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0721A - 용접 레이아웃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용접 레이아웃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0721A
KR20220090721A KR1020200181519A KR20200181519A KR20220090721A KR 20220090721 A KR20220090721 A KR 20220090721A KR 1020200181519 A KR1020200181519 A KR 1020200181519A KR 20200181519 A KR20200181519 A KR 20200181519A KR 20220090721 A KR20220090721 A KR 20220090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information
layout
management server
data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4711B1 (ko
Inventor
이재수
이상진
이동훈
임창용
김동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영
Priority to KR1020200181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711B1/ko
Publication of KR20220090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23K31/125Weld quality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 Die Bonding (AREA)

Abstract

본 개시 내용은 용접 레이아웃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상기 시스템은, 제품 설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용접 공정을 위한 용접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상기 용접 공정에서의 용접 품질을 예측하고, 상기 용접 레이아웃과 연계된 용접 기술 문서들을 정의하도록 구성되는 용접 관리 서버; 및 상기 용접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용접 장비를 제어하는 각각의 T/C로 해당 T/C에서의 용접 공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각각의 T/C로부터 수집된 용접 결과 정보를 상기 용접 관리 서버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T/C 운용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 따르면, 용접 공정을 위한 용접 레이아웃의 정보와 용접 기술 문서들의 정보를 매칭시켜 자동화된 문서 생성 및 정확한 정보관리가 가능하고, T/C에서 실시간으로 수행되는 용접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용접 품질을 예측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용접 레이아웃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DATA PROCESSING METHOD FOR GENERATING WELD LAYOUT}
본 개시 내용은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 레이아웃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부품과 같은 제품 제작을 위한 부품들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부품설계정보에 따라 부품 재료를 규격화된 크기로 절단(blanking)하고, 금형에 장착하여 프레싱(pressing)하고, 성형된 부품들을 지그에 고정하여 조립(assembly)하고, 제조된 부품을 검사(inspection)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부품 제조 공정은 공정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부품의 품질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부품 조립시에 용접설계사항에 따라 정확하게 각 조립공정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동화시스템에서 T/C들을 제어하고 용접 결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개발 단계별, 개발 주체별로 생성되는 용접 설계 데이터들이 통일적으로 작성되지 못하여 용접 설계 데이터에 따라 정확하게 용접작업이 이루어지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과다한 비용 및 시간이 투여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용접 설계 데이터들이 제조 공정들에 통일적으로 연동되고 정확한 용접 품질 예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5276호(2015.06.15)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 내용은 용접 레이아웃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접 레이아웃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 제시된다. 상기 시스템은, 제품 설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용접 공정을 위한 용접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상기 용접 공정에서의 용접 품질을 예측하고, 상기 용접 레이아웃과 연계된 용접 기술 문서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용접 관리 서버; 및 상기 용접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용접 장비를 제어하는 각각의 T/C로 해당 T/C에서의 용접 공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각각의 T/C로부터 수집된 용접 결과 정보를 상기 용접 관리 서버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T/C 운용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품 설계 데이터는 용접 위치 정보 및 용접 번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용접 레이아웃은 상기 용접 위치 정보, 상기 용접 번호 정보, 공정 정보 및 용접 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 관리 서버는, 상기 