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888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6888A
KR20150066888A KR1020130152496A KR20130152496A KR20150066888A KR 20150066888 A KR20150066888 A KR 20150066888A KR 1020130152496 A KR1020130152496 A KR 1020130152496A KR 20130152496 A KR20130152496 A KR 20130152496A KR 20150066888 A KR20150066888 A KR 20150066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fterimage
image
block
residual image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2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6888A/ko
Priority to US14/513,691 priority patent/US9659514B2/en
Publication of KR20150066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8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6Determination of movement vectors or equivalent parameters within the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7Arrangements or methods related to powering off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블록 단위로 잔상의 유무를 결정하여 잔상 소거를 실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각 블록 별로 잔상의 유무를 결정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가 상기 복수의 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잔상이 존재한다고 결정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존재하는 상기 잔상을 소거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각적이면서 입체적인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설치 공간의 제약을 덜 받으며 대화면의 영상 구현 및 평판화가 용이하고, 고화질 등 여러 가지로 성능이 우수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Flat Display Device)들이 개발되고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일한 영상을 오랫동안 표시하는 경우, 그 부분의 형광체 또는 발광장치들이 열화되거나 변성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열화 또는 변성이 발생한 이후, 다른 영상을 표시할 경우 스크린이 손상되어 영상의 잔상이 발생할 수 있다. 잔상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에 질적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측면에 의하면, 블록 단위로 잔상의 유무를 결정하여 잔상 소거를 실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스크린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각 블록 별로 잔상의 유무를 결정하는 연산부; 및 연산부가 복수의 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잔상이 존재한다고 결정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존재하는 잔상을 소거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산부는 각 블록에 표시되는 영상이 정지영상인지 판단하여 잔상의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연산부는 각 블록의 모션벡터를 구하여 잔상의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연산부는 잔상이 존재한다고 결정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존재하는 잔상의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연산부는 잔상이 존재한다고 결정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정지영상이 표시되는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잔상의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잔상 소거 영상을 표시하여 잔상을 소거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잔상의 형태에 대응하는 잔상 소거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표시하여 잔상을 소거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잔상의 정도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잔상 소거 영상을 표시하여 잔상을 소거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의 블록 모두에 잔상이 존재하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입력에 따라 전원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영상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각 블록 별로 잔상이 존재하는지 결정하고,  복수의 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잔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존재하는 잔상을 소거할 수 있다.
각 블록 별로 잔상이 존재하는지 결정하는 것은, 각 블록에 표시되는 영상이 정지영상인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블록 별로 잔상이 존재하는지 결정하는 것은, 각 블록마다 모션벡터를 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블록 별로 잔상이 존재하는지 결정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존재하는 잔상의 형태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블록 별로 잔상이 존재하는지 결정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정지영상이 표시되는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잔상의 정도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잔상을 소거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잔상 소거 영상을 표시하여 잔상을 소거할 수 있다.
잔상을 소거하는 것은, 잔상의 형태에 대응하는 잔상 소거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표시하여 잔상을 소거할 수 있다.
잔상을 소거하는 것은, 잔상의 정도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잔상 소거 영상을 표시하여 잔상을 소거할 수 있다.
복수의 블록 모두에 잔상이 존재하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입력에 따라 전원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측면에 의하면, 잔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전원 오프(Off) 전에 자동으로 잔상 소거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잔상 소거를 수행하는 입력을 인가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잔상 소거를 수행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질적 저하를 차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블록 단위로 잔상의 유무를 결정하여 각 블록에 적합한 잔상 소거를 수행하므로, 효율적으로 잔상을 소거할 수 있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관도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도 3a는 스크린에 영상이 표시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스크린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c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각각의 블록에 대응하는 모션벡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각각의 블록에 대응하는 잔상의 정도 및 형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각각의 블록에 대응하는 잔상 소거 영상을 이용하여 잔상 소거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잔상이 존재하는지 결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0은 잔상의 정도 또는 형태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잔상의 형태 및 정도에 따른 잔상 소거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관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텔레비전, 모니터 및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 등과 같이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110), 스크린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을 지지하는 스탠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110)은 전달받은 출력 신호를 기초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되는 영상은 시간의 흐름과 무관한 정지영상이거나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동영상일 수 있다.
