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8794A -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 및 시동 제한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 및 시동 제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794A
KR20150078794A KR1020130168518A KR20130168518A KR20150078794A KR 20150078794 A KR20150078794 A KR 20150078794A KR 1020130168518 A KR1020130168518 A KR 1020130168518A KR 20130168518 A KR20130168518 A KR 20130168518A KR 20150078794 A KR20150078794 A KR 20150078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cell vehicle
storage tank
doo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경
김상현
심지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8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8794A/ko
Priority to DE102014223223.6A priority patent/DE102014223223A1/de
Priority to US14/541,937 priority patent/US20150183336A1/en
Priority to CN201410674473.XA priority patent/CN104742754A/zh
Publication of KR20150078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7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5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B60L58/3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starting of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B60L58/3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uel cells, e.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36Temperature of vehicle components or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el Cell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주입구 도어의 개방 여부가 감지되는 단계, 수소 주입구 도어가 개방되면,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단계,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압력이 측정되는 단계,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압력 증가가 기설정된 압력변화 범위를 초과하여 증가하면,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 및 시동 제한 장치 {A start-up limitation method of the fuel cell vehicle and a start-up limitation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 및 시동 제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주입구 도어(door)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sensor)에 이상이 생기더라도 차량의 수소 연료 주입 여부를 감지하여 시동을 제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 자동차는 수소를 연료로 사용한다. 수소는 단위 질량당 에너지(energy) 밀도가 높고 다른 탄화 수소 연료에 비하여 단위 질량당 발열량이 높은 반면, 밀도가 매우 작기 때문에 단위 부피당 에너지 밀도는 매우 작다.
따라서, 연료전지 자동차는 수소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수소 연료를 압축하여 약 700 바(bar) 정도의 고압 수소 저장 탱크(tank)에 저장한다.
그러나, 수소는 기체 중 가장 큰 열 전도율을 가지고 있고, 확산이 빠르며, 점화 에너지가 작아서 점화가 쉽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수소 저장 시에는 저장 효율과 안전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수소 충전 중에 자동차의 시동이 커지거나, 자동차가 구동되어 수소가 방출되면 높은 발화성으로 인하여 큰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럽 자동차 규정(406/2010/EC)는 연료전지 자동차의 충전 중에는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제한하고 있으며,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충전을 시도할 경우 연료전지 자동차의 시동이 자동으로 꺼지거나, 충전이 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그리고, 충전 상황을 감지하는 방법으로 연료 주입구 도어(door)에 센서(sensor)를 부착하여 충전중인지 여부를 감지하고 있다.
하지만, 연료 주입구 도어에 구비된 센서만을 이용하여, 연료전지 자동차의 시동을 제한하는 경우, 도어 센서가 고장인 경우에는 충전 상태임을 인식하지 못하여 연료전지 자동차의 시동을 제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소 연료 주입구에 구비된 도어 센서 이외에 추가적으로 압력 센서와 온도 센서를 활용하여, 도어 센서가 고장인 상황에서도 충전 상태를 인식하여 시동을 제한할 수 있는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 및 시동 제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주입구 도어의 개방 여부가 감지되는 단계; 상기 수소 주입구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압력이 측정되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압력 증가가 기설정된 압력변화 범위를 초과하여 증가하면,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압력 증가가 기설정된 압력변화 범위를 초과하여 증가하면,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온도가 측정되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온도 상승이 기설정된 온도상승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주입구 도어의 개방 여부가 감지되는 단계; 상기 수소 주입구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온도가 측정되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온도 상승이 기설정된 온도상승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연료전치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온도 상승이 기설정된 온도상승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연료전치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압력이 측정되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압력 증가가 기설정된 압력변화 범위를 초과하여 증가하면,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소 주입구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단계는,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운전석 계기판을 통하여 상기 수소 주입구 도어가 개방 상태임이 표시되고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변화 범위를 초과하여 증가하면,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단계는,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운전석 계기판을 통하여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고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주입구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개방 감지 센서부;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온도변화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상기 도어 감지 센서부로부터 도어 개방 감지 신호, 상기 압력 측정부로부터 압력 값, 상기 온도 측정부로부터 온도 값을 입력받아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의 꺼짐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감지 센서부로부터 상기 수소 주입구 도어가 개방되었다는 도어 개방 감지 신호를 입력 받거나, 상기 도어 감지 센서부로부터 도어 개방 감지 신호의 입력이 없음에도 상기 압력 측정부로부터 입력받은 압력 값의 증가범위가 기설정된 압력변화 범위를 초과하거나, 상기 도어 감지 센서부로부터 도어 개방 감지 신호의 입력이 없음에도 상기 온도 측정부로부터 입력받은 온도 값의 증가범위가 기설정된 온도변화 범위를 넘어서면,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을 꺼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에 따르면 