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536A - 열전 모듈 및 이러한 모듈을 구비한 열 교환기 - Google Patents

열전 모듈 및 이러한 모듈을 구비한 열 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536A
KR20150080536A KR1020157013401A KR20157013401A KR20150080536A KR 20150080536 A KR20150080536 A KR 20150080536A KR 1020157013401 A KR1020157013401 A KR 1020157013401A KR 20157013401 A KR20157013401 A KR 20157013401A KR 20150080536 A KR20150080536 A KR 20150080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electric
heat exchange
cars
hot
thermoelectric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4322B1 (ko
Inventor
패트릭 보이셀르
사무엘 브리
카멜 아조우즈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ublication of KR20150080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3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heat-exchanging means at the jun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25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 F28F3/027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with openings, e.g. louvered corrugated fins; Assemblies of corrugated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28F13/12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by creating turbulence, e.g. by stirring, by increasing the force of circulation
    • H01L35/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68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2275Thermoelectric converters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consisting of zig-zag shaped fins
    • F28F1/128Fins with openings, e.g. louvered f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 구배의 존재 하에서 전류가 발생되는 것을 허용하는 열전 요소(15)와 유체가 통과하도록 의도된 열 교환 장치(20)를 구비한, 특히 자동차용의 열전 모듈(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 교환 장치는 제 1 일련의 상기 열전 요소(15)와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제 1 면(21), 제 2 일련의 상기 열전 요소(15)와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제 2 면(22), 및 상기 제 1 및 제 2 면(21, 22)과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유체와의 열 교환수단(25)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열전 모듈(10)을 구비한 열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전 모듈 및 이러한 모듈을 구비한 열 교환기{THERMOELECTRIC MODULE AND HEAT EXCHANGER INCLUDING SUCH A MODULE}
본 발명은, 특히 열 교환기의 부분을 형성하도록 의도된, 열전 모듈에 관한 것이다.
두 개의 대향하는 면 사이의 온도 구배(temperature gradient)의 존재 하에서 전류 발생을 허용하는 열전 요소(thermoelectric elements)를 사용하는 열전 모듈(thermoelectric module)은, 제벡 효과(Seebeck effect)라고 알려진 현상을 사용하여 이미 제안되었다. 이러한 모듈은, 엔진 배기 가스의 순환용으로 의도된 제 1 튜브 및 냉각 회로 내의 열 전도 유체의 순환용으로 의도된 제 2 튜브의 적층체(stack)로부터 형성되는 번들(bundle)을 포함한다. 열전 요소는, 고온의 배기 가스와 저온의 냉각 유체 사이의 온도 차이로부터 발생되는 온도 구배에 노출되도록 튜브 사이에 끼워진다.
이러한 모듈은 엔진 배기 가스로부터 발생하는 열의 변환으로부터의 전기 생산을 허용하기 때문에 특히 유용하다. 따라서 그들은, 엔진의 크랭크샤프트(crankshaft)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보통 그 안에 제공되는, 교류 발전기(alternator)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체함에 의해, 차량의 연료 소비를 절감시킬 가능성을 제공한다.
손실 열의 다른 근원은, 예를 들어, 차량의 전면에 모이는 공기와 같은 다른 냉각원(cooling source) 뿐 아니라 내연 기관을 가진 차량 상에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열전 모듈은, 특히 공기로부터 냉각 에너지를 회수하기 위한, 이러한 유체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도록 제안한다.
본 발명은, 온도 구배의 존재 하에서 전류의 발생을 허용하는 열전 요소 및 유체가 통과하도록 의도된 열 교환 장치를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열전 모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제 1 일련의 상기 열전 요소와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제 1 면, 제 2 일련의 상기 열전 요소와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및 제 2 면과의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유체와의 열 교환수단(means for exchanging heat)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한된 공간 내에서, 열전 요소와 상기 유체에 의해 규정되는 발열 또는 냉각 근원 중 하나 사이의 접촉을 최적화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일정한, 급격한 온도 구배를 획득하는 것이 더욱 쉽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 교환수단은, 유체와 접촉하도록 의도되고 제 1 면 및/또는 상기 제 2 면의 표면보다 훨씬 더 넓은 표면을 갖는 구역(zone)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훨씬 더 넓은”은 적어도 다섯 배 큰, 특히 10배 큰 영역을 의미한다. 이 영역은 본 발명의 모듈과 그것을 통과하는 유체 사이의 열 교환, 특히 냉각 에너지의 회수를 향상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열 교환 장치는 상기 제 1 면을 포함하는 제 1 핀, 및/또는 상기 제 2 면을 포함하는 제 2 핀을 포함한다. 제 1 및/또는 제 2 핀은, 한 측면 상의 열 교환수단 및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제 2 측면 상의 열전 요소와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일 부분을 포함한다.
