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720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720A
KR20150080720A KR1020140000145A KR20140000145A KR20150080720A KR 20150080720 A KR20150080720 A KR 20150080720A KR 1020140000145 A KR1020140000145 A KR 1020140000145A KR 20140000145 A KR20140000145 A KR 20140000145A KR 20150080720 A KR20150080720 A KR 20150080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ns
upper side
fram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6970B1 (ko
Inventor
오현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0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970B1/ko
Publication of KR20150080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720A/ko
Priority to KR1020210076807A priority patent/KR102422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970B1/ko
Priority to KR1020220086601A priority patent/KR102618608B1/ko
Priority to KR1020230188842A priority patent/KR20240001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실시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렌즈가 수용되는 렌즈 수용부와, 상기 렌즈가 노출되는 광투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렌즈 수용부의 상측면에 배치되는 상측면부를 포함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시키는 홀더부와, 상기 상측면부와 렌즈 수용부 사이에 구비되는 광조절유닛과, 상기 광조절유닛에 전원을 인가하는 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조가 개선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는바,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그 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및 전송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이 카메라 모듈이다.
근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토이(toy) 등의 다종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용으로 소형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화소수가 증가함에 따라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와 마찬가지로 조리개 또는 셔터를 내장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소형화되고 있는 카메라 모듈의 추세에서, 내부 설치 공간 상의 제약 및 베터리 소모 등의 문제로 인하여 셔터 또는 아이리스(IRIS)의 소형화가 고려되어야 한다.
즉, 셔터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순간적으로 개폐할 수 있어야 하지만, 종래의 셔터 또는 아이리스는 다수의 기어를 사용하거나, 복잡한 링크 구조에 의해 구현되므로, 셔터의 응답속도가 느리거나, 소형화를 구현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실시예는 소형화를 고려하고, 광학적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광조절유닛이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실시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렌즈가 수용되는 렌즈 수용부와, 상기 렌즈가 노출되는 광투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렌즈 수용부의 상측면에 배치되는 상측면부를 포함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시키는 홀더부와, 상기 상측면부와 렌즈 수용부 사이에 구비되는 광조절유닛과, 상기 광조절유닛에 전원을 인가하는 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렌즈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광조절유닛은 상기 렌즈부에 인서트 몰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조절유닛은 셔터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부는 상기 상측면부에 형성된 광투과홀에 인접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레임부와,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광투과홀을 개폐하는 블레이드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기판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인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중단이 상기 상측면부에 힌지 연결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광투과홀을 개폐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등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조절유닛은 아이리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수용부 상측면에는 한 개 이상의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광조절유닛에는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면부는 상기 광조절유닛 상측에 접착제로써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수용부 상측면에는 한 개 이상의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광조절유닛에는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면부는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어 돌출된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하는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조절유닛은 셔터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렌즈수용부에 체결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레임부와,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광투과홀을 개폐하는 블레이드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기판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인가부를 포함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중단이 상기 바디에 힌지 연결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광투과홀을 개폐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등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조절유닛은 아이리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부에 광조절유닛을 일체형 또는 렌즈부 사이에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카메라 모듈을 소형화할 수 있으며, 셔터의 기능 및/또는 조리개의 기능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기구부를 구비하여 빛의 양을 조절하여 광학적 성능이 향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을 구체화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상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렌즈 수용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광조절유닛의 하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광조절유닛을 렌즈부와 일체형으로 