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2843A -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2843A
KR20150072843A KR1020130160446A KR20130160446A KR20150072843A KR 20150072843 A KR20150072843 A KR 20150072843A KR 1020130160446 A KR1020130160446 A KR 1020130160446A KR 20130160446 A KR20130160446 A KR 20130160446A KR 20150072843 A KR20150072843 A KR 20150072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ock
section
lock push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0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4738B1 (ko
Inventor
김지현
김형준
김형종
조한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0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738B1/ko
Publication of KR20150072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60N2/12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and provided with memory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는 차량의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트랙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레일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록 푸시 작동부와 트랙 릴리즈 로커를 각각 작동시키는 워크인 레버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워크인 레버는 상기 록 푸시 작동부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레일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록 푸시 작동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장단이 삽입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케이블 홀이 형성되는 록 푸시 레버; 및 상기 트랙 릴리즈 로커에 대응하여 선단부가 위치된 상태로, 상기 록 푸시 레버의 회전 중심에서 상기 이동레일과 록 푸시 레버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록 푸시 레버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록 푸시 레버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트랙 릴리즈 로커를 작동시키는 트랙 릴리즈 레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WALK-IN DEVICE FOR 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워크인 레버를 이원화하여 록 푸시 작동부의 오작동을 방지하면서 트랙 릴리즈 로커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하는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리클라이닝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시트백을 앞으로 접을 수 있도록 폴딩장치와, 시트 전체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워크인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즉, 리어 도어 없이 프론트 도어만을 구비한 3 도어 차량에는 뒷좌석에 탑승객이 타고 내릴 수 있도록 앞좌석 시트를 앞으로 폴딩하면서 시트 전체가 앞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워크인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시트가 워크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의 일측에는 작동 레버가 구비되어 있는바, 작동 레버를 들어올리면 링크를 통하여 케이블이 연동되면서 워크인 레버가 작동하여 록 푸시 작동부의 록킹을 해제하면서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며, 이때 시트백을 전방으로 폴딩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시트백이 전방으로 폴딩되면서 케이블을 당기게 되면, 워크인 레버가 트랙 릴리즈 로커의 로킹을 해제하여 시트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한편, 시트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때는 시트를 뒤로 밀어 시트 앞뒤 위치가 적정할 때 폴딩된 시트백을 뒤로 펴면 그 위치에서 시트가 트랙 릴리즈 로커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는 폴딩된 시트백을 펴게 되면 시트가 그 자리에서 시트레일에 록킹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워크인 장치는 케이블에 의해 작동되는 워크인 레버가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록 푸시 작동부와 트랙 릴리즈 로커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되는 바, 록 푸시 작동부가 충분히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트랙 릴리즈 로커가 작동될 경우, 트랙 위치를 기억하지 못하여 메모리된 트랙으로 시트가 정위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된 워크인 레버의 공차나 부품치수 등에 의해 록 푸시 작동부와 트랙 릴리즈 로커를 제대로 작동시키지 못하여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워크인 레버를 이원화하여 록 푸시 작동부의 오작동을 방지하면서, 트랙 릴리즈 로커의 작동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오작동 발생을 방지하고, 트랙의 메모리 전에 트랙 릴리즈 로커가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는 차량의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트랙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레일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록 푸시 작동부와 트랙 릴리즈 로커를 각각 작동시키는 워크인 레버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워크인 레버는 상기 록 푸시 작동부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레일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록 푸시 작동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장단이 삽입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케이블 홀이 형성되는 록 푸시 레버; 및 상기 트랙 릴리즈 로커에 대응하여 선단부가 위치된 상태로, 상기 록 푸시 레버의 회전 중심에서 상기 이동레일과 록 푸시 레버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록 푸시 레버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록 푸시 레버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트랙 릴리즈 로커를 작동시키는 트랙 릴리즈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록 푸시 레버의 회전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 구간; 상기 제1 구간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과 상기 제2 구간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 푸시 작동부는 작동 전, 상기 가이드 슬롯의 제1 구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록 푸시 레버의 회전 작동 시, 상기 제1 구간으로부터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2 구간으로 이동되면서, 상승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은 그 폭 길이가 상기 록 푸시 작동부의 연장단의 지름보다 큰 폭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랙 