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276A -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276A
KR20150065276A KR1020130150404A KR20130150404A KR20150065276A KR 20150065276 A KR20150065276 A KR 20150065276A KR 1020130150404 A KR1020130150404 A KR 1020130150404A KR 20130150404 A KR20130150404 A KR 20130150404A KR 20150065276 A KR20150065276 A KR 20150065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production
information
traveler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5553B1 (ko
Inventor
고경태
박종희
오은종
최성곤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0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553B1/ko
Publication of KR20150065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생산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작업을 위한 제작기술문서의 작성, 배포, 개정 정보와 품질계획정보를 관리하는 생산 관리 서버 및 상기 생산 관리 서버에서 관리하는 각 정보를 이중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제작품의 제작 과정에서 요구되는 제작기술문서의 작성, 배포, 변경 작업을 전산화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PRODUCTIO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AND CONTROL THEREOF}
본 발명은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업의 진행 과정에서 제작기술문서를 관리, 활용하고 작업기록을 제작관리 중에 발생하는 품질보증기록을 관리하는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와 같은 대규모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제작품을 제작하기 위한 다양한 형식 및 내용의 기술문서(이하 '제작기술문서'라 함)를 작성하고, 작성된 제작기술문서에 따라 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은 각 단위 공정의 세부 작업에 대한 작업 지시를 관리하고, 작업 현황 및 작업실적을 관리하는 기술을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등에 개시하여 출원한 바 있다.
특허문헌 1에는 BOM(Bill Of material)에 근거하여 작성된 표준 공정표를 바탕으로 표준 공정표에 기재된 각 단위 공정의 세부 작업에 대해 효율적인 작업 지시를 수행하고 이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작업지시 발생 시스템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작업 지시에 따른 작업 진행 현황, 신규 작업의 지시, 작업 실적의 집계 및 분석 등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수행하는 작업 현황 및 작업 실적 관리 시스템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4-0100385호(2004년 12월 2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4-0100474호(2004년 12월 2일 공개)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를 포함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작업 지시, 작업 현황 및 작업 실적 관리시스템은 작업 지시와 진행 현황의 갱신하여 실적을 관리하는 기능만을 수행하였다.
이로 인해, 작업 결과물에 대한 검사 결과를 이용한 품질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품질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고, 작업관리와 품질관리 작업이개별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관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작업 관리와 품질 관리를 연계함과 동시에 사내에 구축된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공정관리 시스템 및 문서관리 시스템 등과 연계하여 생산과정의 통합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작품의 제작 과정에서 요구되는 제작기술문서의 작성, 배포, 변경 작업을 전산화하여 관리하는 생산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작된 제작품의 품질검사 및 그에 따른 품질 관리작업, 용접관리 및 자재관리 작업을 연계하여 관리하는 생산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기술문서와 품질보증기록을 일치시켜 작성하고 변경사항 발생시 실시간으로 변경해서 보관하는 생산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은 작업을 위한 제작기술문서의 작성, 배포, 개정 정보와 품질계획정보를 관리하는 생산 관리 서버 및 상기 생산 관리 서버에서 관리하는 각 정보를 이중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생산 관리 서버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작업공정을 설계하여 제작기술문서를 작성하는 작업단말 및 상기 제작기술문서에 기재된 작업공정을 확인하고 제작기술문서와 도면을 활용하는 공장정보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산 