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485A - 탁월한 내산화성, 우수한 고온 강도 및 우수한 성형성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 Google Patents

탁월한 내산화성, 우수한 고온 강도 및 우수한 성형성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485A
KR20150080485A KR1020157008118A KR20157008118A KR20150080485A KR 20150080485 A KR20150080485 A KR 20150080485A KR 1020157008118 A KR1020157008118 A KR 1020157008118A KR 20157008118 A KR20157008118 A KR 20157008118A KR 20150080485 A KR20150080485 A KR 20150080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itic stainless
high temperature
oxidation resistance
stainless steel
titan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8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조 요시타케
Original Assignee
에이케이 스틸 프로퍼티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케이 스틸 프로퍼티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케이 스틸 프로퍼티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80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48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2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우수한 내산화성, 우수한 고온 강도, 및 우수한 성형성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은, 등축 주조 결정립 구조로부터 유래하는 실온 성형성을 위해 Ti 첨가 및 낮은 A1 함량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고온 강도를 위해 콜룸븀(니오븀) 및 구리가 첨가된다. 내산화성을 위해 규소 및 망간이 첨가된다.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은 18Cr-2Mo 및 15Cr-Cb-Ti-Si-Mn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보다 더 우수한 내산화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은 일반적으로 18Cr-2Mo보다 저렴하게 제조된다.

Description

탁월한 내산화성, 우수한 고온 강도 및 우수한 성형성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FERRITIC STAINLESS STEEL WITH EXCELLENT OXIDATION RESISTANCE, GOOD HIGH TEMPERATURE STRENGTH, AND GOOD FORMABILITY}
본 출원은, 2012년 8월 31일에 출원된 "탁월한 내산화성을 우수한 고온 강도 우수한 성형성과 함께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이란 발명의 명칭의 가특허출원 번호 제61/695,771호와, 2013년 3월 15일에 출원된 "탁월한 내산화성, 우수한 고온 강도, 및 우수한 성형성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이란 발명의 명칭의 정식 특허 출원 번호 제13/837,500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한다. 출원 번호 제61/695,771호 및 출원 번호 제13/837,500호의 기재 내용은 각각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내산화성, 고온 강도, 및 우수한 성형성 특징들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온 강도를 제공하기 위한 양으로 콜룸븀 및 구리가 첨가되고, 내산화성을 제공하기 위한 양으로 규소 및 망간이 첨가된다. 본 발명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은, 18Cr-2Mo 및 15Cr-Cb-Ti-Si-Mn과 같은 공지된 스테인레스 강보다 더 우수한 내산화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은, 18Cr-2Mo와 같은 다른 스테인레스 강보다 제조하기에 덜 고가이며, 고온 밴드 어닐링 단계(hot band annealing step)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은, 미국 특허 제6,855,213호 및 제5,868,87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등축 주조 결정립 구조(equiaxed as-cast grain structures)로부터 실온 성형성을 제공하기 위해 티탄 첨가 및 낮은 알루미늄 농도를 사용하여 제조되며, 상기 특허 문헌들의 전문은 각각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고온 강도를 위해 콜룸븀 및 구리가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에 첨가되고, 내산화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규소 및 망간이 첨가된다.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공정 조건,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855,213호 및 제5,868,875호 기재된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고온 강도를 위해 콜룸븀 및 구리가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에 첨가되고, 내산화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규소 및 망간이 첨가된다.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은 미세 등축 결정립의 주조 구조를 갖는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을 위한 제1철 용융물은 전기 아크로(electric arc furnace)와 같은 용융 로에 제공된다. 이러한 제1철 용융물은 고체 철 베어링 스크랩(bearing scrap), 탄소 강 스크랩, 스테인레스 강 스크랩, 철 산화물, 탄화철, 직접 환원된 철, 고온 브리켓 철(hot briquetted iron)을 포함하는 물질을 함유하는 고체 철로부터 상기 용융 로에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용융물은, 제1철 용융물을 제공할 수 있는 용광로 또는 임의의 기타 철 제련 장치에서 용융 로의 상류에서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1철 용융물을 상기 용융 로에서 정련하거나, 또는 아르곤-산소-탈탄화(decarburization) 용기 또는 진공-산소-탈탄화 용기와 같은 정련 용기에 이어, 레이들 야금 로(ladle metallurgy furnace)와 같은 트림 스테이션(trim station) 또는 와이어 공급 스테이션(wire feed station)으로 이동시킬 것이다.