유익하게는, 상기 제 1 및 제 2 핀은 서로 평행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 교환수단은 상기 제 1 핀 및 상기 제 2 핀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교환수단은 상기 제 1 핀 및 상기 제 2 핀에 특히 브레이징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열 교환수단은 유체 유동을 방해하도록 의도된다. 유체의 방해는 열 교환, 특히 냉각 에너지 회수를 향상시킨다.
유익하게는, 상기 열 교환수단은 개재 요소(interposed element)를 포함한다. 상기 설명의 연장선에서, 개재 요소는 특히, 유체와 접촉하도록 의도되고 열전 요소와 접촉하는 핀의 표면보다 훨씬 더 넓은 영역을 갖는 표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개재 요소는 파형부(undulations)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개재 요소는 유체 유동을 혼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유익하게는, 유체를 혼란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루버(louvres)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열 교환수단은 “편위된(offset)” 배플(baffle)의 형태를 취한다. 다시 말해, 그것은 배플의 연장 방향에서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파도 모양 재료의 스트립들(strips)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립들은, 스트립들 중 한 스트립의 파형부로부터 인접한 스트립의 파형부까지의 상기 유체를 위한 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방향에서 서로에 대하여 편위된다. 따라서 파형부는 서로에 대해 편위되고, 열 교환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체 유동을 혼란시킨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듈은 고온 튜브와, 상기 고온 튜브 및 열전 요소의 능동 면(active face)과 열 교환 관계에 있는 고온 핀을 포함한다.
유익하게는, 상기 열 교환 장치는 상기 고온 핀을 보호하는 열적 차폐막(thermal screen)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그것은 상기 고온 핀을 보호하는 열적 차폐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핀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고온 튜브는 종축 연장 방향(longitudinal extension direction)을 갖는 제 1 및/또는 제 2 면을 통과하고, 상기 모듈은, 종축 연장 방향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된 두 개의 상기 고온 튜브와 상기 종축 연장 방향으로 이격된 또 다른 두 개의 상기 고온 튜브 사이에 분리된 열 교환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정의된 열전 모듈을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열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수반하여, 오직 예시적으로 주어지고 제한적으로 의도되지 않은 하기의 설명에 비추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모듈을 포함하는 교환기의 제 1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의 제 2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모듈의 일부의 사시도,
도 3은 특정한 부분이 생략된 도 2의 열전 모듈의 일부의 사시도.
도 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 1 기능으로, 제 1 고온 유체와 제 2 저온 유체 사이의 열 교환을 허용하는 번들(1)을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열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는 그것의 유입구에서 두 개의 유체를 수용하도록 의도되고, 제 1 (또는 고온) 유체는 제 2 (또는 저온) 유체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다.
고온 유체는 차량 엔진의 냉각 루프로부터의 냉각 유체일 수도 있고, 저온 유체는 차량의 전면으로부터 그것의 라디에이터(radiator)를 통한 주변 공기의 유동일 수도 있다. 그러나 유체의 다른 유형, 특히 고온 유체의 다른 유형도 가능하다. 특히, 이 유체들은 그들의 냉각 및/또는 상 변화(phase change)를 허용하기 위하여, 그것의 회로가 차량의 전면을 거쳐 지나가는 고온 유체일 수도 있다.
교환기는 특히, 고온 유체가 제 1 방향(3으로 표시된 화살표에 의해 도시됨)으로 교환기를 통과하고 저온 유체가 특히 제 1 방향(3)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방향(2로 표시된 화살표에 의해 도시됨)으로 교환기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교환기는 고온의 액체를 번들(1) 안으로 분배하도록 및/또는 상기 번들(1)로부터 나오는 상기 고온 유체를 수집하도록 콜렉터 박스(collector boxes)(4)와 끼워 맞춰진다.
