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2056A - 치아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치아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2056A
KR20150072056A KR1020130159308A KR20130159308A KR20150072056A KR 20150072056 A KR20150072056 A KR 20150072056A KR 1020130159308 A KR1020130159308 A KR 1020130159308A KR 20130159308 A KR20130159308 A KR 20130159308A KR 20150072056 A KR20150072056 A KR 20150072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teeth
insertion groove
dental car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539B1 (ko
Inventor
이강만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59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539B1/ko
Publication of KR20150072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치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를 포함한다. 또한, 잇몸과 연결되지 않는 치아 끝부와 접하는 몸체부의 적어도 한 면에 구비되며, 치아가 삽입되는 치아 삽입홈을 포함한다. 또한, 치아 삽입홈은 치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치아 끝부와 접하는 바닥부, 치아의 외측과 접하는 외측 보호부와 치아의 내측과 접하는 내측 보호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치아 보호 장치{APPARATUS FOR DENTAL CARE}
본 발명은 치아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치아구조와 대응되도록 이루어져 치간과 치주간극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고, 치석과 충치발생을 예방하며, 충치 및 치주염 치료와 재생, 치아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치아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윗니와 아랫니를 포함한 치아는 아치형 또는 U자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음식물을 저작(咀嚼)하고 언어를 구사하기 위해 턱 관절을 이용하여 치아가 서로 맞물리도록 한다. 치아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치열의 위치 관계에 따라 정상 교합 치아와 부정 교합 치아로 구분된다. 정상 교합 치아의 경우에 어금니 부위에서는 아랫니가 윗니보다 조금 안쪽에서 서로 맞물리고, 앞니의 부위에서는 가위 운동과 비슷하게 윗니가 아랫니를 감싸고 있다.
부정 교합 치아는 정상적인 교합을 할 수 없는 구조를 갖는 치아를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교합 상태는 개인이나 인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또한 식성의 변화에 따라 변하기도 한다. 음식물을 저작할 때, 치아의 배열이나 교합상태에 따라 치간(齒間) 및 치주(齒柱) 간극에 이물질이 끼고, 이물질이 끼는 양이 상이하다. 이로 인해, 치석 및 충치가 발생하게 되고 치주염과 같은 질환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치아의 교합상태에 따라 무의식적으로 수면 중 치아를 악물거나 갈게 된다. 이로 인해 수면 중 치아가 마모된다. 아울러, 긴장된 상황에 놓이면 입 근처의 근육이 갑자기 긴장되기 때문에 치아를 악무는 습관이 무의식적으로 생기게 된다. 이때, 턱 관절이나 치아 등은 치아의 교합력을 분산 흡수하는데, 이 교합력이 흡수할 수 없을 정도로 크거나 반복될 경우에는 치아나 턱 관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9-0098614호의 “구취제거 및 감소기능을 가지는 마우스피스 또는 치아보조구”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 장치는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음식물의 저작 및 섭취 시 치간 및 치주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고, 미생물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치아의 미생물 증식이 수면중에 가장 활발하므로, 수면 중에 사용자의 치아에 장착하여 수면시의 미생물 증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수면 중 또는 긴장상태에서 치아를 갈거나 악무는 습관으로 인해 치아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넷째, 충치 또는 치주염과 같은 치아 질환이 발생된 경우에 치아 및 잇몸에 약물을 전달(주입)하여 치아 질환을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 장치는 치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를 포함한다. 또한, 치아 끝부와 접하는 몸체부의 적어도 한 면에 구비되며, 치아가 삽입되는 치아 삽입홈을 포함한다.