구현하거나, 렌즈부 사이에 구비함으로써 소형화 및 광학적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광조절유닛은 셔터 및/또는 아이리스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을 구체화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상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크게 렌즈부(110), 광조절유닛(120), 홀더부(130), 이미지센서(미도시) 및 기판(1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커버캔, 탄성유닛, 베이스 또는 IR 필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110)는 렌즈 배럴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렌즈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렌즈부(110)가 렌즈 배럴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부(110)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렌즈가 수용되는 렌즈 수용부(111)와, 상기 렌즈가 노출되는 광투과홀(112a)이 형성되며 상기 렌즈 수용부(111)의 상측면에 배치되는 상측면부(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측면부(112)에도 광투과홀(112a)과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11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후술할 광조절유닛(120)은 상기 렌즈부(110)에 인서트 몰딩되어 상기 렌즈부(110)에 구비되므로, 종래에 비해 렌즈와 조리개 또는 셔터와의 거리가 감소되어 카메라 모듈(100)의 소형화 및 광학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렌즈부(110)는 후술할 인쇄회로기판(140)의 상측에 설치되며, 이미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렌즈부(110)는 한 개 이상의 렌즈(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광조절유닛(120)은 상기 렌즈부(110)의 상측면부(112)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전술한 것과 같기 상기 렌즈부(110)에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광조절유닛은 셔터부 또는 아이리스(IRIS)로써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조절유닛(120)이 셔터부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셔터부는 상기 상측면부(112)에 형성된 개구부에 인접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레임부(122)와,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122)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부(1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광투과홀(112a)을 개폐하는 블레이드부(123)와, 상기 프레임부(122)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21)와, 상기 구동부(121)와 기판(140)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인가부(124)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인가부(124)는 상기 홀더 표면에 전극형성기술을 이용하여 직접 회로패턴을 형성하여 상기 구동부와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블레이드부(123)는 상기 프레임부(122)에 일단이 고정되고 중단이 상기 상측면부(112)에 힌지 연결되는 회동부(123a)와, 상기 회동부(123a)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광투과홀(112a)을 개폐하는 블레이드(123b)를 포함한다. 이러한 블레이드부(123)는 네 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등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구동부(121)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12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블레이드(123b)는 회동부(123a)의 힌지축(123c)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광투과홀(112a)을 개방시킨다. 반대로, 상기 구동부(121)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12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블레이드(123b)는 회동부(123a)의 힌지축(123c)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광투과홀(112a)을 폐쇄시킨다.
상기 블레이드(123b)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광투과홀(112a)을 일정 부분 개방시켜 평소에 조리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비교적 단순한 구조의 블레이드부(123)의 구현으로 인해 조리개가 필요 없으며 광조절유닛(120)의 구조가 단순해져 카메라 모듈(100)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광조절유닛(120)의 응답속도가 빨라짐으로 인해 카메라 모듈(100)의 광학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21)는 AC모터(Alternating Current Motor), BLDC모터(Brushless Motor), 스테핑모터(Stepping Motor)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122)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전원인가부(124)는 후술할 인쇄회로기판(140) 또는 별도의 FPCB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121)에 인가된 전원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원인가부(124)의 일부분은 상기 렌즈부(110)에 인서트 몰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더부(130)는 상기 렌즈부(110)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며, F.F(Fixed Focus) 타입의 카메라 모듈인 경우에는 상기 렌즈부(110)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일 수 있고, A.F(Auto Focusing) 또는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렌즈부(110)를 이동시켜 화상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화상의 초점을 조정하는 것은, 피사체의 근거리 또는 원거리 포커싱을 위해 광축 방향인 z축 방향으로 상기 렌즈부(110)를 이동시는 A.F(Auto Focusing) 기능을 의미하거나, 손떨림 보정을 위해 상기 z축 방향과 수직 방향인 x, y축 방향으로 상기 렌즈부(110)를 이동시키는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기능을 의미하거나, 상기 A.F 기능과 OIS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부(130)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이 F.F(Fixed Focus) 타입으로 구현되거나, A.F(Auto Focusing) 타입으로 구현되거나,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A.F(Auto Focusing) 타입의 홀더부(130)는 크게 보빈, 코일부, 마그넷부 및 하우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빈은 렌즈부(110)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부(110)를 고정하며, 이러한 렌즈부(110)와 보빈의 결합방식은 나사산을 보빈의 내주면과 렌즈부(110)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하는 나사산 결합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접착제를 사용하는 무나사산 방식으로써 결합할 수도 있다. 물론, 나사산 결합 방식에서도 나사산 체결 후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호간에 더욱 견고한 장착을 도모할 수도 있다.
