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801A -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801A
KR20150082801A KR1020140002211A KR20140002211A KR20150082801A KR 20150082801 A KR20150082801 A KR 20150082801A KR 1020140002211 A KR1020140002211 A KR 1020140002211A KR 20140002211 A KR20140002211 A KR 20140002211A KR 20150082801 A KR20150082801 A KR 20150082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air filter
blower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2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56763B1 (en
Inventor
진수용
김종수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2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763B1/en
Publication of KR20150082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8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7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16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with provisions for replacing the filt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8Two or more filter elements not fluidly connected positioned in the same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blowing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having an air filter and an air filter insertion structure improved to fundamentally prevent deflection of the air filter installed inside a blower case. The blowing device of the air conditioner for the vehicle comprises: the blower case; an internal air inlet receiving an intake of internal air; an external air inlet receiving an intake of external air; a blower motor installed in a lower side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air inlets; and the air filter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blower motor in an air flow direction, filtering foreign materials. The air filter connected to one side of an air conditioning case and sending air to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includes a first air filter composed of a filter unit filtering foreign materials contained in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and a filter frame joined to a circumference of the filter unit supporting the filter unit; and a second filter formed to be in line with the first air filter composed of a filter unit filtering foreign materials contain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and a filter frame join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filter unit supporting the filter unit. Accordingly, as the air filter is composed of the two filters with the outer frame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reinforcing the deformation strength of the filter unit and preventing deflection of the air filter by arranging the air frames of the first and second air filter units on a rough central portion of the air filter; thereby enabling steady wind and solving a noise problem.

Description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wer for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강제 이송하기 위한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lowing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owing device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for selectively forcing forced air or outside air into an air conditioning case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기는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하는 장치로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장치와,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등이 구성되고,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s an apparatus for heating or cooling an interior by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room or circulating air in the room to heat or cool the room.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air blowing device for blowing the inside / outside air into the air conditioner case, The inside of the case is constituted by an evaporator for cooling action and a heater core for heating action, and the air cooled or heated by the evaporator or heater core is selectively blown into each part of the vehicle interior.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기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blowing device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공조기(1)는 송풍장치(20) 및 공조 유닛(40)으로 구성된다. 송풍장치(20)는 송풍기 케이스(22)와, 내,외기 전환도어(25) 및 블로어(26)를 구비한다. 송풍기 케이스(22)는 상부 측에 내,외기 유입구(24)(23)가 형성되고, 내,외기 전환도어(25)는 내,외기 유입구(24)(2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블로어 휠(26)는 내,외기 유입구(24)(23)를 통해 유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9) 측으로 강제 송풍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1 is composed of an air blowing device 20 and an air conditioning unit 40. Fig. The air blowing apparatus 20 includes a blower case 22, an inside / outside air switching door 25, and a blower 26. Inner and outer air inflow ports 24 and 23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lower case 22 and the inside and outside air switching door 25 is provid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inside and outside air inflow ports 24 and 23 . The blower wheel 26 forcibly blows the inner and outer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ner and outer air inflow ports 24 and 23 to the air conditioning casing 49 side.

공조 유닛(40)은 공조 케이스(49)와,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를 구비한다. 공조 케이스(49)는 송풍장치(2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입구 측에 공기유입구(43)가 형성되고, 출구 측에는 모드도어(46)에 의해 개폐되는 다수의 공기토출구(44)가 형성된다.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는 공조 케이스(49)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증발기(41)와 히터코어(42)의 사이에는 증발기(41)를 거친 냉풍과 히터코어(42)를 거친 온풍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여 토출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도어(45)가 설치된다.The air conditioning unit (40)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49), an evaporator (41), and a heater core (42). The air conditioning case 49 is provided with an air inflow port 43 at the inlet side so as to allow the air blown from the air blowing device 20 to flow therein and a plurality of air ejection openings 44 which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mode door 46 at the outlet side do. The evaporator 41 and the heater core 42 are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49 sequentially at regular intervals. A temperature control door 45 is provided between the evaporator 41 and the heater core 42 to regulate the mixing amount of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41 and 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42, do.

