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9141A -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9141A
KR20150079141A KR1020130169181A KR20130169181A KR20150079141A KR 20150079141 A KR20150079141 A KR 20150079141A KR 1020130169181 A KR1020130169181 A KR 1020130169181A KR 20130169181 A KR20130169181 A KR 20130169181A KR 20150079141 A KR20150079141 A KR 20150079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ink member
cover
hook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5828B1 (ko
Inventor
조지윤
이동식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9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828B1/ko
Publication of KR20150079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열쇠를 잠금상태로 회전시킨 후 열쇠를 빼내더라도 커버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커버가 본체에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카세트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잠금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킨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열쇠뭉치의 개폐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링크, 상기 회전링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에 따라 직선운동하는 제1링크부재, 상기 제1링크부재와 함께 직선운동하되, 상기 열쇠뭉치의 잠금조작시 본체에 구비된 제1걸림부에 걸림되는 제1후크가 형성된 제2링크부재, 상기 회전링크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링크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제3링크부재, 상기 제3링크부재와 함께 직선운동하되, 상기 열쇠뭉치의 잠금조작시 상기 본체에 구비된 제2걸림부에 걸림되는 제2후크가 형성된 제4링크부재, 상기 제2링크부재와 제4링크부재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구비된 상기 제1걸림부의 경사면과 상기 제2걸림부의 경사면에 각각 대향하도록 상기 제1후크와 제2후크에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다.

Description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APPARATUS FOR LOCKING COVER OF CASSETTE}
본 발명은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융자동화기기에 구비되어 지폐를 수납하는 카세트의 커버가 잠금상태에서도 닫힘이 가능한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최근 들어 금융자동화기기는 지폐나 수표와 같은 종이매체를 입금 또는 출금하거나,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금융자동화기기에는 종이매체를 공급하는 매체 공급 기구가 구비되며, 이러한 매체 공급 기구로는 종이매체가 내부에 저장된 카세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카세트는 종이매체를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본체와의 연결부에 구비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에는 사용자가 열쇠 조작을 통해 상기 커버를 개폐하기 위한 열쇠뭉치가 구비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커버를 본체로부터 개방시킨 상태에서 열쇠뭉치를 개방상태로 조작하지 않은 채 커버를 닫는 경우에는 커버의 후크와 본체의 걸림부가 간섭되어 커버가 닫히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열쇠뭉치에 열쇠를 꽂아 개방상태로 회전시킨 후 커버를 닫은 후 다시 열쇠뭉치를 잠금상태로 조작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열쇠뭉치가 잠금상태인 경우에도 커버를 닫으면 자동으로 커버가 닫히고 잠금이 이루어지는 자동 커버 잠금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커버 잠금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커버 잠금장치에서 후크가 걸림부에 걸림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동작상태도이다.
종래의 자동 커버 잠금장치는, 커버(10)에 구비된 열쇠뭉치(11), 상기 열쇠뭉치(11)에 결합되어 열쇠뭉치(11)와 함께 회전하며 타측에 회전링크핀(13)이 형성된 회전링크(12), 상기 회전링크핀(13)이 삽입되는 장공(14a)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링크(12)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제1링크부재(14), 상기 제1링크부재(14)와 함께 직선운동하며 상단에 후크(16)가 형성된 제2링크부재(15), 상기 제1링크부재(14)와 제2링크부재(15)를 연결하는 탄성부재(17)로 이루어진다.
커버(10)가 본체(미도시)에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10)를 본체(미도시)로부터 개방하기 위해 열쇠를 조작하여 열쇠뭉치(1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링크(12) 및 회전링크핀(13)도 열쇠뭉치(11)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링크부재(14) 및 제2링크부재(15)는 상방향으로 직선운동함으로써 후크(16)가 본체에 구비된 걸림부(21)로부터 상향 이탈하여 커버(10)가 개방상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잠금장치를 잠금상태로 하기 위해, 사용자가 열쇠를 조작하여 열쇠뭉치(1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링크(12) 및 회전링크핀(13)도 열쇠뭉치(11)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링크부재(14) 및 제2링크부재(15)는 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함으로써 후크(16)가 본체에 구비된 걸림부(21)에 걸림되어 커버(10)가 잠금상태가 된다.
만약 열쇠뭉치(11)가 잠금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10)를 닫으려고 하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링크부재(15)에 연결된 후크(16)의 경사면(16a)이 본체의 걸림부(21)에 형성된 경사면(21a)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 후크(16)의 경사면(16a)이 걸림부(21)의 경사면(21a)에 접촉한 후 상기 경사면(21a)을 타고 넘어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6)와 걸림부(21)가 걸림되어 잠금상태가 된다.
