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438A - 외부 냉각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외부 냉각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438A
KR20150083438A KR1020150002762A KR20150002762A KR20150083438A KR 20150083438 A KR20150083438 A KR 20150083438A KR 1020150002762 A KR1020150002762 A KR 1020150002762A KR 20150002762 A KR20150002762 A KR 20150002762A KR 20150083438 A KR20150083438 A KR 20150083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housing
battery pack
cooling
penetr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르스텐 콜러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83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4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10/6557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통의 하우징(2) 내에 배치된 다수의 배터리 모듈(5) 및 냉각 장치(8)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1)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배터리 모듈은 각각 서로 접속된 다수의 배터리 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장치(8)는 하우징(2)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냉각 플레이트(9)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5)의 냉각을 위해 설계되고, 냉각 장치(8)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부재(10)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 부재는 하우징(2)을 통해 안내되고 하우징(2)의 외부에 접속부(11)를 포함하고, 이로써 냉각제가 하우징(2)의 외부에서부터 냉각 플레이트(9)로 안내된다. 적어도 하나의 냉각 플레이트(9)와 적어도 하나의 관통 부재(10)는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배터리 팩(1)을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외부 냉각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배터리 팩{BATTERY PACK WITH EXTERNAL COOLING SYSTEM INTERFACE}
본 발명은 각각 서로 접속된 다수의 배터리 전지를 포함하고 공통의 하우징 내에 장착된 다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 및 전기 자동차(EV, Electric Vehicle)는 전기 구동 기계가 기대되는 주행 성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에너지 및 고성능 배터리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대개 리튬 이온 기술 또는 리튬 폴리머 기술 기반의 고에너지 및 고성능 배터리 팩이 전기 에너지 저장기(EES)로서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배터리 팩은 약 100개의 배터리 전지를 포함한다. 고성능 배터리 전지들의 용량은 예컨대 63 Ah에 이른다.
화학 변환 과정으로 인해 리튬 이온 배터리 전지들과 리튬 폴리머 배터리 전지들은 특히 에너지 방출시 가열된다. 배터리 팩이 고성능일수록, 상기 배터리 팩은 더 많이 가열되고, 냉각 상태의 배터리 전지들을 가열하고 가열 상태의 배터리 전지들을 냉각하는 효율적인 능동적 열 관리 시스템이 더 중요해지며, 냉각은 열 관리 시스템의 가장 흔히 필요한 기능이다.
리튬 이온 배터리 전지들의 최적의 작동 온도는 대략 +5 ℃ 내지 +35 ℃이다. 대략 +40 ℃의 작동 온도 이상에서 상기 배터리 전지의 수명은 현저히 감소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15년의 수명 요건의 충족은 배터리의 충분한 열 컨디셔닝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작동 상태에서 배터리 전지들은 +40 ℃ 미만의 열적으로 비임계적인 상태로 유지된다. 다양한 배터리 전지들의 균일한 노화를 달성하기 위해, 또한 나란히 배치된 배터리 전지들의 온도 구배는 예를 들어 최대 5 ℃로 제한된다.
대략 -5 ℃미만의 매우 낮은 온도에서 배터리의 성능은 약해지고, 효율은 현저히 감소한다. 이러한 이유로, 배터리가 다시 대략 +5 ℃ 내지 +35 ℃의 정상적인 작동 온도 범위에 있을 때까지 가열된다.
배터리 가열 및 냉각은 예를 들어 물/글리콜-혼합물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물은 배터리 모듈 아래에 설치된 냉각 플레이트의 채널들을 통해 안내된다.
US 2011/0293974 A1호에는 다수의 2차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이 개시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냉각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 유닛은 유입부 및 배출부를 포함하고, 이들을 통해 냉각 유체가 배터리에 공급된다. 하우징 내부에 다수의 배터리 모듈이 배치된다. 배터리 모듈의 냉각 접속부들은 하우징 내에서 배관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EP 2068390 A1호에는 다수의 전지를 포함하는 다른 배터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고, 상기 전지들은 베이스측에 배치된 냉각 플레이트에 의해 냉각되고, 이 경우 냉각 플레이트는 구불구불한(serpentine) 형태로 연장된 냉각 튜브 형태의 냉각제 채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효율적인 열 관리가 이루어짐으로써 배터리 전지들의 균일한 노화가 달성될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배터리 팩에 의해 해결된다.
