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014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014A
KR20150082014A KR1020140002086A KR20140002086A KR20150082014A KR 20150082014 A KR20150082014 A KR 20150082014A KR 1020140002086 A KR1020140002086 A KR 1020140002086A KR 20140002086 A KR20140002086 A KR 20140002086A KR 20150082014 A KR20150082014 A KR 20150082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emitting region
regio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9150B1 (ko
Inventor
강석환
김재경
김민우
김일남
박성국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2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150B1/ko
Priority to US14/288,617 priority patent/US9219251B2/en
Publication of KR20150082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4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omprising more than three subpixels, e.g. red-green-blue-white [RGBW]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7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31Two-side emission, e.g. transparent OLEDs [T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31Nanoparticles used in non-emissive layers, e.g. in packaging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발광 영역 및 상기 제1 발광 영역과 중첩되지 않고 상기 발광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외광이 투과되는 투과 영역으로 구획된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제1 발광 영역에 배치되며,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상에 배치되며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 상기 중간층 상에 배치된 대향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및 상기 투과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중간층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산란시키는 광 산란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정공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 그리고 이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구비하며, 정공 주입 전극에서 주입되는 정공과 전자 주입 전극에서 주입되는 전자가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생성된 엑시톤(exciton)이 여기 상태(excited state)로부터 기저 상태(ground state)로 떨어지면서 빛을 발생시키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이다.
자발광형 표시 장치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별도의 광원이 불필요하므로 저전압으로 구동이 가능하고 경량의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시야각, 콘트라스트(contrast), 응답 속도 등의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MP3 플레이어나 휴대폰 등과 같은 개인용 휴대기기에서 텔레비전(TV)에 이르기까지 응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발광 영역 및 상기 제1 발광 영역과 중첩되지 않고 상기 발광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외광이 투과되는 투과 영역으로 구획된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제1 발광 영역에 배치되며,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상에 배치되며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 상기 중간층 상에 배치된 대향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및 상기 투과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중간층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산란시키는 광 산란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투과 영역에 배치되며, 광을 투과하는 화소 정의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과 영역은 상기 대향 전극 및 상기 화소 정의막이 배치되지 않은 투과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산란층은 상기 투과창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산란층은, 1 μ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산란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산란층의 너비는 상기 광 산란층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산란층은, 상기 광 산란층의 측면으로 입사된 광은 산란시키며 상기 광 산란층의 상면 또는 하면 방향으로 입사된 광은 투과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산란층은, 굴절률이 서로 다른 적어도 2개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산란층은, 상기 광 산란층의 상면 및 상기 광 산란층의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배치된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산란층은, 상기 광 산란층의 상면 및 상기 광 산란층의 하면에 배치된 요철을 포함하며, 상기 광 산란층의 상면에 배치된 요철의 주기와 상기 광 산란층의 하면에 배치된 요철의 주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주기는 1 μm 이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은 반사 전극이며, 상기 대향 전극은 투명 또는 반투명 전극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영역과 중첩되지 않고 상기 제1 발광 영역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2 발광 영역 및 상기 제1 발광 영역 및 상기 제2 발광 영역과 중첩되지 않고 상기 제2 발광 영역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3 발광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발광 영역, 상기 제2 발광 영역 및 상기 제3 발광 영역은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방출하며, 상기 투과창은 상기 제2 발광 영역 및 상기 제3 발광 영역에 인접한 영역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과창의 상기 제1 발광 영역, 상기 제2 발광 영역 및 상기 제3 발광 영역에 인접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 반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 및 상기 대향 전극은 반사 전극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영역과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2 발광 영역, 제3 발광 영역 및 제4 발광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투과창은, 상기 제1 발광 영역, 상기 제2 발광 영역, 상기 제3 발광 영역 및 상기 제4 발광 영역과 각각 인접하도록 배치된 4개의 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과창은 정사각 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영역 및 상기 제2 발광 영역은 각각 적색광 및 녹색광을 방출하며, 상기 제3 발광 영역 및 상기 제4 발광 영역은 각각 동일한 파장을 갖는 청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영역 및 상기 제2 발광 영역은 각각 적색광 및 녹색광을 방출하며, 상기 제3 발광 영역 및 상기 제4 발광 영역은 각각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청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픽셀 회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픽셀 회로부는 상기 발광 영역과 평면상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에서 방출되어 측면으로 소멸되던 광을 이용하여, 외광을 투과시키는 투과 영역에서도 광을 방출시킴으로써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경 이미지에 대한 표시 장치로부터 구현되는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투과 영역에 배치된 광 산란층에 의해 광을 산란시켜 외부로 출사시킴으로써, 측면 시야각에서의 색 편이 현상을 개선하며 화소의 증가 없이 양면 발광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VI-V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광 추출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IX-IX'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제1 발광 영역(P1) 및 제1 발광 영역(P1)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외광이 투과되는 투과 영역(TA)으로 구획된 기판(110)을 포함하며, 기판(110) 상의 제1 발광 영역(P1)에는 화소 전극(131),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132) 및 대향 전극(133)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OLED)가 배치되고, 투과 영역(TA)에는 중간층(132)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산란시키는 광 산란층(150)이 배치된다.