이 경우 후크(16)의 경사면(16a)이 걸림부(21)의 경사면(21a)을 타고 넘어갈 때 탄성부재(17)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제2링크부재(15) 및 후크(16)는 상측으로 직선운동함으로써 커버(10)가 자동으로 잠금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잠금장치에 의하면 카세트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 상기 충격(도 2(b)에서 후크(16)에 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으로 인해 후크(16)가 탄성부재(17)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걸림부(21)로부터 걸림이 해제되어 커버(10)가 개방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열쇠를 잠금상태로 회전시킨 후 열쇠를 빼내더라도 커버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커버가 본체에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카세트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잠금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킨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는, 커버(200)에 구비된 열쇠뭉치(210,210')의 개폐조작에 의해 본체(100)를 개폐하는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쇠뭉치(210,210')의 개폐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링크(220,220'); 상기 회전링크(220,2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링크(220,220')의 회전에 따라 직선운동하는 제1링크부재(230,230'); 상기 제1링크부재(230,230')와 함께 직선운동하되, 상기 열쇠뭉치(210,210')의 잠금조작시 상기 본체(100)에 구비된 제1걸림부(110,110')에 걸림되는 제1후크(247,247')가 형성된 제2링크부재(240,240'); 상기 회전링크(220,22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링크(220,2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링크부재(230,230')와 반대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제3링크부재(260,260'); 상기 제3링크부재(260,260')와 함께 직선운동하되, 상기 열쇠뭉치(210,210')의 잠금조작시 상기 본체(100)에 구비된 제2걸림부(120,120')에 걸림되는 제2후크(277,277')가 형성된 제4링크부재(270,270'); 상기 제2링크부재(240,240')와 제4링크부재(270,270')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0)에 구비된 상기 제1걸림부(110,110')의 경사면(111,111')과 상기 제2걸림부(120,120')의 경사면(121,121')에 각각 대향하도록 상기 제1후크(247,247')와 제2후크(277,277')에 경사면(247a,247a',277a,277a')이 각각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링크부재(240)와 제4링크부재(27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설치된 제1탄성부재(250)와 제2탄성부재(28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250)의 양단은 상기 제1링크부재(230)와 제2링크부재(24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280)의 양단은 상기 제4링크부재(270)와 상기 제1링크부재(23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그 양단이 상기 제2링크부재(240)와 제4링크부재(270)에 각각 연결된 하나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쇠뭉치(210)의 개방조작시, 상기 제2링크부재(240)는 제1링크부재(230)에 의해 밀려 직선운동하고, 상기 제4링크부재(270)는 제3링크부재(260)에 의해 밀려 직선운동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회전링크(220)에는 제1회전링크핀(221)과 제2회전링크핀(2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230)는, 상기 제1회전링크핀(221)이 삽입되는 장공(231a)이 형성된 제1몸체부(231)와, 일단이 상기 제1몸체부(231)에 연결되고 개폐과정에서 타단이 상기 제2링크부재(240)에 맞닿는 제2몸체부(2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링크부재(260)는, 상기 제2회전링크핀(222)이 삽입되는 장공(261a)이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링크핀(221)의 회전 운동을 그 내부에서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멍(261b)이 형성된 제1몸체부(261)와, 상기 제1몸체부(261)의 일측에 연결되고 개폐과정에서 상기 제4링크부재(270)에 맞닿는 제2몸체부(262)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링크(220)와 상기 제1링크부재(230)의 제1몸체부(231) 및 제3링크부재(260)의 제1몸체부(261)는 순차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커버(200)는, 상기 열쇠뭉치(210)가 설치되는 몸체(201)와, 상기 몸체(201)의 가장자리에서 절곡 형성되되 상기 제1 내지 제4링크부재(230,240,260,270)의 직선운동 방향으로 가이드구멍(203)이 형성된 플랜지부(20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내지 제4링크부재(230,240,260,270)에는 상기 가이드구멍(203)에 삽입되어 상기 직선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핀(235,245,265,275)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열쇠뭉치(210)가 잠금 상태에서 상기 커버(200)를 닫게 되면, 상기 제1후크(247)와 제2후크(247)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복귀하여 상기 제1걸림부(110)와 제2걸림부(120)에 각각 걸림 상태가 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쇠뭉치(210')가 잠금 상태에서 상기 커버(200)를 닫게 되면, 상기 제1후크(247')와 제2후크(247')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귀하여 상기 제1걸림부(110')와 제2걸림부(120')에 각각 걸림 상태가 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링크부재(240')와 제3링크부재(26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설치된 제1탄성부재(250')와 제2탄성부재(280')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링크부재(240')와 제3링크부재(26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일단과 타단이 상기 제1링크부재(240')와 제3링크부재(260')에 각각 연결된 하나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회전링크(220')에는 제1회전링크핀(221')과 제2회전링크핀(2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230')는, 상기 제1회전링크핀(221')이 삽입되는 장공(231a')이 형성된 몸체부(231')와, 상기 제2링크부재(240')의 걸림부(242')에 걸림되어 일체로 직선운동하는 걸림부(2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링크부재(260')는, 상기 제2회전링크핀(222')이 삽입되는 장공(261a')이 형성된 몸체부(261')와, 상기 제4링크부재(270')의 걸림부(272')에 걸림되어 일체로 직선운동하는 걸림부(262')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에 의하면,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열쇠를 잠금상태로 회전시킨 후에 열쇠를 빼낸 경우에도 커버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커버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고,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카세트에 충격이 가해져 어느 한쪽의 후크에 잠금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다른 쪽의 후크는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잠금상태를 확실히 보장할 수 있다.