상기 코일부는 상기 보빈의 외측면에 권선되거나, 4 개의 개별적인 코일이 상기 보빈의 외측면에 90°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일부는 후술할 인쇄회로기판(14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받아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부는 상기 코일부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접착제 등으로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4 개의 모서리에 등 간격으로 장착되어 내부 체적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의 형상은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형상, 사다리꼴기둥형상 등 각 기둥형상 일수 있으며, 각기둥형상에 일부 곡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은 카메라 모듈(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캔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커버캔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절연재질로 형성되고, 생산성을 고려하여 사출물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OIS 구동을 위해 움직이는 부분으로써 상기 커버캔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타입의 홀더부(130)는 상기 구성요소 외에 OIS 코일부, FPCB 및 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OIS 코일부는 후술할 베이스 상측에 구비된 FPCB에 실장되거나 FPCB 또는 기판(140)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렌즈부(110)(미도시)의 광 신호를 통과시키기 위해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100)의 소형화, 구체적으로, 광축 방향인 z축 방향으로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OIS 코일부는 패턴 코일(patterned coil)인 FP 코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는 상기 OIS 코일부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상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OIS 코일부의 관통홀과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센서부는 상기 마그넷부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인가되는 전압과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 및 위상을 센싱하며, FPCB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액추에이터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홀센서부는 상기 마그넷부와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일직선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x축 및 y축의 변위를 감지하여야 하므로, 상기 홀센서부는 상기 FPCB의 모서리 중 인접한 두 개의 모서리에 각각 구비된 두 개의 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홀센서를 수용할 수 있는 홀센서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센서는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홀센서부는 상기 마그넷부 보다 OIS 코일부에 인접하게 구비되나, 마그넷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코일에서 형성되는 전자기장의 세기보다 몇 백배 큰 것을 감안하면, 마그넷부의 이동 감지에 있어 OIS 코일부의 영향은 고려 대상이 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기판(14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판(140)은 인쇄회로기판(140) 또는 FPCB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은 상측면 중앙부에 이미지 센서(미도시)가 실장되어 있으며, 카메라 모듈(100)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소자(미도시)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은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1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하측 스프링 또는 상측 스프링 또는 직접적으로 상기 코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이미지 센서(미도시)는 상기 렌즈부(110)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렌즈(미도시)와 광축 방향을 따라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의 상측면 중앙부에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는 렌즈를 통해 입사된 대상물의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21)는 탄성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유닛은 상측 스프링, 하측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측면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스프링과 하측 스프링은 하우징의 각각의 변 부위에 배치된 별개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생산의 효율성을 위하여 단일의 판재가 절곡 및 절단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상측 스프링과 하측 스프링은 대략 링 형상을 이루게 되며, 내주는 상기 이동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대략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는 상기 하우징 및 베이스의 형상에 지지될 수 있도록 대략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베이스는 상기 보빈이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중앙에 원형 형상으로써 하측으로 요입된 리세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부의 중앙에는 상기 렌즈부(110)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는 후술할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보호하는 센서홀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IR 필터(미도시)를 위치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IR 필터는 상기 베이스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필터(Infrared Ray Filter)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IR 필터는 예를 들어, 필름 재질 또는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촬상면 보호용 커버유리, 커버 글래스 등의 평판 형상의 광학적 필터에 적외선 차단 코팅 물질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외에 추가로 상기 베이스 하부에 별도의 센서홀더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커버캔을 더 포함할 경우에는, 상기 커버캔은 후술할 렌즈부(110), 홀더부(130) 및 탄성유닛(미도시) 등을 수용하여 카메라 모듈(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캔은 내측면이 후술할 베이스의 측면부와 밀착하여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 오염물질 침투방지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상기 커버캔은 핸드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외부의 전파 간섭으로부터 카메라 모듈(100)의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캔은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버캔은 후술할 요크부 자체로 구현되거나, 요크부를 내측에 몰딩 처리하여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캔의 상측면은 렌즈부(110)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캔 상측면 하단부에는 상기 커버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이너요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측 모서리에 돌출되어 상기 커버캔의 내측면과 면접하거나 결합하는 한 개 이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돌기는 상기 커버캔의 체결을 용이하게 가이드 함과 동시에 체결 후 견고한 고정을 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커버캔의 체결편이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홈은 상기 체결편의 길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 외측면에 국부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체결편을 포함한 상기 커버캔 하단의 소정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외측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상기 접착제는 열경화성 에폭시 또는 UV 에폭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열 또는 UV의 노출에 의해 경화된다. 