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284A - 내화성 세라믹 바닥 - Google Patents

내화성 세라믹 바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284A
KR20150081284A KR1020157011924A KR20157011924A KR20150081284A KR 20150081284 A KR20150081284 A KR 20150081284A KR 1020157011924 A KR1020157011924 A KR 1020157011924A KR 20157011924 A KR20157011924 A KR 20157011924A KR 20150081284 A KR20150081284 A KR 20150081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refractory ceramic
bricks
wear
rig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1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산더 마라닛쉬
매티아스 호엑크
마르쿠스 키르쉔
Original Assignee
리프랙토리 인터렉추얼 프라퍼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프랙토리 인터렉추얼 프라퍼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리프랙토리 인터렉추얼 프라퍼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50081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2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2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8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for bottom po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0003Linings or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0043Floors, hear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Packag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 용융물을 처리하기 위한 용기의 하나 이상의 벽 영역에 연결하기 위한 내화성 세라믹 바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화성 세라믹 바닥{FIREPROOF CERAMIC BOTTOM}
본 발명은 고온 용융물을 처리하기 위한 용기의 하나 이상의 벽 영역에 연결하기 위한 내화성 세라믹 베이스(바닥)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용기는 예를 들어 야금학적 레이들(ladle)일 수 있다.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은 본 특허 출원을 이용하여 밑에서 다음과 같이 더 상세하게 기술된다.
이러한 레이들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출원 US 5,879,616 A호에 도시된다. 매우 단순하게 도시되었지만, 이 레이들은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배열된 벽으로 구성되는데, 베이스의 내측 횡단면은 전체적으로 항아리(pot) 형태가 되도록 대부분 둥근 형태로 구성된다. 베이스 내에는 하나 이상의 홀(배출 영역)이 배열된다.
레이들 내에서 처리되는 금속 용융물(metal melt)이 배출부(탭)를 통해 하위 장착장소, 예를 들어, 턴디시(tundish) 내로 유입된다. 금속 용융물의 양을 조정/조절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스토퍼(stopper) 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밸브가 제공되는데, 이들은 조절 수단으로 지칭된다.
또한, 슬래그(slag)가 턴디시 내로 유입되면, 강철의 품질 뿐만 아니라 턴디시의 내구성 또한 저하된다. 따라서, 슬래그가 배출구에 도달하면 배출구를 즉시 밀폐해야 한다. 레이들은 잔여량의 용융물과 슬래그로 덮히게 된다(tipped with). 따라서, 재료가 현저하게 손실되고 재활용을 위한 값비싼 비용 문제가 발생한다.
슬래그는 금속 용융물(강철 용융물)보다 더 가볍기 때문에, 주로 금속 배쓰(metal bath) 위에 부유한다(float). 따라서, 슬래그가 배출 탭 또는 배출구를 통해 흐르기 전에, 베이스의 최저 지점인 배출 탭(배출구)를 통해 가능한 최대한 많은 액체 금속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레이들 베이스의 표면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의 형태로 그에 상응하게 복잡하게 된다. 따라서, 내화성 베이스 라이닝은 더욱 복잡하게 되고 값비싸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능한 최대한 많은 용융물이 금속 용기로부터 제거되어 우수한 품질을 구현할 수 있는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제안한다:
기본적으로, 용융물을 경사진 표면을 따라 배출구(노즐)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는 수평면(horizontal)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사져야 한다. 경사진 표면은 특히 배출 영역을 향해 기울어져야 한다.
붓는 과정(pouring) 동안 재생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용융물이 흐르는 베이스의 형태는 가능한 항시 일정해야 한다. 이는, 마모된 내화성 재료의 수리 또는 교체 후에도, 이상적으로는, 베이스의 형태, 특히, 베이스의 표면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로 (기술적 허용오차(tolerance) 경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미국 특허출원 US 5,879,616호에 기술된 것과 같이, 새롭게 생산된 모노리식 마모 라이닝(monolithic wear lining)은 수리 후에도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geometry)을 가진다는 특징을 지닌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또 다른 특징을 따른다:
베이스는 마모 라이닝(wear lining)이 배열되는 내화성(내화물) 영구적 라이닝으로 형성된다.
영구적 라이닝,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영구적 라이닝의 표면은 원하는 기하학적 형상의 마모 라이닝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영구적 라이닝은 하나 이상의 경사진 영역(sloped area) 및 3차원 형태를 가진다.
