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042B1 - Blower uni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lower unit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042B1
KR101941042B1 KR1020120068450A KR20120068450A KR101941042B1 KR 101941042 B1 KR101941042 B1 KR 101941042B1 KR 1020120068450 A KR1020120068450 A KR 1020120068450A KR 20120068450 A KR20120068450 A KR 20120068450A KR 101941042 B1 KR101941042 B1 KR 101941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air inlet
air filt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4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1342A (en
Inventor
한중만
이준강
한영흠
김두훈
박상규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8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042B1/en
Publication of KR20140001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3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0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공기유입구 측으로의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에어 필터의 형상을 개선한 차량용 송풍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용 송풍장치는 내기 또는 외기를 유입시키는 인테이크 유닛과, 인테이크 유닛과 연통되기 위한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인테이크 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크롤 케이스와, 스크롤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공조케이스로 송풍하는 블로어 휠 및 블로어 모터를 포함하며, 공기유입구의 상류 측에 에어 필터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에어 필터는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량에 비례하여 투과 면적이 넓어지도록 다단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에어 필터에 투과 면적이 넓어지는 다단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투과 면적을 통해 공기의 유동량을 증대시켜 풍량을 증대시키고, 에어 필터의 중앙부를 사이드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하여 재료비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A vehicle air blowing apparatus improved in shape of an air filter so as to minimize air resistance to the air inlet side is disclosed. The air blowing device for a vehicle is provided with an intake unit for inflowing outside air or outside air, a scroll case formed with an air inlet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take unit and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take unit, and air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scroll case, A blower wheel for blowing air, and a blower motor. The air filter has an air filter on the upstream side of the air inlet. The air filter is formed in a multi-stage so as to widen the transmission area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air inlet. Accordingly, by forming a multi-stage structure in which the permeable area is widened in the air filter, the flow amount of the air is increased through the permeable area to increase the air volume,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air filter is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side, .

Description

차량용 송풍장치{BLOWER UNIT FOR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we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강제 이송하기 위한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n apparatus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n apparatus for a vehicle for selectively forcing forced air or outside air into an air conditioning case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하는 장치로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장치와,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등이 구성되고,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vehicle air conditioner is an apparatus for heating or cooling an interior by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room or circulating air in the room to heat or cool the room. The apparatus includes a blowing device for blowing the inside / outside air into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an evaporator for cooling action and a heater core for heating action are provided, and the air cooled or heated by the evaporator or the heater core is selectively blown into each part of the vehicle interior.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공조장치는 일측에 디프로스트 벤트(12)와 페이스 벤트(14)가 각각 형성된 공조케이스(10)와, 그 내부에 내기 또는 외기를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장치(20)와, 송풍장치(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증발기(30) 및 증발기(3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송풍장치(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코어(4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증발기(30)의 상류 측에는 케이스(52)에 고정된 필터(50)가 구비되며, 히터코어(40) 측으로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템프도어(미도시)를 포함한다.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1,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10 having a defrost vent 12 and a face vent 14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blowing device (not shown) for forcibly circulating the inside air or the outside air An evaporator 30 for cool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blowing device 20 and a heater core 40 for heat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blowing device 20 adjacent to the evaporator 30, . In this case, a filter 50 fixed to the case 52 is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evaporator 30 and includes a tempo door (not shown) for selectively flowing air to the heater core 40 side.

또한,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송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송풍장치(20)는 상부 양측에 내기유입구(23)와 외기유입구(24)가 형성되고, 내기유입구(23)와 외기유입구(24)를 선회하면서 내기유입구(23)와 외기유입구(2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내외기 전환도어(25)를 갖는 인테이크 유닛(21)과, 인테이크 유닛(21)의 하부에 결합 설치되는 스크롤 케이스(22)와, 스크롤 케이스(22)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기유입구(23) 또는 외기유입구(24)로부터 유입되는 축 방향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송풍하는 블로어 휠(26) 및 블로어 모터(27)로 구성된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onventional air blowing apparatus for a vehicle. 2, the air blowing apparatus 20 is provided with an inflow inlet 23 and an outside air inlet 24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is connected to the inflow inlet 23 and the inflow inlet 23 while rotating the inflow inlet 23 and the outside air inlet 24, An intake unit 21 having an inside / outside switching door 25 for selectively opening / closing the outside air inlet 24, a scroll case 22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take unit 21, And a blower wheel 26 and a blower motor 27 for blowing the axial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23 or the outside air inlet 24 in the radial direction.

