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381A - 어닝장치 - Google Patents

어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4381A
KR20150064381A KR1020130149025A KR20130149025A KR20150064381A KR 20150064381 A KR20150064381 A KR 20150064381A KR 1020130149025 A KR1020130149025 A KR 1020130149025A KR 20130149025 A KR20130149025 A KR 20130149025A KR 20150064381 A KR20150064381 A KR 20150064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pad
film
folded
p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권
Original Assignee
강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권 filed Critical 강희권
Priority to KR1020130149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4381A/ko
Publication of KR20150064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 E04F10/1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collapsible or extensible; metallic Florentine blinds; awnings with movable parts such as louv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닝장치의 개폐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단열성, 내구성 등의 기계적, 화학적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첩식 패드 타입의 어닝막(10)을 적용함으로써, 태양의 복사열이 어닝막(10)의 하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여 쾌적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어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어닝장치에 있어서, 절첩부재(210)에 의해 겹층 구조로 접혀질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복수의 기능성 패드(110)로 이루어진 어닝막(10) 및 상기 복수의 기능성 패드(1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느 일측을 연속해서 연결하여 상기 어닝막(10)을 지지하는 지지대(12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120)는 직경이 순차로 감소 또는 증가하면서 연결되는 다수의 봉재가 다단으로 삽입되면서 전후 길이가 가변되어 상기 복수의 기능성 패드(110)를 접고 펴지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닝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어닝장치{AWNING DEVICE}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 입구 및 창문 등에 설치되는 어닝장치 에 관한 것으로, 어닝막의 권취 및 권출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어닝막(AWNING FABRIC)의 단열성, 내구성 및 각종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닝장치는 건물의 벽면, 입구 및 창문에 설치하여 태양의 직사광선이나 비가 차단된 제3의 공간을 연출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건물을 출입하는 사람들과, 진열대에 진열된 각종 상품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건물, 상점 등의 테라스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는 동시에 시각적인 이미지를 부각시켜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기존의 일반적인 어닝장치는 크게 고정식과, 접이식으로 구분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접이식 어닝장치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고정식 어닝장치 보다 더 많이 선호되고 있다.
이러한 접이식 어닝장치는 대부분 건물이나 상점 등의 외부 벽체로부터 적정길이로 연장된 지지바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바에 어닝막이 감긴 권취롤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어닝막이 설치된 이송바가 복수개의 암에 의해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권취롤과 이송바를 수동 또는 전동으로 작동시켜 어닝막을 펼치거나 접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어닝장치와 관련된 기술로서 예컨데, 일본등록특허 제4776270호에는 암 수단의 첨단부에 설치된 전 범위 수단에 지지를 받은 개폐체 수단을 권취 수단에 감아 꺼내거나 되감거나 하는 것에 의해서 개폐체 수단의 개폐 동작이 행해지는 어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어닝장치에 구비되는 어닝막은 통상 폴리에스테르 에어텍스쳐드와 같은 가요성의 원단으로 제조되어지는 바, 상기 일본등록특허 제4776270호의 어닝장치와 같이 권취 수단을 통해 어닝막을 권취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어닝장치는 개폐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어닝막의 두께가 제한될 수 밖에 없으며, 특히, 얇은 두께를 갖는 가요성의 소재에 한정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기존 어닝장치의 어닝막은 단열성이나, 내구성 등의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드 타입의 적용이 어려워 태양의 복사열을 차단시키기 위한 단열성이 저하될 수 밖에 없는 바, 이로 인해 어닝막 하부 공간에 위치한 사람이 더위를 느끼게 되거나, 진열대에 진열된 판매제품이 열에 의해 변질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어닝장치는 어닝막의 형성 두께가 제한될 수 밖에 없어 내구성이 크게 저하되므로, 장기간 개폐에 의한 사용 중 마모에 의한 교체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어닝장치의 개폐 작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동시에, 단열성, 내구성 등의 기계적, 화학적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기술은 아직까지 개시된 바 없는 상태이다.