다만, 열경화성 에폭시를 사용하면 오븐에 이동하여 또는 직접 열을 가하여 경화하는 방식이며, UV(자외선) 에폭시를 사용하면 상기 접착제에 UV(자외선)를 가하여 경화하는 방식이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열경화와 UV(자외선)경화가 혼용될수 있는 에폭시일수 있으며, 열경화나 UV(자외선)경화 모두 가능하여 이중에 어느 한가지로 선택하여 경화될 수 있는 에폭시일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에폭시에 한하지 않으며 접착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든 대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렌즈부에 일체형의 광조절유닛을 구비할 수도 있으나, 다음과 같이 렌즈부 사이 또는 상기 렌즈부 상측에 광조절유닛을 장착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은 광조절유닛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생략되는 구성요소의 설명은 전술한 내용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렌즈 수용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광조절유닛의 하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는 렌즈 수용부(211) 상측면에 한 개 이상의 체결돌기(211a)가 형성되고, 상기 광조절유닛(220)에는 상기 체결돌기(211a)에 대응되는 체결홈(22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상측면부(212)는 상기 광조절유닛(220) 상측에 접착제로써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조절유닛(220)에 체결홈(225a)이 아닌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상측면부(212)는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어 돌출된 상기 체결돌기(211a)에 대응하는 장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다른 실시예는 렌즈 수용부(211) 사이에 광조절유닛(220)을 장착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광조절유닛(220)은 셔터부 또는 아이리스로써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조절유닛(220)이 셔터부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셔터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렌즈수용부에 체결되는 바디(225)와, 상기 바디(225)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레임부(222)와,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222)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부(2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광투과홀을 개폐하는 블레이드부(미도시)와, 상기 프레임부(222)를 구동시키는 구동부(221)와, 상기 구동부(221)와 기판(미도시)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인가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부(미도시)는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프레임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중단이 상기 바디(225)에 힌지 연결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광투과홀을 개폐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등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요컨대, 다른 실시예는 렌즈부에 광조절유닛(220)이 장착되는 것으로서, 셔터부로 구현되는 경우 바디(225)를 더 포함하며,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부(222) 및 블레이드부(미도시)가 상기 바디(225)의 일측에만 형성되어 렌즈부(210)에 장착되므로, 종래에 비해 소형화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200: 카메라 모듈 110, 210: 렌즈부
111, 211: 렌즈 수용부 112, 212: 상측면부
112a, 212a: 광투과홀 120, 220: 셔터부광조절유닛
121, 221: 구동부 122, 222: 프레임부
123: 블레이드부 123a: 회동부
123b: 블레이드 123c: 힌지축
130: 베이스
211a:체결돌기
225: 바디
225a: 체결홈

Claims (16)

  1.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렌즈가 수용되는 렌즈 수용부와, 상기 렌즈가 노출되는 광투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렌즈 수용부의 상측면에 배치되는 상측면부를 포함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시키는 홀더부;
    상기 상측면부와 렌즈 수용부 사이에 구비되는 광조절유닛; 및
    상기 광조절유닛에 전원을 인가하는 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광조절유닛은 상기 렌즈부에 인서트 몰딩되는 카메라 모듈.
  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절유닛은 셔터부로 구현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는,
    상기 상측면부에 형성된 광투과홀에 인접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레임부;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광투과홀을 개폐하는 블레이드부;
    상기 프레임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기판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인가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중단이 상기 상측면부에 힌지 연결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광투과홀을 개폐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등 간격으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절유닛은 아이리스로 구현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수용부 상측면에는 한 개 이상의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광조절유닛에는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면부는 상기 광조절유닛 상측에 접착제로써 체결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수용부 상측면에는 한 개 이상의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광조절유닛에는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면부는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어 돌출된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하는 장착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절유닛은 셔터부로 구현되는 카메라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렌즈수용부에 체결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레임부;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광투과홀을 개폐하는 블레이드부;
