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3836A - 전사원단 제조기의 히팅로울러 장치 - Google Patents

전사원단 제조기의 히팅로울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3836A
KR20150073836A KR1020140157301A KR20140157301A KR20150073836A KR 20150073836 A KR20150073836 A KR 20150073836A KR 1020140157301 A KR1020140157301 A KR 1020140157301A KR 20140157301 A KR20140157301 A KR 20140157301A KR 20150073836 A KR20150073836 A KR 20150073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discharge
heat medium
supply
medium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7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기
Original Assignee
김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기 filed Critical 김선기
Publication of KR20150073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8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006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 B41F16/002Presses of the rotary type
    • B41F16/0026Presses of the rotary type with means for applying print under heat and pressure, e.g. using heat activabl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2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texti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26Construction of ink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25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 B41M5/035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by sublimation or volatilisation of pre-printed design, e.g. sublistatic
    • B41M5/0358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by sublimation or volatilisation of pre-printed design, e.g. sublistatic characterised by the mechanisms or artifacts to obtain the transfer, e.g. the heating means, the pressure means or the transport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에 전사를 작업을 위한 열의 전달이 로울러의 전체 면적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여 전사 품질을 향상시키고, 열전달이 완료된 열 전달 매체의 회수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전사원단 제조기의 히팅로울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 형상의 드럼의 길이 방향 중간에는 드럼의 내면과 관통된 한 쌍의 배출홀을 원주를 따라 다수개로 형성하고, 드럼의 양측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분사홀이 형성된 3개의 분사파이프를 각각 등간격으로 원주를 따라 120°의 배치로 이격 설치하면서 드럼과 연통되도록 구성하며, 드럼의 일 끝단에서 열매체유를 3등분으로 분할 유동시키고, 각 등분된 열매체유를 2등분으로 다시 분할해 드럼의 양측 외주면에 설치된 분사파이프로 각각 유동시켜주는 공급부를 구성하고, 드럼의 내면 원주를 따라 60°의 배치로 배출홀에 연결되어 각 등분된 열매체유를 드럼의 타 끝단에서 합쳐서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성하며, 각 분사파이프 사이의 이격 공간을 폐쇄해주는 밀폐부재를 구성하고, 드럼과의 사이에 열매체유 유동공간(S)을 형성하도록 로울러를 구성하여; 고온으로 가열된 열매체유를 로울러의 전체 면적에 동시에 골고루 공급하고, 열전달이 완료된 열매체유가 잔존하지 않고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전사 품질이 일정하여 품질의 완성도가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사원단 제조기의 히팅로울러 장치{Champion of the heating roller device maker fabrics}
본 발명은 전사원단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단에 전사를 작업을 위한 열의 전달이 로울러의 전체 면적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여 전사 품질을 향상시키고, 열전달이 완료된 열 전달 매체의 회수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전사원단 제조기의 히팅로울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전사기는 열 전사지를 이용하여 원단이나 종이의 표면에 문자나 기호 및 도형과 같은 각종 문양을 열가압하여 전사하는 것으로, 열전사부를 드럼식으로 개량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있지만,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종래 드럼식 열전사기는 드럼히터, 감속모터, 평벨트 및 복수 개의 피동로울러로 이루어진다. 드럼히터는 내부에 히터와 온도감지기가 설치되고, 적절한 온도로 가열된 히터의 열이 표면에 전달되며, 내부 중앙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전사지에 열을 가하면 원단에 전사지의 문양이 전사된다. 감속모터는 드럼히터의 축에 체인을 연결하여 드럼히터를 회전시킨다. 복수 개의 피동로울러는 드럼히터 주변에 드럼히터의 상부 및 하부와 다소간 높이 차이를 갖도록 평행하게 설치되어 회전한다.
