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2675A - 노인 환자의 노쇠 및 노인병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균형 영양식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노인 환자의 노쇠 및 노인병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균형 영양식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2675A
KR20150072675A KR1020130160083A KR20130160083A KR20150072675A KR 20150072675 A KR20150072675 A KR 20150072675A KR 1020130160083 A KR1020130160083 A KR 1020130160083A KR 20130160083 A KR20130160083 A KR 20130160083A KR 20150072675 A KR20150072675 A KR 20150072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vitamin
complex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0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주
이규환
이준희
조영민
Original Assignee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0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2675A/ko
Publication of KR20150072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6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14Vegetable proteins
    • A23J3/16Vegetable proteins from soybe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578Calc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588Copp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1Magnes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42Zin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4Dextrins, maltodextr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8Vegetable protein
    • A23V2250/5488Soybean prote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2Vitamin 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42Vitamin B1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44Vitamin B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52Vitamin B6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56Vitamin B8 Fo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8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1Vitamin 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12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14Vitamin 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관절 골절 수술후의 노쇠-노인병 증후군의 개선 및 빠른 회복을 위한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복합 미네랄, 복합 비타민의 함량을 조절한 균형영양식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노인 환자의 노쇠 및 노인병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균형 영양식 조성물은 대두 분리단백, 카제인 나트륨, 콘시럽, 옥수수유,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이소말토올리고당, 복합 비타민, 복합 미네랄, 산도 조절제 및 정제수를 포함하고, 열량이 180kcal~220 kca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인 환자의 노쇠 및 노인병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균형 영양식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Composition of balanced nutrition for improving frailty and geriatric syndro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노인 환자의 노쇠 및 노인병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균형 영양식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고관절 골절 수술후의 노쇠-노인병 증후군의 개선 및 빠른 회복을 위한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복합 미네랄, 복합 비타민의 함량을 조절한 균형영양식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쇠는 에너지 소비량 감소, 만성영양부족, 나이가 들며 줄어드는 근력, 근육량, 안정대사율 감소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이 되고 이러한 요소들의 악순환 고리로 연결되어 진행된다고 볼 수 있다.
최근 전세계에 걸쳐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으면서 노인 의료비의 지속적인 상승이 관찰되고 있는데, 2009년 통계자료상, 65세 이상 노인의 의료비가 전체 의료비의 30.5%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난 10년간 노인의 의료비는 8배 정도 증가하였다.