영구적 라이닝은 오랜 시간 기간에 걸쳐 교체되어야 할 필요가 없는데, 이는 어떠한 임의의 마모도 없기 때문이다. 오직, 영구적 라이닝의 상부(top) 위에 배열된 마모 라이닝이 사용되며, 때때로 수리되거나 교체되어야 한다.
마모 라이닝이 내화성 벽돌(fireproof brick) 형태로 영구적 라이닝 위에 배열되면, 마모 라이닝의 상부 쪽(upper side)이 영구적 라이닝의 상부 쪽과 똑같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똑같은 형태(기하학적 형상)을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특히, 마모 라이닝의 벽돌이 일반적으로 동일하고 통상 똑같은 방향으로 배열되는 한, 적용된다.
또한, 이는, 단일의 벽돌, 벽돌 여역 또는 전체 마모 라이닝이 교체되거나 수리되는 경우, 공정에서 영구적 라이닝이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며 원하는 표면의 기하학적 형상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위에서 언급한 특징들은 기술적인 환경의 경계 내에서 유용하다.
내화성 세라믹 재료로 형성된 (경사진) 베이스는 수학적/물리적 방식으로는 절대로 정확하게 평면일 수 없으며(즉 경사진 평면(sloped planar)), 내부의 횡단면이 둥근 레이들(ladle)의 경우, 개별 스텝(step)에 채워져야 되는 배출 영역과 벽돌들 사이 또는 벽까지의 벽돌들 사이에, 피할 수 없는 전이부(transition)가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제공된다. 하지만, 이들은 오직 지지 수단일 뿐, 마모 층(wear layer)의 본체 부분(main part)은 표준 벽돌(standard brick)로 형성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고온의 용융물(melt)을 처리하기 위한 용기(vessel)의 하나 이상의 벽에 연결되는 내화성 세라믹 베이스(fireproof ceramic base)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가진다:
- 상기 베이스는 2개 이상의 층(layer) 즉 내화성 세라믹 영구적 라이닝(permanent lining)으로 형성된 하부 층(lower layer) 및 내화성 세라믹 마모 라이닝(wear lining)으로 형성된 상부 층(upper layer)을 포함하며,
- 상기 영구적 라이닝은 수평면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1°이상만큼 경사진 마모 라이닝의 경계에 접한(bordering) 표면을 포함하고,
- 상기 표면은 3차원 디자인으로 구성되며,
- 상기 마모 라이닝은 적어도 60M.-%의 내화성 세라믹 강성 벽돌(solid brick)로 구성되고,
- 영구적 라이닝과 마모 라이닝은 각각 고온의 용융물을 위한 하나 이상의 공동 배출구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비균일부(inconsistency)를 포함한다.
용어, 가령, "상부(top)", "바닥(bottom)" 등은 항상 용기의 사용시의 일반적인 위치를 가리킨다.
용어 "강성 벽돌(solid brick)"은, 기하학적 형상 또는 조성에 상관없이, 모든 타입의 통상적인 내화성 세라믹 벽돌을 포함한다. 강성 벽돌은 특히 주로 균일한 내측 구조를 가진 3차원 다각형 또는 칼럼(column), 직육면체(cuboid) 형태의 소형 내화성 벽돌이다. 개방 및/또는 밀폐 공극도(porosity)는 가능한 최대한 낮아야 되는데, 예를 들어, < 20부피.-%, 바람직하게는 < 15부피.-%, < 10부피.-% 또는 < 5부피.-%이어야 한다.
특히, 특정 야금학적 분야, 가령, 가스 퍼징 플러그(gas purging plug) 및 그 외의 다른 기능 요소(functional element)를 위해, 개구(opening) 또는 개별의 커다란 공동(cavity) 및/또는 벽돌을 가진 벽돌들은 제외된다. 하지만, 노즐 또는 가스 퍼징 플러그는 불연속 개별 요소(discrete independent element)로서 마모 라이닝 내에 뿐만 아니라 영구적 라이닝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불연속 개별 요소'는 마모 라이닝과는 무관하게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60M.-%의 마모 라이닝이 이러한 강성 벽돌들로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값은 > 65M.-%, > 70M.-%, > 75M.-%, > 80M.-%, > 85M.-%, > 90M.-%, > 93M.-%, 또는 > 95M.-%일 수도 있다. 이에 상응하는 강성 벽돌의 백분율(percentage)은 상응하는 레이들의 크기, 수치, 및 형태에 좌우된다. 이 백분율은 영구적 라이닝의 표면 구조를 가능한 잘 재구성하기 위하여 가능한 최대한 높아야 한다.