용접 위치 정보 및 상기 용접 번호에 의해 특정되는 각각의 용접점에 적용될 공정 및 용접 타입을 결정하고, 제품의 용접을 위한 적용될 공정들의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공정 및 용접 타입과 상기 공정들의 순서 정보가 배치된 상기 용접 레이아웃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용접 레이아웃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정 정보는 공정 명칭, 공정내 번호, 용접수량, T/C 번호 정보 및 로봇 번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 결과 정보는 각각의 T/C에서 수집된 용접점에 대한 용접 너겟경 값 및 용접 너겟 강도 값을 포함하고, 상기 용접점에 대한 용접 너겟경 값 및 용접 너겟 강도 값은 상기 용접 기술 문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문서에 매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 관리 서버는, 복수의 T/C들로부터의 용접 너겟경 값들 및 용접 너겟 강도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용접 공정에서의 용접 너겟경의 추이 및 용접 너겟 강도의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미리 결정된 기준 대비 용접 품질을 예측 및 보고하도록 구성되는 용접 품질 예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 관리 서버는, 상기 용접 레이아웃에 있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매핑되는 용접 기술 문서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용접 기술 문서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접 기술 문서들은 용접 조건 관리 대장, 용접 조견표, 신차 용접 검사 기준서, 양산 용접 검사 기준서, 비파괴 검사 기준서, 파괴 검사 기준서 및 드라이브 체크 기준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 관리 서버는 상기 용접 레이아웃에 있는 정보 또는 상기 용접 기술 문서들에 있는 정보의 수정시에 상기 용접 레이아웃 및 상기 용접 기술 문서들의 대응하는 정보를 수정된 정보로 자동적으로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 관리 서버는 상기 용접 레이아웃에 있는 용접 번호 정보와 상기 용접 기술 문서에 있는 용접 번호 정보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용접 레이아웃에 있는 다른 정보와 상기 다른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용접 기술 문서에 있는 정보가 상이하면 정보 불일치 경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 따르면, 용접 공정을 위한 용접 레이아웃의 정보와 용접 기술 문서들의 정보를 매칭시켜 자동화된 문서 생성 및 정확한 정보관리가 가능하고, T/C에서 실시간으로 수행되는 용접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용접 품질을 예측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개시 내용에 따르면, 용접 조건 및 공정 수정시 제품 설계 데이터, 용접 레이아웃 및 용접 기술 문서들의 대응하는 정보를 자동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어 용접 공정 시뮬레이션 및 모니터링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개시 내용에 따르면, 용접 레이아웃에 기초한 통합되고 연동되는 데이터 처리를 통하여 설계/양산시의 검증을 위한 노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레이아웃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식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서비스 화면이다.
도 3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생산 현황 및 용접 품질 현황을 표시하는 예시적인 서비스 화면이다.
도 4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품질 예측 기능을 제공하는 예시적인 서비스 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발명들은 폭넓은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시되는 임의의 특정한 구조, 기능 또는 이들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라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발명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서 제시되는 하나의 양상이 임의의 다른 양상들과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이러한 양상들이 다양한 방식들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더하여 또는 이들 양상들이 아닌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이용하여 이러한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레이아웃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식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처리 시스템(100)은 용접 관리 서버(200), T/C 운용 서버(300) 및 복수의 T/C 매니저들(410, 420, 430)과 그에 연결된 T/C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용접 관리 서버(200)는 제품 설계 데이터(110)에 기초하여 용접 공정을 위한 용접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용접 공정에서의 용접 품질을 예측하고, 용접 레이아웃과 연계된 용접 기술 문서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 설계 데이터(110)는 해당 제품 또는 부품에 대한 설계 정보를 포함하는 2D CAD 데이터 또는 카티아(CATIA)와 같은 3D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제품 설계 데이터(110)는 제품을 구성하는 파트들의 용접 위치 정보 및 용접 번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C 운용 서버(300)는 