2010년 상반기에만 전년동기(6조 308억 원) 대비, 14.9% 증가한 6조 9276억 원으로 늘어나 전체 진료비의 32.2%를 차지하고, 점점 늘어나는 추세에 있는데, 이와 같이, 노인 질병이 증가하면서 고관절 골절 빈도도 상승하고 있고, 특히 노인에서 이환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6년 유럽 정맥경장 영양학회 지침서에 따르면, 노쇠 증후군을 보이는 노인환자에게 좋은 영양상태 개선 및 개선을 위해 영양보충 음료를 음용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고관절 골절 수술 또는 정형외과 수술을 한 노인 환자에서 합병증 감소를 위해 영양보충 음료를 음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인병 증후군을 방지하기 위하여 균형잡힌 건강식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노인 환자의 수술 이후 빠른 회복을 위해서도 상기 영양보충음료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종래 균형 영양식은 암환자를 위주로 하여 제품이 개발되고, 임상시험이 실시되고 있을 뿐으로서, 결장암, 심혈관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영양보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영양 보충에 사용하는 방법(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83515호),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환자용 영양식(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40932호) 등이 공지되어 있으나, 상기 종래 기술들은 고관절 골절 수술후의 노쇠-노인병 증후군의 개선 및 빠른 회복을 위한 균형 영양식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와 같이, 영양소를 모두 갖춰 영양 불균형을 예방하고, 수술후 노인 환자의 노쇠-노인병 증후군의 개선 및 빠른 회복을 위한 균형 영양식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관절 골절 수술후의 노쇠-노인병 증후군의 개선 및 빠른 회복을 위한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복합 미네랄, 복합 비타민의 함량을 조절한 균형영양식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관절 골절 수술후의 노쇠-노인병 증후군의 개선 및 빠른 회복을 위한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복합 미네랄, 복합 비타민의 함량을 조절한 균형영양식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두 분리단백, 카제인 나트륨, 콘시럽, 옥수수유,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이소말토올리고당, 복합 비타민, 복합 미네랄, 산도 조절제 및 정제수를 포함하고, 열량이 180kcal~220 kcal인, 노인 환자의 노쇠 및 노인병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정제수에, 산도 조절제로서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구연산 칼륨 0.1~0.5 중량부 및 구연산 나트륨 0.05~0.1 중량부를 첨가하고, pH를 5.5~7.5로 조절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수득한 용해물에,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제인 나트륨 1~20 중량부, 대두 분리단백 1~20 중량부 및 옥수수유 20~60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수득한 용해물에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1~15 중량부, 이소말토올리고당 0.5~10 중량부, 콘시럽 10~30 중량부, 복합 비타민 0.1~5 중량부 및 복합 미네랄 0.5~5 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인 환자의 노쇠 및 노인병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균형 영양식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균형 영양식 조성물은 수술후 노인 환자의 노쇠 및 노인병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고, 혈액 손실, 증가된 이화작용 및 숙주의 방어 활동으로 인한 영양 상태의 저하를 최소화하여 회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고관절 골절 수술예정 환자의 일반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고관절 골절 수술예정 환자의 칼로리 섭취 필요량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고관절 골절 수술예정 환자의 단백질 섭취 필요량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고관절 골절 수술예정 환자의 수술후 14일째 간이 영양상태 평가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고관절 골절 수술예정 환자의 수술 7일 후의 노쇠 지표 점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고관절 골절 수술예정 환자의 수술후 1일 및 14일째의 SOD, GPX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대두 분리단백, 카제인 나트륨, 콘시럽, 옥수수유,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이소말토올리고당, 복합 비타민, 복합 미네랄, 산도 조절제 및 정제수를 포함하고, 열량이 180kcal~220kcal, 바람직하게는 190kcal~210kcal,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kcal인, 노인 환자의 노쇠 및 노인병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균형 영양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균형 영양식 조성물의 영양소는 단백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방 300~350 중량부, 탄수화물 750~850 중량부, 식이섬유 30~40 중량부, 비타민 E 0.02~0.03 중량부, 비타민 C 0.3~0.4 중량부, 아연 0.03~0.04 중량부, 마그네슘 0.85~1 중량부 및 구리 0.002~0.00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균형 영양식 조성물은 상기 영양소의 일 실시 태양으로서, 단백질 7.5g±5%, 지방 25g±5%, 탄수화물 60g±5%, 식이섬유 2.6g±5%, 비타민 E 2mg±5%, 비타민 C 28mg±5%, 아연 2.4mg±5%, 마그네슘 70mg±5% 및 구리 160㎍±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균형 영양식 조성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대두 분리단백 1~20 중량부, 카제인 나트륨 1~20 중량부, 콘시럽 10~30 중량부, 옥수수유 20~60 중량부,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1~15 중량부, 이소말토올리고당 0.5~10 중량부, 복합 비타민 0.1~5 중량부, 복합 미네랄 0.5~5 중량부, 및 산도 조절제로 구연산 칼륨 0.1~0.5 중량부와 구연산 나트륨 0.05~0.