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607A -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1607A
KR20180061607A KR1020160160950A KR20160160950A KR20180061607A KR 20180061607 A KR20180061607 A KR 20180061607A KR 1020160160950 A KR1020160160950 A KR 1020160160950A KR 20160160950 A KR20160160950 A KR 20160160950A KR 20180061607 A KR20180061607 A KR 20180061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ag
production
production schedul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8863B1 (ko
Inventor
김관형
강병철
박치수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앤시정보기술주식회사
(주)도울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앤시정보기술주식회사, (주)도울정보기술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0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863B1/ko
Publication of KR20180061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생산일정을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생산일정에 따라 재료의 재고를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고, 작업자가 바코드를 통하여 해당 재료의 수행되어야하는 작업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생산된 완성품에 사용된 각각의 재료를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 {Mobile manufacturing oder system}
본 발명은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생산일정을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생산일정에 따라 재료의 재고를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고, 작업자가 바코드를 통하여 해당 재료의 수행되어야하는 작업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생산된 완성품에 사용된 각각의 재료를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생산관리 방법은 영업부문에서 작성한 예상판매수량에 따라, 필요한 자재를 구입하여, 정해진 시간 내에 원하는 수량만큼의 제품을 생산하도록 생산공정 및 생산기계들을 관리하는 것이었으며, 주된 관리내용은 빠른 시간에 얼마나 많은 물량을 생산해 내는가의 문제였으며, 생산기계의 증가는 곧 물량의 증가만을 의 미하는 것이었다. 관리항목도 정해진 품목에 대하여 요구수량에 도달하였는지 여부와 같은 단순한 항목이었으며, 영업분야의 생산주문 역시 제한된 품목에 대한 요구 수량의 제시에 머무는 수준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생산관리 시스템이 한국등록특허 제10-0871331호로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각자의 개성이 중요시되는 사회풍조의 변화와 함께,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날로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과거와 같이 생산자가 중심이 되어 일률적으로 제품을 생산한 다음 소비자의 구매를 유인하는 형태의 시장구조는 점점 쇠퇴하고, 소비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사양의 제품을 빠른 시간 내에 시장에 출하하는 형태의 생산방식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생산현장의 실제로 생산되는 제품의 종류 및 생산량과 실제 시장의 요구에 따라 출하되어야 할 제품 사이에는 시간적 차이가 발생하여 시장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제품의 옵션사양, 필요수량, 재고현황, 생산현황 등을 수동으로 입력하는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입력오류로 인하여 물량 및 내용의 불일치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최근 들어서 상기 생산관리 관련 행위 및 절차들의 많은 부분이 컴퓨터 네트워크의 발달과 함께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역할이 종래의 오프라인 상에서 문서로 전달되고 집계되던 것들이 온라인으로 전달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계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생산일정을 수정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작업내용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생산지시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71331호 (2008.11.2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생산일정을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생산일정에 따라 재료의 재고를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고, 작업자가 바코드를 통하여 해당 재료의 수행되어야하는 작업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생산된 완성품에 사용된 각각의 재료를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이를 통한 입력이 가능하며 휴대가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모바일기기(100), 상기 모바일기기(110)를 통하여 작업자가 입력한 사용자정보를 확인하여 권한을 확인하는 사용자권한확인서버(210), 미리 입력되어진 월간 및 연간 생산일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생산일정관리서버(220), 상기 생산일정관리서버(220)에서 전송된 해당일의 작업을 관리하는 