복수의 T/C 매니저들(410, 420, 430)과 연결되어 있으며, 용접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용접 장비를 제어하는 각각의 T/C로 해당 T/C에서의 용접 공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각각의 T/C로부터 수집된 용접 결과 정보를 용접 관리 서버(2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T/C 매니저(410, 420, 430)는 각 조립 라인을 관리하며, 각 조립 라인은 복수의 T/C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각 조립 라인은 다른 종류(예를 들어, 다원시스 제품, 오바라 제품, 조웰 제품 등)의 T/C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이한 종류의 T/C들은 공정 수행을 위한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T/C 운용 서버(300)와 T/C 매니저들(410, 420, 430) 사이에는 통신을 위한 게이트웨이가 존재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는 상이한 통신 방식(예를 들어, 산업용 IoT,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등)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T/C 운용 서버(300) 및 T/C 매니저들(410, 420, 43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생산 관리 서버(500)는 용접 관리 서버(200)에서 관리하는 용접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시설의 전체 제조 공정을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 용접 관리 서버(200)는 생산 관리 서버(500)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경우 용접 관리 서버(200)에서 생성된 용접 레이아웃 데이터, 용접 품질 예측 결과 및 용접 기술 문서들을 생산 관리 서버(500)로 보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접 관리 서버(200)는 용접 레이아웃 생성부(210), 용접 품질 예측부(220) 및 용접 기술문서 관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용접 레이아웃 생성부(210)는 제품 설계 데이터(110)에 있는 용접 위치 정보 및 용접 번호에 의해 특정되는 각각의 용접점에 적용될 공정 및 용접 타입을 결정하고, 제품의 용접을 위한 적용될 공정들의 순서를 결정하고, 공정 및 용접 타입과 공정들의 순서 정보가 배치된 용접 레이아웃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접 레이아웃은 용접 위치 정보, 용접 번호 정보, 공정 정보 및 용접 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정 정보는 공정 명칭, 공정내 번호 정보, 용접수량, T/C 번호 정보 및 로봇 번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용접 타입 정보는 로봇/PED 정보, 용접 타입(공압/서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 내용의 용접 레이아웃은 제품 제조를 위해 필요한 각각의 용접점에 대하여 특정 공정이 적용되고, 해당 공정 수행을 위해 특정 T/C 및 특정 로봇을 사용하고, 특정 용접 타입을 적용하고, 어떠한 공정 순서로 진행하는지를 정의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용접 레이아웃은 2D 또는 3D 설계 데이터에 표시된 각 용접점에 전술한 공정 및 용접 정보가 매핑되어 있고 용접점들에 대한 용접 순서가 매핑되어 있는 2D 또는 3D 데이터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용접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지정된 T/C 및 용접 장비들에서 용접 공정이 수행되면, 용접 품질 예측부(220)는 각각의 T/C로부터 수집된 용접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용접 결과 정보는 용접 전류, 용접 전압, 용접 시간, 해당 용접점에 대한 용접 너겟경 값 및 용접 너겟 강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접 결과 정보는 각 T/C의 모니터링을 위한 가압력, 냉각수 온도, 용접 누락 여부 정보, 팁드레싱 상태, 팁 상태, 생산 수량, 에러발생시 에러 메시지 등의 추가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용접점에 대한 용접 너겟경 값 및 용접 너겟 강도 값은 후술할 바와 같이 용접 기술 문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문서(예를 들어, 신차 용접 검사 기준서 또는 양산 용접 검사 기준서)에 매핑될 수 있다.
용접 품질 예측부(220)는 복수의 T/C들로부터의 용접 너겟경 값들 및 용접 너겟 강도 값들에 기초하여 용접 공정에서의 용접 너겟경의 추이 및 용접 너겟 강도의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미리 결정된 기준 대비 용접 품질을 예측 및 보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접 품질 예측부(220)는 요구되는 용접 품질을 만족시킬 수 있는 용접 작업에 대한 표준 용접 너겟경 범위 기준 및 표준 용접 너겟 강도 범위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용접 레이아웃에서 정의된 순서대로(예를 들어, 용접 번호 1, 용접 번호 2, 용접 번호 3...의 순서대로) 용접점들에 대하여 용접이 진행되면서, 용접 품질 예측부(220)는 수집된 용접 너겟경 값들 및 수집된 용접 너겟 강도 값들의 추이를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으며, 각 그래프의 추이를 분석하여 용접 공정 완료시 결과적인 용접 너겟경 및 용접 너겟 강도가 표준 용접 너넷경 범위 기준 및 표준 용접 너겟 강도 범위 기준을 만족할 것인지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용접 품질 예측부(220)는 예측된 용접 너겟경 또는 예측된 용접 너겟 강도가 표준 기준을 벗어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시스템 운용자에게 예측 결과를 보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측 결과 보고는 예측값들과 함께 용접 상태 점검을 요청하는 경보(예를 들어, 하이라이팅, 팝업, 오디오 출력 등)를 생성할 수 있다.