여기에서 콜렉터 박스(4)는 고온 유체가 U자 형상으로 순환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부 콜렉터 박스(4)는 박스를 두 부분으로 나누는 내부 격벽(internal partition)(도시되지 않음)을 갖고, 각 부분은 고온 유체용 유입구/배출구 튜브를 갖는다. 따라서 고온 유체는 유입구 튜브를 통해 상부 콜렉터 박스의 제 1 부분 안으로 침투하고, 번들의 제 1 부분을 지나 방향(3)으로 번들을 통해 하향 이동하고, 하부 콜렉터 박스(4)에 의해 수집되어, 번들의 다른 부분 안으로 분배된다. 유체는 그 다른 부분을 통해 방향(3)으로 상향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상부 콜렉터 박스(4)의 제 2 부분에 의해 수집되어 그것의 배출구 튜브를 거쳐 교환기로부터 방출된다.
번들은 예를 들어 대략 평행육면체의 형태를 갖는다. 콜렉터 박스(4)는 평행사변형의 두 개의 대향하는 측변(opposing sides) 상에 위치한다. 번들은 박스들(4)을 연결하는 두 개의 제 1 대향 면(5) 및 두 개의 제 2 대향 면(6)을 갖는다. 교환기는 저온 유체 유동이 제 1 면(5)에 대해 수직하도록 구성된다. 저온 유체 유동의 방향(2)에서 번들의 치수 또는 그것의 깊이는, 예를 들어, 번들의 다른 치수, 다시 말해 그것의 너비 및 높이, 즉 제 1 면(5)의 치수보다 작다.
이렇게 구성된 교환기는 예를 들어 차량의 전면에 장착되도록 의도된다. 그러나 교환기가 차량 내의 다른 위치에 놓일 수도 있다.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는, 차량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의도된 채로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교환기는 온도 구배의 존재 하에서 전류의 발생을 허용하는 열전 요소(도 2 및 3 에서 15로 표시됨)를 포함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능동 면이라고 불리는 열전 요소의 두 개의 대향하는 면 사이의 상기 구배에 노출될 때 제벡 효과(Seebeck effect)를 사용하여 전류를 발생시키는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형태의 요소다. 이러한 요소는 상기 능동 면 사이에 연결된 전하(a charge)에서 전류의 발생을 허용한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식으로, 이러한 요소는 예를 들어 비스무트(bismuth)와 텔루륨(tellurium)(Bi2Te3)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번들은, 고온 유체와 저온 유체 사이의 상기 열 교환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제 1 구역(7) 및 상기 전류의 발생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제 2 구역(8)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구역(7) 내에서 종래의 열 교환 기능(저온 유체는 고온 유체를 냉각시키고 고온 유체는 저온 유체를 가열시킴)을 수행하고, 또한 제 2 구역(8) 내에서 열을 전류로 변환시키는 양 기능을 수행하는 교환기가 형성된다.
도 1a에서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구역(8)은 바람직하게는 유입구/배출구 파이프를 포함하는 콜렉터 박스(4), 여기에서는 상부 콜렉터 박스(4)에 연결된 번들(1)의 부분 내에서 제공된다.
도 1b에서 도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구역(7)과 제 2 구역(8)은 고온 유체의 유동 방향으로 평행하게 제공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체는 콜렉터 박스(4) 중 하나를 통해 들어가고 콜렉터 박스(4) 중 다른 하나를 통해 방출된다.
변형예(도시되지 않음)에서, 상기 교환기는 열을 전류로 변환하는데에 완전히 전념한다. 그 후 그것은 고온 유체와 저온 유체 사이에서의 온도 구배를 감소시키기 보다는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 교환기는 제 2의 열 교환기 구역에 위치한 열전 모듈(10)을 포함한다.