몇몇 양태들에서, 상기 강은, 상기 등축 주조 결정립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핵(nuclei)을 제공하는 작은 산화티탄 개재물(inclusion)을 형성하기 위해 충분한 티탄 및 질소와 조절된 양의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용융물로부터 주조되어, 이러한 강으로부터 제조된 어닐링된 시트는 또한 개선된 리징(ridging) 특징들 및 성형성을 갖는다.
몇몇 양태들에서, 탈산화를 위해 주조 전에 티탄이 상기 용융물에 첨가된다. 티탄을 사용한 용융물의 탈산화는, 등축 주조 미세 결정립 구조를 발생시키는 핵을 제공하는 작은 산화티탄 개재물을 형성한다. 알루미나 개재물, 즉, 산화알루미늄, A1203 형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몇몇 양태들에서는 알루미늄이 탈산화제로서 이러한 정련된 용융물에 첨가될 수 없으며, 기타 양태들에서는 알루미늄이 작은 분율로서 이러한 정련된 용융물에 첨가될 수 있다. 몇몇 양태들에서, 티탄 및 질소가 주조 전에 상기 용융물에 존재할 수 있어서, 잔여 알루미늄으로 나눈 티탄 및 질소의 생성물의 비는 적어도 약 0.14이다.
상기 강이 안정화될 경우, 탈산화에 필요한 양은 초과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질소로의 포화에 필요한 양 미만인, 즉 평형 이하의 양(sub-equilibrium amount)인 충분한 양의 티탄을, 탄소와 질소와의 배합을 위해 용융물에 첨가하여, 고형화(solidification) 전의 큰 질화티탄 개재물의 침전을 피하거나 또는 적어도 최소화할 수 있다. "평형 이하"에 대한 티탄의 최대량은 일반적으로, 본원에 인용에 의해 포함된 미국 특허 제4,964,926호의 도 4에 설명되어 있다. 몇몇 양태들에서, 하나 이상의 안정화 원소들, 예를 들어, 콜룸븀, 지르코늄, 탄탈 및 바나듐을 또한 상기 용융물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주물강(cast steel)을 시트로 되도록 열 처리한다(hot processed). 이러한 기재 내용의 경우, 용어 "시트"는 연속 스트립, 또는 연속 스트립으로부터 형성된 절단 길이(cut length)를 포함함을 의미하고, 용어 "열 처리된"은 주조 강(as-cast steel)을 재가열하고, 필요한 경우, 이어서, 예를 들어, 열간 압연에 의해 소정의 두께로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열간 압연되는 경우, 강 슬래브(steel slab)를 2000°내지 2350℉(1093°내지 1288℃)로 재가열하고, 1500 내지 1800℉(816 내지 982℃)의 피니싱 온도(finishing temperature)를 사용하여 열간 압연하고, 1000 내지 1400℉(538 내지 760℃)의 온도에서 코일링한다(coiled). 열간 압연 시트는 "고온 밴드(hot band)"로도 공지되어 있다. 몇몇 양태들에서, 상기 고온 밴드를 1700 내지 2100℉(926 내지 1149℃)의 최고 금속 온도에서 어닐링할 수 있다. 기타 양태들에서, 상기 시트는 고온 밴드 어닐링 단계를 거치지 않는다. 몇몇 양태들에서, 상기 고온 밴드를 디스케일링(descaling)할 수 있으며, 목적하는 최종 시트 두께까지 적어도 40% 냉간 압하(cold reduced)시킬 수 있다. 기타 양태들에서, 상기 고온 밴드를 디스케일링 할 수 있으며, 목적하는 최종 시트 두께까지 적어도 50% 냉간 압하시킬 수 있다. 