이러한, 상기 평벨트는 복수 개의 피동로울러의 외면에 지그재그 형상이 되도록 설치되어 피동로울러의 회전에 의하여 소정영역은 드럼히터의 소정영역과 맞물려서 주행하고, 나머지 소정영역은 평면적으로 주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드럼식 열전사기에 의한 전사 공정은, 내부의 온도감지기에 의해서 항온유지되는 드럼히터가 감속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상태에서 평벨트에 의하여 열전사지와 원단이 드럼히터로 투입되는단계와, 전사지와 원단이 드럼히터와 평벨트에 의해 열가압 됨으로써 전사지에 인쇄된 문양이 원단에 전사되는 단계와, 전사지와 전사된 원단이 드럼히터의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사지와 원단을 드럼히터로 투입시킬 때, 신축성이 있는 원단과는 달리 전사지는 종이여서 신축성이 없으므로 쏠림 현상이 일어나 한번의 공정으로 길이가 10야드 이상은 열 전사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길이가 10야드 이상의 원단은 연속작업이 불가능하여 생산에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드럼히터 내부에 온도감지기가 설치되므로, 드럼히터의 내부에서 측정되는 온도는 열이 드럼히터의 표면까지 전달되는 시간 편차에 의해 실제 전사되는 표면온도와는 온도편차가 약±5도 정도의 차이가 난다. 이러한 온도편차는 전사되는 각종문양의 색상이 불 균일한 문제점이 있었다.
1. 등록번호 제10-1040249호 (전사 원단 제조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고온으로 가열된 열매체유를 로울러의 전체 면적에 동시에 골고루 공급하도록 하는 전사원단 제조기의 히팅로울러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전달이 완료된 열매체유가 잔존하지 않고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매체유를 동시에 등 간격으로 분사 공급함으로써 로울러의 전체 히팅 온도를 일정하게 상승 및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사원단 제조기의 히팅로울러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드럼의 길이 방향 중간에는 드럼의 내면과 관통된 한 쌍의 배출홀을 원주를 따라 다수개로 형성하고, 드럼의 양측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분사홀이 형성된 3개의 분사파이프를 각각 등간격으로 원주를 따라 120°의 배치로 이격 설치하면서 드럼과 연통되도록 구성하며, 드럼의 일 끝단에서 열매체유를 3등분으로 분할 유동시키고, 각 등분된 열매체유를 2등분으로 다시 분할해 드럼의 양측 외주면에 설치된 분사파이프로 각각 유동시켜주는 공급부를 구성하고, 드럼의 내면 원주를 따라 60°의 배치로 배출홀에 연결되어 각 등분된 열매체유를 드럼의 타 끝단에서 합쳐서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성하며, 각 분사파이프 사이의 이격 공간을 폐쇄해주는 밀폐부재를 구성하고, 드럼과의 사이에 열매체유 유동공간(S)을 형성하도록 로울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원단 제조기의 히팅로울러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고온으로 가열된 열매체유를 로울러의 전체 면적에 동시에 골고루 공급하고, 열전달이 완료된 열매체유가 잔존하지 않고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전사 품질이 일정하여 품질의 완성도가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매체유를 동시에 등 간격으로 분사 공급함으로써 로울러의 전체 히팅 온도를 일정하게 상승 및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분사파이프는 120°간격으로 드럼의 양단에 각각 구성되기 때문에, 수평 방향으로 많은 양의 열매체유를 공급할 수 있어 로울러 전체 표면의 온도가 신속하게 가열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열매체유의 유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 완료시 드럼 표면에 기름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드럼의 중앙에 형성된 한 쌍의 배출홀이 어느 한 쪽이 아닌 원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열전달이 완료된 열매체유가 동시에 중공배출축으로 많은 양의 열매체유가 배출되어 열매체유의 순환하는 과정을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팅로울러(100A)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히팅로울러(100A)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히팅로울러(100A)의 공급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팅로울러(100A)의 공급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히팅로울러(100A)의 배출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히팅로울러(100A)의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사원단 