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997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64997A KR20150064997A KR1020130150003A KR20130150003A KR20150064997A KR 20150064997 A KR20150064997 A KR 20150064997A KR 1020130150003 A KR1020130150003 A KR 1020130150003A KR 20130150003 A KR20130150003 A KR 20130150003A KR 20150064997 A KR20150064997 A KR 201500649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er
- stator
- hole
- bobbin
- b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8—Coatings for keeping optical surfaces clean, e.g. hydrophobic or photo-catalytic film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3—Protective lens closures or lens caps built into camera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실시예는 렌즈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부 측면에 배치된 제1 가동자와, 상기 제1 가동자의 측면에 상기 제1 가동자와 대향되어 위치하는 제2 가동자와, 상기 제2 가동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가동자의 하측에 대향되어 위치하며 상기 렌즈부와 대응되는 관통홀이 중앙에 형성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 및 제2 가동자를 지지하며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중공홀이 중앙에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고정자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자의 관통홀의 상측면과 내주면 및 상기 베이스의 중공홀의 내주면을 감싸는 이물방지캡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조가 개선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는바,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그 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및 전송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이 카메라 모듈이다.
근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토이(toy) 등의 다종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용으로 소형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F.F(Fixed Focus) 타입, A.F(Auto Focus)타입,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타입 등의 카메라 모듈로 대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모듈들은 공통적으로 침투되거나 생성되는 이물로부터 커버캔 내부의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한 개발이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상기 OIS 타입의 경우에는 손떨림 방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FPCB 등을 구비하는데, 카메라 모듈 내부에 맞는 형상으로 가공할 때 발생되거나 추후 발생되는 이물에 의해 이미지센서 등에 침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은 결과적으로 카메라 모듈의 품질 및 성능 저하를 야기하므로 문제가 될 수 있다.
실시예는 이미지센서 등이 이물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신뢰성이 향상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렌즈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부 측면에 배치된 제1 가동자와, 상기 제1 가동자의 측면에 상기 제1 가동자와 대향되어 위치하는 제2 가동자와, 상기 제2 가동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가동자의 하측에 대향되어 위치하며 상기 렌즈부와 대응되는 관통홀이 중앙에 형성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 및 제2 가동자를 지지하며 상기 제2 가동자의 관통홀에 대응되는 중공홀이 중앙에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고정자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자의 관통홀의 상측면과 내주면 및 상기 베이스의 중공홀의 내주면을 감싸는 이물방지캡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물방지캡은 상기 고정자의 관통홀과 상기 베이스의 중공홀의 내주면과 동일하거나 작은 지름으로 형성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 상측면에서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자의 상측면과 접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부와 플랜지부는 일체형으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방지캡은 상기 고정자의 관통홀의 상측면과 내주면 및 상기 베이스의 중공홀의 내주면에 접착제로써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동자는 상기 렌즈부를 고정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구비된 제1 코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동자는 상기 제1 코일부와 대향되게 배치된 마그넷부와 상기 마그넷부가 고정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자는 상기 마그넷부의 하측에 대향되게 위치되는 제2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를 상측면에 체결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FPC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코일부는 FP 코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동자 및 상기 제2 가동자에 복귀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보빈과 하우징의 하측면에 체결되는 하측 스프링과, 상기 보빈과 하우징의 상측면에 체결되는 상측 스프링과, 상기 보빈의 측면에 체결되는 측면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유닛은 판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부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FPCB의 하측면에 실장되는 홀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물방지캡을 구비하여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요소로부터 발생하는 이물의 이미지센서로의 침투를 방지하여 신뢰성이 향상된 카메라 모듈을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캔을 제외한 카메라 모듈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고정자 및 이물방지캡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방지캡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캔을 제외한 카메라 모듈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고정자 및 이물방지캡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방지캡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캔(100)을 제외한 카메라 모듈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500), 제2 가동자(300) 및 이물방지캡(600)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방지캡(600)의 