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균형 영양식 조성물에서, 상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은 기능성 원료로서, 예컨대, 옥수수 전분을 가열하여 얻은 배소 덱스트린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또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유래의 α-아밀라아제(α-amylase) 및 아스퍼질러스 나이저 유래의 아밀로글루코시다아제(amyloglucosidase)로 효소분해하고 정제한 것 중, 난소화성 성분을 분획하여 식용에 적합하도록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균형 영양식 조성물에서, 상기 복합 비타민은 단백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타민 A 0.002~0.003 중량부, 비타민 B1 0.003~0.005 중량부, 비타민 B2 0.003~0.005 중량부, 비타민 B6 0.003~0.005 중량부, 비타민 B12 0.000006~0.000008 중량부, 비타민 C 0.3~0.4 중량부, 비타민 D 0.00001~0.00002 중량부, 비타민 E 0.02~0.03 중량부, 비타민 K 0.0001~0.0003 중량부, 부형제로 덱스트린 0.007∼0.01 중량부를 함유하는 복합 비타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균형 영양식 조성물에서, 상기 복합 미네랄은 단백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철 0.03~0.04 중량부, 칼슘 1.9~3 중량부, 엽산 0.001~0.002 중량부, 아연 0.003~0.004 중량부 마그네슘 0.85~1 중량부, 구리 0.002~0.003 중량부 및 부형제로 덱스트린 0.005~0.006 중량부를 함유하는 복합 미네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정제수에, 산도 조절제로서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구연산 칼륨 0.1~0.5 중량부 및 구연산 나트륨 0.05~0.1 중량부를 첨가하고, pH를 5.5~7.5로 조절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수득한 용해물에,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제인 나트륨 1~20 중량부, 대두 분리단백 1~20 중량부 및 옥수수유 20~60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수득한 용해물에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1~15 중량부이소말토올리고당 0.5~10 중량부, 콘시럽 10~30 중량부, 복합 비타민 0.1~5 중량부 및 복합 미네랄 0.5~5 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인 환자의 노쇠 및 노인병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균형 영양식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균형 영양식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c) 단계에서 수득한 용해물을 용기에 주입하고 밀봉한 후, 진동시키면서 가열 살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용기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제 캔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균형 영양식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복합 비타민은 단백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타민 A 0.002~0.003 중량부, 비타민 B1 0.003~0.005 중량부, 비타민 B2 0.003~0.005 중량부, 비타민 B6 0.003~0.005 중량부, 비타민 B12 0.000006~0.000008 중량부, 비타민 C 0.3~0.4 중량부, 비타민 D 0.00001~0.00002 중량부, 비타민E 0.02~0.04 중량부, 비타민 K 0.0001~0.0003 중량부, 부형제로 덱스트린 0.007∼0.01 중량부를 함유하는 복합 비타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균형 영양식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복합 미네랄은 단백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철 0.03~0.04 중량부, 칼슘 1.9~3 중량부, 엽산 0.001~0.002 중량부, 아연 0.003~0.004 중량부 마그네슘 0.85~1 중량부, 구리 0.002~0.003 중량부 및 부형제로 덱스트린 0.005~0.006 중량부를 함유하는 복합 미네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균형 영양식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균형 영양식 조성물의 제조 (1)
정제수 100g에, 산도 조절제로서 구연산 칼륨 0.3g 및 구연산 나트륨 0.075g을 첨가하고, pH를 6.5로 조절하여 수득한 용해물에 카제인 나트륨 19g, 대두 분리단백 10g 및 옥수수유 40g을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상기 카제인 나트륨, 대두 분리단백 및 옥수수유를 첨가하여 용해시켜 얻은 용해물에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7.5g, 이소말토올리고당 7.5g, 콘시럽 20g, 복합 비타민 2g 및 복합 미네랄 2g을 더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상기에서 얻은 용해물을 금속제 캔 용기에 주입하고 밀봉한 다음, 45hz로 진동시키면서 121℃에서 12분 동안 가열 살균하여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사용한 복합 비타민은 비타민 A 150㎍, 비타민 B1 0.25㎍, 비타민 B2 0.25㎍, 비타민 B6 0.25㎍, 비타민 C 30mg, 부형제로 덱스트린 8.5mg을 함유하는 복합 비타민이었다.