투과 영역(TA)에는 화소 전극(131)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화소 정의막(140)이 배치되며, 투과 영역(TA)은 대향 전극(133) 및 화소 정의막(140)이 배치되지 않은 투과창(TW)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창(TW)은 다른 투과 영역(TA)보다 더 큰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발광 영역(P1)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2 발광 영역(P2)이 배치되며, 제2 발광 영역(P2)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3 발광 영역(P3)이 배치될 수 있으며, 투과창(TW)은 제1 발광 영역(P1)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제2 발광 영역(P2) 및 제3 발광 영역(P3)에 인접한 영역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발광 영역(P1), 제2 발광 영역(P2) 및 제3 발광 영역(P3)은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전극(131)은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층은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및 크롬(Cr)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사층 상에는 인듐틴옥사이드(ITO: indium tin oxide), 인듐징크옥사이드(IZO: indium zinc oxide), 징크옥사이드(ZnO: zinc oxide), 인듐옥사이드(In2O3: indium oxide), 인듐갈륨옥사이드(IGO: indium galium oxide) 및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ZO: aluminium zinc oxide)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 전극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소 전극(131)은 ITO/Ag/ITO의 3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은(Ag) 층의 두께를 1000Å 이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반사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중간층(132)은 유기 발광층(emission layer)을 구비하고, 그 외에 정공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중간층(132)은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고, 기타 다양한 기능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의 제1 발광 영역(P1), 제2 발광 영역(P2) 및 제3 발광 영역(P3)에 포함된 중간층(132)은 각각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써 제1 발광 영역(P1), 제2 발광 영역(P2) 및 제3 발광 영역(P3)에 포함된 중간층(132)은 모두 백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P1, P2, P3)이 모두 백색광을 방출하는 경우,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백색광을 소정의 색상의 광으로 변환하는 색변환층(color converting layer)이나, 컬러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백색의 광을 방출하는 중간층(132)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적어도 적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물질, 녹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물질 및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물질의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백색의 광을 방출하기 위한 또 다른 예로서, 중간층(132)은 적어도 적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물질, 녹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물질, 녹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물질이 혼합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색, 녹색, 적색은 하나의 예시로서,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백색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면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조합 외에 기타 다양한 색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대향 전극(133)은 투명 또는 반투명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은(Ag),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리튬(Li), 칼슘(Ca), 구리(Cu), LiF/Ca, LiF/Al, MgAg 및 CaAg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 내지 수십 nm의 두께를 갖는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층(132)에 포함된 유기 발광층에서 방출된 광의 일부는 직접 또는 화소 전극(131)에 의해 반사되어 대향 전극(133) 방향으로 방출되며, 방출된 광의 다른 일부는 중간층(132)의 측면 방향으로 진행(propagation)할 수 있다.
중간층(132)의 측면 방향으로 진행한 광은, 광을 투과하는 물질로 형성된 화소 정의막(140)을 통과하여, 광 산란층(150)에 입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광 산란층(150)은, 투명 매질(151)에 분산되어 있는 1 μ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산란 입자(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란 입자(152)는 입사되는 광에 대하여 미 산란(Mie scattering)을 일으킬 수 있도록, 입사된 광의 파장과 거의 같은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산란 입자(152)의 농도는 매우 낮으며, 광 산란층(150)의 너비는 광 산란층(150)의 높이(h)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광 산란층(150)에 입사된 광은 거의 산란되지 않고 광 산란층(150)을 통과하여 입사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투과될 수 있다.
