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4041A - 주기적 외란 자동 억제 장치 - Google Patents

주기적 외란 자동 억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4041A
KR20150084041A KR1020157015225A KR20157015225A KR20150084041A KR 20150084041 A KR20150084041 A KR 20150084041A KR 1020157015225 A KR1020157015225 A KR 1020157015225A KR 20157015225 A KR20157015225 A KR 20157015225A KR 20150084041 A KR20150084041 A KR 20150084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odic disturbance
model
identification model
error
disturbance ob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5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4976B1 (ko
Inventor
타카시 야마구치
유고 타다노
Original Assignee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84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13Observer control, e.g. using Luenberger observers or Kalman fil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1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or contouring control systems, e.g. to control position from one programmed point to another or to control movement along a programmed continuous path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1Servomotor, servo controller till figures
    • G05B2219/41132Motor ripple compen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eedback Control In General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Abstract

주기적 외란 관측기로 토크 리플을 억제함에 있어서, 이득부의 조정은 작동조건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작동 동안에 후속적으로 결정된다. 그러므로, 많은 조정 파라메터가 관련되며 수정의 달성은 조정 또는 설계 담당 당업자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주기적 외란 관측기에는 상기 주기적 외란 관측기의 출력 및 플랜트의 감지값에 의한 시차량을 이용함으로써 식별모형의 오차를 계산하고 상기 식별모형을 상기 식별모형의 오차로 수정하는 모형 수정 수단 또는 모형 수정부가 마련된다. 그리하여, 상기 시스템은 정확하게 추정된 주기적 외란으로 상기 토크 리플 억제 제어를 수행한다.

Description

주기적 외란 자동 억제 장치 {PERIODIC DISTURBANCE AUTOMATIC SUPPRESSION DEVICE}
본 발명은 자동적인 주기적 외란 억제 장치, 또는 모터와 같이 회전하는 전기 기계에서 토크 리플(torque ripple)을 자동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억제 제어 동안에 요구되는 주기적 외란 관측기(periodic disturbance observer)의 식별모형(identification model)을 수정하기 위하여 조정된 자동적인 주기적 외란 억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기적 외란 발생의 억제 제어는 수신 및 변환 시설에서의 전력 시스템 제어, 로봇을 이용한 위치 제어, 동력계 시스템에서의 샤프트 토크 공진 억제 및 모터 하우징의 진동 억제(전기 자동차 및 엘리베이터와 같은 차량의 승차감 관련)와 같이 다양한 제어에 사용된다. 이러한 적용에서는 주기적 외란을 정확히 억제하고자 하는 수요가 있다.
예를 들면, 모터는 원칙적으로 토크 리플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진동, 소음, 승차감에의 부정적인 영향 및 전기적 기계적 공진과 같이 다양한 문제를 유발한다.
특히, 매립형 영구자석 모터(interior PM motor)의 경우에는, 코깅 토크 리플 및 릴럭턴스 토크 리플이 복합적으로 발생된다. 대응책으로서, 토크 리플 억제를 위한 주기적 외란 관측기 보상 방법이 제안된다.
도 6은, 특허 문헌 1 및 비-특허 문헌 1로부터 알려진, 주기적 외란 관측의 n번째 순서 토크 리플 주파수를 위한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토크 리플 보상수량 계산부(1)는 사인파/코사인파 제어 명령(rn:통상 0과 동일함) 및 주기적 외란 관측기(3)에 의하여 추정된 추정수량(dTA^n, dTB^n) 사이의 차이를, 각각, 사인파/코사인파 값으로 곱하여, 그 결과를 합산함으로써 토크 리플 보상 명령(Tc*n)을 발생한다. 상기 토크 리플 보상수량 계산부(1)는 상기 토크 리플 보상 명령(Tc*n)을 제어 대상(2)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 대상(2)에서, 주기적 외란(이하, 주기적 외란(dTn)으로 칭함)이 발생될 수 있다. 모터를 제어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기 주기적 외란은 코깅 토크로 인하여 회전과 동기되는 외란인 토크 리플의 형태로 발생될 수 있고, 상기 주기적 외란은 진동과 잡음을 유발한다.