또한 회전링크와 링크부재를 적층구조로 함으로써 잠금장치를 좁은 공간에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고, 하나의 탄성부재만으로 2개의 후크의 잠금/해제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해진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커버 잠금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커버 잠금장치에서 후크가 걸림부에 걸림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동작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 잠금장치가 구현된 카세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카세트를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카세트를 또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카세트에서 커버의 각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커버가 잠금상태인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커버가 개방상태인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닫을 경우 자동으로 잠금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버 잠금장치가 잠금상태인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10의 커버 잠금장치가 개방상태인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도 10의 잠금장치에서 탄성부재가 하나인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 잠금장치가 구현된 카세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카세트를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카세트를 또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카세트에서 커버의 각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제1실시예의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는, 커버(200)에 구비된 열쇠뭉치(210)의 개폐조작에 의해 본체(100)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상기 열쇠뭉치(210)의 개폐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링크(220), 상기 회전링크(2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링크(220)의 회전에 따라 직선운동하는 제1링크부재(230), 상기 제1링크부재(230)와 함께 직선운동하고 본체(100)에 구비된 제1걸림부(110)에 걸림되는 제1후크(247)가 형성된 제2링크부재(240), 상기 회전링크(22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링크(2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링크부재(230)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제3링크부재(260), 상기 제3링크부재(260)와 함께 직선운동하고 본체(100)에 구비된 제2걸림부(120)에 걸림되는 제2후크(277)가 형성된 제4링크부재(270), 상기 제2링크부재(240)와 제4링크부재(270)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250,280)로 이루어진다.
도 3에서 화살표 ①이 가리키는 방향을 상방향(상측)으로 정의하고, 화살표 ②가 가리키는 방향을 하방향(하측)으로 정의하며, 상기에서 직선운동 방향이란 화살표 ①이 가리키는 상방향 또는 화살표 ②가 가리키는 하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커버(200)는, 상기 열쇠뭉치(210)가 설치되는 몸체(201)와, 상기 몸체(201)의 측부 가장자리에서 절곡 형성된 플랜지부(202)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랜지부(202)에는 상하방향의 슬롯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구멍(20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구멍(203)은 7개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개수 및 위치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 회전링크(220)는 체결부재(211)에 의해 열쇠뭉치(210)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사용자가 열쇠(미도시)를 열쇠뭉치(210)에 꽂아 회전시키면 상기 열쇠뭉치(210)와 회전링크(220)는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링크(220)에는 일측과 타측에 제1회전링크핀(221)과 제2회전링크핀(222)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회전링크핀(221)은 열쇠뭉치(210)의 회전력을 상기 제1링크부재(230)에 전달하여 제1링크부재(230)가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2회전링크핀(222)은 열쇠뭉치(210)의 회전력을 상기 제3링크부재(260)에 전달하여 제3링크부재(260)가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한다.
상기 제1링크부재(230)는, 상기 제1회전링크핀(221)이 삽입되는 장공(231a)이 형성된 제1몸체부(231)와, 상기 제1몸체부(231)의 일측단에 연결된 제2몸체부(232)와, 상기 제2몸체부(233)의 측부에 직각되게 형성된 플랜지부(233)와, 상기 플랜지부(233)에 결합된 제1링크부재가이드핀(2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공(231a)은 그 내부에서 상기 제1회전링크핀(221)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도록 상기 직선운동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몸체부(231)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몸체부(232)는 상기 제1몸체부(231)의 일측단에 단차지게 연결되어 상기 직선운동 방향으로 소정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링크(220)의 회전시 상하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상기 제1링크부재가이드핀(235)은 상기 플랜지부(233)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커버(200)의 가이드구멍(203)에 삽입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230)가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제2링크부재(240)는, 상기 직선운동 방향으로 소정 길이 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1링크부재(230)의 제2몸체부(232)의 상단부에 맞닿는 몸체부(241)와, 상기 몸체부(241)의 측부에 직각되게 형성된 플랜지부(243)와, 상기 플랜지부(243)에 결합된 제2링크부재가이드핀(245)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241)는 상기 제1링크부재(230)가 상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경우 상기 제1링크부재(230)에 밀려 상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상기 제1링크부재(230)의 제2몸체부(232)의 상단부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링크부재가이드핀(245)은 상기 