일본등록특허 제4776270호 국내공개특허 제2011-0114944호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은 어닝장치의 개폐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단열성, 내구성 등 기계적, 화학적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철식 패드 타입의 어닝막을 적용함으로써, 태양의 복사열이 어닝막의 하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여 쾌적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어닝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닝장치에 따르면,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어닝장치에 있어서, 절첩부재에 의해 겹층 구조로 접혀질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복수의 기능성 패드로 이루어진 어닝막 및 상기 복수의 기능성 패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느 일측을 연속해서 연결하여 상기 어닝막을 지지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는 직경이 순차로 감소 또는 증가하면서 연결되는 다수의 봉재가 다단으로 삽입되면서 전후 길이가 가변되어 상기 복수의 기능성 패드를 접고 펴지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닝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대를 왕복 이송시켜 상기 어닝막을 개폐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전동모터 및 상기 전동모터로부터 상기 지지대의 선단으로 이어져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지지대의 선단을 전후 이송시키는 이송바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절첩부재는 상기 복수의 기능성 패드가 각각 연결되는 부위 중 서로 인접하는 부위가 상기 기능성 패드의 반대 면에 교차하여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닝막은 상기 복수의 기능성 패드가 이루는 일측 면에 가요성의 천막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어닝막을 접거나 펴지는 동작의 진행 시 온오프되어 멜로디, 음성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막의 표면에 제1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가 구비된 상기 천막의 일측 면에 상기 기능성 패드를 부착시키되, 상기 기능성 패드는 상기 제1결합부재와 수직 대응하는 위치에서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천막에 탈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는 자석 또는 고무자석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패드는 문자, 도형 등을 출력시키는 디지털 출력층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패드는 전기공급에 의해 발열되는 열선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어닝장치에 따르면, 어닝장치의 어닝막에 단열성 뿐만 아니라 내구성, 방수성 등의 기능을 향상시킨 패드 타입의 적용이 가능하여, 어닝막의 하부의 사람에게 쾌적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복사열에 의해 어닝막의 하부에 진열된 판매제품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의 (a)는 도 1에 도시된 어닝장치의 측면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 2의 (b)는 도 2의 (a)에 도시된 어닝장치의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대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대의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닝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어닝막의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어닝막 결합구조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의 (a)는 도 1에 도시된 어닝장치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8의 (b)는 도 8의 (a)에 도시된 A-A' 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어닝장치는 건물의 벽면(140), 입구 또는 창문 등의 상부에 설치되는 어닝막(10)과, 상기 어닝막(10)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지지대(120)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어닝장치의 어닝막(10)은 건물 벽면(140)으로부터 일정 거리의 외부로 복수 배열되는 기능성 패드(110)를 펼친 상태로 차양의 기능을 하고, 미사용시에는 복수의 기능성 패드(110)를 절첩시켜 건물 벽면(140) 주변에 접어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어닝막(10)은 겹층 구조로 접혀질 수 있도록 절첩부재(210)에 의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기능성 패드(110)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기능성 패드(110)는 건물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다수가 연결되어 하나의 어닝막(10)을 이루도록 복수개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능성 패드(110)는 어닝막(10)을 건물의 벽면(140), 입구 또는 창문 등에 설치하여 태양으로부터 직사광선을 받을 경우, 어닝막(10)의 하부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람이나, 진열대에 진열된 판매제품 등에 태양의 복사열이 가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단열 처리가 된 소재로 형성된다.
예컨데, 기능성 패드(110)는 소정 두께를 갖는 유연한 재질의 단열재를 발포성형하여 제조된 것 또는 이러한 발포패드와 폴리에스테르 단열재가 함께 적층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열 기능을 갖는 기존의 다양한 형태의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어닝막(10)은 복수의 기능성 패드(110)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일측의 면에 가요성의 천막(220)을 덧대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천막(220)은 표면에 방수 처리에 의한 방수층을 형성하여, 기능성 패드(110)가 연결되는 각 부위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의 (a)는 도 1에 도시된 어닝장치의 측면 형상을 나타낸다.
도 2의 (a)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어닝장치는 복수의 기능성 패드(110)가 하나의 어닝막(10)을 이루기 위해 복수의 기능성 패드(110)의 각 끝부를 절첩 가능하게 결합하여 연결하는 절첩부재(210)가 포함된다.
이때, 절첩부재(210)는 복수의 기능성 패드(110)가 각각 연결되는 부위 중 서로 인접하는 부위가 기능성 패드(110)의 상하의 반대 면에 각각 교차되어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교차 위치된 절첩부재(210)는 복수 연결된 기능성 패드(110)가 절첩될 시 연속하는 기능성 패드(11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절첩되도록 하여, 수평 배치되는 겹층 구조로 접혀지도록 한다.
상기 어닝막(10)은 절첩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딩 방식 등으로 다양하게 작동될 수 있다.
