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051A -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051A
KR20150069051A KR1020130154399A KR20130154399A KR20150069051A KR 20150069051 A KR20150069051 A KR 20150069051A KR 1020130154399 A KR1020130154399 A KR 1020130154399A KR 20130154399 A KR20130154399 A KR 20130154399A KR 20150069051 A KR20150069051 A KR 20150069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girder
bottom plate
main
concret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원
정진덕
이지영
이철우
박영호
이진호
최명진
이재선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30154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9051A/ko
Publication of KR20150069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교각(110) 상에 교량의 종축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거더(120), 및 인접한 거더(120) 상에 교량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보(130A), 및 가로보(130A) 상에 교량의 종축방향으로 배근되는 주철근(132)과 주철근(132)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근되는 보조철근(134)을 가진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바닥판(130)으로 이루어지는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 및 그 시공방법{Bridge capable of preventing of slab moment resulting from long spa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장경간을 가진 교량에 있어서 장경간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멘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설치되는 거더 사이의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거더 상에 설치되는 교량 바닥판에 대하여 발생하는 모멘트를 간편한 시공 방법으로 억제함과 동시에, 시공 설계상의 구조 역학적 설계를 간단하게 함으로써 시공 능률의 향상과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설되는 도로는 노선의 직선화와 같은 이유로 산과 산을 연결한 교량의 건설이 빈번해지고 있다. 특히 신형식 교량의 출현, 시공기술의 발달, 시공비 절감 등의 사유로 인하여 교량은 점차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에 따라 교량 바닥판을 지지하는 거더의 크기가 커지고 개수가 줄면서 거더 간의 간격이 증가하면서 바닥판의 경간(span)이 기존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시공되고 있는 PSCI나 SPG 교량과 같은 형식의 경우 거더 사이의 간격은 대체로 3.0m 이하로 설계된다. 또한 거더교의 최외측 내민부인 캔틸레버의 연장 또한 1.0 내지1.5m로 교통 차량의 재하가 불가능한 길이이다. 그러나 거더의 갯수를 줄인 소수주거더교나 대형화되고 있는 PSCB교, 신형식 교량인 PCT 교량들의 경우 거더 사이의 간격이 5 내지 7m이며, 캔틸레버부도 4m 이상으로서 교통하중의 재하가 가능하도록 설계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교량 바닥판의 경간이 길어짐에 따라 교량의 설계에 있어서, 정해진 바닥판 두께에 일정비율의 철근을 배치하고 구조해석 등을 생략하는 방법으로서 현재 널리 활용되고 있는 경험적 설계방법이나 바닥판의 콘크리트 압축력과 철근의 인장력만을 고려하는 전통적 설계방법을 적용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 및 종방향 PSC 강선 등을 보강한 시공법이 도입되고 있다.
PSC 강선 등을 보강한 시공법에 의하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210) 위에 구비된 거더(220)들 상에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바닥판(230), 바닥판(230) 상에 아스팔트 등으로 이루어진 포장층(240)이 구비된다. 이 때, 평행하게 설치되는 거더(220)를 사이에 두고 횡방향으로 거더를 지지점으로 하는 주철근(232)이 배근되며, 주철근(232)에 수직하게 종방향으로 보조철근(234)이 배근되며, 거더(22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거더(220) 사이의 큰 모멘트를 억제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바닥판(230)에 대하여 횡 방향 PSC 강선으로 이루어진 텐돈(236)을 구비한다.
이 시공 방법에 의하면, 횡 방향 텐돈(236)의 설치에 있어서, 바닥판에 텐돈 등에 의한 보강효과를 추가로 검토해야하기 때문에 설계가 매우 복잡하고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횡방향 텐돈의 설치시에 예를 들면 24cm 내지 35cm 두께의 바닥판(230)에 상부 및 하부의 철근피복 확보, 주철근 및 보조철근 배근, PSC 텐돈의 시공을 위한 쉬스관(238) 설치 등 시공 조건이 매우 까다롭게 될 뿐 아니라, 바닥판(230) 콘크리트의 경화과정에서 콘크리트의 수축시 쉬스관(238)을 중심으로 응력집중이 발생하여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에서 쉬스관(238)을 따라 교축직각방향으로 균열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도 1 b는 쉬스관(238)을 중심으로 콘크리트 바닥판에서 교축직각방향균열이 발생한 사진이다.