작업관리서버(230), 상기 작업관리서버(230)에서 지시된 태그를 발행하는 작업태그발행장치(2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바일기기(110)는, 정보가 출력되며 직접 터치 또는 다양한 입력도구를 통하여 직접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모듈(111), 사용자의 지문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지문인식모듈(112), 실시간으로 이미지를 촬영하여 입력이 가능한 카메라모듈(11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사용자권한확인서버(210)는,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에 따른 권한내용이 저장되는 사용자정보DB(211), 사용자의 암호 또는 암호 대용으로 사용되는 인증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인증정보DB(2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생산일정관리서버(220)는, 미리 입력되어진 월간 및 연간 생산일정이 저장되는 생산일정DB(221), 생산에 사용될 재료의 재고정보가 저장되는 재고정보DB(222), 상기 사용자권한확인서버(210)에서 권한이 확인된 사용자의 입력을 통하여 상기 생산일정DB(221)를 수정하고 별도의 DB를 구축하여 상기 생산일정DB(221)에 저장하는 생산일정수정모듈(223), 상기 생산일정DB(221)의 생산일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재고정보DB(222)와 대조하여 적정 재고량을 계산하는 재고관리모듈(22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관리서버(230)는, 상기 생산일정관리서버(220)에서 전송받은 해당일의 작업내용이 기록되는 당일작업DB(231), 상기 당일작업DB(231)의 작업일정정보를 이용하여 당일작업에 사용되는 재료 및 공정에 바코드형태의 태그를 생성시키는 태그발생모듈(232), 상기 태그발생모듈에서 발생된 태그정보가 저장되는 태그정보DB(23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작업태그발행장치(240)는, 물리적인 형태의 태그를 발행하는 태그프린트모듈(241), 전자 데이터 형태의 태그를 발행하는 전자태그발행모듈(24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에 의하면,
생산관리자가 생산일정을 모바일기기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주문 상황 또는 중요생산일정에 따라 일정을 조정하여 실시간으로 월간 및 연간 생산일정에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재고 재료를 생산일정에 맞추어 관리할 수 있어 일정의 추가등의 요인으로 재고 재료의 추가적인 소진이 발생될 경우 자동으로 해당 재료에 대한 발주를 수행하여 재료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재료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각각의 재료 및 공정에 태그가 발생되어 생산된 제품에 작동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될 경우 원인에 대한 추적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어 해당부품의 교체 또는 공정의 개선을 통하여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 흐름도
도 2는 모바일기기의 구성 실시예
도 3은 사용자권한확인서버 실시예
도 4는 생산일정관리서버 실시예
도 5는 작업관리서버 실시예
도 6은 작업태그발행장치 실시예
도 7은 태그정보를 검색하였을 때 화면의 일 실시예
도 8은 작업이 완료된 작업물의 태그를 불러왔을 때 화면의 일 실시예
도 9는 태그정보의 저장 설정 화면의 일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 흐름도이고, 도 2는 모바일기기의 구성 실시예이며, 도 3은 사용자권한확인서버 실시예, 도 4는 생산일정관리서버 실시예, 도 5는 작업관리서버 실시예, 도 6은 작업태그발행장치 실시예, 도 7은 태그정보를 검색하였을 때 화면의 일 실시예, 도 8은 작업이 완료된 작업물의 태그를 불러왔을 때 화면의 일 실시예, 그리고 도 9는 태그정보의 저장 설정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이를 통한 입력이 가능하며 휴대가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모바일기기(100), 상기 모바일기기(110)를 통하여 작업자가 입력한 사용자정보를 확인하여 권한을 확인하는 사용자권한확인서버(210), 미리 입력되어진 월간 및 연간 생산일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생산일정관리서버(220), 상기 생산일정관리서버(220)에서 전송된 해당일의 작업을 관리하는 작업관리서버(230), 상기 작업관리서버(230)에서 지시된 태그를 발행하는 작업태그발행장치(24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생산관리자가 상기 모바일기기(110)을 통하여 상기 생산일정관리서버(220)의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자정보 및 사용자인증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바일기기(11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가 출력되며 직접 터치 또는 다양한 입력도구를 통하여 직접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모듈(111), 사용자의 지문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지문인식모듈(112), 실시간으로 이미지를 촬영하여 입력이 가능한 카메라모듈(11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모바일기기(110)는 내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정보와 함께 pin과 같은 암호입력방식, 지문인식방식, 홍체인식 및 이미지를 통한 사용자 인식방식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의 인증 정보를 상기 사용자권한확인서버(21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보안문제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모바일기기(110)에 입력된 사용자정보 및 사용자인증정보를 상기 사용자권환확인서버(210)에 저장되어있는 