연료전지 자동차의 도어 센서가 미작동하더라도, 다른 센서를 이용하여 수소 충전 중임을 감지하여, 연료전지 자동차의 시동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연료전지 자동차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도는 연료전지 차량에 도어 센서만 구비되어 있는 경우, 만일 도어 센서가 불량인 경우, 차량에 시동이 걸리는 상황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의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의 작동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 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에서 차량의 계기판을 통하여 연료전지 차량의 상태를 보여주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5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에서 차량의 계기판을 통하여 연료전지 차량의 상태를 보여주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 1도는 연료전지 차량에 도어 센서만 구비되어 있는 경우, 만일 도어 센서가 불량인 경우, 차량에 시동이 걸리는 상황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연료전지 차량의 도어 센서는 홀(hall) 센서나 접점 센서 등을 사용하여 연료 도어가 열렸을 경우 충전 중임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원칙적으로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주입구 도어가 개방되면, 차량에 시동이 인가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만일 수소 주입구 도어에 장착된 도어 센서가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하여 고장난 경우에는 연료전지 차량은 수소 주입구 도어가 개방되었음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서 연료전지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폭발 등의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도면 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의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은 수소 주입구 도어의 도어 센서 외에도 추가적으로 온도센서와 압력센서를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센서가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의 영향을 받아 제대로 작동하지 않더라도, 수소 저장 탱크 내의 압력이 갑자기 증가하거나 온도가 상승하면, 현재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에 수소가 주입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에 시동이 걸리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은 도어 센서가 고장난 경우에도, 압력 센서를 활용하여 수소 저장 탱크 내의 압력변화를 측정할 수 있고, 기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기설정된 압력 범위를 초과하여 갑자기 수소 저장 탱크 내의 압력이 증가하면 이를 수소가 충전되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기설정된 압력이나 기설정된 시간은 수소가 차량에 충전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는 적절한 시간이 선택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압력 값은 20 바(bar), 시간은 2초 정도가 선택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은 이에 한층 더 나아가, 수소 저장 탱크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를 더 활용하여, 압력 센서와 도어 센서가 모두 고장난 경우에도 연료 전지 차량에 시동이 걸리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온도 상승이 기설정된 온도 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이를 기초로 현재 연료전지 차량에 수소가 주입 중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설정된 시간과 기설정된 온도 상승 값은 수소가 충전 중이라는 것이 인식될 수 있는 적절한 값이 선택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약 2초 동안의 시간 동안, 약 섭씨 30도 이상으로 수소 저장 탱크 내의 온도가 상승하면 수소가 충전 중이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도면 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의 작동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은 먼저 연료 도어의 센서가 고장났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3-1) 이 과정에서, 연료 도어 센서가 정상 작동 중이라면, 수소 주입구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를 감지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3-2) 그리고, 수소 주입구 도어가 개방된 경우(S3-3),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은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을 제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3-4)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이 제한된 이후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은 수소 주입구를 통하여 수소가 충전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S3-5)
하지만, 연료 도어 센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고장난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은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가 고장 상태인지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3-6)
압력센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상태라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은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압력이 증가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3-8) 이 과정에서 연료전지의 수소 저장 탱크내의 압력이 갑자기 증가한다면, 이는 수소가 충전 중인 것임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은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을 제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3-4)
만일,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주입구의 도어 센서도 고장난 상태이고, 압력 센서도 고장난 상태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은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3-9)
이 과정에서, 온도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온도의 변화가 갑자기 상승하는 경우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은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을 제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3-4)
이렇듯,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은 단순히 연료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를 통하여 시동을 제한하는 것 외에, 압력 센서와 온도 센서를 통하여 수소가 현재 차량에 주입되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도어 센서가 반복적인 개폐를 반복하여 고장난 상태에서도 수소 충전 중에 우발적으로 차량에 시동이 걸리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 4도와 5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에서 차량의 계기판을 통하여 연료전지 차량의 상태를 보여주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4도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은 계기판에 'close fuel door'라는 표시를 내보냄으로써,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주입구의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운전자에게 알려준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의 속도가 2 킬로미터아워(km/h) 미만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은 연료 전지 차량의 시동을 셧 다운(shut down) 시킬 수 있다.