스크린(110)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실시예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패널,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ELD) 패널,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FED) 패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PDP), 박막액정디스플레이(TFT-LCD) 패널,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OLED)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스크린(110)이 정지영상을 일정 시간 이상 표시하는 경우, 픽셀이 열화되어 잔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스크린(110)에 정지영상이 장시간 표시되면, 스크린(110)의 정지영상을 구현하는 특정 픽셀은 주변의 다른 픽셀에 비하여 그 수명이 단축되고, 그 결과 정지영상에서 다른 영상으로 전환 시, 잔상이 스크린(11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잔상은 영상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적절한 잔상 소거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통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잔상을 소거하기 위한 잔상 소거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잔상을 소거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스크린(110) 상의 정지영상을 주기적으로 좌우상하로 쉬프트(Shift)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특정 픽셀이 동일한 장소에 고정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특정 픽셀을 보호할 수 있다. 또는 잔상을 소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 잔상을 소거하기 위한 특정 패턴을 스크린(110)에 표시함으로써 특정 픽셀을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구비하는 잔상 소거 기능은, 사용자 스스로 잔상의 존재를 육안으로 판단하여 잔상 소거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을 인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직접 입력을 인가해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잔상의 존재 여부를 사용자의 판단에 의존하므로 효과적인 잔상 소거가 수행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입력 없이도 잔상의 유무를 결정하여 잔상 소거를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110); 스크린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각 블록 별로 잔상의 유무를 결정하는 연산부(120); 및 연산부가 복수의 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잔상이 존재한다고 결정하면,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존재하는 잔상을 소거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전원의 온/오프(On/Off) 입력을 인가받는 입력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110)은 입력부(300)가 인가받은 온 입력에 따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300)가 사용자로부터 온 입력을 인가받으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 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스크린(110)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전달받은 출력 신호를 기초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110)은 복수의 화소로 구성될 수 있다. 화소란 스크린(110)을 구성하는 최소단위의 명암의 점을 의미한다.
연산부(120)는 스크린(110)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각 블록 별로 잔상의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a는 스크린에 영상이 표시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스크린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에서 점선은 스크린(110)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였음을 설명하기 위한 가상의 선으로, 실제 스크린(110)에는 표시되지 않음을 전제로 한다.
 도 3a와 같이 스크린(110)에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연산부(120)는 도 3b와 같이 스크린(110)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할 수 있다. 각 블록은 하나 이상의 픽셀의 집합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각 블록은 동일한 수의 픽셀의 집합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스크린(110)은 상황에 따라 바람직한 수의 블록으로 분할될 수 있다.
스크린(110)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면, 스크린(110)의 잔상을 소거 할 때 블록 단위로 방법을 달리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잔상 소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블록 단위로 잔상 소거를 수행하기 위해, 연산부(120)는 분할된 블록마다 잔상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블록에 잔상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각각의 블록에 표시되는 영상이 정지영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잔상은 정지영상이 장시간 스크린(110)에 표시될 경우 픽셀이 열화되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블록에 표시되는 영상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잔상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각각의 블록에 표시되는 영상이 정지영상인지는 스크린(110) 상의 각 픽셀 또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는 각 블록의 모션벡터(Motion Vector)를 구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4c 및 도 5를 참조하여, 모션벡터를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내지 4c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점선은 스크린(110)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였음을 설명하기 위한 가상의 선으로, 실제 스크린(110)에는 표시되지 않음을 전제로 한다. 한편, 도 4a를 스크린(110)에 표시되는 최초 영상이고,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스크린(110)에 표시되는 영상을 도 4b 및 4c라고 가정한다.
스크린(110)은 영상 및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데, 도 4a 내지 4c의 경우는 시간에 흐름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이 달라지므로, 동영상을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동영상의 경우에도, 영상의 모든 부분이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 일부분만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지영상인지 여부를 스크린(110)의 복수의 블록 각각에 대하여 판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면, 전체 영상은 변화하고 있으나, 전체 영상 중 정보를 알려 주기 위한 일부 영역은 정지영상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및 C 영역은 도 4a 내지 4c에서 동일한 영상을 표시하고 있으므로, 시간의 흐름에 무관한 정지영상을 표시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정지영상이라고 판단한다면, 해당 영역에 잔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이 영역은 잔상 소거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지영상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잔상 소거를 수행하기 위한 전 단계일 수 있다. 따라서 정지영상인지를 정확히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지영상인지 여부는 모션벡터(Motion Vector)를 구함으로써 수학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모션벡터는 한 시점의 영상으로부터 다른 시점의 영상으로의 객체(Object)의 변위(Displacement)의 방향 및 크기를 표현하는 벡터이다. 예를 들어, 동영상의 경우, 모션벡터는 두 개의 순차적인 영상 프레임들 간의 객체의 외관상 움직임(Apparent Motion)을 표현할 수 있다.