관리 서버는 품질계획의 운영, 품질 계획서의 작성, 개정 및 배포를 관리하는 품질계획 관리부와 상기 제작기술문서로서 제작품의 공정단위로 작업순서 및 관련 참고 문서를 기록한 트래블러의 작성, 배포 및 개정 정보를 관리하는 트래블러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산 관리 서버는 각 작업공정의 트래블러 단위의 부분 품질보증서 및 제작품 단위의 최종 품질보증서를 작성하고 관리하는 품질보증기록 관리부, 사내에 구축된 용접사 관리 시스템과 연계하여 용접 자재 통제, 용접 사양서, 용접자재 불출, 유자격 용접사를 관리하는 용접 관리부 및 자재 일람표를 관리하는 자재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산 관리 서버는 사내에 구축된 문서 관리 시스템,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공정관리 시스템, 실적관리 시스템 및 용접사 관리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각 시스템과 정보를 동기화시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산 관리 서버는 상기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외부의 인터넷망과 내부 전용 통신망 사이에 설치되어 전송되는 정보를 선별해서 수용, 거부, 수정하는 보안 모듈과 사용자 식별 및 권한을 관리하는 인증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장정보단말기는 상기 표시 및 입력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과 사용자 식별 및 권한을 관리하도록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a) 작업단말에서 생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품질계획서와 제작기술문서를 작성하는 단계, (b) 상기 품질계획서와 제작기술문서를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 (c) 공장정보단말기에서 상기 제작기술문서를 확인해서 작업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d) 작업된 제품의 검사 결과에 기초해서 품질보증서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e) 상기 작업단말이 생산 관리 서버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내부 네트워크 사용자인지 여부를 검사하고, 내부 네트워크 사용자만 접속을 허용하는 단계 및 (f) 상기 작업단말이나 공장정보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 정보에 부여된 권한을 확인해서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단계는 (a1) 상기 작업단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선행호기의 품질계획서 및 작업공정 단위로 작업 순서 및 관련 참고문서를 기록하는 제작기술문서인 트래블러를 조회하는 단계, (a2) 조회된 선행호기의 품질계획서 또는 트래블러의 내용을 복사하여 신규 품질계획서를 작성하는 단계, (a3) 상기 작업단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선행호기의 트래블러를 조회하는 단계 및 (a4) 조회된 선행호기의 트래블러의 내용을 복사하여 신규 트래블러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단계는 (a5) 작성된 품질계획서 또는 트래블러를 승인하도록 전자 결재 방식을 이용해서 결재자에게 전자 메일을 발송하는 단계 및 (a6) 결재자의 결재가 완료되면, 해당 품질계획서를 작업단말 및 공장정보단말기로 배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단계는 (c1) 공장정보단말기를 이용해서 트래블러의 내용을 현장 변경하는 단계 및 (c2) 상기 현장 변경 사항 및 변경사항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단계는 (c3)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문서 관리 시스템과 연계하여 각 문서를 제공하는 단계, (c4) 용접사 관리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해서 유자격 용접사 테이블과 연계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에 대한 유자격 용접사를 조회하는 단계 및 (c5) 상기 (c4)단계에서 조회된 용접사를 작업공정에 적용해서 용접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단계는 (c6) 작업공정별 용접자재 리스트를 표시하고, 용접 지도 및 용접 자재관리 문서와 연계하여 검증된 용접사만이 허용된 용접 자재만을 용접봉 불출카드에 기입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단계는 (c7) 작업공정이 완료되면 해당 공정을 수행한 작업자의 성명, 작업내용 및 시간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및 (c8) 각 프로젝트별 공정정보를 전자적 자원관료 시스템로 전송하고, 공정완료 서명이 입력되면 공정완료 정보 및 실적 정보를 각각 공정관리 시스템과 실적관리 시스템에 전송해서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단계는 (d1) 검사결과에 기초해서 검사보고서를 작성하는 단계, (d2) 상기 검사결과 트래블러의 내용과 일치하는 작업 공정에 대한 트래블러 단위의 부분 품질보증서를 작성하는 단계 및 (d3) 상기 부푼 품품질 보증서를 이용해서 해당 제작품 단위의 최종 품질 보증서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단계는 (d4) 상기 검사결과 트래블러의 내용과 불일치하는 작업공정에 대한 불일치 보고서를 작성하는 단계, (d5) 불일치 작업공정의 트래블러에 보류 태크를 부착해서 해당 작업공정을 잠금 설정하여 작업 진행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읕 특징으로 한다.