그러나, 광 산란층(150)의 측면으로 입사된 광은, 광 산란층(150)의 너비 방향을 따라 긴 거리를 진행하면서 산란 입자(152)에 의해 산란되어 광 산란층(150)의 상면 및/또는 하면 방향으로 진행한 후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140)은 중간층(132)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효율적으로 광 산란층(150)까지 전달하기 위하여, 중간층(132)에 포함된 유기 발광층의 굴절률과 상기 광 산란층(150)에 포함된 투명 매질(151)의 굴절률 사이의 값을 가진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하진 않았지만 화소 정의막(140)은 중간층(132)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광 산란층(150)에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광 도파로(light wavegui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중간층(132)의 측면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을 투과 영역(TA)에 배치된 광 산란층(150)에 의해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발광 영역(P1, P2, P3) 뿐만 아니라 투과 영역(TA)에서도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종래에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고 손실되었던 측면광을 이용함으로써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투과 영역(TA)에서도 화상을 구현함으로써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를 투과하는 외광, 즉 배경에 대한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투과 영역(TA)에 배치된 광 산란층(150)에 의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양면으로 광이 출사되므로, 화소의 증가 없이 양면 발광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광 산란층(150)에 입사된 광은 산란되면서 다양한 각도로 외부로 출사되므로, 시야각에 따라 방출되는 광의 파장이 달라지는 색 편이(color shift)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유기 발광 소자(OLE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유기 발광 소자(OLED)를 구동하는 픽셀 회로부(PC1, PC2, PC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픽셀 회로부(PC1, PC2, PC3)은 발광 영역(P1, P2, P3)과 평면상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픽셀 회로부(PC1, PC2, PC3)는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셀 회로부(PC1, PC2, PC3)를 발광 영역(P1, P2, P3)과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픽셀 회로부(PC1, PC2, PC3)를 배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고해상도 구현이 용이하며, 투과 영역(TA)에 대응되는 영역에 픽셀 회로부(PC1, PC2, PC3)가 배치되지 않아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투명도를 높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된 기판(110) 상에는 제1 절연층(121)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절연층(121) 상에는 활성층(122), 게이트 전극(124), 소스 전극(126a) 및 드레인 전극(126b)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배치될 수 있다.
활성층(122)과 게이트 전극(124) 사이에는 제2 절연층(123)이 배치되고, 게이트 전극(124)과 소스 전극(126a) 및 드레인 전극(126b) 사이에는 제3 절연층(125)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층(125) 상에는 소스 전극(126a) 및 드레인 전극(126b)을 덮는 제4 절연층(127)이 배치될 수 있다. 제4 절연층(127)은 평탄화 기능을 수행하며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절연층(127) 상에는 상술한 유기 발광 소자(OLED), 화소 정의막(140) 및 광 산란층(1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110), 제1 절연층(121), 제2 절연층(123), 제3 절연층(125) 및 제4 절연층(127)은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투명도를 높이며, 광 산란층(150)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는 제1 발광 영역(P1) 및 제1 발광 영역(P1)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외광이 투과되는 투과 영역(TA)으로 구획된 기판(210)이 배치되며, 기판(210) 상의 제1 발광 영역(P1)에는 화소 전극(231),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232) 및 대향 전극(233)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OLED)가 배치되고, 투과 영역(TA)에는 중간층(232)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산란시키는 광 산란층(250)이 배치된다.