또한, 치아 삽입홈은 치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치아 끝부와 접하는 바닥부, 치아의 외측과 접하는 외측 보호부와 치아의 내측과 접하는 내측 보호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치아 삽입홈의 내측 보호부, 외측 보호부 또는 바닥부 중 하나 이상에 흡수완충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몸체부 또는 치아 삽입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 구간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치아가 치아 삽입홈에 삽입 시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재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치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에 치아가 삽입되는 치아 삽입홈을 포함하므로, 음식물의 저작 및 섭취 시 치간 및 치주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고, 미생물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수면 중에 사용자의 치아에 장착하여 수면시의 미생물 증식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치아 삽입홈이 음각으로 형성된 각 치아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치아 삽입홈이 치아 끝부와 접하는 바닥부, 치아의 외측과 접하는 외측 보호부, 치아의 내측과 접하는 내측 보호부로 이루어지므로, 수면 중 또는 긴장상태에서 치아를 갈거나 악무는 습관으로 인해 치아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치아 삽입홈의 내측 보호부, 외측 보호부 또는 바닥부에 흡수완충부재를 구비하거나, 치아 삽입홈의 표면에 흡수완충부재를 구비할 수 있으며, 흡수완충부재에 항미생물제, 구강청결제 및 치아재생혼합액 등을 주입할 수 있으므로, 충치 또는 치주염과 같은 치아 질환이 발생된 경우에 치아 질환을 치료하고 치아관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 장치의 착용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 장치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 장치의 흡수완충부재 및 치아관리제 주입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 장치는 치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잇몸과 연결되지 않는 치아 끝부와 접하는 몸체부(110)의 적어도 한 면에 구비되며, 치아가 삽입되는 치아 삽입홈(120)을 포함한다.
또한, 치아 삽입홈(110)은 치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치아 끝부와 접하는 바닥부(121), 치아의 외측과 접하는 외측 보호부(122)와 치아의 내측과 접하는 내측 보호부(123)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 장치(100)는 착용자의 치아, 잇몸, 구강구조 등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작되어 착용된다. 치아 보호 장치(100)는 수면 시 또는 활동 시에 착용하여 치아를 보호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치아 보호 장치(100)는 치열교정 시 또는 치열교정 후에 치아 보호 및 교정력 유지를 위해 착용할 수 있다.
아울러, 치아 보호 장치(100)는 턱 관절 상태, 치아의 배열이나 교합상태에 따른 이갈이 등으로 인한 치아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치아 보호 장치(100)는 치아, 잇몸 등에 발생된 치과 질환의 치료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신축성을 가진 얇은 막상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잇몸과 연결되지 않은 치아의 끝부와 접하는 면에 치아 삽입홈(120)을 형성한다. 몸체부(110)는 단수로 이루어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니 또는 아랫니에 착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 장치의 착용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치아 보호 장치(100)는 복수로 구비되어 윗니 및 아랫니에 각각 착용될 수도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실리콘, 고무, 라텍스, 폴리우레탄, 치과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레진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치아 보호 장치(100)는 단수로 구비되어 몸체부(110)에 치아 삽입홈(120)을 양면 즉, 윗니와 아랫니의 끝부가 접하는 면에 각각 치아 삽입홈(120)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치아 보호 장치(100)로 윗니와 아랫니를 동시에 보호 및 관리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치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U’자 형태나 말굽형태로 이루어진다. 몸체부(110)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크기 및 형상은 착용자의 치열. 치아 등의 상태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다. 몸체부(110)는 투명색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색상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몸체부(110)에 형성된 치아 삽입홈(120)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되는 각 치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치아 삽입홈(120)은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열을 따라 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 장치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에 형성된 치아 삽입홈(120)은 음각으로 형성된 각 치아(10)의 치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치아 삽입홈(120)은 치아의 외측과 접하고, 치아의 외측을 감싸는 외측 보호부(122)로 구성된다. 또한, 치아 삽입홈(120)은 치아의 내측과 접하고 치아의 내측을 감싸는 내측 보호부(123)로 구성된다. 