상기 (d)단계는 (d6) 상기 불일치 작업공정과 관련이 없는 다른 작업공정을 진행하도록 조건부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제작품의 제작 과정에서 요구되는 제작기술문서의 작성, 배포, 변경 작업을 전산화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작성된 제작기술문서를 사내에 구축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문서 관리 시스템, 공정관리 시스템, 실적 관리 시스템 및 용접사 관리 시스템과 동기화함으로써, 작업공정에 대한 품질관리, 용접관리, 자재관리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제작기술문서와 품질보증기록을 연계해서 작성하고, 현장 변경 발생시 실시간으로 변경된 내용 및 변경이력을 보관함으로써, 변경 내용 및 변경이력을 조회할 수 있게 하여 오작업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행된 작업공정별로 작업자의 성명, 작업내용 및 시간을 입력받아 보관함으로써, 전체 프로젝트에 대한 품질실명제를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생산통합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공장정보단말기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품질계획서 작성 화면의 예시도,
도 5는 트래블러 작성 화면의 예시도,
도 6은 용접관리 화면의 예시도,
도 7은 용접봉 불출카드 화면의 예시도,
도 8은 트래블러 운영 상세 화면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생산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생산통합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을 위한 제작기술문서의 작성, 배포, 개정 정보와 품질계획정보를 관리하는 생산 관리 서버(20) 및 생산 관리 서버(20)에서 관리하는 각 정보를 이중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서버(30)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10)은 생산 관리 서버(20)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작업공정을 설계하여 제작기술문서를 작성하는 작업단말(40) 및 작업 공정을 확인하고 제작기술문서와 도면을 활용하는 공장정보단말기(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작기술문서는 제작품의 공정단위로 작업 순서 및 관련 참고문서를 기록하는 문서로서, 이하에서는 트래블러(traveller)라 한다.
품질 계획서(Quality Plan)는 제작공정별로 품질검사 포인트 및 방법을 정의한다.
용접 지도(Weld Map)는 용접 자재관리 문서(Weld Material Control Log, 이하 'WMCL'이라 함) 및 작업진행 사항과 용접사 현황, 비파괴검사 현황을 도면으로 표시한다.
이를 위해, 생산 관리 서버(20)는 품질계획의 운영, 품질 계획서의 작성, 개정 및 배포를 관리하는 품질계획 관리부(21)와 트래블러의 작성, 배포 및 개정 정보를 관리하는 트래블러 관리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생산 관리 서버(20)는 품질보증기록을 작성하고 관리하는 품질보증기록 관리부(23), 사내에 구축된 용접사 관리 시스템(64)과 연계하여 용접 자재 통제, 용접 사양서, 용접자재 불출, 유자격 용접사를 관리하는 용접 관리부(24) 및 자재 일람표를 관리하는 자재 관리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생산 관리 서버(20)는 사내 인트라넷(intranet)이나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를 통해 사내에 구축된 문서 관리 시스템(Document Management System)(60), 전사적 자원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이하 'ERP'라 함) 시스템(61), 공정관리 프로그램(Primavera)을 이용해서 공정을 관리하는 공정관리 시스템(62)과 작업에 투입되는 공수(man hour)와 실적을 관리하는 실적관리 시스템(63) 및 유자격 용접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용접사 관리 시스템(64)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각 시스템과 연계하여 정보를 일치시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품질계획 관리부(21)는 작업단말(40)에서 신규 품질계획서 작성시, 기작업이 완료된 선행호기의 품질계획서 또는 트래블러를 검색해서 작업단말(4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품질계획 관리부(21)는 신규 작성된 품질계획서를 내부 승인절차를 거쳐 저장하고, 저장된 품질계획서를 작업단말(40)이나 공장정보단말기(50)로 배포하며, 문서 개정을 포함하는 변경 사항 및 변경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트래블러 관리부(22)는 작업단말(40)에서 신규 트래블러 작성시, 문서 관리 시스템(60)과 연계하거나 기작업이 완료된 선행호기의 트래블러 정보를 복사해서 작업단말(4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트래블러 관리부(22)는 신규 작성된 트래블러를 내부 승인절차를 거쳐 저장하고, 저장된 제작기술문서를 작업단말(40)이나 공장정보단말기(50)로 배포하며, 문서 개정을 포함하는 변경 사항 및 변경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품질계획 관리부(21)와 트래블러 관리부(22)는 전자 결재 방식을 활용하여 결재 요청 정보를 다음 결재자에게 전자 메일로 발송할 수 있다.
상기 선행호기의 트래블러 정보는 작업도면(DWG), 작업절차서(PS), 작업지침서(WI), 용접 절차 규격서(Welding Procedure Specification, 이하 'WPS'라 함)를 포함할 수 있다.
