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584A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584A
KR20150068584A KR1020130154364A KR20130154364A KR20150068584A KR 20150068584 A KR20150068584 A KR 20150068584A KR 1020130154364 A KR1020130154364 A KR 1020130154364A KR 20130154364 A KR20130154364 A KR 20130154364A KR 20150068584 A KR20150068584 A KR 20150068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ver
filter
intake duct
air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3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4096B1 (en
Inventor
조영욱
김진욱
이용흥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4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096B1/en
Publication of KR20150068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5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0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16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with provisions for replacing the filt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which forms a fixing means fixing upper and lower ends of a filter cover on the side of an intake duct, forms a deviation prevention rib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filter cover on the side of the intake duct, and easily attaches and detaches the filter cover, thereby having easy workability and preventing the filter cover from deviating when the filter cover sags or rates by vacuum of a vehicle and external force without a tongue part and a groove.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커버의 상,하단부를 인테이크덕트측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인테이크덕트의 측면에는 상기 필터커버의 하단부를 안착지지하는 이탈방지리브를 형성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fixing means for fixing upper and lower ends of a filter cover to an intake duct side, Prevention ribs are formed in the vehicle air-condition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실내/외 공기를 도입하여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차량의 실내로 송풍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장치이다.Background Art [0002]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s a device for cooling or heating the inside of a vehicle by introducing the inside / outside air of the vehicle and heating or cooling the air to blow air into the inside of the vehicle.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Three Piece Type)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Semi-Center type)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으로 대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dependent structure of the blower unit, the evaporator unit, and the heater core unit,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three-piece type in which the three units are independently provided, and an evaporator unit and a heater core unit, And a center mounting type in which all of the three units are incorporated in an air conditioning case can be categorized into a semi-center type in which a fan unit is installed as a separate unit, and a center mounting type in which all the three units are incorporated in an air conditioning cas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장치의 일예로 나타낸 구성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내기유입구(21)와 외기유입구(22)가 일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내외기전환도어(23)가 설치된 인테이크덕트 및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의 입구측(43)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장치(10)와, 상기 송풍장치(1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43)와 이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44)가 구비되며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가 설치된 공조케이스(40)로 구성된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general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s shown in FIG. 1, the indoor air inlet 21 and the outdoor air inlet 22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indoor air inlet / And an air blowing fan 35 for forcibly blowing the inside / outside air to the inlet side 43 of the air conditioner case 40, An air inlet 43 through which the air blown from the air blowing device 10 flows and an air outlet 44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and an evaporator 41 and a heater core 42 And an air conditioning case 40 provided with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도 2는 일반적인 송풍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장치(10)는 내,외기가 각각 유입될 수 있도록 내기유입구(21)와 외기유입구(22)가 형성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내외기전환도어(23)가 내부에 설치된 인테이크 덕트(20)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20)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강제송풍하도록 송풍팬(35)이 설치된 스크롤케이스(30)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20)와 스크롤케이스(30) 사이의 일측면에 형성된 필터삽입부(26)를 통해 송풍장치(10)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어 공기중의 불순물을 여과하는 에어필터(25)와, 상기 송풍팬(35)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스크롤케이스(30)의 하부에 설치되는 모터(36)로 구성되어 있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eneral air blowing apparatus. As shown in the figure, the blowing unit 10 is formed with an air inlet 21 and an outside air inlet 22 so that the inside and outside air can be respectively introduced, An intake duct 20 in which an internal and external switching door 23 is installed so a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inlet ports 21 and 22 and an intake duct 20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take duct 20, A scroll case 30 provided with a blowing fan 35 for forcedly blowing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scroll casing 30 and a filter insertion part 26 formed on one side between the intake duct 20 and the scroll case 30, An air filter 25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croll case 30 to filter impurities in the air and a motor 36 installed below the scroll case 30 to drive the blowing fan 35 .

또한, 상기 필터삽입부(26)에는 필터커버(31)가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면서 필터삽입부(26)를 밀폐하여 공기의 리크를 방지함은 물론 상기 에어필터(25)의 교환을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insert 31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lter inserting portion 26 to seal the filter inserting portion 26 so as to prevent leakage of air, and to facilitate the replacement of the air filter 25 have.

한편, 상기 내외기전환도어(23)는 별도의 케이블(미도시) 및 액츄에이터(미도시) 등에 의해 구동된다.Meanwhile, the inside / outside switching door 23 is driven by a separate cable (not shown) and an actuator (not shown).

