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3685A - 롱타이로드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 - Google Patents

롱타이로드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3685A
KR20150063685A KR1020130148336A KR20130148336A KR20150063685A KR 20150063685 A KR20150063685 A KR 20150063685A KR 1020130148336 A KR1020130148336 A KR 1020130148336A KR 20130148336 A KR20130148336 A KR 20130148336A KR 20150063685 A KR20150063685 A KR 20150063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fixed
sheave
support rod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길
김진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을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을성
Priority to KR1020130148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3685A/ko
Publication of KR20150063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9/00Other details of coke ovens
    • C10B29/04Controlling or preventing expansion or contr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실 사이에 구비되는 탄화실 상부측이 온도차에 따라 신축되는 것을 그 신축 정도에 따라 조절하여 연소실과 탄화실과의 갭이 발생되지 않도록 밀봉시켜 주는 롱타이로드의 작업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화실 상부면의 작업간 협소한 공간에서 무거운 하중(40~50kg)의 실린더를 조립하고 해체하는 롱타이로드의 설치 과정에서 근골격계 등의 협착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실린더의 설치 또는 해체를 도르래의 하중감소 원리를 이용 무거운 하중의 실린더가 용이하게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의 안전성과 신속성을 높여 주도록 하는 롱타이로드의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롱타이로드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a ascent and descent jig}
본 발명은 연소실 사이에 구비되는 탄화실 벽체가 온도차에 따라 신축되는 것을 그 신축 정도에 따라 조절하여 연소실과 탄화실과의 갭이 발생되지 않도록 밀봉시켜 주는 롱타이로드의 작업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화실 상부면의 작업간 협소한 공간에서 무거운 하중(40~50kg)의 실린더를 조립하고 해체하는 롱타이로드의 설치 과정에서 근골격계 등의 협착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실린더의 설치 또는 해체를 도르래의 하중감소 원리를 이용 무거운 하중의 실린더가 용이하게 승강되도록 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의 안전성과 신속성을 높여 주도록 하는 롱타이로드의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쇳물 생산 등에 필요한 코크스 생산 공정에서는 실내가 고온으로 유지 관리 될 수 있도록 하는 수 많은 탄화실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탄화실은 그 내부의 온도가 1000도 이상의 고온으로 유지하고 필요 시 정비 등을 위해 실내 온도를 식히게 되는 이를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탄화실이 온도 차이로 인하여 벽체가 신축(伸縮)되면서 벽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즉, 종래의 탄화실(10)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벽체(11)의 상부측에는 커버(12)가 구비되는 일정한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며 그 공간부에 벽체(11)의 신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측 벽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수단을 갖는 롱타이로드(13)가 설치되고 상기 롱타이로드(13)의 양단부측에 무거운 하중의 실린더(14)가 삽설되어 롱타이로드(13)의 탄성력을 통해 벽체(11)를 지지하면서 온도차이로 인한 신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탄화실(10)의 벽체(11)는 온도가 1000도 이상의 고온으로 유지시켜 주다가 필요 시에 내부 온도를 식혀주게 되는데 이 경우 온도 차이에 따라 상기 벽체(11)가 신축되면서 틈새가 발생되어 탄화실의 내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탄화실(10)의 상부측에 상기와 같은 탄성을 갖는 롱타이로드(13)를 구비하여 그 탄성수단의 신축성을 통해 벽체의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종래에는 무거운 하중을 들어올리거나 내려줄 수 있도록 하는 지그로는 등록특허 제10-1009921호의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핀지그 승강장치 및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핀지그'와 공개특허 제10-2011-0101735호의 '멀티 케이블 드럼 지그' 등과 같이 도르래를 이용하는 지그가 다수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핀지그 승강장치 및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핀지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부관을 기준으로 상부관이 상하로 이동되며 높이 조절되는 핀지그에 설치되는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 내부에서 지정높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본체; 상기 고정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도르래; 상기 고정도르래 하측에서 상기 상부관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상부관지지대; 상기 상부관지지대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관 및 상부관지지대와 함께 상하로 이동되는 움직도르래; 상기 고정본체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움직도르래의 하부에 일부가 권취되고 상기 고정도르래의 상부에 일부가 권취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부관 내부에서의 연장길이가 신축조정되면서 상기 움직도르래를 상기 고정도르래에 인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움직도르래가 상부관의 중앙부에 연결설치됨에 따라 상부관을 상부관지지대 및 움직도르래와 함께 무게 평형을 유지하며 안정되게 승강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KR 10-1009921 (등록번호) 2011.01.14. KR 10-2011-0101735 (공개번호) 2011.09.16. KR 10-2012-0071520 (공개번호) 2012.07.03.