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636A -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636A
KR20150062636A KR1020130147493A KR20130147493A KR20150062636A KR 20150062636 A KR20150062636 A KR 20150062636A KR 1020130147493 A KR1020130147493 A KR 1020130147493A KR 20130147493 A KR20130147493 A KR 20130147493A KR 20150062636 A KR20150062636 A KR 20150062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adjusting
height
dispose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9568B1 (ko
Inventor
강태우
지용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빅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빅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빅스
Priority to KR1020130147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568B1/ko
Publication of KR20150062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면에 일정각도를 갖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 1경사면을 갖는 베이스; 하부면에 상기 제 1경사면과 대응하는 제 2경사면을 각각 구비하고 조절나사를 매개로 연결되는 한 쌍의 조절블록; 및 상기 조절블록의 상부에 배치되어 일정길이를 갖는 고정부재를 매개로 베이스와 연결되는 상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블록은 제 1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부모듈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높이조절장치{height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교량의 설치 전 수평도를 맞추기 위한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조절블록을 통하여 조절블록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모듈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하천이나 계곡과 같은 통로의 기능을 저해하는 것을 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구조물로써, 교각 또는 교대 등과 같은 하부 구조물의 상판에 올려져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교량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는 교량 받침이 설치되는데 상기 교량받침은 완충기능을 거치게 하여 교량의 기능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교량과 하부구조물 사이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교량의 수평도를 조절한다.
이 중에서도 교량의 수평도는 중요한 요소로써, 만약 교량의 평탄도가 좋지 않다면 교량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구조물에 가해지는 수직 하중이 일측에 편중되어 가해지게 되어 교량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2차 선로가 구비되는 철도 교량의 경우에는 교량의 높낮이가 일정하지않기 때문에 철도가 제대로 속도를 내지 못하게 되며 자기부상열차의 경우에는 열차가 선로에서 이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037086(2012.4.19.)에는 앵커를 매개로 교각 또는 교대 상에 설치되는 하부판(10), 교량상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부판(30), 하부판(10)과 상부판(3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판(30)을 통해 전달된 하중을 하부판으로 전달하는 패드부재(40)로 구성되어 앵커를 매개로 높낮이 조절을 할 수 있는 교량받침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교량받침은 앵커를 매개로 높낮이를 조절하기 때문에 미세한 높낮이 조절이 어려우므로 수평도를 맞추기 어렵고, 교각에 복수 개의 앵커를 타설해야하므로 설치 및 시공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교각의 상부면에 경사면을 갖는 베이스를 설치하고, 베이스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한 쌍의 조절블록을 통해 상부모듈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부면에 일정각도를 갖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 1경사면을 갖는 베이스;
하부면에 상기 제 1경사면과 대응하는 제 2경사면을 각각 구비하고 조절나사를 매개로 연결되는 한 쌍의 조절블록; 및
상기 조절블록의 상부에 배치되어 일정길이를 갖는 고정부재를 매개로 베이스와 연결되는 상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블록은 제 1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부모듈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나사는 양측에 형성된 나사산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경사면과 제 2경사면의 사이에 제 1미끄럼 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조절블록의 슬라이딩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미끄럼 부재와 제 2경사면의 사이에는 제 2미끄럼 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조절블록의 슬라이딩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모듈은 상기 조절블록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하부 슈와 상기 하부 슈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는 상부슈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는 연장부재가 구비되어 부반력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부는 일정높이를 갖는 고무패드로 구비되어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는 상부에 일정높이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삽입되는 고정나사를 구비하여 외력에 의한 상기 조절나사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는 상부에 일정높이 연장되는 연장부와 일단부는 상기 연장부에 접하고 타단부는 상기 조절블록에 면접하는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여 외력에 의한 상기 조절나사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나사에는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조절블록이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브라켓과 대응하는 브라켓 홈이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이 브라켓 홈에 결합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각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한 쌍의 조절블록을 구비함으로써 상부모듈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교량의 설치 전 수평도를 맞출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교량받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동작 단면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도 2에 따른 베이스의 변형예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또는 교대)과 교량의 사이에 배치되어 높낮이를 조절하고 외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베이스(110,210,310), 한 쌍의 조절블록(120,130), 상부모듈(14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10,210,310)는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형상의 블록으로 상부면이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됨으로써 평탄면(114)과 한 쌍의 제 1경사면(111a,111b)으로 구비된다. 이때 제 1경사면(111a,111b)은 일정각도를 갖고 평탄면(114)을 중심으로 좌우로 배치되어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다. 이러한 평탄면(114)의 중앙부에는 고정홈(116)이 구비되어 후술할 고정부재(150)의 하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상부모듈(140)과 연결된다.