따라서, 내기유입모드시에는 상기 내외기전환도어(23)가 내기유입구(21)를 개방하고 외기유입구(22)는 밀폐하게 되며, 이때 상기 송풍팬(35)의 작동으로 상기 내기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내기는 인렛링(33)을 통과하여 스크롤케이스(30)로 이동한 후 상기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강제 송풍된다.Therefore, in the inflow inflow mode, the inside / outside switching door 23 opens the inflow inlet 21 and the outside inflow inlet 22 is closed. At this time, the inflow inlet 21 is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35, Passes through the inlet ring 33, moves to the scroll case 30, and is forcedly blown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또한, 외기유입모드시에는 반대로 상기 내외기전환도어(23)가 내기유입구(21)를 밀폐하고 외기유입구(22)는 개방하게 되며, 이때 상기 송풍팬(35)의 작동으로 상기 외기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상기 인렛링(33)을 통과하여 스크롤케이스(30)로 이동한 후 상기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강제 송풍된다.When the outside air inlet mode is set, the inside / outside switching door 23 closes the inside air inlet 21 and the outside air inlet 22 is opened. At this time, the outside air inlet 22 Passes through the inlet ring 33, moves to the scroll case 30, and is forcedly blown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한편, 상기 에어필터(25)가 오염되었을 때에는 교환을 해주어야 공조 성능 및 실내 쾌적성 유지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에어필터(25)를 교환하는 방법은, 먼저 상기 필터커버(31)를 상기 인테이크덕트의 필터삽입부(26)로부터 분리하고, 에어필터(25)를 교체한 후 다시 상기 필터커버(31)를 인테이크덕트의 필터삽입부(26)에 재조립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filter 25 is contaminated, it is necessary to exchange the air filter 25 to maintain air conditioning performance and room comfort. The air filter 25 is exchanged by separating the filter cover 31 from the filter insertion portion 26 of the intake duct and replacing the air filter 25 with the filter cover 31 Is reassembled into the filter insertion portion 26 of the intake duct.

여기서, 상기 필터커버(31)를 상기 인테이크덕트(20)의 필터삽입부(26)에 조립하기 위한 구조는, 상기 필터커버(31)의 양단부 상,하측에 각각 후크(32)를 형성하여 상기 필터삽입부(26)의 외측 테두리에 탄력적으로 조립하게 된다.The structure for assembling the filter cover 31 to the filter inserting portion 26 of the intake duct 20 includes hooks 32 formed on both ends of the filter cover 31 on both sides, And is elastically assembled to the outer edge of the filter inserting portion 26.

또한, 상기 필터커버(31)와 필터삽입부(26)간에 실링을 위해 상기 필터삽입부(26)의 둘레에는 텅부(27)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필터커버(31)의 내측면에는 상기 텅부(27)가 삽입되는 그루브(34)가 형성된다.A tongue portion 27 is protruded around the filter insertion portion 26 for sealing between the filter cover 31 and the filter insertion portion 26.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cover 31, The grooves 34 into which the grooves 27 are inserted are formed.

따라서, 상기 텅부(27) 및 그루브(34) 구조로 인해 상기 필터커버(31)와 필터삽입부(26)간에 실링을 수행함은 물론 상기 필터커버(31)를 지탱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Therefore, the tongue portion 27 and the groove 34 function to seal the filter cover 31 and the filter insertion portion 26, and also to support the filter cover 31.