이러한 구성을 통해, 차량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내,외기전환도어(25)의 개폐 선택에 따라 블로어(26)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도입하고, 이 공기를 공조케이스(49)를 따라 증발기(41)를 통과하게 하거나 온도조절도어(45)의 조작에 의해 히터코어(42)를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냉각 또는 가열한 후, 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조 모드에 따른 다수의 모드도어(46)의 개폐 선택에 따라 각 분기덕트로 분기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난방 또는 환기하게 된다.The indoor air or outdoor air is selectively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41 along the air conditioning case 49 by the blower 26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utdoor air switching door 25, Or by selectively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42 by the operation of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45 to cool or heat the cooled or heated air to a plurality of mode doors 46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ing mode Depending on the selection, it branches to each branch duct and discharges it to each part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reby cooling, heating or ventilat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상기 송풍장치(20)는 상부 양측에 내기유입구(24)와 외기유입구(23)가 형성되고, 내기유입구(24)와 외기유입구(23)를 선회하면서 내기유입구(24)와 외기유입구(2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내외기 전환도어(25)를 갖는 인테이크 유닛을 구비한다. 송풍장치(20)는 송풍기 케이스(22)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기유입구(24) 또는 외기유입구(23)로부터 유입되는 축 방향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송풍하는 블로어 모터(27)와, 상기 블로어 모터(27)의 회전축(271)에 결합되는 블로어 휠(26)을 구비한다. 또한, 인테이크 유닛과 송풍기 케이스(22)가 마주보며 결합되는 부위인 송풍기 케이스(22)의 상부측에 인렛링이 형성되며, 공기유입구의 상단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에어 필터(28)가 설치된다.The air blowing device 20 is provided with an air inlet 24 and an outdoor air inlet 23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thereof and rotates the indoor air inlet 24 and the outdoor air inlet 23 while circulating the indoor air inlet 24 and the outdoor air inlet 23, And an inlet / outlet switching door (25)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 outlet switching door (25). The blowing device 20 includes a blower motor 27 installed inside the blower case 22 for blowing radially the axial air introduced from the inside air inflow opening 24 or the outside air inflow opening 23, And a blower wheel 26 coupled to the rotary shaft 271 of the rotary shaft 27. An inlet ring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lower case 22 where the intake unit and the blower case 22 are coupled to each other. An air filter 28 for purifying inflow air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air inlet Respectively.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의 에어 필터가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에어컨 작동 시 블로어 모터(27)가 고단으로 구동될 경우, 송풍기 케이스(22)의 측벽을 통하여 지지되고 있는 에어 필터(28)가 송풍되는 공기의 압력 및 유입되는 이물질의 하중 등에 의해 중앙부에서 하측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된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ir filter of a blower of a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is deformed. 3, when the blower motor 27 is driven at a high spe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the pressure of the air blown by the air filter 28 supported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blower case 22 and the load of the foreign matter A phenomenon of sagging from the central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occurs.