도 3은 도 2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블록(120,130)은 서로 마주하는 면에 연결공(120a,130a)을 형성하여 조절나사(126)를 삽입함으로써 조절나사(126)를 매개로 한 쌍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경사면(111a,111b)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조절나사(126)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며, 중앙부에 구비된 너트(126a)를 중심으로 양측의 나사산(126b,126c)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조절블록(120,130)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나사(126)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절블록(120,130)에 대한 조절나사(126)의 고정성이 좋아진다. 바람직하게는 조절나사(126)가 짝수개로 구비되면 조절블록(120,130)의 이동시 평행성이 좋아진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나사(126)에는 외력에 의해 너트(126a)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브라켓(127)이 구비된다. 이러한 브라켓(127)은 한 측이 개구된 프레임 구조로써 수직면(127a)과 적어도 하나의 수평면(127b)을 갖는다. 즉, 수직면(127a)과 수평면(127b)의 사이에 너트(126a)가 삽입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너트(126a)가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브라켓(127)의 수평면(127b)에는 너트(126a)의 풀림 시 브라켓(127)이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브라켓(127)을 고정하기 위한 돌출부(127c)를 구비한다. 이때 돌출부(127c)를 삽입하기 위하여 조절나사(126)와 마주하는 조절블록(120,130)의 면에는 돌출부(127c)와 대응하여 홈부(120b,130b)가 구비된다. 즉, 돌출부(127c)가 홈부(120b,130b)에 삽입되어 브라켓(127)을 고정하므로 너트(126a)의 풀림 시 브라켓(127)이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절나사(126)를 통한 조절블록(120,130)의 높이 설정 후 외력이 가해져도 브라켓(127)을 통해 너트(126a)가 고정하므로 사용자가 설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도 5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의 상부에 위치한 조절블록(120,130)은 제 1경사면(111a,111b)에 대응하여 하부면에 제 2경사면(122,132)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조절블록(120,130)은 제 1경사면(111a,111b)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조절블록(120,130)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모듈(14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 1경사면(111a,111b)과 제 2경사면(122,132)의 사이에는 조절블록(120,130)의 슬라이딩 이동을 도와주며,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 1미끄럼 부재(113a,113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미끄럼 부재(113a,113b)는 제 1경사면(111a,111b)과 제 2경사면(122,132)의 사이에 배치되는 판형상의 부재로써 제 1경사면(111a,111b)을 따라 조절블록(120,130)의 슬라이딩 이동이 매끄럽도록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ST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ST소재는 내마모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높낮이 조절에 따른 조절블록(120,130)에 의해 제 1미끄럼 부재(113a,113b)에 마찰이 가해져도 쉽게 닳지않는다.
또한 제 1미끄럼 부재(113a,113b)와 제 2경사면(122,132)의 사이에도 제 1경사면(111a,111b)을 따라 조절블록(120,130)의 슬라이딩 이동이 매끄럽도록 제 1미끄럼 부재(113a,113b)와 대응하여 판형상의 제 2 미끄럼 부재(123,13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미끄럼 부재(123,133)는 조절블록(120,130)의 슬라이딩 이동이 매끄럽도록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PTFE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PTFE소재는 내마모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조절블록(120,130)에 의해 제 2미끄럼 부재(123,133)에 마찰이 가해져도 쉽게 닳지않는다.
여기서 제 1미끄럼 부재(113a,113b)와 제 2미끄럼 부재(123,133)를 바꾸어 사용해도 무방하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 1미끄럼 부재(113a,113b)와 제 2미끄럼 부재(123,133)는 제 1경사면(111a,111b)과 제 2경사면(122,132)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140)은 조절블록(120,130)의 상부에 배치되어 교량(300)을 지지하고,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부모듈(140)은 하부슈(142), 상부슈(146) 및 상기 하부슈(142)와 상부슈(146)의 사이에 배치되어 일정높이를 갖는 완충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슈(142)는 조절블록(120,130)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상부모듈(140)의 받침대 기능을 하는 부재이다. 이때 하부슈(142)는 조절블록(120,130)과 맞닿는 면적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부모듈(140)에 대한 전면지지를 높게 한다. 또한 하부슈(142)의 중앙에는 하부슈(142)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슈(146)에 고정부재(15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홈(142a)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150)가 하부슈(142)를 관통하여 상부슈(146)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부재(150)는 하부에 연장부재(152)를 구비함으로써 부반력을 방지한다.