이 경우, 인테이크 유닛(21)과 스크롤 케이스(22)가 마주보며 결합되는 부위인 스크롤 케이스(22)의 상부측에 공기유입구(29)가 형성되며, 공기유입구(29)의 상단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에어 필터(28)가 설치된다. 에어 필터(28)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여과성 재질의 소재를 다수의 주름 형태로 접어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공기유입구(29)는 블로어 휠(26)의 형상에 대응되게 원형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에어 필터(28)는 테두리가 인테이크 유닛(21) 내부에 지지되어 고정된 상태로 공기유입구(29)를 완전히 커버한다. 결국, 에어 필터(28)는 내,외기유입구(23,24)와 블로어 휠(26) 사이에 설치되어, 내기유입구(23) 또는 외기유입구(2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나 악취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this case, an air inlet 29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croll case 22,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intake unit 21 and the scroll case 22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upper end of the air inlet 29 is filled with air An air filter 28 for purifying air is installed. The air filter 28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folding the filter material into a plurality of wrinkles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air inlet 29 should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lower wheel 26, and the air filter 28 may have an air inlet 29 in a state in which the rim is supported and fixed inside the intake unit 21. [ Lt; / RTI > The air filter 28 is install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air inflow ports 23 and 24 and the blower wheel 26 so that the dust and odor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inflow port 23 or the air inflow port 24 And so on.

하지만, 종래의 차량용 송풍장치(20)는 에어 필터(28)가 구비됨에 따라, 에어 필터(28)가 저항체로 작용하여 공기 저항을 증가하고 결국 공기유입구(29) 측으로의 공기 풍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vehicular air blowing apparatus 20, since the air filter 28 is provided, the air filter 28 acts as a resistor to increase the air resistance and eventually reduce the air volume to the air inlet 29 .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공기유입구 측으로의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에어 필터의 형상을 개선한 차량용 송풍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blowing device for a vehicle in which the shape of the air filter is improved to minimize the air resistance to the air inlet sid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는 내기 또는 외기를 유입시키는 인테이크 유닛과, 인테이크 유닛과 연통되기 위한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인테이크 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크롤 케이스와, 스크롤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공조케이스로 송풍하는 블로어 휠 및 블로어 모터를 포함하며, 공기유입구의 상류 측에 에어 필터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에어 필터는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량에 비례하여 투과 면적이 넓어지도록 다단으로 형성된다.The air blow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take unit for introducing an inside air or an outside air, a scroll case formed at an air inlet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take unit an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take unit, And a blower motor for blowing the air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The air filter has an air filter on the upstream side of the air inlet. The air filter is formed in a multi-stage so as to widen the transmission area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air inlet .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는 에어 필터에 투과 면적이 넓어지는 다단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투과 면적을 통해 공기의 유동량을 증대시켜 풍량을 증대시키고, 에어 필터의 중앙부를 사이드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하여 재료비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The air blow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ulti-step structure in which the permeable area is widened in the air filter,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air flow through the permeable area to increase the air volume,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minimize the increas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송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송풍장치의 에어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에어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에어 필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intern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onventional ventilator for a vehicl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filter of a conventional air blowing device for a vehicl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vehicular air blo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ir filter of a vehicular air blo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filter of a vehicular air blo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송풍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air blowing device for a vehic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에어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에어 필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filter of a vehicular air blo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filter of a vehicular air blo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120)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증발기 및 히터코어가 설치되는 공조케이스의 일 측에 설치되어, 내,외기를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차량용 송풍장치(120)는 인테이크 유닛(121)과, 스크롤 케이스(122)와, 블로어 휠(126) 및 블로어 모터(127)를 포함한다.4 to 6, a vehicle air blowing apparatus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an air conditioner case in which an evaporator and a heater core are installed. Thereby selectively blowing the inside and outside air into the air conditioner case. That is, the vehicle air blowing apparatus 120 includes an intake unit 121, a scroll case 122, a blower wheel 126, and a blower motor 127.