예컨데,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닝막(10)을 이루는 기능성 패드는(110) 일측에 돌기(미도시함)와, 돌기를 삽입하여 슬라이딩시키는 레일(미도시함)을 설치하여 다단의 슬라이딩에 의해 구동되도록 실시 가능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지지대(120)는 어닝막이 설치되는 건물의 벽면(140) 주변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한 복수의 기능성 패드(1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느 일측을 순차로 연결하여, 기능성 패드(110)를 접거나 펼친 상태로 지지하는 동시에, 전후로 길이가 가변되어 기능성 패드(110)를 접고 펴지는 동작을 가이드 한다.
이를 위해, 지지대(120)는 안테나, 낚시대 등과 같이 직경이 순차로 감소 또는 증가하면서 연결되는 다수의 봉재가 다단으로 삽입 또는 배출되면서 전후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고, 일측이 건물 벽면(140) 주변에 설치되는 구동부(130)에 연결되어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대(120)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지지대(120)는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다단의 봉재로 구성될 수 있고, 어닝막(10)을 이루는 복수의 기능성 패드(110)의 각각의 측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패드(110)는 양측의 측부에 각각 고정고리(122)가 형성되어, 고정고리(122)에 지지대(1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고, 지지대(120)의 선단은 어닝막(10)의 선단에 위치되는 기능성 패드(11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지지대(120)의 선단이 건물 벽면 쪽으로 이송될 시 어닝막(10)의 선단에 위치된 기능성 패드(110)를 건물 벽면(140) 쪽으로 당김으로써, 연속하는 기능성 패드(110)의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고리(122)는 지지대(120)의 전후 길이의 가변에 의해 기능성 패드(110)가 절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대(120)를 연장 방향으로 삽입하고, 기능성 패드(110)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대(12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밀고 당겨서 전후 길이가 가변될 수 있으나, 건물 벽면(140) 주변에 전동모터(M)의 동력을 이용하는 구동부(130)를 설치하여, 지지대(1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130)는 예컨데,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공급에 의해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모터(M)와, 전동모터(M)로부터 지지대의 선단에 이어지도록 연결되어 전동모터(M)의 회전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여 지지대(120)의 선단을 전후 이송시키는 이송바(310)로 구성되어, 지지대(120)의 전후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닝장치에 구비된 지지대(120)의 다른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대(120)는 어닝막(10)을 이루는 복수의 기능성 패드(110)의 중앙부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하부를 받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120)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을 이루어 상부로 어닝막(10)을 받칠 수 있는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지지대(120)의 선단은 어닝막(10)의 선단에 위치되는 기능성 패드(110)에 직접 고정되거나, 어닝막(10)의 선단에 위치된 기능성 패드(110)의 전방에 지지바(410)를 설치하여, 지지바(410)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120)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 뿐 아니라, 상부에 단면을 형성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에 따른 어닝장치의 작동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닝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것으로, 특히 도 5의 (a)는 어닝장치의 어닝막(10)이 반쯤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어닝장치의 어닝막(10)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다.
우선, 어닝장치의 어닝막(10)을 건물 외부로 펼친 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20)의 선단이 전방으로 이송되어 길게 연장된 상태를 이루어 지지대(120)가 기능성 패드(1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느 일측을 지지하여 어닝막(10)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어닝막(10)을 접는 경우, 도 5(a)에서와 같이, 복수의 기능성 패드(110)를 지지하는 지지대(120)의 선단을 건물 벽면(140) 쪽으로 밀어서 이동시킴으로써, 지지대(120)의 길이가 짧아지는 동시에 지지대(120)의 선단에 고정된 기능성 패드(110)가 건물 벽면(140) 쪽으로 당겨져서 연속하는 모든 기능성 패드(110)가 절첩이 이루어진다.
이때, 복수의 기능성 패드(110)를 각각 연결하는 절첩부재(210)가 어닝막(10)의 상하면에 서로 엇갈리게 교차 형성됨으로써, 연속하는 기능성 패드(11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첩시켜, 도 5(b)에서와 같이, 건물 벽면(140)의 전방에 수평하게 배열되는 상태로 접을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닝막(10)의 기능성 패드(110)를 절첩시켜 건물의 벽면 주변으로 접은 경우, 건물 벽면에 설치되는 간판(150a)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우천 시 어닝막(10)이 비에 젖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지지대(120)는 상기한 구동부(130)에 의해 전동으로 구동되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수동으로 구동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어닝장치의 하부에서 긴 막대를 이용하여, 지지대(120)를 건물 벽면(140) 쪽으로 밀거나, 기능성 패드(110)의 선단을 밀면 지지대(120)가 연동하여 절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어닝장치에 따르면, 기존의 권취 수단을 통해 감아서 해체하는 구성이 아닌 절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어닝막(10)의 두께 제한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으며, 가요성 재료에 한정되지 않고 연질, 경질의 패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는 자유도를 얻을 수 있다.