사시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는 커버캔(100), 제1 가동자(200), 제2 가동자(300), 고정자(400), 베이스(500) 및 탄성유닛(7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은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인쇄회로기판, IR 필터, 이미지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캔(100)은 후술할 탄성유닛(700), 제1 가동자(200), 고정자(400) 및 제2 가동자(300)를 수용하여 베이스(500)에 장착됨으로써 렌즈구동모터의 외관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캔(100)은 내측면이 후술할 베이스(500)의 측면부 일부 또는 전부와 밀착하여 상기 베이스(500)에 장착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 오염물질 침투방지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상기 커버캔(100)은 핸드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외부의 전파 간섭으로부터 렌즈구동모터 또는 카메라모듈의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캔(100)은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버캔(100)은 후술할 요크부 자체로 구현되거나, 요크부를 내측에 몰딩 처리하여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캔(100)의 상측면은 렌즈부(미도시)가 노출되는 개구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캔(100) 상측면 하단부에는 상기 커버캔(100)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이너요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너요크는 후술할 보빈(210)에 형성된 요입부(213)에 위치될 수 있다. 이경우, 이너요크는 요크부의 상측면 개구부 주위의 모서리에 배치되거나, 측면에 배치될수 있으며, 보빈의 요입부는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캔(100)은 하단부 각각의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연장 형성된 체결편(1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베이스(500)에는 상기 체결편(120)이 삽입되는 체결홈(520)이 형성되어 렌즈구동모터의 더욱 견고한 밀폐 기능 및 체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체결편과 체결홈은 별도로 없을수도 있으며, 둘 중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가동자(200)는 렌즈부(미도시)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부 측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1 가동자(200)는 상기 렌즈부를 고정하는 보빈(210)과, 상기 보빈(210)의 외주면에 구비된 제1 코일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부(미도시)는 한 개 이상의 렌즈(미도시)가 구비된 렌즈 배럴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렌즈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빈(210)의 내주면은 렌즈부 외주면과 결합되어 상기 렌즈부를 고정한다. 또한, 상기 보빈(210)은 후술할 제1 코일부(220)가 권선되거나 장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11)가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211)는 상기 보빈(210)의 외측면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빈(210)의 외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210)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는 후술할 베이스(500)의 상측에 상기 보빈(210)이 지지할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측 스프링(710) 또는 하측 스프링(720)이 체결되는 스프링 체결돌기(2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210)에는 후술할 커버캔(100)의 이너요크가 상기 보빈(210)과 상기 보빈(210)에 권선된 제1 코일부(2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요입부(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코일부(220)는 상기 가이드부(211)에 가이드 되어 상기 보빈(210)의 외측면에 권선될 수도 있으나, 4 개의 개별적인 코일이 상기 보빈(210)의 외측면에 90°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코일부(220)는 후술할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받아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가동자(300)는 상기 제1 가동자(200)의 측면에 상기 제1 가동자(200)와 대향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1 코일부(220)와 대향되게 배치된 마그넷부(310)와, 상기 마그넷부(310)가 고정되는 하우징(3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그넷부(310)는 상기 제1 코일부(220)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320)에 접착제 등으로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320) 내부에서 4 개의 모서리에 등 간격으로 장착되어 내부 체적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0)은 렌즈구동모터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캔(10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20)은 절연재질로 형성되고, 생산성을 고려하여 사출물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OIS구동을 위해 움직이는 부분으로써 상기 커버캔과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320)은 커버캔(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정거리 이격하여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 하측이 개방되어 제1 가동자(2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20)은 측면에 상기 마그넷부(3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그넷부 체결홀(311) 또는 마그넷부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20)의 상측면에는 소정 간격 돌출 형성되어 외부 충격 시 상기 커버캔(100)의 상측면에 접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토퍼(312)가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312)는 상기 하우징(32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20)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는 후술할 베이스(500)의 상측에 상기 하우징(3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측 스프링(710) 또는 하측 스프링(720)이 체결되는 스프링 체결돌기(313)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자(400)는 상기 제2 가동자(300)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가동자(300)의 하측에 대향되어 위치하며, 상기 렌즈부와 대응되는 관통홀(411, 421)이 중앙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자(400)는 상기 마그넷부(310)의 하측에 대향되게 위치되는 제2 코일부(410)와, 상기 제2 코일부(410)를 상측면에 배치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420)일 수 있다.