이후에, 상기 냉간 압하된 시트를 1800 내지 2100℉(982 내지 1149℃)의 최고 금속 온도에서 최종 어닐링시킬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은 다수의 방법들에 의해 제조된 열 처리된 시트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시트를, 50 내지 200mm 두께의, 잉곳(ingot)으로부터 형성된 슬래브 또는 연속 주조 슬래브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잉곳으로부터 형성된 슬래브 또는 연속 주조 슬래브를 2000 내지 2350℉(1093 내지 1288℃)로 재가열에 이어, 열간 압연하여 1 내지 7mm 두께의 출발 열 처리된 시트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시트를 2 내지 52mm의 두께로 되도록 연속적으로 주조된 스트립으로부터 열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정은, 연속 주조 슬래브 또는 잉곳으로부터 제조된 슬래브를 상당한 재가열하에 또는 재가열 없이 열간 압연 밀에 직접 공급하거나, 또는 잉곳을 슬래브로 열간 압하(hot reduced)시켜 추가의 재가열하에 또는 재가열 없이 시트로 되도록 충분한 온도로 열간 압연시키는 방법들에 의해 제조되는 시트에 적용가능하다.
티탄은 주조 전에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용융물의 탈산화에 사용된다. 상기 용융물 중의 티탄의 양은 0.30% 이하일 수 있다. 달리 명확히 언급되지 않는 한, "%"로 언급된 모든 농도는 중량%이다. 몇몇 양태들에서, 티탄은 평형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평형 이하"란, 형성된 티탄 화합물의 용해도곱이 강 액상 온도(steel liquidus temperature)에서 포화 수준 이하여서 용융물 내의 과량의 질화티탄 침전을 방지하도록 티탄의 양이 조절되는 것을 의미한다. 과도한 질소는, 아르곤 산소 탈탄화 용기에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용융물을 정련하는 이들 제조업자에게 문제가 아니다. 아르곤 산소 탈탄화 용기에서 스테인레스 강 정련시 실질적으로 0.010% 이하의 질소를 수득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증가된 양의 티탄이 용인되고 여전히 평형 이하로 유지되도록 한다.
등축 주조 페라이트 결정립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핵생성 자리(nucleation site)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티탄을 상기 용융물에 첨가한 후에 충분한 시간이 경과하여, 상기 용융물을 주조하기 전에 산화티탄 개재물이 형성되도록 해야 한다. 상기 용융물이 티탄 첨가 직후에 주조되는 경우, 상기 주조물의 상기 주조 구조(as-cast structure)는 더 큰 원주형 결정립을 포함할 수 있다. 경과될 시간의 양은 과도한 실험 없이 당업자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티탄의 상기 용융물로의 첨가 후 5분 미만의 실험실에서의 잉곳 주조는, 잔여 알루미늄으로 나눈 티탄 및 질소의 생성물이 적어도 0.14인 경우일지라도 큰 주조 원주형 결정립을 가졌다.
알루미늄으로 나눈 티탄과 질소의 생성물의 비가 적어도 약 0.14이도록, 충분한 질소가 주조 전에 상기 강에 존재해야 한다. 몇몇 양태들에서, 용융물 내에 존재하는 질소의 양은 ≤ 0.020%이다.
전기 아크 로에서의 용융 후의 질소 농도가 0.05%만큼 높을 수 있지만, 용해된 N의 양은 아르곤 산소 탈탄화 용기에서 아르곤 가스 정련 동안 0.02% 미만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과도한 TiN의 침전은, 임의의 제시된 질소 함량에 대해 상기 용융물로 첨가될 Ti를 평형 이하의 양으로 감소시킴에 의해 피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용융물 중의 질소의 양을, 아르곤 산소 탈탄화 용기에서 상기 용융물에 함유된 Ti의 예상되는 양에 대해 감소시킬 수 있다.
