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414A - 댐퍼 - Google Patents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414A
KR20150068414A KR1020157011036A KR20157011036A KR20150068414A KR 20150068414 A KR20150068414 A KR 20150068414A KR 1020157011036 A KR1020157011036 A KR 1020157011036A KR 20157011036 A KR20157011036 A KR 20157011036A KR 20150068414 A KR20150068414 A KR 20150068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bumper
edge
holes
spa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1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디크 알-다한
알버트 랑겐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50068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rubber spring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16F1/377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having holes or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3/00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 F16F3/08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rubber
    • F16F3/087Units comprising several springs made of plastics or the like material
    • F16F3/093Units comprising several springs made of plastics or the like material the springs being of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types of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4Plastic spring, e.g. rubber
    • B60G2202/143Plastic spring, e.g. rubber subjected to co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5Stops limiting travel
    • B60G2204/4502Stops limiting travel using resilient buffer
    • B60G2204/45021Stops limiting travel using resilient buffer for limiting upper mount movement of a McPherson str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2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solids
    • F16F2224/025Elasto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6/00Mode of stressing of basic spring or damper elements or devices incorporating such elements
    • F16F2236/04Com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댐퍼는 제1 부품과 제2 부품 사이에서 발생되는 에너지를 흡수한다. 제2 부품은 제1 부품으로부터 이격되고 요동 축을 따라 제1 부품을 향해 이동가능하다. 댐퍼는 고리형 형상을 갖는 본체를 포함한다. 본체는 제1 부품과 맞물리기 위한 제1 모서리 및 제2 부품과 맞물리기 위한 제2 모서리를 또한 포함한다. 제2 모서리는 제1 모서리로부터 이격된다. 본체는 본체 주위에서 이격된 복수개의 구멍을 한정한다. 복수개의 구멍은 제1 및 제2 부품 중 하나가 요동 축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댐퍼가 축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댐퍼 {DAMPER}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2년 10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1/708,738호 그리고 2013년 3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1/792,595호에 대한 우선권 및 모든 이점을 향유하고, 이들의 개시 내용은 참조로 구체적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하기 위한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은 차량의 타이어로부터 프레임으로의 충격력의 전달을 제한한다. 예컨대, 차량이 돌출부 위로 주행될 때에, 서스펜션 시스템의 부품이 요동 및 삽통되어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를 흡수한다. 그러나, 서스펜션 시스템이 에너지를 완전히 소산시킬 수 없을 때에, 서스펜션 시스템의 부품이 서로 충돌하여 프레임으로 힘이 전달될 수 있는데,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부품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타이어로부터 프레임으로의 잔존 충격력의 전달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발명의 내용 및 이점>
본 발명에 따른 댐퍼는 제1 부품과 제2 부품 사이에서 발생되는 에너지를 흡수한다. 제2 부품은 제1 부품으로부터 이격되고 요동 축(jounce axis)을 따라 제1 부품을 향해 이동가능하다. 댐퍼는 고리형 형상을 갖는 본체를 포함한다. 본체는 제1 부품과 맞물리기 위한 제1 모서리 및 제2 부품과 맞물리기 위한 제2 모서리를 또한 포함한다. 제2 모서리는 제1 모서리로부터 이격된다. 본체는 본체 주위에서 이격된 복수개의 구멍을 한정한다. 복수개의 구멍은 제1 및 제2 부품 중 하나가 요동 축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댐퍼가 축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된다.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은 요동 이동(jounce travel)을 제한하고, 제2 부품이 제1 부품과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러한 충돌은 부품들을 손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이들 이점이 첨부 도면과 연계하여 고려될 때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더 양호하게 이해되므로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제1 부품과 제2 부품 사이에 배치된 댐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및 제2 부품 사이에서 압축된 댐퍼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복수개의 구멍을 한정하는 본체를 갖는 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마름모꼴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구멍을 보유한 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구멍을 보유한 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요동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개의 구멍을 보유한 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S자형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구멍을 보유한 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육각형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구멍을 보유한 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7c는 Z자형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구멍을 보유한 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스트라이커(striker)를 갖는 제2 부품을 보유한 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부착 컵과 계단부를 갖는 로드 사이의 댐퍼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로드의 계단부와 부착 컵 사이에서 압축되는 댐퍼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dual-rate jounce bumper assembly)를 형성하도록 자운스 범퍼에 결합된 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자운스 범퍼에 결합된 댐퍼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13은 차량의 프레임에 결합된 버팀대 조립체와 버팀대 조립체에 결합된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의 범퍼와 접촉하는 버팀대 조립체의 실린더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의 범퍼를 압축하는 버팀대 조립체의 실린더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의 범퍼 및 댐퍼를 압축하는 버팀대 조립체의 실린더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범퍼 내에 내포된 댐퍼를 갖는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범퍼로부터 이격된 댐퍼를 보여주는 도 17의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댐퍼의 중심 지점을 향해 수렴되는 복수개의 구멍을 갖는 댐퍼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댐퍼의 중심 지점을 향해 수렴되는 복수개의 구멍을 갖는 댐퍼의 단면도이다.