도 2 및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전 모듈은 열전 요소(15) 및 열 교환기 장치(20)를 포함하고, 저온 유체가 열 교환기 장치를 통과하도록 의도된다. 장치(20)는, 제 1 일련의 상기 열전 요소(15)와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제 1 면(21), 제 2 일련의 상기 열전 요소(15)와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제 2 면(22), 및 상기 제 1 및 제 2 면(21, 22)과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저온 유체와의 열 교환수단(25)을 포함한다. 열 교환수단(25)은 유체와의 넓은 영역 접촉(large area contact)을 보장하여, 제 1 및 제 2 면(21, 22)을 통해 열전 요소(15)에서 온도 구배의 유지를 증진시킨다.
제 1 및 제 2 면(21, 22)은 종축 연장 방향(longitudinal extension direction)(D)을 갖고, 고온 튜브(30)는 그들과 열적 관계 없이 그들을 통과한다. 고온 튜브(30)는 예를 들어, 서로 평행한 직사각형 형태이고, 고온 유체의 관통을 허용한다. 고온 튜브(30)는 그들의 각각의 단부에서 콜렉터 박스 상에, 예를 들어 상기 박스의 콜렉터 플레이트에 제공되는 관통 오리피스(passage orifices)를 거쳐 콜렉터 박스 안으로 개방한다. 교환기는 상기 제 1 및 제 2 면의 종축 연장 방향에 있어서 두 개의 인접한 고온 튜브(30) 사이에 분리된 열 교환수단(25)을 포함한다.
고온 튜브(30)는 고온 튜브(30)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탄한 고온 핀(33)과 열적 교환 관계에 있고, 상기 고온 튜브(30)는 고온 핀(33)을 통과한다. 고온 핀(33)은, 예를 들어 크림핑에 의해, 고온 튜브(30) 상에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 교환 장치(20)는 상기 고온 핀(33)에 평행으로, 즉 고온 튜브(30)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고온 핀(32)은 두 개의 인접한 열 교환 장치(20) 사이에서 연장된다. 고온 핀(33)의 제 1 면은 제 1 장치(20)의 제 1 면(21)에 대면하고, 고온 핀(33)의 제 1 면에 맞은편인 고온 핀(33)의 제 2 면은 제 1 장치에 인접한 제 2 장치(20)의 제 2 면(22)에 대면하게 위치한다. 따라서 동일한 고온 핀(33)이, 고온 핀(33)의 제 1 면과 제 1 장치(20)의 제 1 면(21) 사이에 위치한 제 1 일련의 열전 요소(15), 및 고온 핀(33)의 제 2 면과 제 1 장치에 인접한 제 2 장치(20)의 제 2 면(22) 사이에 위치한 제 2 일련의 열전 요소(15)와 열 교환 관계에 있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장치(20)의 제 1 면(21)은 제 1 고온 핀(33)에 대면하여 위치하고, 제 1 일련의 열전 요소(15)는 제 1 면(21)과 고온 핀(33) 사이에 배치된다. 동일한 장치(20)의 제 2 면(22)은 제 1 핀에 인접한 또 다른 고온 핀(33)에 대면하게 위치하고, 제 2 일련의 열전 요소(15)는 장치(20)의 제 2 면(22)과 상기 또 다른 고온 핀(33) 사이에 배치된다. 열 교환수단(25)은, 특히 저온 유체의 냉각 에너지를 제 1 면(21)과 제 2 면(33)에 전달하기 위하여, 제 1 면(21)과 제 2 면(22)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장치(20) 및 고온 핀(33)은 교대로 적층된다.
여기에서 제 1 및 제 2 면(21, 22)과 열전 요소(15) 사이에는 한 층의 기판(a layer of substrate)(50)이 제공된다. 기판(50)은 예를 들어 열전 요소(15)를 수용한다. 기판(50)은, 열을 열전 요소(15)에 분배하기 위하여, 전기 절연성 및 열 전도성 재료로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면(21, 22)이 열전 요소(15)와 열 교환 관계에 있는 것은 특히 기판(50)을 통한 것이다. 상기 기판(50)은 열전 요소들(15)을 직렬로 및/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전기 트랙(electric tracks)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판(50)은 또한 고온 핀(33)과 열전 요소(15)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열 교환 장치(20)는 저온 유체 및 열전 요소(15)와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제 1 및 제 2 핀(31, 32)을 포함한다. 제 1 핀(31)은 장치의 제 1 면(21)과, 열 교환수단(25)에 접촉하는 맞은편의 면을 포함하고, 제 2 핀(32)은 장치의 제 2 면(22)과, 열 교환수단(25)에 접촉하는 맞은편의 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핀(31, 32)은 서로 평행하고, 고온 핀(33)에 대해 평행하다.