상기에서 사용한 복합 미네랄은 철 2.5mg, 칼슘 155mg, 엽산 75mg, 아연 2.5mg 및 부형제로 덱스트린 5.5mg을 함유하는 복합 미네랄이었다.
<실시예 2> 균형 영양식 조성물의 제조 (2)
구연산 칼륨 0.1g, 구연산 나트륨 0.05g, 카제인 나트륨 20g, 대두 분리단백 1g, 옥수수유 8g,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1g, 이소말토올리고당 0.5g, 옥수수유 20g, 콘시럽 10g, 복합 비타민 0.1g 및 복합 미네랄 0.5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균형 영양식 조성물의 제조 (3)
구연산 칼륨 0.5g, 구연산 나트륨 0.1g, 카제인 나트륨 20g, 대두 분리단백 20g,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15g, 옥수수유 60g, 이소말토올리고당 10g, 콘시럽 60g, 복합 비타민 5g 및 복합 미네랄 5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험 목적
노인 환자의 고관절 골절 수술 후 노쇠-노인병 증후군을 예방하는 차원과 수술 후에는 혈액손실, 증가된 이화작용, 조직재생 및 숙주의 방어 활동으로 인해 환자는 적절한 영양소를 섭취하여야 한다. 복합 미네랄이나 복합비타민은 적절한 영양소를 확실히 하기 위해 권장될 수 있으며, 회복시간을 단축하기 위함이다.
2. 연구 가설
고관절 골절 후, 노인 환자에게 균형영양음료 보충하였을 때
1). 수술 후 영양불량을 최소화할 것이다.
2). 수술 후 합병증 감소를 통한 재원기간을 단축할 것이다.
3). 노인환자의 비의존적인 정상 생활로의 회복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이다.
3. 연구 방법
가. 연구 대상
1). 본 임상시험에 참여할 것을 자발적으로 서면 동의한 환자
2). 고관절 골절 수술을 위해 입원한 65세 이상 노인환자
3). 구강으로 음식물 섭취가 가능하고 언어상의 문제가 없는 환자
나. 균형영양음료
1). 단백질 공급을 위하여 카제인 나트륨, 대두 분리단백 사용
2). 신체의 정상적인 대사활동에 필수적인 복합 비타민
3). 조직의 형성, 수분과 산, 염기의 평형조절, 효소나 호르몬 같은 물질을 합성하여 체작용 조절을 돕는 복합 미네랄
다. 임상연구방법
1) 연구대상 환자의 선정: 고관절 수술을 위해 분당제생병원에 입원한 만 65세 이상 노인
2) 연구대상자의 수: 만 65세 이상 고관절 수술을 위해 입원환자중 100명 무작위로 실험군 50명 대조군 50명
3) 연구기간: 2011년 10월 ~ 피험자수 도달시점
라. 제품
실시예 1과 같이 제조되고,하기 표 1의 영양소 함량을 갖는 균형 영양식 조성물
Figure pat00001
다. 연구 과정
하기 표 2와 같은 과정으로 고관절 골절 수술을 한 80세이상 노인 환자 50명에게 식사 외에 추가적으로 섭취 하게하였다.
Figure pat00002
마. 평가 항목
1). 간이 영양상태 평가(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
하기 표 3과 같은 체위와 식생활 및 생활 습관에 관한 질문을 기초로 개발한 지표로서, 영양 불량 상태의 대상을 선별하기 위한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혈청 알부민, BMI 및 체중감소와 상관성이 높은 방법으로서, 만 80세 이상의 고관절 공절 수술예정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Figure pat00003
상기 표 3에서, 영양이 양호한 환자에게는 24점을 부여하고, 영양 불량의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는 17~23.5를 부여하였으며, 영양 불량 상태의 환자에게는 17을 부여하였다.