사용자정보 및 사용자인증정보와 비교 확인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사용자권한확인서버(210)는,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에 따른 권한내용이 저장되는 사용자정보DB(211), 사용자의 암호 또는 암호 대용으로 사용되는 인증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인증정보DB(2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정보DB(211)의 사용자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인증정보DB(212)의 정보를 확인하여 각각의 정보가 모두 맞을 경우 상기 사용자정보DB(211)에 입력되어 있는 권한에 맞는 내용을 상기 모바일기기(110)에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생산관리자의 경우 상기 생산일정관리서버(220)에 입력되어 있는 생산일정이 출력되며, 이의 수정까지 가능하나, 일반작업자의 경우 생산일정 및 발행된 작업태그의 확인만 가능하다. 이러한 권한의 제어를 통하여 보안사고의 가능성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생산일정관리서버(220)는, 미리 입력되어진 월간 및 연간 생산일정이 저장되는 생산일정DB(221), 생산에 사용될 재료의 재고정보가 저장되는 재고정보DB(222), 상기 사용자권한확인서버(210)에서 권한이 확인된 사용자의 입력을 통하여 상기 생산일정DB(221)를 수정하고 별도의 DB를 구축하여 상기 생산일정DB(221)에 저장하는 생산일정수정모듈(223), 상기 생산일정DB(221)의 생산일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재고정보DB(222)와 대조하여 적정 재고량을 계산하는 재고관리모듈(22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생산일정관리서버(220)는 미리 입력되어진 상기 생산일정DB(221)이 수정된 생산일정DB와 별도로 원본상태를 유지되어 수정된 데이터의 상기 생산일정DB(221)에 오류가 발생될 경우에도 보존될 수 있어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생산일정DB(221)는 1개월 주기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생산일정수정모듈(223)을 통하여 수정된 생산일정DB에 문제가 생기게 될 경우 재 입력되어야할 내용을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재고관리모듈(224)는 상기 생산일정DB(221)와 상기 재고정보DB(222)를 이용하여 적정 재료 재고를 산출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재료를 발주하여 재료 재고가 언제나 적정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적정량이라 함은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생산작업 가능일로서 1일 ~ 31일 사이의 값으로 지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기존에 생산관리자가 직접 재고 수량을 확인하고 추가발주를 통하여 재고를 유지하였을 때 발생될 수 있었던 인적요소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재고 파악 및 유지에 필요하던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생산효율 향상 및 생산단가 절감에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생산일정수정모듈(223)은 생산일정에 대한 추가, 삭제, 홀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관리서버(230)는, 상기 생산일정관리서버(220)에서 전송받은 해당일의 작업내용이 기록되는 당일작업DB(231), 상기 당일작업DB(231)의 작업일정정보를 이용하여 당일작업에 사용되는 재료 및 공정에 바코드형태의 태그를 생성시키는 태그발생모듈(232), 상기 태그발생모듈에서 발생된 태그정보가 저장되는 태그정보DB(23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생산일정관리서버(220)의 생산일정DB(221)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일의 작업 내용이 상기 당일작업DB(231)에 전송되고, 상기 당일작업DB(231)의 작업일정정보에 지시되어 있는 작업에 사용되는 재료 및 공정에 상기 태그발생모듈(232)을 통하여 각각 바코드형태의 태그를 생성하며, 생성된 태그 정보는 상기 태그정보DB(233)에 저장된다. 이를 통하여 생산된 제품에 작동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될 경우 원인에 대한 추적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추적을 통하여 확인된 재료 및 공정의 경우, 재료의 교체 또는 공정의 개선 등을 통하여 불량발생률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작업태그발행장치(240)는, 물리적인 형태의 태그를 발행하는 태그프린트모듈(241), 전자 데이터 형태의 태그를 발행하는 전자태그발행모듈(24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작업태그는 작업공정, 공정에 따른 시방서, 주의사항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재료의 경우 상기 태그프린트모듈(241)에서 프린트된 태그를 부착하여 사용하므로 해당 재료가 사용되어야하는 공정 및 해당 재료의 가공 특성을 확인할 수 있고, 이미지 형태의 전자태그로 상기 사용자권한확인서버(210)의 사용자정보DB(211)에서 확인되는 해당 공정 작업자에게 전송되어 해당 작업자가 이를 확인하고 작업을 시작하여 불량 또는 잘못된 생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태그정보를 검색하였을 때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실시예에서는 해당 태그의 코드, 해당재료의 번호, 해당 부품에 대한 설명, 공정의 파라미터 설정값확인 버튼, 공정 실행유무 확인버튼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와 같은 화면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재료의 사용 공정 및 이의 작업지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파라미터 설정값확인 버튼을 통하여 공정에 입력되야하는 값을 보다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공정 