또한, 잇몸과 연결되지 않는 치아끝부와 접하는 바닥부(121)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삽입홈(120)은 몸체부(110)와 윗니 또는 아랫니의 치아 끝부가 접하는 한쪽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치아 삽입홈(120)이 몸체부(110)의 한쪽 면에 형성된 경우, 치아 보호 장치(100)는 단수로 이루어질 것이며, 윗니의 치열과 대응되는 치아 삽입홈(120)을 형성한 일 치아 보호 장치(100)를 이용해 윗니를 보호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아랫니의 치열과 대응되는 치아 삽입홈(120)을 형성한 타 치아 보호 장치(100)를 추가로 이용해 아랫니를 보호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치아 삽입홈(120)의 형상과 대응되는 치열은 윗니 또는 아랫니에 한정되지 않는다. 치아 삽입홈(120)의 형상은 아랫니를 보호 및 관리하는 치아 보호 장치일 경우, 아랫니의 치열과 대응되는 음각 형태의 형상일 것이다. 또한, 치아 삽입홈(120)의 형상은 윗니를 보호 및 관리하는 치아 보호 장치일 경우, 윗니의 치열과 대응되는 음각 형태의 형상일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삽입홈(120)은 몸체부(110)와 치아끝부가 접하는 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치아 보호 장치(100)로 윗니와 아랫니를 모두 보호 및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음각으로 형성된 치아 삽입홈(120)의 형상은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으며 착용자의 치열이 대응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 장치의 흡수완충부재 및 치아관리제 주입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보호 장치(100)는 치아 삽입홈(110)의 내측 보호부(123), 외측 보호부(122) 또는 바닥부(121)에 흡수완충부재(130)를 구비한다. 또한, 치아 보호 장치(100)는 내측 보호부(123) 및 외측 보호부(122)에 흡수완충부재(13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흡수완충부재(130)는 내측 보호부(123), 외측 보호부(122) 및 바닥부(121)를 모두 포함하는 치아 삽입홈(120)의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흡수완충부재(130)는 항생물질 등 항미생물제, 구강청결제, 치아재생혼합액 등을 흡수할 수 있으며 치아표면, 치간 및 치주간극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해면상 또는 기모 특성을 가지는 탄력을 가진 소재로 액상물질의 함유와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펄프, 부직포, 극세사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흡수완충부재(130)는 다공성을 지녀 액체를 부가하지 않는 경우는 치아와 치주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흡수완충부재(130)는 탄력을 가지므로, 도 1의 (b)와 같이 치아 삽입홈(120)이 치열 형상과 대응되지 않거나 형상 자체가 없을 경우 착용자의 치열에 치아 보호 장치가 착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치열과 대응되는 형상이 없는 치아 삽입홈(120)을 구비한 치아 보호 장치를 착용자가 착용할 경우 치아 삽입홈(120)과 치아 사이에는 간격이 생긴다. 이때, 흡수완충부재(130)는 탄력에 의해 치아 삽입홈(120)과 치아 사이에는 간격을 메우게 된다. 이로 인해 치아 삽입홈(120)에 치아가 삽입 및 고정되어, 치아 삽입홈(120)에 치열과 대응되는 형상이 없더라도 치아 보호 장치가 착용된 상태가 유지된다.
아울러, 흡수완충부재(130)는 치아 보호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치아와 치아 보호 장치 간의 마찰을 줄여준다. 치아와 치아 삽입홈(120) 간에 흡수완충부재(130)가 위치하므로, 흡수완충부재(130)는 치아 보호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면, 식사, 활동 등이 이루어질 때 치아와 치아 보호 장치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흡수완충부재(130)는 치아와 치아 보호 장치 간의 마찰, 충격 등을 방지하므로 이갈이를 완화시켜 치아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치아 관리제는 항미생물제, 구강청결제, 치아재생혼합액 등을 의미한다.
흡수완충부재(130)는 음식물을 섭취할 때, 치간 및 치주에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이 껴서 발생하는 충치, 치주염 등의 치아 질환(치과 질환)에 대한 치료와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흡수완충부재(130)는 충치, 치주염 등이 발생한 착용자가 치아 보호 장치(100)을 착용한 경우, 충치, 치주염 등이 발생한 치아에 흡수한 치아 관리제를 직접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착용자는 치아 질환이 발병한 위치에 효율적으로 약품 등의 치아 관리제를 타액에 의하여 씻기거나 희석되지 않는 상태에서 일정시간 투여할 수 있다.
나아가, 흡수완충부재(130)는 치아 삽입홈(120)과 몸체부(110) 사이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흡수완충부재(130)는 몸체부(110)에 내장되는 것이며, 교체도 가능할 것이다. 흡수완충부재(130)의 교체를 위해 몸체부(110)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몸체부(110)를 분리한후, 흡수완충부재(130)를 삽입 후 다시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흡수완충부재(130)는 치과용으로 사용되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치아 삽입홈(120)에 구비될 수 있다. 흡수완충부재(130)의 크기 및 형상은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는다.
몸체부(110)는 치아의 외측 부분과 치아의 내측 부분이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치아의 외측 부분과 치아의 내측 부분의 경계부분에는 흡수완충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치아의 외측에 구비되며, 흡수완충부재(130)와 연통되어 흡수완충부재(130)에 치아 관리제를 주입할 수 있고 개폐 가능한 치아관리제 주입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완충부재(130)에 치아 관리제를 흡수시키기 위해 주사기 등을 이용해 치아관리제 주입부(140)를 통해 흡수시킬 수 있다.