상기 주기적 외란 관측기(3)는 상기 주기적 외란(dTn)을 억제하기 위한 장치이다. 주기적 외란 관측기(3)는 각각의 주파수 성분에 대한 복소벡터(complex vector) 조건으로 나타나는 시스템 식별모형 및 외란 관측기의 역시스템 모형을 이용하며, 따라서, 직접적으로, 보상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될 주파수의 외란을 추정한다.
이러한 제어 구조는 비교적 간단하지만, 순서에 관계없이 목표 주파수에 높은 억제 효과를 제공하기에 효과적이다.
상기 시스템 식별모형(P^n)을 얻기 위해서는, 제어에 앞서, 제어 대상의 플랜트 Pn(=PAn+jPBn)에 대하여 시스템 식별을 수행하고, 1차원적 복소벡터의 형태로 다음의 방정식(1)을 얻는다.
P^n = P^An+jP^Bn ......(1)
이 방정식에서, 아래문자 n은 n번째 순서 성분을 나타내며, 각각의 변수는 Xn = XAn + jXBn로 표시되는 복소벡터다.
예를 들어, 1~1000 [Hz] 범위의 시스템 식별 결과가 각각 1 Hz 간격으로 되는 복소벡터의 형태로 표시될 때에는, 1차원적 복소벡터 1000개 요소의 표에 의하여 시스템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양자택일적으로, 상기 식별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수학적 표현에 의하여 시스템을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경우에든, 소정의 주파수 성분을 위해서는, 단순한 1차원적 복소벡터로 시스템 모형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설명 뿐만 아니라 시스템 식별모형에 있어서, 각각의 P^n, rn, dTn, dT^n 및 Tn은 Xn = XAn + jXBn로 표시되는 복소벡터다.
토크 리플은 회전위상(θ[rad])에 따라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외란이다. 그러므로, 상기 주기적 외란 관측기(3)의 제어로서, 토크 맥동 주파수 성분 추출수단 또는 추출부는 임의의 순서(n)(전기적 회전 주파수의 중적분)의 코사인 계수(TAn) 및 사인 계수(TBn)로의 변환에 사용된다. 주파수 성분의 엄격한 측정을 위하여 퓨리에 변환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의 시스템은 단순화에 무게를 두어 퓨리에 변환의 단순화된 형태로서 저역필터(GF(s))를 사용한다. 상기 시스템은 플랜트 출력으로 하여금 저역필터(GF(s))를 통과하도록 하며, 따라서 주기적 외란(dTn)이 억제되어야 하는 주파수 성분을 추출한다. 상기 시스템은 이 값에 앞서 추출된 시스템 식별모형의 역수(reciprocal)(P^n-1)로 표시되는 역시스템을 곱하고, 그렇게 얻어진 값과 상기 저역필터(GF(s))를 통과한 제어 명령과의 차이로부터 주기적 외란(dTn)을 추정하고, 그리고 추정된 값을 추정된 주기적 외란(dT^n(=dT^An + jdT^Bn))으로서 상기 토크 리플 보상 계산부(1)에 전달한다. 상기 토크 리플 보상 계산부(1)는 상기 제어 명령(rn)으로부터 상기 추정된 주기적 외란을 감산하고, 따라서 상기 주기적 외란(dTn)을 억제한다.