열 교환수단(25)은 제 1 핀(31)과 제 2 핀(32) 사이에 배치된다. 열 교환수단(25)은, 저온 유체와 접촉하도록 의도되고 제 1 면(21) 및/또는 상기 제 2 면(22)의 표면보다 훨씬 더 큰, 특히 적어도 5배 더 큰 표면을 갖는 구역을 포함한다. 이 구역은, 저온 유체와 장치(20) 사이의 열 교환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저온 유체가 장치(20)를 통과할 때 저온 유체의 유동을 혼란시키도록 의도된다.
여기에서 열 교환수단(25)은 개재 요소(40), 및 특히 여러 개의 개재 요소(40)를 포함한다. 파도 모양인, 즉 파형부를 포함하는 개재 요소(30)는 제 1 및 제 2 면(21, 22) 사이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여기에서 개재 요소는 제 1 및 제 2 핀(31, 32) 사이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그들의 파형부의 피크(peaks)를 통해 제 1 및 제 2 핀(31, 32)과 접촉한다. 본 발명의 열전 모듈(10)은 저온 유체 유동이 개재 요소(40)의 파형부의 절첩부(fold) 사이로 지나가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개재 요소(40)는, 그들의 파형부의 피크가 튜브(30) 및 핀(31, 32, 33)의 종축 연장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지향된다. 개재 요소(40)는 예를 들어 브레이징에 의해 제 1 및 제 2 핀(31, 32)에 조립된다.
도 2 및 3에서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개재 요소(40)는 유체 유동을 혼란시키기 위한 수단(45)을 포함한다. 유체 유동을 혼란시키기 위한 이러한 수단(45)은 절첩부에서 제공되어 파형부의 피크들을 연결시키는 루버(louvres)(46)를 포함한다. 루버(46)는, 특히 저온 유체가 장치(20)를 통과할 때 저온 유체의 경로(path)를 연장하고 개재 요소(40)와의 열 교환을 증가시키는 목적으로, 한 파형부로부터 다른 파형부로 저온 유체 유동의 통로를 허용하는 슬롯(slots)이다.
개재 요소(40)는, 제 1 및 제 2 면(21, 22)의 종축 연장 방향(D)의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분리된 층으로 나누어질 수도 있다. 두 층 중 제 1 층은 장치(20) 내로의 저온 유체의 유입구에 위치하는 반면, 두 층 중 제 2 층은 장치(20)로부터의 저온 유체의 배출구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 따르면, 상기 열 교환수단(25)은, “편위된” 배플의 형태를 취하고, 연장 방향,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면(21, 22)의 종축 연장 방향(D)으로,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파도 모양 재료의 스트립들(strips)을 포함한다. 이 스트립들은, 스트립 중 한 스트립의 파형부로부터 인접한 스트립의 파형부로 저온 유체를 위한 통로를 제공하도록 연장 방향으로 서로 편위된다. 이런 방식으로 저온 유체 유동을 혼란시키고 따라서 열 교환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두 개의 파형부 사이에 재료의 편위가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열 교환 장치(20)는 고온 핀(33)을 보호하는 열적 차폐막(thermal screen)(36)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고온 핀(33)을 보호하는 열적 차폐막(36)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제 1 및 제 2 핀(31, 32)이다.
제 1 및 제 2 핀(31, 32)은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면(21, 22)의 방향으로 융기된 주변 엣지(peripheral edge)(37)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장치(20)의 제 1 핀(31)의 융기된 주변 엣지(37)는 제 1 장치에 인접한 제 2 장치(20)의 제 2 핀(32)의 융기된 주변 엣지(37)에 대면하여, 융기된 주변 엣지(37) 중 하나가 다른 주변 엣지와 접촉 및/또는 중첩하게 된다. 이러한 중첩은 저온 유체가 고온 핀(33)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융기된 주변 엣지(37)는 저온 유체를 장치(20)의 내부를 향해, 즉 제 1 및 제 2 면(21, 22) 사이로 안내하여, 저온 유체가 열 교환수단(25)을 거쳐 지나가게 한다. 다시 말해, 융기된 주변 엣지(37)는 고온 핀(33)의 엣지를 덮는다.