동일한 도면 부호가 여러 개의 도면에 걸쳐 동일 또는 대응부를 표시하는 도면을 참조하면, 댐퍼는 일반적으로 (20)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댐퍼(20)는 서로를 향해 이동되는 2개의 부품 사이에서 사용되어 이들 부품이 서로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르게 말하면, 댐퍼(20)는 제1 부품(22)과, 요동 축(JA)을 따라 제1 부품(22)을 향해 이동가능한 제2 부품(24) 사이의 중간 완충부이다. 이와 같이, 댐퍼(20)는 제1 및 제2 부품(22, 24)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제1 및 제2 부품(22, 24) 사이에서 압축된다.
전형적으로, 제1 및 제2 부품(22, 24)은 트럭 또는 승용차 등의 차량의 일부이다. 차량이 돌출부 위로 주행되거나 연석(curb) 등의 장애물에 부딪힘에 따라, 제2 부품(24)은 차량의 타이어에 가해지는 충격력의 결과로서 제1 부품(22)을 향해 요동한다. 충격력이 충분히 크면, 제2 부품(24)이 제1 부품(22)과 접촉될 수 있고, 이것은 제1 및 제2 부품(22, 24) 또는 차량의 다른 부품을 손상시킬 수 있다. 댐퍼(20)는 제1 및 제2 부품(22, 24) 중 하나가 서로를 향해 요동 축(JA)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에너지를 흡수하여 제2 부품(24)이 제1 부품(22)과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및 제2 부품(22, 24) 사이에 위치된다. 제1 및 제2 부품(22, 24) 중 하나가 서로를 향해 요동 축(JA)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은, 요동 이동을 제한하고, 제1 및 제2 부품(22, 24)이 서로를 향해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러한 충돌은 제1 및 제2 부품(22, 24)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2 부품(24)은 제1 부품(22)으로부터 이격된다. 부착 컵(26)은 제1 부품(22)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부품(24)은 부착 컵(26)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부착 컵(26)은 제2 부품(24)이 요동 축(JA)을 따라 부착 컵(26)을 향해 이동가능하도록 요동 축(JA)과 정렬된다. 부착 컵(26)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제1 부품(22)에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부착 컵(26)은 제1 부품(22)에 부착 컵(26)을 결합시키는 체결구를 수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댐퍼(20)는 제1 부품(22)에 결합된다. 그러나, 부착 컵(26)이 존재할 때에, 부착 컵(26)은 댐퍼(20)를 수용하기 위한 U자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댐퍼(20)는 부착 컵(26)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20)는 완전히 부착 컵(26) 내에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대안적으로, 댐퍼(20)는 댐퍼(20)의 일부가 부착 컵(26)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부분적으로만 부착 컵(26) 내에 있을 수 있다. 부착 컵(26)은 댐퍼(20)를 보유하는 하우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부착 컵(26)은 제1 부품(22)에 댐퍼(20)를 결합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20)는 고리형 형상을 갖는 본체(28)를 포함한다. 본체(28)는, 고리형 형상을 갖는 본체(28)를 제공하도록 중공 내부를 한정할 수 있는 내부 표면(30)을 포함한다. 본체(28)는 내부 표면(30)으로부터 이격된 외부 표면(32)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댐퍼(20)는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한다. 댐퍼(20)를 위한 적절한 엘라스토머 재료의 예는 폴리우레탄, 에테르에스테르, 스티롤 및 에테르아미드 등의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댐퍼(20)를 위한 적절한 엘라스토머 재료의 추가의 예는 가교 및/또는 비가교 올레핀 등의 엘라스토머 블렌드를 포함한다.