티탄 및 질소의 양을 기준으로 전체 잔여 알루미늄을 조절하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다. 알루미늄을 기준으로 최소량의 티탄 및 질소는 상기 용융물에 존재할 수 있다. 잔여 알루미늄으로 나눈 티탄 및 질소의 생성물의 비는 몇몇 양태들에서 적어도 약 0.14일 수 있고, 기타 양태들에서 적어도 0.23일 수 있다. 상기 용융물에 필요한 티탄 및 질소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 알루미늄의 양은 몇몇 양태들에서 < 0.020%이다. 기타 양태들에서, 알루미늄의 양은 ≤ 0.013%이고, 기타 양태들에서, ≤ 0.010%로 감소된다. 알루미늄이, 예를 들어, 주조 직전에 탈산화를 위해 의도적으로 정련 또는 주조 동안 상기 용융물과 합금되지 않는 경우, 전체 알루미늄을 0.020% 미만으로 조절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알루미늄이, 또 다른 원소, 예를 들어, 티탄의 합금 첨가시 존재하는 불순물로서 상기 용융물에 의도치않게 첨가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티탄 합금은 최대 20%의 Al을 함유하며, 이것이 상기 용융물에 대한 총 Al을 제공할 수 있다. 정련 및 주조 실행을 조심스럽게 조절함으로써, < 0.020%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용융물을 수득할 수 있다.
안정화를 위해 티탄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 기타 적합한 안정화 원소들은 또한 콜룸븀, 지르코늄, 탄탈, 바나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태들에서, 제2 안정화 원소가 티탄, 예를 들어, 콜룸븀 또는 바나듐과의 배합물로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제2 안정화 원소는 딥 성형성(deep formability)이 필요한 경우 ≤ 0.50%로 제한될 수 있다. 몇몇 양태들은 0.5% 이하 농도로 콜룸븀을 포함한다. 몇몇 양태들은 0.28 내지 0.43% 농도로 콜룸븀을 포함한다. 바나듐은 0.5% 미만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의 몇몇 양태들은 0.008 내지 0.098%의 바나듐을 포함한다.
구리는 고온 강도를 개선시킨다.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은 1.0 내지 2.0%의 구리를 함유한다. 몇몇 양태들은 1.16 내지 1.31%의 구리를 포함한다.
규소는 일반적으로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내에 1.0 내지 1.7%의 양으로 존재한다. 몇몇 양태들에서, 규소는 1.27 내지 1.35%의 양으로 존재한다. 소량의 규소는 일반적으로, 페라이트 상의 형성을 촉진시키기 위해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내에 존재한다. 규소는 또한 고온 내산화성을 향상시키고 고온 강도를 제공한다. 대부분의 양태들에서, 규소는 약 1.7%를 초과하지 않으며, 이는 상기 강이 경화되기 어려울 수 있고, 신율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망간은 0.4 내지 1.5%의 양으로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내에 존재한다. 몇몇 양태들에서, 망간은 0.97 내지 1.00%의 양으로 존재한다. 망간은 고온에서의 내산화성 및 내폭렬성(spalling resistance)을 개선시킨다. 따라서, 몇몇 양태들은 망간을 적어도 0.4%의 양으로 포함한다. 그러나, 망간은 오스테나이트 형성제이며, 페라이트 상의 안정화에 영향을 미친다. 망간의 양이 약 1.5%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강의 안정성 및 성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탄소가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내에 0.02%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몇몇 양태들에서, 탄소 함량은 ≤ 0.02%이다. 기타 양태들에서, 탄소 함량은 0.0054 내지 0.0133%이다.
크롬은 15 내지 20%의 양으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의 몇몇 양태들에서 존재한다. 크롬이 약 25%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강의 성형성은 감소될 수 있다.
몇몇 양태들에서, 산소는 < 100ppm의 양으로 상기 강에 존재한다. 강 용융물이 아르곤 산소 탈탄화 정련 용기 및 레이들 야금 로 합금 용기에서 연속적으로 제조되는 경우, 용융물 내의 산소가 10 내지 60ppm의 범위 내로 존재하여, 작은 산화티탄 개재물을 갖는 매우 깨끗한 강을 제공할 수 있어서, 미세 등축 주조 결정립 구조를 유도하는 핵형성 자리 형성에 도움이 된다.