용접 기술 문서 관리부(230)는 용접 레이아웃에 있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매핑되는 용접 기술 문서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접 기술 문서들은 용접 조건 관리 대장, 용접 조견표, 신차 용접 검사 기준서, 양산 용접 검사 기준서, 비파괴 검사 기준서, 파괴 검사 기준서 및 드라이브 체크 기준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예시적인 용접 레이아웃 및 용접 기술 문서들에 포함되는 정보들의 종류는 표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표 1과 같은 예에서, 용접 레이아웃은 용접 설계 번호 정보, 해당 시스템에서 정의된 자체 용접 번호 정보, 공정 명칭, 용접수량, T/C 번호 정보, 로봇 번호 정보, 로봇/PED 정보, 용접 타입(공압/서보) 정보, 용접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 1의 예에서, 용접 기술 문서 중 용접 조건 관리 대장은 해당 시스템에서 정의된 자체 용접 번호 정보, 공정 명칭, 용접수량, T/C 번호 정보, 로봇 번호 정보, 로봇/PED 정보, 용접 타입(공압/서보) 정보, 용접 계열 번호 정보, 용접 조건 정보, 소재 정보, 소재별 두께 정보, 총두께 정보 및 용접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기술 문서들인 용접 조건표, 신차 용접 검사 기준서, 양산 용접 검사 기준서, 비파괴 검사 기준서, 파괴 검사 기준서 및 드라이브 체크 기준서는 표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정보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표 1은 용접 레이아웃 및 용접 기술 문서들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 종류를 예시한 것이며, 구현예에 따라 표 1에서 표시되지 않은 정보 값들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접 레이아웃 정보는 구현예에 따라 용접 계열 번호 정보, 용접 조건 정보 등 용접 공정 관련 추가적인 정보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용접 레이아웃 및 용접 기술 문서들은 적어도 표 1에 예시된 1.1 내지 11의 정보 필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접 기술 문서 관리부(230)는 특정 정보 필드(예를 들어, 용접 번호 정보 필드)의 값을 기준으로 용접 레이아웃과 용접 기술 문서들을 연계시킬 수 있다. 용접 기술 문서 관리부(230)는 용접 레이아웃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용접 레이아웃의 정보 필드들에 입력된 값이 용접 기술 문서들의 해당 정보 필드들에 매핑되도록 용접 기술 문서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용접 기술 문서 관리부(230)는 동일한 용접 번호 값을 갖는 용접 기술 문서들을 매핑되는 용접 기술 문서들로서 결정하고, 해당 용접 기술 문서들 간에도 동일한 정보 필드의 입력값들이 동일하게 매핑되도록 용접 기술 문서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용접 기술 문서 관리부(230)는 정의된 정보 필드들을 갖는 미리 결정된 파일 형식 또는 문서 폼(document form)(예를 들어, 액셀(excel) 파일, 워드(word) 파일 등)으로 용접 기술 문서들을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은 이러한 용접 레이아웃 및 용접 기술 문서들의 연계 처리를 통하여 특정 용접 공정에 대한 데이터들이 항상 연동되어 동기화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최소한의 관리 노력으로 정확한 용접 정보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용접 관리 서버(200)는 용접 레이아웃에 있는 정보 또는 용접 기술 문서들에 있는 정보의 수정시에 용접 레이아웃 및 용접 기술 문서들의 대응하는 정보를 수정된 정보로 자동적으로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정된 정보가 제품 설계 데이터(110)와도 연동되는 정보(예를 들어, 용접 위치 정보 또는 용접 번호 정보)인 경우, 용접 관리 서버(200)는 제품 설계 데이터(110), 용접 레이아웃 및 용접 기술 문서들의 해당 정보를 수정된 정보로 자동적으로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용접 관리 서버(200)는 연계된 용접 레이아웃 및 용접 기술 문서들 간의 정보 연동에 대한 검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용접 관리 서버(200)는 용접 레이아웃에 있는 용접 번호 정보와 용접 기술 문서에 있는 용접 번호 정보가 동일한 경우에 용접 레이아웃에 있는 다른 정보 필드의 정보와 다른 정보 필드에 대응하는 용접 기술 문서에 있는 정보가 상이하면 정보 불일치 경보(예를 들어, 하이라이팅, 팝업, 오디오 출력 등)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용접 관리 서버(200)는 전술한 정보 불일치가 발생시에 용접 레이아웃에 있는 해당 정보 필드의 정보로 연계된 용접 기술 문서의 해당 정보 필드의 정보를 수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서비스 화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용접 레이아웃(250)은 제품 설계 데이터(110)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용접 레이아웃(250)은 용접 위치 정보 및 용접 번호에 의해 특정되는 용접점(251)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용접점(251)에는 해당 용접점에 적용될 용접 공정 정보(252)가 매핑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용접점(251)을 선택시 해당 용접점(251)에 대응하는 용접 공정 정보(252)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다른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식(예를 들어, 용접 레이아웃 화면 외부의 미리 결정된 영역)에 따라 조회될 수 있다. 