제조기의 히팅로울러 장치는 전사원단 제조기의 히팅로울러에 관한 것으로, 상기 히팅로울러(100A)는 원통 형상의 드럼(10)의 길이 방향 중간에는 드럼(10)의 내면과 관통된 한 쌍의 배출홀(11)을 원주를 따라 다수개로 형성하고, 상기 드럼(10)의 양측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분사홀(21)이 형성된 3개의 분사파이프(20)를 각각 등간격으로 원주를 따라 120°의 배치로 이격 설치하면서 드럼(10)과 연통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드럼(10)의 일 끝단에서 열매체유를 3등분으로 분할 유동시키고, 상기 각 등분된 열매체유를 2등분으로 다시 분할해 드럼(10)의 양측 외주면에 설치된 분사파이프(20)로 각각 유동시켜주는 공급부(30)를 구성하고, 상기 드럼(10)의 내면 원주를 따라 60°의 배치로 배출홀(11)에 연결되어 각 등분된 열매체유를 드럼(10)의 타 끝단에서 합쳐서 배출하는 배출부(40)를 구성하며, 상기 각 분사파이프(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폐쇄해주는 밀폐부재(23)를 구성하고, 상기 드럼(10)과의 사이에 열매체유 유동공간(S)을 형성하도록 로울러(50)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파이프(20)의 분사홀(21)은 분사파이프(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하면서, 드럼(10)의 길이 방향 중간을 향하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30)는 드럼(10)의 일 끝단을 폐쇄하며 중앙에 공급축홀(34a)이 형성된 제1폐쇄판(34)과, 상기 제1폐쇄판(34)의 공급축홀(34a)에 결합되어 히팅된 열매체유가 유동하는 중공공급축(35)과, 상기 중공공급축(35)의 전방에 결합되어 열매체유를 3등분으로 분할해주는 3개의 배분홀(36a)이 형성된 캡 형태의 공급분배구(36)와, 상기 공급분배구(36)의 3개의 배분홀(36a)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어 열매체유가 유동하는 3개의 유동파이프(37)와, 상기 3개의 유동파이프(37)의 타단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며, 'T'형상 제1연결부(31a)의 내부에 열매체유를 2등분으로 분할해주는 제1분할판(31b)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드럼(10)의 양측 외주면에 설치된 분사파이프(20)에 2개의 출구를 갖춘 타단이 각각 연결되는 제1분할파이프(31)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분사파이프(20)의 내부에는 제1분할파이프(31)에서 공급되는 열매체유를 2등분으로 분할해주는 분사분할판(2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중공공급축(35)과 공급분배구(36)의 내부에는 공급되는 열매체유를 3등분하여 3개의 배분홀(36a)로 각각 동일 양을 유동하도록 120°배치를 이루는 공급분할판(38a)이 일체로 형성된 공급분할구(38)를 삽입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40)는 다수개로 형성된 한 쌍의 배출홀(11)에 2개의 입구를 갖춘 일단이 각각 연결되어 열전달이 완료된 열매체유가 각각 유동된 후 모아지는 3개의 제1포집파이프(41)와, 상기 3개의 제1포집파이프(41) 타단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는 3개의 배출파이프(42)와, 상기 드럼(10)의 타 끝단을 폐쇄하며 중앙에 배출축홀(43a)이 형성된 제2폐쇄판(43)과, 상기 제2폐쇄판(43)의 배출축홀(43a)에 결합되는 중공배출축(44)의 전방으로 결합되며, 3개의 배출파이프(42)의 타단과 각각 연결되는 3개의 모음홀(45a)을 형성하고 공급분배구(36)보다 체적이 큰 캡 형태의 배출모음구(45)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중공배출축(44)과 배출모음구(45)의 내부에는 3개의 모음홀(45a)을 통해 유입되는 열매체유가 그대로 3등분으로 각각 동일 양을 유동하도록 120°배치를 이루는 배출분할판(46a)이 일체로 형성된 배출분할구(46)를 삽입하여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중공공급축(35)은 열매체유를 가열하기 위한 별동의 히팅부재(200)와 연결되고, 중공배출축(44)은 순환 작용을 하는 펌프(300)와 연결되며, 상기 히팅부재(200)와 펌프(300)는 서로 열매체유가 유동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팅로울러(100A)의 작동을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히팅부재(200)에서 가열된 열매체유가 공급부(30)를 거쳐 분사파이프(20)를 통해 분사된 후 유동공간(S)을 순환한 다음 배출홀(11)을 통해 배출부(40)를 거쳐 펌프(300)로 이송되어 히팅부재(200)로 유동되는 순환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히팅로울러(100A)의 작동 중 공급작용을 살펴보면, 히팅부재(200)에서 가열된 열매체유는 중공공급축(35)의 공급홀(35a)을 지나 공급분배구(36)의 배분홀(36a)을 유동한 후 3분할되어 유동파이프(37)로 각각 유동한다.