이로 인해, 블로어 모터(27)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이 일정하지 않게 되고, 외부 공기가 에어 필터(28)를 통과하지 않고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차량 실내가 쾌적하지 않게 되며, 변형된 에어 필터(28)가 블로어 모터(27)와 닿게 되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result, the air volume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blower motor 27 becomes uneven and the external air does not flow through the air filter 28, and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ecomes uncomfortab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lter 28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lower motor 27 to generate noise.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송풍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 필터의 처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에어 필터 및 개선된 에어 필터의 삽입 구조를 갖는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mproved air filter and an improved air filter insertion structure for preventing deflation of an air filter provided inside a blower case are provided, Lt; / RTI >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는 송풍기 케이스와, 내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내기 유입구와, 외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외기 유입구와, 상기 내기 유입구 및 외기 유입구의 하부에 구비되는 블로어 모터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블로어 모터의 상류 측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에어 필터를 포함하며, 공조케이스의 일측에 연통되게 결합되어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것으로서, 상기 에어 필터는 통과하는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둘레에 결합되어 필터부를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으로 구성된 제1 에어 필터와, 상기 제1 에어 필터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둘레에 결합되어 필터부를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으로 구성된 제2 에어 필터를 포함한다.A blowing device for an automo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lower case, an air inflow inlet for introducing the inside air, an outside air inflow opening for inflowing outside air, a blower motor provided below the inside air inflow opening and the outside air inflow opening, And an air filter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blower motor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The air filte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blow air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a filter frame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filter unit to support the filter unit. The filter unit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air filter and filters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And a second air filter coupled to the filter frame to support the filter unit, It includes.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는 에어 필터가 각각 외각 프레임이 구비된 2개의 필터로 구성됨으로써, 에어 필터의 대략 중앙부가 각 제1 에어 필터 및 제2 에어 필터의 필터 프레임으로 배치되어 필터부의 변형 강도를 보강하며 변형을 최소화하고, 에어 필터의 처짐을 방지함으로써 송풍 공기의 풍량을 일정하게 할 뿐 아니라 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 air filter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two filters each having an outer frame so that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air filter is arranged as a filter frame of each of the first air filter and the second air filter, The deformation strength is reinforced, the deformation is minimized, and the sagging of the air filter is prevented, so that the air volume of the blowing air is made constant and the noise problem can be solved.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기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의 에어 필터가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기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삽입 안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필터의 삽입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lower of a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ir filter of a blower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s deformed,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blowing device of an automo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blowing device of an automo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sertion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1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insertion process of the air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time-series manner.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blower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기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기(200)는 송풍장치 및 공조 유닛(240)으로 구성된다.4, the vehicle air condition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blowing device and an air conditioning unit 240.

송풍장치는 후술할 공조케이스(249)의 일측에 연통되게 결합되어 공조케이스(249)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것으로서, 송풍기 케이스(122)와, 내외기 전환도어(120) 및 블로어 모터(127) 및 블로어 휠(126)을 구비한다.The blower uni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49 to be described later and blows air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249. The blower unit includes a blower case 122 and an internal and external switching door 120 and a blower motor 127 And a blower wheel 126.

송풍기 케이스(122)는 상부 측에 내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내기 유입구(111) 및 외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외기 유입구(112)가 형성되고, 내외기 전환도어(120)는 내기 유입구(111)와 외기 유입구(1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블로어 모터(127) 및 블로어 휠(126)은 내,외기 유입구(111)(112)를 통해 유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249) 측으로 강제 송풍한다. 블로어 모터(127)의 상류 측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에어 필터(128)가 설치된다.The blower case 122 is formed with an air inflow inlet 111 for inflowing the indoor air to the upper side and an outdoor air inflow opening 112 for inflowing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nd outdoor switching doors 120 are connected to the indoor air inlet 111 and the outdoor air inlet 112, (Not shown). The blower motor 127 and the blower wheel 126 forcibly blows the inside and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side and outside air inflow ports 111 and 112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249 side. An air filter 128 for purifying inflow air is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blower motor 127.

공조 유닛(240)은 공조케이스(249)와, 증발기(241) 및 히터코어(242)를 구비한다. 공조케이스(249)는 송풍 장치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입구 측에 공기유입구(243)가 형성되고, 출구 측에는 다수의 모드도어(246)에 의해 개폐되는 다수의 공기토출구(244)가 형성된다. 증발기(241) 및 히터코어(242)는 공조케이스(249)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증발기(241)와 히터코어(242)의 사이에는 증발기(241)를 거친 냉풍과 히터코어(242)를 거친 온풍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여 토출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도어(245)가 설치된다.The air conditioning unit 240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249, an evaporator 241, and a heater core 242. The air conditioning case 249 is formed with an air inlet 243 at the inlet side to allow air to be blown from the blower and a plurality of air outlet openings 244 are formed at the outlet side by a plurality of mode doors 246 . The evaporator 241 and the heater core 242 are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249 sequentially at regular intervals. A temperature control door 245 is provided between the evaporator 241 and the heater core 242 to control the mixing amount of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41 and the heated air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242, do.