상기 제2 코일부(410)는 후술할 베이스(500) 상측에 구비된 FPCB(420)에 실장되거나, FPCB 또는 기판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렌즈부(미도시)의 광 신호를 통과시키기 위해 중앙에 관통홀(41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렌즈구동모터의 소형화, 구체적으로, 광축 방향인 z축 방향으로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제2 코일부(410)는 패턴 코일(patterned coil)인 FP 코일로 형성되어 상기 FPCB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FPCB(420)는 상기 제2 코일부(41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500) 상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코일부(410)의 관통홀(411)과 대응되는 관통홀(4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FPCB(420)는 일단 또는 대향하는 양단이 절곡되어 베이스(500) 하측으로 돌출되는 단자부(422)를 포함하며, 이러한 단자부(422)로써 외부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상기 마그넷부(310)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FPCB(420)의 하측면 또는 상측면에 실장되는 홀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센서부는 상기 마그넷부(310)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인가되는 전압과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 및 위상을 센싱하며, FPCB(420)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액추에이터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홀센서부는 상기 마그넷부(310)와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일직선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x축 및 y축의 변위를 감지하여야 하므로, 상기 홀센서부는 상기 FPCB(420)의 모서리 중 인접한 두 개의 모서리에 각각 구비된 두 개의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500)에는 상기 홀센서를 수용할 수 있는 홀센서 수용홈(5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센서는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홀센서부는 상기 마그넷부(310) 보다 제2 코일부(410)에 인접하게 구비되나, 마그넷부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코일에서 형성되는 전자기장의 세기보다 몇 백배 큰 것을 감안하면, 마그넷부(310)의 이동 감지에 있어 제2 코일부(410)의 영향은 고려 대상이 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1 가동자(200), 제2 가동부 및 고정자(400)의 독립적 또는 유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렌즈부가 전 방향으로 이동되어 1 가동자(200), 제2 가동부 의 상호작용으로 피사체의 화상 초점을 포커싱하고, 제2 가동부 및 고정자(400)의 상호작용으로 손떨림 등을 보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500)는 상기 고정자(400) 및 제2 가동자(300)를 지지하며, 상기 관통홀(411, 421)에 대응되는 중공홀(510)이 중앙에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500)는 후술할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보호하는 센서홀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동시에 IR 필터(미도시)를 위치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IR 필터는 상기 베이스(500)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홀(5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필터(Infrared Ray Filter)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IR 필터는 예를 들어, 필름 재질 또는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촬상면 보호용 커버유리, 커버 글래스 등의 평판 형상의 광학적 필터에 적외선 차단 코팅 물질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외에 추가로 상기 베이스 하부에 별도의 센서홀더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500)는 상측 모서리에 돌출되어 상기 커버캔(100)의 내측면과 면접하는 또는 결합하는 한 개 이상의 고정돌기(5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돌기(530)는 상기 커버캔(100)의 체결을 용이하게 가이드 함과 동시에 체결 후 견고한 고정을 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는 두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500)는 상기 커버캔(100)의 체결편(120)이 삽입되는 체결홈(5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홈(520)은 상기 체결편(120)의 길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500) 외측면에 국부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체결편(120)을 포함한 상기 커버캔(100) 하단의 소정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500) 외측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자(400) 및 베이스(500)의 관통홀(411, 421) 및 중공홀(510)을 통해서 이물질이 들어갈 수 있으며, 이러한 이물질은 하측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각종 소자, 이미지센서 등을 