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4847A - 합성 수지제 캡, 밀봉 장치, 및 음료가 든 밀봉 장치 - Google Patents

합성 수지제 캡, 밀봉 장치, 및 음료가 든 밀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4847A
KR20150084847A KR1020157012515A KR20157012515A KR20150084847A KR 20150084847 A KR20150084847 A KR 20150084847A KR 1020157012515 A KR1020157012515 A KR 1020157012515A KR 20157012515 A KR20157012515 A KR 20157012515A KR 20150084847 A KR20150084847 A KR 20150084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projection
inlet portion
synthetic resin
container
resin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2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쯔구 사카이
마사타카 히사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Csi 재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Csi 재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Csi 재팬
Publication of KR20150084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입구부 내에 끼워지는 내측 씰링 돌기와, 입구부의 외면에 맞닿는 외측 씰링 돌기가 상판부의 내면에 형성된다. 내측 씰링 돌기는 내측 씰링 돌기의 휨 탄성력에 의해 입구부의 내면에 가압 상태로 맞닿을 수 있다. 외측 씰링 돌기는 선단을 향해 내경이 작아지는 내면을 갖는다. 외측 씰링 돌기의 최소 내경부는, 개구 단부로부터 용기 본체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입구부의 외면에 맞닿을 수 있다. 합성 수지제 캡을 입구부에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최소 내경부의 내경은 입구부의 외경보다 크다.

Description

합성 수지제 캡, 밀봉 장치, 및 음료가 든 밀봉 장치{SYNTHETIC RESIN CAP, CLOSING DEVICE, AND BEVERAGE-CONTAINING CLOSING DEVICE}
본 발명은 용기 입구부를 밀봉하는 합성 수지제 캡, 이를 이용한 밀봉 장치, 및 음료가 든 밀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2년 11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2-250378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용기에 이용되는 합성 수지제 캡(이하, 단순히 '캡'이라고 한다)으로는, 상판부와 그 둘레로부터 내려오는 통부를 구비하고, 통부의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도 5는 캡의 일례로서, 이 캡(31)은 상판부(32)와 그 둘레로부터 내려오는 통부(33)를 구비하고, 통부(33)의 내면에 용기(20) 입구부(21)의 수나사(22)에 끼워지는 나사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상판부(32)의 내면에는 용기(20) 입구부(21)에 끼워져 입구부(21)의 내면(21a)에 맞닿는 내측 씰링 돌기(42)와, 입구부(21) 외면(21c)(또는, 개구 단부(21b)의 단면(端面))에 맞닿는 외측 씰링 돌기(44)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및 외측 씰링 돌기(42, 44)는 용기(20)의 입구부(21)에 맞닿아 용기(20)를 밀봉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으로 이루어지는 용기(20)는, 강도를 높이기 위해 입구부(21)를 결정화시키는 경우가 있다.
내용액을 용기(20)에 충전할 때에는, 고온의 내용액을 용기(20)에 충전한 상태에서 캡(31)의 장착을 행하는, 이른바 핫팩(열충전)이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살균 효과를 높이기 위해, 캡(31)을 장착한 후, 캡(31) 및 용기(20)에 고온수를 살수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2-211605호 공보
충전 방법으로 열충전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고온에 의한 용기(20)의 변형을 원인으로 하는 체결성의 저하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특히, 투명성 확보를 위해 용기(20) 입구부(21)를 비결정으로 하는 경우에는, 고온시의 강도가 낮아지기 쉽기 때문에, 충전 조작 등의 경우에 내측 씰링 돌기(42)에 의한 가압에 의해 입구부(21)가 직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변형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체결시에 외측 씰링 돌기(44)가 개구 단부(21b)에 맞닿아, 체결 조작성이 양호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열충전을 채용한 경우에도 체결성이 저하되지 않는 합성 수지제 캡, 이 합성 수지제 캡을 이용한 밀봉 장치 및 음료가 든 밀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 캡으로서, 상판부와 그 둘레로부터 내려오는 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 내에 끼워지는 내측 씰링 돌기와 상기 입구부의 외면에 맞닿는 외측 씰링 돌기가 상기 상판부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씰링 돌기는 내측 씰링 돌기의 휨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입구부의 내면에 가압 상태로 맞닿을 수 있고, 상기 외측 씰링 돌기는 선단을 향해 내경이 작아지는 내면을 갖고, 상기 내면의 하단인 최소 내경부가 상기 입구부의 개구 단부로부터 용기 본체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입구부의 외면에 맞닿을 수 있고, 이 합성 수지제 캡을 상기 입구부에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최소 내경부의 내경은 상기 입구부의 외경보다 큰 합성 수지제 캡을 제공한다.