이러한 구성을 통해, 차량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내외기전환도어(120)의 개폐 선택에 따라 블로어 모터(127) 및 블로어 휠(126)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도입하고, 이 공기를 공조케이스(249)로 송풍하여 증발기(241)를 통과하게 하고 온도조절도어(245)의 조작에 의해 히터코어(242)를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냉각 또는 가열한 후, 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조 모드에 따른 다수의 모드도어(246)의 개폐 선택에 따라 각 분기덕트로 분기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난방 또는 환기하게 된다.The indoor air or the outdoor air is selectively introduced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249 by the blower motor 127 and the blower wheel 126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door / outdoor switching door 120,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241 and selectively passes through the heater core 242 by the operation of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245 to cool or heat the cooled or heated air into a plurality of The air is cooled, heated or ventilated by branching to each branch duct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selection of the mode door 246 and discharging the air into each part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ir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에어 필터(128)는 각각 외각 프레임이 구비된 2개의 필터로 구성된다. 즉, 상기 에어 필터(128)는 제1 에어 필터(1281)와, 제2 에어 필터(1282)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air filter 128 is composed of two filters each having an outer frame. That is, the air filter 128 is composed of a first air filter 1281 and a second air filter 1282.

제1 에어 필터(1281)는 통과하는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1283)와, 상기 필터부(1283)의 둘레에 결합되어 필터부(1283)를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1285)으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 프레임(1285)에는 측 방향으로 돌출된 손잡이부(1284)를 구비한다. 필터부(1283)는 부직포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하 방향으로 굴곡 형성된다. 필터 프레임(1285)는 합성 수지 등의 강질의 소재로 이루어져, 필터부(1283)를 고정 및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The first air filter 1281 is composed of a filter unit 1283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of air passing through and a filter frame 1285 coupled to the filter unit 1283 to support the filter unit 1283 . The filter frame 1285 has a grip portion 1284 protruding laterally. The filter portion 1283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nonwoven fabric and is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The filter frame 1285 is made of a steel material such as a synthetic resin, and functions to fix and support the filter portion 1283.

제2 에어 필터(1282)는 제1 에어 필터(1281)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둘레에 결합되어 필터부를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필터 프레임에 손잡이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에어 필터(1282)는 제1 에어 필터(1281)에 나란하게 구비된다.The second air filter 1282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air filter 1281. The second air filter 1282 is composed of a filter unit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of air and a filter frame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filter unit to support the filter unit. A handle is provided on the frame. The second air filter 1282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air filter 1281.

이와 같이, 에어 필터(128)는 각각 외각 프레임이 구비된 2개의 필터로 구성됨으로써, 에어 필터(128)의 대략 중앙부가 각 제1 에어 필터(1281) 및 제2 에어 필터(1282)의 필터 프레임으로 배치되어 필터부(1283)의 변형 강도를 보강하며 변형을 최소화하게 된다.As such, the air filter 128 is composed of two filters each having an outer frame so that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air filter 128 is connected to the filter frame (not shown) of each of the first air filter 1281 and the second air filter 1282, Thereby reinforcing the deformation strength of the filter portion 1283 and minimizing the deforma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삽입 안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ir blowing devic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ir blowing devic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sertion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송풍기 케이스(122)의 측면에는 에어 필터(128)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160)가 형성된다. 삽입구(160)는 송풍기 케이스(122)의 측면 중 대략 절반보다 미세하게 큰 정도로 개구된다. 상기 삽입구(160)로는 제1 에어 필터(1281) 및 제2 에어 필터(1282)가 순차로 삽입되므로, 제1 에어 필터(1281)와, 제2 에어 필터(1282)의 폭 방향 너비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Referring to FIGS. 6 to 8, an inlet 160 for inserting an air filter 128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blower case 122. The insertion port 160 is opened to a size finer than approximately half of the side surface of the blower case 122. The first air filter 1281 and the second air filter 1282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160 so that the width of the first air filter 1281 and the second air filter 1282 is slightly larger .