본체(28)는 부착 컵(26)과 맞물리기 위한 제1 모서리(34)를 포함한다. 본체(28)는 제2 부품(24)과 맞물리기 위한 제2 모서리(36)를 또한 포함한다. 제2 모서리(36)은 제1 모서리(34)로부터 이격된다. 본체(28)는 본체(28) 주위에서 이격된 복수개의 구멍(38)을 한정하고, 복수개의 구멍(38)은 댐퍼(20)가 제1 및 제2 부품(22, 24) 사이에서 요동을 흡수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된다. 내부 및 외부 표면(30, 32)이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존재할 때에, 복수개의 구멍(38)이 내부 및 외부 표면(30, 32)에 의해 한정된다. 다르게 말하면, 복수개의 구멍(38)은 댐퍼(20)의 본체(28)를 통해 한정된다.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구멍(38)은 댐퍼(20)의 압축에 영향을 미친다. 예컨대, 복수개의 구멍은 댐퍼(20)의 강성에 영향을 미친다. 댐퍼(20)의 강성은 댐퍼(20)가 압축될 이동량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다르게 말하면, 댐퍼(20)의 강성은 전체의 충격력이 제1 부품(22)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댐퍼(20)에 의해 감쇠되는 충격력의 양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구멍(38)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 그리고 구멍(38)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은 댐퍼(20)의 강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예컨대, 구멍(38)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댐퍼(20)의 강성을 감소시킨다. 추가로, 구멍(38)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댐퍼(20)의 강성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댐퍼(20)의 강성은 댐퍼(20)의 본체(28) 내의 구멍(38)의 개수 및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미세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댐퍼(20)의 강성은 댐퍼(20)가 사용되는 적용 분야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댐퍼(20)는 초기 직경(ID)을 갖는다. 압축 중에, 댐퍼(20)의 반경 방향 팽창은, 복수개의 구멍(38)에 의해 본체(28)가 팽창되기보다는 그 자체로 붕괴되기 때문에 제한된다. 그러므로, 댐퍼(20)는 반경 방향 팽창이 바람직하지 않은 조밀한 공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댐퍼(20)의 반경 방향 팽창은 댐퍼(20)가 압축될 때에 반경 방향으로 팽창되지 않도록 모두 함께 방지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복수개의 구멍(38)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복수개의 구멍(3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사변형일 수 있다. 추가로, 복수개의 구멍(38)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복수개의 구멍(38)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개의 구멍(38)이 평행사변형일 때에, 복수개의 구멍(3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8)의 주변부 주위에서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개의 구멍(38)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 축(JA)과 평행한 댐퍼(20)의 높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로, 복수개의 구멍(38)이 평행사변형일 때에, 복수개의 구멍(38)은 평행사변형의 대향 코너들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 축(JA)과 정렬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추가로, 복수개의 구멍(38)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S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복수개의 구멍(38)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복수개의 구멍(38)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Z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9 및 20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구멍(38)은 댐퍼(20)의 중심 지점을 향해 수렴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말하면, 외부 표면(32)에서의 복수개의 구멍(38)의 면적은 내부 표면(30)에서의 복수개의 구멍(38)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복수개의 구멍(38)의 각각은 내부 표면(30)과 외부 표면(32) 사이에서 한정된 길이 L을 갖는다. 복수개의 구멍의 각각의 높이 H 및 폭 W는 외부 표면(32)으로부터 내부 표면(30)을 향해 이동되는 구멍(38)의 길이 L을 따라 감소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대안적으로, 높이 H만이 외부 표면(32)으로부터 내부 표면(30)을 향해 이동되는 구멍(38)의 길이 L을 따라 감소되면서, 구멍(38)의 폭 W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폭 W만이 외부 표면(32)으로부터 내부 표면(30)을 향해 이동되면서 구멍(38)의 길이 L을 따라 감소되면서, 구멍(38)의 높이 H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부품(24)은, 제2 부품(24)이 제1 부품(22)을 향해 요동 축(JA)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1 및 제2 부품(22, 24) 사이에서 요동을 흡수하기 위해 부착 컵(26)과 스트라이커(40) 사이에서 댐퍼(20)를 압축하기 위한, 제2 부품(24)과 함께 이동가능한 스트라이커(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10에 도시된 한 실시양태에서, 댐퍼(20)는 차량의 조향 시스템에 사용된다. 