인테이크 유닛(121)은 상부 양측에 내기유입구(123)와 외기유입구(124)가 형성되며, 내부에 내외기 전환도어(125)를 구비한다. 내외기 전환도어(125)는 내기유입구(123)와 외기유입구(124)를 선회하는 구동에 따라, 내기유입구(123)와 외기유입구(124)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내기 또는 외기를 인테이크 유닛(121) 내부로 선택적으로 유입시킨다.The intake unit 121 is formed with an inflow inlet 123 and an inflow inlet 124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and has an internal and external switching door 125 inside. The inside and outside switching doors 125 selectively open or close the inside air inlet opening 123 and the outside air inlet opening 124 by driving the inside air inlet 123 and the outside air inlet 124 to rotate, ). ≪ / RTI >

스크롤 케이스(122)는 인테이크 유닛(121)의 하부에 결합 설치된다. 아울러, 인테이크 유닛(121)과 스크롤 케이스(122)가 마주보며 결합되는 부위인 스크롤 케이스(122)의 상부에는 공기유입구(129)가 형성된다. 공기유입구(129)는 인테이크 유닛(121)과 연통되기 위한 것으로서, 내기유입구(123) 또는 외기유입구(124)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스크롤 케이스(122)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이 경우, 공기유입구(129)는 후술할 블로어 휠(126) 및 블로어 모터(127)에 대응되게 원형으로 이루어진다.The scroll case 122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take unit 121. An air inlet 129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croll case 122 where the intake unit 121 and the scroll case 122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air inlet 129 is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take unit 121 and introduce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123 or the outdoor air inlet 124 into the interior of the scroll case 122. In this case, the air inlet 129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blower wheel 126 and the blower motor 12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블로어 휠(126) 및 블로어 모터(127)는 스크롤 케이스(122)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유입구(129)로 유입되는 공기를 공조케이스로 강제 순환시켜 송풍한다. 이 경우, 블로어 휠(126) 및 블로어 모터(127)는 공기유입구(129)의 직 하부에 배치되어, 공기유입구(129)로 유입되는 축 방향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전환시켜 송풍을 수행한다.The blower wheel 126 and the blower motor 127 are provided inside the scroll case 122 to forcibly circulat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129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blow air. In this case, the blower wheel 126 and the blower motor 127 are disposed directly below the air inlet 129 to convert the axial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129 into a radial direction to blow air.

또한, 공기유입구(129)의 상류 측, 즉, 공기유입구(129)의 상단에는 에어 필터(128)가 구비된다. 에어 필터(128)는 공기유입구(129)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과성 재질의 소재를 다수의 주름 형태로 접어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에어 필터(128)는 테두리가 인테이크 유닛(121)의 내부에 지지되어 고정되며, 원 형상의 공기유입구(129)의 상부를 완전히 커버하고 있다. 결국, 에어 필터(128)는 내,외기유입구(123,124)와 블로어 휠(126) 사이에 설치되어, 내기유입구(123) 또는 외기유입구(12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나 악취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n air filter 128 is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air inlet 129, that is, on the upper end of the air inlet 129. The air filter 128 is for purifying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inlet 129 side. The air filter 128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folding the filter material into a plurality of wrinkles. In this case, the rim of the air filter 128 is supported and fixed inside the intake unit 121, and completely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circular air inlet 129. The air filter 128 is install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air inflow ports 123 and 124 and the blower wheel 126 so that dust or odor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inflow port 123 or the air inflow port 124 And remove it.

특히, 에어 필터(128)는 공기유입구(129)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량에 비례하여 투과 면적이 넓어지도록 다단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공기유입구(129)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분포량에 대한 연구에 기인한다. 즉, 공기유입구(129)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분포량을 살펴보면, 공기유입구(129)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 가장자리로 갈수록 유동되는 공기의 양이 증대된다. Particularly, the air filter 128 is formed in a multi-stage so that the permeable area is widen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air inlet 129. This configuration is due to the study of the distribution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inlet 129. That is,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air inlet 129 increases, and the amount of air flowing toward the radial edge from the center of the air inlet 129 increases.

결국, 에어 필터(128)에 투과 면적이 넓어지는 다단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투과 면적을 통해 공기의 유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에어 필터(128)를 통과하는 공기는 저항체인 에어 필터(128)에 의한 풍량의 감소를 피할 수 없지만, 공기의 유동량이 가장 많은 부위에 투과 면적을 넓힘으로써 공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by forming a multistage structure in which the permeable area of the air filter 128 is widened,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permeable area can be increased. As a resul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ilter 128 can not avoid a decrease in air volume due to the air filter 128, which is a resistor. However, will be.

즉, 에어 필터(128)는 면적 증대부(1282) 및 면적 감소부(1283)으로 구성된다.That is, the air filter 128 is composed of the area increasing portion 1282 and the area reducing portion 1283.