오염시켜 렌즈구동모터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특히,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기능이 구비되는 경우, FP 코일 및/또는 FPCB(420)를 사용하게 되는데, 중앙부에 관통홀(411, 421)을 형성하고, 기타 렌즈구동모터에 따른 형상을 가공하게 되며, 이러한 가공으로 많은 이물이 발생하고, 가공 후 클리닝을 하더라도 이물이 잔존하게 되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물방지캡(6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물방지캡(600)은 상기 고정자(400)의 관통홀(411, 421)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자(400)의 관통홀(411, 421)의 상측면과 내주면 및 상기 베이스(500)의 중공홀(510)의 내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이물방지캡(600)은 상기 고정자(400)의 관통홀(411, 421)과 상기 베이스(500)의 중공홀(510)의 내주면과 동일하거나 작은 지름으로 형성된 원통부(610)와, 상기 원통부(610) 상측면에서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자(400)의 상측면과 접하는 플랜지부(6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원통부(610)와 플랜지부(6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두께의 최소화를 위해 얇은 플라스틱 또는 판재를 프레스 또는 사출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물방지캡(600)은 상기 고정자(400)의 관통홀(411, 421)의 상측면과 내주면 및 상기 베이스(500)의 중공홀(510)의 내주면에 접착제로써 부착되어 카메라 모듈 내부에서의 고정을 도모할 수 있으며, FP 코일 또는 FPCB(420)에서 더 이상의 이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는 상기 제1 가동자(200) 및 상기 제2 가동자(300)에 복귀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유닛(700)을 더 포함하며, 이러한 탄성유닛(700)은 생산의 효율성 및 렌즈구동모터의 소형화를 위하여 도시된 것과 같이 단일의 판재가 절곡 및 절단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유닛(700)은 상기 보빈(210)과 하우징(320)의 하측면에 체결되는 하측 스프링(720)과, 상기 보빈(210)과 하우징(320)의 상측면에 체결되는 상측 스프링(710)과, 상기 보빈(210)의 측면에 체결되는 측면 스프링(7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스프링(730) 중 두 개는 후술할 인쇄회로기판(미도시)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상측 스프링(710)으로 전달하고, 상기 상측 스프링(710)은 전달된 전원을 다시 제1 코일부(220)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두 개의 측면 스프링(730), 상측 스프링(710) 및 제1 코일부(2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측 스프링도 두개로 구성될 수 있어, 각각 두개의 단자 기능을 할수 있다.
요컨대, 상기 상측, 하측, 측면 스프링(710, 720, 730)은 각각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를 연결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벤딩부로써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1체결부는 하우징에 결합되는 부분이며, 2체결부는 보빈에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으며, 그 반대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베이스(500)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측면 중앙부에 이미지 센서(미도시)가 실장되어 있으며, 렌즈구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소자(미도시)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전술한 제1 가동자(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전술한 측면 스프링(7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미도시)는 상기 렌즈부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렌즈(미도시)와 광축 방향을 따라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면 중앙부에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는 렌즈를 통해 입사된 대상물의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게재되는 접착제는 열경화성 에폭시 또는 UV 에폭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열 또는 UV의 노출에 의해 경화된다. 다만, 열경화성 에폭시를 사용하면 오븐에 이동하여 또는 직접 열을 가하여 경화하는 방식이며, UV(자외선) 에폭시를 사용하면 상기 접착제에 UV(자외선)를 가하여 경화하는 방식이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열경화와 UV(자외선)경화가 혼용될수 있는 에폭시일수 있으며, 열경화나 UV(자외선)경화 모두 가능하여 이중에 어느 한가지로 선택하여 경화될 수 있는 에폭시일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에폭시에 한하지 않으며 접착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든 대체 가능하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커버캔 200: 제1 가동자
210: 보빈 220: 제1 코일부
300: 제2 가동자 310: 마그넷부
320: 하우징 400: 고정자
500: 베이스 600: 이물방지캡
610: 원통부 620: 플랜지부
700: 탄성유닛 710: 상측 스프링
720: 하측 스프링 730: 측면 스프링
210: 보빈 220: 제1 코일부
300: 제2 가동자 310: 마그넷부
320: 하우징 400: 고정자
500: 베이스 600: 이물방지캡