상기 완충부(144)는 하부슈(142)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완충부(144)는 일정높이를 갖는 고무패드로 구비되어 교량(300)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슈(146)는 완충부(144)의 상부에 구비되어 교량(300)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부슈(146)의 중앙부에는 하부슈(142) 및 완충부(144)를 관통한 고정부재(150)의 상단부가 고정되어 고정부재(150)를 매개로 베이스(110,210,31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부모듈(140)과 조절블록(120,130)의 사이에는 조절블록(120,130)의 이동을 매끄럽게 하는 제 1미끄럼 판(124,134)과 제 2미끄럼 판(14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미끄럼 판(124,134)은 조절블록(120,13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판부재로써 높낮이 조절시 조절블록(120,130)의 수평이동이 매끄럽도록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PTFE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PTFE소재는 내마모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조절블록에 의해 마찰이 가해져도 쉽게 닳지않는다.
상기 제 2미끄럼 판(141)은 제 1미끄럼 판(124,134)과 상부슈(142) 사이에 배치되는 판형상의 부재로써 조절블록(120,130)의 이동이 매끄럽도록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ST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ST소재는 내마모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제 1미끄럼판(124,134)에 의해 마찰이 가해져도 쉽게 닳지않는다.
여기서 제 1미끄럼 판(124,134)과 제 2미끄럼 판(141)의 소재를 서로 바꾸어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상부모듈(140)과 조절블록(120,130) 사이에 제 1미끄럼 판(124,134)과 제 2미끄럼판(141)을 배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높이조절장치를 통한 높낮이 조절시 상부모듈(140)에 대한 조절블록(120,130)의 수평이동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미끄럼 판(124,134)과 제 2미끄럼 판(141)은 선택적으로 하나만 배치되어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제 1미끄럼 판(124,134)과 제 2미끄럼판(141)의 소재도 마찰계수가 낮고 내마모성이 적은 소재로 바꾸어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동작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높이조절장치는 교각(200) 또는 교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교량의 설치 전 수평도를 맞추기 위한 장치이다.
도 6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먼저 L만큼 높이를 올리기 위해서는 조절나사(126)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조절나사(126)를 회전시키면 조절블록(120,130)이 제 1경사면(111a,111b)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 1경사면(111a,111b)의 상단으로 올라가게 되므로 조절블록(120,13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이후 조절블록(120,1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모듈(140)도 L만큼 상부로 이동하는데 이때 베이스(110)에 삽입된 고정부재(150)는 상부모듈(140)에 고정된 형태로써 상부모듈(140)을 따라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높이를 올리면 베이스(110)를 제외한 상부모듈(140) 및 조절블록(120,130)의 높이가 높아져 인접한 위치의 교각(200) 또는 교대의 높이와 수평을 이루게 된다. 반대로 L만큼 높이를 낮추고 싶다면 조절나사(126)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절블록(120,130)의 높이를 낮춘다.
도 7a와 도 7b는 도 2에 따른 베이스의 변형예이다.
상기 베이스(210,310)는 외력에 의해 조절나사(126)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에 일정높이 연장되는 연장부(115)를 구비한다. 이러한 연장부(115)는 조절블록(120,130)과 마주하는 면에 나사(118)를 삽입하거나 스프링 부재(119)와 같은 다양한 형상의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조절블록(120,130)을 일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조절나사(126)가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조절블록(120,130)은 외력이 가해져도 사용자가 설정한 높이로 유지된다.
도 7a를 참조하면 조절나사(126)를 조절하여 조절블록(120,130)의 높이를 설정한 후 상기 연장부(115)에 고정나사(118)를 삽입한다. 이때 삽입한 고정나사(118)의 단부가 연장부와 마주하는 조절블록(120,130)의 면에 면접하여 조절블록(120,130)을 일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조절나사(126)가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연장부(115)의 내측에 스프링 부재(119)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스프링 부재(119)의 일단부는 연장부(115)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조절블록(120,130)에 면접하여 상기 조절블록(120,130)을 일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조절나사(126)가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는 교각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한 쌍의 조절블록을 구비함으로써 상부모듈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교량의 설치 전 수평도를 맞출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베이스 111a,111b : 제 1경사면
113a,113b : 제 1미끄럼 부재 115 : 연장부
118 : 고정나사 119 : 스프링 부재
120,130 : 조절블록 122,132 : 제 2경사면
123,133: 제 2미끄럼 부재 126 : 조절나사
124,134 : 미끄럼 판 127 : 브라켓
140 : 상부모듈 142 : 하부슈
144 : 완충부 146 : 상부슈
150 : 고정부재 200 : 브라켓

Claims (10)

  1. 상부면에 일정각도를 갖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 1경사면을 갖는 베이스;
    하부면에 상기 제 1경사면과 대응하는 제 2경사면을 각각 구비하고 조절나사를 매개로 연결되는 한 쌍의 조절블록; 및