특허 문헌 1: WO2010/024195A1
주기적 외란 관측기에 기초한 제어에 있어서, 제어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제어의 핵심 기반은 상기 시스템 식별모형(P^n)의 참값에 대한 정확성이다. 주기적 외란 억제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식별의 정확성을 개선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정확한 식별모형을 얻는 것은 곤란하며, 노화 또는 기타 요인으로 인하여 플랜트의 장기변동 및 예상 밖의 갑작스러운 시스템 변동으로 인한 단기변동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식별모형에 있어서의 오차는 억제 말기까지 정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 최악의 경우 외란으로서 작용하는 억제 제어 자체로 인하여 상기 제어를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식별모형에 있어서 오차에 대한 확고함(robustness)을 개선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이득부의 조정은 종전에서와 같이 작동조건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작동 동안 연속적으로 결정된다. 이 경우, 많은 조정 파라메터가 관련되며, 수정의 달성은 조정 및 설계 담당자의 기술에 따라 달라진다. 더욱이, 모형 수정은 순서(sequence)의 가정 범위를 벗어나는 조건에 대해서는 달성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정 파라메터의 수를 감소시키고 조정 및/또는 설계 담당자의 기술에 의존하지 않는 주기적 외란 억제 시스템 또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주기적 외란을 발생하는 제어대상의 출력을 주기적 외란 관측기에 입력함으로써 추정된 주기적 외란 또는 주기적 외란의 추정치를 계산하기 위한 그리고 계산된 추정된 주기적 외란과 제어 명령 사이의 차이에 따라 상기 제어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주기적 외란 자동 억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외란 관측기를 위한 모형 수정 수단 또는 모형 수정부가 제공되며, 상기 모형 수정 수단 또는 모형 수정부는 상기 주기적 외란 관측기의 출력 및 상기 제어 대상의 감지값에 의한 시차량을 사용함으로써 수정된 식별모형으로부터의 오차를 계산하기 위한 그리고 상기 수정된 식별모형으로부터의 오차를 상기 주기적 외란 관측기의 식별모형에 피드백하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모형 수정 수단 또는 모형 수정부는 하나의 시간(t)에 상기 제어 대상의 n번째 순서 출력을 ynt로 설정하고 상기 식별모형(P^n)의 추정된 플랜트 출력을 y^n로 설정함으로써 다음의 방정식에 의하여, 시간차(t1, t2)에서 식별모형(P^^n)으로부터의 오차를 결정하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Pn = -(y^n.t2 - y^n.t1/d^n.t2 - d^n.t1)
(=P^^n)
여기에서 Pn은 플랜트이고, 그리고 각각의 수는 복소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모형 수정 수단 또는 모형 수정부는 하나의 시간(t)에 상기 제어 대상의 n번째 순서 출력을 ynt로 설정하고, 추정된 주기적 외란을 d^n로 설정하며, 상기 식별모형(P^n)의 추정된 플랜트 출력을 y^n으로 설정함으로써 다음의 방정식에 의하여, 시간차(t1, t2)에서 식별모형으로부터의 오차(Pref n·P^n)를 결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Pn = -(y^n.t2 - y^n.t1/d^n.t2 - d^n.t1)·P^n
= Pref n·P^n
여기에서 Pn은 플랜트이고, 그리고 각각의 수는 복소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주기적 외란 관측기에는 상기 모형 수정 수단 또는 모형 수정부에 의하여 계산된 식별모형 오차 및 플랜트의 회전 주파수를 저장하기 위하여 학습 메모리 기능부가 더욱 제공되며, 그리고 수정된 식별모형은 상기 저장된 식별모형 오차를 곱하여 계산되고 제어 출력으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주기적 외란 자동 억제 장치에는 상기 모형 수정 수단 또는 모형 수정부가 제공되며, 평행하게 연결되고, 복수의 추정된 주기적 외란을 발생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복수의 주기적 외란 관측기가 제공된다.
도 1은 기본적인 주기적 외란 관측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기적 외란 관측기 제어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기적 외란 관측기 제어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기적 외란 관측기 제어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기적 외란 관측기 제어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상기 주기적 외란 관측기 제어 시스템의 전체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기적 외란을 겪거나 발생하는 제어 대상의 출력을 주기적 외란 관측기에 입력함으로써 추정된 주기적 외란 또는 주기적 외란의 추정치를 계산하기 위한, 그리고 상기 계산된 추정된 주기적 외란과 제어 명령 사이의 차이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또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외란 관측기에는, 아래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주기적 외란 관측기의 출력 또는 출력치 및/또는 상기 제어 대상의 감지값의 시차량 또는 시간차 수량을 사용함으로써 수정되는 수정된 식별모형으로부터의 오차로써 상기 추정된 주기적 외란을 수정하기 위한 모형 수정부 또는 모형 수정 수단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주기적 외란 관측기 제어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에서는 다음의 부호가 사용된다.