투과 영역(TA)에는 화소 전극(231)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화소 정의막(240)이 배치되며, 투과 영역(TA)은 대향 전극(233) 및 화소 정의막(240)이 배치되지 않은 투과창(TW)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창(TW)은 다른 투과 영역(TA)보다 더 큰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화소 정의막(240)은 투명한 물질로 형성되며, 중간층(232)으로부터 광 산란층(250)에 광을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광 산란층(250)은, 광 산란층(250)의 측면으로 입사된 광은 산란시키고 광 산란층(250)의 상면 또는 하면 방향으로 입사된 광은 투과시킬 수 있으며, 굴절률이 서로 다른 적어도 2개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광 산란층(250)이 6개의 층(251, 252, 253, 254, 255, 256)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며, 상기 6개의 층(251, 252, 253, 254, 255, 256)은 교대로 배치된 고굴절층(252, 254, 256)과 저굴절층(251, 253, 255)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고굴절층(252, 254, 256)과 각각의 저굴절층(251, 253, 255)은 동일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고굴절층(252, 254, 256)으로부터 저굴절층(251, 253, 255)으로 광이 입사할 때, 전반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즉 입사각이 특정값 이상인 경우 전반사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의 외부로부터 광 산란층(250)에 입사되는 광은, 입사각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아 고굴절층(252, 254, 256)과 저굴절층(251, 253, 255)의 경계면에서 반사되지 않고 그대로 투과되며, 중간층(232)으로부터 광 산란층(250)에 입사되는 광은 입사각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광 산란층(250)의 너비 방향을 따라 진행하면서 고굴절층(252, 254, 256)과 저굴절층(251, 253, 255)의 경계면에서 일부의 광은 반사되고 다른 일부의 광은 투과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의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중간층(232)의 측면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을 투과 영역(TA)에 배치된 광 산란층(250)에 의해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참조 부호는 제1 절연층(221), 제2 절연층(223), 제3 절연층(225), 제4 절연층(227),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활성층(222), 게이트 전극(224), 소스 전극(226a) 및 드레인 전극(226b)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300)는 제1 발광 영역(P1) 및 제1 발광 영역(P1)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외광이 투과되는 투과 영역(TA)으로 구획된 기판(310)이 배치되며, 기판(310) 상의 제1 발광 영역(P1)에는 화소 전극(331),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332) 및 대향 전극(333)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OLED)가 배치되고, 투과 영역(TA)에는 중간층(332)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산란시키는 광 산란층(350)이 배치된다.
투과 영역(TA)에는 화소 전극(331)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화소 정의막(340)이 배치되며, 투과 영역(TA)은 대향 전극(333) 및 화소 정의막(340)이 배치되지 않은 투과창(TW)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창(TW)은 다른 투과 영역(TA)보다 더 큰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화소 정의막(340)은 투명한 물질로 형성되며, 중간층(332)으로부터 광 산란층(350)에 광을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광 산란층(350)은, 광 산란층(350)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된 요철(351, 3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철(351, 352)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300)의 외부로부터 광 산란층(350)에 입사된 광은 투과시키고, 중간층(332)으로부터 입사된 광은 산란시킬 수 있도록 크기, 주기 및 형태 등을 조정할 수 있으며, 요철(351, 352)의 주기는 1 μm 이하일 수 있다.
요철(351, 352)에 의한 산란의 정도는, 요철(351, 352)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물질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광 산란층(350)의 상면에 배치된 요철(351)의 주기와 광 산란층(350)의 하면에 배치된 요철(352)의 주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4의 요철(351, 352)의 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요철(351, 352)은 사각 형태뿐 아니라 렌즈 형태, 삼각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요철(351, 352)은 상면 또는 하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300)의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중간층(332)의 측면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을 투과 영역(TA)에 배치된 광 산란층(350)에 의해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참조 부호는 제1 절연층(321), 제2 절연층(323), 제3 절연층(325), 제4 절연층(327),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활성층(322), 게이트 전극(324), 소스 전극(326a) 및 드레인 전극(326b)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는 제1 발광 영역(P1), 제1 발광 영역(P1)과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2 발광 영역(P2), 제3 발광 영역(P3) 및 제4 발광 영역(P4)을 포함하며, 발광 영역들(P1, P2, P3, P4)의 사이에는 투과 영역(TA)이 배치될 수 있다.