나머지 부분은 예를 들어 펜덴티브(틈)을 채우기 위하여 인접한 벽돌 사이, 벽돌들과 벽 사이, 또는 그 밖의 요소들에서, 배출 영역 등에서의 전이 영역(transition area)에 제공된 내화성 덩어리(fireproof mass)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관해 더 많은 정보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모노리식 내화성 덩어리(monolithic fireproof mass)로 구성된다. 전체의 영구적 라이닝은 제자리에서(in-situ) 또는 임의의 장소에서, 내부에 용융 용기가 사용되는, 심지어, 설비(plant) 외부에서도 생산될 수 있다. 영구적 라이닝을 사전제작된 요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전제작된 요소는 하나 또는 다수의 부분(예를 들어 2개 내지 10개 부분)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로 보완되어 완전한 영구적 라이닝을 형성하는 요소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면, 베이스의 영구적 라이닝은 레이들 내에 형성되고 그 뒤에 영구적 라이닝의 마모 라이닝은 영구적 라이닝의 상부 위에 배열된다.
영구적 라이닝의 3차원 형태는 마모 라이닝의 표면 구조가 어떤 구조인지를 결정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마모 라이닝의 표면 구조는 배출부를 통해 가능한 최대한 많은 용융물이 고품질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표면이 용융물과 접촉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영구적 라이닝은 상이한 외부 및 내부 장착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 용융물을 위해 (타격 패드(impact pad)의) 타격 영역의 생성을 위한 장착,
- 용융물의 배출을 위한 스텝(step),
- 가스 퍼징 플러그, 웰 블록(well block) 등의 내부 장착을 위한 인입(indentation),
- 그릇(bowl) 형태의 인입(indentation),
- 위어(weir) 형성을 위한 상부를 가리키는 벽.
마모 라이닝은 위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이러한 형태를 직접 채택한다.
영구적 라이닝의 표면 및 따라서 그에 상응하는 마모 라이닝의 표면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경사질 수 있다. 최대 경사는 수평면에 대해 보통 45°이며, 가능한 상한값은 30°, 25°, 15°또는 10°이며 가능한 하한값은 1.5°, 2°, 3°, 4°, 5°또는 8°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모 라이닝의 표면에 인접한 영구적 라이닝의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평면에 대해 2° 내지 25°만큼 경사진다. 배출구(탭)에 인접한 세그먼트(segment)들은 야금학적 용기의 벽 영역 내의 세그먼트들보다 더 가파른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마모 라이닝의 표면 형태는, 다음의 변수들이 적어도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고려될 때, 영구적 라이닝의 표면 형태와 더 많이 비슷하다:
- 마모 라이닝의 강성 벽돌의 적어도 75%가 단일 층 내에 배열된다. 상기 값이 > 80%, > 85%, > 90% 또는 심지어 > 95%인 경우, 더 높은 균일성에 도달한다.
- 마모 라이닝의 강성 벽돌의 적어도 60%, 또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5%, 70%, 75% 또는 80%가 동일하다. 마모 라이닝의 벽돌들의 85%보다 더 큰 경우, 예를 들어, > 90% 또는 95%인 경우, 마모 라이닝과 영구적 라이닝의 표면들 사이의 유사성(parallelism)이 최적화된다.