610: 원통부 620: 플랜지부
700: 탄성유닛 710: 상측 스프링
720: 하측 스프링 730: 측면 스프링
Claims (10)
- 렌즈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부 측면에 배치된 제1 가동자;
상기 제1 가동자의 측면에 상기 제1 가동자와 대향되어 위치하는 제2 가동자;
상기 제2 가동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가동자의 하측에 대향되어 위치하며, 상기 렌즈부와 대응되는 관통홀이 중앙에 형성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 및 제2 가동자를 지지하며, 상기 제2 가동자의 관통홀에 대응되는 중공홀이 중앙에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고정자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자의 관통홀의 상측면과 내주면 및 상기 베이스의 중공홀의 내주면을 감싸는 이물방지캡;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방지캡은,
상기 고정자의 관통홀과 상기 베이스의 중공홀의 내주면과 동일하거나 작은 지름으로 형성된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 상측면에서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자의 상측면과 접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와 플랜지부는 일체형으로 사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방지캡은 상기 고정자의 관통홀의 상측면과 내주면 및 상기 베이스의 중공홀의 내주면에 접착제로써 부착되는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자는 상기 렌즈부를 고정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구비된 제1 코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동자는 상기 제1 코일부와 대향되게 배치된 마그넷부와, 상기 마그넷부가 고정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자는 상기 마그넷부의 하측에 대향되게 위치되는 제2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를 상측면에 체결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FPCB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부는 FP 코일인 카메라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자 및 상기 제2 가동자에 복귀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유닛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보빈과 하우징의 하측면에 체결되는 하측 스프링;
상기 보빈과 하우징의 상측면에 체결되는 상측 스프링; 및
상기 보빈의 측면에 체결되는 측면 스프링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은 판스프링인 카메라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부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FPCB의 하측면에 실장되는 홀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0003A KR102153739B1 (ko) | 2013-12-04 | 2013-12-04 | 카메라 모듈 |
US14/560,386 US9720204B2 (en) | 2013-12-04 | 2014-12-04 | Motor for actuating lens |
CN201410729202.XA CN104698566B (zh) | 2013-12-04 | 2014-12-04 | 透镜驱动马达 |
CN202210278859.3A CN114690364B (zh) | 2013-12-04 | 2014-12-04 | 透镜驱动马达、摄像头模块和移动电话 |
CN201911135447.9A CN111308639B (zh) | 2013-12-04 | 2014-12-04 | 透镜驱动马达、摄像头模块和便携式终端 |
CN202410177644.1A CN117908213A (zh) | 2013-12-04 | 2014-12-04 | 透镜驱动马达、摄像头模块和移动电话 |
CN202210278254.4A CN114690363B (zh) | 2013-12-04 | 2014-12-04 | 透镜驱动马达、摄像头模块和移动电话 |
KR1020200111887A KR102303867B1 (ko) | 2013-12-04 | 2020-09-02 | 카메라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0003A KR102153739B1 (ko) | 2013-12-04 | 2013-12-04 | 카메라 모듈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1887A Division KR102303867B1 (ko) | 2013-12-04 | 2020-09-02 | 카메라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4997A true KR20150064997A (ko) | 2015-06-12 |
KR102153739B1 KR102153739B1 (ko) | 2020-09-09 |
Family
ID=53503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50003A KR102153739B1 (ko) | 2013-12-04 | 2013-12-04 | 카메라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3739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07249A1 (ko) * | 2015-07-09 | 2017-01-1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
KR20170036335A (ko) * | 2015-09-24 | 2017-04-03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
KR20170120392A (ko) * | 2016-04-21 | 2017-10-3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