황은 ≤ 0.01%의 양으로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내에 존재한다.
인은 열간 압연시 성형성을 열화될 수 있으며, 피팅(pitting)을 유발할 수 있다. ≤ 0.05%의 양으로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내에 존재한다.
망간과 마찬가지로, 니켈은 오스테나이트 형성제이며 페라이트 상의 안정화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몇몇 양태들에서, 니켈은 ≤ 1.0%로 제한된다. 몇몇 양태들에서, 니켈은 0.13 내지 0.19%의 양으로 존재한다.
몰리브덴은 또한 내부식성을 개선시킨다. 몇몇 양태들은 3.0% 이하의 몰리브덴을 포함한다. 몇몇 양태들은 0.03 내지 0.049%의 몰리브덴을 포함한다.
몇몇 적용들을 위해, 본 발명의 강 내의 붕소를 ≤ 0.010%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몇몇 양태들에서, 붕소는 0.0001 내지 0.002%의 양으로 존재한다. 붕소는 상기 강의 내2차가공취성(resistance to secondary work embrittlement)을 개선시켜 상기 강 시트가 딥 드로잉 적용 및 다단계 성형(multi-step forming) 적용 동안 분열(split) 가능성이 적어질 것이다.
몇몇 양태들에서,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은, 의도적 첨가로서 제조될 수 있거나 잔여 원소들, 즉, 제강 공정으로부터의 불순물로서 존재할 수 있는 제강 분야에 공지된 다른 원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 1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및 비교 참조용 강의 양태들은 하기 표 1에 기술된 조성물로 제조되었다.
"실험실 재료(Lab Materials)"로서 구분된 재료들은 하기 파라미터들에 따라 실험실 장비로 처리되었다. 각각의 잉곳을 2300℉(1260℃)의 온도로 재가열하였다. 이를 0.200"(5.08mm)의 스트립 두께로 열간 압연하였다. 이어서, 이를 1825 내지 1975℃(996 내지 1079℃)의 온도에서 고온 밴드 어닐링하였다. 이어서, 이를 0.079 내지 0.098"(2.0 내지 2.5mm)의 두께로 냉간 압연하였다. 상기 냉간 압연된 스트립을 1885 내지 1950℉(1029 내지 1066℃)의 온도로 최종 어닐링하였다.
"설비 재료"로서 구분된 재료들은 하기 파라미터들에 따라 설비 내에서 제조 장비로 처리되었다. 각각의 슬래브를 2273 내지 2296℉(1245 내지 1258℃)의 온도로 재가열하였다. 이어서, 이를 0.200 내지 0.180"(5.08 내지 4.57mm)의 스트립 두께로 열간 압연하였다. 하기 실시예에 나타낸 것을 제외하고는, 열간 압연 스트립을 이어서 1950 내지 2000℉(1066 내지 1083℃)의 온도로 고온 밴드 어닐링하였다. 0.079 내지 0.059"(2.0 내지 1.5mm)로 냉간 압연시킨 후에, 상기 스트립을 1900 내지 2000℉(1038 내지 1093℃)의 온도로 최종 어닐링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1
주석에 "본 발명"으로서 구분된 재료들은, 본원 개시내용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의 양태들이다. "참조용"로서 구분된 상기 재료들은, 본원 개시내용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의 양태들이 아니다. 사실, 두 가지는 익히 공지된 종래의 제품이다: HT #831187은 타입 444 스테인레스 강이고 HT #830843은 15 CrCb 스테인레스 강(오하이오주 웨스트 체스트 소재의 AK Steel Corporation 제품)이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 및 표 1에 기재된 몇몇 강 조성물의 내산화성은 공기 중에서 930℃에서 200시간 동안 시험하였다. 상기 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술되어 있다. 개별 조성물은 이들의 각각의 ID 번호로 각각 식별된다. 내산화성은 두 개의 인자들을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하나는 중량 증가량이고, 나머지는 폭렬 정도(degree of spalling)였다. 각각의 재료의 경우, HT #920097을 제외하고는, 기록된 중량 증가 값은 두 개의 시험의 평균이다. HT #920097의 경우, 8개 샘플을 시험하였고, 이들 8개 시험의 최소, 평균 및 최대를 기록하였다.