이와 같이, 종래 장 경간을 가진 교량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설계의 복잡성, 설계오류의 발생, 및 시공 및 공용 상의 균열 등으로 인하여 설계비, 시공비, 유지 보수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경간을 가진 교량에 있어서 거더 사이의 바닥판에 발생되는 모멘트를 간단한 설계 및 시공에 의하여 억제함으로써 설계 및 시공비를 절감함과 동시에 사후적인 하자를 방지할 수 있는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교각(110) 상에 교량의 종축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거더(120), 및 인접한 거더(120) 상에 교량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보(130A), 및 가로보(130A) 상에 교량의 종축방향으로 배근되는 주철근(132)과 주철근(132)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근되는 보조철근(134)을 가진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바닥판(130)으로 이루어지는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이 제공된다.
여기서, 거더(120)는 PSC 빔, 플레이트 거더, 또는 강상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더(120)가 PSC 빔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가로보(130A)는 PSC 빔 상에서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형성된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더(120)가 플레이트 거더로 이루어진 경우에 플레이트 거더 상부의 상부 플랜지(122)에 형성된 체결공(미도시)과 가로보(130A)의 하부 플랜지(130a)에 형성된 체결공(미도시)에 대하여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로보(130A)는 'I'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부에 플랜지(130a, 130c)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로보(130A)의 하부 플랜지(130a)는 거더(120)의 상부 플랜지(122)에 대하여 체결 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로보(130A)의 몸체부(130b)는 거더(120)에 대하여 강판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로보(130A)가 거더(120)의 상부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주철근(132)이 가로보(130A)를 가로질러 교축방향으로 배근되며, 보조철근(134)은 주철근(132)에 수직하게 배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로보(130A)는 교량의 캔틸레버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철근(132)과 보조철근(134)의 배근은 가로보(130A) 사이의 간격에 따른 기준으로 배근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로보(130A)가 바닥판(130)에 대하여 함께 거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로보(130A)가 주철근(132)과 보조철근(134)으로 이루어진 철근 구조물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바닥판(13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교각(110)을 설치하는 제1 단계, 교각(110) 상에 교량의 종축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거더(120)를 설치하는 제2 단계, 인접한 거더(120) 상에 교량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보(130A)를 설치하는 제3 단계, 가로보(130A) 상에 교량의 종축방향으로 배근되는 주철근(132)과 주철근(132)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근되는 보조철근(134)을 배근하여 철근 구조물을 형성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철근 구조물에 대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통한 바닥판(130)을 형성하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지는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더(120) 사에 설치되는 가로보(130A)로 인하여 주철근(132)에 대한 배근을 거더(120) 사이의 장경간의 기준에 따른 복잡한 설계를 요하지 않고 가로보(130A) 사이의 간격을 필요에 따라 거더(120) 상에서 조절함으로써 간편하게 설계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멘트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철근 소요량과 콘크리트 타설량을 감소시켜 바닥판(130)의 두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1a는 장경간 교량에 있어서 종방향 PSC 강선 등을 보강한 시공법에 따른 교량의 단면도이다.
도 1 b는 도 1에 따른 교량에 있어서 텐돈 설치를 위한 쉬스관(238)을 중심으로 콘크리트 바닥판이 수축 구속되면서 균열이 발생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의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의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에 의하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교각(110) 상에 교량의 종축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거더(120), 인접한 거더(120) 상에 교량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보(130A), 및 가로보(130A) 상에 교량의 종축방향으로 배근되는 주철근(132)과 주철근(132)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근되는 보조철근(134)로 이루어진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바닥판(130)으로 이루어진다. 참조번호 140은 바닥판(130) 상에 아스팔트 등으로 이루어진 포장층이다.
여기서, 거더(120)는 PSC 빔, 플레이트 거더, 또는 강상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거더(120)가 PSC 빔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가로보(130A)는 PSC 빔 상에서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형성된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하여 결합된다.
거더(120)가 플레이트 거더로 이루어진 경우에 플레이트 거더 상부의 상부 플랜지(122)에 형성된 체결공(미도시)과 가로보(130A)의 하부 플랜지(130a)에 형성된 체결공(미도시)에 대하여 볼트 부재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거더(120)는 'I'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부에 플랜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로보(130A)의 하부 플랜지(130a)는 거더(120)의 상부 플랜지(122)에 대하여 체결 부재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가로보(130A) 전체에 대하여 바닥판(130)에 발생될 수 있는 횡방향 모멘트를 거더(120)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도록 강판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30b)에 의하여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가로보(130A)의 몸체부(130b)는 거더(120)에 대하여 강판으로 수직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바닥판(130)에 하중이 재하되더라도 최대한의 횡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로보(130A)의 상부 플랜지(130c) 주철근(132)의 배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하부 플랜지(130a)와 함께 바닥판(130) 상에 운행하는 차량의 진동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가로보(130A)의 몸체부(130b)에 대한 비틀림의 변형력을 억제할 수 있다.