도면 5도의 실시예에서는 수소 저장 탱크의 압력이 갑자기 상승한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이 계기판을 통하여 'checking hydrogen system'이라는 경고 메시지를 송출하는 것을 보여준다. 즉, 도어가 개방되지 않았는데도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감지한 상태로서, 이는 도어 센서가 고장이 나서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은 이러한 경고 메시지를 운전자에게 알려주고 차량의 시동을 제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주입구 도어의 개방 여부가 감지되는 단계;
    상기 수소 주입구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압력이 측정되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압력 증가가 기설정된 압력변화 범위를 초과하여 증가하면,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압력 증가가 기설정된 압력변화 범위를 초과하여 증가하면,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온도가 측정되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온도 상승이 기설정된 온도상승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
  3.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주입구 도어의 개방 여부가 감지되는 단계;
    상기 수소 주입구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온도가 측정되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온도 상승이 기설정된 온도상승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연료전치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온도 상승이 기설정된 온도상승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연료전치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압력이 측정되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압력 증가가 기설정된 압력변화 범위를 초과하여 증가하면,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주입구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단계는,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운전석 계기판을 통하여 상기 수소 주입구 도어가 개방 상태임이 표시되고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변화 범위를 초과하여 증가하면,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단계는,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운전석 계기판을 통하여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고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
  7.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주입구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개방 감지 센서부;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의 온도변화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상기 도어 감지 센서부로부터 도어 개방 감지 신호, 상기 압력 측정부로부터 압력 값, 상기 온도 측정부로부터 온도 값을 입력받아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의 꺼짐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감지 센서부로부터 상기 수소 주입구 도어가 개방되었다는 도어 개방 감지 신호를 입력 받거나,
    상기 도어 감지 센서부로부터 도어 개방 감지 신호의 입력이 없음에도 상기 압력 측정부로부터 입력받은 압력 값의 증가범위가 기설정된 압력변화 범위를 초과하거나,
    상기 도어 감지 센서부로부터 도어 개방 감지 신호의 입력이 없음에도 상기 온도 측정부로부터 입력받은 온도 값의 증가범위가 기설정된 온도변화 범위를 넘어서면,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을 꺼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장치.