[표 2]
Figure pct00002

실시예 3
실시예 1의 강 조성물의 수개의 종축 고온 인장 성질들은 ASTM 표준 E21 인장 시험의 과정에 따라 시험되었다. 이들 시험의 결과는 하기에 기술되어 있다:
[표 3]
Figure pct00003

실시예 4
실시예 1의 몇몇 강 조성물의 종축 인장 성질들은 ASTM 표준 E8/E8M의 과정에 따라 시험되었다. 또한, 장출(stretch)-r 값은 ASTM 표준 E517의 과정에 따라 시험되었다. 조성물의 내리징성(ridging resistance)은 또한 0 내지 6의 품질 등급으로 결정되었고, 여기서, 0은 최고이며 6은 허용되지 않는 것이다. 이들 시험의 결과가 하기에 기술된다:
[표 4]
Figure pct00004

실시예 5
실시예 1의 몇몇 강 조성물의 종축 인장 성질들은 ASTM 표준 E8/E8M 시험의 과정에 따라 시험되었다. 또한, 장출-r 값은 ASTM 표준 E517의 과정에 따라 시험되었다. 조성물의 내리징성(ridging resistance)은 또한 0 내지 6의 품질 등급으로 결정되었고, 여기서, 0은 최고이며 6은 허용되지 않는 것이다. 이들 시험의 결과가 하기에 기술된다:
[표 5]
Figure pct00005
실시예 6
히트 #920097로부터의 4개의 고온 밴드 샘플들 A, B, C, 및 D를 설비에서 제조하였다. 실험실 연구는 고온 밴드 어닐링 공정 및 더 높은 r-바(bar)에 대한 고온 밴드 어닐링 온도의 효과(인발도(drawability) 또는 인발 능력(drawing capability))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결과는 표 6에 기술되어 있다. 더 낮은 고온 밴드 어닐링 온도와 고온 밴드 어닐링 없이 처리하여, 약간 더 낮은 인장 신율 및 더 낮은 내리지성을 갖는 더 높은 r-바가 수득되고, 모두는 허용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한다.
[표 6]
Figure pct00006

실시예 7
표 1에 기술된 조성을 갖는 하나의 설비에서 제조된 고온 밴드 코일(HT #930354, CL #681158-03)은, 고온 밴드 어닐링 없이 1.5mm 게이지까지 마무리 가공하였다. 고온 밴드 어닐링 단계가 포함되는 경우, HT#930354의 설비-제조된 코일의 r-바 값은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1.34, 1.31, 1.38, 및 1.34이었다. 고온 밴드 어닐링 단계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하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1.46의 더 높은 r-바를 수득하였다.
[표 7]
Figure pct00007
각종 변형이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로부터 결정될 것이다.

Claims (2)

  1. 하기의 원소(중량%)들을 포함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0.020% 이하의 탄소
    0.020% 이하의 질소
    15 내지 20%의 크롬
    0.30% 이하의 티탄
    0.50% 이하의 콜룸븀
    1.0 내지 2.00%의 구리
    1.0 내지 1.7%의 규소
    0.4 내지 1.5%의 망간
    0.050% 이하의 인
    0.01% 이하의 황
    0.020% 이하의 알루미늄.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원소(중량%)들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3.0% 이하의 몰리브덴
    0.010% 이하의 붕소
    0.5% 이하의 바나듐
    1.0% 이하의 니켈.
