그러나, 상기 인테이크덕트(20)의 구조 변경으로 인해 사출성형시 금형을 빼내는 방향이 변경될 경우 상기 텅부(27) 및 그루브(34)를 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상기 텅부(27) 및 그루브(34)를 구성하지 못할 경우 상기 필터커버(31)를 지탱하는 구조가 없어 차량 진동이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필터커버(31)가 처지거나 필터커버(31) 자체가 회전하면서 이탈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tongue portion 27 and the grooves 34 may not be formed when the direction of withdrawing the mold during injection molding is changed due to a change in the structure of the intake duct 20, and the tongue portion 27 and the groov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lter cover 31 is sagged or the filter cover 31 itself is detached while being rotated when vibration or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lter cover 31 because the structure does not support the filter cover 31.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커버의 상,하단부를 인테이크덕트측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인테이크덕트의 측면에는 상기 필터커버의 하단부를 안착지지하는 이탈방지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필터커버의 탈부착이 쉬어 작업성이 용이하며, 텅부 및 그루브가 없는 구조에서 상기 필터커버가 처지면서 이탈하거나 또는 차량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 상기 필터커버가 회전하면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lter cover for a motorcycle, the motorcycle comprising: a filter cover hav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opposite to the first end, By forming the ribs,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achment of the filter cover due to detachment and attachment of the filter cover, easy detachment of the filter cover, detachment of the filter cover due to sagging or vibration of the filter cover or detachment of the filter cover due to external force And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측으로 내,외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내기유입구 및 외기유입구가 형성된 인테이크덕트와, 상기 인테이크덕트의 일측면에 관통 형성된 필터삽입부와, 상기 필터삽입부를 통해 인테이크덕트의 내부에 삽입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필터링하는 에어필터와, 상기 필터삽입부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어 필터삽입부를 밀폐하는 필터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커버와 상기 인테이크덕트의 마주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커버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상기 인테이크덕트측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 필터커버의 이탈 및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인테이크덕트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커버의 단부를 지지하는 이탈방지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n intake duct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inlet for supplying air inside and outside air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a filter insertion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intake duct; An air filter inserted inside the intake duct to filter impurities contained in the air and a filter cover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lter insertion portion to seal the filter insertion portion, 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filter cover to the intake duct side, the filter cover being formed on a side of the intake duct so as to prevent the filter cover from separating and rotating, And a release preventing rib for supporting an end portion of the cover It characterized.

본 발명은, 필터커버의 상,하단부를 인테이크덕트측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인테이크덕트의 측면에는 상기 필터커버의 하단부를 안착지지하는 이탈방지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필터커버의 탈부착이 쉬어 작업성이 용이하며, 텅부 및 그루브가 없는 구조에서 상기 필터커버가 처지면서 이탈하거나 또는 차량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 상기 필터커버가 회전하면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lter cover to the intake duct side is formed, and a separation preventing rib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ilter cover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intake duc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lter cover from being detached and slackened in the tongue portion and the groove-free structure, or the filter cov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filter cover due to vibration or external forc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장치의 일예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인테이크덕트에서 필터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필터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인테이크덕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ener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general air blowing devic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ter cover is detached from an intake duct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cover in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intake duct in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공조케이스(110)와, 스크롤케이스(120)와, 인테이크 덕트(150)와,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 공기통로상에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he scroll case 120, the intake duct 150, and the evaporator (not shown) provided on the inner air passag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101 and a heater core 102.

여기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와 스크롤케이스(120)는 일체로 형성된다.Here,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the scroll case 120 are integrally formed.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일측에는 입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복수개의 출구가 형성되는데, 이때, 공조케이스(110)의 입구(111)는 상기 스크롤케이스(120)의 토출부(122)와 연결되고, 출구는 차량의 앞유리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112a)와,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페이스 벤트(112b)와,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플로어 벤트(112c,112d)로 분기되어 구성된다.An inlet 111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and a plurality of outlets are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At this time, And the outlet is connected to the front glass of the vehicle by a defrost vent 112a for discharging air to the windshield side of the vehicle, a face vent 112b for discharging air toward the face of the occupant, And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상기 플로어 벤트(112c,112d)는 앞좌석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앞좌석용 플로어 벤트(112c)와, 뒷좌석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뒷좌석용 플로어 벤트(112d)로 분기되어 있다.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are branched into a front seat floor vent 112c for discharging air toward the foot of the occupant of the front seat and a floor vent 112d for the rear seat for discharging air toward the foot of the rear seat occupant.

아울러, 상기 각 벤트(112a,112b,112c,112d)는 모드도어(113)에 의해 개도가 조절된다.The opening of each of the vents 112a, 112b, 112c, and 112d is controlled by the mode door 113. [

또한, 상기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입구(111)와 출구 사이의 공기통로상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The evaporator 101 and the heater core 10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air passage between the inlet 111 and the outlet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아울러,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는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과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온풍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14)가 설치된다.A temperature control door 114 is provided between the evaporator 101 and the heater core 102 to regulate the mixing amount of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102 and 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102, Respectively.