공통의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각각 서로 접속된 다수의 배터리 전지를 포함하는 다수의 배터리 모듈과,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의 냉각을 위해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냉각 플레이트 및 하우징을 통해 안내되고 하우징의 외부에서부터 냉각 플레이트로 냉각제가 안내되도록 하우징의 외부에 접속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부재를 가진 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에서, 적어도 하나의 냉각 플레이트와 적어도 하나의 관통 부재는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바람직하게는, 2개의 기능적으로 상이한 유닛이 존재하는 하나의 부품을 함께 형성하는 관통 부재와 냉각 플레이트를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고 한다. 부품은 예를 들어 캐스팅 또는 성형 방법으로, 예를 들어 연속 캐스팅 또는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냉각 플레이트와 관통 부재의 재료 결합 방식의 연결도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고 한다. 재료 결합 방식의 연결은 연결 파트너들이 원자력 또는 분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모든 연결을 포함한다. 이는 예를 들어 접착, 용융 및 용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압력 끼워맞춤 방식 또는 형상 끼워 맞춤 방식의 연결도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고 한다. 적어도 2개의 연결 파트너들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형상 끼워 맞춤 방식의 연결이 형성된다. 기계적 연결에 의해 연결 파트너들은 힘 전달이 중단되지 않은 경우 또는 힘 전달이 중단된 경우에도 분리되지 않는다. 이에 대한 예는 리벳 연결이다. 압력 끼워 맞춤 방식의 연결은 힘을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압력 또는 마찰력이 이에 속한다. 압력 끼워 맞춤 방식의 연결의 결속은 작용하는 힘에 의해 보장된다. 이에 대한 예는 클램핑 연결, 스크루 연결 또는 스테이플(staple) 연결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팩은 하우징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전자 유닛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배터리 모듈에 전자 유닛이 할당되고, 상기 전자 유닛은 예를 들어 전지 센서(CSC, Cell Supervision circuit) 또는 모듈 제어 유닛(BCU, Battery Control Units)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내에 배치된 전자장치는 냉각제에 의한 습윤에 대한 고장에 그렇게 민감하지 않다. 관통 부재와 냉각 플레이트의 일체형으로 구현된 인터페이스들은 전자 유닛을 위험하게 만들지 않는다. 전자 유닛들은 스플래쉬(splash) 또는 점적에 의한 유체와의 접촉으로부터 보호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관통 부재는 밀봉 수단에 의해 하우징을 통해 안내된다. 이로 인해 배터리 팩의 내부는 외부 영향, 특히 입자 및 습기에 대해 보호된다.
기본적으로 하우징 관통부의 위치에서, 관통부의 충분한 밀봉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밀봉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 부재는 하우징에 용접, 납댐 또는 접착될 수 있고, 압입 끼워맞춤 또는 다른 적합한 형상 끼워맞춤 방식 또는 압력 끼워 맞춤 방식의 연결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밀봉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밀봉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슬리브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지지 링에 고정된다.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냉각 플레이트는 베이스 섹션에서 하우징을 통해 안내된다. 하우징 베이스에 관통부의 배치는, 냉각 장치의 공급 라인에서 발생하는 응축액이 거기에서 수집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로 인해, 일반적으로 배터리 유닛 하부에 배치되지 않은 배터리 팩의 전자장치에 응축액이 도달하는 가능성이 더욱 감소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냉각 플레이트는 각각 정확히 하나의 배터리 모듈에 할당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각각의 냉각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관통 부재는 하우징을 통해 안내되며, 하우징의 외부에 냉각제 회로를 위한 접속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배터리 모듈마다 고유의 하우징 관통부가 제공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관통 부재 및/또는 이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냉각 플레이트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분기될 수 있다. 모든 분기들이 일체형으로 구현되므로, 전체 재료 인터페이스들은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다.
특히, 관통 부재는 관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관은 하우징의 내부에서 분기되어 관 시스템을 형성한다. 관 시스템과 관통 부재는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관 시스템의 부재들과 냉각 플레이트는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다른 양상에 따라 이러한 배터리 팩은 냉각제 회로를 포함하고, 이 경우 냉각제 회로의 히트 싱크 및/또는 콜드 싱크는 하우징 외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통 부재의 접속부에 접속된다. 배터리 팩의 하우징 내에 있는 냉각제 회로의 부품들은 기밀 방식으로 구현된다. 모든 재료 인터페이스들은 명시적으로 배터리 팩의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전자 소자들로부터 냉각제의 전반적인 분리가 달성된다.