플랜지부(243)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커버(200)의 가이드구멍(203)에 삽입되어, 상기 제2링크부재(240)가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플랜지부(243)에는 상기 열쇠뭉치(210)의 잠금조작시 상기 본체(100)에 구비된 제1걸림부(110)에 걸림되도록 제1후크(24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후크(247)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서 상기 본체(100)에 구비된 제1걸림부(110)의 경사면(111)에 대면하는 경사면(247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247a)은 도 3과 같이 커버(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본체(200)의 전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열쇠뭉치(210)가 잠금상태로 조작되어 상기 제1후크(247)는 잠금위치에 있고 커버(200)가 본체(100)로부터 개방된 상태에서 커버(200)를 닫게 되면, 상기 제1후크(247)의 경사면(247a)이 제1걸림부(110)의 경사면(111)에 접촉하여 상기 제1후크(247)가 개방위치로 밀린 다음 제1탄성부재(25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잠금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1후크(247)와 제1걸림부(110)의 잠금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3링크부재(260)는, 상기 제2회전링크핀(222)이 삽입되는 장공(261a)과 상기 제1회전링크핀(221)의 회전 운동을 그 내부에서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멍(261b)이 형성된 제1몸체부(261)와, 상기 제1몸체부(261)의 하측 단부에서 절곡 형성된 제2몸체부(262)와, 상기 제1몸체부(261)의 측부에서 직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263)와, 상기 플랜지부(263)에 일체로 결합된 제3링크부재가이드핀(26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공(261a)은 그 내부에서 상기 제2회전링크핀(222)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도록 상기 직선운동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몸체부(261)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링크부재가이드핀(265)은 상기 플랜지부(263)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커버(200)의 가이드구멍(203)에 삽입되어, 상기 제3링크부재(260)가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제4링크부재(270)는, 평판 형상의 제1몸체부(271)와, 상기 제1몸체부(271)의 상단에서 직각으로 형성된 제2몸체부(272)와, 상기 제1몸체부(271)의 측부에서 직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273)와, 상기 플랜지부(273)에 결합된 제4링크부재가이드핀(27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몸체부(272)는 상기 제3링크부재(250)의 제2몸체부(262)에 대면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제3링크부재(260)가 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경우 상기 제2몸체부(272)는 제3링크부재(260)의 제2몸체부(262)에 의해 밀려 제4링크부재(270)는 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상기 제4링크부재가이드핀(275)은 상기 플랜지부(273)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커버(200)의 가이드구멍(203)에 삽입되어, 상기 제4링크부재(270)가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플랜지부(273)에는 상기 열쇠뭉치(210)의 잠금조작시 상기 본체(100)에 구비된 제2걸림부(120)에 걸림되도록 제2후크(27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후크(277)는 상기 제1후크(247)와 대칭되는 형상으로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고, 상기 본체(100)에 구비된 제2걸림부(120)의 경사면(121)에 대면하는 경사면(27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면(277a)은 도 3과 같이 커버(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본체(200)의 전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상기 제2후크(277)가 잠금위치에 있고 커버(200)가 본체(100)로부터 개방된 상태에서 커버(200)를 닫게 되면, 상기 제2후크(277)의 경사면(277a)이 제2걸림부(120)의 경사면(121)에 접촉하여 상기 제2후크(277)가 개방위치로 밀린 다음 제2탄성부재(28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잠금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2후크(277)와 제2걸림부(120)의 잠금이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링크(220)와 상기 제1링크부재(230)의 제1몸체부(231) 및 제3링크부재(260)의 제1몸체부(261)는 순차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회전링크(220)를 덮는 위치에 상기 제1링크부재(230)의 제1몸체부(231)가 구비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230)의 제1몸체부(231)를 덮는 위치에 제3링크부재(260)의 제1몸체부(261)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제3링크부재(260)의 제1몸체부(261)에 수용구멍(261b)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회전링크핀(221)과 제2회전링크핀(222)에 의한 제1 내지 제4링크부재(230,240,260,270)의 직선운동을 좁은 공간 내에서 가능하게 하고, 잠금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몸체부(231)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1회전링크핀(221)의 회전운동이 제3링크부재(260)의 제1몸체부(261)에 간섭없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제1링크부재(230)의 제1몸체부(231)와 제3링크부재(260)의 제1몸체부(261) 사이 간격이 넓어야 하므로 잠금장치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몸체부(261)에 수용구멍(261b)을 넓게 형성함으로써 잠금장치의 구조를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50,280)는 상기 제2링크부재(240)에 연결된 제1탄성부재(250)와 상기 제4링크부재(270)에 연결된 제2탄성부재(2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탄성부재(250)는 일측단이 상기 제1링크부재(230)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2링크부재(240)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200)가 본체(100)에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2링크부재(240)를 상기 열쇠뭉치(210) 방향으로 당겨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탄성력이 작용한다.