결국, 에어 필터(128)는 각각 외각 프레임이 구비된 2개의 필터로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에어 필터(128)의 폭 방향 너비를 1/2로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삽입구(160)의 개구 폭을 줄일 수 있어 개구부(160)를 커버하는 덮개의 폭을 줄일 수 있으며, 씰링성 측면에서 이점을 가질 수 있다.As a result, the air filter 128 is composed of two filters each having an outer frame, so that the width of the air filter 128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reduced to 1/2,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idth of the lid covering the opening 160 and to have an advantage in terms of sealing property.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풍장치는 삽입 안내부(140)가 구비된다. 삽입 안내부(140)는 송풍기 케이스(122)의 내벽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구(160) 측 송풍기 케이스(122)의 내벽에 배치된다. 상기 삽입 안내부(140)는 에어 필터(128)의 삽입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blo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guide part 140. [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40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fan case 122 and is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fan case 122 on the insertion port 160 side. The insertion guide 140 functions to guide insertion of the air filter 128.

상기 삽입 안내부(140)는 에어 필터(128)의 하부에 구비되며, 송풍기 케이스(122)의 내벽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로 인해, 에어 필터(128)의 삽입 시 에어 필터(128)의 하측을 받쳐주면서 삽입이 이루어지며, 에어 필터(128)의 상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삽입 안내부(140)는 에어 필터(128)의 삽입 방향으로 서로 이격 구비된 다수개의 돌기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돌기는 에어 필터(128)의 삽입을 안내하면서 에어 필터(128)의 하부를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삽입 안내부(140)의 이격된 공간만큼 소재를 절감 가능하여 원가 상승을 방지하며, 삽입 안내부(140)가 송풍기 케이스(122)의 내벽에서 리브 형태를 취하여 구조적으로 강도 보강 효과를 갖는다.The insertion guide 14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ir filter 128 and protrudes inward from the inner wall of the blower case 122. Therefore, when inserting the air filter 128, insertion is performed while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air filter 128, and up-down movement of the air filter 128 can be suppressed. The insertion guide unit 140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air filter 128.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filter 128 while guiding the insertion of the air filter 128.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terial as much as the spaced space of the insertion guide part 140, thereby preventing the cost rise, and the insertion guide part 140 takes a rib shape on the inner wall of the blower case 122 to structurally reinforce the strength Effect.

상기 삽입 안내부(140)의 상면에 에어 필터(128)의 삽입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경사면(141)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41)은 상부로 갈수록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에어 필터(128)가 삽입될 때 에어 필터(128)를 가이드하며 원활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An inclined surface 14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40 so that the sectional area becomes narrower toward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air filter 128. The inclined surface 141 has an inclined shape toward the upper side so that the air filter 128 is guided and inserted smoothly when the air filter 128 is inserted.

상기 송풍기 케이스(122)의 내벽에는 슬라이딩 안내부(150)가 더 구비된다. 슬라이딩 안내부(150)는 에어 필터(128)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 안내부(140)는 에어 필터(128)의 삽입 방향과 나란한 방향 일 측벽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 안내부(150)는 에어 필터(128)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개구부(160)의 반대 측벽에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딩 안내부(150)는 에어 필터(128)를 삽입 방향의 직교 방향으로 슬라이딩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A sliding guide 150 is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fan case 122. The sliding guide 150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air filter 128. That is, the insertion guide 140 is provided on one side wall of the air filter 128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air filter 128. The sliding guide 150 includes an opening 160 orthogonal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air filter 128, As shown in FIG. The sliding guide 150 functions to guide the air filter 128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insertion direction.