이로써, 기존의 방법에 의해 단열성 등의 성질을 향상시킨 기능성 패드(110)를 제조하여 어닝막(10)에 적용함으로써, 어닝막(10) 하부에 위치된 사람에게 태양의 복사열이 미치는 것을 억제하여 보다 쾌적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어닝장치의 하부 공간에 판매제품을 진열하는 경우에도 태양의 복사열에 의한 변질을 대폭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어닝장치는 문자, 도형 등을 출력시키는 디지털 출력층을 포함하거나, 어닝막(10)이 접거나 펴지는 동작의 진행 시 온오프되어 멜로디, 음성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여, 어닝장치가 설치된 상가의 판매제품을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소비자들에게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능성 패드의 일측에 전기공급에 의해 발열되는 열선을 더 포함하여, 겨울철에 어닝막(10) 위에 눈이 쌓일 때, 열선을 가동하여 용이하게 눈을 녹일 수 있다.
도 6은 상기한 어닝막(10)의 다른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어닝막(10)은 천막(220)과 기능성 패드(110)를 결합함에 있어서, 천막(220)의 표면에 제1결합부재(6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610)가 구비된 상기 천막(220)의 일측 면에 상기 기능성 패드(110)를 부착시키되, 상기 기능성 패드(110)는 상기 제1결합부재(610)와 수직 대응하는 위치에서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620)가 구비되어 상기 천막(220)에 탈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부재(610)와 상기 제2결합부재(620)는 자석 또는 고무자석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어닝막 결합구조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결합부재(610)와 제2결합부재(620)는 각각 고무자석으로 형성되어, 제1결합부재(610)는 천막(220)의 표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2결합부재(620)는 기능성 패드(110)의 표면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1결합부재(610)가 삽입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요철홈(710)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능성 패드(120)의 제2결합부재(620)가 요철홈(710) 상에 형성될 경우, 어닝막(10)의 일측 면에 돌출 구성되는 제1결합부재(610)가 요철홈(710)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져, 양 부재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닝장치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어닝막(10)이 건물의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를 형성하여, 전방의 끝부에 물받이부(810)가 더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도 8의 (a) 는 어닝막에 물받이부(810)가 형성된 형상을 나타내고, 도 8의 (b)는 도 8의 (a)에 도시된 물받이부의 A-A' 단면을 나타낸다.
도 8의 (a) 및 도 8의 (b)를 참조하면, 물받이부(810)는 경사가 형성된 어닝막(10)의 상부로 흘러내리는 빗물을 고이게 할 수 있도록 내측에 빗물 수용공간(812)을 갖고, 수용공간(812)의 하부면은 내부에 고인 빗물을 좌우의 어느 일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경사면(820)이 형성된다.