일반적으로, 핀은, 두 개의 대향하는 평탄한 넓은 표면을 갖고, 그것의 너비 및 길이보다 두께가 훨씬 얇은 요소를 의미한다. 따라서 그들의 능동 면에서, 상기 넓은 표면과 열전 요소(15) 사이에 넓은 영역 접촉을 만든다. 핀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및/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다.

Claims (15)

  1. 온도 구배의 존재 하에서 전류의 발생을 허용하는 열전 요소(15), 및 유체가 통과하도록 의도된 열 교환 장치(20)를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열전 모듈(10)로서,
    상기 장치는 제 1 일련의 상기 열전 요소(15)와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제 1 면(21), 제 2 일련의 상기 열전 요소(15)와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제 2 면(22), 및 상기 제 1 및 제 2 면(21, 22)과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유체와의 열 교환수단(25)을 포함하는
    자동차용의 열전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수단(25)은, 상기 유체와 접촉하도록 의도되고 상기 제 1 면(21) 및/또는 상기 제 2 면(22)의 표면보다 훨씬 더 넓은 표면을 갖는 구역을 포함하는
    자동차용의 열전 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장치(20)는 상기 제 1 면(21)을 포함하는 제 1 핀(31), 및/또는 상기 제 2 면(22)을 포함하는 제 2 핀(32)을 포함하는
    자동차용의 열전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핀(31, 32)은 서로 평행한
    자동차용의 열전 모듈.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수단(25)은 상기 제 1 핀(31)과 상기 제 2 핀(32) 사이에 배치되는
    자동차용의 열전 모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수단(25)은 상기 유체 유동을 혼란시키도록 의도되는
    자동차용의 열전 모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수단(25)은 개재 요소(40)를 포함하는
    자동차용의 열전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 요소(40)는 파형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의 열전 모듈.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 요소(40)는 상기 유체 유동을 혼란시키기 위한 수단(45)을 포함하는
    자동차용의 열전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유체 유동을 혼란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45)은 루버(louvres)(46)를 포함하는
    자동차용의 열전 모듈.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수단(25)은 하나의 연장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파도 모양 재료의 스트립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립들은, 상기 스트립들 중 한 스트립의 파형부로부터 인접한 스트립의 파형부로의 상기 유체를 위한 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방향에서 서로에 대해 편위된
    자동차용의 열전 모듈.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모듈(10)은 고온 튜브(30)와, 상기 고온 튜브(30) 및 상기 열전 요소(15)의 능동 면과 열 교환 관계에 있는 고온 핀(33)을 포함하는
    자동차용의 열전 모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장치(20)는 상기 고온 핀(33)을 보호하는 열적 차폐막(36)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자동차용의 열전 모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튜브(30)는 종축 연장 방향(D)을 갖는 상기 제 1 및 제 2 면(21, 22)을 통과하고,
    상기 열전 모듈(10)은, 상기 종축 연장 방향(D)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된 두 개의 상기 고온 튜브(30)와 상기 종축 연장 방향(D)으로 이격된 또 다른 두 개의 상기 고온 튜브(30) 사이에, 분리된 열 교환수단(25)을 포함하는
    자동차용의 열전 모듈.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전 모듈(10)을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열 교환기.
KR1020157013401A 2012-10-25 2013-10-22 열전 모듈 및 이러한 모듈을 구비한 열 교환기 KR101704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60196 2012-10-25
FR1260196A FR2997482B1 (fr) 2012-10-25 2012-10-25 Module thermo electrique et echangeur de chaleur comprenant un tel module.