릴리즈 레버는 상기 록 푸시 레버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될 경우, 상기 록 푸시 레버와 접촉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에 의하면, 워크인 레버를 이원화하여 록 푸시 작동부의 오작동을 방지하면서, 트랙 릴리즈 로커의 작동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오작동 발생을 방지하고, 트랙의 메모리 전에 트랙 릴리즈 로커가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록 푸시 작동부의 작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트랙 릴리즈 로커를 작동시킴으로써, 트랙위치를 정확하게 메모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성부품을 간소화하고 작동단계를 축소하여 작동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레이아웃 간소화 및 제작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에 적용되는 록 푸시 레버와 트랙 릴리즈 레버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에 적용되는 록 푸시 레버와 트랙 릴리즈 레버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는 워크인 레버(100)를 이원화하여 록 푸시 작동부(20)의 오작동을 방지하면서, 트랙 릴리즈 로커(30)의 작동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오작동 발생을 방지하고, 트랙의 메모리 전에 트랙 릴리즈 로커(30)가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차량의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트랙(미도시)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레일(10)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레일(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록 푸시 작동부(20)와 트랙 릴리즈 로커(30)를 각각 작동시키는 워크인 레버(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워크인 레버(100)는 록 푸시 레버(110)와 트랙 릴리즈 레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록 푸시 레버(110)는 상기 록 푸시 작동부(20)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레일(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록 푸시 작동부(20)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장단(21)이 삽입되는 가이드 슬롯(111)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케이블 홀(119)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슬롯(111)은 상기 록 푸시 레버(110)의 회전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 구간(113)과, 상기 제1 구간(113)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 구간(115)과, 상기 제1 구간(113)과 상기 제2 구간(115)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되는 연결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슬롯(111)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트랙 릴리즈 로커(30)를 향하는 상기 록 푸시 레버(110)의 우측에 제1 구간(113)이 위치되고, 상기 제1 구간(113)의 반대측인 좌측에서 상기 제1 구간(113)보다 상부에 제2 구간(115)이 위치되고, 제1 구간(113)과 제2 구간(115)의 높이 차를 보상하는 연결부(117)가 제1 구간(113)과 제2 구간(115)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록 푸시 작동부(10)는 상기 케이블 홀(119)에 연결되는 미도시된 케이블에 의해 록 푸시 레버(110)가 당겨져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작동 전에는 상기 가이드 슬롯(111)의 제1 구간(113)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록 푸시 레버(110)의 회전 작동 시, 상기 제1 구간(113)으로부터 상기 연결부(117)를 통해 상기 제2 구간(115)으로 이동되면서, 상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록 푸시 작동부(10)는 미도시된 메모리 록킹부를 작동시켜 고정트랙에서 시트의 위치를 메모리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 슬롯(111)은 그 폭 길이가 상기 록 푸시 작동부(20)의 연장단(21)의 지름보다 큰 폭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연장단(21)이 가이드 슬롯(111) 상에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랙 릴리즈 레버(120)는 상기 트랙 릴리즈 로커(30)에 대응하여 선단부가 위치된 상태로, 상기 록 푸시 레버(110)의 회전 중심에서 상기 이동레일(10)과 록 푸시 레버(11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록 푸시 레버(110)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록 푸시 레버(110)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트랙 릴리즈 로커(30)를 작동시켜 로킹을 해제함으로써, 이동레일(10)을 고정트랙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트랙 릴리즈 레버(120)는 상기 록 푸시 레버(110)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될 경우, 상기 록 푸시 레버(110)와 접촉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트랙 릴리즈 레버(120)는 록 푸시 작동부(20)의 연장단(21)이 제1 구간(113)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록 푸시 레버(110)가 회전하게 되면, 제1 구간(113)을 따라 제2 구간(115)을 향해 이동되면서 록 푸시 작동부(20)가 상승되는 상태에서 록 푸시 레버(110)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어 트랙 릴리즈 로커(3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에 적용되는 록 푸시 레버와 트랙 릴리즈 레버의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시트를 폴딩시킨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도 2의 (S1)과 같이, 상기 록 푸시 레버(110)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로 미도시된 토션 스프링에 의해 록 푸시 작동부(20)의 연장단(21)이 가이드 슬롯(111)의 제1 구간(113)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레버를 작동시키면 케이블에 의해 록 푸시 레버(110)가 당겨져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록 푸시 작동부(20)의 연장단(21)이 상기 가이드 슬롯(111)의 제1 구간(113)으로부터 연결부(117)를 통해 제2 구간(115)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승되어 미도시된 메모리 록킹부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록 푸시 작동부(20)가 일정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록 푸시 레버(110)와 접촉되어 함께 회전되는 트랙 릴리즈 레버(120)가 트랙 릴리즈 로커(30)를 누름으로써, 트랙 릴리즈 로커(30)의 로킹을 해제함으로써, 시트를 폴딩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에 의하면, 워크인 레버(100)를 이원화하여 록 푸시 작동부(20)의 오작동을 방지하면서, 트랙 릴리즈 로커(30)의 작동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오작동 발생을 방지하고, 트랙의 메모리 전에 트랙 릴리즈 로커(30)가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록 푸시 작동부(20)의 작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트랙 릴리즈 로커(30)를 작동시킴으로써, 트랙위치를 정확하게 메모리할 수 있다.