KR1020157008118A 2012-08-31 2013-08-28 탁월한 내산화성, 우수한 고온 강도 및 우수한 성형성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KR201500804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95771P 2012-08-31 2012-08-31
US61/695,771 2012-08-31
US13/837,500 2013-03-15
US13/837,500 US20140065005A1 (en) 2012-08-31 2013-03-15 Ferritic Stainless Steel with Excellent Oxidation Resistance, Good High Temperature Strength, and Good Formability
PCT/US2013/056999 WO2014036091A1 (en) 2012-08-31 2013-08-28 Ferritic stainless steel with excellent oxidation resistance, good high temperature strength, and good formability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567A Division KR20200028502A (ko) 2012-08-31 2013-08-28 탁월한 내산화성, 우수한 고온 강도 및 우수한 성형성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485A true KR20150080485A (ko) 2015-07-09

Family

ID=491513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567A KR20200028502A (ko) 2012-08-31 2013-08-28 탁월한 내산화성, 우수한 고온 강도 및 우수한 성형성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KR1020157008118A KR20150080485A (ko) 2012-08-31 2013-08-28 탁월한 내산화성, 우수한 고온 강도 및 우수한 성형성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567A KR20200028502A (ko) 2012-08-31 2013-08-28 탁월한 내산화성, 우수한 고온 강도 및 우수한 성형성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20140065005A1 (ko)
EP (1) EP2890825B1 (ko)
JP (1) JP6194956B2 (ko)
KR (2) KR20200028502A (ko)
CN (2) CN108823509A (ko)
AU (1) AU2013308922B2 (ko)
BR (1) BR112015004228A2 (ko)
CA (1) CA2882361C (ko)
ES (1) ES2728229T3 (ko)
HR (1) HRP20190864T1 (ko)
HU (1) HUE043997T2 (ko)
MX (1) MX2015002677A (ko)
MY (1) MY172722A (ko)
PL (1) PL2890825T3 (ko)
RS (1) RS58807B1 (ko)
RU (1) RU2650467C2 (ko)
SI (1) SI2890825T1 (ko)
WO (1) WO2014036091A1 (ko)
ZA (1) ZA2015020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5005A1 (en) * 2012-08-31 2014-03-06 Eizo Yoshitake Ferritic Stainless Steel with Excellent Oxidation Resistance, Good High Temperature Strength, and Good Formability
EP3333277B1 (en) 2015-08-05 2019-04-24 Sidenor Investigación y Desarrollo, S.A. High-strength low-alloy steel with high resistance to high-temperature oxidation
CN107675075A (zh) * 2017-09-05 2018-02-09 王业双 一种高性能耐高温铁素体不锈钢及其制备方法
JP6420893B1 (ja) * 2017-12-26 2018-11-07 日新製鋼株式会社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2023507264A (ja) * 2019-12-18 2023-02-22 エリコン メテコ(ユーエ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鉄基高耐食性・耐摩耗性合金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899A (en) * 1871-03-24 D. Cameron Composition of matter for making fire brick, and in the art of burning the same
JPH01165752A (ja) * 1987-12-22 1989-06-29 Kawasaki Steel Corp 高濃度ハロゲン化物中で優れた耐食性を有す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H02115346A (ja) * 1988-10-21 1990-04-27 Kawasaki Steel Corp 高濃度ハロゲン化物中で優れた耐食性を有す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US5426039A (en) * 1993-09-08 1995-06-20 Bio-Rad Laboratories, Inc. Direct molecular cloning of primer extended DNA containing an alkane diol
FR2720410B1 (fr) * 1994-05-31 1996-06-28 Ugine Savoie Sa Acier inoxydable ferritique à usinabilité améliorée.