투과 영역(TA)은 다른 투과 영역(TA)보다 더 큰 투과도를 갖는 투과창(TW)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창(TW)은 제1 발광 영역(P1), 제2 발광 영역(P2), 제3 발광 영역(P3) 및 제4 발광 영역(P4)과 각각 인접하도록 배치된 4개의 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 영역(P1), 제2 발광 영역(P2), 제3 발광 영역(P3) 및 제4 발광 영역(P4)은 방출된 광의 조합에 의해 백색을 구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색상의 광을 각각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발광 영역(P1), 제2 발광 영역(P2), 제3 발광 영역(P3) 및 제4 발광 영역(P4)은 각각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및 청색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제3 발광 영역(P3)과 제4 발광 영역(P4)은 파장이 동일한 청색광을 방출하거나,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청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3 발광 영역(P3)과 제4 발광 영역(P4)이 파장이 동일한 청색광을 방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청색 발광 영역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 제3 발광 영역(P3)은 화상을 구현하는 데 적합한 파장 영역을 갖는 청색의 광을 방출하도록 하고, 제4 발광 영역(P4)은 제3 발광 영역(P3)과 다른 파장을 갖으며 생체 리듬 회복 등의 기능을 하는 청색의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에 생체 시계 등의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들(P1, P2, P3, P4)에서 방출된 광은 모두 투과창(TW) 영역으로 입사될 수 있으며, 투과창(TW)에 배치된 광 산란층(도 6, 450)에 의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의 양면으로 출사될 수 있다. 즉, 발광 영역들(P1, P2, P3, P4)에서 방출된 광이 서로 섞여, 하나의 개구를 통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의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상기 투과창(TW)은 4변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사각 형태일 수 있다.
광이 투과창(TW)을 통과할 때 투과창(TW)의 각 변에서 회절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때, 각 변에서 회절된 광의 중첩에 의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에서 구현되는 화상이 왜곡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투과창(TW)의 각 변의 길이를 동일하게 구성하는 경우 각 변에서 회절된 광은 동일한 패턴을 가질 수 있으므로, 회절된 광의 중첩에 의해 화상이 왜곡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VI-V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광 추출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발광 영역(P1), 제3 발광 영역(P3) 및 제1 발광 영역(P1)과 제3 발광 영역(P3)의 사이에 배치된 투과 영역(TA)으로 구획된 기판(410)이 배치되며, 기판(410) 상의 제1 발광 영역(P1) 및 제3 발광 영역(P3)에는 각각 화소 전극(431, 461),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432, 462) 및 대향 전극(433, 463)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OLED)가 배치되고, 투과 영역(TA)에는 중간층(432, 462)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산란시키는 광 산란층(450)이 배치될 수 있다.
투과 영역(TA)에는 화소 전극(431, 461)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화소 정의막(440, 470)이 배치되며, 투과 영역(TA)은 대향 전극(433, 463) 및 화소 정의막(440, 470)이 배치되지 않은 투과창(TW)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창(TW)은 다른 투과 영역(TA)보다 더 큰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화소 정의막(440, 470)은 투명한 물질로 형성되며, 중간층(432, 462)으로부터 광 산란층(450)에 광을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기판(410)과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사이에는, 픽셀 구동부(미도시) 및 절연층(427)이 배치될 수 있으며, 도시하진 않았지만, 기판(410) 상의 화소 전극(431, 461)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블랙 매트릭스(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전극(431, 461)은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층은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및 크롬(Cr)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사층 상에는 인듐틴옥사이드(ITO: indium tin oxide), 인듐징크옥사이드(IZO: indium zinc oxide), 징크옥사이드(ZnO: zinc oxide), 인듐옥사이드(In2O3: indium oxide), 인듐갈륨옥사이드(IGO: indium galium oxide) 및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ZO: aluminium zinc oxide)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 전극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432, 462)은 유기 발광층(emission layer)을 구비하고, 그 외에 정공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중간층(432, 462)은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고, 기타 다양한 기능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은,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대향 전극(433, 463)은 반사층을 포함하며, 반사층은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리튬(Li), 칼슘(Ca), 구리(Cu), LiF/Ca, LiF/Al, MgAg 및 CaAg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는 화소 전극(431, 461) 및 대향 전극(433, 463)이 모두 반사층을 포함하므로, 화소 전극(431, 461) 또는 대향 전극(433, 463) 방향으로는 광이 출사될 수 없다. 즉, 화소 전극(431, 461) 및 대향 전극(433, 463)에 의해 광 도파로(optical waveguide)가 형성되며, 중간층(432, 462)에서 방출된 광은 측면 방향, 즉 투과 영역(TA)으로 전파(propagation)될 수 있다.