Pn: 플랜트(제어 대상), d^n: 추정된 주기적 외란(시스템 식별모형),
yn: 제어 대상 출력(도 6에서 TAn, TBn에 해당함), rn: n번째 순서 제어 명령, dn: n번째 순서 외란, d^n.t: 시간(t)에서의 n번째 순서 보상 명령(도 6에서 dTA^n, dTB ^n에 해당함), P^n: 식별모형, y^n:(d^n.)이 외란일 때 식별모형(P^n)의 추정된 플랜트 출력, PDO: 주기적 외란 관측기, yn.t: 시간(t)에서의 n번째 순서 출력. 상기 s 영역에서의 수량은 아래문자 콤마 이후의 시간(t)로 나타낸다.
상태 방정식은 시간(t1)에서 다음의 표현식(2) 및(3)으로 표현된다. t=t0~tn인 동안 상기 명령 또는 명령값은 일정하고 상기 명령은 rn = 0 [n>0]와 같이 표현되는 주기성이 없는 정상-상태값인 것으로 가정한다. 각각의 수는 복소수이다.
(dn - d^n.t1) × Pn = yn.t1 ......(2)
d^n.t1 × P^n = y^n.t1 ......(3)
마찬가지로, 상태 방정식은 시간(t2)에서 다음의 표현식(4) 및(5)으로 표현된다.
(dn - d^n.t2) × Pn = yn.t2 ......(4)
d^n.t2 × P^n = y^n.t2 ......(5)
다음의 방정식(6) 및 (7)은 상기 방정식(2) ~(5)으로부터 상기 시각들 사이의 차이량 또는 차이를 결정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경우, 상기 외란(dn) 및 플랜트(Pn )가 시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차이수량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외란의 정상-상태 항을 제거할 수 있다. 더욱이, 시각 t1과 t2를 얻거나 샘플링하는 것 사이의 시간차는 목표값으로서 몇 밀리세컨드[ms] 정도이다. 플랜트 변수 및/또는 외란 변수가 작동 중에 발생되더라도, 상기 변수의 기간은 시각 t1 및 t2 사이의 시간차에 비하여 매우 길다고 가정되고, 상술한 바의 가정은 유효한 것으로 간주된다.
-(d^n.t2 - d^n.t1) × Pn = yn.t2 - yn.t1 ......(6)
-(d^n.t2 - d^n.t1) × P^n = y^n.t2 - y^n.t1 ......(7)
방정식(8)은 상기 방정식(6)으로부터 얻어지며, 방정식(9)은 상기 방정식(7)을 상기 방정식(8)으로 대체함으로써 얻어진다. 차이 결과로부터 추정된 시스템 모형은 P^^n으로 설정되고, 상기 식별모형에 대한 오차 또는 오차수량은 Pref n으로 설정된다.