한편, 상기 온도조절도어(114)와 모드도어(113)는 공조케이스(11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엑츄에이터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엑츄에이터(또는 와이어)에 의해 작동하는 캠이나 레버 등과 같은 구동수단을 통해 구동된다.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14 and the mode door 113 are connected to an actuato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or by a driving means such as a cam or a lever operated by an actuator Lt; / RTI >

그리고, 상기 스크롤케이스(120)는 스크롤부(121)와 토출부(122)로 구성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입구(111)측에 연결된다.The scroll case 120 is composed of a scroll part 121 and a discharge part 122 and is connected to the inlet 111 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상기 스크롤케이스(120)의 스크롤부(121) 내부에는 원심팬(145)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때, 상기 스크롤부(121)내의 원심팬(145) 둘레에는 상기 원심팬(145)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송풍되는 공기가 소용돌이치며 토출부(122)로 유동하도록 스크롤(Scroll) 형태의 공기유로가 점차 확관되게 형성된다.A centrifugal fan 145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scroll part 120 of the scroll case 120. Around the centrifugal fan 145 in the scroll part 121, The air flow path of the scroll type is formed so as to gradually expand so that the air blown toward the discharge part 122 swirls to the discharge part 122.

또한, 상기 스크롤케이스(120)의 토출부(122)는 상기 스크롤부(121)로부터 점차 확관되게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스크롤부(121)내의 공기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공조케이스(110)의 입구(111)측으로 토출하게 된다.The discharge part 122 of the scroll case 120 is extended from the scroll part 121 and extends along the air flow path in the scroll part 121 so that the air flows into the air flow case 110 To the inlet 111 side.

이때, 상기 토출부(122)는 상기 스크롤부(121)의 스크롤 형상이 끝나는 지점에서 접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점차 확관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입구(111)측과 연결된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part 122 extends in a tangential direction at a point where the scroll shape of the scroll part 121 ends, and is gradually expanded and connected to the inlet 111 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한편, 상기 원심팬(145)의 축방향으로 스크롤케이스(120)의 일측면에는 인테이크 덕트(150)가 결합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원심팬(145)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모터를 내장하는 모터하우징(140)이 결합된다.The intake duct 150 is coupl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scroll case 120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entrifugal fan 145 and the motor housing is provided with a motor for rotating the centrifugal fan 145 on the other side. (140).

또한, 상기 스크롤케이스(120)의 일측면에는 상기 인테이크 덕트(150)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원심팬(145)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인렛링(131)이 형성된다.An inlet ring 131 for guiding the air flowing from the intake duct 150 to the inside of the centrifugal fan 145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scroll case 120.

그리고, 상기 인테이크 덕트(150)는, 상측에 내,외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내기유입구(1) 및 외기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내,외기유입구(151,152)를 개폐하는 내외기전환도어(15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The intake duct 150 is formed with an inflow inlet 1 and an inflow inlet so that the inside and outside air can flow into the intake duct 150. The inside and outside air inlet doors 151 and 152 are opened and closed 153 are rotatably installed.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53)는 상기 인테이크 덕트(150)의 내부에서 상기 내기유입구(151)와 외기유입구(152)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외기유입구(151,152)를 개폐하게 된다.The inside / outside switching door 153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intake duct 150 between the inside air inlet 151 and the outside air inlet 152 to open / close the inside / outside air inlet 151 and 152.

그리고, 상기 인테이크덕트(150)의 일측면에는 필터삽입부(155)가 관통형성되는데, 상기 필터삽입부(155)는 상기 내기유입구(152)의 하측에 형성된다.A filter inserting portion 15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take duct 150. The filter inserting portion 155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side air inlet 152.

또한, 상기 인테이크덕트(150)의 내부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필터링하는 에어필터(156)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에어필터(156)는 상기 필터삽입부(155)를 통해 인테이크덕트(150)의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An air filter 156 for filtering impurities contained in the air is inserted into the intake duct 150. The air filter 156 is inserted into the intake duct 150 through the filter inserting unit 155, As shown in FIG.

상기 필터삽입부(155)를 통해 에어필터(156)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필터삽입부(155)를 밀폐하게 되는데, 즉, 상기 인테이크덕트(150)의 필터삽입부(155)측에 필터커버(165)를 탈착 가능하게 조립하여 상기 필터삽입부(155)를 밀폐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air filter 156 is inserted through the filter inserting unit 155, the filter inserting unit 155 is closed. That is, the filter inserting unit 155 of the intake duct 150 has a filter cover (165) is detachably assembled to seal the filter insertion part (155).

