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018A -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018A
KR20150062018A KR1020130146511A KR20130146511A KR20150062018A KR 20150062018 A KR20150062018 A KR 20150062018A KR 1020130146511 A KR1020130146511 A KR 1020130146511A KR 20130146511 A KR20130146511 A KR 20130146511A KR 20150062018 A KR20150062018 A KR 20150062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ccident
insurance fraud
vehicl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두섭
김도현
이승준
김경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46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2018A/ko
Publication of KR20150062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는 차량 사고 시 차량 단말기로부터 차량에 대한 충격 센서 정보, 상태 정보 및 네비게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고 정보를 수신하고, 차량의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차량 운전자에 의해 입력된 상대방 측 운전자 정보, 탑승자 정보 및 목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통신부; 외부 서버와 연동을 수행하는 연동부; 및 상대방 측 운전자 정보, 탑승자 정보 및 목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사고 정보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보험 사기 사고 발생시의 보험 사기 사고 정보 및 보험 사기 이력 정보와의 비교 및 분석을 통해 자동차 보험 사기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SYSTEM FOR PREVENTING VEHICLE INSURANCE FRAUD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 차량의 운전시, 고의적으로 사고를 내고 사고의 과실을 일반 운전자에게 전가시켜 보험금을 편취하는 자동차 보험 사기범으로부터 그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외국의 도로상에서 운행되는 차량의 수가 날로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 대 사람, 차량 대 차량 등 많은 차량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들은 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대물 또는 대인 배상에 관한 손해를 줄이기 위해 차량 보험에 가입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악의적으로 이용하는 자동차 보험 사기 범죄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 보험 사기 범죄는 예를 들어, 고의적으로 차량 보험사고가 발생하도록 상황을 조작하여 부당하게 보험금을 편취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차량 보험 사고 범죄의 발생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 예로서, 자동차 보험 사기 범죄자는 일방 통행 위반, 신호 위반 또는 중앙선을 침범한 운전자가 운행하는 차량을 고의로 충돌하여 사고를 내 교통 위반을 한 운전자의 보험회사로부터 보험금을 편취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자동차 보험 사기 사건들은 점차 조직화 및 지능화되고 있어 보험 회사나 운전자는 즉각적으로 피해에 대한 대응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범죄자들이 자동차 보험 사기 범죄가 많이 일으켜 보험회사나 운전자들이 많은 피해를 본 뒤에야 뒤 늦게 자동차 보험 사기에 대한 범죄 사건 수사를 진행할 수밖에 없다.
이에 관련하여, 발명의 명칭이 "보험사고 분석 방법 및 시스템"인 한국등록특허 제1138830호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고의적으로 사고를 내고 사고의 과실을 일반 운전자에게 전가시켜 보험금을 편취하는 자동차 보험 사기범으로부터 그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는 차량 사고 시 차량 단말기로부터 차량에 대한 충격 센서 정보, 상태 정보 및 네비게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고 정보를 수신하고, 차량의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차량 운전자에 의해 입력된 상대방 측 운전자 정보, 탑승자 정보 및 목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통신부; 외부 서버와 연동을 수행하는 연동부; 및 상대방 측 운전자 정보, 탑승자 정보 및 목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사고 정보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보험 사기 사고 발생시의 보험 사기 사고 정보 및 보험 사기 이력 정보와의 비교 및 분석을 통해 자동차 보험 사기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동부는, 차량의 사고 지점을 촬영한 CCTV와의 연동을 수행하고, 통신부를 통해 CCTV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는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차량 운전시 자동차 보험 사기범으로부터 입을 수 있는 보험 사기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 단말기에 포함된 충격 센서부가 존재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의 동작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의 동작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에서 수행되는 보험 사기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10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1000)은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 차량 단말기(200), 휴대용 단말기(300), 외부 서버(400) 및 CCTV 센터(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들 각 구성에 대한 서술은 이하에서 이루어진다.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는 차량 단말기(200), 휴대용 단말기(300), 외부 서버(400) 및 CCTV 센터(500)와 연동되어 자동차 보험 사기를 예방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수집된 정보를 외부 서버(400)로 송신하고 외부 서버(400)에서의 자동차 보험 사기 여부 판단을 통해 해당 사고가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인지의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하자. 이 때, 사고가 발생한 차량의 차량 단말기(200)에서 차량 사고 발생 시 사고 현장에 대한 증거 보존을 위해, 차량에 대한 충격 센서 정보, 상태 정보 및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여기서, 충격 센서 정보는 차량에 탑재된 다수의 충격 센서에 의해 사고 부분에서 측정된 충격량과, 충격 시 시간 흐름 정보를 나타낸다. 여기서, 충격 시 시간 흐름 정보는 사고 시점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의 흐름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상태 정보는 사고 발생시 차량의 속도 정보, 조향각 정보 및 블랙박스 영상과 같이 사고 발생시 차량의 상태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네비게이션 정보는 차량의 이동 경로, 사고 지점 도로 유형, 사고 지점 위치와 같은 정보를 나타낸다. 이렇게 차량 사고가 발생하면 차량 단말기(200)는 수집된 충격 센서 정보, 상태 정보 및 네비게이션 정보를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로 송신한다. 이렇게 송신된 정보들은 예를 들어, 보험사가 보유하고 있는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 발생시의 사고 정보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의 판단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사고가 발생하면, 운전자는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300)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상대방 측 운전자 정보, 탑승자 정보 및 목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대방 측 운전자 정보는 예를 들어, 운전자 이름, 전화 번호 및 차량 번호와 같이 운전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탑승자 정보 및 목격자 정보도, 상대방 측 운전자 정보와 마찬가지로, 탑승자 및 목격자 각자를 식별할 수 있는 이름 및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나타낸다. 이들 정보에 포함되는 속성값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속성들이 추가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이렇게 운전자에 의해 입력된 상대방 측 운전자 정보, 탑승자 정보 및 목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로 송신되어, 이하에서 언급되는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인지의 판단에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차량 사고 이후, 현장 합의가 이루어질 경우는 현장 합의 정보 예를 들어, 사고 일시, 사고 장소, 합의 금액 및 상대방의 자필 서명 정보와 같은 현장 합의 정보를 입력하여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로 전송한다. 이는 차후 뺑소니 사고로 몰리지 않도록 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는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차량에 대한 충격 센서 정보, 상태 정보 및 네비게이션 정보와, 휴대용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상대방 측 운전자 정보, 탑승자 정보 및 목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서버(400)로 송신한다.