2). 평가 항목(anthropometry assessment)
□ 체중 및 신장: self-report by family
□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 BMI) : 단위는 kg/m2으로서, 지방의 양을 추정하는 비만 측정법
□ 상완위 둘레(mid arm circumference ; MAC)
□ 종아리 둘레(calf circumference ; CC)
□ 삼두근 피하지방 두께(tricep skinfold thickness ; TSF)
□ 중간 팔근육 둘레(mid arm muscle circumference ; MAMC)
3). 건강상태 평가(Functional status assessment)
□ 양팔의 핸드 그립 강도(hand grip strength): kg
□ 한국형 일상생활 활동(Korea- activities of daily living ; K-ADL)
: 만 80세 이상의 고관절 골절 수술예정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하기 표 4와 같이, 7개 항목의 질문으로 되어 있는데, 점수 합계가 낮을수록 일상생활 활동을 잘하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4
□ 노쇠 지표(Kaigo-Yobo checklist ; frailty index)
: 만 80세 이상의 고관절 골절 수술예정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하기 표 5와 같이 15개 항목의 질문으로 되어 있는데, 점수 합계가 낮을수록 노쇠가 덜 진행된 것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5
4). 생화학적 마커(biochemical markers)
만 80세 이상의 고관절 골절 수술예정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혈액 검사를 통해 항산화성 등 하기와 같은 각종 생화학 지표를 검사하였다.
□ 혈청 알부민(Serum albumin ; s-alb) : 혈관과 조직 사이의 삼투압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 프리 알부민(prealbumin ; prealb) : 단백질 결핍을 평가하는 지표이다.
□ C 염증성 단백(C-reactive protein ; CRP) : 염증성 또는 조직붕괴성 질환 존재여부와 중증도를 판정하는 지표이다.
□ 백혈구(white blood cell ; WBC): 식균 작용 기능을 한다
□ 총 임파구수(total lymphocyte count ; TLC): 면역기능의 지표이다.
□ 마그네슘(magnesium ; Mg): 체내기능 유지 및 효소 활성화 등의 기능을 한다.
□ 아연(zinc ; Zn): 면역, 세포 성장 등의 기능을 한다.
□ 셀레늄(selenium ; Se): 항산화 효소의 구성 성분으로서, 단백질의 활성성분이다.
□ 화합물의 환원력 측정(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ssay ; FRAP)
□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 SOD): 항산화 기전에 관여하는 효소계 물질로서, 인체 내에서 생성되는 가장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갖는 효소이다.
□ 글루타치온 과산화 효소(glutathione peroxidase ; GPX): 산화 스트레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4. 연구 결과
가. 고관절 골절 수술예정 환자의 일반적 특성
만 80세 이상의 고관절 골절 수술예정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나이, 체중 및 체질량 지수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대조군 (n=43) 인터벤션 (n=42) p-값
나이(세) 81.9 ± 6.4 80.6 ± 7.6 0.356
체중(kg) 50.8 ± 8.2 51.9 ± 11.2 0.572
체질량지수(kg/m2) 21.5 ± 3.2 21.7 ± 4.1 0.879
상기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섭취하게 한 50명의 평균 연령은 80.6±7.6세, 섭취하지 않은 50명은 평균 81.9±6.4세이었고,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섭취하게 한 50명의 평균 체중은 51.9±11.2kg, 섭취하지 않은 50명은 평균 50.8±8.2kg이었다.
또한,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섭취하게 한 50명의 평균 체질량 지수(kg/m2)는 21.7±4.1, 섭취하지 않은 50명의 평균은 21.5±3.2이었다.
