01-28 2017-08-03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하제 조성물
CN108601842A (zh) * 2016-01-28 2018-09-28 西梯茜生命工学股份有限公司 泻药组合物
JP2019507121A (ja) * 2016-01-28 2019-03-14 シーティーシー バイオ,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下剤組成物
EP3409290A4 (en) * 2016-01-28 2019-09-18 CTC Bio, Inc. PURGATIVE COMPOSITION
CN116421636A (zh) * 2023-03-01 2023-07-14 武汉科技大学 一种老年人肠道清洁剂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84866T3 (es) Composición purgante para el colon con agente aglutinante soluble
JP7277396B2 (ja) Pegとアスコルビン酸塩とを含む組成物
KR101423005B1 (ko) 장 세정용 조성물
ES2409842T3 (es) Composiciones para la limpieza intestinal y uso de las mismas
JP2014500246A5 (ko)
KR20150085698A (ko)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
KR101811386B1 (ko)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
CN103826644A (zh) 口服补液组合物
JP7254820B2 (ja) 腸管洗浄用組成物
KR102005072B1 (ko) 장관 세척용 하제 조성물
JP6501923B2 (ja) 腸管洗浄用の下剤組成物
WO2022055286A1 (ko) 장 정결용 조성물
KR101811032B1 (ko) 하제 조성물
CN103919730A (zh) 一种无水硫酸钠散剂及其制备方法
ES2863979T3 (es) Composición farmacéutica para el tratamiento del estreñimiento
JPH03284620A (ja) 腸管洗浄用組成物
ES2907081T3 (es) Composición para el tratamiento del estreñimiento
US10471092B2 (en) Combination of hyaluronic acid and macrogol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it
ES2896689T3 (es) Composición para el tratamiento del estreñimiento
RU2709495C1 (ru) Способ очищения кишечника и набор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6355806B1 (ja) ラクツロースを有効成分とする便秘症治療剤
KR102664492B1 (ko) 검사 당일 복용량이 감소된 장 세정용 조성물
EA045033B1 (ru) Способ очищения кишечника и набор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240082273A (ko) 검사 당일 복용량이 감소된 장 세정용 조성물
KR20240012326A (ko) 검사 당일 복용량이 감소된 장 세정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