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447A - 연료전지 자동차의 송신기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자동차의 송신기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447A
KR20120064447A KR1020100125690A KR20100125690A KR20120064447A KR 20120064447 A KR20120064447 A KR 20120064447A KR 1020100125690 A KR1020100125690 A KR 1020100125690A KR 20100125690 A KR20100125690 A KR 20100125690A KR 20120064447 A KR20120064447 A KR 20120064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transmitter
fuel door
fue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기
김상현
심지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5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4447A/ko
Priority to US13/189,955 priority patent/US8886405B2/en
Publication of KR20120064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4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6/00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 H01M16/003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 H01M16/006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of fuel cells with rechargeabl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B60L58/3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uel cells, e.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 B60L58/33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uel cells, e.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by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01M8/04208Cartridges, cryogenic media or cryogenic reservoi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01M8/04373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of auxiliary devices, e.g. reformers, compressors, bur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 H01M8/04425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at auxiliary devices, e.g. reformers, compressors, bur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uel Cell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자동차의 송신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소 충전소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IR 데이터 송신기와, 상기 IR 데이터 송신기와 연결되어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 공급 장치와, 상기 전원 공급 장치에 연결되어 연료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연료도어 개폐 감지장치와, 상기 연료도어 개폐 감지장치와 연결되어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상시 전원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의 송신기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여,
연료도어의 개폐를 감지하여 연료전지 자동차에 수소를 충전하는 동안에만 상시 전원에 의한 공급이 이루어지고, 수소 충전 완료시에는 상시 전원에 의한 공급이 중단되도록 하여 배터리가 방전되어 시동이 불가능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료전지 자동차의 송신기 전원 공급 장치{SOURCE SUPPLYING APPARATUS TO TRANSMITTER OF FUEL CELL VEHICLE}
본 발명은 연료전지 자동차의 송신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전지 자동차의 IR 데이터 송신기와 연결되어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연료도어의 개폐에 따라 데이터를 입력하는 연료도어 개폐 감지장치와 상기 연료도어 개폐 감지장치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상시 전원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의 송신기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는 연료 특히, 수소를 공기중의 산소와 화학반응시켜 전기를 생성하는 무공해 전력 공급장치로서 차세대 청정에너지 발전 시스템 중의 하나로 각광받고 있다.
연료전지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은 대형 건물의 자가발전기, 전기자동차 전원 등으로 이용될 수 있고, 천연 가스, 도시 가스 등 다양한 연료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를 충전하기 위하여 수소 충전소를 이용하는데, 자동차와 충전소간의 송수신에 의하여 충전이 이루어진다.
즉, 자동차의 송신기에서 수소 충전소에 데이터를 보내면 상기 수소 충전소에서는 상기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수소 충전소에 필요한 양만큼 수소를 충전하게 된다.
연료전지 자동차와 수소 충전소간에는 충전 노즐로 연결되어 있어 수소 충전소에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충전 노즐을 통하여 연료전지 자동차에 수소가 충전되게 된다.
특히, 700Mpa 수소 연료전지 차량에서 안전의 목적으로 수소 충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시 통신 충전을 실시한다. 통신 충전의 방법에는 무선통신과 유선통신의 방법이 있는데, 상품성의 문제로 인하여 유선통신을 이용하는 추세에 있으며, 최근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인 SAE J2799에서 제정된 IR 통신을 적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의 방법으로 수소 충전을 실시할 때는 항상 키 오프(key off) 상태이므로 상시 전원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송신기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상시 전원의 경우에는 방전의 우려가 있다. 즉, 수소 충전이에는 키 오프 상태가 되므로 상시 전원을 공급해야만 충전시 실시간으로 수소 저장 시스템 내부의 온도 및 압력 데이터를 수소 충전소에 송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의 충전 시간은 10분 ~ 20분 정도이므로 전력 소모가 크지 않지만 여름철에는 탱크의 온도 상승에 의한 충전 속도 저감 및 충전소 압축기 용량의 문제로 충전시간은 충분히 길어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료전지 자동차에 수소를 충전 또는 미충전시 연료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시 전원에 의해 연료도어 개폐 감지장치에 전원을 공급함에 의해 IR 데이터 송신기에 전원을 자동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소 충전소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IR 데이터 송신기와, 상기 IR 데이터 송신기와 연결되어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 공급 장치와, 상기 전원 공급 장치에 연결되어 연료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연료도어 개폐 감지장치와, 상기 연료도어 개폐 감지장치와 연결되어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상시 전원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의 송신기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상기 상시 전원은 상기 연료도어 개폐 감지장치에 의해 연료도어가 열린 경우에 상기 연료도어 개폐 감지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상시 전원은 상기 연료전지 자동차에 수소 충전이 완료되어 연료도어가 닫히면 IR 데이터 송신기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료도어의 개폐를 감지하여 연료전지 자동차에 수소를 충전하는 동안에만 상시 전원에 의한 공급이 이루어지고, 수소 충전 완료시에는 상시 전원에 의한 공급이 중단되도록 하여 배터리가 방전되어 시동이 불가능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연료전지 자동차의 연료 공급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상시 전원에 의한 전원 공급을 위한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70Mpa 자동차의 충전시 차량의 온도, 압력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기(40)에 2차전지(100)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연료전지 송신기(40)에의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의 개략도인데, IR 데이터 송신기(40) 및 센서류와 수소 충전소(50)의 IR 데이터 수신부의 송수신에 의해 수소를 연료전지 자동차에 필요한 양만큼 충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IR 데이터 송신기(40) 및 센서류를 IR 데이터 송신기(40)로 칭하기로 한다.