품질보증 관리부(23)는 제작 작업 완료시 검사기록 및 검사보고서에 기초해서 부분 품질보증서 및 최종 품질보증서를 작성하고, 내부 및 고객의 승인 절차를 거쳐 품질보증 기록을 문서 보관 시스템(60)으로 이관할 수 있다.
상기 부분 품질보증서는 트래블러 단위로 작성된 품질보증서이고, 상기 최종 품질보증서는 각 제작품 단위로 작성된 품질보증서를 말한다.
용접 관리부(24)는 용접사 관리 시스템(64)과 연계하여 용접 자재 통제, 용접 사양서, 용접자재 불출 관리를 수행하고, 용접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유자격 용접사를 조회할 수 있다.
공장정보단말기(50)는 작업이 수행되는 각 공장에 설치되고, 생산 관리 서버(20)로부터 제공되는 작업공정, 도면 및 트래블러를 표시하며, 작업이 완료된 공정을 실시간으로 등록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함께, 공장정보단말기(50)는 해당 작업을 수행한 작업자로부터 성명, 작업 내용 및 시간을 입력받고, 퇴근 전 작업 내용을 확인하여 본인 인증 후 서명하게 함으로써, 품질 실명제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는 공장정보단말기의 예시도이다.
공장정보단말기(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오스크(kiosk)로 마련되고, 작업자의 조작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표시 및 입력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51)과 사용자 식별 및 권한 관리를 위한 지문인식 모듈(52)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작업자는 휴대전화기나 태플릿 PC, 노트북과 같은 휴대단말을 이용해서 인터넷망이나 이동통신망을 통해 생산 관리 서버(20)에 접속할 수도 있다.
한편, 생산 관리 서버(20)는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10) 외부의 인터넷망과 내부 전용 통신망 사이에 설치되어 전송되는 정보를 선별해서 수용, 거부, 수정하는 보안 모듈(firewall)(26)과 사용자 식별 및 권한을 관리하는 인증 모듈(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 모듈(27)은 작업단말(40) 또는 공장정보단말기(50)를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 예컨대 아이디(ID)와 패스워드(Pasword), 지문정보를 사전에 등록하여 저장하고, 비 권한자의 접속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인증 모듈(27)은 사용자별 아이디, 패스워드를 직접 입력받거나, 작업단말(40)이나 공장정보단말기(50)에 마련된 지문인식 모듈(52)로부터 인식된 지문정보를 이용해서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권한을 인증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모듈(27)은 사용자 정보 유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개인 정보 수입 및 이용 동의 과정을 거쳐 사용자 정보를 등록해서 저장하고, 사용자별 지문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인증 모듈(27)은 사용자의 입사, 직무변경, 부서 이동 및 퇴사에 이르기까지 계정 및 관한을 생성, 변경, 삭제하고, 사용자에게 부여된 권한에 따라 생산 관리 서버(20)의 각 정보에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생산 관리 서버(20)는 작업공정에 따라 작업을 수행한 결과를 문서 관리 시스템(60), ERP 시스템(61), 공정관리 시스템(62) 및 실적 관리 시스템(63)으로 전달해서 각 시스템에 저장된 정보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데이터 관리 서버(30)는 각종 정보를 이중화해서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31)를 포함하고, 시스템의 장애나 화재, 침수 등의 재난에 대비해서 원격지에 별도의 마련되는 백업 데이터 베이스(32)에 백업 데이터를 이중화해서 보관할 수 있다.
특히, 데이터 관리 서버(30)는 원자력 생산 관련 데이터인 경우, 프로젝트 종료 후 30년이 초과되면 별도의 백업 스토리지(33)에 이중화해서 보관할 수 있다.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의 S10단계에서 작업단말(40)은 기존에 하드 복사(hardcopy) 방식으로 운영되던 품질계획서를 생산 관리 서버(20)에 접속해서 작성한다.
이때, 보안 모듈(26)은 생산 관리 서버(20)에 접속하고자 하는 작업단말(40)이 내부 네트워크 사용자인지 여부를 검사하고, 내부 네트워크 사용자만 접속을 허용한다.
인증 모듈(27)은 작업단말(40)의 사용자로부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 정보에 부여된 권한을 확인해서 인증한다.