실행유무 확인버튼을 통하여 공정 실행을 바로 보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적요소로 인하여 발생되던 불량 또는 오조립의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작업이 완료된 작업물의 태그를 불러왔을 때 화면의 일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태그정보DB(233)에는 해당 재료가 사용되는 작업에 부여된 “그룹ID", 해당 재료의 가공에 수행된 공정에 부여된 “Job ID", 해당 공정의 수행 여부에 대한 결과값인 “공정결과”, 해당 공정이 실행된 시간인 “공정시간”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생산관리자는 재료의 공정실시흐름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체의 생산스케쥴에 대한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조회”기능을 통하여 날짜별, 기간별로 진행된 작업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생산 제품에 하자 또는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해당 제품의 생산시기를 입력하여 문제가 발생된 제품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어떤작업에서 문제가 발생되었는지 분석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불량 발생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며 빠른 추적이 가능하여 공정의 개선에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공정의 불량률을 최소화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더불어, 도 9의 태그정보의 저장 설정 화면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태그정보DB(233)의 정보 저장기간을 설정이 가능하여, 상기 태그정보DB(233)의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미리 지정된 날짜에 상기 태그정보DB(233)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태그정보DB(233)와 연결된 태그정보백업DB로 백업하고 리셋 함으로써 데이터가 쌓이면서 발생될 수 있는 오류 또는 상기 태그정보DB(233)비대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저장기간별로 분류하여 색인이 보다 편리하므로 보다 빠른 검색이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상기 태그정보DB(233)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장기간 저장을 위한 DB를 보유함으로 이에 대한 이동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모바일기기
111: 터치스크린모듈 112: 지문인식모듈
113: 카메라모듈
210: 사용자권한확인서버
211: 사용자정보DB 212: 사용자인증정보DB
220: 생산일정관리서버
221: 생산일정DB 222: 재고정보DB
223: 생산일정수정모듈 224: 재고관리모듈
230: 작업관리서버
231: 당일작업DB 232: 태그발생모듈
233: 태그정보DB
240: 작업태그발행장치
241: 태그프린트모듈 242: 전자태그발행모듈

Claims (6)

  1.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이를 통한 입력이 가능하며 휴대가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모바일기기(110);
    상기 모바일기기(110)를 통하여 작업자가 입력한 사용자정보를 확인하여 권한을 확인하는 사용자권한확인서버(210);
    미리 입력되어진 월간 및 연간 생산일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생산일정관리서버(220);
    상기 생산일정관리서버(220)에서 전송된 해당일의 작업을 관리하는 작업관리서버(230);
    상기 작업관리서버(230)에서 지시된 태그를 발행하는 작업태그발행장치(24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110)는,
    정보가 출력되며 직접 터치 또는 다양한 입력도구를 통하여 직접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모듈(111), 사용자의 지문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지문인식모듈(112), 실시간으로 이미지를 촬영하여 입력이 가능한 카메라모듈(11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권한확인서버(210)는,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에 따른 권한내용이 저장되는 사용자정보DB(211), 사용자의 암호 또는 암호 대용으로 사용되는 인증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인증정보DB(2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일정관리서버(220)는,
    미리 입력되어진 월간 및 연간 생산일정이 저장되는 생산일정DB(221), 생산에 사용될 재료의 재고정보가 저장되는 재고정보DB(222), 상기 사용자권한확인서버(210)에서 권한이 확인된 사용자의 입력을 통하여 상기 생산일정DB(221)를 수정하고 별도의 DB를 구축하여 상기 생산일정DB(221)에 저장하는 생산일정수정모듈(223), 상기 생산일정수정모듈(223)의 생산일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재고정보DB(222)와 대조하여 적정 재고량을 계산하는 재고관리모듈(22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관리서버(230)는,
    상기 생산일정관리서버(220)에서 전송받은 해당일의 작업내용이 기록되는 당일작업DB(231), 상기 당일작업DB(231)의 작업일정정보를 이용하여 당일작업에 사용되는 재료 및 공정에 바코드형태의 태그를 생성시키는 태그발생모듈(232), 상기 태그발생모듈에서 발생된 태그정보가 저장되는 태그정보DB(23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태그발행장치(240)는,
    물리적인 형태의 태그를 발행하는 태그프린트모듈(241), 전자 데이터 형태의 태그를 발행하는 전자태그발행모듈(24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