중간층(432, 462)에서 방출된 광은 측면으로 진행되어, 투명한 화소 정의막(440, 470)에 입사되며, 화소 정의막(340, 370)을 투과하여 광 산란층(450)에 입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광 산란층(450)은, 투명 매질(451)에 분산되어 있는 1 μ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산란 입자(4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란 입자(452)는 입사되는 광에 대하여 미 산란(Mie scattering)을 일으킬 수 있도록, 입사된 광의 파장과 거의 같은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의 외부로부터 광 산란층(450)에 입사된 광은 거의 산란되지 않고 광 산란층(450)을 통과하여 입사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투과될 수 있다.
그러나, 광 산란층(450)의 측면으로 입사된 광은, 광 산란층(450)의 너비 방향을 따라 긴 거리를 진행하면서 산란 입자(452)에 의해 산란되어 광 산란층(450)의 상면 및/또는 하면 방향으로 진행한 후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의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중간층(432, 462)의 측면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을 투과 영역(TA)에 배치된 광 산란층(450)에 의해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투과 영역(TA)에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는 발광 영역들(P1, P2, P3, P4)에서는 광이 외부로 출사되지 않고, 투과 영역(TA)에서만 광이 출사될 수 있다.
따라서, 투과 영역(TA)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의 투명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발광 영역들(P1, P2, P3, P4)에서 방출된 광이 서로 섞여 투과 영역(TA)에서 방출되므로, 구현되는 화상의 색상의 연속성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에서 투과 영역(TA)이 차지하는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외광 반사 방지를 위한 편광자(polarizer) 등의 광학 부재를 생략할 수 있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의 투명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IX-IX'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복수 개의 화소(Pa, Pb, Pc, Pd, Pe, Pf)를 포함하며, 각각의 화소(Pa, Pb, Pc, Pd, Pe, Pf)는 제1 발광 영역(P1), 제2 발광 영역(P2), 제3 발광 영역(P3) 및 상기 발광 영역(P1, P2, P3)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외광이 투과되는 투과 영역(TA)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 영역(TA)는 다른 투과 영역(TA)보다 더 큰 투과도를 갖는 투과창(TW)을 포함하며, 각각의 화소(Pa, Pb, Pc, Pd, Pe, Pf)에 포함된 투과창(TW)의 제1 발광 영역(P1), 제2 발광 영역(P2) 및 제3 발광 영역(P3)에 인접하지 않은 영역에는 반사 부재(590)가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화소(Pa, Pb, Pc, Pd, Pe, Pf)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픽셀 회로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원하는 화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각각의 화소(Pa, Pb, Pc, Pd, Pe, Pf)는 특정 색상의 광을 방출하거나, 광을 방출하지 않을 수 있다. 광을 방출하지 않는 화소는 투명할 수 있다.
즉,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가 원하는 화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각 화소(Pa, Pb, Pc, Pd, Pe, Pf)에서 방출된 광은 다른 화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중간층(도 9, 532, 582)에서 방출되어, 측면으로 진행된 광은 인접한 다른 화소에까지 진행되어, 다른 화소에서 원하는 색상과 다른 색상의 광이 방출되거나, 광을 방출하지 않아야 되는데 광을 방출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각 화소(Pa, Pb, Pc, Pd, Pe, Pf)에서 방출된 광이 인접한 화소까지 진행하지 않도록, 각 화소(Pa, Pb, Pc, Pd, Pe, Pf)의 투과창(TW)의 일 영역에 반사 부재(590)를 배치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발광 영역(P1) 및 투과 영역(TA)을 포함하는 제1 화소(Pa) 및 제1 화소(Pa)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1 발광 영역(P1)을 포함하는 제2 화소(Pb)로 구획된 기판(510)이 배치된다.