이때, 수용공간(812)의 경사면(820)에 의해 빗물이 이동하는 물받이부(810)의 일측은 개방된 형태이거나, 빗물이 배출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물받이부(810)가 더 포함된 어닝장치에 따르면, 우천시 어닝막(10) 상부에 떨어지는 빗물이 신속하게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하여 어닝막(10)의 방수성을 더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어닝막(10)의 하부로 흘러내린 빗물은 물받이부(810)에 수용되어 좌우의 어느 일측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어닝장치의 전방으로 출입하는 사람이나, 진열된 판매 제품에 빗물이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어닝막
110: 기능성 패드
120: 지지대
122: 고정고리
130: 구동부
140: 벽면
210: 절첩부재
220: 천막
310: 이송바
M: 전동모터

Claims (9)

  1.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어닝장치에 있어서,
    절첩부재에 의해 겹층 구조로 접혀질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복수의 기능성 패드로 이루어진 어닝막; 및
    상기 복수의 기능성 패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느 일측을 연속해서 연결하여 상기 어닝막을 지지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는 직경이 순차로 감소 또는 증가하면서 연결되는 다수의 봉재가 다단으로 삽입되면서 전후 길이가 가변되어 상기 복수의 기능성 패드를 접고 펴지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를 왕복 이송시켜 상기 어닝막을 개폐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전동모터; 및
    상기 전동모터로부터 상기 지지대의 선단으로 이어져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지지대의 선단을 전후 이송시키는 이송바가 포함된 어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재는 상기 복수의 기능성 패드가 각각 연결되는 부위 중 서로 인접하는 부위가 상기 기능성 패드의 반대 면에 교차하여 위치되도록 형성된 어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닝막은 상기 복수의 기능성 패드가 이루는 일측 면에 가요성의 천막이 결합된 어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닝막을 접거나 펴지는 동작의 진행 시 온오프되어 멜로디, 음성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는 어닝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막의 표면에 제1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가 구비된 상기 천막의 일측 면에 상기 기능성 패드를 부착시키되,
    상기 기능성 패드는 상기 제1결합부재와 수직 대응하는 위치에서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천막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는 자석 또는 고무자석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닝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패드는 문자, 도형 등을 출력시키는 디지털 출력층을 더 포함하는 어닝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패드는 전기공급에 의해 발열되는 열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닝장치.
KR1020130149025A 2013-12-03 2013-12-03 어닝장치 KR20150064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025A KR20150064381A (ko) 2013-12-03 2013-12-03 어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025A KR20150064381A (ko) 2013-12-03 2013-12-03 어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381A true KR20150064381A (ko) 2015-06-11

Family

ID=53502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025A KR20150064381A (ko) 2013-12-03 2013-12-03 어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438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7867A (ko) * 2016-05-13 2017-11-22 유재춘 이중원단을 갖는 스카이 어닝의 이동부재
KR101865482B1 (ko) 2016-12-19 2018-06-07 이재권 신축식 어닝
KR101963156B1 (ko) 2018-05-25 2019-03-28 주식회사씨앤케이에너지 다기능 차양 장치
KR102005901B1 (ko) * 2018-11-08 2019-08-01 주식회사 한국건설환경 차양영역 자율 조절형 전동 차양시스템
KR102228418B1 (ko) * 2020-09-24 2021-03-16 주식회사 올찬 스카이 어닝
KR102259010B1 (ko) 2020-07-13 2021-06-04 손성구 절첩식 태양광 패널 스카이 어닝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7867A (ko) * 2016-05-13 2017-11-22 유재춘 이중원단을 갖는 스카이 어닝의 이동부재
KR101865482B1 (ko) 2016-12-19 2018-06-07 이재권 신축식 어닝
KR101963156B1 (ko) 2018-05-25 2019-03-28 주식회사씨앤케이에너지 다기능 차양 장치
KR102005901B1 (ko) * 2018-11-08 2019-08-01 주식회사 한국건설환경 차양영역 자율 조절형 전동 차양시스템
KR102259010B1 (ko) 2020-07-13 2021-06-04 손성구 절첩식 태양광 패널 스카이 어닝
KR102228418B1 (ko) * 2020-09-24 2021-03-16 주식회사 올찬 스카이 어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4381A (ko) 어닝장치
US7849907B2 (en) Multiple choice shade system
KR101141516B1 (ko) 다목적용 차양 장치
KR101281774B1 (ko) 커버링 시스템
AU2011200179B2 (en) Roller Winding Roman Style Shade
KR20200135359A (ko) 인입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9739087B2 (en) Blind assembly
KR101637960B1 (ko) 이동식 하우스
US6745811B1 (en) Combination window covering
JP2008524475A (ja) カバーシステム
US6923236B2 (en) Sector curtain
CN100407047C (zh) 壁挂收卷式屏幕
US6840254B1 (en) Portable dressing blind and method of use
US20160143453A1 (en) Disassemblable and Carryable Beach/Park Corral
KR200461639Y1 (ko) 다기능 방충문
US20050269040A1 (en) Roman blind structure
KR200476979Y1 (ko) 차양막 처짐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장치
KR200318023Y1 (ko) 창 가리개
JP2007303065A (ja) 可動庇装置
JP2007327322A (ja) 日除け装置
EP1462603A1 (en) Window covering
GR1008904B (el) Προ-συναρμολογημενη εκθεσιακη κατασκευη
KR200343875Y1 (ko) 차양장치
KR101189735B1 (ko) 가변형 차양장치
CN101213349A (zh) 多选择遮光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TB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 before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