    상기 프레임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기판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인가부;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중단이 상기 바디에 힌지 연결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광투과홀을 개폐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등 간격으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절유닛은 아이리스로 구현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40000145A 2014-01-02 2014-01-02 카메라 모듈 KR102266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145A KR102266970B1 (ko) 2014-01-02 2014-01-02 카메라 모듈
KR1020210076807A KR102422321B1 (ko) 2014-01-02 2021-06-14 카메라 모듈
KR1020220086601A KR102618608B1 (ko) 2014-01-02 2022-07-13 카메라 모듈
KR1020230188842A KR20240001102A (ko) 2014-01-02 2023-12-21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145A KR102266970B1 (ko) 2014-01-02 2014-01-02 카메라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807A Division KR102422321B1 (ko) 2014-01-02 2021-06-14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720A true KR20150080720A (ko) 2015-07-10
KR102266970B1 KR102266970B1 (ko) 2021-06-18

Family

ID=5379255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145A KR102266970B1 (ko) 2014-01-02 2014-01-02 카메라 모듈
KR1020210076807A KR102422321B1 (ko) 2014-01-02 2021-06-14 카메라 모듈
KR1020220086601A KR102618608B1 (ko) 2014-01-02 2022-07-13 카메라 모듈
KR1020230188842A KR20240001102A (ko) 2014-01-02 2023-12-21 카메라 모듈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807A KR102422321B1 (ko) 2014-01-02 2021-06-14 카메라 모듈
KR1020220086601A KR102618608B1 (ko) 2014-01-02 2022-07-13 카메라 모듈
KR1020230188842A KR20240001102A (ko) 2014-01-02 2023-12-21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2669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958B1 (ko) 2017-09-29 2018-07-23 임회진 카메라 모듈용 조리개의 제조방법
CN110073286A (zh) * 2016-12-08 2019-07-30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光圈的相机模块以及包括该相机模块的电子装置
CN112824963A (zh) * 2019-11-20 2021-05-21 日本电产科宝株式会社 带叶片驱动装置的照相机模块以及叶片驱动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2046A (ja) * 2004-06-09 2005-12-22 Canon Inc 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171548A (ja) * 2004-12-17 2006-06-29 Seiko Precision Inc 駆動力伝達機構及び撮像装置
KR100788844B1 (ko) * 2005-07-12 2007-12-27 한국광기술원 자기적 짝힘을 이용한 카메라폰용 셔터
KR20100092820A (ko) * 2009-02-13 2010-08-2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20130124672A (ko) * 2012-05-07 2013-11-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523B1 (ko) 1999-06-17 2002-01-05 이형도 카메라의 감도 조절장치
JP3715252B2 (ja) 2002-05-17 2005-11-09 ニスカ株式会社 光量調整装置
JP5949001B2 (ja) * 2012-03-15 2016-07-06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レンズ交換式カメラの絞り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2046A (ja) * 2004-06-09 2005-12-22 Canon Inc 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171548A (ja) * 2004-12-17 2006-06-29 Seiko Precision Inc 駆動力伝達機構及び撮像装置
KR100788844B1 (ko) * 2005-07-12 2007-12-27 한국광기술원 자기적 짝힘을 이용한 카메라폰용 셔터
KR20100092820A (ko) * 2009-02-13 2010-08-2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20130124672A (ko) * 2012-05-07 2013-11-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3286A (zh) * 2016-12-08 2019-07-30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光圈的相机模块以及包括该相机模块的电子装置
EP3519891A4 (en) * 2016-12-08 2019-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MODULE WITH IR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WITH
US10509195B2 (en) 2016-12-08 2019-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module including aper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137569B2 (en) 2016-12-08 2021-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module including aper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0073286B (zh) * 2016-12-08 2021-11-09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光圈的相机模块以及包括该相机模块的电子装置
KR101880958B1 (ko) 2017-09-29 2018-07-23 임회진 카메라 모듈용 조리개의 제조방법
CN112824963A (zh) * 2019-11-20 2021-05-21 日本电产科宝株式会社 带叶片驱动装置的照相机模块以及叶片驱动装置
CN112824963B (zh) * 2019-11-20 2024-03-15 日本电产科宝株式会社 带叶片驱动装置的照相机模块以及叶片驱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2321B1 (ko) 2022-07-18
KR20240001102A (ko) 2024-01-03
KR102618608B1 (ko) 2023-12-28
KR20220103086A (ko) 2022-07-21
KR20210075932A (ko) 2021-06-23
KR102266970B1 (ko)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2470B2 (ja) レンズ駆動モータ
CN113341525B (zh)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以及光学装置
US20150153539A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422321B1 (ko) 카메라 모듈
KR20150064987A (ko) 렌즈구동모터
KR102471243B1 (ko) 렌즈구동모터
KR20150073368A (ko) 렌즈구동모터
KR102151246B1 (ko) 렌즈 구동 액추에이터
KR20150064471A (ko) 렌즈구동 액추에이터
KR102220729B1 (ko) 렌즈구동모터
KR20150073369A (ko) 렌즈구동모터
KR20150064997A (ko) 카메라 모듈
KR20150085305A (ko) 렌즈구동모터
KR102551233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374765B1 (ko) 렌즈 구동 액추에이터
KR102345956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301739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513612B1 (ko) 렌즈 구동 액추에이터
KR102490115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70111035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20000870A (ko) 렌즈구동모터
KR20160077904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150075848A (ko) 카메라 모듈
KR20210114362A (ko) 렌즈구동모터
KR20230006783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