예컨대, 제1 부품(22)은 기어 하우징(42)일 수 있고, 제2 부품(24)은 조향 휠의 회전을 차량의 타이어의 이동으로 변환하도록 기어 하우징(42)으로부터 연장되는 로드(44)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부착 컵(26)은 기어 하우징(42)에 결합된다. 부착 컵(26)은 기어 하우징의 일체형 부품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부품(24)은 원통형 형상을 갖고, 제2 부품(24)이 제1 부품(22)을 향해 요동 축(JA)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부착 컵(26) 내의 댐퍼(20)를 압축하기 위해 부착 컵(26) 내로 연장된다. 제2 부품(24)이 제1 직경(D1)을 갖는 제1 부분(48), 및 제1 부분(48)의 제1 직경(D1)보다 작은 제2 직경(D2)을 가져서 계단부(46)를 한정하는 제2 부분(50)을 갖도록, 제2 부품(24)은 계단부(46)를 가질 수 있다. 제공될 때에, 제2 부품(24)의 제2 부분(50)은 제2 부품(24)이 제1 부품(22)을 향해 요동 축(JA)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댐퍼(20)가 부착 컵(26)과 제2 부품(24)의 계단부(46) 사이에서 압축되도록 댐퍼(20)의 중공 내부를 통해서 배치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차량이 연석 등의 장애물에 부딪힐 때에, 충격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에, 충격력은 제2 부품(24)인 로드(44)가 제1 부품(22)인 기어 하우징(42) 내로 압박되게 하는 측방력일 수 있다. 제2 부품(24)의 계단부(4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컵(26) 내의 댐퍼(20)와 접촉된다. 제2 부품(24)의 계단부(46)는 그 다음에 댐퍼(20)를 압축하고, 그에 의해 댐퍼(20)가 장애물에 부딪힌 차량으로부터 기인하는 충격력 또는 요동을 흡수하게 한다.
도 11-18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댐퍼(20)는 충격력으로부터 발생된 에너지를 관리하는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52)를 제공하도록 자운스 범퍼에 사용될 수 있다.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52)는 제1 부품(22)과 제2 부품(24) 사이에서 에너지를 흡수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제1 부품(22)은 전형적으로 차량의 프레임(54)이고, 제2 부품(24)은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의 일부인 버팀대 조립체(56)이다. 제1 부품(22)은 대안적으로 서스펜션 시스템의 완충 장착부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52)는 부착 컵(26)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60), 및 제1 단부(60)로부터 이격되고 제2 부품(24)이 제1 부품(22)을 향해 요동 축(JA)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2 부품(24)과 접촉하기 위한 제2 단부(62)를 갖는 범퍼(58)를 포함한다. 댐퍼(20)는 부착 컵(26) 내의 범퍼(58)의 제1 단부(60) 상에 배치된다. 동작시에, 범퍼(58)가 우선 압축되어 제1 및 제2 부품(22, 24) 사이에서 요동을 흡수한다. 다르게 말하면, 범퍼(58)가 우선 압축되어 충격을 견디고, 제1 및 제2 부품(22, 24)을 보호한다. 범퍼(58)가 미리 결정된 수치까지 압축될 정도로 힘이 충분히 크면, 댐퍼(20)가 그 다음에 압축되어 제1 및 제2 부품(22, 24) 사이에서 임의의 잔존 힘을 흡수하여 감쇠시킨다. 다르게 말하면, 댐퍼(20)의 강성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댐퍼(20)가 압축되기 전에 범퍼(58)가 압축되도록 범퍼(58)의 강성보다 크다. 전형적으로, 범퍼(58)는 미세다공질 우레탄을 포함하고, 댐퍼(20)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제2 부품(24)은, 범퍼(58) 및 그 다음에 댐퍼(20)를 압축하기 위해 스트라이커(40)가 범퍼(58)와 접촉하도록 요동 축(JA)과 정렬된 스트라이커(40)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3은 버팀대 조립체(56)에 결합된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52)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20) 및 범퍼(58)는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52)의 높이 H를 한정한다. 버팀대 조립체(56)는 상기 설명된 제2 부품(24)인 실린더(64), 및 요동 축(JA)을 따라 실린더(64)에 대해 변위가능한 피스톤 로드(66)를 포함한다. 차량의 프레임(54)에 서스펜션 시스템을 결합시키기 위해 피스톤 로드(66)의 단부(68)가 프레임(54)에 결합된다.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52)는 피스톤 로드(66)가 실린더(64) 내로 삽통됨에 따라 실린더(64)가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52)와 접촉되는 것을 보증하도록 요동 축(JA)과 정렬되어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52)가 충격력을 흡수하게 한다. 피스톤 로드(66)는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52)를 통해서 연장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차량이 돌출부 위로 주행될 때에, 충격력이 발생된다. 충격력이 서스펜션 시스템이 흡수할 수 있는 것보다 크면, 버팀대 조립체(56)의 실린더(64) 등의 서스펜션 시스템의 부품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58)와 접촉한다. 실린더(64)가 그 다음에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58)를 압축한다. 충격력이 클수록, 범퍼(58)의 압축이 커진다. 범퍼(58)가 미리 결정된 수치까지 압축되면, 댐퍼(20)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되어 제1 및 제2 부품(22, 24) 사이에서 잔존 요동을 흡수한다.