기판(510) 상의 제1 화소(Pa)에는, 제1 발광 영역(P1)에 배치되며 화소 전극(531), 중간층(532) 및 대향 전극(533)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OLED) 및 투과 영역(TA)에 포함된 투과창(TW)에 배치되며 투명 매질(551) 및 산란 입자(552)를 포함하는 광 산란층(550)이 배치된다. 중간층(532)과 투과창(TW)의 사이에는 투명한 물질로 형성된 화소 정의막(540)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510) 상의 제2 화소(Pb)에는, 제1 발광 영역(P1)에 배치되며 화소 전극(581), 중간층(582) 및 대향 전극(583)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OLED)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화소(Pa)에 포함된 투과창(TW)의 제2 화소(Pb)에 인접하는 영역에는 반사 부재(59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화소(Pa)에 포함된 중간층(532)으로부터 방출되어 측면으로 진행한 광은 광 산란층(550)을 투과하여 제2 화소(Pb)까지 진행하지 않고, 반사 부재(590)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광 산란층(550)에 입사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인접한 화소들 사이에 광이 섞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사 부재(590)에 의해 반사된 광을 다시 산란시켜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어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 200, 300, 400, 500)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132, 232, 332, 432, 462, 532, 582)에서 방출되어 측면으로 소멸되던 광을 이용하여, 외광을 투과시키는 투과 영역(TA)에서 광을 방출시킴으로써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경 이미지에 대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 200, 300, 400, 500)로부터 구현되는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투과 영역(TA)에 배치된 광 산란층(150, 250, 350, 450, 550)에 의해 광을 산란시켜 외부로 출사시킴으로써, 측면 시야각에서의 색 편이 현상을 개선하며 화소의 증가 없이 양면 발광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0, 210, 310, 410, 510: 기판
127, 227, 327, 427, 527: 절연층
131, 231, 331, 431, 461, 531, 581: 화소 전극
132, 232, 332, 432, 462, 532, 582: 중간층
133, 233, 333, 433, 463, 533, 583: 대향 전극
140, 240, 340, 440, 470, 540, 370: 화소 정의막
150, 250, 350, 450, 550: 광 산란층
151, 451, 551: 투명 매질 152, 452, 552: 산란 입자
251, 253, 255: 저굴절층 252, 254, 256: 고굴절층
351, 352: 요철 590: 반사 부재

Claims (20)

  1. 제1 발광 영역 및 상기 제1 발광 영역과 중첩되지 않고 상기 발광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외광이 투과되는 투과 영역으로 구획된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제1 발광 영역에 배치되며,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상에 배치되며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 상기 중간층 상에 배치된 대향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및
    상기 투과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중간층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산란시키는 광 산란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투과 영역에 배치되며, 광을 투과하는 화소 정의막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영역은 상기 대향 전극 및 상기 화소 정의막이 배치되지 않은 투과창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산란층은 상기 투과창에 배치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산란층은, 1 μ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산란 입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산란층의 너비는 상기 광 산란층의 높이보다 큰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산란층은, 상기 광 산란층의 측면으로 입사된 광은 산란시키며 상기 광 산란층의 상면 또는 하면 방향으로 입사된 광은 투과시키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산란층은, 굴절률이 서로 다른 적어도 2개의 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산란층은, 상기 광 산란층의 상면 및 상기 광 산란층의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배치된 요철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산란층은, 상기 광 산란층의 상면 및 상기 광 산란층의 하면에 배치된 요철을 포함하며, 상기 광 산란층의 상면에 배치된 요철의 주기와 상기 광 산란층의 하면에 배치된 요철의 주기는 서로 다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주기는 1 μm 이하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은 반사 전극이며, 상기 대향 전극은 투명 또는 반투명 전극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영역과 중첩되지 않고 상기 제1 발광 영역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2 발광 영역 및 상기 제1 발광 영역 및 상기 제2 발광 영역과 중첩되지 않고 상기 제2 발광 영역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3 발광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발광 영역, 상기 제2 발광 영역 및 상기 제3 발광 영역은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방출하며, 상기 투과창은 상기 제2 발광 영역 및 상기 제3 발광 영역에 인접한 영역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창의 상기 제1 발광 영역, 상기 제2 발광 영역 및 상기 제3 발광 영역에 인접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 반사 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 및 상기 대향 전극은 반사 전극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영역과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2 발광 영역, 제3 발광 영역 및 제4 발광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투과창은, 상기 제1 발광 영역, 상기 제2 발광 영역, 상기 제3 발광 영역 및 상기 제4 발광 영역과 각각 인접하도록 배치된 4개의 변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창은 정사각 형태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영역 및 상기 제2 발광 영역은 각각 적색광 및 녹색광을 방출하며, 상기 제3 발광 영역 및 상기 제4 발광 영역은 각각 동일한 파장을 갖는 청색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영역 및 상기 제2 발광 영역은 각각 적색광 및 녹색광을 방출하며, 상기 제3 발광 영역 및 상기 제4 발광 영역은 각각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청색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픽셀 회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픽셀 회로부는 상기 발광 영역과 평면상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40002086A 2014-01-07 2014-01-07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59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086A KR102159150B1 (ko) 2014-01-07 2014-01-07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4/288,617 US9219251B2 (en) 2014-01-07 2014-05-28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086A KR102159150B1 (ko) 2014-01-07 2014-01-07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014A true KR20150082014A (ko) 2015-07-15
KR102159150B1 KR102159150B1 (ko) 2020-09-24

Family

ID=53495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086A KR102159150B1 (ko) 2014-01-07 2014-01-07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19251B2 (ko)