- 마모 라이닝의 벽돌들은, 주로(> 80%, > 85%, > 90%, > 95%), 똑같은 배열방향 또는 일정한 패턴으로, 예를 들어, "생선 뼈 패턴(fish bone pattern)"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은 사전제작된 세그먼트로서 마모 부분의 강성 벽돌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할 수 있게 하는데, 이 각각의 세그먼트들은 다수의 강성 벽돌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수리과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벽돌들의 기하학적 형상은 필수적으로 중요한 사항은 아니다. 하지만, 마모 라이닝이 상부도(평면도)에서 삼각형,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태를 포함하는 적어도 70M.-% 또는 적어도 75M.-% 강성 벽돌로 구성된 베이스가 특히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마모 라이닝은 수직 방향으로 가장 긴 연장선(extension)을 가진 적어도 80M.-%의 강성 벽돌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마모 라이닝의 강성 벽돌은 임의의 내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마그네시아(MgO), 알루미나((Al2O3), 마그네시아-카본(MgO-C), 돌로마(MgO-CaO), 마그네시아-크로마이트(MgO-Cr2O3), TiO2 중 하나 이상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영구적 라이닝 또는 마모 라이닝을 위한 직육면체 벽돌 및 둥근/원형의 내부 횡단면을 가진 레이들에서, 벽과 베이스 사이에는 펜덴티브/틈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이와 유사한 펜덴티브들은 예를 들어:
- 강성 벽돌들 사이,
- 영구적 라이닝과 강성 벽돌들 사이,
- 베이스 내의 개별 요소와 강성 벽돌들 사이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펜덴티브에는 내화성 세라믹 덩어리(fireproof ceramic mass)로 채워질 수 있다(filled). 이는,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예를 들어, 스탬핑(stamping), 거닝(gunning) 또는 조인팅(jointing)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마모 라이닝의 인접한 강성 벽돌들 사이의 조인트(홈)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다음 사항들을 제안한다: 영구적 라이닝의 한 표면 위에서 수평면에 대해 적어도 1.5°만큼 경사져서 배열되는 강성 벽돌들은, 도면의 간단한 설명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스텝-유사 형태로 오프셋 배열된다(arranged offset in a step like manner).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 다음과 같은 이점들을 제공한다:
- 마모 라이닝을 위해 임의의 내화성 타입도 사용될 수 있다.
- 모노리식 영구적 라이닝을 위해 높은 강성과 높은 수화저항(hydration resistance)을 포함하는 덩어리(mass), 예를 들어, 알루미나 덩어리가 적합하다.
- 교체되지 않는 영구적 라이닝은 이미 최종 베이스의 표면의 형태를 형성하기 때문에 베이스의 장착 시간(mounting time)은 짧다.
- 사전제작된/사전형성된 요소로서 영구적 라이닝의 장착은 전체 베이스 배열의 장착 과정을 최적화시킨다.
- 영구적 라이닝이 불변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장착 동안 에러(error)는 통상 불가능하다.
- 마모 층의 벽돌들의 층은 단순하게 되고, 벽돌들의 위치배열 또는 형성 선택 동안의 에러는 최소화된다.
- 복잡한 베이스 형태도 형성될 수 있다.
- 내부 및 외부 설치가 용이하게 통합될 수 있다(integrated).
- 영구적 라이닝은 용융물(melt)과 접촉되지 않으며; 따라서 값싼 내화성 재료가 사용된다 하더라도 수명 시간은 추가로 늘어난다. 영구적 라이닝의 프로파일(profile)은 영구적으로 보존된다(conserved).
- 태핑(tapping) 동안, 용기는 오직 약간만 티핑되고(tipped)/기울어져도 된다.
- 내화성 재료의 소모가 줄어든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은 추가적인 출원 문헌들과 함께 청구항들의 특징에 기술된다. 개별 특징들은 상이한 조합들로 제공될 수 있지만, 이들에만 제한되거나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상이한 실시예들에 대해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본 발명은 각각의 도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는데: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들의 베이스를 분해하여 도시한 투시도이며 도 1c는 조립 후의 투시도;
도 2는 베이스의 제1 세그먼트를 따라 절단한 부분 횡단면도;
도 3은 베이스의 제2 세그먼트를 따라 절단한 부분 횡단면도;
도 4는 베이스의 제3 세그먼트를 따라 절단한 부분 횡단면도;
도 5는 베이스의 제4 세그먼트를 따라 절단한 부분 횡단면도;
도 6은, 도 1과 유사하게 도시한, 베이스를 가진 레이들을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이 도면들에서, 동일하거나 또는 비슷한 외형을 가진 요소들은 똑같은 도면부호들로 표시된다. 레이들이 정확하게 수직 방향으로 정렬된 장치가 기술된다.
도 1은 2개의 층 즉 하부 층(10) 및 맨 위에 배열된 상부 층(20)을 가진 베이스를 도시한다. 두 층은 상부도(평면도)에서 볼 때 거의 원형이다.
하부 층(10)은 알루미나계 내화성 세라믹 덩어리로 제작되고 영구적 라이닝(permanent lining)으로서 구성된다.