상기 외측 씰링 돌기의 선단면은,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 씰링 돌기는, 직경 방향 안쪽 및 바깥쪽의 휨 변형이 가능한 판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 씰링 돌기는, 선단을 향해 서서히 두께가 줄어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의 입구부는, 비결정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료가 충전되는 용기와, 그 입구부에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 캡을 구비한 밀봉 장치로서, 상기 합성 수지제 캡이 전술한 바와 같은 것인 밀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음료가 충전된 용기와, 그 입구부에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 캡을 구비한 음료가 든 밀봉 장치로서, 상기 합성 수지제 캡이 전술한 바와 같은 것인 음료가 든 밀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측 씰링 돌기의 최소 내경부가, 체결시에, 개구 단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외면에 맞닿을 수 있기 때문에, 외측 씰링 돌기에 추종 변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캡을 입구부에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최소 내경부의 내경이 입구부의 외경보다 크기 때문에, 입구부에 직경이 커지는 방향의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에도, 외측 씰링 돌기가 개구 단부에 맞닿아 캡의 체결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체결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 캡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합성 수지제 캡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합성 수지제 캡 및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합성 수지제 캡 및 용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합성 수지제 캡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 캡 및 밀봉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밀봉 장치는 용기(20)와, 그 입구부(21)에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 캡(1)(이하, 단순히 '캡(1)'이라고 한다)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서의 참조 부호 C1은 캡(1)의 중심축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하 방향이란, 도 1 내지 도 4에서의 상하 방향이며, 중심축 C1에 따르는 방향이다. 상하 방향은 높이 방향이라고도 한다. 또한, 직경 방향이란, 캡(1) 및 용기(20)의 직경 방향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20)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음료가 충전되는 용기 본체(24)와, 그 상부에 형성된 입구부(21)를 갖는다.
입구부(21)의 외면(21c)에는 수나사(22)가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22)의 하방에 형성된 걸림단부(23)는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환상 돌기이다.
내면(21a) 및 외면(21c)은 용기(20)의 축 방향을 따르는 면이다. 개구 단면(21b)은 용기(20)의 축 방향에 수직인 면이다.
투명성 확보를 위해, 입구부(21)는 비결정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구부(21)는 두께 방향의 가시광선의 광투과율이 예를 들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입구부(21)는 가열 등에 의해 일부 또는 전부를 결정화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1)은 원형의 상판부(2)와, 그 둘레로부터 내려오는 통부(3)를 구비하고 있다.
통부(3)는, 스코어(6)(약화부)에 의해, 주부(8)와, 브릿지(7)(도 2 참조)에 의해 주부(8)에 연결된 탬퍼 에비던스 링부(temper evidence ring)(이하, 'TE 링부')(9)로 구획되어 있다.
주부(8)의 내주면에는, 용기(20)의 수나사(22)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10)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10)는 1조 또는 복수 조의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이다. 나사부(10)의 피치(상하로 이웃하는 나사부(10)의 높낮이차)는 3㎜ 이상(예를 들면, 6㎜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부(2)에는 용기(20)의 입구부(21)에 끼워져 입구부(21)의 내면(21a)에 맞닿는 환상의 내측 씰링 돌기(12)와, 입구부(21)의 개구 단면(21b)에 맞닿는 환상의 개구단 씰링 돌기(13)와, 입구부(21)의 외면(21c)에 맞닿는 환상의 외측 씰링 돌기(14)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씰링 돌기(12)는 상판부(2)의 내면(2a)(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내측 씰링 돌기(12)의 외면에는, 기단부로부터 하방으로(즉, 내측 씰링 돌기(12)의 연장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용기 내면(21a)에 맞닿는 환상의 맞댐 볼록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맞댐 볼록부(12a)의 단면 형상은 대략 원호형, 대략 타원호형 등으로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씰링 돌기(12)는, 입구부(21) 내에 끼워졌을 때, 맞댐 볼록부(12a)의 최대 외경부(12b)가 개구 단면(21b)보다 낮은 위치(개구 단면(21b)으로부터 용기 본체(24)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전체 둘레에 걸쳐 내면(21a)에 빈틈 없이 맞닿아, 용기(20)를 밀봉(씰링)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대 외경부(12b)의 외경은 입구부(21) 내경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조금 안쪽으로 탄성적으로 휨 변형한 상태에서 내측 씰링 돌기(12)가 내면(21a)에 맞닿기 때문에, 충분한 가압력으로 내면(21a)에 맞닿는다.