상기 제2탄성부재(280)는 일측단이 상기 제1링크부재(230)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4링크부재(270)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200)가 본체(100)에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4링크부재(270)를 상기 열쇠뭉치(210) 방향으로 당겨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탄성력이 작용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잠금장치의 작동과정을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커버가 잠금상태인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커버가 개방상태인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닫을 경우 자동으로 잠금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b)는 커버(200)가 본체(100)에 닫히고 잠금장치가 잠금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 상태에서 커버를 개방시키기 위해 열쇠뭉치(2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8(a),(b)의 상태가 된다.
즉, 열쇠뭉치(210)와 함께 회전링크(22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링크(220)의 회전에 의해 제1회전링크핀(221)과 제2회전링크핀(22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링크부재(230)는 상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되고, 제3회전링크(260)는 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상기 제1링크부재(230)의 상방향 직선운동에 의해 제1링크부재(230)의 제1몸체부(231) 상단부가 제2링크부재(240)의 몸체부(241) 하단부를 상방향으로 밀어올려 제1후크(247)도 상방향으로 밀어 올려지게 되고, 상기 제3링크부재(260)의 하방향 직선운동에 의해 제3링크부재(260)의 제2몸체부(262)가 제4링크부재(270)의 제2몸체부(272) 및 제2후크(277)를 하방향으로 밀게 되어, 도 8(b)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제2탄성부재(280)는 제1링크부재(230)와의 거리가 멀어져 길이가 늘어남으로써 탄성 복원력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200)를 열면 본체(100)로부터 커버(200)가 개방된다.
이와 반대로 도 8(a),(b) 상태에서 커버(200)를 잠금상태로 하기 위해 열쇠뭉치(2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링크(220)와 제1회전링크핀(221) 및 제2회전링크핀(222)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230)는 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고, 제3링크부재(260)는 상방향으로 직선운동한다.
상기 제1링크부재(230)의 하방향 직선운동에 의해 제2링크부재(240)는 제1탄성부재(250)에 의해 하방향으로 당겨져 이동하게 되어 제1후크(247)가 도 7(b)에서와 같이 제1걸림부(110)에 걸림상태가 된다. 또한 제4링크부재(240)는 상기 제1링크부재(230)와의 거리가 가까워지더라도 제2탄성부재(28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후크(277)도 제2걸림부(120)에 걸림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잠금장치에 의하면, 도 7(b)과 같이 제1후크(247)와 제2후크(277)가 제1걸림부(110)와 제2걸림부(120)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걸림상태가 되어 잠금이 이루어지므로, 카세트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제1후크(247)와 제2후크(277)가 제1걸림부(110)와 제2걸림부(120)에서 동시에 이탈하지 않게 된다.
즉,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은 상방향 또는 하방향 중 어느 한 쪽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는데, 제1후크(247)가 제1걸림부(110)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상방향)으로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제2후크(277)에는 오히려 제2걸림부(120)에 걸리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제1후크(247)와 제2후크(277) 동시에 걸림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한편,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버(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열쇠를 잠금상태로 회전시킨 후 열쇠를 빼내더라도 커버(200)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커버(200)가 본체(100)에 자동으로 닫힐 수 있다.
즉, 도 9(a)와 같이 커버(200)가 개방되어 있고 열쇠가 잠금상태인 경우 커버(200)를 닫게 되면, 제1후크(247)의 경사면(247a)과 제1걸림부(110)의 경사면(111)은 충돌하게 되고, 제2후크(277)의 경사면(277a)과 제2걸림부(120)의 경사면(121)도 충돌하게 된다.