본발명에서는 상기 인테이크덕트(150)의 구조로인해 사출성형시 금형의 빼기방향 특성상 상기 필터커버(165)와 인테이크덕트(150)의 결합면에 텅(Tongue)부 및 그루브(Groove)를 형성할 수 없으므로, 후술하는 고정수단(160)과 이탈방지리브(170)를 구성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structure of the intake duct 150, a tongue portion and a groove are formed on the coupling surface of the filter cover 165 and the intake duct 150 due to the direction of the mold drawing direction during injection molding The fixing means 160 and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17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고정수단(160)은, 상기 필터커버(165)와 상기 인테이크덕트(150)의 마주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커버(165)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상기 인테이크덕트(150)측에 고정시키게 된다.The fixing means 160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lter cover 165 and the intake duct 150 to fix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filter cover 165 to the intake duct 150 side .

상기 고정수단(160)은, 상기 필터커버(165)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리브(163)와 하단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후크리브(164)를 구비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인테이크덕트(150)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리브(163)와 결합되는 리브고정부(161) 및 상기 후크리브(164)와 결합되는 걸림돌기(162)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The fixing means 160 includes a plurality of fixed ribs 163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lter cover 165 and a plurality of hook ribs 164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lter cover 165, A rib fixing portion 161 coupled to the fixing rib 163 and a locking protrusion 162 coupled to the hook rib 164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rib 163.

상기 복수개의 고정리브(163)는, 상기 필터커버(165)의 상단부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fixed ribs 163 are vertically protruded from the upper end of the filter cover 165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상기 복수개의 고정리브(163)에 대응하는 상기 리브고정부(161)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리브(163)와 마주하는 상기 인테이크덕트(150)의 측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리브(163)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고정홈(161a)이 형성된다.The rib fixing portion 161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xing ribs 163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intake duct 150 facing the plurality of fixing ribs 163 and the fixing rib 163 The fixing groove 161a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상기 필터커버(165)의 조립시 상기 필터커버(165)의 고정리브(163)를 상기 인테이크덕트(150)측 리브고정부(161)의 고정홈(161a)에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ilter cover 165 is assembled, the fixing rib 163 of the filter cover 165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61a of the rib fixing part 161 on the side of the intake duct 150 and fixed.

그리고, 복수개의 후크리브(164)는, 상기 필터커버(165)의 하단부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돌기(162)에 걸리도록 걸림홈(164c)이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hook ribs 16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lower end of the filter cover 165 and are formed with hooking grooves 164c so as to be caught by the hooking protrusions 162.

상기 후크리브(164)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커버(165)의 하단부에서 인테이크덕트(150)를 향해 직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홈(164c)이 형성된 후크부(164a)와, 상기 후크부(164a)의 끝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부(164b)로 이루어진다.The hook rib 164 is formed at a right angle from the lower end of the filter cover 165 toward the intake duct 150 and has a hook 164a formed with the latch groove 164c, And a knob portion 164b extending outward from the end of the portion 164a.

여기서, 상기 후크부(164a)와 손잡이부(164b)는 상기 필터커버(165)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된다.Here, the hook portion 164a and the handle portion 164b are formed at right angles to the filter cover 165.

상기한 후크리브(164)는 일정한 탄성을 가지므로 상기 필터커버(165)의 조립시 상기 후크리브(164)를 상기 인테이크덕트(150)측의 걸림돌기(162)에 결합할려고 할 때 상기 후크리브(164)가 탄력적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후크리브(164)의 걸림홈(164c)이 상기 걸림돌기(162)에 걸려 고정되게 된다.The hook rib 164 has a predetermined elasticity so that when assembling the filter cover 165, when the hook rib 164 is to be coupled to the engagement projection 162 of the intake duct 150, The hooking groove 164c of the hook rib 164 is caught and fixed to the hooking protrusion 162 while the hook 164 is elastically moved.

아울러, 상기 필터커버(165)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후크리브(164)의 손잡이부(164b)를 밀어올리게 되면 상기 후크리브(164)가 탄력적으로 움직이면서 후크리브(164)의 걸림홈(164c)이 상기 걸림돌기(162)로부터 빠져나오게 되어 필터커버(165)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separate the filter cover 165, when the handle portion 164b of the hook rib 164 is pushed up, the hook rib 164 is elastically moved and the hook groove 164c Can be removed from the locking protrusion 162 and the filter cover 165 can be removed.

또한, 본발명에서는 텅부 및 그루브를 형성할 수 없으므로, 상기 필터커버(165)의 내측면 둘레에는 실링부재(166)가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커버(165)와 필터삽입부(155) 사이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ongues and grooves can not be formed, a sealing member 166 is attached arou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cover 165. Accordingly, leakage of air between the filter cover 165 and the filter insert 155 is prevented.