Pn = -(y^n.t2 - y^n.t1/d^n.t2 - d^n.t1)
(=P^^n) ......(8)
Pn = -(y^n.t2 - y^n.t1/d^n.t2 - d^n.t1)·P^n
= Pref n·P^n ......(9)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시각 t1과 t2 사이의 상태의 차이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모형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다시 상기 식별모형(P^n)에 피드백 함으로써 수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마침내 상기 추정된 외란(d^n)을 정확하게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모형 수정부 또는 모형 수정수단이 제공된 주기적 외란 관측기의 제어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모형 수정부(30)는 상기 방정식(9)에 의하여 수정 계산을 수행한다. 즉, 모형 수정부(30)는 상기 식별모형(P^n)으로부터의 n번째 순서 플랜트 출력 보상 수량(y^n) 및 플랜트 출력(yn)을 입력으로서 수신하고, 방정식(9)에 해당하는 계산을 수행한다. 상기 방정식(9)의 계산은 미분연산을 수반하며, 이에 잡음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모형 수정부(30)의 출력은 잡음제거를 위하여 저역필터(31)를 통과하게 된다. 나머지 작동에 있어서, 도 2의 시스템은 도 6의 시스템과 동일한 기본적인 작동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상기 주기적 외란 관측기(periodic disturbance observer, PDO)는 상기 수정된 식별모형에 대한 오차를 이용하여 위상오차 및 이득오차에 수정 명령을 출력함으로써 토크 리플 억제 제어 동안에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상기 식별모형을 수정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장치는 조정 파라메터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조정 및 설계자의 기술 또는 기량을 재-손질하지 않고도 보다 정확한 주기적 외란 억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주기적 외란 관측기(PDO) 내의 내부 모형은 상기 방정식(9)에 상응하는 계산 수단을 갖는 상기 모형 수정부 또는 모형 수정부(30)에 의하여 수정된다. 제 2 실시예에서, 모형 수정부 또는 모형 수정부(30a)는 상기 방정식(8)의 차이 결과로부터 추정된 시스템 모형(P^^n)을 이용하여 계산을 수행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식별모형(d^n)을 전혀 모르더라도 P^^n을 사용함으로써 외란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는 상기 모형 수정 기능을 항상 가능하게 함으로써, 그리고 상기 내부 모형에 대하여 상기 방정식(8)에 따라 상기 모형 수정부(30a)에 의하여 차이 수량으로부터 추정된 상기 시스템 모형(P^^n)을 사용함으로써 수행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시스템 모형의 추정은 시각 t1 및 t2 사이의 시차량의 감지값을 사용함으로써 달성가능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장치는 상기 시스템 식별이 사전에 가능하지 않을 때에 특히 효과적이다.
상술한 바의 제 1 및 제 2 실시예는 상기 주기적 외란 관측기(PDO)의 식별모형을 특정 주파수에서 적응적으로 수정하기 위한 수단을 채용한다. 제 3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메모리 기능에 있어서 상기 모형 수정부(30(30a))에 의한 수정의 최종값을 기록하는 학습(저장) 기능이 추가로 제공된다.
도 4는 상기 제 3 실시예에 의한 주기적 외란 관측기(PDO)에 대한 제어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이에는 스위치(SW) 및 메모리 기능부(32)의 메모리 기능이 제공된다. 나머지 관점에서, 도 4의 시스템은 도 2의 시스템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 기능부(32)는 상기 플랜트의 회전 주파수(nω) 및 상기 시스템 식별 오차(Pref n)를 참조하기 위한 표 데이터(table data)를 저장한다. 방정식(10)으로 표현되는 바와 같이, 수정된 식별모형(P´n)은 상기 방정식(9)을 회전벡터(Pn mem)의 메모리 출력에 곱하여 결정되고, 이러한 식별모형(P´n)은 상기 주기적 외란 관측기(PDO)에서의 제어에 사용된다.
n = Pref n·P^n·Pn mem ......(10)
상기 메모리 기능부(32)에서 상기 수정된 식별 모드(P´n)를 저장하는 시간에 관련하여, 상기 수정된 식별모형(P´n)은 상기 식별모형을 수정하는 작동이 수행되며 상기 주기적 외란이 충분히 억제될 때의 타이밍에 스위칭되는 스위치(SW)의 스위칭 타이밍에 저장된다. 이 타이밍에 상기 시스템 식별 오차(Pref n) 를 메모리 기능부(32)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장치는 수정 작동의 결과를 학습한다.