도 5는 각각의 블록에 대응하는 모션벡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각각의 블록 내부에 표시된 화살표는, 각각의 블록의 모션벡터를 의미한다. 한편, 도 5는 동영상 중에서 어느 한 시점 t1 및 그로부터 일정한 시간이 흐른 시점 t2에 스크린(110)에 표시되는 영상을 통해 획득된 모션벡터를 전제로 설명한다.
모션벡터는 벡터이므로 크기와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즉 t1시점에서의 영상이 t2시점에서 어디로, 얼마나 이동하였는지 벡터를 통해 표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영상 중에서 t1 및 t2 시점의 영상을 통해 모션벡터를 구하였으므로, 대부분의 블록은 모션벡터 값을 가진다. 스크린(110) 중앙의 소실점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대부분의 블록들은 소실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모션벡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t1 및 t2 시점에서 A, B 및 C 영역의 블록에 표시되는 영상이 동일하므로, A, B 및 C 영역의 모션벡터는 0이 된다. 즉 모션벡터가 크기와 방향을 가지지 않는다. 모션벡터가 크기와 방향을 가지지 않으면, 해당 블록은 t1 및 t2 시점에서 정지영상을 표시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연산부(120)는 잔상이 존재한다고 결정한 경우, 해당 블록의 모션벡터를 누적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순차적인 영상 프레임을 통해 모션벡터를 얻는 과정을 일정 시간마다 반복하고, 이렇게 획득한 복수의 모션벡터를 해당 블록에 누적할 수 있다.
모션벡터가 0이면 해당 블록에 정지영상이 표시된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모션벡터를 누적하면 정지영상이 표시되는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정지영상이 표시되는 시간이 길수록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픽셀의 열화 정도가 높아지므로, 정지영상이 표시되는 시간을 통해 잔상의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잔상의 정도는 정지영상이 표시되는 시간에 따라 수치화될 수 있다.
또한 연산부(120)는 잔상이 존재한다고 결정한 경우, 해당 블록의 잔상의 형태를 판단할 수 있다. 잔상을 소거하기 위해 추후 설명할 잔상 소거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데, 잔상의 형태에 대응하는 잔상 소거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면 더 효율적으로 잔상을 소거할 수 있다.
도 6은 각각의 블록에 대응하는 잔상의 정도 및 형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블록 내부의 패턴이 잔상의 형태를 의미하고, 블록 내부의 숫자가 잔상의 정도를 의미한다. 잔상의 정도는 정지영상이 표시되는 시간이 가장 짧은 경우를 1로 하여 3을 최대로 하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
도 4a 내지 4c 및 5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A, B 및 C 영역은 정지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이 영역은 잔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잔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30)는 잔상의 정도 및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A, B 및 C 영역에 속하는 각 블록은 잔상의 정도 및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영역의 좌측 아래 블록의 경우, 대각선 형태의 잔상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잔상의 정도는 2 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잔상이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블록에 대하여 잔상의 정도와 형태를 결정하고, 이를 기초로 잔상 소거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연산부(120)가 복수의 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잔상이 존재한다고 결정하면,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존재하는 잔상을 소거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력부(300)를 통해 전원 오프(Off)입력이 인가되거나, 장치 내부 연산에 의해 명령을 전달받아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존재하는 잔상을 소거할 수 있다.
도 7은 각각의 블록에 대응하는 잔상 소거 영상을 이용하여 잔상 소거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30)는 잔상을 소거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잔상 소거 영상을 잔상이 존재하는 블록에 표시할 수 있다. 잔상이 존재하는 블록에 대하여만 잔상 소거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잔상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불필요하게 잔상 소거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블록마다 존재하는 잔상의 정도와 형태에 따라 적합한 잔상 소거를 수행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산부(120)가 도 6과 같이 잔상의 형태와 정도를 판단하면, 이를 기초로 제어부(130)는 잔상 소거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잔상의 형태에 대응하는 잔상 소거 영상을 해당 블록에 표시하여 잔상을 소거할 수 있으며, 잔상의 정도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해당 블록에 잔상 소거 영상을 표시하여 잔상을 소거할 수 있다.