최대 외경부(12b)의 외경 D1과 입구부(21)의 내경 D2의 차이 D3은, 너무 작으면 상기 가압력이 작아져 밀봉성에 영향이 미치고, 너무 커지면 상기 가압력이 커져 고온시에 입구부(21)가 변형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차이 D3은 0.1 내지 0.5㎜(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35㎜)가 바람직하다.
내측 씰링 돌기(12)의 최대 외경부(12b)의 높이 위치는, 최대 외경부(12b)와 개구단 씰링 돌기(13) 하단(돌출단)의 높낮이차 H1이 1 내지 4㎜(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낮이차 H1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충분한 탬퍼 에비던스성을 확보하고, 또한 밀봉 성능을 높일 수 있다.
개구단 씰링 돌기(13)는 상판부(2)의 내면(2a)(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개구단 씰링 돌기(13)의 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반원형, 원호형, 타원호형 등으로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씰링 돌기(14)는 상판부(2)의 내면(2a)(하면)으로부터 선단 방향으로 서서히 내경이 작아지면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외측 씰링 돌기(14)는 판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외측 씰링 돌기(14)의 내면(14a)은 선단을 향해 서서히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내면(14a)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면(14a)의 하단부는 외측 씰링 돌기(14)의 최소 내경부(14d)이다.
캡(1)을 입구부(21)에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최소 내경부(14d)의 내경은 입구부(21)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외측 씰링 돌기(14)는 입구부(21)에 직경이 커지는 방향의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에도, 캡(1)의 체결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최소 내경부(14d)의 내경 D4와 입구부(21)의 외경 D5의 차이 D6이 너무 작으면, 입구부(21)에 직경이 커지는 방향의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에 캡(1)을 체결하기 힘들어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차이 D6은 0.01㎜ 이상이 바람직하다. 차이 D6은, 예를 들면 0.1㎜ 이하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성을 높일 수 있다.
최소 내경부(14d)는, 캡(1)을 입구부(21)에 체결했을 때, 개구 단면(21b)보다 낮은 위치(개구 단면(21b)으로부터 용기 본체(24)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외면(21c)에 맞닿는다.
캡(1)을 입구부(21)에 장착하면, 내측 씰링 돌기(12)가 안쪽으로 변위하고, 이에 수반하여 상판부(2)가 변형해, 외측 씰링 돌기(14)도 안쪽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입구부(21)에 직경이 커지는 방향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도, 최대 내경부(14d)가 외면(21c)에 맞닿아, 맞닿은 부분을 씰링한다. 또한, 입구부(21)가 직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변형한 경우라도, 마찬가지로 최대 내경부(14d)는 외면(21c)에 맞닿아, 맞닿은 부분을 씰링한다.
최소 내경부(14d)의 높이 위치는, 최소 내경부(14d)와 개구단 씰링 돌기(13) 하단(돌출단)의 높낮이차 H2가 0.5 내지 2㎜(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낮이차 H2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외측 씰링 돌기(14)의 밀봉성을 높일 수 있다.
최소 내경부(14d)는 내측 씰링 돌기(12)의 최대 외경부(12b)와 동등 또는 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씰링 돌기(14)의 선단면(14b)은 최대 내경부(14d)로부터 외면(14c) 하단까지의 영역이며, 하방으로 갈수록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선단면(14b)은 거의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축 C1 방향에 대한 선단면(14b)의 각도 α1(도 4 참조)은, 너무 작으면 외측 씰링 돌기(14)의 돌출 치수가 커지기 때문에, 성형성이나 세정 용이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고는 할 수 없다. 각도 α1이 너무 큰 경우에는, 입구부(21)에 직경이 커지는 방향의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에 캡(1)의 체결이 힘들어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각도 α1은 30° 이상 60° 이하가 바람직하다.
외측 씰링 돌기(14)의 외면(14c)은 선단을 향해 서서히 외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외면(14c)은 거의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씰링 돌기(14)는, 선단이 직경 방향 안쪽 및 바깥쪽으로 이동하도록 약간의 휨 변형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입구부(21)에 직경이 커지는 방향의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에도, 그에 따른 외측 씰링 돌기(14)의 변형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캡(1)의 체결성의 악화가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외측 씰링 돌기(14)는 선단을 향해 서서히 두께가 줄어들도록 형성할 수 있다.
외측 씰링 돌기(14)의 평균 두께(기단부(14e)로부터 최소 내경부(14d)까지의 범위의 평균 두께, 즉 도 1에 나타낸 두께 T1)는, 0.5 내지 2㎜(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가 바람직하다.
외측 씰링 돌기(14)의 평균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외측 씰링 돌기(14)에 가요성을 부여하여 외측 씰링 돌기(14)의 추종 변형 성능을 높이고, 또한 충분한 밀봉성을 얻을 수 있다.