KR1020130168518A 2013-12-31 2013-12-31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 및 시동 제한 장치 KR2015007879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518A KR20150078794A (ko) 2013-12-31 2013-12-31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 및 시동 제한 장치
DE102014223223.6A DE102014223223A1 (de) 2013-12-31 2014-11-13 Inbetriebnahme-Einschränk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ein Brennstoffzellenfahrzeug
US14/541,937 US20150183336A1 (en) 2013-12-31 2014-11-14 Startup limi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uel cell vehicle
CN201410674473.XA CN104742754A (zh) 2013-12-31 2014-11-21 用于燃料电池车的启动限制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518A KR20150078794A (ko) 2013-12-31 2013-12-31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 및 시동 제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794A true KR20150078794A (ko) 2015-07-08

Family

ID=53372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518A KR20150078794A (ko) 2013-12-31 2013-12-31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 및 시동 제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183336A1 (ko)
KR (1) KR20150078794A (ko)
CN (1) CN104742754A (ko)
DE (1) DE1020142232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7690B2 (ja) * 2015-04-22 2017-11-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6465308B2 (ja) * 2016-02-25 2019-02-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圧力センサの異常検出方法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6352323B2 (ja) * 2016-02-26 2018-07-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CN108146236A (zh) * 2016-11-28 2018-06-12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氢燃料电池客车的氢安全控制方法及系统
CN108327562B (zh) * 2018-03-12 2023-09-05 金龙联合汽车工业(苏州)有限公司 氢燃料汽车加氢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IT201800006615A1 (it) * 2018-06-25 2019-12-25 Gruppo di connettore elettrico di ingresso per la ricarica di un veicolo elettrico o di un veicolo ibrido
JP2022134843A (ja) * 2021-03-04 2022-09-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CN113246879A (zh) * 2021-07-14 2021-08-13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车辆燃料加注的状态处理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2601A1 (en) * 2001-05-03 2002-11-07 Jizeng Jin Safety system for fueling vehicle
US20090091438A1 (en) * 2007-10-09 2009-04-0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of preventing inadvertent check engine telltale
KR20120064447A (ko) * 2010-12-09 2012-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자동차의 송신기 전원 공급 장치
US9080354B2 (en) * 2011-06-15 2015-07-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ogic-based sliding door interlock
KR101337908B1 (ko) * 2011-12-01 2013-12-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자동차의 실시간 탱크 변형 정보를 이용하는 수소 안전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US9022080B2 (en) * 2012-02-08 2015-05-05 Honda Motor Co., Ltd. Communication device activated by fuel door
KR101509886B1 (ko) * 2013-06-03 2015-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수소충전 제어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83336A1 (en) 2015-07-02
DE102014223223A1 (de) 2015-07-02
CN104742754A (zh)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8794A (ko)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 및 시동 제한 장치
CN102759434B (zh) 诊断车辆中的阀泄漏的系统和方法
CN101160686B (zh) 用于hev和ev的电池组管理方法
US7055640B2 (en) Fuel cut-off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KR100815308B1 (ko) 연료전지 자동차 시스템의 수소 누출 판단 시스템 및 방법
EP2287458A2 (en) Method of detecting at least one malfunctioning high-pressure gas tank
KR20170031940A (ko) 배터리 스웰링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N108736079A (zh) 一种动力电池热失控扩散预警系统及方法
US71098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parameters of an easily ignited gas
CN113809360B (zh) 氢燃料电池系统氢气泄漏检测方法与系统、轨道交通车辆
WO2019174294A1 (zh) 氢燃料汽车加氢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JP2008203171A (ja) 高圧タンク温度検出システム、高圧タンクシステム
CN110966515A (zh) 一种燃料电池车燃气加注安全控制方法及燃料电池车辆
CN110657037B (zh) 检测天然气发动机供气系统泄漏的方法
EP3743703B1 (en) Leak detection in a hydrogen fuelled vehicle
KR101189380B1 (ko) Isg 진입 장치 및 방법
KR101856824B1 (ko) 연료 전지 시스템의 연료 잔량 표시 방법 및 연료 전지 탑재 차량
BR112014009256A8 (pt) sistema de controle para veículo
CN205800789U (zh) 一种汽车油箱盖安全警示装置
KR101526881B1 (ko) 엔진 튜닝 판단을 위한 차량용 전자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7782563A (zh) 汽车故障自动检测系统
KR101009477B1 (ko) 차량용 배터리 세이버 시스템
CN112477687A (zh) 一种电动汽车动力蓄电池热失控预警系统
JP4238821B2 (ja) 内燃機関の始動異常回避誘導システム
KR20230088157A (ko) 연료전지차량의 수소 누출 감지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