한편, 상기 걸림돌기(162)는, 상기 복수개의 후크리브(164)와 마주하는 상기 인테이크덕트(15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후크리브(164)의 걸림홈(164c)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The hooking protrusion 162 protrudes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intake duct 150 facing the plurality of hooking ribs 164 and is inserted into the hooking groove 164c of the hooking rib 164 to be hooked .

이때, 상기 걸림돌기(162)는 상기 인테이크덕트(150)의 필터삽입부(155)의 하측에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engaging protrusion 162 protrudes downward below the filter inserting portion 155 of the intake duct 150.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리브(170)는, 상기 필터커버(165)의 이탈 및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인테이크덕트(150)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커버(165)의 단부를 지지하게 된다.The anti-departure rib 170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intake duct 150 to prevent the filter cover 165 from separating from the rotation of the filter cover 165, thereby supporting the end of the filter cover 165.

상기 이탈방지리브(170)는, 상기 필터커버(165)의 하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인테이크덕트(15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필터커버(165)의 하단부를 안착 지지하게 된다.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170 protrudes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intake duct 150 facing the lower end of the filter cover 165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filter cover 165.

즉, 상기 필터커버(165)를 인테이크덕트(150)측에 조립하게 되면, 상기 필터커버(165)의 하단부가 상기 이탈방지리브(170)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지지되게 된다.That is, when the filter cover 165 is assembled to the intake duct 150, the lower end of the filter cover 165 is seated and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170.

따라서, 상기 필터커버(165)를 인테이크덕트(150)측에 조립시, 상기 고정수단(160)을 통해 상기 필터커버(165)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인테이크덕트(150)측에 고정 결합하게 되고, 상기 고정 결합된 필터커버(165)의 하단부는 상기 이탈방지리브(170)를 통해 지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필터커버(165)가 처지면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차량의 진동 및 기타 외력에 의해 상기 필터커버(165)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filter cover 165 is assembled to the intake duct 150 side,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filter cover 165 are fixedly coupled to the intake duct 150 side through the fixing means 160, The lower end of the fixedly coupled filter cover 165 is supported by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170 to prevent the filter cover 165 from falling off while being sagged, The filter cover 165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while being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리브(170)는, 상기 필터커버(165)의 하단부 중앙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이때 상기 이탈방지리브(170)의 길이(L1)는, 상기 필터커버(165) 길이(L2)의 1/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17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filter cover 165. The length L1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17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lter cover 165 (L2).

만일, 상기 이탈방지리브(170)의 길이(L1)를 상기 필터커버(165) 길이(L2)의 1/3 미만으로 하게 되면 상기 필터커버(165)를 지탱하는 면적이 작아져 차량의 진동이 심하거나 큰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필터커버(165)가 회전할 수도 있다.If the length L1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170 is less than 1/3 of the length L2 of the filter cover 165, the area for supporting the filter cover 165 is reduced, The filter cover 165 may be rotated when a large or large external force is applied.

따라서, 상기 이탈방지리브(170)의 길이(L1)를 필터커버(165) 길이(L2)의 1/3 이상으로 최대한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L1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s 170 is maximally longer than 1/3 of the length L2 of the filter cover 165.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리브(170)는 상기 필터커버(165)의 하단부에 형성된 2개의 후크리브(164) 사이에 배치되므로, 상기 2개의 후크리브(164) 사이에서 최대한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s 170 are disposed between the two hook ribs 164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lter cover 165, so that they are formed as long as possible between the two hook ribs 164 desirabl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공조장치의 내기유입모드와 외기유입모드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는 상기 필터커버(165)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First, since the air inflow mode and the outside air inflow mode of the air conditioner have been described in the prior art,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filter cover 165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필터커버(165)의 조립시에는, 먼저, 상기 필터커버(165)의 상단부에 형성된 고정리브(163)를 상기 인테이크덕트(150)측의 리브고정부(161)의 고정홈(161a)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필터커버(165)의 하단부에 형성된 후크리브(164)를 상기 인테이크덕트(150)측의 걸림돌기(162)측으로 밀어서 고정하게 된다.When the filter cover 165 is assembled, the fixing ribs 163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lter cover 165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s 161a of the rib fixing portions 161 on the side of the intake duct 150 The hook rib 164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lter cover 165 is pushed and fixed to the engaging projection 162 side of the intake duct 150.