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롱타이로드를 주기적으로 점검 또는 정비를 위해 그 양단부에 구비되는 무거운 하중의 실린더를 탈장착해야 하는데, 이때 작업자가 상기 실린더를 해체하여 들어 올리거나 반대로 조립 시에 이를 롱타이로드에 구비되는 체결볼트까지 내려야 하는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 경우 작업용 실린더가 너무 무거워 2인 이상이 실시하게 되어 인력 낭비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가 무겁기 때문에 조립 작업시 이를 들어 올리거나 내릴 때 부주의로 떨어뜨려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커 작업효율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큰 하중의 실린더를 적재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상기 실린더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도르래수단 및 상기 도르래수단에 연결되어 실린더를 끼워 걸어줄 수 있도록 하는 걸고리수단으로 구성되어, 탄화실 상부면의 작업간 협소한 공간에서 무거운 하중(40~50kg)의 실린더를 조립하고 해체하는 롱타이로드의 작업을 도르래수단과 걸고리수단을 이용하여 이를 용이하게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작업의 안전성과 신속성을 높여 주도록 하는 롱타이로드의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심고정축과 상기 중심고정축의 양단에 구비되어 회동되는 이동바퀴, 및 상기 중심고정축에 하단부측이 연결 고정되되 그 상단부에는 좌우 양측의 작동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프레임이 구비되면서 'L'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적재프레임에 적재물을 싣고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단을 뒤로 젖혀 상기 적재프레임의 전단부가 지면에서 들린 상태로 상기 이동바퀴를 회동시키면서 이동되도록 하는 적재물 이동수단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단부 양측면부에는 이와 수직하게 전방측으로 향하도록 된 좌우 양측의 상부지지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지지로드의 끝단부에는 이를 상호 연결 고정하는 전방지지로드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지지로드에는 그 양단부에서 상기 적재프레임과 연결되도록 하는 좌우 양측의 하향지지로드가 구비되고, 또 그 중앙부측에는 작업 실린더를 걸어 주는 걸고리수단을 연결 하여 이를 승강(乘降)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메인작동와이어가 구비된 고정도르래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단부에 구비된 몸체상부로드에는 상기 메인작동와이어의 단부가 연결되고 이를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제1이동도르래를 작동시켜 주는 후방작동와이어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지지프레임로드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롱타이로드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는 도르래수단과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큰 하중의 실린더를 간편하게 이동하여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롱타이로드에 실린더를 조립하고 해체하는 작업 과정에서 근골격계 등의 협착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린더의 설치 또는 해체를 도르래수단과 걸고리수단을 이용하여 이를 용이하게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하중이 큰 실린더의 낙하 위험에 대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작업의 안전성과 신속성을 높여 작업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롱타이로드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롱타이로드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에 구비된 걸고리수단에 실린더가 삽설되어 승강되는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3은 발명에 따른 롱타이로드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를 이용하여 실린더가 롱타이로드에 설치되는 개략적인 작업상태도이고,
도 4는 발명에 따른 롱타이로드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의 걸고리수단에 실린더가 삽입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롱타이로드가 구비되는 탄화실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롱타이로드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심고정축(101)과 상기 중심고정축(101)의 양단에 구비되어 회동되는 이동바퀴(102), 및 상기 중심고정축(101)에 하단부측이 연결 고정되되 그 상단부에는 좌우 양측의 작동손잡이(103)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프레임(104)이 구비되면서 'L'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프레임(105)으로 구성되어, 상기 적재프레임(104)에 적재물을 싣고 상기 몸체프레임(105)의 상단을 뒤로 젖혀 상기 적재프레임(104)의 전단부가 지면에서 들린 상태로 상기 이동바퀴(102)를 회동시키면서 이동되도록 하는 적재물 이동수단(110)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105)의 상단부 양측면부에는 이와 수직하게 전방측으로 향하도록 된 좌우 양측의 상부지지로드(120)가 설치 고정되고,