나. 칼로리 섭취 필요량( Comparison of energy intakes for requirement )
만 80세 이상의 고관절 골절 수술예정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그 중 50명은 14일 동안 식사 외에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하루 2캔(400kcal)씩 섭취하게 하고, 50명은 상기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섭취하지 않게 하여 칼로리 섭취 필요량을 조사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고관절 골절 수술예정 환자 100명 모두 수술전에는 칼로리 필요량을 충족시키지 못하였으나, 수술 14일 후에는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섭취한 50명에게는 칼로리 필요량을 섭취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는 바, 수술 전부터 섭취한 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다. 단백질 섭취 필요량( Comparison of protein intakes for requirement )
만 80세 이상의 고관절 골절 수술예정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그 중 50명은 14일 동안 식사 외에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하루 2캔(400kcal)씩 섭취하게 하고, 50명은 상기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섭취하지 않게 하여 단백질 섭취 필요량을 조사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섭취한 50명은 수술전부터 단백질 필요량을 만족하는 결과를 보였고, 수술후 단백질량이 감소하였다가 수술후 7일부터 단백질 필요량 이상을 공급받는 결과를 나타내었는 바, 수술 전부터 섭취한 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라. 수술후 14일째 간이 영양상태 평가의 변화( Change of mini nutritional assessment at 14 days after surgery )
만 80세 이상의 고관절 골절 수술예정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그 중 50명은 14일 동안 식사 외에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하루 2캔(400kcal)씩 섭취하게 하고, 50명은 상기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섭취하지 않게 하여 간이 영양 상태를 평가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노인 환자의 영양 상태를 평가하는 MNA 점수는 수술후 14일째에 대조군은 -7.6±2.7점, 실험군은 -5.3±2.8점으로 유의적 차이가 있었는 데(p<0.01), 수술후 영양상태가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섭취한 군과 섭취하지 않은 군 모두 나빠졌으나,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섭취한 쪽의 감소한 폭이 적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섭취한 군이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섭취하지 않은 군보다는 영양 상태가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마. 수술 7일 후의 한국형 일상생활 활동의 변화( Change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at 7 days after surgery )
만 80세 이상의 고관절 골절 수술예정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그 중 50명은 14일 동안 식사 외에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하루 2캔(400kcal)씩 섭취하게 하고, 50명은 상기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섭취하지 않게 하여 수술 7일 후의 한국형 일상생활 활동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한국형 일상생활 활동은 일상생활 운동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점수가 낮을 수록 양호한 것을 의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술 전보다 수술 7일 후,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섭취한 50명과 섭취하지 않은 50명의 몸의 상태가 않좋아 지는 것을 알 수 있는데, 그 정도가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대조군이 더 많이 않좋아 진 것을 알 수 있다.
바. 수술 7일 후의 노쇠 지표 점수의 변화( Change of Kaigo - Yobo frailty score at 7 days after surgery )
만 80세 이상의 고관절 골절 수술예정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그 중 50명은 14일 동안 식사 외에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하루 2캔(400kcal)씩 섭취하게 하고, 50명은 상기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섭취하지 않게 하여 수술 7일 후의 노쇠 지표 점수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노쇠 정도를 측정하는 Kaigo-Yobo-frailty는 점수가 낮을수록 노쇠 정도가 심하지 않음을 의미하는데, 도 5를 참조하면,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섭취하지 않은 대조군(50명)과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섭취한 실험군(50명)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베이스 라인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보충한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섭취한 군에서 노쇠가 덜 진행이 된 것임을 의미한다.