면적 증대부(1282)는 공기유입구(129)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량에 비례하여 투과 면적이 넓어지도록,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두께를 증가시켜 형성된다. 결국, 에어 필터(128)는 공기의 유동량이 많은 부위에 대응되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공기의 유동량이 많은 부위의 높이가 높게 이루어진다. The area increase portion 1282 is formed by increasing the thickness in the air flow direction so that the permeable area is widen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air inlet 129. As a result, the air filter 128 has different heights corresponding to regions where the flow amount of the air is large, and the height of the portion where the flow amount of the air is large is made high.

따라서, 필터 소재를 다수의 주름 형태로 접어 형성되는 에어 필터(128)의 제조에 있어서 단순히 일 부위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는 것으로 공기의 투과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에어 필터(128)의 제조를 위해 추가적인 장치나 공정을 요구하지 않으며 비교적 간단히 제조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상승을 일으키지 않는다.Therefore, in manufacturing the air filter 128 formed by folding the filter material in a plurality of wrinkle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ermeation area of the air by simply forming the height of one portion. This configuration does not require any additional apparatus or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air filter 128, and is relatively simple to manufacture,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not increased.

즉, 면적 증대부(1282)는 공기유입구(129)의 가장자리 측에 대응되도록, 에어 필터(128)의 양 사이드 측에 형성된다. 이 경우, 면적 증대부(1282)의 더 바깥쪽 양측 가장자리에는 지지부(1281)가 형성되며, 지지부(1281)는 에어 필터(128)를 인테이크 유닛(121)의 내부 케이스 적소에 지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면적 증대부(1282)의 양측은 공기유입구(129)의 직경에 대응되어, 면적 증대부(1282)의 양측 경계가 공기유입구(129)의 양측 경계에 일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area increasing portion 128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ir filter 128 so as to correspond to the edge side of the air inlet 129. In this case, a supporting portion 1281 is formed on both outer side edges of the area increasing portion 1282, and the supporting portion 1281 perform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air filter 128 in the proper position of the inner case of the intake unit 121 .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h sides of the area increasing portion 1282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air inlet 129 and that both side edges of the area increasing portion 1282 coincide with both side edges of the air inlet 129.

이러한 구성의 이점을 살펴보면,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이외에도, 공기 유동량과 비례하게 에어 필터(128)의 투과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공기유입구(129)의 반경 방향 가장자리로 갈수록 공기 유동량이 증대하므로 에어 필터(128)의 높이를 중앙부에서 반경 방향 가장자리로 갈수록 커지도록 다단 형성하는 구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고려해보면, 면적 증대부가 에어 필터(128)의 가장자리에서 높아지는 돌출된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터 소재를 주름 형태로 접어 형성되는 에어 필터(128)를 고려하면 제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permeation area of the air filter 128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the air flow, the amount of the air flow increases toward the radial edge of the air inlet 129 in addition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in which the heights of the protrusions 128 are formed so as to become larger toward the radial edge from the center portion can be considered. Considering such a struc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increase portion is formed in a protruded ring shape rising from the edge of the air filter 128. However, considering the air filter 128 formed by folding the filter material in a wrinkle shape, hav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같이, 사각 형태의 에어 필터(128) 중 양측 가장자리에 띠 형태의 면적 증대부(1282)를 형성함으로써, 면적 증대부(1282)를 필터 소재를 주름 형태로 더 길게 접어 형성이 가능하여 제조의 어려움 없이 용이하게 공기의 투과 면적을 넓힐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by forming the band-shaped area increase portions 1282 at both side edges of the rectangular air filter 128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increase portion 1282 can be formed by folding the filter material into a wrinkle shape longer So that the permeable area of air can be easily widened without difficulty in manufacturing.