상기 후크리브(164)를 상기 걸림돌기(162)측으로 밀어 넣게 되면, 상기 후크리브(164)가 탄성변형하면서 후크리브(164)의 걸림홈(164c)이 상기 걸림돌기(162)에 "딸각"하고 걸려 고정되게 된다.When the hook rib 164 is pushed toward the hooking protrusion 162, the hooking rib 164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hooking groove 164c of the hooking rib 164 is engaged with the hooking protrusion 162, And then fixed.

이때, 상기 필터커버(165)의 하단부는 상기 인테이크덕트(150)측에 형성된 이탈방지리브(170)에 안착되어 지탱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filter cover 165 is seated and supported on the release preventing rib 170 formed on the intake duct 150 side.

이처럼, 상기 필터커버(165)를 조립한 후에는 상기 필터커버(165)의 하단부가 상기 이탈방지리브(170)에 지탱되게 되므로, 상기 필터커버(165)가 하측방향으로 처지거나 또는 차량 진동 및 외력등에 의해 상기 필터커버(165)가 회전하면서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After the filter cover 165 is assembled, the lower end of the filter cover 165 is supported by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170, so that the filter cover 165 is sagged in the downward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filter cover 165 is detached and rotated due to external force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필터커버(165)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후크리브(164)의 손잡이부(164b)를 밀어올리게 되면 상기 후크리브(164)가 탄성변형하면서 후크리브(164)의 걸림홈(164c)이 상기 걸림돌기(162)로부터 빠져나오게 되어 필터커버(165)를 분리할 수 있다.When the user pushes up the grip portion 164b of the hook rib 164 to release the filter cover 165, the hook rib 164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hook groove 164c Can be removed from the locking projection 162 and the filter cover 165 can be removed.

이처럼, 본발명은 상기 필터커버(165)의 탈부착도 쉽고, 상기 필터커버(165)가 상기 이탈방지리브(17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탱되므로 이탈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cover 165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and the filter cover 165 is stably supported by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170, so that the filter cover 165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수단(160) 및 이탈방지리브(170) 구성을 센터마운팅타입 공조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세미센터 타입의 공조장치, 쓰리피스 타입, 좌우독립 공조장치 등 공조장치의 타입 관계없이 모두 적용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unit 160 and the escape prevention ribs 170 is applied to the center mounting type air condition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Piece type, independent left and right air conditioner, etc., regardless of the type of air conditioner.

100: 공조장치 101: 증발기
102: 히터코어 110: 공조케이스
111: 입구 112a: 디프로스트벤트
112b: 페이스벤트 112c,112d: 플로어벤트
113: 모드도어 114: 온도조절도어
120: 스크롤케이스 121: 스크롤부
122: 토출부 140: 모터하우징
150: 인테이크덕트 151: 내기유입구
152: 외기유입구 153: 내외기전환도어
155: 필터삽입부 156: 에어필터
160: 고정수단 161: 리브고정부
162: 걸림돌기 163: 고정리브
164: 후크리브 165: 필터커버
166: 실링부재 170: 이탈방지리브
100: air conditioner 101: evaporator
102: heater core 110: air conditioning case
111: inlet 112a: defrost vent
112b: face vents 112c, 112d: floor vents
113: Mode door 114: Temperature control door
120: scroll case 121: scroll part
122: discharging portion 140: motor housing
150: Intake duct 151: Inflow inlet
152: outside air inlet 153: inside / outside switching door
155: filter insertion portion 156: air filter
160: fixing means 161: rib fixing portion
162: locking protrusion 163: fixed rib
164: Hook rib 165: Filter cover
166: sealing member 170:

Claims (5)