    상기 조절블록의 상부에 배치되어 일정길이를 갖는 고정부재를 매개로 베이스와 연결되는 상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블록은 제 1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부모듈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는 양측에 형성된 나사산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경사면과 제 2경사면의 사이에 제 1미끄럼 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조절블록의 슬라이딩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미끄럼 부재와 제 2경사면의 사이에는 제 2미끄럼 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조절블록의 슬라이딩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모듈은 상기 조절블록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하부 슈와 상기 하부 슈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는 상부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는 연장부재가 구비되어 부반력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일정높이를 갖는 고무패드로 구비되어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부에 일정높이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삽입되는 고정나사를 구비하여 외력에 의한 상기 조절나사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부에 일정높이 연장되는 연장부와 일단부는 상기 연장부에 접하고 타단부는 상기 조절블록에 면접하는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여 외력에 의한 상기 조절나사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에는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조절블록이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브라켓과 대응하는 브라켓 홈이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이 브라켓 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
KR1020130147493A 2013-11-29 2013-11-29 높이조절장치 KR101639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493A KR101639568B1 (ko) 2013-11-29 2013-11-29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493A KR101639568B1 (ko) 2013-11-29 2013-11-29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636A true KR20150062636A (ko) 2015-06-08
KR101639568B1 KR101639568B1 (ko) 2016-07-14

Family

ID=5350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493A KR101639568B1 (ko) 2013-11-29 2013-11-29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5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6143A (zh) * 2018-01-17 2018-05-29 薛秋香 一种装配式板桥橡胶支座垫石支承力精确控制方法
CN110144815A (zh) * 2019-06-03 2019-08-20 成都济通路桥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无级调高支座及调高方法
CN112252208A (zh) * 2020-10-30 2021-01-22 成都济通路桥科技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节支座的更换方法
CN112342900A (zh) * 2020-11-05 2021-02-09 贵州路桥集团有限公司 一种钢混组合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299B1 (ko) * 2004-06-29 2005-03-14 박병준 교량의 교좌교체 및 전도방지를 위한 쐐기식 안전장치
KR100660034B1 (ko) * 2005-05-02 2006-12-20 (주)알티에스 구조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교좌장치
KR100716088B1 (ko) * 2006-07-10 2007-05-08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마찰을 이용한 수직진동 감쇠베어링
KR101161173B1 (ko) * 2010-06-29 2012-07-02 (주) 국제이엔씨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299B1 (ko) * 2004-06-29 2005-03-14 박병준 교량의 교좌교체 및 전도방지를 위한 쐐기식 안전장치
KR100660034B1 (ko) * 2005-05-02 2006-12-20 (주)알티에스 구조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교좌장치
KR100716088B1 (ko) * 2006-07-10 2007-05-08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마찰을 이용한 수직진동 감쇠베어링
KR101161173B1 (ko) * 2010-06-29 2012-07-02 (주) 국제이엔씨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6143A (zh) * 2018-01-17 2018-05-29 薛秋香 一种装配式板桥橡胶支座垫石支承力精确控制方法
CN110144815A (zh) * 2019-06-03 2019-08-20 成都济通路桥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无级调高支座及调高方法
CN112252208A (zh) * 2020-10-30 2021-01-22 成都济通路桥科技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节支座的更换方法
CN112342900A (zh) * 2020-11-05 2021-02-09 贵州路桥集团有限公司 一种钢混组合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568B1 (ko)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568B1 (ko) 높이조절장치
US8283834B2 (en) Power generating apparatus having ball bearings
KR101951310B1 (ko)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 장치
KR20100126699A (ko) 기판 위에 레일을 고정하는 레일 고정 시스템 및 레일 고정 장치
KR10100578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탄성받침
US11306442B2 (en) Rail fastening system
KR101575743B1 (ko) 쐐기를 이용한 진동 저감장치
KR101184114B1 (ko) 수직방향 면진장치
KR20140103464A (ko) 수평강성이 보강된 마찰형 교좌장치
CN109183609A (zh) 一种桥梁支座及其安装方法
KR101261781B1 (ko) 다중 슬라이딩 면진장치
KR101383506B1 (ko) 미복원 영역을 제거한 면진장치
JP4475667B2 (ja) 振止め構造を備えている吊戸
KR20110018483A (ko) 스페리컬 베어링
KR101822905B1 (ko) 교량용 면진장치
KR102138940B1 (ko) 쐐기를 이용한 탄성 마찰댐퍼 및 이를 이용한 댐핑구조물
KR20150115875A (ko) 철도 레일 고정 장치
JP6678006B2 (ja) 構造物用スライド支承装置
KR100603640B1 (ko) 층간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JP2003176641A (ja) 建築物制振装置
KR101187964B1 (ko) 자기부상열차용 침목의 위치조정 및 체결장치
CN110462135A (zh) 轨道固定系统
JP7050553B2 (ja) 構造物用支承装置
JP2006241929A (ja) 高さ調整が可能な土台基礎用スペーサー
JP4099478B2 (ja) 床用目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