이로 인해, 제1 에어 필터(1281) 및 제2 에어 필터(1282) 중 하나가 먼저 삽입된 후 에어 필터를 삽입 방향의 직교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다른 하나의 에어 필터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이 경우, 슬라이딩 안내부(150)는 에어 필터가 송풍기 케이스(122) 내에서 원활히 삽입되도록 안내한다.Therefore, after one of the first air filter 1281 and the second air filter 1282 is inserted, the air filter is sli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insertion direction to provide a space for inserting the other air filter . In this case, the sliding guide portion 150 guides the air filter to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blower case 122.

상기 에어 필터(128)의 상부에는 상부 받침부(170)가 구비된다. 상부 받침부(170)는 삽입 안내부(14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삽입 안내부(140)와 상부 받침부(170)의 사이에 에어 필터(128)가 위치한다. 결국, 에어 필터(128)의 삽입 시 에어 필터(128)는 삽입 안내부(140)와 상부 받침부(170)에 의해 상측과 하측이 받쳐져 원활한 삽입이 이루어지며, 에어 필터(128)의 상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A top support part 170 is provided on the air filter 128. The upper support part 170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sertion guide part 140 and the air filter 128 is positioned between the insertion guide part 140 and the upper support part 170. As a result, when the air filter 128 is inserte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ir filter 128 are supported by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40 and the upper receiving portion 170 to be smoothly inserted. The flow can be suppressed.

상기 에어 필터(128)와 블로어 모터(127)의 사이에는 지지부(130)가 구비된다. 지지부(130)는 삼발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에어 필터(128)의 하면을 지지한다. 지지부(130)는 블로어 모터(127)의 반경 방향 중앙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며, 에어 필터(128)의 하면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에어 필터(128)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 support portion 130 is provided between the air filter 128 and the blower motor 127. The support portion 130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and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filter 128. The support portion 130 extends radially outward from the radial center of the blower motor 127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filter 128. Therefore, sagging of the air filter 128 can be prevented.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필터의 삽입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9 to 11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insertion process of the air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time-series manner.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제2 에어 필터(1282)를 송풍기 케이스(122)의 개구부(160)를 통해 삽입한다. 이후에,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에어 필터(1282)의 손잡이부를 잡고 일 측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후에,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에어 필터(1281)를 개구부(160)를 통해 삽입함으로써, 에어 필터(128)의 장착 과정이 완료된다. 에어 필터(128)의 분리는 상기 도 9 내지 도 11의 역순으로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9, first, the second air filter 1282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160 of the blower case 122. Thereafter, as shown in Fig. 10, the grip portion of the second air filter 1282 is held and slid to one side. Thereafter, as shown in Fig. 11, the first air filter 1281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160, so that the mounting process of the air filter 128 is completed. Separation of the air filter 128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FIGS.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air blowing apparatus for an automo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22 : 송풍기 케이스 120 : 내외기 전환도어
111 : 내기 유입구 112 : 외기 유입구
240 : 공조 유닛 249 : 공조케이스
241 : 증발기 242 : 히터코어
127 : 블로어 모터 126 : 블로어 휠
128 : 에어 필터 1281 : 제1 에어 필터
1282 : 제2 에어 필터 1283 : 필터부
1284 : 손잡이부 1285 : 필터 프레임
130 : 지지부 140 : 삽입 안내부
150 : 슬라이딩 안내부 160 : 개구부
170 : 상부 받침부
122: blower case 120: internal / external switching door
111: Inflow inlet 112: Outer inlet
240: air conditioning unit 249: air conditioning case
241: Evaporator 242: Heater core
127: Blower motor 126: Blower wheel
128: air filter 1281: first air filter
1282: second air filter 1283: filter portion
1284: Handle 1285: Filter frame
130: support part 140: insertion guide part
150: sliding guide part 160: opening
170:

Claims (7)