여기서, 상기 중공공급축(35)의 공급홀(35a)과 공급분배구(36)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급분할구(38)의 공급분할판(38a)에 의해 열매체유가 3등분된 상태로 각각의 분배홀(36a)를 통해 동일양으로 공급되어 진다.
그래서, 상기 3개의 유동파이프(37)를 따라 유동하는 열매체유는 각각 유동파이프(37)의 끝단에 1개의 입구를 갖춘 일단이 각각 연결된 3개의 제1분할파이프(31)를 따라 각각 유동한다.
이때, 상기 열매체유가 제1분할파이프(31)의 제1연결부(31a)로 유동할 때에는 제1연결부(31a)의 내부에 형성된 제1분할판(31b)에 의해 다시 2분할되어 각각 유동한다.
이후, 상기 제1분할파이프(31)를 따라 유동한 열매체유는 분사파이프(20)의 분사분할판(22)에 의해 동일하게 다시 2등분되는 상태로 서로 마주보는 분사파이프(20)에 각각 공급되면, 상기 2개 조씩 마주보며 드럼(10)의 원주를 따라 120°간격으로 설치된 분사파이프(20)에 형성된 분사홀(21)을 통해 유동공간(S)의 길이 방향 중간을 향해 강하게 분사되면서 로울러(50)를 전체 면적을 동시에 가열한다.
즉, 상기 분사파이프(20)에서 열매체유가 드럼(10)의 중앙에 형성된 배출홀(11)로 동시에 분사되기 때문에, 로울러(50) 전체 표면의 온도가 일정하면서 고르게 분포되어 가열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분사파이프(20)에서 열매체유를 배출홀(11)로 동시에 수평으로 양쪽에서 분사하기 때문에, 열매체유의 유동이 수평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져 로울러(50) 전체 표면의 온도가 신속하게 가열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분사파이프(20)는 120°간격으로 드럼(10)의 양단에 각각 구성되기 때문에, 수평 방향으로 많은 양의 열매체유를 공급할 수 있어 로울러(50) 전체 표면의 온도가 신속하게 가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매체유의 유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드럼(10)의 표면에 머무는 시간이 짧아진다.
즉, 상기 드럼(10) 표면에 기름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다음으로, 상기 히팅로울러(100A)는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유동공간(S)으로 유입된 열매체유는 드럼(10)의 길이 방향 중간에 다수개로 형성된 한 쌍의 배출홀(11)을 통해 3개의 제1포집파이프(41)를 따라 각각 유동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열매체유는 3개의 제1포집파이프(41)와 각각 연결된 3개의 배출파이프(42)를 따라 유동하여 배출모음구(45)로 모아진 후, 중공배출축(44)의 배수홀(44a)을 따라 펌프(300)로 유동된 다음 펌핑력에 의해 히팅부재(200)를 거쳐 재가열된 후 공급부(30)로 다시 순환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10)의 중앙에 형성된 한 쌍의 배출홀(11)이 어느 한 쪽이 아닌 원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열전달이 완료된 열매체유가 동시에 중공배출축(44)으로 많은 양의 열매체유가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열매체유의 순환하는 과정을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출파이프(42)를 통해 각각 유동한 열매체유는 모음홀(45a)을 통해 배출모음구(45)로 유입시 배출분할구(46)의 배출분할판(46a)에 의해 3등분으로 분할되어 배출된다.