또한, 구성부품을 간소화하고 작동단계를 축소하여 작동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레이아웃 간소화 및 제작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이동레일
20 : 록 푸시 작동부
21 : 연장단
30 : 트랙 릴리즈 로커
100 : 워크인 레버
110 : 록 푸시 레버
111 : 가이드 슬롯
113 : 제1 구간
115 : 제2 구간
117 : 연결부
119 : 케이블 홀
120 : 트랙 릴리즈 레버

Claims (5)

  1. 차량의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트랙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레일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록 푸시 작동부와 트랙 릴리즈 로커를 각각 작동시키는 워크인 레버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워크인 레버는
    상기 록 푸시 작동부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레일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록 푸시 작동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장단이 삽입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케이블 홀이 형성되는 록 푸시 레버; 및
    상기 트랙 릴리즈 로커에 대응하여 선단부가 위치된 상태로, 상기 록 푸시 레버의 회전 중심에서 상기 이동레일과 록 푸시 레버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록 푸시 레버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록 푸시 레버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트랙 릴리즈 로커를 작동시키는 트랙 릴리즈 레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록 푸시 레버의 회전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 구간;
    상기 제1 구간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 구간;
    상기 제1 구간과 상기 제2 구간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 푸시 작동부는
    작동 전, 상기 가이드 슬롯의 제1 구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록 푸시 레버의 회전 작동 시, 상기 제1 구간으로부터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2 구간으로 이동되면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그 폭 길이가 상기 록 푸시 작동부의 연장단의 지름보다 큰 폭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릴리즈 레버는
    상기 록 푸시 레버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될 경우, 상기 록 푸시 레버와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
KR1020130160446A 2013-12-20 2013-12-20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 KR101534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446A KR101534738B1 (ko) 2013-12-20 2013-12-20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446A KR101534738B1 (ko) 2013-12-20 2013-12-20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843A true KR20150072843A (ko) 2015-06-30
KR101534738B1 KR101534738B1 (ko) 2015-07-07

Family

ID=53518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446A KR101534738B1 (ko) 2013-12-20 2013-12-20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7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8969A (zh) * 2018-10-15 2019-01-18 东风汽车有限公司 座椅滑轨调节装置和座椅
KR102072662B1 (ko) * 2018-11-19 2020-02-03 주식회사 다스 이지 엔트리 시스템의 시트트랙 해제장치
KR102106426B1 (ko) * 2018-11-19 2020-05-06 주식회사다스 이지 엔트리 시스템의 쿠션프레임 거동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8070B2 (ja) * 1996-03-31 2004-09-22 株式会社タチエス ウォークイン機構付シートアジャスタ
JP4608361B2 (ja) * 2005-04-25 2011-01-12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シート
JP2009126441A (ja) * 2007-11-27 2009-06-11 Imasen Electric Ind Co Ltd メモリー機構を有する自動車用シート調整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8969A (zh) * 2018-10-15 2019-01-18 东风汽车有限公司 座椅滑轨调节装置和座椅
KR102072662B1 (ko) * 2018-11-19 2020-02-03 주식회사 다스 이지 엔트리 시스템의 시트트랙 해제장치
KR102106426B1 (ko) * 2018-11-19 2020-05-06 주식회사다스 이지 엔트리 시스템의 쿠션프레임 거동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4738B1 (ko) 201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3674B2 (en) Vehicle seat
US7195303B2 (en) Seat sliding device for vehicle
KR101054778B1 (ko)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장치
US9731630B2 (en) Seat slide device
KR101210155B1 (ko)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JP2006264545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20140375087A1 (en) Seat back interlocking ottoman device and vehicle seat
KR101934699B1 (ko) 차량용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JP2006008028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1534738B1 (ko) 차량 시트용 워크인 장치
JP2015212134A (ja) コンプリートマニュアルウォークインシステムを有するパワーシート
US20160176323A1 (en) Fitting with a pivoting-forwards mechanism and an easy-entry latch, and vehicle seat with such a fitting
JP5795397B2 (ja) 電気的手動解除シート
US8931845B2 (en) Vehicle seat
JP7362201B2 (ja) 座席支持装置
KR20080054526A (ko) 팁업 타입의 워크인 슬라이딩 시트
KR100606436B1 (ko) 워크인과 폴딩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리클라이너
KR102050557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JP4555734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101610726B1 (ko) 시트용 워크인장치
KR101598713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JP2017214020A (ja) シート装置
JP2009149219A (ja) 乗り物用シート
JP2003291703A (ja) シート
JP2011073472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