JP3439866B2 (ja) * 1995-03-08 2003-08-25 日本冶金工業株式会社 耐食性および溶接性に優れ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US6426039B2 (en) * 2000-07-04 2002-07-30 Kawasaki Steel Corporation Ferritic stainless steel
JP3886785B2 (ja) * 2001-11-22 2007-02-28 日新製鋼株式会社 石油系燃料改質器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3942876B2 (ja) * 2001-11-22 2007-07-11 日新製鋼株式会社 炭化水素系燃料改質器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3989790B2 (ja) * 2002-07-30 2007-10-10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920185B2 (ja) * 2002-09-27 2007-05-30 日新製鋼株式会社 耐たわみ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鋼製の二輪車用タイヤリム材および二輪車用フレーム材
JP4463663B2 (ja) * 2004-11-04 2010-05-19 日新製鋼株式会社 耐高温水蒸気酸化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鋼材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7732733B2 (en) * 2005-01-26 2010-06-08 Nippon Welding Rod Co., Ltd. Ferritic stainless steel welding wi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236158B2 (ja) * 2005-01-26 2013-07-17 日本ウエルディング・ロッド株式会社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溶接ワ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4302678B2 (ja) * 2005-09-01 2009-07-29 日新製鋼株式会社 燃料タンク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JP4761993B2 (ja) * 2006-02-14 2011-08-31 日新製鋼株式会社 スピニング加工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溶接管の製造法
JP4948998B2 (ja) * 2006-12-07 2012-06-06 日新製鋼株式会社 自動車排ガス流路部材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溶接鋼管
JP5349153B2 (ja) * 2009-06-15 2013-11-20 日新製鋼株式会社 ろう付け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材および熱交換器部材
RU2415963C2 (ru) * 2009-07-13 2011-04-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технологии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ОАО НПО "ЦНИИТМАШ" Жаростойкая сталь
KR20180017220A (ko) * 2010-09-16 2018-02-20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내산화성이 우수한 내열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US20140065005A1 (en) * 2012-08-31 2014-03-06 Eizo Yoshitake Ferritic Stainless Steel with Excellent Oxidation Resistance, Good High Temperature Strength, and Good Form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502075B (en) 2016-03-30
EP2890825A1 (en) 2015-07-08
US20140065005A1 (en) 2014-03-06
US20140065006A1 (en) 2014-03-06
JP2015532684A (ja) 2015-11-12
EP2890825B1 (en) 2019-04-03
AU2013308922B2 (en) 2016-08-04
KR20200028502A (ko) 2020-03-16
CN104769147A8 (zh) 2018-10-09
RS58807B1 (sr) 2019-07-31
CA2882361A1 (en) 2014-03-06
AU2013308922A1 (en) 2015-03-05
ES2728229T3 (es) 2019-10-23
HRP20190864T1 (hr) 2019-06-28
PL2890825T3 (pl) 2019-09-30
CN104769147A (zh) 2015-07-08
CA2882361C (en) 2019-06-18
RU2015108849A (ru) 2016-10-20
MX2015002677A (es) 2015-05-12
HUE043997T2 (hu) 2019-09-30
WO2014036091A1 (en) 2014-03-06
MY172722A (en) 2019-12-11
RU2650467C2 (ru) 2018-04-13
JP6194956B2 (ja) 2017-09-13
BR112015004228A2 (pt) 2017-07-04
CN108823509A (zh) 2018-11-16
SI2890825T1 (sl)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26068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hot-rolled plate, strip or coil made of duplex stainless steel
EP2677055B1 (en) High-purity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oxidation resistance and high-temperature strength,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TWI404808B (zh) 淬火性優異之硼添加鋼板及製造方法
JP7219882B2 (ja) 圧力容器用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EP2889391B1 (en) Thick steel plate having good ultralow-temperature toughness
KR102405388B1 (ko) 고 Mn 강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80485A (ko) 탁월한 내산화성, 우수한 고온 강도 및 우수한 성형성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CN111433382B (zh) 具有优异的抗高温氧化性的铁素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JP6842257B2 (ja) Fe−Ni−Cr−Mo合金とその製造方法
AU2013243635B2 (en) Cost-effective ferritic stainless steel
JP2007177303A (ja) 延性に優れた鋼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364820B (zh) 具有改善的高温蠕变抗力的铁素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RU2328535C1 (ru) Сортовой прокат, круглый со специальной отделкой поверхности из среднеуглеродистой стали
KR20190077672A (ko) 리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JPH07197195A (ja) 耐時効性に優れた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265892A (ja) 延性に優れた鉄基合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