상기 상부지지로드(120)의 끝단부에는 이를 상호 연결 고정하는 전방지지로드(121)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지지로드(121)에는 그 양단부에서 상기 적재프레임(104)과 연결되도록 하는 좌우 양측의 하향지지로드(130)가 설치되고, 또 그 중앙부측에는 큰 하중의 실린더(140)를 걸어 주는 걸고리수단(150)을 연결 하여 이를 승강(乘降)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메인작동와이어(161)가 구비된 고정도르래(16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몸체프레임(105)의 상단부에 구비된 몸체상부로드(105a)에는 상기 메인작동와이어(161)의 단부가 연결되고 이를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제1이동도르래(170)를 작동시켜 주는 후방작동와이어(171)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지지프레임로드(18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로드(180)에 연결되는 상기 후방작동와이어(171)의 타단부는 상기 제1이동도르래(170)에 삽설되면서 작업자가 이를 잡고 당겨주면서 작업이 시행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작업이 완료 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1이동도르래(170)에 이를 적당히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작동와이어(171)의 타단부를 당겨주게 되면 상기 제1이동도르래(170)가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도르래(160)는 회동가능한 풀리구조나 롤러 구조로 설치가 가능하다. 이는 상기 메인작동와이어(161)가 당겨지거나 놓을 때 슬립되지 않고 회전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구조면 족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작동와이어(161)에는 상기 걸고리수단(150)을 상하 승강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제2이동도르래(190)가 삽설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메인작동와이어(161)는 그 일단부가 상기 제1이동도르래(170)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전방지지로드(121)에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이동도르래(190)에는 상기 메인작동와이어(161)가 삽설되어 있어, 상기 메인작동와이어(161)가 당겨지거나 놓아질 때 상기 제2이동도르래(190)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乘降)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고리수단(150)에는 그 끝단부에 승강고정도르래(200)가 연결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고정도르래(200)에는 이를 작동시켜 주는 작동와이어(210)가 삽설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와이어(210)는 상기 승강고정도르래(200)에 삽설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제2이동도르래(190)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전방지지로드(121)에 연결 고정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고정도르래(200)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상기 승강고정도르래(200)도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승강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고정도르래(200)의 승강 작동에 따라 이에 고정되는 상기 걸고리수단(150)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승강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롱타이로드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100)는 상기 걸고리수단(150)에 작업을 요하는 무거운 하중의 상기 실린더(140)를 걸고 상기 후방작동와이어(171)를 당겨주게되면 상기 제1이동도르래(170)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메인작동와이어(161)가 상기 고정도르래(160)에 의해 당겨지면서 이에 삽설된 상기 제2이동도르래(190)가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2이동도르래(190)에 연결 고정된 상기 작동와이어(210)가 작동되면서 이에 삽설되어 있는 상기 승강고정도르래(200)가 상승하게 된다.
이어 상기 승강고정도르래(200)가 상승하면서 이에 고정된 상기 걸고리수단(150)이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고리수단(150)의 하강은 상기와 반대로 하면 된다.
이로써 상기 걸고리수단(150)에 걸려진 무거운 하중의 상기 실린더(140)가 승강되면서 작업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실린더(140)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수단(110)에 구비된 상기 상부지지로드(120)에는 상기 이동수단(110)이 정지 시에 지면에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지지로드(220)가 더 설치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안전지지로드(220)는 일단부가 상기 상부지지로드(120)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적재프레임(104)에 다수의 적재물을 적재한 후 상기 몸체프레임(105)를 후방으로 기울일 때에는 지면에서 떨어져 상기 이동수단(110)이 상기 이동바퀴(102)를 이용하면서 이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몸체프레임(105)을 세워 정지할 때는 상기 안전지지로드(220)의 단부도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이동수단(110)이 