흡수완충부재(130)가 몸체부(110)와 치아 삽입홈(120)의 사이 공간에 구비될 경우, 흡수완충부재(130)에 흡수된 치아 관리제는 치아 삽입홈(120)의 외측 보호부(122) 또는 내측 보호부(123)에 구비되는 치아 관리제 배출부(미도시)를 통해 치아, 잇몸에 공급될 것이다. 치아 관리제 배출부는 외측 보호부(122) 또는 내측 보호부(123)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치아 관리제 배출부는 외측 보호부(122) 및 내측 보호부(123)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치아 관리제는 치아 관리제 배출부로 유입되는 타액(침)에 의하여 씻기거나 희석되지 않는 상태에서 일정시간 치아와 잇몸에 전달될 수 있다.
치아 관리제 배출부는 외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개구로 이루어지며 외측 보호부(122), 내측 보호부(123) 또는 바닥부(121)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다. 치아 관리제 배출부의 형상 및 크기는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는다. 치아 관리제 주입부(140) 및 치아 관리제 배출부는 필터부재(미도시)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필터부재는 이물질로 하여금 치아 관리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치아 관리제에 이물질이 포함된 경우, 이물질이 치아 및 잇몸에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 장치는 몸체부(110) 또는 치아 삽입홈(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 구간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치아가 치아 삽입홈(110)에 삽입 시 치아보호장치를 안정하게 유지시키는 고정부재(150)를 더 포함한다.
고정부재(150)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보호 장치를 착용 시 치아에 안정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치아에 치아 보호 장치를 고정시킨다. 고정부재(150)는 치실과 같은 섬유판상의 형태로 몸체부(110)의 일 구간에 다수 설치되어 치간 사이에 끼워지게 되거나 압착피스톤 형태로 치아표면에 밀착됨으로써 치아 보호 장치가 치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고정부재(15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치아 삽입홈(1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몸체부(110)와 치아 삽입홈(120)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흡수완충부재(130)에 구강 청결제 또는 알칼리성 인산칼슘액 등의 치아재생혼합액을 흡수시켜, 착용자의 치아 및 잇몸에 직접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효과적인 치아 관리가 가능하고, 효과적인 미생물의 증식억제 및 치아 에나멜층의 부식억제나 손상된 치아의 재생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호 장치는 치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10)에 치아(10)가 삽입되는 치아 삽입홈(120)을 포함하므로, 음식물의 저작 및 섭취 시 치간 및 치주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고, 미생물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치아 삽입홈(120)이 음각으로 형성된 각 치아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치아 삽입홈(120)이 치아 끝부와 접하는 바닥부(121), 치아의 외측과 접하는 외측 보호부(122), 치아의 내측과 접하는 내측 보호부(123)로 이루어지므로, 수면 중 또는 긴장상태에서 치아를 갈거나 악무는 습관으로 인해 치아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치아 삽입홈(120)의 내측 보호부(123), 외측 보호부(122) 또는 바닥부에 흡수완충부재(130)를 구비하거나, 치아 삽입홈(120)의 표면에 흡수완충부재(1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흡수완충부재(130)에 항미생제, 구강청결제 및 치아재생혼합액 등을 주입할 수 있으므로, 충치 또는 치주염과 같은 치아 질환이 발생된 경우에 치아 질환을 치료하고 치아관리를 할 수 있다. 아울러, 수면 중에 사용자의 치아에 장착하여 수면시의 미생물 증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 치아 110: 몸체부
120: 치아 삽입홈 121: 바닥부
122: 외측 보호부 123: 내측 보호부
130: 흡수완충부재 140: 치아관리제 주입부
150: 고정부재

Claims (7)

  1. 치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 및
    치아 끝부와 접하는 몸체부의 적어도 한 면에 구비되며, 치아가 삽입되는 치아 삽입홈을 포함하며,
    치아 삽입홈은 치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치아 끝부와 접하는 바닥부, 치아의 외측과 접하는 외측 보호부와 치아의 내측과 접하는 내측 보호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치아 삽입홈은
    음각으로 형성된 치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호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치아 삽입홈의 내측 보호부, 외측 보호부 또는 바닥부 중 하나 이상에 흡수완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호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부 또는 치아 삽입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 구간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치아가 치아 삽입홈에 삽입 시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호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흡수완충부재은
    치아 삽입홈과 몸체부 사이 공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호 장치.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몸체부는
    치아의 외측에 구비되며, 흡수완충부재와 연통되어 상기 흡수완충부재에 치아 관리제를 주입할 수 있고 개폐 가능한 치아관리제 주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호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치아 삽입홈의 외부와 연통되게 내측 보호부, 외측 보호부 또는 바닥부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로 구비되며, 흡수완충부재에 흡수된 치아 관리제를 상기 외부로 배출시키는 치아 관리제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호 장치.