제 1 실시예의 효과에 더하여, 본 실시예는 다음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장치는 소정의 주파수에서 상기 식별모형 오차에 대한 수정 수량을 학습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주파수에서 다음 작동에서의 수정 말기까지의 학습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는 그 작동의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앞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식별모형 오차를 제거할 수 있도록 그리고 소정 주파수에서 상기 식별모형을 수정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도 5에 나타낸 제 4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각각의 억제 순서에 대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순서에 대하여 각각 제공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평행하고 동시적인 배열을 형성한다. 달리 말하자면, 상기 장치는 추정될 n번째 순서의 주기적 외란 성분에 대한 식별모형 오차를 추정하기 위하여 도 1~4에 나타낸 모형 오차 수정이 제공되는 주기적 외란 관측기(PDO)를 포함하는 각각의 N개의 유니트 또는 부를 포함한다. 추정된 오차로 상기 시스템 식별모형을 수정함으로써 구해지는 추정된 주기적 외란(d^n-1 ~ d^n-N)은 상기 토크 리플 보상 계산부(1)에 전달된다(도 6에 도시됨).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정 파라메터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조정이나 설계 담당자의 기술에 따른 필요성 없이 정확한 주기적 외란 억제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Claims (5)

  1. 주기적 외란을 겪는 제어 대상의 출력을 주기적 외란 관측기에 입력함으로써 추정된 주기적 외란을 계산하기 위한, 그리고 상기 추정된 주기적 외란과 제어 명령 사이의 차이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주기적 외란 자동 억제 장치로서,
    상기 주기적 외란 관측기의 출력 및 상기 제어 대상의 감지값의 시차량을 사용함으로써 수정되는 수정된 식별모형으로부터의 오차를 계산하기 위한 그리고 상기 수정된 식별모형으로부터의 오차를 상기 주기적 외란 관측기의 식별모형에 피드백하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기적 외란 관측기를 위하여 제공되는 모형 수정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주기적 외란 자동 억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형 수정 수단은, 하나의 시간(t)에 상기 제어 대상의 n번째 순서 출력을 ynt로 설정하고 상기 식별모형(P^n)의 추정된 플랜트 출력을 y^n로 설정함으로써 다음의 방정식에 의하여, 시간차(t1, t2)에서 식별모형(P^^n)으로부터의 오차를 결정하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기적 외란 자동 억제 장치
    Pn = -(y^n.t2 - y^n.t1/d^n.t2 - d^n.t1)
    (=P^^n)
    여기에서 Pn은 플랜트이고, 그리고 각각의 수는 복소수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형 수정 수단은, 하나의 시간(t)에 상기 제어 대상의 n번째 순서 출력을 ynt로 설정하고,추정된 주기적 외란을 d^n로 설정하며,상기 식별모형(P^n)의 추정된 플랜트 출력을 y^n으로 설정함으로써 다음의 방정식에 의하여, 시간차(t1, t2)에서 식별모형으로부터의 오차(Pref n·P^n)를 결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기적 외란 자동 억제 장치
    Pn = -(y^n.t2 - y^n.t1/d^n.t2 - d^n.t1)·P^n
    = Pref n·P^n
    여기에서 Pn은 플랜트이고, 그리고 각각의 수는 복소수임.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외란 자동 억제 장치는, 상기 주기적 외란 관측기를 위하여 마련되며 상기 모형 수정부에 의하여 계산된 식별모형 오차 및 플랜트의 회전 주파수를 저장하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학습 메모리 기능부를 더욱 포함하며, 그리고 수정된 식별모형은 상기 저장된 식별모형 오차를 곱하여 계산되고 제어 출력으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기적 외란 자동 제어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외란 자동 억제 장치는, 상기 모형 수정 수단이 마련되며, 평행하게 연결되고, 다수의 추정된 주기적 외란을 발생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의 주기적 외란 관측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기적 외란 자동 제어 장치.