도 6에서 B 영역을 살펴보면, 잔상의 형태는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이고 가로 방향의 잔상의 정도는 3, 세로 방향의 잔상의 정도는 2로 결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의 결정을 기초로, 도 7과 같이 잔상 소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잔상 소거 영상의 일 실시예로, 가로 방향의 잔상을 소거하기 위해 가로 방향의 픽셀이 동일한 픽셀 값을 가지는 잔상 소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세로 방향의 잔상을 소거하기 위해 세로 방향의 픽셀이 동일한 픽셀 값을 가지는 잔상 소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잔상 소거 영상을 잔상의 정도에 따라 표시시간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잔상 소거 영상의 표시시간의 일 실시예로, 잔상의 정도가 1이면 t1 시간, 잔상의 정도가 2이면 t2 시간, 잔상의 정도가 3이면 t3 시간을 표시시간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잔상의 정도가 높을수록 픽셀의 열화 정도가 높을 수 있으므로, 표시기간은 t1이 가장 짧고, 그 다음이 t2이고, t3 가 가장 길 수 있다.
도 7의 B 영역을 참조하면, 도 6와 같이 결정된 B 영역의 잔상의 형태에 대응하는 잔상 소거 영상을, 잔상의 정도에 대응하는 표시시간 동안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블록마다 잔상의 형태 및 정도가 다르므로, 각각의 블록마다 서로 다른 잔상 소거 영상을 서로 다른 표시시간 동안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블록에 적합한 잔상 소거를 수행함으로써, 잔상 소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8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입력부를 통해 전원 온(On) 입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400) 온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되어,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동작할 준비를 마친다.
다음으로 출력 신호를 전달받아 스크린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410) 이 때, 스크린(110)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 패널,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박막액정디스플레이(TFT-LCD) 패널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OLED)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11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스크린(110)에 표시되는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순차적으로 영상프레임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에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할 수 있다.(420) 이 때, 영상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한다는 것은 블록단위로 연산을 수행함을 의미하며, 스크린(110)상에 블록단위로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영상을 블록단위로 분할한 후, 복수의 블록 각각에 대하여 잔상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한다.(430) 스크린(110) 전체에서 잔상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에 비해, 블록 각각에 대하여 잔상의 존재를 결정함으로써, 잔상의 위치를 정확히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는 잔상 소거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잔상이 존재하는지 결정하는 방법은 추후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각 블록별로 잔상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일정시간마다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스크린에 영상이 표시되고, 각 블록별로 잔상의 유무를 판단하는 동안, 입력부에 의해 전원 오프(Off)입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440) 전원 오프 입력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오프하기 위해 인가하는 것이지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오프하기에 앞서 잔상 소거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잔상 소거를 수행하기 위한 입력을 인가하지 않더라도, 전원을 오프하기 전에 자동으로 잔상을 소거하고 전원을 오프함으로써,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오프 입력이 인가되면, 복수의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잔상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450)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잔상이 존재하는 경우, 잔상이 존재하는 블록의 잔상을 소거할 수 있다. 이 때, 잔상을 소거하기 위해, 잔상이 존재하는 블록에 잔상 소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460)
잔상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잔상의 정도 또는 형태에 대응하는 잔상 소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추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잔상 소거를 수행하기 전 또는 잔상 소거를 수행한 후, 복수의 블록 모두에 잔상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전원 오프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470)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잔상이 존재하는지 결정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잔상이 존재하는지 결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먼저 복수의 블록 각각에 대하여 모션벡터를 획득할 수 있다.(431) 모션벡터는 두 개의 순차적인 영상 프레임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모션벡터는 누적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순차적인 영상 프레임을 통해 모션벡터를 얻는 과정을 일정시간마다 반복하고, 이렇게 획득한 복수의 모션벡터를 해당 블록에 누적할 수 있다.
모션벡터를 획득한 후, 각 블록별로 획득한 모션벡터를 기초로 각 블록에 표시되는 영상이 정지영상인지 판단한다.(432) 획득한 블록의 모션벡터가 0이라면, 해당 블록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영상일 수 있다.
정지영상이 해당 블록에 표시된다면, 해당 블록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 중 일부에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기초로 정지영상이 표시되는 블록에 잔상이 존재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433)
반면에 정지영상이 해당 블록에 표시되지 않으면, 해당 블록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에 열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를 기초로 해당 블록에는 잔상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434)
도 9의 과정을 통해 잔상이 존재한다고 결정되었다면, 해당 잔상의 정도 또는 형태를 분석하여 추후 잔상 소거 시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은 잔상의 정도 또는 형태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해당 블록에 잔상이 존재하는지 결정한다.(435) 잔상이 존재하는지는 도 9의 과정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해당 블록에 잔상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문제되지 않으나, 해당 블록에 잔상이 존재한다면 잔상의 형태 또는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잔상의 형태 또는 정도를 기초로 효율적인 잔상 소거를 수행할 수 있다.