도 17 및 18을 참조하면, 댐퍼(20)는 범퍼(58) 내에 내포될 수 있다. 예컨대, 범퍼(58)는 댐퍼(20)를 수용하는 포켓(70)을 한정할 수 있다. 포켓(70) 내에 댐퍼(20)를 위치시키는 것은,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52)가 부착 컵(26) 내에 끼워지고 범퍼(58)의 기하형상과 맞도록 보다 작은 영역을 점유하게 한다. 전형적으로, 범퍼(58)의 제1 단부(60)가 포켓(70)을 한정한다. 그러나, 범퍼(58)의 임의의 부분이 포켓(70)을 한정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포켓(70)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범퍼(58) 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포켓(70)은 범퍼(58)를 성형할 때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포켓(70)은 범퍼(58)가 형성된 후에 범퍼(58)를 위한 재료의 제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댐퍼(20)는 댐퍼(20)가 범퍼(58)로부터 연장되지 않도록 범퍼(58) 내에 완전히 내포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대안적으로, 댐퍼(20)는 댐퍼(20)가 범퍼(58)로부터 연장되지 않도록 포켓(70) 내에 완전히 배치될 수 있다. 포켓(70)은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52)가 보일 때에 댐퍼가 가시적이지 않도록 댐퍼(20)를 완전히 포위할 수 있는 것으로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범퍼(58)는, 범퍼(58)가 댐퍼(20) 주위에 형성되도록 존재하는 댐퍼(20)와 함께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52)는 버팀대 조립체(56)와 연계하여 설명되었지만,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52)는 완충부 등의 서스펜션 시스템의 다른 부품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52)는 서스펜션 시스템의 부품 이외의 부품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명백하게, 본 발명의 많은 변형 및 변화가 위의 교시 내용에 비추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관련된 법적 기준에 따라 설명되었고; 그에 따라, 그 설명은 성격 면에서 제한보다는 예시이다. 개시된 실시양태에 대한 변화 및 변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해질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속한다. 따라서, 법적 보호가 부여된 본 발명의 범주는 하기 청구범위를 고려함으로써만 결정될 수 있다.

Claims (21)

  1. 제1 부품과, 제1 부품으로부터 이격되고 요동 축을 따라 제1 부품을 향해 이동가능한 제2 부품 사이에서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댐퍼이며, 여기서 상기 댐퍼는 중심 지점 주위의 고리형 형상을 가지며 제1 부품과 맞물리기 위한 제1 모서리 및 제2 부품과 맞물리기 위한 제2 모서리를 갖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서리는 상기 제1 모서리와 이격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 주위에서 이격된 복수개의 구멍을 한정하고, 각각의 상기 구멍은 상기 댐퍼의 상기 중심 지점을 향해 수렴되고, 상기 복수개의 구멍은 제1 및 제2 부품 중 하나가 요동 축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상기 댐퍼가 축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된 것인,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상기 고리형 형상을 갖는 상기 본체를 제공하도록 중공 내부를 한정하는 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내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외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구멍이 상기 내부 및 외부 표면에 의해 한정된 것인 댐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구멍이 원형 형상을 갖는 것인 댐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구멍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것인 댐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구멍이 마름모꼴 형상을 갖는 것인 댐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구멍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인 댐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하는 댐퍼.