생산 관리 서버(20)의 품질계획 관리부(21)는 작업이 완료된 선행호기의 품질계획서 또는 트래블러를 검색해서 제공하고, 작업단말(40)은 제공된 선행호기의 품질계획서 또는 트래블러의 공정을 복사해서 용이하게 신규 품질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는 품질계획서 작성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단말(40)의 초기화면 상단에는 품질계획서, 트래블러, 용접, 품질보증서류, 자재관리, 시스템관리, 키오스크, 전자결재 메뉴가 표시되고, 품질계획서 메뉴가 선택되면, 화면의 일측에는 품질계획서 조회, 작성, 개정, 배포, 운영 등 품질계획서의 세부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품질계획 관리부(21)는 작성된 품질계획서의 승인을 위해 다음 결재자에게 전자메일을 통해서 결재 요청 정보를 발송한다. 이에 따라, 결재자는 결재 요청 메일이 수신되면, 해당 품질계획서의 내용을 검토하고 승인할 수 있다.
이어서, 작업단말(40)은 작성된 품질계획서에 기초해서 신규 트래블러를 작성한다(S20).
상게하게 설명하면, 신규 트래블러 작성을 위해, 트래블러 관리부(22)는 문서 관리 시스템(60)과 연계하거나 작업이 완료된 선행호기의 트래블러를 검색해서 제공하고, 작업단말(40)은 제공된 선행호기의 트래블러 정보를 복사해서 용이하게 신규 트래블러를 작성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래블러에는 제작품의 공정단위로서 작업 순서 및 관련 참고문서가 기록된다.
예를 들어, 도 5는 트래블러 작성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단말(40)의 초기화면에 표시된 트래블러 메뉴가 선택되면, 화면 일측에는 트래블러 조회, 작성, 개정, 배포, 운영, 현장변경, 체크시트, 검사관리, 품질실명제 등의 세부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문서 관리 시스템(60)은 작업도면(DWG), 작업절차서(PS), 작업지침서(WI), 용접 절차 규격서(WPS)와 같은 적용문서를 트래블러 관리부(22)에 제공한다.
그리고 트래블러 관리부(22)는 신규 작성된 트래블러를 내부 및 고객 승인절차를 거쳐 저장하고, 저장된 제작기술문서를 작업단말(40)이나 공장정보단말기(50)로 배포하며, 문서 개정을 포함하는 변경 사항 및 변경이력을 저장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관리화면에 표시된 세부 메뉴를 선택하고, 해당 화면에서 링크 버튼을 클릭하여 관련문서를 확인하고, 필요한 내용을 복사해서 신규 트래블러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신규 트래블러 작성이 완료되면, 생산 관리 서버(20)는 트래블러의 주요 정보를 ERP 시스템(61) 및 공정관리 시스템(62)으로 전송해서 등록한다(S30).
이에 따라, 작업자는 공장정보단말기(50)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거나, 지문인식 모듈을 이용해서 지문을 인식시켜 사용자 인증을 받는다.
공장정보단말기(50)는 생산 관리 서버(20)에서 배포된 트래블러를 화면에 표시하고, 작업자는 트래블러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여 제작품을 제작한다.
이때, 공장정보단말기(50)는 작업을 수행한 작업자로부터 성명, 작업 내용 및 시간 등의 실정 정보를 입력받고, 퇴근 전 작업 내용을 확인하여 본인 인증 후 서명하게 함으로써, 품질 실명제를 구현한다(S40).
한편, 현장 관리자는 트래블러 내용을 확인하고, 작업공정을 수행하기 이전 또는 수행하는 과정에서 트래블러 내용을 현장 변경(shop change)할 수 있다.
그러면, 트래블러 관리부(22)는 현장 변경 내용을 반영하여 트래블러를 수정하고, 변경사항 이력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트래블러 관리부(22)는 작업단말(40)이나 공장정보단말기(50)로부터 현장 변경 조회 요청의 수신되면, 해당 현장 변경 내용 및 이력 정보를 검색해서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용접관리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정보단말기(50)의 초기화면에 표시된 용접 메뉴가 선택되면, 화면 일측에는 용접자재관리표, 용접지도, 용접자재불출카드, 유자격 용접사 조회 등의 세부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용접 관리부(24)는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문서 관리 시스템(60)과 연계하여 각 문서를 제공하고, 용접사 관리 시스템(64)과 통신을 수행해서 유자격 용접사 테이블(Table of Certified Welder, 이하 'TCW'라 함)과 연계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에 대한 유자격 용접사를 조회하고, 해당 공정에 조회된 용접사를 적용해서 용접 관리를 수행한다(S50).