송풍기 케이스(122)와, 내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내기 유입구(111)와, 외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외기 유입구(112)와, 상기 내기 유입구(111) 및 외기 유입구(112)의 하부에 구비되는 블로어 모터(127)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블로어 모터(127)의 상류 측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에어 필터(128)를 포함하며, 공조케이스(249)의 일측에 연통되게 결합되어 상기 공조케이스(249)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필터(128)는:
통과하는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1283)와, 상기 필터부(1283)의 둘레에 결합되어 필터부(1283)를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1285)으로 구성된 제1 에어 필터(1281); 및
상기 제1 에어 필터(1281)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둘레에 결합되어 필터부를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으로 구성된 제2 에어 필터(12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A blower case 122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side air inlet 111 and an outside air inlet 112 for introducing outside air, an outside air inlet 112 for introducing outside air, And an air filter 128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blower motor 127 in the air flow direction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49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249) for blowing air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The air filter 128 includes:
A first air filter 1281 composed of a filter unit 1283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passing air and a filter frame 1285 coupled to the filter unit 1283 to support the filter unit 1283; And
And a second air filter (1282)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air filter (1281) and configured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and a filter frame coupled to the filter unit to support the filter unit And the air blowing devic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 케이스(122)의 측면에는 에어 필터(128)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160)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160) 측 송풍기 케이스(122)의 내벽에 상기 에어 필터(128)의 삽입을 안내하는 삽입 안내부(1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let 160 for inserting an air filter 128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blower case 122;
Wherein an insertion guide portion (140) for guiding the insertion of the air filter (128) is provided on an inner wall of a blower case (122) of the insertion port (16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안내부(140)는 에어 필터(128)의 하부에 구비되며, 송풍기 케이스(122)의 내벽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어 에어 필터(128)의 삽입 방향으로 서로 이격 구비된 다수개의 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4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ir filter 128 and protrudes inward from the inner wall of the blower case 122 to receiv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an air blowing device for blowing air to the vehicle air conditioner.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안내부(140)의 상면에 에어 필터(128)의 삽입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경사면(1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 inclined surface (141)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guide part (140), the inclined surface (141) becoming narrower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air filter (12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 케이스(122)의 내벽에 에어 필터(128)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에어 필터(128)를 삽입 방향의 직교 방향으로 슬라이딩 안내하는 슬라이딩 안내부(1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sliding guide portion 150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air filter 128 and guiding the air filter 128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insertion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blower case 122 And the air blowing devic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필터(128)의 상부에 에어 필터(128)를 상부에서 지지하는 상부 받침부(1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n air filter (128)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air filter (128) to support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filter (12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필터(128)와 블로어 모터(127)의 사이에 에어 필터(128)의 하면을 지지하는 삼발이 형상의 지지부(1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ir filter (128) and the blower motor (127) are provided with a tripod shaped support portion (130) for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filter (128).
KR1020140002211A 2014-01-08 2014-01-08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0567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211A KR102056763B1 (en) 2014-01-08 2014-01-08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211A KR102056763B1 (en) 2014-01-08 2014-01-08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801A true KR20150082801A (en) 2015-07-16
KR102056763B1 KR102056763B1 (en) 2019-12-18

Family

ID=5388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211A KR102056763B1 (en) 2014-01-08 2014-01-08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76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7885A (en) 2015-12-28 2017-07-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00093973A (en) * 2019-01-29 2020-08-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4744B2 (en) * 1991-11-15 1999-10-18 株式会社デンソー Vehicle air conditioner
JP3456047B2 (en) * 1995-02-10 2003-10-14 株式会社デンソー Vehicle air conditio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7885A (en) 2015-12-28 2017-07-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00093973A (en) * 2019-01-29 2020-08-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763B1 (en)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14542A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KR101659871B1 (en) Blower for vehicle
US10132332B2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080092840A (en) Blower for vehicles
KR20150082801A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820793B1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498721B1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150935B1 (en) Blower for vehicles
KR102047737B1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079957B1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024096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206887489U (en) Wall-mounted device for clothing processing
KR101941042B1 (en) Blower unit for vehicle
KR20140095626A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988343B1 (en) Blower unit for vehicle
KR20160065231A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70051807A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43631B1 (en) A duct type air conditioner
KR102330702B1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60111849A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566310B1 (en) Blower unit for vehicle
JP2015160459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365016B1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531562B1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147979B1 (e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s of center mounting 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