연료전지 자동차에 수소를 충전하는 경우에는 키 오프(key off)상태이므로 상시 전원 이외에는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IR 송신기(40) 및 수소저장 장치의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는 키 오프 상태에서도 충전소(50) 측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어야 하며, 상시 전원(10)을 이용하는 경우 배터리가 방전되어 시동이 불가능한 상황이 있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소 충전시에는 항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자동차의 송신기(40) 전원 공급 장치(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소 충전소(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IR 데이터 송신기(40)와, 상기 IR 데이터 송신기(40)와 연결되어 수소 충전 또는 미충전에 따라 상기 IR 데이터 송신기(40)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 공급 장치(30)와, 상기 전원 공급 장치(30)에 연결되어 연료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연료도어 개폐 감지장치(20)와, 상기 연료도어 개폐 감지장치(20)와 연결되어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상시 전원(10)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상시 전원(10)은 상기 연료도어 개폐 감지장치(20)에 의해 연료도어가 열린 경우에는 상기 연료도어 개폐 감지장치(20)에 전원을 공급하고, 연료도어가 닫힌 경우에는 상기 연료도어 개폐 감지장치(20)에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상시 전원(10)은 상기 연료전지 자동차에 수소 충전이 완료되어 연료도어가 닫히면 IR 데이터 송신기(40)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자동차의 송신기(40)에의 전원을 공급하는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충전 또는 미충전에 따른 상시 전원(10)에 의한 연료전지 자동차의 송신기(40)에의 전원 공급 또는 차단을 나타낸 것인데,
연료전지 자동차의 키 오프시 및 충전이 개시(S10)되면 연료도어 개폐 감지장치(20)에 연결된 상시 전원(10)의 연결을 차단(S20)한다. 이 때, 단순한 키 오프 상태에서는 IR 데이터 송신기(4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그 후에 연료도어가 오픈되는지를 판단(S30)하여 연료도어가 열린다면 상시 전원(10)을 상기 연료도어 개폐 감지장치(20)에 연결(S40)하고, 연료도어가 닫힌 상태라면 상시 전원(10)의 연결을 차단한다. 즉, 연료도어가 열리게 되면 연료도어 개폐 감지장치(20)에서 전원 공급 장치(30)로 데이터를 보낸다. 데이터를 받은 전원 공급 장치(30)는 IR 데이터 송신기(40)와 수소 저장 시스템의 온도센서 및 압력센서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 때, 연료전지 자동차에 수소 충전이 완료되면 연료도어가 닫히게 되고, 연료도어가 닫히면 상시 전원(10)의 공급이 중단되어 IR 데이터 송신기(40)와 각종 센서들에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상기와 같은 장치에 의하여 연료도어 개폐 감지장치(20) 이외에는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 장치가 없으며 압전류를 최소한으로 줄여 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시동 불가 상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10: 상시 전원 20: 개폐 감지장치
30: 전원 공급 장치 40: 송신기 및 센서류
50: 수소 충전소

Claims (3)

  1. 수소 충전소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IR 데이터 송신기와,
    상기 IR 데이터 송신기와 연결되어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 공급 장치와,
    상기 전원 공급 장치에 연결되어 연료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연료도어 개폐 감지장치와,
    상기 연료도어 개폐 감지장치와 연결되어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상시 전원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의 송신기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시 전원은 상기 연료도어 개폐 감지장치에 의해 연료도어가 열린 경우에 상기 연료도어 개폐 감지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의 송신기 전원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시 전원은 상기 연료전지 자동차에 수소 충전이 완료되어 연료도어가 닫히면 IR 데이터 송신기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의 송신기 전원 공급 장치.