해당 블록에 잔상이 존재한다면, 잔상의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436) 이 때, 잔상의 형태는 열화가 진행된 픽셀의 위치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잔상의 형태를 미리 정해진 기하학적 형태와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형태를 선택할 수도 있다. 미리 정해진 기하학적 형태란 일정한 방향의 직선 형태일 수 있다. 추후 진행할 잔상 소거 영상은 직선의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해당 블록에 잔상이 존재한다면, 잔상의 형태 뿐만 아니라, 잔상의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잔상의 정도는 픽셀의 열화 정도일 수 있다.
잔상의 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해당 블록에 정지영상이 표시되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437) 픽셀의 열화 정도는 정지영상이 표시되는 시간에 비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확인된 정지영상이 표시되는 시간을 기초로 잔상의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438) 이 때, 잔상의 정도는 정지영상이 표시되는 시간에 따라 수치화될 수 있다. 수치화된 잔상의 정도에 따라 추후 진행할 잔상 소거 영상의 표시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도 10의 과정을 통해 잔상의 형태 및 정도가 결정되면, 이를 기초로 잔상 소거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잔상의 형태 및 정도에 따른 잔상 소거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오프 입력을 인가하면 잔상 소거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별도의 잔상 소거를 위한 입력을 인가하지 않더라도, 오프 입력에 따라 잔상 소거를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오프 입력이 인가(440)되면, 복수의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잔상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450) 복수의 블록 모두에 잔상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오프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470)
반면 복수의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잔상이 존재한다면, 잔상이 존재하는 블록에 잔상 소거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도 10의 과정을 통해 결정된 잔상의 형태 및 정도에 따라 잔상 소거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정된 잔상의 형태에 대응하는 잔상 소거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461) 앞서 언급한 것처럼, 잔상의 형태가 일정한 방향의 직선 형태라면, 그 방향에 대응하는 잔상 소거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결정된 잔상의 정도에 대응하는 잔상 소거 영상의 표시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462) 앞서 언급한 것처럼, 잔상의 정도를 수치화된다면, 수치화된 값에 대응하는 잔상 소거 영상의 표시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잔상 소거 영상 및 표시 시간이 결정되면, 해당 블록에 잔상 소거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결정된 시간 동안 결정된 잔상 소거 영상을 잔상이 존재하는 해당 블록에 표시하여, 잔상을 소거할 수 있다.(463)
잔상 소거 영상을 표시하여 모든 블록의 잔상을 소거하였다면 인가받은 오프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오프 시킬 수 있다.(470)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스크린
120: 연산부
130: 제어부

Claims (18)

  1.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각 블록 별로 잔상의 유무를 결정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가 상기 복수의 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잔상이 존재한다고 결정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존재하는 상기 잔상을 소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각 블록에 표시되는 영상이 정지영상인지 판단하여 상기 잔상의 유무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각 블록의 모션벡터를 구하여 상기 잔상의 유무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잔상이 존재한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존재하는 상기 잔상의 형태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잔상이 존재한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정지영상이 표시되는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잔상의 정도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잔상 소거 영상을 표시하여 상기 잔상을 소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상의 형태에 대응하는 잔상 소거 영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표시하여 상기 잔상을 소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상의 정도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잔상 소거 영상을 표시하여 상기 잔상을 소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블록 모두에 잔상이 존재하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입력에 따라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각 블록 별로 잔상이 존재하는지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잔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존재하는 상기 잔상을 소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블록 별로 잔상이 존재하는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각 블록에 표시되는 영상이 정지영상인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블록 별로 잔상이 존재하는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각 블록마다 모션벡터를 구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블록 별로 잔상이 존재하는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존재하는 상기 잔상의 형태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블록 별로 잔상이 존재하는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정지영상이 표시되는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잔상의 정도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을 소거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잔상 소거 영상을 표시하여 상기 잔상을 소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을 소거하는 것은,
    상기 잔상의 형태에 대응하는 잔상 소거 영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표시하여 상기 잔상을 소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을 소거하는 것은,