  8. 차량의 제1 부품과, 제1 부품으로부터 이격되고 요동 축을 따라 제1 부품을 향해 이동가능한 제2 부품 사이에서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이며, 여기서 상기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는
    제1 부품에 결합되도록 적합화된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이격되고 제2 부품과 접촉되도록 적합화된 제2 단부를 갖는 범퍼이며, 제2 부품이 제1 부품을 향해 요동 축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1 및 제2 부품 중 하나가 상기 요동 축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압축가능한 범퍼; 및
    상기 범퍼의 상기 제1 단부 상에 배치된 댐퍼
    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고리형 형상을 가지며 제1 부품과 맞물리도록 적합화된 제1 모서리 및 제2 부품과 맞물리도록 적합화된 제2 모서리를 포함하는 본체이며, 상기 제2 모서리는 상기 제1 모서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 주위에서 이격된 복수개의 구멍을 한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구멍은 제1 및 제2 부품 중 하나가 상기 요동 축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상기 댐퍼가 축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된 것인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제1 및 제2 부품 사이에서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상기 댐퍼가 압축되기 전에 상기 범퍼가 제2 부재에 의해 미리 결정된 수치까지 압축가능할 정도로 상기 범퍼의 강성보다 큰 강성을 갖는 것인,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가 미세다공질 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인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
  11.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가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
  12. 제8항, 제10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상기 본체가 상기 고리형 형상을 갖는 상기 본체를 제공하도록 중공 내부를 한정하는 중공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내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외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구멍이 상기 내부 및 외부 표면에 의해 한정된 것인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
  13. 제8항 및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가, 상기 댐퍼가 상기 범퍼 내에 내포되도록 상기 댐퍼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을 한정하는 것인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
  14. 제1 부품;
    상기 제1 부품으로부터 이격되고 요동 축을 따라 상기 제1 부품을 향해 이동가능한 제2 부품; 및
    상기 제1 및 제2 부품 사이에서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
    를 포함하는 차량을 위한 서스펜션 시스템이며, 여기서 상기 듀얼-레이트 자운스 범퍼 조립체는
    상기 제1 부품에 결합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 부품이 상기 제1 부품을 향해 상기 요동 축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부품과 접촉하기 위한 제2 단부를 갖는 범퍼이며, 상기 제1 및 제2 부품 중 하나가 상기 요동 축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압축가능한 범퍼;
    상기 범퍼의 상기 제1 단부 상에 배치된 댐퍼
    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고리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부품과 맞물리기 위한 제1 모서리 및 상기 제2 부품과 맞물리기 위한 제2 모서리를 포함하는 본체이며, 상기 제2 모서리는 상기 제1 모서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 주위에서 이격된 복수개의 구멍을 한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구멍은 상기 제1 및 제2 부품 중 하나가 상기 요동 축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상기 댐퍼가 축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된 것인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 사이에서 요동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댐퍼가 압축되기 전에 상기 범퍼가 제2 부재에 의해 미리 결정된 수치까지 압축가능할 정도로 상기 범퍼의 강성보다 큰 강성을 갖는 것인, 서스펜션 시스템.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가 미세다공질 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인 서스펜션 시스템.
  17. 제14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가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서스펜션 시스템.
  18. 제14항, 제16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상기 본체가 상기 고리형 형상을 갖는 상기 본체를 제공하도록 중공 내부를 한정하는 중공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내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외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구멍이 상기 내부 및 외부 표면에 의해 한정된 것인 서스펜션 시스템.
  19. 제14항 및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가 반경 방향으로 팽창되지 않는 것인 서스펜션 시스템.
  2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외부 표면 및 상기 외부 표면과 대향하는 내부 표면을 갖고, 상기 외부 표면에서의 각각의 상기 구멍의 면적이 상기 내부 표면에서의 각각의 상기 구멍의 면적보다 큰 것인 댐퍼.
  21. 제20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구멍이 상기 외부 표면과 상기 내부 표면 사이에서 한정된 길이를 갖고, 각각의 상기 구멍의 높이 및/또는 폭이 상기 외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내부 표면까지 상기 구멍의 상기 길이를 따라 감소되는 것인 댐퍼.