영구적 라이닝(10)은 전체적으로 수평의 하측 표면(10u)과 3차원으로 형성된 상측 표면(10o)을 가진 사전제작된 요소로서 구성된다. 상측 표면(10o)은:
- 거의 중앙 영역에서 제1 스텝(13), 및
- 좌측의 상부 3번째(left upper third)에서 올라간 충격 패드(14)를 가지며,
- 표면(10o)의 모든 영역은 수평면에 대해 약 3°만큼 경사지며, 이 경사 방향은 배출 영역(30)을 향한다.
상부 층(20), 따라서, 마모 층(wear layer)은 배출부(30) 영역을 제외하고는, 주로(최대 80M.-%), 일정한 레이아웃(layout)으로 똑같은 크기의 직육면체의 내화성 벽돌(21)로 구성된다.
따라서, 마모 층(20)의 상측 면(20o)과 하측 면(20u)의 기하학적 형상(geometry)은 일반적으로 영구적 라이닝(10)의 상측 면(10o)의 기하학적 상태(geometric condition)를 따라간다(follow).
차이점은, 단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벽돌(21)(강성 벽돌)이 스텝(13) 영역에서 약간 오프셋 배열된다는(offset) 것이다(경사: 약 90°). 이에 따라 벽돌(21.1)의 하측 면(20u)과 영구적 라이닝의 상측 면(10o) 사이에 생성된 공간(23)은 알루미나계 내화성 덩어리로 채워진다(filled).
이는 상이한 경사를 가진(도 4) 연속의 경사진 표면들에서 강성 벽돌(21)의 위치배열 또는 예를 들어 25°의 경사(도 3)를 가진 영역에 있는 스텝들에 대해 똑같이 적용된다.
도 5는 도 3, 4의 평면의 경사진 표면들이 기술적으로 도 3의 경사와 비슷한 경사를 생성하는 스텝-유사 윤곽에 의해 교체되는 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렇지만, 용어 "경사진 표면(sloped surface)"은 기술적으로 상응하는 연속의 작은 스텝(13)을 가진 실시예들을 포함한다(도 5).
도 1 및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벽돌(21) 및 레이들(50)의 인접한 곡선 용기 벽(52) 사이에 펜덴티브(pendentive)(Z)가 배열된다. 또한, 이 영역들에도 모노리식(monolithic) 내화성 덩어리가 채워진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에서는, 오직 마모 라이닝(20)이 교체된다. 이를 위하여, 벽돌(210 및 가능하다면 마모 라이닝(20)의 추가적인 요소들이 분해된다. 영구적 라이닝(10)은 불변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새로운 마모 라이닝(20)은 기존의 기하학적 형상의 영구적 라이닝(10) 위에 다시 형성되어, 마모 라이닝(20)의 상측 면(20o)도 영구적 라이닝(10)의 표면의 기하학적 형상에 상응한다.
따라서, 단순하고 신속하며 저렴한 수리 옵션이 제공되며, 3차원 디자인은 교체되지 않은 영구적 (내구성) 라이닝(10)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된다.

Claims (14)

  1. 고온의 용융물(melt)을 처리하기 위한 용기(50)의 하나 이상의 벽(52)에 연결되는 내화성 세라믹 베이스에 있어서,
    - 상기 베이스는 2개 이상의 층(10, 20) 즉 내화성 세라믹 영구적 라이닝(10)으로 형성된 하부 층 및 내화성 세라믹 마모 라이닝(20)으로 형성된 상부 층을 포함하며,
    - 영구적 라이닝(10)은 수평면에 대해 적어도 1°만큼 경사진 마모 라이닝(20)에 인접한 표면(10o)을 포함하고,
    - 상기 표면(10o)은 3차원 디자인으로 구성되며,
    - 마모 라이닝(20)은 적어도 60M.-%의 내화성 세라믹 강성 벽돌(21)로 구성되고,
    - 영구적 라이닝(10)과 마모 라이닝(20)은 고온의 용융물을 위한 하나 이상의 공동 배출구(30)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비균일부(inconsistenc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세라믹 베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영구적 라이닝(10)은 주로 하나 이상의 모노리식 내화성 덩어리(mass)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세라믹 베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영구적 라이닝(10)은 하나 이상의 모노리식 내화성 덩어리로 형성된 사전제작된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세라믹 베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영구적 라이닝(10)은 하나 이상의 스텝(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세라믹 베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마모 라이닝(20)에 인접한 영구적 라이닝(10)의 표면(10o)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평면에 대해 2° 내지 25°만큼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세라믹 베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개별 요소(14, 30)가 마모 라이닝(20)과 영구적 라이닝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세라믹 베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마모 라이닝(20)의 강성 벽돌(21)의 적어도 75%가 단일 층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세라믹 베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마모 라이닝(20)의 강성 벽돌(21)의 적어도 60%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세라믹 베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마모 라이닝(20)의 강성 벽돌(21)은 다수의 강성 벽돌로 구성된 사전-조립된 세그먼트들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세라믹 베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마모 라이닝(20)은 상부도(평면도)에서 삼각형,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적어도 70M.-%의 강성 벽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세라믹 베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마모 라이닝(20)은 수직 방향으로 가장 긴 연장선을 가진 적어도 80M.-%의 강성 벽돌(2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세라믹 베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마모 라이닝(20)의 강성 벽돌(21)은 마그네시아, 알루미나, 마그네시아-카본, 돌로마, 마그네시아-크로마이트 중 하나 이상의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세라믹 베이스.