거더(120) 사이의 공간에서 바닥판(130)에 발생될 수 있는 모멘트 방지를 위한 가로보(130A)가 거더(120)의 상부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바닥판(130)의 철근 콘크리트의 구조물을 이루는 주철근(132)이 인접하는 가로보(130A)를 가로질러 배근되며, 보조철근(134)은 주철근(132)에 수직하게 배근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에 의하면, 주철근(132)이 인접한 가로보(130A) 상에서 교량의 종방향인 거더(120)의 종방향으로 배근되기 때문에 종 방향 텐돈이나 횡방향 텐돈이 필요하지 않게 됨으로써 그 설계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이나 공용에 따른 바닥판(130)의 균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판(130)에 하중 재하에 따른 횡방향 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닥판(130)의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바닥판(130) 자체의 하중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근되는 철근의 소요량도 줄일 수 있게 되어 시공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닥판(130)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교량 바닥판(130)의 유지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가로보(130A)를 필요에 따라 캔틸레버까지 연장 설치함으로써 바닥판(130)의 내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에 의하면, 거더(120) 사이에 설치되는 가로보(130A)로 인하여 주철근(132)에 대한 배근을 거더(120) 사이의 장경간의 기준에 따른 복잡한 설계를 요하지 않고 가로보(130A) 사이의 간격을 필요에 따라 거더(120) 상에서 조절함으로써 간편하게 설계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멘트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철근 구조물의 소요량과 콘크리트 타설량을 줄임으로써 바닥판(130)의 두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거더(120) 상에 설치되는 가로보(130A)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바닥판(130)의 폭에 따른 거더(120)의 수를 줄임으로써 시공비를 절감할 뿐만 아니라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판(130)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 가로보(130A)의 간격 단위로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설치하고 연결부만 처리하면 되기 때문에 급속 시공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과 달리 바닥판(130) 하부에 헌치를 두지 않음으로써 복잡한 거푸집이 필요 없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에 의하면, 가로보(130A)가 바닥판(130)에 대하여 함께 거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에 의하면, 가로보(130A)가 주철근(132)과 보조철근(134)으로 이루어진 철근 구조물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바닥판(130)을 형성한다. 그에 따라 바닥판(130)과 가로보(130A)가 일체적으로 거동됨으로써 공용에 따른 바닥판(130)과 가로보(130A) 사이의 이완을 방지한다.
한편, 거더(120)가 'I'의 형상을 가진 플레이트 거더인 경우 가로보(130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와 다르게 거더(120)의 상부 플랜지(122)에 구비 되지 않고 몸체부(130b)에 대하여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를 가지고 거더(120)에 결합되어도 좋다. 이 때 가로보(130A)의 상부는 바닥판(130)에 대하여 주철근(132)을 가로보(130A)에 수직하게 배근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110: 교각
120: 거더
122: 상부 플랜지
130: 바닥판
130A: 가로보
130a: 하부 플랜지
130b: 몸체부
130c: 상부 플랜지
132: 주철근
134: 보조철근
140: 포장층

Claims (18)

  1.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교각(110) 상에 교량의 종축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거더(120);
    및 인접한 거더(120) 상에 교량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보(130A); 및
    가로보(130A) 상에 교량의 종축방향으로 배근되는 주철근(132)과 주철근(132)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근되는 보조철근(134)을 가진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바닥판(1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
  2. 제1항에 있어서, 거더(120)는 PSC 빔, 플레이트 거더, 또는 강상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
  3. 제2항에 있어서, 거더(120)가 PSC 빔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가로보(130A)는 PSC 빔 상에서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형성된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
  4. 제2항에 있어서, 거더(120)가 플레이트 거더로 이루어진 경우에 플레이트 거더 상부의 상부 플랜지(122)에 형성된 체결공(미도시)과 가로보(130A)의 하부 플랜지(130a)에 형성된 체결공(미도시)에 대하여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
  5. 제1항에 있어서, 가로보(130A)는 'I'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부에 플랜지(130a, 130c)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
  6. 제5항에 있어서, 가로보(130A)의 하부 플랜지(130a)는 거더(120)의 상부 플랜지(122)에 대하여 체결 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
  7. 제6항에 있어서, 가로보(130A)의 몸체부(130b)는 거더(120)에 대하여 강판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
  8. 제1항 또는 제5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로보(130A)가 거더(120)의 상부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주철근(132)이 가로보(130A)를 가로질러 교축방향으로 배근되며, 보조철근(134)은 주철근(132)에 수직하게 배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
  9. 제1항 또는 제5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로보(130A)는 교량의 캔틸레버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
  10. 제8항에 있어서, 주철근(132)과 보조철근(134)의 배근은 가로보(130A) 사이의 간격에 따른 기준으로 배근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
  11. 제1항 또는 제5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로보(130A)가 바닥판(130)에 대하여 함께 거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