냉각제 회로의 히트 싱크 및/또는 콜드 싱크에 관통 부재의 접속부들의 적절한 연결은 예를 들어 튜브 퀵 연결, 직접 코일링된 튜브 연결 또는 직접 코일링된 파이프 연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연료 시스템에서, 특히 연료 라인에서 사용되는 연결이 사용될 수 있다.
배터리 팩은 예를 들어 리튬 이온 배터리, 리튬 폴리머 배터리, 리튬 공기 배터리, 리튬 황 배터리 또는 니켈 흡장 합금 배터리를 포함한다. "배터리" 및 "배터리 유닛"이라는 표현은 본 설명에서 일반적인 관용어에 맞게 어큐물레이터 또는 어큐물레이터 유닛에 사용된다. 배터리는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배터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유닛은 전지, 모듈 또는 모듈 스트링이라고 할 수 있다. 배터리 전지들은 바람직하게 공간적으로 통합되고, 회로 기술적으로 서로 접속되고, 예를 들어 모듈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서로 접속된다. 다수의 모듈은 소위 배터리 직접 컨버터(BDC, Battery Direct Converter)를 형성할 수 있고, 다수의 배터리 직접 컨버터는 배터리 직접 인버터(BDI, Battery Direct Inverter)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또한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가 제공되고, 배터리 팩은 자동차의 구동 시스템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방법은 필요한 구동 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배터리 전지들의 상호 접속이 이루어지는 전기 구동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적용된다.
바람직하게 전체 재료 인터페이스, 특히 냉각제를 안내하는 부품들의 배관은 하우징 외부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이상적인 경우에 배터리 팩 내부에서 전자 소자들의 습윤 가능성이 제공되지 않는다.
냉각제의 가능한 누설 위치의 개수가 감소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로 인해 냉각 시스템과 배터리 팩, 특히 배터리 팩에 대한 냉각제 회로의 접속부에 주어지는 밀봉 요구가 그렇게 까다롭지 않게 규정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배터리 팩 내에 유체의 발생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냉각 플레이트와 관통 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의해 바람직하게 방지되기 때문이다.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제조를 위한 배터리의 공급자측에서 이는 또한 공급자에 의한 배터리 팩의 기능 테스트시 비용 절감을 야기한다.
배터리 팩은 바람직하게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하우징 내에 배치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이 경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사용된 배터리 전지 및 배터리 모듈의 안전하고 확실한 기능을 모니터링하고 보장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개별 전지 및/또는 전체 배터리 팩의 전류, 전압, 온도, 절연 저항 및 다른 변수들을 모니터링한다. 이러한 변수에 의해 배터리 시스템의 수명, 신뢰성 및 안전성을 높이는 관리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에 도시되고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관통 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하기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 및 부재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로 표시되고, 개별적인 경우에 상기 소자 및 부재들의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면은 본 발명의 대상을 개략적으로만 도시한다.
도 1의 배터리 팩(1)은 하우징(2)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부 셸(3)과 하부 셸(4)을 포함하며, 상기 셸들은 결합 위치(19)에서 적절하게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결합 전에 하우징(2) 내에 다수의 배터리 모듈(5)이 바람직하게 나란히(도시되지 않음) 그리고 상하로 배치된다. 배터리 모듈(5)은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배터리 팩(1)은 이 경우 예시적으로 상하로 배치된 2개의 배터리 모듈(5)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모듈은 각각 배터리 유닛(6)과 전자 유닛(7)을 포함하며, 이 경우 전자 유닛(7)은 예시적으로 배터리 유닛(6)의 상부에 배치된다. 배터리 유닛(6)은 일반적으로 서로 접속된 다수의 배터리 전지, 예를 들어 2.8 내지 4.2 V의 전압 범위를 갖는 리튬 이온 배터리 전지를 포함한다.