  13.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 강성 벽돌(21)들 사이,
    - 용기(50)의 벽(52)과 강성 벽돌(21)들 사이,
    - 영구적 라이닝(10)과 강성 벽돌(21)들 사이,
    - 베이스 내의 개별 요소(14, 30)와 강성 벽돌(21)들 사이에서,
    펜덴티브(23)에는 내화성 세라믹 덩어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세라믹 베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영구적 라이닝(10)의 표면(10o) 영역에서 수평면에 대해 적어도 1.5°만큼 경사져서 배열되는 강성 벽돌(21)은 스텝-유사 형태로 오프셋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세라믹 베이스.
KR1020157011924A 2013-01-07 2013-12-03 내화성 세라믹 바닥 KR201500812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50422.7A EP2752260B9 (de) 2013-01-07 2013-01-07 Feuerfester keramischer Boden
EP13150422.7 2013-01-07
PCT/EP2013/075299 WO2014106553A1 (de) 2013-01-07 2013-12-03 Feuerfester keramischer bod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284A true KR20150081284A (ko) 2015-07-13

Family

ID=47563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1924A KR20150081284A (ko) 2013-01-07 2013-12-03 내화성 세라믹 바닥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2) US9962764B2 (ko)
EP (1) EP2752260B9 (ko)
JP (1) JP2016507715A (ko)
KR (1) KR20150081284A (ko)
CN (1) CN104903027B (ko)
AR (1) AR094297A1 (ko)
BR (1) BR112015010340B1 (ko)
CA (1) CA2888450C (ko)
CL (1) CL2015001208A1 (ko)
EA (1) EA028140B1 (ko)
ES (1) ES2619977T3 (ko)
HU (1) HUE032636T2 (ko)
IL (1) IL238355B (ko)
MX (1) MX361111B (ko)
PE (1) PE20151115A1 (ko)
PL (1) PL2752260T3 (ko)
SA (1) SA515360534B1 (ko)
SI (1) SI2752260T1 (ko)
TW (1) TWI552817B (ko)
UA (1) UA113564C2 (ko)
WO (1) WO2014106553A1 (ko)
ZA (1) ZA2015038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05876A1 (en) * 2016-03-18 2021-07-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Manufacturing method and tooling for ceramic cores
CN108344300B (zh) * 2018-03-01 2023-06-13 邯郸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改进的加热炉炉墙结构
US11611145B2 (en) 2021-01-28 2023-03-21 Infinidome Ltd. Ground plane for asymmetric antenna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19988B (de) 1970-06-13 1975-01-27 Didier Werke Ag Feuerfeste Bodenauskleidung für metallurgische Gefäße
JPS5220331B2 (ko) 1974-02-18 1977-06-02
JPS5148835A (ja) * 1974-10-24 1976-04-27 Sumitomo Metal Ind Tsutsujochibariraininguno rengazumiho
JPS5234822U (ko) * 1975-09-03 1977-03-11
DE2607598B2 (de) * 1976-02-25 1978-03-23 Eisenwerk-Gesellschaft Maximilianshuette Mbh, 8458 Sulzbach-Rosenberg Ausmauerung für kegelstumpfähnliche Wandkonstruktionen
DE3114069C2 (de) * 1981-04-08 1982-11-11 Didier-Werke Ag, 6200 Wiesbaden Feuerfestes Verschleißfutter für Roheisentransportgefäße
JPS62130212A (ja) * 1985-11-29 1987-06-12 Sumitomo Metal Ind Ltd 耐火炉側壁立ち上がり部の築炉構造
FR2654661B1 (fr) * 1989-11-17 1994-06-10 Lorraine Laminage Poche pour l'elaboration d'un metal munie d'un revetement refractaire le fond et procede de realisation d'un tel revetement refractaire de fond.