이때, 용접 관리부(24)는 용접봉 불출카드(Weld Material Issue Card)를 이용해서 용접 지도 및 용접 자재관리 문서를 전산화하여 관리함에 따라, 용접자재의 오불출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도 7은 용접봉 불출카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관리부(24)는 작업공정별 용접자재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공장정보단말기(50)에 제공하고, 용접 지도 및 용접 자재관리 문서와 연계하여 검증된 용접사만이 허용된 용접 자재만을 용접봉 불출카드에 기입할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어서, 생산 관리 서버(20)는 각 프로젝트별 공정정보를 ERP 시스템(61)으로 전송하고, 공정완료 서명이 입력되면 공정완료 정보 및 실적(man hour) 정보를 각각 공정관리 시스템(62)과 실적관리 시스템(63)에 전송해서 동기화한다(S60).
한편, 용접작업 완료 후, 작업자는 공장정보단말기(50)의 화면에 표시된 검사 신청 메뉴를 선택해서 검사 신청서를 작성하여 전송하고, 검사원은 용접 작업에 대한 비파괴 검사를 수행한 후 작업단말(40)이나 공장정보단말기(50)를 이용해서 검사 결과에 따른 검사보고서를 작성해서 등록한다(S70).
예를 들어, 도 8은 트래블러 운영 상세 화면의 예시도이다.
만약, 트래블러에 기재된 내용과 작업공정의 검사 결과가 불일치하는 경우, 작업자는 도 8에 도시된 화면 하부에 표시된 'HOLD' 메뉴(A)를 클릭하여 작업 보류 요청을 입력하고, 트래블러 관리부(22)는 불일치 보고서(NonConformance Report)를 작성하며, 트래블러에 보류 태그(Hold Tag)를 부착해서 해당 작업공정을 잠금(Lock) 설정하여 작업 진행을 방지한다.
이어서, 트래블러 관리부(22)는 불일치 작업에 대한 보수 트래블러를 작성한다.
한편, 트래블러 관리부(22)는 불일치 작업공정과 관련이 없는 다른 작업공정을 중지시키지 않고 지속적으로 수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도 8에 도시된 화면에서 'CR(조건부 해제, Conditional Release)' 메뉴(B)를 클릭하여 해당 작업공정의 조건부 해제를 요청하고, 트래블러 관리부(22)는 해당 작업공정을 조건부 해제 설정한다.
물론, 본 발명은 작업자의 요청이 없더라도 트래블러 관리부(22)에서 불일치 작업공정과 관련이 없는 다른 작업공정을 자동으로 조건부 해제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공장정보단말기(50)의 화면 상부에 표시된 'HOLD' 메뉴(C)와 'CR' 메뉴(D)를 선택해서 현재 수행할 작업공정의 보류 또는 조건부 해제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해서 오작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품질보증기록 관리부(23)는 일치 작업공정에 대한 트래블러 단위의 부분 품질보증서를 작성하고, PDF와 같은 이미지 파일로 저장한다(S80).
이때, 품질보증기록 관리부(23)는 작성된 부분 품질보증서를 ERP 시스템(61) 및 문서 관리 시스템(60)으로 전송해서 동기화한다.
마지막으로, 품질보증기록 관리부(23)는 부분 품질보증서를 이용해서 해당 제작품 단위의 최종 품질보증서를 작성하고, PDF와 같은 이미지 파일로 저장해서 보관한다(S90).
최종 품질보증서는 자재일람표, 자재성적서, 검사기록서, 용접기록서 및 고객에게 요청받은 기타 고객제출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품질보증기록 관리부(23)는 작성된 부분 품질보증서 및 최종 품질보증서를 작업단말(40)에 제공하고, 내부 및 고객의 승인 과정을 거쳐 검사기록 보관 시스템으로 이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제작품의 제작 과정에서 요구되는 제작기술문서의 작성, 배포, 변경 작업을 전산화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제작품의 제작 과정에서 요구되는 제작기술문서의 작성, 배포, 변경 작업을 전산화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기술에 적용된다.