KR1020160160950A 2016-11-30 2016-11-30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 KR101898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950A KR101898863B1 (ko) 2016-11-30 2016-11-30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950A KR101898863B1 (ko) 2016-11-30 2016-11-30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607A true KR20180061607A (ko) 2018-06-08
KR101898863B1 KR101898863B1 (ko) 2018-09-14

Family

ID=62599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950A KR101898863B1 (ko) 2016-11-30 2016-11-30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8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962B1 (ko) 2019-03-27 2021-04-14 주식회사 팩앤롤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5501A (ko) * 2006-01-13 2007-07-24 아이원스 주식회사 기계가공물품의 생산정보 관리시스템 및 생산정보 관리방법
KR100871331B1 (ko) 2000-11-16 2008-12-01 닛코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생산 관리 시스템과 이에 이용되는 호스트 컴퓨터 및 기록매체
KR20150065276A (ko) * 2013-12-05 2015-06-1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60073935A (ko) * 2014-12-17 2016-06-27 유로지스넷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을 활용한 업무 관리 간편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331B1 (ko) 2000-11-16 2008-12-01 닛코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생산 관리 시스템과 이에 이용되는 호스트 컴퓨터 및 기록매체
KR20070075501A (ko) * 2006-01-13 2007-07-24 아이원스 주식회사 기계가공물품의 생산정보 관리시스템 및 생산정보 관리방법
KR20150065276A (ko) * 2013-12-05 2015-06-1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생산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60073935A (ko) * 2014-12-17 2016-06-27 유로지스넷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을 활용한 업무 관리 간편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863B1 (ko) 2018-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5639B2 (en) Systems and methods of managing perpetual inventory
US10664771B2 (en) Product develop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8606548B2 (en) Energy facility control system
US20200042915A1 (en) Collabor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management utilizing shared computing platforms
JP4809425B2 (ja) リアルタイムのリスク分析およびリスク処理のための組み込みモジュール
US20080103843A1 (en) Integrating information for maintenance
US8099336B2 (en) Component inventory management
CA2992444C (en) A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data injection into an executing data processing system
KR20200036488A (ko) 통합보안업무관리장치 및 통합보안업무관리방법
Tekin A method for traceability and “as-built product structure” in aerospace industry
KR101898863B1 (ko)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
KR101664830B1 (ko) 규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90248469A1 (en) Method and system of integrated mine planning
CN110751452A (zh) 一种工作流程管理系统、方法及存储介质
JP2006524868A (ja) 自動品質コンプライアンスシステム
Zancul PLM reference model: a preliminary proposal for reference model evolution
Wang et al. Towards smart manufacturing: Compliance monitoring for computational auditing
Mandal et al. A Proposed Framework for Computerize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for a Power Plant.
AU2006279250B2 (en) Method and system of integrated mine planning
Rankin The Evolution of Calibration Documentation
Shaikh et al. Do the Right Thing at Right Time KOC Way of Integrating Process Safety into Process Related Facility Projects
Porter Jr A control framework for electronic systems
Hejný Documenting Processes in Continuing Airworthiness Organizations
KR20210049222A (ko) 도금 제조공정 통합 생산 관리시스템
Whitman Establishing compliance of batch SCADA systems with FDA CGMP 21 CFR Part 1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