  12. 제11항에 있어서, 가로보(130A)가 주철근(132)과 보조철근(134)으로 이루어진 철근 구조물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바닥판(13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
  13.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교각(110)을 설치하는 제1 단계;
    교각(110) 상에 교량의 종축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거더(120)를 설치하는 제2 단계;
    인접한 거더(120) 상에 교량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보(130A)를 설치하는 제3 단계;
    가로보(130A) 상에 교량의 종축방향으로 배근되는 주철근(132)과 주철근(132)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근되는 보조철근(134)을 배근하여 철근 구조물을 형성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철근 구조물에 대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통한 바닥판(130)을 형성하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의 시공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가로보(130A)는 거더(120)에 대하여 강판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의 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가로보(130A)가 거더(120)의 상부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주철근(132)이 인접한 가로보(130A)를 가로질러 교축방향으로 배근되며, 보조철근(134)은 주철근(132)에 수직하게 배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의 시공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가로보(130A)는 교량의 캔틸레버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의 시공방법.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로보(130A)가 바닥판(130)에 대하여 함께 거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의 시공방법.
  18. 제13항 내지 제16항에 있어서, 가로보(130A)가 주철근(132)과 보조철근(134)으로 이루어진 철근 구조물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바닥판(13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의 시공방법.
KR1020130154399A 2013-12-12 2013-12-12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50069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399A KR20150069051A (ko) 2013-12-12 2013-12-12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399A KR20150069051A (ko) 2013-12-12 2013-12-12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051A true KR20150069051A (ko) 2015-06-23

Family

ID=53516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399A KR20150069051A (ko) 2013-12-12 2013-12-12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90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06005A1 (de) 2015-05-18 2016-11-24 Mando Corporation Elektronisch gesteuerte Aufhängungsvorrichtung und eine Dämpfungskraft regelndes Verfahren dav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06005A1 (de) 2015-05-18 2016-11-24 Mando Corporation Elektronisch gesteuerte Aufhängungsvorrichtung und eine Dämpfungskraft regelndes Verfahren dav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402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KR10110782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횡방향 연결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988074B1 (ko) 교대 벽체와 일체화 시공되는 피에스씨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152444B1 (ko)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및 그 제조방법
KR100720996B1 (ko) 프리캐스트 교량바닥판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JP2003253621A (ja) 既設単純桁橋梁を連続化した連続桁構造
KR100554408B1 (ko) 교량용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07812307U (zh) 斜拉桥主塔及钢锚梁的施工系统
JP3737475B2 (ja) 箱桁橋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0592196B1 (ko) 다수개의 지지장치가 설치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교량을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중지점 지지브라켓 및 이의설치방법
KR101664997B1 (ko) 프리캐스트 t 타입 모듈형 합성 라멘교의 시공 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합성 라멘교, 그리고 그 합성 라멘교를 시공하기 위한 구조물
KR101067717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073390B1 (ko) 텐던 배치 방법
KR100621928B1 (ko) 프리캐스트 패널을 갖는 이중합성 철도 판형교 시공방법
KR20100057446A (ko) 수직 구조체 전도 방지 장치
KR20130120096A (ko) 교량용 프리 텐션 빔 거더
KR20150069051A (ko) 장경간에 따른 바닥판 모멘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4492422B2 (ja) 連続i桁橋の中間支点近傍の構造
KR20130090709A (ko) 교각 또는 교대 위에서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는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
JP3877995B2 (ja) 張弦桁橋の構築方法
JP2010144512A (ja) 連続i桁橋の中間支点近傍の構造
KR102206777B1 (ko) 개구형 단경간 강합성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KR20060017949A (ko) 편심거리 증가로 인한 내하력이 증강된 현장조립식프리스트레싱 강합성 거더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KR101389821B1 (ko) 매립형 추가 긴장부가 부설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이의 제작 및 보수공법
JP2003293323A (ja) 連続桁橋梁の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