외측 씰링 돌기(14)의 평균 두께가 너무 작으면, 탄성력이 작아지기 때문에, 외면(21c)에 대해 맞닿을 때의 밀봉성이 저하된다. 외측 씰링 돌기(14)의 평균 두께가 너무 크면, 추종 변형성이 낮아져, 입구부(21)에 직경이 커지는 방향의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에 캡(1)의 체결이 힘들어지는 경우가 있다.
TE 링부(9)의 내주면에는, 개봉 시에 용기(20)의 걸림단부(23)에 걸려 TE 링부(9)의 이동을 저지하는 걸림 돌기인 걸림 돌기(11)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돌기(11)는 TE 링부(9)의 내주면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캡(1)은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내열성이 뛰어난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입구부(21)에 장착된 캡(1)을 개봉 방향으로 돌리면, 회전에 따라 캡(1)이 상승한다.
걸림 돌기(11)가 걸림단부(23)의 하단에 도달한 상태에서 캡(1)을 한층 더 개봉 방향으로 돌리면, 주부(8)는 회전에 따라 상승하는 반면, 걸림 돌기(11)가 걸림단부(23)에 걸리기 때문에 TE 링부(9)의 상방 이동은 저지된다.
그 결과, 주부(8)와 TE 링부(9)를 연결하고 있는 브릿지(7)에 인장력이 작용해, 브릿지(7)가 파단되고, TE 링부(9)가 주부(8)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따라, 캡(1)이 개봉된 것이 분명히 드러난다.
내용액을 용기(20)에 충전할 때에는, 예를 들면 60℃ 이상(통상, 65℃ 이상)의 고온의 내용액을 용기(20)에 충전한 상태로 캡(1)의 장착을 행하는, 이른바 핫팩(열충전)을 채용할 수 있다. 내용액의 온도는 90℃ 이하로 해도 되고, 75℃ 이하(예를 들면, 70℃ 이하)가 바람직하다. 입구부(21)가 비결정인 경우에는, 65℃ 이상 7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살균 효과를 높이기 때문에, 캡(1)을 입구부(21)에 장착한 후, 예를 들면 60℃ 이상(통상, 65℃ 이상)의 고온수의 살수에 의해 용기(20) 및 캡(1)을 가열해도 된다. 살수의 온도는 90℃ 이하로 해도 되고, 75℃ 이하(예를 들면, 70℃ 이하)가 바람직하다. 입구부(21)가 비결정인 경우에는, 65℃ 이상 70℃ 이하가 바람직하다.
캡(1)에서는, 외측 씰링 돌기(14)가 선단을 향해 서서히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내면(14a)을 갖고, 캡(1)을 입구부(21)에 체결했을 때, 최소 내경부(14d)가 개구 단면(21b)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외면(21c)에 맞닿을 수 있기 때문에, 외측 씰링 돌기(14)에 추종 변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캡(1)을 입구부(21)에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최소 내경부(14d)의 내경은 입구부(21)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입구부(21)에 직경이 커지는 방향의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에도, 외측 씰링 돌기(14)가 개구 단부(21b)에 맞닿아 캡(1)의 체결을 방해하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체결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외측 씰링 돌기(14)의 선단면(14b)은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시에 선단면(14b)이 개구 단부(21b)에 닿아도, 외측 씰링 돌기(14)는 선단면(14b)의 경사에 따라 벌어지도록 변형한다. 이 때문에, 체결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 3 등에 나타내는 밀봉 장치는, 음료를 용기(20)에 충전하고, 입구부(21)에 캡(1)을 장착함으로써, 음료가 든 밀봉 장치로 할 수 있다.
1: 캡(합성 수지제 캡)
2: 상판부
2a: 상판부의 내면
3: 통부
12: 내측 씰링 돌기
14: 외측 씰링 돌기
14a: 내면
14d: 최소 내경부
14b: 선단면
20: 용기
21: 입구부
21a: 내면
21b: 개구 단면
21c: 외면
24: 용기 본체
D4: 최소 내경부의 내경
D5: 입구부의 외경

Claims (7)

  1.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 캡으로서,
    상판부와 그 둘레로부터 내려오는 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판부의 내면에, 상기 입구부 내에 끼워지는 내측 씰링 돌기와, 상기 입구부의 외면에 맞닿는 외측 씰링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씰링 돌기는, 내측 씰링 돌기의 휨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입구부의 내면에 가압 상태로 맞닿을 수 있고,
    상기 외측 씰링 돌기는, 선단을 향해 내경이 작아지는 내면을 갖고,
    상기 내면의 하단인 최소 내경부가, 상기 입구부의 개구 단부로부터 용기 본체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입구부의 외면에 맞닿을 수 있고,
    상기 합성 수지제 캡을 상기 입구부에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최소 내경부의 내경은 상기 입구부의 외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제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씰링 돌기의 선단면은,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제 캡.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씰링 돌기는, 직경 방향 안쪽 및 바깥쪽의 휨 변형이 가능한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제 캡.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씰링 돌기는, 선단을 향해 서서히 두께가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제 캡.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입구부는, 비결정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제 캡.