10: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20: 생산 관리 서버 21: 품질계획 관리부
22: 트래블러 관리부 23: 품질보증기록 관리부
24: 용접 관리부 25: 자재 관리부
26: 보안 모듈 27: 인증 모듈
30: 데이터 관리 서버 31: 데이터베이스
32: 백업 데이터베이스 33: 백업 스토리지
40: 작업단말 50: 공장정보단말기
51: 터치스크린 52: 지문인식 모듈
60: 문서 관리 시스템 61: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62: 공정관리 시스템 63: 실적관리 시스템
64: 용접사 관리 시스템

Claims (18)

  1. 작업을 위한 제작기술문서의 작성, 배포, 개정 정보와 품질계획정보를 관리하는 생산 관리 서버 및
    상기 생산 관리 서버에서 관리하는 각 정보를 이중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 관리 서버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작업공정을 설계하여 제작기술문서를 작성하는 작업단말 및
    상기 제작기술문서에 기재된 작업공정을 확인하고 제작기술문서와 도면을 활용하는 공장정보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 관리 서버는 품질계획의 운영, 품질 계획서의 작성, 개정 및 배포를 관리하는 품질계획 관리부와
    상기 제작기술문서로서 제작품의 공정단위로 작업순서 및 관련 참고 문서를 기록한 트래블러의 작성, 배포 및 개정 정보를 관리하는 트래블러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 관리 서버는 각 작업공정의 트래블러 단위의 부분 품질보증서 및 제작품 단위의 최종 품질보증서를 작성하고 관리하는 품질보증기록 관리부,
    사내에 구축된 용접사 관리 시스템과 연계하여 용접 자재 통제, 용접 사양서, 용접자재 불출, 유자격 용접사를 관리하는 용접 관리부 및
    자재 일람표를 관리하는 자재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 관리 서버는
    사내에 구축된 문서 관리 시스템,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공정관리 시스템, 실적관리 시스템 및 용접사 관리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각 시스템과 정보를 동기화시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 관리 서버는
    상기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외부의 인터넷망과 내부 전용 통신망 사이에 설치되어 전송되는 정보를 선별해서 수용, 거부, 수정하는 보안 모듈과
    사용자 식별 및 권한을 관리하는 인증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장정보단말기는
    상기 표시 및 입력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과
    사용자 식별 및 권한을 관리하도록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8. (a) 작업단말에서 생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품질계획서와 제작기술문서를 작성하는 단계,
    (b) 상기 품질계획서와 제작기술문서를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
    (c) 공장정보단말기에서 상기 제작기술문서를 확인해서 작업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d) 작업된 제품의 검사 결과에 기초해서 품질보증서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e) 상기 작업단말이 생산 관리 서버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내부 네트워크 사용자인지 여부를 검사하고, 내부 네트워크 사용자만 접속을 허용하는 단계 및
    (f) 상기 작업단말이나 공장정보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 정보에 부여된 권한을 확인해서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작업단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선행호기의 품질계획서 및 작업공정 단위로 작업 순서 및 관련 참고문서를 기록하는 제작기술문서인 트래블러를 조회하는 단계,
    (a2) 조회된 선행호기의 품질계획서 또는 트래블러의 내용을 복사하여 신규 품질계획서를 작성하는 단계,
    (a3) 상기 작업단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선행호기의 트래블러를 조회하는 단계 및
    (a4) 조회된 선행호기의 트래블러의 내용을 복사하여 신규 트래블러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5) 작성된 품질계획서 또는 트래블러를 승인하도록 전자 결재 방식을 이용해서 결재자에게 전자 메일을 발송하는 단계 및
    (a6) 결재자의 결재가 완료되면, 해당 품질계획서를 작업단말 및 공장정보단말기로 배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공장정보단말기를 이용해서 트래블러의 내용을 현장 변경하는 단계 및
    (c2) 상기 현장 변경 사항 및 변경사항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3)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문서 관리 시스템과 연계하여 각 문서를 제공하는 단계,
    (c4) 용접사 관리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해서 유자격 용접사 테이블과 연계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에 대한 유자격 용접사를 조회하는 단계 및
    (c5) 상기 (c4)단계에서 조회된 용접사를 작업공정에 적용해서 용접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6) 작업공정별 용접자재 리스트를 표시하고, 용접 지도 및 용접 자재관리 문서와 연계하여 검증된 용접사만이 허용된 용접 자재만을 용접봉 불출카드에 기입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7) 작업공정이 완료되면 해당 공정을 수행한 작업자의 성명, 작업내용 및 시간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및
    (c8) 각 프로젝트별 공정정보를 전자적 자원관료 시스템로 전송하고, 공정완료 서명이 입력되면 공정완료 정보 및 실적 정보를 각각 공정관리 시스템과 실적관리 시스템에 전송해서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의 제어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d1) 검사결과에 기초해서 검사보고서를 작성하는 단계,