또한, 용접 공정 정보(252)는 해당 용접점(252)의 용접 순서(예를 들어, 용점점 카운트 1, 2, ..., N의 순서)를 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생산 현황 및 용접 품질 현황을 표시하는 예시적인 서비스 화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산 관리 서버(500)는 용접 관리 서버(200)와 연계하여 제품 생산 현황(350) 및 용접 품질 현황(360)을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용접 품질 현황(360)은 용접 공정별로 표시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구분하기 쉽도록 '정상', '위험' 등의 상태 정보가 색깔로 구분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번의 공정은 '위험' 상태로 표시되어 운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시스템 운용자가 용접 품질 현황(360)에 표시된 용접 공정을 선택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품질 예측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품질 예측 기능을 제공하는 예시적인 서비스 화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품질 예측을 위해 용접 관리 서버(200)는 특정 용접 공정(예를 들어, 공정명 S10) 정보와 함께 해당 용접 공정의 용접 순서(예를 들어, 용접 번호 1, 용접 번호 2,... 순으로)에 따라 측정된 너겟경 값, 너겟 강도값 및 용접 상태(예를 들어, 녹색은 '용접완료', 적색은 '용접중') 정보(45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용접 관리 서버(200)는 용접 너겟경 값들 및 용접 너겟 강도 값들의 추이를 그래프(460)로 제공할 수 있으며, 그래프(460)에 기초하여 용접 품질을 예측 및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접 관리 서버(200)는 4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겟경 및 너겟 강도에 대한 예측의견 및 표준 범위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용접상태점검필요' 등과 같은 경보(예를 들어, 하이라이팅, 팝업, 오디오 출력 등)를 생성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 용접 관리 서버(200)는 용접 품질 예측 서비스 화면의 미리 결정된 영역에 용접 레이아웃(480)을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된 레이아웃(480)이 선택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세한 용접 레이아웃(250) 정보 제공 서비스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개시 내용은 용접 관리 서버(200)를 통하여 용접 공정별 용점 품질 예측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태점검필요시 연계된 용접 레이아웃(250) 정보의 조회 및 수정을 통해 용접 공정 수행중 실시간으로 상태 예측, 점검 및 조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유닛(또는 부)",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데이터 처리 시스템
110: 제품 설계 데이터
200: 용접 관리 서버
210: 용접 레이아웃 생성부
220: 용접 품질 예측부
230: 용접 기술 문서 관리부
300: T/C 운용 서버
410, 420, 430: T/C 매니저
500: 생산 관리 서버

Claims (6)

  1. 용접 레이아웃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으로서,
    제품 설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용접 공정을 위한 용접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상기 용접 공정에서의 용접 품질을 예측하고, 상기 용접 레이아웃과 연계된 용접 기술 문서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용접 관리 서버; 및
    상기 용접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용접 장비를 제어하는 각각의 T/C로 해당 T/C에서의 용접 공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각각의 T/C로부터 수집된 용접 결과 정보를 상기 용접 관리 서버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T/C 운용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 설계 데이터는 용접 위치 정보 및 용접 번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용접 레이아웃은 상기 용접 위치 정보, 상기 용접 번호 정보, 공정 정보 및 용접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관리 서버는,
    상기 용접 위치 정보 및 상기 용접 번호에 의해 특정되는 각각의 용접점에 적용될 공정 및 용접 타입을 결정하고, 제품의 용접을 위한 적용될 공정들의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공정 및 용접 타입과 상기 공정들의 순서 정보가 배치된 상기 용접 레이아웃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용접 레이아웃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정 정보는 공정 명칭, 공정내 번호, 용접수량, T/C 번호 정보 및 로봇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결과 정보는 각각의 T/C에서 수집된 용접점에 대한 용접 너겟경 값 및 용접 너겟 강도 값을 포함하고, 상기 용접점에 대한 용접 너겟경 값 및 용접 너겟 강도 값은 상기 용접 기술 문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문서에 매핑되며,
    상기 용접 관리 서버는,
    복수의 T/C들로부터의 용접 너겟경 값들 및 용접 너겟 강도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용접 공정에서의 용접 너겟경의 추이 및 용접 너겟 강도의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미리 결정된 기준 대비 용접 품질을 예측 및 보고하도록 구성되는 용접 품질 예측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관리 서버는,