DE4201748C2 (de) * 1992-01-23 1994-01-05 Intocas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feuerfesten Zustellung einer Gießpfanne
SE470435B (sv) * 1992-08-07 1994-03-07 Asea Brown Boveri Sätt och anordning att omröra en metallsmälta
US5879616A (en) 1996-01-22 1999-03-09 Harbison-Walker Refractories Company Metallurgical vessel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H1047861A (ja) * 1996-08-06 1998-02-20 Nisshin Steel Co Ltd 電気炉
US6673306B2 (en) 2001-04-13 2004-01-06 North American Refractories Co. Refractory lining for metallurgical vessel
GB2410455B (en) * 2003-10-11 2006-10-11 Pyrotek Engineering Materials Casting ladle
US8110142B2 (en) * 2008-02-18 2012-02-07 North American Refractories Co. High yield ladle bottoms
US9005518B2 (en) * 2008-02-18 2015-04-14 North American Refractories Co. High yield ladle botto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A113564C2 (xx) 2017-02-10
US20180133792A1 (en) 2018-05-17
AR094297A1 (es) 2015-07-22
EP2752260B1 (de) 2017-02-01
HUE032636T2 (en) 2017-10-30
WO2014106553A1 (de) 2014-07-10
CN104903027A (zh) 2015-09-09
US20150298210A1 (en) 2015-10-22
US9962764B2 (en) 2018-05-08
IL238355B (en) 2019-06-30
MX361111B (es) 2018-11-27
BR112015010340B1 (pt) 2020-10-06
MX2015005327A (es) 2015-07-14
SA515360534B1 (ar) 2018-08-02
IL238355A0 (en) 2015-06-30
CN104903027B (zh) 2018-10-19
SI2752260T1 (sl) 2017-03-31
EA201500476A1 (ru) 2015-12-30
BR112015010340A2 (pt) 2017-07-11
EP2752260A1 (de) 2014-07-09
JP2016507715A (ja) 2016-03-10
EP2752260B9 (de) 2017-05-17
CL2015001208A1 (es) 2015-08-07
ES2619977T3 (es) 2017-06-27
CA2888450C (en) 2018-07-03
TW201427780A (zh) 2014-07-16
TWI552817B (zh) 2016-10-11
PL2752260T3 (pl) 2017-07-31
ZA201503865B (en) 2016-04-28
CA2888450A1 (en) 2014-07-10
EA028140B1 (ru) 2017-10-31
PE20151115A1 (es)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1284A (ko) 내화성 세라믹 바닥
RU2014110706A (ru) Огнеупорный элемент, содержащий его узел и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й резервуар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расплавленного металла
US5879616A (en) Metallurgical vessel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RU13409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нной продувки металла газом
EP0080248B1 (en) Refractory components
JP7182496B2 (ja) ノズル及びノズルとストッパーの構造体
RU82605U1 (ru) Сталеразливочный ковш
CN1968772B (zh) 闸板及其生产方法
KR100704853B1 (ko) 용강 배출용 노즐을 지지하는 웰블럭
KR20140129902A (ko) 연속주조 노즐 및 그 제어 방법
CN109047744A (zh) 一种防火陶瓷基座
US20140326761A1 (en) Refractory pouring device
RU73250U1 (ru) Сталеразливочный ковш
KR20170079101A (ko) 매립형 내화 벽돌을 구비한 턴디쉬
JP2004107742A (ja) Rh脱ガス槽底の耐火物築造構造、rh脱ガス槽及び耐火物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101149246B1 (ko) 강의 연속주조용 침지 노즐
JP6715783B2 (ja) 溶融金属排出口用不焼成エンドれんが
RU51921U1 (ru) Сталеразливочный ковш
KR20070073420A (ko) 슬리브블럭을 구비한 버블링플러그
KR101140950B1 (ko) 연속주조용 오픈 노즐 구조체
RU56842U1 (ru) Промежуточный ковш для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металла
CN102398024A (zh) 具有增强的冲击表面的冲击箱
CN107900320A (zh) 局部复合滑板砖及局部复合滑板砖的制作方法
MXPA98004399A (en) Improved metalurgical recipient and method for using the mi
JPH11300453A (ja) 連続鋳造用耐火物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