사. 수술후 1일 및 14일째의 SOD , GPX 활성( Comparison of SOD , GPX activities at baseline , 1 day and 14 days after surgery )
만 80세 이상의 고관절 골절 수술예정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그 중 50명은 14일 동안 식사 외에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하루 2캔(400kcal)씩 섭취하게 하고, 50명은 상기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섭취하지 않게 하여 수술 7일 후의 노쇠 지표 점수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섭취한 50명과 섭취하지 않은 50명이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지는 않으나,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OD)와 글루타치온 과산화 효소(GPX)의 활성 모두 균형 영양식 조성물을 섭취한 군에서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통상의 기술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균형 영양식 조성물은 수술후 노인 환자의 노쇠 및 노인병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고, 혈액 손실, 증가된 이화작용 및 숙주의 방어 활동으로 인한 영양 상태의 저하를 최소화하여 회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니기 때문에, 식음료 산업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인 환자에게 균형잡힌 식품을 제공함으로써, 국민 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대두 분리단백, 카제인 나트륨, 콘시럽, 옥수수유,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이소말토올리고당, 복합 비타민, 복합 미네랄, 산도 조절제 및 정제수를 포함하고, 열량이 180kcal~220 kcal인, 노인 환자의 노쇠 및 노인병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균형 영양식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영양소는, 단백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방 300~350 중량부, 탄수화물 750~850 중량부, 식이섬유 30~40 중량부, 비타민 E 0.02~0.03 중량부, 비타민 C 0.3~0.4 중량부, 아연 0.03~0.04 중량부, 마그네슘 0.85~1 중량부 및 구리 0.002~0.00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 영양식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영양소는, 단백질 7.5g±5%, 지방 25g±5%, 탄수화물 60g±5%, 식이섬유 2.6g±5%, 비타민 E 2mg±5%, 비타민 C 28mg±5%, 아연 2.4mg±5%, 마그네슘 70mg±5% 및 구리 16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 영양식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대두 분리단백 1~20 중량부, 카제인 나트륨 1~20 중량부, 콘시럽 10~30 중량부, 옥수수유 20~60 중량부,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1~15 중량부, 이소말토올리고당 0.5~10 중량부, 복합 비타민 0.1~5 중량부, 복합 미네랄 0.5~5 중량부, 및 산도 조절제로 구연산 칼륨 0.1~0.5 중량부와 구연산 나트륨 0.05~0.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 영양식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비타민은 단백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타민 A 0.002~0.003 중량부, 비타민 B1 0.003~0.005 중량부, 비타민 B2 0.003~0.005 중량부, 비타민 B6 0.003~0.005 중량부, 비타민 B12 0.000006~0.000008 중량부, 비타민 C 0.3~0.4 중량부, 비타민 D 0.00001~0.00002 중량부, 비타민 E 0.02~0.03 중량부, 비타민 K 0.0001~0.0003 중량부, 부형제로 덱스트린 0.007∼0.01 중량부를 함유하는 복합 비타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영양식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미네랄은 단백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철 0.03~0.04 중량부, 칼슘 1.9~3 중량부, 엽산 0.001~0.002 중량부, 아연 0.003~0.004 중량부 마그네슘 0.85~1 중량부, 구리 0.002~0.003 중량부 및 부형제로 덱스트린 0.005~0.006 중량부를 함유하는 복합 미네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영양식 조성물.