이로써, 상기 히팅로울러(100A)는 분사파이프(20)가 3개씩 드럼(10)의 양끝에서 원주를 따라 설치되어 분사홀(21)을 통해 가열된 열매체유를 동시적으로 분사함으로써 로울러(50)의 전체 면적을 동일하면서 동시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공급분배구(36)는 배출모음구(45)보다 직경을 작게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공급되는 열매체유의 압력과 유속을 높여 공급을 위한 유동효율을 증대시키는 특징이 있으며, 배출모음구(45)는 공급분배구(36)보다 직경을 크게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배출되는 열매체유가 원활하게 모아지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로울러(50)의 전체 면적을 동시적으로 고르게 가열함으로써 로울러(50)에 접촉하는 전사작업이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드럼 11 : 배출홀
20 : 분사파이프 21 : 분사홀
22 : 분사분할판 23 : 밀폐부재
30 : 공급부 31 : 제1분할파이프
31a : 제1연결부 31b : 제1분할판
32 : 제2분할파이프 32a : 제2연결부
32b : 제2분할판 33 : 제3분할파이프
33a : 제3연결부 33b : 제3분할판
34 : 제1폐쇄판 34a : 공급축홀
35 : 중공공급축 35a : 공급홀
36 : 공급분배구 37 : 유동파이프
38 : 공급분할구 38a : 공급분할판
40 : 배출부 41 : 제1포집파이프
42 : 배출파이프 43 : 제2폐쇄판
43a : 배출축홀 44 : 중공배출축
44a : 배수홀 45 : 배출모음구
45a : 모음홀 46 : 배출분할구
46a : 배출분할판 50 : 로울러
100A : 히팅로울러
200 : 히팅부재 300 : 펌프
S : 유동공간

Claims (7)

  1. 전사원단 제조기의 히팅로울러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드럼(10)의 길이 방향 중간에는 드럼(10)의 내면과 관통된 한 쌍의 배출홀(11)을 원주를 따라 다수개로 형성하고,
    상기 드럼(10)의 양측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분사홀(21)이 형성된 3개의 분사파이프(20)를 각각 등간격으로 원주를 따라 120°의 배치로 이격 설치하면서 드럼(10)과 연통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드럼(10)의 일 끝단에서 열매체유를 3등분으로 분할 유동시키고, 상기 각 등분된 열매체유를 2등분으로 다시 분할해 드럼(10)의 양측 외주면에 설치된 분사파이프(20)로 각각 유동시켜주는 공급부(30)를 구성하고,
    상기 드럼(10)의 내면 원주를 따라 60°의 배치로 배출홀(11)에 연결되어 각 등분된 열매체유를 드럼(10)의 타 끝단에서 합쳐서 배출하는 배출부(40)를 구성하며,
    상기 각 분사파이프(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폐쇄해주는 밀폐부재(23)를 구성하고,
    상기 드럼(10)과의 사이에 열매체유 유동공간(S)을 형성하도록 로울러(5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원단 제조기의 히팅로울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파이프(20)의 분사홀(21)은 분사파이프(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하면서, 드럼(10)의 길이 방향 중간을 향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원단 제조기의 히팅로울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30)는 드럼(10)의 일 끝단을 폐쇄하며 중앙에 공급축홀(34a)이 형성된 제1폐쇄판(34)과,
    상기 제1폐쇄판(34)의 공급축홀(34a)에 결합되어 히팅된 열매체유가 유동하는 중공공급축(35)과,
    상기 중공공급축(35)의 전방에 결합되어 열매체유를 3등분으로 분할해주는 3개의 배분홀(36a)이 형성된 캡 형태의 공급분배구(36)와,
    상기 공급분배구(36)의 3개의 배분홀(36a)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어 열매체유가 유동하는 3개의 유동파이프(37)와,
    상기 3개의 유동파이프(37)의 타단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며, 'T'형상 제1연결부(31a)의 내부에 열매체유를 2등분으로 분할해주는 제1분할판(31b)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드럼(10)의 양측 외주면에 설치된 분사파이프(20)에 2개의 출구를 갖춘 타단이 각각 연결되는 제1분할파이프(31)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원단 제조기의 히팅로울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파이프(20)의 내부에는 제1분할파이프(31)에서 공급되는 열매체유를 2등분으로 분할해주는 분사분할판(2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원단 제조기의 히팅로울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40)는 다수개로 형성된 한 쌍의 배출홀(11)에 2개의 입구를 갖춘 일단이 각각 연결되어 열전달이 완료된 열매체유가 각각 유동된 후 모아지는 3개의 제1포집파이프(41)와,