    상기 용접 레이아웃에 있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매핑되는 용접 기술 문서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용접 기술 문서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접 기술 문서들은 용접 조건 관리 대장, 용접 조견표, 신차 용접 검사 기준서, 양산 용접 검사 기준서, 비파괴 검사 기준서, 파괴 검사 기준서 및 드라이브 체크 기준서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관리 서버는 상기 용접 레이아웃에 있는 정보 또는 상기 용접 기술 문서들에 있는 정보의 수정시에 상기 용접 레이아웃 및 상기 용접 기술 문서들의 대응하는 정보를 수정된 정보로 자동적으로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관리 서버는 상기 용접 레이아웃에 있는 용접 번호 정보와 상기 용접 기술 문서에 있는 용접 번호 정보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용접 레이아웃에 있는 다른 정보와 상기 다른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용접 기술 문서에 있는 정보가 상이하면 정보 불일치 경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20200181519A 2020-12-23 2020-12-23 용접 레이아웃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424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519A KR102424711B1 (ko) 2020-12-23 2020-12-23 용접 레이아웃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519A KR102424711B1 (ko) 2020-12-23 2020-12-23 용접 레이아웃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721A true KR20220090721A (ko) 2022-06-30
KR102424711B1 KR102424711B1 (ko) 2022-07-25

Family

ID=82215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519A KR102424711B1 (ko) 2020-12-23 2020-12-23 용접 레이아웃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71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5771U (ja) * 1983-04-18 1984-11-0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溶接条件監視装置
KR100434206B1 (ko) * 1995-09-19 2004-09-13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자동용접조건설정장치
KR20150065276A (ko) 2013-12-05 2015-06-1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2017068310A (ja) * 2015-09-28 2017-04-0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抵抗スポット溶接のナゲット径予測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当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773790B1 (ko) * 2016-10-27 2017-09-01 (주)에스벡 단말을 이용한 배관용접 관리시스템
KR20200059866A (ko) * 2018-11-22 2020-05-29 유에이치에스(주) 스마트팩토리를 구현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5771U (ja) * 1983-04-18 1984-11-0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溶接条件監視装置
KR100434206B1 (ko) * 1995-09-19 2004-09-13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자동용접조건설정장치
KR20150065276A (ko) 2013-12-05 2015-06-1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2017068310A (ja) * 2015-09-28 2017-04-0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抵抗スポット溶接のナゲット径予測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当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773790B1 (ko) * 2016-10-27 2017-09-01 (주)에스벡 단말을 이용한 배관용접 관리시스템
KR20200059866A (ko) * 2018-11-22 2020-05-29 유에이치에스(주) 스마트팩토리를 구현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711B1 (ko) 202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damenko et al. Review and comparison of the methods of designing the Digital Twin
US11480944B2 (en) CAD-based design control
CN108694496B (zh) 有助于产品缺陷的误差分析的系统和方法
Alves et al. Using augmented reality for industrial quality assurance: a shop floor user study
EP1989671A2 (en) Engineering manufacturing analysis system
US200601298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status and progress of a technical process or of a technical project
US201801071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oss discipline data validation checking in a multidisciplinary engineering system
EP3928209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maintaining visual consistency
Claeys et al. Intelligent author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assembly instructions
CN114782012A (zh) 工装变更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424711B1 (ko) 용접 레이아웃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JP4923638B2 (ja) 知見・ノウハウの体系化データベース構築装置および方法
CN106486391B (zh) 基于mes系统的半导体制造控制方法及系统
JP7080199B2 (ja) 作業工数予測システムおよび作業工数予測システムを備える生産計画立案支援システム
JP7070478B2 (ja) 解析装置、解析方法、及び解析プログラム
EP2060985A1 (en) Functional testing method and device for an electronic product
CN111985074B (zh) 模型化结构分析方法及装置
CN113609698A (zh) 一种基于工艺故障数据库的工艺可靠性分析方法及系统
JP7287801B2 (ja) 解析装置、解析方法、及び解析プログラム
WO2016207991A1 (ja) 三次元cadシステム装置、並びに三次元cadに用いられる知識管理方法
JP2008140036A (ja) 作業支援装置および方法
KR101712701B1 (ko) 캐드 자격시험의 실시구조방법
CN204790978U (zh) 一种焊接的模拟装置
US20230080572A1 (en) System and method to engineer user experience
CN114049075B (zh) 工艺路线创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