KR (1) KR1021591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592A (ko) * 2014-12-05 2016-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9427B (zh) * 2014-09-05 2017-03-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102337806B1 (ko) * 2015-01-06 2021-1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41558B1 (ko) * 2015-04-07 2022-09-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6535545B2 (ja) * 2015-08-21 2019-06-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528300B1 (ko) * 2016-03-10 2023-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72128B1 (ko) * 2016-03-14 2023-08-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651858B1 (ko) 2016-07-04 2024-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패널
KR20180061467A (ko) * 2016-11-28 2018-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헤드 장착 전자 장치
KR20180087908A (ko) * 2017-01-25 2018-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89346B1 (ko) * 2017-04-03 2022-04-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049887B2 (en) 2017-11-10 2021-06-29 Applied Materials, Inc. Layer stack for display applications
CN109742112B (zh) * 2019-01-08 2021-10-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电子设备
JP2020181696A (ja) * 2019-04-25 2020-11-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20200137846A (ko) * 2019-05-31 2020-1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350016B (zh) * 2019-07-24 2022-04-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控制方法
CN110676296B (zh) * 2019-09-30 2021-11-2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029391B (zh) * 2019-12-24 2022-09-13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透光显示面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10102558A (ko) * 2020-02-11 2021-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430568B (zh) * 2020-03-31 2022-12-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1584748A (zh) * 2020-05-20 2020-08-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透明显示器件、仿真方法及制造方法
KR20220007826A (ko) * 2020-07-10 2022-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5148755A (zh) * 2021-03-31 2022-10-04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成型方法
CN113690282A (zh) * 2021-08-13 2021-11-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7702A1 (en) * 2003-05-02 2004-11-04 Garner Sean M. Light extraction design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US20080174875A1 (en) * 2007-01-22 2008-07-24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layered body,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10058939A (ko) * 2009-11-27 2011-06-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색변환층을 구비하는 유기발광소자
KR20120047103A (ko) * 2010-11-03 2012-05-1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67644A (ko) * 2010-12-16 2012-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51477A (zh) * 2008-04-01 2009-10-0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棱镜片
KR101084240B1 (ko) 2009-12-21 2011-11-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084198B1 (ko) 2010-02-24 2011-11-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54981B1 (ko) 2010-09-24 2019-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35039A (ko) 2010-10-04 2012-04-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685019B1 (ko) 2011-01-04 2016-1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20119430A (ko) * 2011-04-21 2012-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US20120305966A1 (en) * 2011-05-31 2012-12-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7702A1 (en) * 2003-05-02 2004-11-04 Garner Sean M. Light extraction design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US20080174875A1 (en) * 2007-01-22 2008-07-24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layered body,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10058939A (ko) * 2009-11-27 2011-06-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색변환층을 구비하는 유기발광소자
KR20120047103A (ko) * 2010-11-03 2012-05-1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67644A (ko) * 2010-12-16 2012-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592A (ko) * 2014-12-05 2016-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94634A1 (en) 2015-07-09
US9219251B2 (en) 2015-12-22
KR102159150B1 (ko)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15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8655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656146B1 (ko)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1994816B1 (ko) 투명 유기발광소자
TW201624792A (zh) 包含灰色濾光器的顯示器
KR102540135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5003948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7212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28085B1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436248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US10580348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light-emitting diodes
KR20160034458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975084B1 (ko) 표시 장치
KR102400751B1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18467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201740558A (zh) 光電裝置及電子機器
KR20160096783A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5707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85535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36250B1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JP2005142002A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CN111200079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及显示装置
KR10253230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658623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low-refractive members
KR2016003974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