아울러, 면적 감소부(1283)는 에어 필터(128)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면적 증대부(128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로 형성된다. 즉, 에어 필터(128)의 중앙부는 가장자리보다 낮은 높이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129)의 중앙부에서 공기 유동량은 사이드보다 작으므로, 상대적으로 공기 유동량이 작은 에어 필터(128)의 중앙부의 투과 면적을 작게하여도 공기의 유동량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면적 감소부(1283)가 차지하는 공간만큼 필터 소재의 양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재료비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area reducing portion 1283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air filter 128, and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area increasing portion 1282. That is, the central portion of the air filter 128 has a lower height than the edg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ir flow amount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air inlet 129 is smaller than the side, even if the transmission area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air filter 128 having a relatively small air flow amount is made small, . Therefore, since the amount of the filter material can be reduced by the space occupied by the area reducing portion 1283, the increase in the material cost can be minimized.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vehicle air blow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20 : 송풍장치 121 : 인테이크 유닛
122 : 스크롤 케이스 123 : 내기유입구
124 : 외기유입구 125 : 내외기 전환도어
126 : 블로어 휠 127 : 블로어 모터
128 : 에어 필터 129 : 공기유입구
1282 : 면적 증대부 1283 : 면적 감소부
120: blower 121: intake unit
122: scroll case 123: inflow inlet
124: Outer air inlet 125: Inside / outside switching door
126: Blower wheel 127: Blower motor
128: air filter 129: air inlet
1282: area increasing part 1283: area reducing part

Claims (4)

내기 또는 외기를 유입시키는 인테이크 유닛(121)과, 상기 인테이크 유닛(121)과 연통되기 위한 공기유입구(129)가 형성되어 상기 인테이크 유닛(121)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크롤 케이스(122)와, 상기 스크롤 케이스(122)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공조케이스로 송풍하는 블로어 휠(126) 및 블로어 모터(127)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유입구(129)의 상류 측에 에어 필터(128)를 구비하는 차량용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필터(128)는, 상기 공기유입구(129)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량에 비례하여 투과 면적이 넓어지도록 다단으로 형성되고, 유입되는 공기량에 비례하여 투과 면적이 넓어지도록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두께를 증가시켜 형성되는 면적 증대부(1282)를 구비하며,
상기 면적 증대부(1282)는, 상기 공기유입구(129)의 가장자리 측에 대응되도록 상기 에어 필터(128)의 양 사이드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A scroll case 122 formed with an air inlet 129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take unit 121 a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take unit 121, And a blower motor 127 installed inside the scroll case 122 for blowing air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a blower motor 127. An air filter 128 is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air inlet 129 A vehicular air blowing apparatus comprising:
The air filter 128 is formed in a multi-stage so as to have a wider transmission area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air inlet 129. The air filter 128 has a thickness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so that the transmission area is widen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air flowing in. And an area increase portion 1282 formed by increasing the height
Wherein the area increase portion (128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ir filter (128) so as to correspond to the edge side of the air inlet (129).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필터(128)의 중앙부에는 상기 면적 증대부(128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로 형성되는 면적 감소부(128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filter (128) has an area reducing portion (1283)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with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area increasing portion (1282).
KR1020120068450A 2012-06-26 2012-06-26 Blower unit for vehicle KR1019410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450A KR101941042B1 (en) 2012-06-26 2012-06-26 Blower uni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450A KR101941042B1 (en) 2012-06-26 2012-06-26 Blower unit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342A KR20140001342A (en) 2014-01-07
KR101941042B1 true KR101941042B1 (en) 2019-01-23

Family

ID=50138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450A KR101941042B1 (en) 2012-06-26 2012-06-26 Blower unit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04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2332B2 (en) * 2015-03-16 2018-11-20 Hanon Systems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40062087A (en) 2022-11-01 2024-05-0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luorine doped cobalt-free positive-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420B1 (en) 2001-09-05 2007-09-17 한라공조주식회사 A filter for air conditioner apparatus
KR101047517B1 (en) 2009-10-27 2011-07-07 대기산업 주식회사 Automotive Air Filt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5641A (en) * 2009-10-27 2011-05-04 대기산업 주식회사 Air filter unit for vehic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420B1 (en) 2001-09-05 2007-09-17 한라공조주식회사 A filter for air conditioner apparatus
KR101047517B1 (en) 2009-10-27 2011-07-07 대기산업 주식회사 Automotive Air Filt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342A (en) 201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360030U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JP2015067260A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JP2019077238A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JP2019077237A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CN104101068A (en) Blade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1222512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WO2016088361A1 (en) Vehicular air-conditioning unit
KR101941042B1 (en) Blower unit for vehicle
JP6380222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820793B1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498721B1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5246151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2056763B1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047737B1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105984303A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70072987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40085899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988343B1 (en) Blower unit for vehicle
JP6175075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door holding structure and vehicle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same
KR101566310B1 (en) Blower unit for vehicle
WO2019188366A1 (en) Blowing device for vehicle air conditioning
JP2014034231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65978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20050112274A (en) Air conditioner for a car
JP2006159924A (en)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