상기 경사면들 간의 충돌 후에도 커버(200)를 밀어 닫으면, 도 9(b)와 같이 제1후크(247)는 제1탄성부재(25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후크(277)는 제2탄성부재(28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방향으로 이동한 후, 제1후크(247)는 제1걸림부(110)에 걸림되고, 제2후크(277)는 제2걸림부(120)에 걸림되어 도 7(b)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열쇠뭉치(21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탄성부재(250,280)가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탄성부재(250)와 제2탄성부재(280)를 하나의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부재의 일단이 제2링크부재(24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4연결부재(270)에 연결되면, 커버(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닫더라도 자동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제2탄성부재(280)의 양단이 제1링크부재(230)와 제4링크부재(270)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탄성부재(280)의 양단이 제3링크부재(260)와 제4링크부재(270)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탄성부재(250)는 일단이 제2링크부재(240)에 연결되고 타단이 커버(200)의 몸체(201) 또는 플랜지부(202)에 연결되고, 제2탄성부재(280)는 일단이 제4링크부재(270)에 연결되고 타단이 커버(200)의 몸체(201) 또는 플랜지부(202)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실시예의 탄성부재(250,280)는 열쇠뭉치(210)가 잠금 상태에서 상기 커버(200)를 닫게 되면, 제1후크(247)와 제2후크(247)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탄성부재(250,280)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복귀하여 제1걸림부(110)와 제2걸림부(120)에 각각 걸림 상태가 되는 구조이므로, 이와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라면 탄성부재의 설치위치가 변경되더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제2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버 잠금장치가 잠금상태인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10의 커버 잠금장치가 개방상태인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2실시예는 열쇠뭉치(210')가 잠금 상태에서 커버(200)를 닫게 되면, 제1후크(247')와 제2후크(277')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후 탄성부재(250',280')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귀하여 제1걸림부(110')와 제2걸림부(120')에 각각 걸림 상태가 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고, 이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제2실시예의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는, 열쇠뭉치(210')의 개폐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링크(220'), 상기 회전링크(2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링크(220')의 회전에 따라 직선운동하는 제1링크부재(230'), 상기 제1링크부재(230')와 함께 직선운동하되 상기 열쇠뭉치(210')의 잠금조작시 상기 본체(100)에 구비된 제1걸림부(110')에 걸림되는 제1후크(247')가 형성된 제2링크부재(240'), 상기 회전링크(22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링크(2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링크부재(230')와 반대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제3링크부재(260'), 상기 제3링크부재(260')와 함께 직선운동하되, 상기 열쇠뭉치(210')의 잠금조작시 상기 본체(100)에 구비된 제2걸림부(120')에 걸림되는 제2후크(277')가 형성된 제4링크부재(270'), 상기 제2링크부재(240')와 제4링크부재(270')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 제1탄성부재(250')와 제2탄성부재(28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링크(220')에는 제1회전링크핀(221')과 제2회전링크핀(222')이 구비된다. 상기 제1회전링크핀(221')은 제1링크부재(230')의 몸체부(231')에 형성된 장공(231a')에 삽입되고, 상기 제2회전링크핀(222')은 제3회전링크핀(260')의 몸체부(261')에 형성된 장공(261a')에 삽입된다.
상기 제1링크부재(230')의 일측 단부에는 걸림부(23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부재(240')의 일측 단부에도 상기 걸림부(232')에 걸림되는 걸림부(242')가 형성되어, 상기 열쇠뭉치(210')의 회전시 상기 제1링크부재(230')와 제2링크부재(240')는 함께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250')는 제1링크부재(230')를 상방향으로 당기도록 설치되어 있어, 도 10(b)와 같이 잠금상태에서 제1걸림부(110')와 제1후크(247')의 걸림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후크(247')에는 경사면(247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걸림부(110')에도 상기 경사면(247a')에 대면하는 경사면(111')이 형성되어 있어, 커버(20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자동 잠금이 가능하다.
상기 제3링크부재(260')의 일측 단부에는 걸림부(262')가 형성되고, 상기 제4링크부재(270')의 일측 단부에도 상기 걸림부(262')에 걸림되는 걸림부(272')가 형성되어, 상기 열쇠뭉치(210')의 회전시 상기 제3링크부재(260')와 제4링크부재(270')는 함께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280')는 제4링크부재(270')를 하방향으로 당기도록 설치되어 있어, 도 10(b)와 같이 잠금상태에서 제2걸림부(120')와 제2후크(277')의 걸림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에서와 같이 잠금장치의 잠금상태에서 열쇠뭉치(2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링크부재(230')와 제2링크부재(240')는 제1탄성부재(25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고, 제3링크부재(260')와 제4링크부재(270')는 제2탄성부재(28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방향으로 직선운동한다. 이 경우 제1후크(247')와 제2후크(277')는 도 1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걸림부(110')와 제2걸림부(120')로부터 이탈하여 커버(200)가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제2실시예의 경우에도 커버(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열쇠를 잠금상태로 회전시킨 후 열쇠를 빼내더라도 커버(200)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커버(200)가 본체(100)에 자동으로 닫힐 수 있다.
즉, 커버(200)가 개방되어 있고 열쇠가 잠금상태인 경우 커버(200)를 닫게 되면, 제1후크(247')의 경사면(247a')과 제1걸림부(110')의 경사면(111')은 충돌하게 되고, 제2후크(277')의 경사면(277a')과 제2걸림부(120')의 경사면(121')도 충돌하게 된다.
상기 경사면들 간의 충돌 후에도 커버(200)를 밀어 닫으면, 제1후크(247')는 제1탄성부재(25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후크(277')는 제2탄성부재(28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방향으로 이동한 후, 제1후크(247')는 제1걸림부(110')에 걸림되고, 제2후크(277')는 제2걸림부(120')에 걸림되어 자동 잠금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2실시예의 경우에도 제1후크(247')와 제2후크(277')가 제1걸림부(110')와 제2걸림부(120')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걸림상태가 되어 잠금이 이루어지므로, 제1후크(247')가 제1걸림부(110')로부터 이탈되는 방향(하방향)으로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제2후크(277')에는 오히려 제2걸림부(120')에 걸리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제1후크(247')와 제2후크(277') 동시에 걸림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미설명부호 235', 245', 265', 275'는 제1 내지 제4링크부재(230',240',260',270')에 결합된 제1 내지 제4링크부재가이드핀을 각각 나타낸다.