  6. 음료가 충전되는 용기와, 그 입구부에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 캡을 구비한 밀봉 장치로서,
    상기 합성 수지제 캡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7. 음료가 충전된 용기와, 그 입구부에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 캡을 구비한 음료가 든 밀봉 장치로서,
    상기 합성 수지제 캡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가 든 밀봉 장치.
KR1020157012515A 2012-11-14 2013-11-14 합성 수지제 캡, 밀봉 장치, 및 음료가 든 밀봉 장치 KR201500848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50378 2012-11-14
JP2012250378 2012-1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847A true KR20150084847A (ko) 2015-07-22

Family

ID=50731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2515A KR20150084847A (ko) 2012-11-14 2013-11-14 합성 수지제 캡, 밀봉 장치, 및 음료가 든 밀봉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14077311A1 (ko)
KR (1) KR20150084847A (ko)
CN (1) CN104781154A (ko)
WO (1) WO20140773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9525A1 (en) * 2012-08-24 2014-02-27 Obrist Closures Switzerland Gmbh A closure
CN111919308A (zh) * 2018-04-06 2020-11-10 三洋电机株式会社 电池
JP7347938B2 (ja) * 2019-02-27 2023-09-20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樹脂製容器口部と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との組み合わせ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39526A1 (de) * 1981-10-05 1983-04-21 Albert Obrist AG, 4153 Reinach, Basel Verschlusskappe aus kunststoffmaterial
EP0093690A1 (de) * 1982-05-04 1983-11-09 Crown Obrist AG Verschlusskappe für Behälter
JP2948745B2 (ja) * 1995-05-02 1999-09-13 花王株式会社 容 器
US6284808B1 (en) * 1997-02-03 2001-09-04 Illinois Tool Works Inc. Inline solid state polymerization of PET flakes for manufacturing plastic strap by removing non-crystalline materials from recycled PET
KR20010096600A (ko) * 2000-03-13 2001-11-07 도케 케이시 합성수지제 용기뚜껑
JP2003231546A (ja) * 2002-02-07 2003-08-19 Toppan Printing Co Ltd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5683852B2 (ja) * 2010-07-02 2015-03-11 ザ コカ・コーラ カンパニーThe Coca‐Cola Company プラスチックボトル及びプリフォーム
JP5977937B2 (ja) * 2011-11-21 2016-08-24 株式会社Csiジャパン 炭酸飲料充てん容器用合成樹脂製キャップ、閉止装置、および飲料入り閉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81154A (zh) 2015-07-15
WO2014077311A1 (ja) 2014-05-22
JPWO2014077311A1 (ja)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8672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напитков
US4598835A (en) One-piece plastics closure
JP5683492B2 (ja) 耐圧密封の容器密閉アセンブリ
JP5977937B2 (ja) 炭酸飲料充てん容器用合成樹脂製キャップ、閉止装置、および飲料入り閉止装置
WO2017006730A1 (ja) キャップおよ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101582593B1 (ko) 합성 수지제 캡, 합성 수지제 캡용 라이너, 밀봉 장치, 및 음료가 든 밀봉 장치
CN111051208A (zh) 封盖
KR20150084847A (ko) 합성 수지제 캡, 밀봉 장치, 및 음료가 든 밀봉 장치
JPS62122964A (ja) プラスチツク製密封蓋
TWI585013B (zh) 樹脂製蓋子
US10689164B2 (en) Container with heat-sealed composite plastic and metal screw closure
WO2018047711A1 (ja) 樹脂製キャップ
US20050211655A1 (en) Functional insert for the neck of a recipient, especially a bottle, and closing capsule comprising said insert
JP6163367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閉止装置、および飲料入り閉止装置
JP4028041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及び閉止装置
JP7117981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5891002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EA201001709A1 (ru) Крышка для бутылки с защитой
JP2006224996A (ja) ライナー付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H0439180Y2 (ko)
TWI648205B (zh) 樹脂製蓋子
JPH0449084Y2 (ko)
JP7466828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GB2375760A (en) Container closure
JP2022147783A (ja) キャップ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