  7. (a) 정제수에, 산도 조절제로서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구연산 칼륨 0.1~0.5 중량부 및 구연산 나트륨 0.05~0.1 중량부를 첨가하고, pH를 5.5~7.5로 조절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수득한 용해물에,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제인 나트륨 1~20 중량부, 대두 분리단백 1~20 중량부 및 옥수수유 20~60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수득한 용해물에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1~15 중량부이소말토올리고당 0.5~10 중량부, 콘시럽 10~30 중량부, 복합 비타민 0.1~5 중량부 및 복합 미네랄 0.5~5 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인 환자의 노쇠 및 노인병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균형 영양식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수득한 용해물을 용기에 주입하고 밀봉한 후, 진동시키면서 가열 살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 영양식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비타민은 단백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타민 A 0.002~0.003 중량부, 비타민 B1 0.003~0.005 중량부, 비타민 B2 0.003~0.005 중량부, 비타민 B6 0.003~0.005 중량부, 비타민 B12 0.000006~0.000008 중량부, 비타민 C 0.3~0.4 중량부, 비타민 D 0.00001~0.00002 중량부, 비타민 E 0.02~0.03 중량부, 비타민 K 0.0002~0.0003 중량부, 부형제로 덱스트린 0.007∼0.01 중량부를 함유하는 복합 비타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영양식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미네랄은 단백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철 0.03~0.04 중량부, 칼슘 1.9~3 중량부, 엽산 0.001~0.002 중량부, 아연 0.003~0.004 중량부 마그네슘 0.85~1 중량부, 구리 0.002~0.003 중량부 및 부형제로 덱스트린 0.005~0.006 중량부를 함유하는 복합미네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영양식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30160083A 2013-12-20 2013-12-20 노인 환자의 노쇠 및 노인병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균형 영양식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72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083A KR20150072675A (ko) 2013-12-20 2013-12-20 노인 환자의 노쇠 및 노인병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균형 영양식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083A KR20150072675A (ko) 2013-12-20 2013-12-20 노인 환자의 노쇠 및 노인병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균형 영양식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218A Division KR20160075431A (ko) 2016-06-10 2016-06-10 노인 환자의 노쇠 및 노인병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균형 영양식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675A true KR20150072675A (ko) 2015-06-30

Family

ID=5351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083A KR20150072675A (ko) 2013-12-20 2013-12-20 노인 환자의 노쇠 및 노인병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균형 영양식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26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573B1 (ko) * 2021-03-09 2022-08-25 사단법인 청주단무지무청클러스터사업단 무청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인식 고단백 경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573B1 (ko) * 2021-03-09 2022-08-25 사단법인 청주단무지무청클러스터사업단 무청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인식 고단백 경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87750B (zh) 一种减肥代餐蛋白型固体饮料
US8962678B2 (en) Senescence inhibitor
EP2705844A1 (en) Nutritional composition
WO2012097064A1 (en)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blood glucose
US11612578B2 (en) Nutritional composition for use in therapy of patients with sarcopenia and/or frailty or pre-sarcopenic and/or pre-frail patients
EP1797891A1 (en) Total enteral nutritious composition
AU2006295785B2 (en) Agent for promoting glucagon-like peptide 1 secretion, food or drink for promoting glucagon-like peptide 1 secretion, agent for inhibiting postprandial increase in blood sugar level and food or drink for inhibiting postprandial increase in blood sugar level
WO2012097061A1 (en)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skeletal muscle protein metabolism
US20120071400A1 (en) Lipid metabolism-improving reagent
US20120077780A1 (en) Fat Accumulation Inhibitor and Method of Use Thereof
JP2006510367A (ja) 血糖調節組成物
CN101484158A (zh) 衰老抑制剂
EP2030629A1 (en) Lipid-metabolism-improving agent
MX2014001830A (es) Metodo para transformar un alimento.
KR20160075431A (ko) 노인 환자의 노쇠 및 노인병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균형 영양식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72675A (ko) 노인 환자의 노쇠 및 노인병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균형 영양식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40170128A1 (en) Compositions for the management of glycated hemoglobin and blood glucose
JP2021151223A (ja) マイオカイン産生促進剤、筋出力増強剤、および筋芽細胞の分化促進剤
EP3541205B1 (en) Nutritionally complete liquid compositions for use in therapy of malnutrition associated with copd, neurological diseases or disorders and/or wounds comprising collagen hydrolysate
KR20140073432A (ko) 로즈힙 및 녹차씨를 주성분으로 혼합된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WO2023190809A1 (ja) コルチゾール産生抑制用組成物
KR101477765B1 (ko) 비만의 예방 및 관리에 유용한 식이조성물
KR20200139919A (ko) 기생선충 용해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2931624A (zh) 一种具有减肥功能的纤体谷物营养粉
US20200338141A1 (en) Composition for Reducing Blood Uric Acid Level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Hyperuricemi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od/Beverage Composition, Method for Reducing Blood Uric Acid Level, and Method of Preventing or Improving Hyperuricem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