    상기 3개의 제1포집파이프(41) 타단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는 3개의 배출파이프(42)와,
    상기 드럼(10)의 타 끝단을 폐쇄하며 중앙에 배출축홀(43a)이 형성된 제2폐쇄판(43)과,
    상기 제2폐쇄판(43)의 배출축홀(43a)에 결합되는 중공배출축(44)의 전방으로 결합되며, 3개의 배출파이프(42)의 타단과 각각 연결되는 3개의 모음홀(45a)을 형성하고 공급분배구(36)보다 체적이 큰 캡 형태의 배출모음구(45)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원단 제조기의 히팅로울러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공급축(35)과 공급분배구(36)의 내부에는 공급되는 열매체유를 3등분하여 3개의 배분홀(36a)로 각각 동일 양을 유동하도록 120°배치를 이루는 공급분할판(38a)이 일체로 형성된 공급분할구(38)를 삽입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원단 제조기의 히팅로울러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배출축(44)과 배출모음구(45)의 내부에는 3개의 모음홀(45a)을 통해 유입되는 열매체유가 그대로 3등분으로 각각 동일 양을 유동하도록 120°배치를 이루는 배출분할판(46a)이 일체로 형성된 배출분할구(46)를 삽입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원단 제조기의 히팅로울러 장치.
KR1020140157301A 2013-12-23 2014-11-12 전사원단 제조기의 히팅로울러 장치 KR201500738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356 2013-12-23
KR20130161356 2013-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836A true KR20150073836A (ko) 2015-07-01

Family

ID=53787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7301A KR20150073836A (ko) 2013-12-23 2014-11-12 전사원단 제조기의 히팅로울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38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438A1 (ko) * 2015-12-07 2017-06-15 김선기 원단 제조기의 히팅 롤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438A1 (ko) * 2015-12-07 2017-06-15 김선기 원단 제조기의 히팅 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069B1 (ko) 원단 제조기의 히팅 롤러
KR100613898B1 (ko)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
CN105665666B (zh) 一种用于非晶带材制备的均匀冷却的冷却辊装置及方法
WO2009114142A3 (en) High efficiency drier with heating and drying zones
CN109957646B (zh) 用于被热处理的金属制品的冷却剂喷射模块系统
KR101387332B1 (ko) 급속 냉각 기능을 갖는 핫프레스포밍용 금형 및 이러한 금형의 냉각방법
KR101580997B1 (ko) 전사원단 제조기의 히팅로울러 장치
CN207559753U (zh) 电机机壳、电机以及车辆
CN103938383B (zh) 高效节能低排放皮毛多色染色一体机及皮毛染色方法
KR20150073836A (ko) 전사원단 제조기의 히팅로울러 장치
CN202613920U (zh) 一种热油辊装置
JP2011516313A (ja) タイヤを加硫するための金型、金型の温度を調節する装置及び方法
CN202254292U (zh) 一种加热辊
KR101226455B1 (ko) 직각으로 토출되는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
CN2685051Y (zh) 一种塑料炼胶机的内加热轧辊
CN208484105U (zh) 一种不粘膜的液体冷却辊
TWI625213B (zh) 用於鑄模物件的工具系統及製造物件的方法
KR101304383B1 (ko) 레피드 염색기
CN203741569U (zh) 高效节能低排放皮毛多色染色一体机
CN203884586U (zh) 一种新型滚筒式杀青机
KR101127992B1 (ko) 슬러지 건조장치
CN202509177U (zh) 一种用于高强高模聚乙烯纤维牵伸机的热辊结构
CN205000134U (zh) 一种洗染设备的加热装置
DE102016000226A1 (de) Vorrichtung zum Mangeln von Wäschestücken
CN102560945B (zh) 一种两用接触烘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