도 12는 도 10의 잠금장치에서 탄성부재가 하나인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의 경우 탄성부재(290')의 일측단은 제1링크부재(230')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제3링크부재(260')에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290')는 잠금상태에서 제1링크부재(230')와 제3링크부재(26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스프링이 압축상태로 설치되어야 하고, 개방상태에서는 잠금상태에 비해 더 압축됨으로써 제1후크(247')와 제2후크(277')가 제1걸림부(110')와 제2걸림부(120')로부터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본체 110,110' : 제1걸림부
120,120' : 제2걸림부 200 : 커버
210,210' : 열쇠뭉치 220,220' : 회전링크
221,221' : 제1회전링크핀 222,222' : 제2회전링크핀
230,230' : 제1링크부재 240,240' : 제2링크부재
247,247' : 제1후크 250,250' : 제1탄성부재
260,260' : 제3링크부재 270,270' : 제4링크부재
277,277' : 제2후크 280,280' : 제2탄성부재
235,235',245,245',265,265',275,275' : 가이드핀

Claims (13)

  1. 커버(200)에 구비된 열쇠뭉치(210,210')의 개폐조작에 의해 본체(100)를 개폐하는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쇠뭉치(210,210')의 개폐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링크(220,220');
    상기 회전링크(220,2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링크(220,220')의 회전에 따라 직선운동하는 제1링크부재(230,230');
    상기 제1링크부재(230,230')와 함께 직선운동하되, 상기 열쇠뭉치(210,210')의 잠금조작시 상기 본체(100)에 구비된 제1걸림부(110,110')에 걸림되는 제1후크(247,247')가 형성된 제2링크부재(240,240');
    상기 회전링크(220,22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링크(220,2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링크부재(230,230')와 반대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제3링크부재(260,260');
    상기 제3링크부재(260,260')와 함께 직선운동하되, 상기 열쇠뭉치(210,210')의 잠금조작시 상기 본체(100)에 구비된 제2걸림부(120,120')에 걸림되는 제2후크(277,277')가 형성된 제4링크부재(270,270');
    상기 제2링크부재(240,240')와 제4링크부재(270,270')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0)에 구비된 상기 제1걸림부(110,110')의 경사면(111,111')과 상기 제2걸림부(120,120')의 경사면(121,121')에 각각 대향하도록 상기 제1후크(247,247')와 제2후크(277,277')에 경사면(247a,247a',277a,277a')이 각각 형성된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링크부재(240)와 제4링크부재(27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설치된 제1탄성부재(250)와 제2탄성부재(2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250)의 양단은 상기 제1링크부재(230)와 제2링크부재(240)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280)의 양단은 상기 제4링크부재(270)와 상기 제1링크부재(230)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그 양단이 상기 제2링크부재(240)와 제4링크부재(270)에 각각 연결된 하나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쇠뭉치(210)의 개방조작시, 상기 제2링크부재(240)는 제1링크부재(230)에 의해 밀려 직선운동하고, 상기 제4링크부재(270)는 제3링크부재(260)에 의해 밀려 직선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크(220)에는 제1회전링크핀(221)과 제2회전링크핀(2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230)는, 상기 제1회전링크핀(221)이 삽입되는 장공(231a)이 형성된 제1몸체부(231)와, 일단이 상기 제1몸체부(231)에 연결되고 개폐과정에서 타단이 상기 제2링크부재(240)에 맞닿는 제2몸체부(2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링크부재(260)는, 상기 제2회전링크핀(222)이 삽입되는 장공(261a)이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링크핀(221)의 회전 운동을 그 내부에서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멍(261b)이 형성된 제1몸체부(261)와, 상기 제1몸체부(261)의 일측에 연결되고 개폐과정에서 상기 제4링크부재(270)에 맞닿는 제2몸체부(262)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링크(220)와 상기 제1링크부재(230)의 제1몸체부(231) 및 제3링크부재(260)의 제1몸체부(261)는 순차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는, 상기 열쇠뭉치(210)가 설치되는 몸체(201)와, 상기 몸체(201)의 가장자리에서 절곡 형성되되 상기 제1 내지 제4링크부재(230,240,260,270)의 직선운동 방향으로 가이드구멍(203)이 형성된 플랜지부(20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내지 제4링크부재(230,240,260,270)에는 상기 가이드구멍(203)에 삽입되어 상기 직선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핀(235,245,265,27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쇠뭉치(210)가 잠금 상태에서 상기 커버(200)를 닫게 되면, 상기 제1후크(247)와 제2후크(247)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복귀하여 상기 제1걸림부(110)와 제2걸림부(120)에 각각 걸림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쇠뭉치(210')가 잠금 상태에서 상기 커버(200)를 닫게 되면, 상기 제1후크(247')와 제2후크(247')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귀하여 상기 제1걸림부(110')와 제2걸림부(120')에 각각 걸림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링크부재(240')와 제3링크부재(26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설치된 제1탄성부재(250')와 제2탄성부재(2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링크부재(240')와 제3링크부재(26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일단과 타단이 상기 제1링크부재(240')와 제3링크부재(260')에 각각 연결된 하나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크(220')에는 