WO2022131586A1 (ko) * | 2020-12-17 | 2022-06-23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코일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WO2022146127A1 (ko) * | 2021-01-04 | 2022-07-0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코일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US12013589B2 (en) | 2016-03-08 | 2024-06-18 | Lg Innotek Co., Ltd.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1612B1 (ko) * | 2005-10-28 | 2006-12-26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US20080259470A1 (en) * | 2007-04-19 | 2008-10-23 | Chung Huang Tien | Voice coil type lens drive assembly |
US20100060774A1 (en) * | 2006-02-24 | 2010-03-11 | Nidec Sankyo Corporation | Lens drive device |
KR20110078492A (ko) * | 2009-12-31 | 2011-07-0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보이스 코일 모터 |
KR20120044631A (ko) * | 2010-10-28 | 2012-05-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위치 조정이 가능한 광학 요소를 구비한 광학 장치 |
JP2012238029A (ja) * | 2009-11-17 | 2012-12-06 | Tdk Taiwan Corp | レンズ駆動装置 |
-
2013
- 2013-12-04 KR KR1020130150003A patent/KR10215373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1612B1 (ko) * | 2005-10-28 | 2006-12-26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US20100060774A1 (en) * | 2006-02-24 | 2010-03-11 | Nidec Sankyo Corporation | Lens drive device |
US20080259470A1 (en) * | 2007-04-19 | 2008-10-23 | Chung Huang Tien | Voice coil type lens drive assembly |
JP2012238029A (ja) * | 2009-11-17 | 2012-12-06 | Tdk Taiwan Corp | レンズ駆動装置 |
KR20110078492A (ko) * | 2009-12-31 | 2011-07-0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보이스 코일 모터 |
KR20120044631A (ko) * | 2010-10-28 | 2012-05-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위치 조정이 가능한 광학 요소를 구비한 광학 장치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07249A1 (ko) * | 2015-07-09 | 2017-01-1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
US10571643B2 (en) | 2015-07-09 | 2020-02-25 | Lg Innotek Co., Ltd. |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
US11567286B2 (en) | 2015-07-09 | 2023-01-31 | Lg Innotek Co., Ltd. |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
US12066680B2 (en) | 2015-07-09 | 2024-08-20 | Lg Innotek Co., Ltd. |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
KR20170036335A (ko) * | 2015-09-24 | 2017-04-03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
US12013589B2 (en) | 2016-03-08 | 2024-06-18 | Lg Innotek Co., Ltd.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
KR20170120392A (ko) * | 2016-04-21 | 2017-10-3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
WO2022131586A1 (ko) * | 2020-12-17 | 2022-06-23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코일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WO2022146127A1 (ko) * | 2021-01-04 | 2022-07-0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코일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3739B1 (ko) | 2020-09-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698566B (zh) | 透镜驱动马达 | |
KR102131420B1 (ko) | 렌즈구동모터 | |
KR102556051B1 (ko) | 렌즈구동모터 | |
KR20150064997A (ko) | 카메라 모듈 | |
KR102163005B1 (ko) | 렌즈구동모터 | |
KR102220729B1 (ko) | 렌즈구동모터 | |
KR20240034733A (ko) |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 |
KR20150071354A (ko) | 렌즈 구동 액추에이터 | |
KR20150064471A (ko) | 렌즈구동 액추에이터 | |
KR102105697B1 (ko) | 렌즈구동모터 | |
KR102303867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484016B1 (ko) | 렌즈구동모터 | |
KR102337914B1 (ko) | 렌즈구동모터 | |
KR102301739B1 (ko) | 렌즈구동모터 | |
KR102218958B1 (ko) | 렌즈구동모터 | |
KR102189910B1 (ko) | 렌즈구동모터 | |
KR102345956B1 (ko) | 렌즈구동모터 | |
KR102489147B1 (ko) | 렌즈구동모터 | |
KR20200141423A (ko) | 렌즈구동모터 | |
KR20200066273A (ko) | 렌즈구동 액추에이터 | |
KR20150033103A (ko) | 카메라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