KR1020100125690A 2010-12-09 2010-12-09 연료전지 자동차의 송신기 전원 공급 장치 KR2012006444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690A KR20120064447A (ko) 2010-12-09 2010-12-09 연료전지 자동차의 송신기 전원 공급 장치
US13/189,955 US8886405B2 (en) 2010-12-09 2011-07-25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to transmitter of fuel cell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690A KR20120064447A (ko) 2010-12-09 2010-12-09 연료전지 자동차의 송신기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447A true KR20120064447A (ko) 2012-06-19

Family

ID=46200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690A KR20120064447A (ko) 2010-12-09 2010-12-09 연료전지 자동차의 송신기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86405B2 (ko)
KR (1) KR201200644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0611B2 (en) 2017-10-13 2021-01-26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hydrogen charge state of fuel cell electric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834B1 (ko) * 2012-09-28 2014-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충전 안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8794A (ko) * 2013-12-31 2015-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한 방법 및 시동 제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2601A1 (en) * 2001-05-03 2002-11-07 Jizeng Jin Safety system for fueling vehicle
US7171989B2 (en) * 2003-10-31 2007-02-06 Cellex Power Products, Inc. Fuel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US20070283623A1 (en) * 2006-06-08 2007-12-13 Hydrogen Discoveries, Inc. Compartmentalized Hydrogen Fueling System
KR20080035825A (ko) 2006-10-20 2008-04-24 주식회사 나비아이티 자동차의 급유연료 알림 장치
US8360117B2 (en) * 2007-02-26 2013-01-29 Texaco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ground connection
KR20090115585A (ko) 2008-05-02 2009-1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8783303B2 (en) * 2010-04-21 2014-07-22 Ryan HARTY Method and system for tank refill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0611B2 (en) 2017-10-13 2021-01-26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hydrogen charge state of fuel cell electric vehicle
US11415269B2 (en) 2017-10-13 2022-08-16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hydrogen charge state of fuel cell electric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50373A1 (en) 2012-06-14
US8886405B2 (en) 2014-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10958A3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power at a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a portable computing device docking station
CN103187777B (zh) 一种充电机及检测方法
KR101509886B1 (ko) 차량의 수소충전 제어시스템 및 방법
US9296311B2 (en) Fuel-cell vehicle
MX2010006390A (es) Carga rapida y manejo de energia de medidor de analito de fluido alimentado por bateria.
WO2013061122A3 (en) Vehicle including secondary battery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including secondary battery
KR20190130937A (ko)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4177991A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燃料消費システム
US9678491B2 (en) Energy management system, gas meter, and energy management apparatus
WO2014106549A3 (de) Ladestation mit notbetriebsar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ladestation und elektro-transportmittel
KR20120064447A (ko) 연료전지 자동차의 송신기 전원 공급 장치
CN108224090B (zh) 一种供气系统
CN106910917A (zh) 管式sofc燃料电池控制系统
KR20190041576A (ko)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충전 감지 장치 및 방법
CN206364551U (zh) 一种汽车应急电源系统
KR20090115585A (ko) 연료전지 차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76818B1 (ko) 차량용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
CN205195358U (zh) 电动汽车电池管理系统
JP6503287B2 (ja) 燃料電池車両
CN209183687U (zh) 一种锂电池加热装置、锂电池及车辆
KR20120064356A (ko) 연료전지 자동차의 송신기 전원 공급 방법
JP2003022487A (ja) 無線式ガス検出装置
KR101152647B1 (ko) 발전장치용 모니터링 방법
KR101293964B1 (ko) 연료전지차량용 적외선 송신 장치 자동 전원공급 및 차단방법
KR20130028459A (ko) 충전 정보 제공 전기차 충전기 및 전기차의 충전 정보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