제1회전링크핀(221')과 제2회전링크핀(2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230')는, 상기 제1회전링크핀(221')이 삽입되는 장공(231a')이 형성된 몸체부(231')와, 상기 제2링크부재(240')의 걸림부(242')에 걸림되어 일체로 직선운동하는 걸림부(2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링크부재(260')는, 상기 제2회전링크핀(222')이 삽입되는 장공(261a')이 형성된 몸체부(261')와, 상기 제4링크부재(270')의 걸림부(272')에 걸림되어 일체로 직선운동하는 걸림부(26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KR1020130169181A 2013-12-31 2013-12-31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KR102165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181A KR102165828B1 (ko) 2013-12-31 2013-12-31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181A KR102165828B1 (ko) 2013-12-31 2013-12-31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141A true KR20150079141A (ko) 2015-07-08
KR102165828B1 KR102165828B1 (ko) 2020-10-14

Family

ID=53791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181A KR102165828B1 (ko) 2013-12-31 2013-12-31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8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9214A (ko) * 2016-01-26 2017-08-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 처리 장치
KR20190077664A (ko) * 2017-12-26 2019-07-04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매체저장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CN111512348A (zh) * 2017-12-26 2020-08-07 晓星Tns株式会社 具有媒体储存部的自动柜员机及其控制方法
CN113495427A (zh) * 2020-03-19 2021-10-12 家登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光掩模盒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145B1 (ko) * 2022-07-14 2022-09-22 주식회사 한메가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카세트를 포함하는 입금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4744A (ja) * 1994-06-08 1995-12-22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扉ロック装置
JPH09273338A (ja) * 1996-04-05 1997-10-21 Sanyo Electric Co Ltd ドアのロック装置
JP3569960B2 (ja) * 1994-07-04 2004-09-29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ドアロック装置
KR101114634B1 (ko) * 2010-06-03 2012-03-0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카세트의 도어 잠금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4744A (ja) * 1994-06-08 1995-12-22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扉ロック装置
JP3569960B2 (ja) * 1994-07-04 2004-09-29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ドアロック装置
JPH09273338A (ja) * 1996-04-05 1997-10-21 Sanyo Electric Co Ltd ドアのロック装置
KR101114634B1 (ko) * 2010-06-03 2012-03-0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카세트의 도어 잠금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9214A (ko) * 2016-01-26 2017-08-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 처리 장치
KR20190077664A (ko) * 2017-12-26 2019-07-04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매체저장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CN111512348A (zh) * 2017-12-26 2020-08-07 晓星Tns株式会社 具有媒体储存部的自动柜员机及其控制方法
CN111512348B (zh) * 2017-12-26 2022-04-05 晓星Tns株式会社 具有媒体储存部的自动柜员机及其控制方法
CN113495427A (zh) * 2020-03-19 2021-10-12 家登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光掩模盒
CN113495427B (zh) * 2020-03-19 2024-05-07 家登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光掩模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828B1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9141A (ko)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US5715923A (en) Currency acceptor with locking cash box
JPS60244720A (ja) 紙葉類収納装置
KR200390909Y1 (ko) 금고잠금장치
KR101463514B1 (ko) 푸시 앤 푸시 도어락 장치
KR101590714B1 (ko) 금융기기
KR102382960B1 (ko) 휴대용 컴퓨터의 도난 방지장치
CN110570606A (zh) 一种具有较好防盗性能的收款箱
KR20060112280A (ko) 금고잠금장치
JP5355427B2 (ja) 自動取引装置のシャッタ構造
KR101114634B1 (ko) 카세트의 도어 잠금 장치
CN116361871A (zh) 用于锁紧便携式计算机的装置
CN109448220B (zh) 金融自助设备及其闸门防盗系统
KR10210686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
CN217080114U (zh) 锁定机构及现金循环处理设备
JP6891924B2 (ja) 媒体処理装置
KR20130017791A (ko) 도어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체자동처리기
CN213276703U (zh) 一种发卡装置
WO2019218913A1 (zh) 闸门机构、钞箱及自助设备
KR200389834Y1 (ko) 도어스톱퍼가 구비된 금고
KR200387672Y1 (ko) 금고용 이중도어
KR101868151B1 (ko)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
JP3575330B2 (ja) 紙葉類収納装置
CN209785115U (zh) 一种循环钞箱托钞板的锁定解锁装置
KR10107729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저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