KR1020130159308A 2013-12-19 2013-12-19 치아 보호 장치 KR101602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308A KR101602539B1 (ko) 2013-12-19 2013-12-19 치아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308A KR101602539B1 (ko) 2013-12-19 2013-12-19 치아 보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056A true KR20150072056A (ko) 2015-06-29
KR101602539B1 KR101602539B1 (ko) 2016-03-15

Family

ID=5351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308A KR101602539B1 (ko) 2013-12-19 2013-12-19 치아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5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426A1 (ko) * 2015-10-19 2017-04-27 김시호 치아 보호용 착용구
KR20210037285A (ko) * 2019-09-27 2021-04-06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치아 치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478B1 (ko) 2019-12-17 2020-04-22 윤상원 마우스 가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27748A1 (en) * 2009-07-30 2011-02-03 Fusi Ii Robert W Oral care systems
JP2012192002A (ja) * 2011-03-15 2012-10-11 Iwate Medical Univ ドラッグデリバリーマウスピースおよび歯科用ドラッグデリバリー装置
JP2013063243A (ja) * 2011-09-02 2013-04-11 Tomokazu Ueda マウスピースとその製造方法
JP5413777B2 (ja) * 2007-06-27 2014-02-12 学校法人日本大学 マウスガード及びマウスガード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3777B2 (ja) * 2007-06-27 2014-02-12 学校法人日本大学 マウスガード及びマウスガードの製造方法
US20110027748A1 (en) * 2009-07-30 2011-02-03 Fusi Ii Robert W Oral care systems
JP2012192002A (ja) * 2011-03-15 2012-10-11 Iwate Medical Univ ドラッグデリバリーマウスピースおよび歯科用ドラッグデリバリー装置
JP2013063243A (ja) * 2011-09-02 2013-04-11 Tomokazu Ueda マウスピースと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426A1 (ko) * 2015-10-19 2017-04-27 김시호 치아 보호용 착용구
KR20210037285A (ko) * 2019-09-27 2021-04-06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치아 치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539B1 (ko)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8226C (en) Periodontal medicament delivery tray
JP6047290B2 (ja) マウスピースとその製造方法
CN217117224U (zh) 一种具有健齿功能的宠物咬嚼用品
KR101602539B1 (ko) 치아 보호 장치
JP2019523075A (ja) 改良型歯がため装置
Mummolo et al. Chlorhexidine gel used as antiseptic in periodontal pockets
Lucavechi et al. Self-injurious behavior in a patient with mental retardation: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case report.
US8469709B2 (en) Dental hygiene device
KR102262910B1 (ko)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 마우스피스
KR20130091754A (ko) 치아 및 잇몸의 예방 및 급성 치료를 위한 장치
Jeong et al. A preventive approach to oral self-mutilation in Lesch-Nyhan syndrome: a case report
JP2016214817A (ja) 歯科用マウスピースセット及びマウスピース
CN212326629U (zh) 假牙的结构
CN107149506A (zh) 一种预防儿童龋齿的涂氟装置及其制作方法
JP2007277210A (ja) マヌカハニーを主成分とする歯周炎治療用剤およびサプリメント
US8753116B2 (en) Dental hygiene device
KR20220096465A (ko) 비말감염 방지기능을 갖는 구강건조증 저감장치
Borker et al. Recent advancements in toothbrush systems for improved mechanical plaque control
JP3668744B2 (ja) (熱可塑性材を使用したバイトブロック)
Mullally et al. Periodontics: 3.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 in general dental practice
KR20040086889A (ko) 구강대
TWI634855B (zh) Oral health equipment
JP2006109989A (ja) 歯磨き用具
CN201536768U (zh) 一次性指套式无毛保健牙刷
KR20160080331A (ko) 치주관리용 이쑤시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