전자 유닛(7)은 모듈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예를 들어 센서 제어장치 및 관련된 전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전지 센서마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배터리 전지가 할당된다. 전지 센서들은 특히, 개별 배터리 전지들의 전류, 전압 및 온도를 검출하여 센서 제어장치에 전달하도록 설계되므로, 사용된 배터리 전지들의 안전하고 확실한 기능이 보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배터리 팩(1)의 각각의 배터리 모듈(5)은 냉각 장치(8)를 포함한다. 냉각 장치(8)는 각각 냉각 플레이트(9)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5), 도시된 실시예에서 정확히 하나의 배터리 모듈(5)의 냉각을 위해 형성된다. 냉각 장치(8)는 또한 관통 부재(10)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는 하우징(2)을 통해 안내된다. 냉각 플레이트(9)는 관련 관통 부재(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냉각 장치(8)는 냉각제 회로(도시되지 않음)의 히트 싱크 또는 콜드 싱크를 위한 접속부(11)를 포함한다. 접속부(11)는 일반적으로 냉각제를 위한 공급 라인 및 배출 라인을 포함하고, 이로써 냉각제, 예를 들어 물/글리콜 혼합물이 하우징(2)의 외부에서부터 냉각 플레이트(9)로 안내된다. 냉각제는 사용되는 배터리 전지를 특정한 작동 온도로, 리튬 이온 배터리 전지의 경우에 약 +5 ℃ 내지 +35 ℃로 유지하는데 적합하다. 하우징(2)을 통한 관통 부재(10)의 관통 영역에 밀봉 수단(12)이 배치되고, 상기 밀봉 수단은 도 4와 관련해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을 도시한다. 배터리 팩(1)은 예시적으로 상하로 배치된 2개의 배터리 모듈(5)을 포함하고, 이 경우 각각의 배터리 모듈(5)은 배터리 유닛(6)과 전자 유닛(7)을 포함하며, 이들은 도 1과 관련해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팩(1)의 냉각 장치(8)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냉각제용 공급 라인과 배출 라인을 가진 하나의 접속부(11)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는 관통 부재(10)를 통해 하우징(2)의 내부(20)로 안내된다. 관통 부재(10)는 하우징(2)의 내부(20)의 분기점(13)에서 분기된다. 예를 들어 관통 부재(10)는 하나 이상의 T-부품에서 분기되어 관 시스템(20)을 형성하는 관이다. 관통 부재(10)는 관 시스템(20)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관 시스템(20)은 냉각 플레이트(9)에 접속되고, 관 시스템(20)은 또한 냉각 플레이트(9)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을 도시한다. 배터리 팩(1)은 예시적으로 배터리 모듈(5)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모듈은 도 1과 관련해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는 배터리 유닛(6)과 전자 유닛(7)을 포함한다. 배터리 모듈(5) 및 도시되지 않은 다른 배터리 모듈(5)은 하우징(2)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부 셸(3)과 하부 셸(4)을 포함하고, 상기 셸들은 결합 위치(19)에서 도 1과 관련해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적절하게 결합된다.
배터리 팩(1)의 냉각 장치(8)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냉각제를 위한 공급 라인 및/또는 배출 라인을 가진 2개의 접속부(11)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라인들은 관련 관통 부재(10)를 통해 하우징(2)의 내부(20)로 안내된다. 관통 부재들(10)은 냉각 플레이트(9)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도 4는 하우징 베이스에서 하우징(2)을 통해 안내되는 본 발명에 따른 관통 부재(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관통 부재(10)는 냉각제용 채널(18)을 포함하고, 둘레를 따라 벽(17)으로 둘러싸인다.
관통 부재(10)는 냉각 플레이트(9)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밀봉 수단(12)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밀봉 슬리브(14)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슬리브는 고정 부재(15), 예컨대 리벳 또는 스크루, 및 지지 링(16)에 의해 하우징(2)의 하우징 베이스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하우징(2)의 내부(20)로부터 하우징(2)의 외부(21)로 액체 및 기체의 배출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밀봉 슬리브(14)는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EPDM) 또는 실리콘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 및 이 실시예에 나타난 양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청구범위에 의해 명시된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다수의 변형예가 가능하다.