KR1020157011036A 2012-10-02 2013-10-02 댐퍼 KR201500684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08738P 2012-10-02 2012-10-02
US61/708,738 2012-10-02
US201361792595P 2013-03-15 2013-03-15
US61/792,595 2013-03-15
PCT/US2013/062983 WO2014055599A1 (en) 2012-10-02 2013-10-02 Damp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414A true KR20150068414A (ko) 2015-06-19

Family

ID=49356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1036A KR20150068414A (ko) 2012-10-02 2013-10-02 댐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64612B2 (ko)
EP (1) EP2904287B1 (ko)
JP (1) JP2016500142A (ko)
KR (1) KR20150068414A (ko)
CN (1) CN104797842B (ko)
BR (1) BR112015007323A2 (ko)
WO (1) WO20140555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70984B2 (en) * 2012-08-31 2016-06-21 Firestone Industrial Products Company, Llc Gas spring and gas damper assemblies and methods of assembly
US9428021B2 (en) * 2012-10-02 2016-08-30 Basf Se Jounce bumper
US10000102B2 (en) * 2015-06-19 2018-06-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unable compact spring aid
WO2017034866A1 (en) * 2015-08-21 2017-03-02 Basf Se Elastomer spring for vehicle
US10017026B2 (en) 2015-11-10 2018-07-10 Federal-Mogul Motorparts Llc Sway bar linkage with bushing
DE102016201733A1 (de) 2016-02-04 2017-08-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oßdämpfer-Baugrupp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6216009B4 (de) 2016-08-25 2020-07-0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Pufferanordnung aus Elastomermaterial zur Anordnung zwischen einem Schwingungsdämpfer und einem Dämpferlager einer Radaufhängung eines Kraftfahrzeugs
US10830306B2 (en) * 2016-12-30 2020-11-10 Firestone Industrial Products Company, Llc Jounce bumper assemblies as well as gas spring assemblies including same
CN109456576A (zh) * 2017-09-06 2019-03-12 浙江台州多邦高分子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分子减震弹簧
US10718396B2 (en) * 2018-01-26 2020-07-21 Goodrich Corporation Tunable suspension limiters for suspension arrangements
CN109681574B (zh) * 2019-01-21 2020-12-04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机动车的减震器组件及其组装方法
WO2020245217A1 (en) * 2019-06-03 2020-12-10 Basf Polyurethanes Gmbh Spring element, in particular jounce bumper, for a vehicle suspension
CN111169663B (zh) * 2020-01-17 2021-09-14 北京时代精衡航天科技有限公司 深空探测撞击过载测试及数据无线传输测量装置
WO2023198657A1 (en) * 2022-04-12 2023-10-19 Basf Se Load management striker cap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8258A (en) 1956-05-11 1959-05-26 Hoffstrom Bo Nilsson Springs
FR1229796A (fr) 1959-03-04 1960-09-09 Renault Ressort en caoutchouc
DE1475137B2 (de) * 1965-05-15 1971-02-25 Rix, Johannes Dipl Ing , 3500 Kassel Hohlfelder insbesondere zum auffangen von stoessen bei fahrzeugen
US3606295A (en) * 1968-11-12 1971-09-20 Unilan Ag Shock absorber
US4191398A (en) * 1976-07-19 1980-03-04 Willetts Elwood H Vehicle suspension system
BE859468A (nl) * 1977-10-07 1978-04-07 Poppe Willy Schuimveer
IT1156346B (it) 1982-11-29 1987-02-04 Pirelli Dispositivo ammortizzatore
JPS6177505A (ja) * 1984-09-26 1986-04-21 Kinugawa Rubber Ind Co Ltd リバウンドバンパ
US4858897A (en) 1987-11-16 1989-08-22 Hideki Irifune Spring
DE8717817U1 (ko) * 1987-11-23 1990-04-26 Woco Franz-Josef Wolf & Co, 6483 Bad Soden-Salmuenster, De
WO1991017320A1 (en) * 1990-05-07 1991-11-14 Manfred Kahmann Shock absorbing device
US5467970A (en) * 1994-06-06 1995-11-21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suspension system with jounce bumper
US5467971A (en) * 1994-08-08 1995-11-21 General Motors Corporation Strut assembly with integral bearing and spring seat
US5632504A (en) * 1994-11-21 1997-05-27 Gallagher; Daniel M. Trailer spring
US6251493B1 (en) * 1996-04-08 2001-06-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ibration and shock attenuating articles and method of attenuating vibrations and shocks therewith
DE19722795A1 (de) * 1997-05-30 1998-12-03 Hilti Ag Setzgerät
JP3731359B2 (ja) * 1998-11-24 2006-01-0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バンパスプリング