    (d2) 상기 검사결과 트래블러의 내용과 일치하는 작업 공정에 대한 트래블러 단위의 부분 품질보증서를 작성하는 단계 및
    (d3) 상기 부푼 품품질 보증서를 이용해서 해당 제작품 단위의 최종 품질 보증서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d4) 상기 검사결과 트래블러의 내용과 불일치하는 작업공정에 대한 불일치 보고서를 작성하는 단계,
    (d5) 불일치 작업공정의 트래블러에 보류 태크를 부착해서 해당 작업공정을 잠금 설정하여 작업 진행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읕 특징으로 하는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d6) 상기 불일치 작업공정과 관련이 없는 다른 작업공정을 진행하도록 조건부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30150404A 2013-12-05 2013-12-05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585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404A KR101585553B1 (ko) 2013-12-05 2013-12-05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404A KR101585553B1 (ko) 2013-12-05 2013-12-05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276A true KR20150065276A (ko) 2015-06-15
KR101585553B1 KR101585553B1 (ko) 2016-01-14

Family

ID=53504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404A KR101585553B1 (ko) 2013-12-05 2013-12-05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5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607A (ko) * 2016-11-30 2018-06-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
CN111882175A (zh) * 2020-07-08 2020-11-03 中山市金马科技娱乐设备股份有限公司 游乐设施产品全生命周期数字化工厂管理系统及管理方法
KR20220090721A (ko)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신영 용접 레이아웃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607A (ko) * 2016-11-30 2018-06-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
CN111882175A (zh) * 2020-07-08 2020-11-03 中山市金马科技娱乐设备股份有限公司 游乐设施产品全生命周期数字化工厂管理系统及管理方法
KR20220090721A (ko)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신영 용접 레이아웃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553B1 (ko)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3058B2 (en) E-signature
US8447680B2 (en) Business transaction facilitation system
US20090125359A1 (en) Integrating a methodology management system with project tasks in a project management system
US20050055239A1 (en) Aircraft maintenance records server
CA24647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ork management for facility maintenance
EP16926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igning task-oriented roles to users
CN111210104A (zh) 一种基于云平台的施工图数字化联合协同审查系统及方法
US85388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automated auditing and viewing of transaction documents
CN110770771A (zh) 用于管理临时工的系统和界面
JP2018530092A (ja) 知的財産ポートフォリオ管理システム
KR20200036488A (ko) 통합보안업무관리장치 및 통합보안업무관리방법
KR101585553B1 (ko)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US200800978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and managing a manufacturing process
KR20190092442A (ko) 현장의 위험 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8874476B1 (en) Automated federal court filing system
KR20120122392A (ko) 제품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자재명세서 관리방법 및 자재명세서 관리시스템
CN113238998B (zh) 一种财务凭证归档及处理信息提示系统
JP2007087268A (ja) コマンド生成システムと方法およびコマンド実行制御システムと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と業務処理システム
US118205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ertifying aircrafts and components of aircrafts
KR101108121B1 (ko) 부품 생산을 위한 공정관리 방법
James et al. e‐Distribution: Internet‐based management of a merchandiser supply chain
JP6836295B2 (ja) 会計処理システム、会計処理装置、会計処理プログラム及び会計処理方法
JP2003141313A (ja) ワークフローシステム、及びナレッジ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
US20240185199A1 (en) Payment remittance support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ayment remittance support method, and storage medium
JP5686488B2 (ja) 産業財産権の情報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