1 배터리 팩
2 하우징
5 배터리 모듈
6 배터리 유닛
7 전자 유닛
8 냉각 장치
9 냉각 플레이트
10 관통 부재
12 밀봉 수단
14 밀봉 슬리브

Claims (10)

  1. 공통의 하우징(2) 내에 배치된 다수의 배터리 모듈(5) 및 냉각 장치(8)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1)으로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각각 서로 접속된 다수의 배터리 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장치(8)는 상기 하우징(2)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냉각 플레이트(9)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5)의 냉각을 위해 설계되고, 상기 냉각 장치(8)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부재(10)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 부재는 상기 하우징(2)을 통해 안내되고, 상기 하우징(2)의 외부에 접속부(11)를 포함하고, 이로써 냉각제가 상기 하우징(2)의 외부에서부터 상기 냉각 플레이트(9)로 안내되는,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냉각 플레이트(9)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부재(10)는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배터리 모듈(5)에 전자 유닛(7)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부재(10)는 밀봉 수단(12)에 의해 상기 하우징(2)을 통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단(12)은 밀봉 슬리브(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 플레이트(9)는 각각 하나의 배터리 모듈(5)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부재(10) 또는 상기 관통 부재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기 냉각 플레이트(9)는 상기 하우징(2)의 내부에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냉각 플레이트(9)는 베이스 섹션에서 상기 하우징(2)을 통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제 회로가 제공되고, 상기 냉각제 회로의 히트 싱크 및/또는 콜드 싱크는 상기 하우징(2) 외부에서 상기 관통 부재(10)의 접속부(11)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 및/또는 콜드 싱크는 튜브 퀵 연결에 의해, 직접 코일링된 튜브 연결에 의해 또는 직접 코일링된 파이프 연결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관통 부재(10)의 접속부(11)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차량의 구동 시스템에 연결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팩(1)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50002762A 2014-01-09 2015-01-08 외부 냉각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201500834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00174.9 2014-01-09
DE102014200174.9A DE102014200174A1 (de) 2014-01-09 2014-01-09 Batteriepack mit externen Kühlsystemschnittstell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438A true KR20150083438A (ko) 2015-07-17

Family

ID=5349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762A KR20150083438A (ko) 2014-01-09 2015-01-08 외부 냉각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50083438A (ko)
CN (1) CN104779419A (ko)
DE (1) DE10201420017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2256A (ko) * 2016-01-06 2017-07-14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력적인 결합 구조의 멀티 패널을 포함하는 전지팩
KR20170084606A (ko) * 2016-01-12 2017-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의 균일한 냉각을 위한 배터리 팩 및 이의 냉각 방법
WO2018012721A1 (ko) * 2016-07-13 2018-01-1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90089744A (ko) * 2018-01-23 2019-07-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하우징용 냉매 분배 인터페이스
WO2019146984A1 (ko) * 2018-01-23 2019-08-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하우징용 냉매 분배 인터페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632B1 (ko) * 2016-10-13 2021-10-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2308630B1 (ko) 2016-10-17 2021-10-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DE102017206185B4 (de) * 2017-04-11 2018-11-08 Audi Ag Batterie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FR3071964B1 (fr) * 2017-09-29 2021-12-17 Psa Automobiles Sa Batterie a modules de stockage et plaques d’echange internes connectees par le haut a l’exterieur
FR3071963B1 (fr) * 2017-09-29 2021-12-17 Psa Automobiles Sa Batterie a ensembles de module(s) de stockage associes a des plaques d’echange independantes et connectees par le bas a l’exterieur
DE102017223438A1 (de) * 2017-12-20 2019-06-27 Lion Smart Gmbh Batterievorrichtung für ein elektrisch angetriebenes Fahrzeug
HUE057461T2 (hu) * 2018-12-11 2022-05-28 Samsung Sdi Co Ltd Akkumulátor modul burkolat rendszer integrált hûtõ eszközökkel
US11881575B2 (en) 2018-12-11 2024-01-23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housing system with integrated cooling means
FR3095378B1 (fr) * 2019-04-23 2021-04-16 Psa Automobiles Sa Batterie rechargeable de véhicule, à boîtier pré-équipé d’interfaces
DE102019206408A1 (de) 2019-05-03 2020-11-05 Mahle International Gmbh Gehäuseteil
FR3098566B1 (fr) * 2019-07-12 2021-06-11 Hutchinson Dispositif de raccordement fluidique
CN114930613A (zh) * 2020-01-17 2022-08-19 微宏动力系统(湖州)有限公司 一种电池包和电动车辆