PCT/EP2013/072044 WO2014064089A1 (fr) 2012-10-25 2013-10-22 Module thermo electrique et echangeur de chaleur comprenant un tel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536A true KR20150080536A (ko) 2015-07-09
KR101704322B1 KR101704322B1 (ko) 2017-02-07

Family

ID=47557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401A KR101704322B1 (ko) 2012-10-25 2013-10-22 열전 모듈 및 이러한 모듈을 구비한 열 교환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912704A1 (ko)
KR (1) KR101704322B1 (ko)
CN (1) CN105190922A (ko)
FR (1) FR2997482B1 (ko)
WO (1) WO20140640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6475B1 (fr) * 2014-09-30 2019-03-22 Valeo Systemes Thermiques Echangeur de chaleur,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CN107741173A (zh) * 2017-11-29 2018-02-27 上海宝钢节能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利用工厂废气、废汽、废液余热的多通道换热器
KR102400223B1 (ko) * 2017-12-21 2022-05-2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열교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23763A2 (en) * 2000-02-09 2001-08-16 Sanden Corporation Heat exchangers and fins for heat exchanger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907919B2 (en) * 2003-07-11 2005-06-2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Heat exchanger louver fin
EP1906463A2 (en) * 2006-09-29 2008-04-02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Thermoelectric heat exchanger
EP2262018A2 (de) * 2009-06-10 2010-12-15 Behr GmbH & Co. KG Thermoelektrisch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thermoelektrischen 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1747B1 (fr) * 2000-07-11 2002-10-11 Air Liquide Ailette d'echange thermique pour echangeur de chaleur a plaques brasees, et echangeur de chaleur correspondant
AU2002225448B2 (en) * 2001-01-22 2006-03-02 Showa Denko K.K. Inner fin for heat exchanger flat tubes and evaporator
US20040173344A1 (en) * 2001-05-18 2004-09-09 David Averous Louvered fins for heat exchanger
JP4719747B2 (ja) * 2005-08-31 2011-07-0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Egrガス発電装置
EP2552747A1 (de) * 2010-03-30 2013-02-06 Behr GmbH & Co. KG Temperierelement und temperier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23763A2 (en) * 2000-02-09 2001-08-16 Sanden Corporation Heat exchangers and fins for heat exchanger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907919B2 (en) * 2003-07-11 2005-06-2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Heat exchanger louver fin
EP1906463A2 (en) * 2006-09-29 2008-04-02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Thermoelectric heat exchanger
EP2262018A2 (de) * 2009-06-10 2010-12-15 Behr GmbH & Co. KG Thermoelektrisch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thermoelektrischen 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90922A (zh) 2015-12-23
FR2997482B1 (fr) 2018-07-27
WO2014064089A1 (fr) 2014-05-01
FR2997482A1 (fr) 2014-05-02
KR101704322B1 (ko) 2017-02-07
EP2912704A1 (fr)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5301B2 (ja) 熱交換器
EP0627065B1 (en) Heat exchanger assembly
US20150167532A1 (en) Cooling module for vehicle
KR101435669B1 (ko) 열전발전 열교환기 및 열전발전 모듈
US20130045411A1 (en) Cooling device
US20140246185A1 (en) Heat Exchanger With Stacked Plates
US20090025915A1 (en) Heat exchanger for egr-gas
KR20110073101A (ko) 차량용 열전 발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쿨링모듈
US20090078399A1 (en) Combined heat exchanger
KR101704322B1 (ko) 열전 모듈 및 이러한 모듈을 구비한 열 교환기
JP5939143B2 (ja) 熱電発電装置
US20100319887A1 (en) Heat-exchanging device and motor vehicle
KR101435667B1 (ko) 차량용 열전발전장치
US20150136193A1 (en) Hybrid Device Comprising A Thermoelectric Module, Notably Intended To Generate An Electric Current In A Motor Vehicle, And A Heat Heat Exchanger
WO2012132068A1 (ja) 熱媒体加熱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用空調装置
CN104236176A (zh) 用于车辆的冷却模块
KR20110118615A (ko) 내부 연소엔진의 배기가스 냉각기
JP5954103B2 (ja) 熱電発電装置
JP2018105573A (ja) 伝熱装置
JP5766993B2 (ja) 車両用マルチ冷却装置
JP2009272137A (ja) 熱交換器
US10971670B2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device
JP2006258354A (ja) 熱交換部品
WO2016063477A1 (ja) 蓄熱部材
CN108603435B (zh) 中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