US6254072B1 (en) 1999-03-31 2001-07-03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pring isolator and jounce bumper for a motor vehicle suspension
DE10105791A1 (de) * 2001-02-07 2002-08-08 Basf Ag Federelement
US20050073166A1 (en) * 2003-10-03 2005-04-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ybrid material body mount for automotive vehicles
US20050230891A1 (en) * 2004-04-14 2005-10-20 Griffin Gary J Jounce bumper
DE102004019991B4 (de) * 2004-04-23 2015-09-24 Volkswagen Ag Radaufhängung
US7070157B2 (en) * 2004-06-17 2006-07-04 Basf Corporation Mount assembly
US20060001205A1 (en) * 2004-06-30 2006-01-05 Irfan Raza Jounce bumper
US20060043659A1 (en) * 2004-08-30 2006-03-02 Marian Gofron Dual spring jounce bumper assembly
CN2748698Y (zh) 2004-11-17 2005-12-28 北京特特舒汽车缓冲器科技有限公司 汽车高压线圈用缓冲器
JP4362439B2 (ja) 2004-12-17 2009-11-11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装置用のバウンドストッパ
DE102005030528A1 (de) * 2005-06-30 2007-01-11 Carl Freudenberg Kg Federkörper
US20080012188A1 (en) * 2006-07-17 2008-01-17 Dickson Daniel G One-piece microcellular polyurethane insulator having different densities
WO2008137029A2 (en) 2007-05-01 2008-11-1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Jounce bumpers made by corrugated extrusio
KR100916796B1 (ko) * 2008-05-23 2009-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가장치용 범프 스토퍼
US8123203B2 (en) * 2009-02-25 2012-02-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ular jounce bumper assembly
US20100230877A1 (en) * 2009-03-13 2010-09-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ular impact bumper assembly
US8353501B2 (en) * 2009-04-24 2013-01-15 Willy Poppe Foam spring for pillows,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foam spring
US8505887B2 (en) * 2009-12-08 2013-08-13 Trelleborg Automotive Usa, Inc. Micro cellular urethane (MCU) progressive rate bump stop/spring aid
US8657271B2 (en) 2010-08-12 2014-02-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ermoplastic jounce bumpers
US20120193852A1 (en) 2011-01-28 2012-08-02 Basf Se Damper bearing with profiled insert
CN102844584B (zh) 2011-02-10 2014-08-27 Nok株式会社 回弹限位器
JP2012167704A (ja) 2011-02-10 2012-09-06 Nok Corp リバウンドストッパ
WO2013113042A1 (en) * 2012-01-29 2013-08-01 Firestone Industrial Products Company, Llc Jounce bumper, end member, gas spring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US8720921B1 (en) * 2012-10-30 2014-05-13 SuperSprings International, Inc. Vehicular suspension enhancement
US9186948B2 (en) * 2013-12-06 2015-11-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amper having an inse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5599A1 (en) 2014-04-10
BR112015007323A2 (pt) 2017-07-04
EP2904287A1 (en) 2015-08-12
JP2016500142A (ja) 2016-01-07
US9764612B2 (en) 2017-09-19
CN104797842A (zh) 2015-07-22
EP2904287B1 (en) 2018-09-12
US20150239315A1 (en) 2015-08-27
CN104797842B (zh) 201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8414A (ko) 댐퍼
CN108361309B (zh) 具有调谐减震器的阻尼器
US7281705B2 (en) Jounce assembly for a suspension system
US8191692B2 (en) Cylinder apparatus
US9545829B2 (en) Dual-rate jounce bumper
KR102008049B1 (ko) 자운스 범퍼 조립체
KR20150064138A (ko) 자운스 범퍼
US6485008B1 (en) Jounce bumper
EP3338002B1 (en) Elastomer spring for vehicle
US20050230891A1 (en) Jounce bumper
KR101176557B1 (ko)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KR101795057B1 (ko) 현가장치용 범프스토퍼
JP2002031181A (ja) 油圧緩衝器のダストカバー取付構造
KR20160089396A (ko) 댐핑 유체 장치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11685212B2 (en) Hydraulic jounce bumper with improved installation
JP7463260B2 (ja) キャブマウント
KR101176569B1 (ko) 소음 감소용 완충장치를 가지는 쇽업소버
KR101875967B1 (ko) 범프 스토퍼 내장형 쇽업소버
KR200353512Y1 (ko) 차량용 범프스토퍼
KR20020044700A (ko) 범프스토퍼를 구비한 완충장치
KR200198262Y1 (ko) 차량용스티어링칼럼의충격흡수구조
KR20080086166A (ko)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KR100318075B1 (ko) 자동차의 노이즈 저감용 스프링 시트 구조
KR20050092516A (ko) 쇽업소버 일체형 에어스프링 시스템
KR19990025166U (ko) 쇽업소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