DE102020121882A1 (de) * 2020-08-20 2022-02-2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Hochvoltbatter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Kraftfahrzeug mit einer solchen Batterie
DE102020128174A1 (de) * 2020-10-27 2022-04-2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Hochvoltbatterie mit mehreren Batteriemodulen und Kühlkörpern
KR20220080621A (ko) * 2020-12-07 2022-06-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DE102022107329A1 (de) 2022-03-29 2023-10-05 Audi Aktiengesellschaft Batteriemodul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22124844A1 (de) * 2022-09-27 2024-03-28 Kautex Textron Gmbh & Co. Kg Batteriegehäusesystem zur aufnahme von zumindest zwei batteriezellenblöcken, traktionsbatterie mit batteriegehäusesystem und kraftfahrzeug mit traktionsbatteri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90328B1 (de) * 1998-12-16 2003-06-26 Paul Wutrh S A Kuehlplatte fuer einen Ofen zur Eisen- oder Stahlerzeugung
EP2068390A1 (en) 2007-11-28 2009-06-10 SANYO Electric Techno Create Co., Ltd. Battery system with battery cells arranged in array alignment
KR101156527B1 (ko) 2010-06-01 2012-06-21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팩
WO2012160573A2 (en) * 2011-05-11 2012-11-29 Tata Motors Limited Battery thermal management arrangement
JP2013012441A (ja) * 2011-06-30 2013-01-17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
CN202678476U (zh) * 2012-05-17 2013-01-16 奇鋐科技股份有限公司 应用于电池组的水冷板单元
CN202695577U (zh) * 2012-06-18 2013-01-23 北京戴尔维动力电池系统科技有限公司 高可靠性车载锂电池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2256A (ko) * 2016-01-06 2017-07-14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력적인 결합 구조의 멀티 패널을 포함하는 전지팩
KR20170084606A (ko) * 2016-01-12 2017-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의 균일한 냉각을 위한 배터리 팩 및 이의 냉각 방법
WO2018012721A1 (ko) * 2016-07-13 2018-01-1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80007436A (ko) * 2016-07-13 2018-01-2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US10964981B2 (en) 2016-07-13 2021-03-30 Sk Innovation Co., Ltd. Battery module
US11431041B2 (en) 2016-07-13 2022-08-30 Sk Innovation Co., Ltd. Battery module
KR20190089744A (ko) * 2018-01-23 2019-07-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하우징용 냉매 분배 인터페이스
WO2019146984A1 (ko) * 2018-01-23 2019-08-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하우징용 냉매 분배 인터페이스
CN111630707A (zh) * 2018-01-23 2020-09-04 三星Sdi株式会社 用于电池模块壳体的冷却剂分配接口
US11380949B2 (en) 2018-01-23 2022-07-05 Samsung Sdi Co., Ltd. Coolant distribution interface for a battery module housing
CN111630707B (zh) * 2018-01-23 2023-10-20 三星Sdi株式会社 用于电池模块壳体的冷却剂分配接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4200174A1 (de) 2015-07-23
CN104779419A (zh) 2015-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3438A (ko) 외부 냉각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배터리 팩
US10003112B1 (en) Battery backplane assembly with integrated bus bar connections and thermal management features
CN106935927B (zh) 电池模块和包括其的车辆
EP2955780B1 (en) Battery pack with enhanced safety against leakage of liquid-phase refrigerant
CN108028446B (zh) 电池系统及具有电池系统的电动车辆
US20130171491A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thermal energy to or from a battery cell
EP3188304A1 (en) Energy storage system
CN105470421B (zh) 牵引电池组件
US20140023906A1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20170077568A1 (en) Method for producing a plate-shaped heat exchanger, plate-shaped heat exchanger, and assembly comprising plate-shaped heat exchangers
KR101781827B1 (ko) 압력 센서가 구비된 전지팩을 포함하고 있는 차량
US10270140B2 (en)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y cells, and temperature-control apparatus, battery module, battery pack, battery and battery system
JP2015505142A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ハウジングとバッテリセルを備えるバッテリモジュール
US11721856B2 (en) Battery pack for a vehicle
CN109659643B (zh) 电池组电池模块、二次电池组以及机动车
US20200168967A1 (en) Battery module and use of such a battery module
US20180083328A1 (en) Heat exchanger
US11721849B2 (en) Method for diagnosis of a temperature control means of a battery pack
KR102389184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113165552B (zh) 具有用于冷却可拆卸电池模块的冷却系统的电动或混合动力机动车辆
JP7379720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れを含む自動車
EP4040577A1 (en)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same
CN116034505A (zh) 电池模块、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和车辆
TW201947807A (zh) 對載具電池預先控溫再快速充電的充電設備及系統
CN211045653U (zh) 一种锂离子电池组热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