KR1020157015225A 2012-12-07 2013-12-05 주기적 외란 자동 억제 장치 KR101734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67798A JP5532115B1 (ja) 2012-12-07 2012-12-07 周期外乱自動抑制装置
JPJP-P-2012-267798 2012-12-07
PCT/JP2013/082662 WO2014088054A1 (ja) 2012-12-07 2013-12-05 周期外乱自動抑制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041A true KR20150084041A (ko) 2015-07-21
KR101734976B1 KR101734976B1 (ko) 2017-05-24

Family

ID=5088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5225A KR101734976B1 (ko) 2012-12-07 2013-12-05 주기적 외란 자동 억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14474B2 (ko)
JP (1) JP5532115B1 (ko)
KR (1) KR101734976B1 (ko)
CN (1) CN104838322B (ko)
WO (1) WO20140880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01487A4 (en) * 2014-01-30 2018-03-07 Meidensha Corporation Periodic external disturbance suppression control device
JP6197923B1 (ja) * 2016-06-27 2017-09-20 株式会社明電舎 制御システム
EP3287244A1 (de) * 2016-08-26 2018-02-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Rastmomentkompensation bei einem industrieroboter
JP6497408B2 (ja) * 2017-04-14 2019-04-10 株式会社明電舎 電気慣性制御装置
EP3582394B1 (en) * 2018-06-13 2021-02-24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A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suppressing the influence of a periodic disturbance upon a quantity in a traction system
CN110989353B (zh) * 2019-12-17 2021-01-19 华南理工大学 一种周期扰动观测器的设计方法
KR102487640B1 (ko) 2021-02-26 2023-01-11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플랜트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3067506B (zh) * 2021-03-09 2022-07-26 中国地质大学(武汉) 内模型等价输入干扰的永磁同步电机周期扰动抑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6390B2 (ja) 1992-12-25 2001-08-06 富士電機株式会社 パラメータ同定器
US5992383A (en) * 1996-05-28 1999-11-30 U.S. Philips Corporation Control unit having a disturbance predictor, a system controlled by such a control unit, an electrical actuator controlled by such a control unit, and throttle device provided with such an actuator
JPH11285283A (ja) * 1998-03-27 1999-10-15 Mitsubishi Heavy Ind Ltd 外乱補償制御装置
US6567711B1 (en) * 2000-08-28 2003-05-20 Brooks Automation Observer-corrector control system for systems with unmodeled dynamics
JP4411428B2 (ja) * 2006-03-31 2010-02-10 東芝ストレージデバイス株式会社 ヘッド位置制御方法、ヘッド位置制御装置およびディスク装置
WO2010024195A1 (ja) * 2008-08-26 2010-03-04 株式会社明電舎 電動機の外乱抑圧装置および外乱抑圧方法
JP5637042B2 (ja) * 2011-03-30 2014-12-10 株式会社明電舎 電動機の脈動抑制装置および電動機の脈動抑制方法
JP5626090B2 (ja) * 2011-04-15 2014-11-19 株式会社明電舎 周期外乱抑制装置および周期外乱抑制方法
WO2012141190A1 (ja) 2011-04-15 2012-10-18 株式会社明電舎 周期外乱抑制装置および周期外乱抑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26163A1 (en) 2015-11-12
KR101734976B1 (ko) 2017-05-24
US9614474B2 (en) 2017-04-04
WO2014088054A1 (ja) 2014-06-12
CN104838322B (zh) 2017-12-15
JP5532115B1 (ja) 2014-06-25
CN104838322A (zh) 2015-08-12
JP2014115746A (ja)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976B1 (ko) 주기적 외란 자동 억제 장치
EP2543133B1 (en) Current sensor error compensation
KR101502020B1 (ko) 주기성 교란 억제 장치 및 주기성 교란 억제 방법
JP5637042B2 (ja) 電動機の脈動抑制装置および電動機の脈動抑制方法
KR101699463B1 (ko) 제어 장치
Barut et al. Experimental evaluation of braided EKF for sensorless control of induction motors
JP5800108B2 (ja) 周期外乱自動抑制装置
CN110073590B (zh) 用于电动机电路的控制系统
KR20190018844A (ko) 레졸버 위치오차 보상장치 및 방법
JP5626090B2 (ja) 周期外乱抑制装置および周期外乱抑制方法
Lovlin et al. Adaptive system for compensation of periodic disturbances in servo drive
JP6398462B2 (ja) 位置およびトルクセンサレスによるトルクリプル抑制装置
JP5780058B2 (ja) 周期外乱抑制装置
JP6409313B2 (ja) 周期外乱自動抑制装置
JP6171729B2 (ja) 周期外乱自動抑制方法
Kuruppu et al. Position sensor offset quantification in PMSM drives via current estimation
Kommuri et al. Performance comparison of sliding mode observers for back EMFs based speed estimation in PMSM
Kommuri et al. Second-order sliding mode based sensor fault-tolerant control of induction motor drives
Calleja et al. Comparison of fast permanent magnet flux estimation methods for railway traction application PMS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