    상기 잔상의 정도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잔상 소거 영상을 표시하여 상기 잔상을 소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록 모두에 잔상이 존재하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입력에 따라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30152496A 2013-12-09 2013-12-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6688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496A KR20150066888A (ko) 2013-12-09 2013-12-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4/513,691 US9659514B2 (en) 2013-12-09 2014-10-14 Display device and method with ghost cancellation according to image bloc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496A KR20150066888A (ko) 2013-12-09 2013-12-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888A true KR20150066888A (ko) 2015-06-17

Family

ID=53271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496A KR20150066888A (ko) 2013-12-09 2013-12-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59514B2 (ko)
KR (1) KR201500668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637B1 (ko) * 2013-10-21 2020-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6950551B2 (ja) * 2018-02-01 2021-10-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10415655A (zh) * 2018-04-28 2019-11-05 咸阳彩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残影消除电路
US10983482B2 (en) 2019-01-03 2021-04-20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display burn-in mitigation
CN115223501B (zh) * 2022-08-19 2023-08-04 惠科股份有限公司 驱动补偿电路、补偿方法以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157B1 (ko) * 1994-09-07 1998-05-15 김광호 정준표시된 필터계수를 이용하는 고스트 제거장치
US8115728B2 (en) * 2005-03-09 2012-02-1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Image display device with reduced flickering and blur
US7466340B1 (en) * 2005-02-09 2008-12-16 William Herz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on against pixel burn-in
KR20070075943A (ko) * 2006-01-17 200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잔상 보상 기능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잔상보상 방법
JPWO2008126338A1 (ja) * 2007-03-30 2010-07-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表示装置及び該プラズマ表示装置に用いられる駆動方法
TWI366393B (en) * 2007-10-12 2012-06-11 Taiwan Tft Lcd Ass Method and apparatus of measuring image-sticking of a display device
EP2146338A1 (en) * 2008-07-15 2010-01-20 Barco NV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in a display
US8520083B2 (en) * 2009-03-27 2013-08-27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of removing an artefact from an image
US8537098B2 (en) * 2009-08-05 2013-09-17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Retention and other mechanisms or processes for display calibration
KR20120046770A (ko) * 2009-09-11 2012-05-10 파나소닉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N102714005A (zh) * 2010-03-05 2012-10-0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等离子显示装置的驱动方法、等离子显示装置及等离子显示系统
JP2011197215A (ja) * 2010-03-18 2011-10-06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画像処理方法
JP5830866B2 (ja) * 2011-02-02 2015-12-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20130169663A1 (en) * 2011-12-30 201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s
DE102012024520B4 (de) * 2012-09-28 2017-06-22 Lg Display Co., Ltd. Organische lichtemittierende Anzeige und Verfahren zum Entfernen eines Bildverbleibs von derselben
CN103165057B (zh) * 2013-03-12 2015-04-08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确定显示器残像等级的方法及装置
US9524676B2 (en) * 2013-06-24 2016-12-20 Apple Inc.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with burn-in reduction capabilities
KR102105102B1 (ko) * 2013-10-10 2020-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59514B2 (en) 2017-05-23
US20150161936A1 (en)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215321A1 (zh) 建立亮度补偿模型的方法、补偿显示屏幕的亮度的方法、装置及显示设备
CN104766561B (zh) 避免残像的方法和装置
KR2015006688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081381B2 (ja) 残像減少のためのgui提供方法及び表示装置
CN104699438B (zh) 对oled显示器的待显示画面进行处理的设备和方法
JP2013218098A5 (ko)
US20140146066A1 (en) Timing controller,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WO2019015313A1 (zh) 色偏补偿方法、色偏补偿系统和显示面板
US9384714B2 (en) Display device
CN114120906A (zh) 显示面板的亮度补偿方法、补偿装置及电子设备
CN107025087B (zh) 一种图像显示方法及设备
KR101191532B1 (ko)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CN103002209A (zh) 显示设备和显示方法
CN111937065A (zh) 显示装置的驱动方法以及显示装置
KR20170062572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773470B2 (en) Display device,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037517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2132180B1 (ko) 대기모드에서의 영상 제어방법
CN109119033B (zh) 背光补偿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US9830693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JP2021005034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20220048943A (ko) 상이한 픽셀 레이아웃들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ir 드롭 보상
JP2013003238A (ja) 映像信号処理回路、映像信号処理方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5206831A5 (ko)
US202301024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variable area-based compensation of burn-in in display pa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