공조케이스(110)측으로 내,외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내기유입구(151) 및 외기유입구(152)가 형성된 인테이크덕트(150)와, 상기 인테이크덕트(150)의 일측면에 관통 형성된 필터삽입부(155)와, 상기 필터삽입부(155)를 통해 인테이크덕트(15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필터링하는 에어필터(156)와, 상기 필터삽입부(155)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어 필터삽입부(155)를 밀폐하는 필터커버(1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커버(165)와 상기 인테이크덕트(150)의 마주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커버(165)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상기 인테이크덕트(150)측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60)과,
상기 필터커버(165)의 이탈 및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인테이크덕트(150)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커버(165)의 단부를 지지하는 이탈방지리브(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n intake duct 150 having an inflow inlet 151 and an outside air inlet 152 for supplying the inside air and the outside air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side and a filter inserting portion 155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intake duct 150 An air filter 156 inserted into the intake duct 150 through the filter inserting unit 155 to filter impurities contained in the air, and an air filter 156, which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filter inserting unit 155 And a filter cover (165) for sealing the filter inserting portion (155), th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fixing means 160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lter cover 165 and the intake duct 150 to fix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filter cover 165 to the intake duct 150 side,
And an anti-departure rib (170)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intake duct (150) to prevent the filter cover (165) from coming off and rotating and supporting an end of the filter cover (165) Air conditioning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리브(170)는, 상기 필터커버(165)의 하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인테이크덕트(15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필터커버(165)의 하단부를 안착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s 170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intake duct 150 facing the lower end of the filter cover 165 to support and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filter cover 165. [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리브(170)는, 상기 필터커버(165)의 하단부 중앙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17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filter cover (16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리브(170)의 길이(L1)는, 상기 필터커버(165) 길이(L2)의 1/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ength L1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170 is 1/3 or more of the length L2 of the filter cover 165.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60)은,
상기 필터커버(165)의 상단부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리브(163)와,
상기 복수개의 고정리브(163)와 마주하는 상기 인테이크덕트(150)의 측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리브(163)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고정홈(161a)이 형성된 리브고정부(161)와,
상기 필터커버(165)의 하단부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됨과 아울러 걸림홈(164c)이 형성된 복수개의 후크리브(164)와,
상기 복수개의 후크리브(164)와 마주하는 상기 인테이크덕트(15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후크리브(164)의 걸림홈(164c)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돌기(16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means (160)
A plurality of fixed ribs 163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filter cover 165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rib fixing portion 163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intake duct 150 facing the plurality of fixing ribs 163 and having a fixing groove 161a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ixing rib 163 is inserted and fixed in a vertical direction, (161)
A plurality of hook ribs 164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lower end of the filter cover 165 and having an engaging groove 164c,
And a locking protrusion 162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intake duct 150 facing the plurality of hook ribs 164 and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64c of the hook rib 164,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0130154364A 2013-12-12 2013-12-12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0240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364A KR102024096B1 (en) 2013-12-12 2013-12-12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364A KR102024096B1 (en) 2013-12-12 2013-12-12 Air condition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584A true KR20150068584A (en) 2015-06-22
KR102024096B1 KR102024096B1 (en) 2019-09-23

Family

ID=53515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364A KR102024096B1 (en) 2013-12-12 2013-12-12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09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810A (en) * 2018-08-21 2020-03-0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CN113811456A (en) * 2019-05-10 2021-12-1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Vehicle air conditio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627B1 (en) * 2020-01-22 2022-02-09 주식회사 원진일렉트로닉스 Wireless defogging sens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8372A (en) * 2002-11-20 2004-06-17 Denso Corp Structure for mounting lid body
KR20040102585A (en) * 2003-05-28 2004-12-08 한라공조주식회사 Filter Cover Assembly of Air Conditioning Unit for Automobile
JP2008120219A (en) * 2006-11-10 2008-05-29 Denso Corp Blower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8372A (en) * 2002-11-20 2004-06-17 Denso Corp Structure for mounting lid body
KR20040102585A (en) * 2003-05-28 2004-12-08 한라공조주식회사 Filter Cover Assembly of Air Conditioning Unit for Automobile
JP2008120219A (en) * 2006-11-10 2008-05-29 Denso Corp Blower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810A (en) * 2018-08-21 2020-03-0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CN113811456A (en) * 2019-05-10 2021-12-1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Vehicle air conditioner
CN113811456B (en) * 2019-05-10 2024-03-1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Vehicle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096B1 (en) 201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8584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748207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20090066420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2007055370A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JP2008296712A (en) Vehicle air conditioner
KR101463496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50597B1 (en) Dual zone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544872B1 (en) Blower for vehicles
KR101748204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754080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CN107405980A (en) Vehicular air-conditioning apparatus
KR101481694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4572817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714455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104228518A (en) Automobile air conditioner
KR101507558B1 (en) Air conditioner for automotive vehicles
KR20150073665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7262252B2 (en) air conditioning unit for vehicle
CN111629917B (en) Air supply device for vehicle air conditioner
KR101292356B1 (en) Blower unit for air-conditioning of vehicle
KR101375116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6607108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20160087000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0513460B1 (en) air intake duct for air conditioner and heater
JP5411551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