안정적으로 세워 정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고리수단(150)은 상기 승강고정도르래(200)에 연결 고정되는 제1세로로드부(151)와 상기 제1세로로드부(151)의 단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직각되게 형성되는 제1가로로드부(152), 상기 제1가로로드부(152)의 단부에서 하부(세로)방향으로 직각되게 형성되는 제2세로로드부(153), 및 상기 제2세로로드부(153)의 단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직각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1가로로드부(152)와는 반대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도록 되는 제2가로로드부(154)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세로로드부(151)와, 상기 제1가로로드부(152), 상기 제2세로로드부(153), 및 상기 제2가로로드부(154)는 단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제2가로로드부(154)의 길이는 상기 제1가로로드부(152)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가로로드부(154)의 길이는 상기 실린더(140)의 폭 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롱타이로드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100)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140)을 설치하는 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코크스 생산을 위한 탄화실(10)은 벽체(11)가 그 내부의 온도차로 인한 신축으로 간격이 생기지 않도록 그 상부측에 공간을 구비하여 탄성력을 갖는 롱타이로드(13)를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롱타이로드(13)는 탄성력을 구비하면서 그 양단부에 상기 실린더(140)를 삽설하여 체결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 상기 롱타이로드(13)에는 그 양단부에 볼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140)에는 너트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실린더를 상기 롱타이로드에 나사체결하여 설치하거나 이를 해제하여 제거하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롱타이로드(13)가 구비되는 공간은 협소하고 상기 실린더(140)는 하중(대략 40~50kg)이 무거워 종래에는 2명 이상이 협소한 공간에서 설치작업을 시행해 오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와 같은 구성의 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140)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우선, 상기 이동수단(110)을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140)를 다수 개 적재하여 이를 설치할 작업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걸고리수단(150)에 형성된 상기 제2가로로드부(154)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140)의 너트구멍에 이를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실린더(140)를 상기 걸고리수단(150)에 형성된 상기 제2가로로드부(154)에 걸고 상기 후방작동와이어(171)를 당겨주게되면 상기 제1이동도르래(170)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메인작동와이어(161)가 상기 고정도르래(160)에 의해 당겨지면서 이에 삽설된 상기 제2이동도르래(190)가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2이동도르래(190)에 연결 고정된 상기 작동와이어(210)가 작동되면서 이에 삽설되어 있는 상기 승강고정도르래(200)가 상승하게 된다.
이어 상기 승강고정도르래(200)가 상승하면서 이에 고정된 상기 걸고리수단(150)이 상승하게 되면서 상기 실린더(140)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140)를 작업자가 잡고 이를 당겨 작업공간으로 위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작동와이어(171)를 서서히 풀어주세 되면 상기와는 반대로 상기 실린더(140)가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실린더(140)를 간단하게 작업공간에 구비된 상기 롱타이로드(13)까지 하강시키게 된다.
이어 상기 실린더(140)의 너트구멍에 상기 롱타이로드(13)의 볼트를 체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가로로드부(154)는 상기 실린더(140)의 너트구멍 보다 짧게 삽설되어 있어 상기 실린더(140)의 너트구멍이 상기 롱타이로드(13)의 볼트에 삽입되어 회전되면서 초기체결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제2가로로드부(154)는 그 삽설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실린더(140)를 지지해 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롱타이로드(13)에 상기 실린더(140)의 초기 체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2가로로드부(154)를 상기 실린더(140)에서 이탈시켜 나머지 체결작업을 완성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롱타이로드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는 큰 하중의 실린더를 적재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상기 실린더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도르래수단 및 상기 도르래수단에 연결되어 실린더를 끼워 걸어줄 수 있도록 하는 걸고리수단으로 구성되어, 탄화실 상부면의 작업간 협소한 공간에서 무거운 하중(40~50kg)의 실린더를 조립하고 해체하는 롱타이로드의 작업 과정에서 근골격계 등의 협착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실린더의 설치 또는 해체를 도르래수단과 걸고리수단을 이용하여 이를 용이하게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작업의 안전성과 신속성을 획기적으로 높여 줄 수가 있게 된다.
100:롱타이로드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
101:중심고정축 102:이동바퀴 103:작동손잡이
104:적재프레임 105:몸체프레임 105a:몸체상부로드
110:이동수단
120:상부지지로드 121:전방지지로드
130:하향지지로드
140:실린더
150:걸고리수단
151:제1세로로드부 152:제1가로로드부
153:제2세로로드부 154:제2가로로드부
160:고정도로래 161:메인작동와이어
170:제1이동도르래 171:후방작동와이어
180:지지프레임로드 190:제2이동도르래 200:승강고정도르래
210:작동와이어 220:안전지지로드

Claims (5)

  1. 중심고정축과 상기 중심고정축의 양단에 구비되어 회동되는 이동바퀴, 및 상기 중심고정축에 하단부측이 연결 고정되되 그 상단부에는 좌우 양측의 작동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프레임이 구비되면서 'L'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적재프레임에 적재물을 싣고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단을 뒤로 젖혀 상기 적재프레임의 전단부가 지면에서 들린 상태로 상기 이동바퀴를 회동시키면서 이동되도록 하는 적재물 이동수단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단부 양측면부에는 이와 수직하게 전방측으로 향하도록 된 좌우 양측의 상부지지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지지로드의 끝단부에는 이를 상호 연결 고정하는 전방지지로드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지지로드에는 그 양단부에서 상기 적재프레임과 연결되도록 하는 좌우 양측의 하향지지로드가 구비되고, 또 그 중앙부측에는 작업 실린더를 걸어 주는 걸고리수단을 연결 하여 이를 승강(乘降)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메인작동와이어가 구비된 고정도르래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단부에 구비된 몸체상부로드에는 상기 메인작동와이어의 단부가 연결되고 이를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제1이동도르래를 작동시켜 주는 후방작동와이어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지지프레임로드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롱타이로드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작동와이어에는 상기 걸고리수단을 상하 승강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제2이동도르래가 삽설 구비되고,
    상기 걸고리수단에는 그 끝단부에 승강고정도르래가 연결 고정되며,
    상기 승강고정도르래에는 이를 작동시켜 주는 작동와이어가 구비되되, 상기 작동와이어는 그 일단부가 상기 제2이동도르래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전방지지로드에 연결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상기 제2이동도르래의 승강에 따라 상기 승강고정도르래가 승강되면서 상기 걸고리수단이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롱타이로드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수단은 상기 승강고정도르래에 연결 고정되는 제1세로로드부와, 상기 제1세로로드부의 단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직각되게 형성되는 제1가로로드부, 상기 제1가로로드부의 단부에서 하부 세로방향으로 직각되게 형성되는 제2세로로드부, 및 상기 제2세로로드부의 단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직각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1가로로드부와는 반대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도록 되는 제2가로로드부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롱타이로드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로로드부의 길이는 상기 제1가로로드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 구비되는 롱타이로드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에 구비된 상기 상부지지로드에는 상기 이동수단이 정지 시에 지면에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그 일단부가 상기 상부지지로드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지지로드가 더 설치 구비되는 롱타이로드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
KR1020130148336A 2013-12-02 2013-12-02 롱타이로드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 KR20150063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336A KR20150063685A (ko) 2013-12-02 2013-12-02 롱타이로드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336A KR20150063685A (ko) 2013-12-02 2013-12-02 롱타이로드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685A true KR20150063685A (ko) 2015-06-10

Family

ID=53505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336A KR20150063685A (ko) 2013-12-02 2013-12-02 롱타이로드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36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8106B1 (ko) 고로의 단기 개수·건설방법 및 설비
JP6990088B2 (ja) セントル内の天井型枠の撤去方法および受け構台
JP6012578B2 (ja) 重量物運搬方法、及び重量物運搬装置
CN105364463A (zh) 轴承装卸器及轴承装卸方法
KR101066577B1 (ko) 대형 임펠러의 분해 및 조립용 지지장치
JP5213381B2 (ja) 高炉用熱風炉の解体および構築工法
KR20150063685A (ko) 롱타이로드 설치 및 해체용 전용지그
KR200488823Y1 (ko) 모터 커플링 분해 조립장치
US115458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a rotary machine
JP5356091B2 (ja) 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方法および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装置
CN201817243U (zh) 用于更换导电轨的平台及装置
JP5948828B2 (ja) 建物解体工事用の貨物リフトの組立に用いられる吊上装置、建物解体工事用の貨物リフト、及びその組立方法
CN114275700A (zh) 一种梁上双小车的吊装装置及其吊装方法
CN109837368B (zh) 一种辐射管更换用装置及方法
JP5750362B2 (ja) 塔状構造物の解体工法
CN110904330B (zh) 一种链篦机托轴运送车及拆装工装
CN214692875U (zh) 一种客车吊装结构
JP6470012B2 (ja) リフト式セグメント組立装置
CN205123512U (zh) 一种垂直安装电机专用的拆装装置
CN109807580B (zh) 卷取机卷筒的拆卸方法及其承载限位装置
JP6185001B2 (ja) 多脚型鋼製煙突の解体方法
JP6129130B2 (ja) ジャッキ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重量物の搬送方法
CN218371306U (zh) 一种矿井液压支架拆装机构
CN219316365U (zh) 塔底水冷系统散热器装卸工装
CN220485144U (zh) 一种用于epb/tbm模式快速转换的门式吊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