외부 서버(400)는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을 근거로 해당 사고에 대한 관련 데이터를 다시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로 송신한다. 이러한 외부 서버(400)는 예를 들어, 보험사 서버, 렌트 회사 서버 및 리스 회사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서버(400)는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의 판단을 위해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된 관련 데이터 즉, 보험 사기 여부 판단에 필요한 데이터를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외부 서버(400)는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사고 정보, 상대방 측 운전자 정보, 탑승자 정보 및 목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보험 사기 사고 발생시의 보험 사기 사고 정보와 보험 사기 이력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추출된 정보는 다시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로 송신되어 보험 사기 여부 판단에 대한 근거 자료로 이용된다.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는 상대방 차량 운전자 정보, 탑승자 정보, 그리고 목격자 정보와, 외부 서버(400)에서 수신한 정보를 근거로, 해당 운전자, 탑승자 및 목격자가 기존에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 이력이 있는지를 분석한다. 이러한 이력 정보는 예를 들어, 사고 장소, 일시, 합의 금액, 목격자, 운전자 및 차량 번호에 따른 차량 사고 시 정비 및 점검 견적서 및 내역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는 분석 과정에서 해당 운전자, 탑승자 및 목격자에 대한 보험 사기 사고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운전자, 탑승자 및 목격자에 대한 보험 사기 사고 이력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이전의 차량 보험 사고 기록을 통해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의 저지르고 있는 범죄자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의 상술한 과정을 통해, 사고에 대한 목격자와 상대 차량의 탑승자 등을 정확히 확인할 수가 있으므로,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 범죄자들이 유리한 진술을 확보하기 위해 목격자를 추가 또는 교체하고 사고 차량의 탑승자를 추가하거나 바꿔서 부상자를 확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점차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가 조직화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상대방 운전자, 탑승자, 목격자의 이름 및 전화번호가 중요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외부 서버(400)에서 보유한 보험사의 이전 차량 보험 사고 기록 정보 중 운전자 및 차량 번호에 따른 차량 사고 시 정비 및 점검 견적서 및 내역서 정보는 수리 전후에 정비 및 점검 견적서 및 내역서 정보를 통해 수리 내역 및 비용의 적정성을 확인하여 과도한 비용 청구로 인한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는 차량 번호를 통해 각 렌트 회사 및 리스 회사 서버로부터 렌트 및 리스한 차량인지를 확인하고 상대방 운전자의 이전 및 현재의 렌트 및 리스된 차량의 보험 관련 이력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렌트 및 리스된 차량의 보험 관련 이력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 사고 시 정비 및 점검 견적서 및 내역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이 필요한 이유는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 범죄자들이 고의적으로 고가의 국산 및 외제 차량을 빌려 과도한 비용 청구를 통한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는 CCTV 센터(500)와의 연동을 통해, 차량 사고시, 사고 지점에 대한 CCTV 정보 즉,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 단말기(200)에서 수신한 네비게이션 정보와 사고 정보를 근거로, 사고 장소의 촬영이 가능한 CCTV 센터(5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정보는 해당 사고 발생 시의 영상 정보와, 사고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하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해당 사고 발생 지점을 중심으로 기설정된 범위 내의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는 수신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사고가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영상 정보에 대한 분석은 예를 들어, 사고 지점 주변에서 자동차 보험 사기범들이 범죄를 사전에 공모하고자 현장에서 진행한 예행 연습 자료와 같이 다양한 근거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는 차량의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차량 이동 경로 중 이전에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가 발생 했던 지점에 가까이 오면 운전자에게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가 발생했던 지점임을 통보할 수 있다. 이러한 통보는 예를 들어, 운전자가 보유한 휴대용 단말기 및 차량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에 대해 서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의 블록도이다. 이하의 서술에서, 도 1을 참조로 서술한 사항과 중복되는 부분은 명세서의 명료함을 위해 생략한다.
통신부(110)는 차량 사고 시 차량 단말기로부터 차량에 대한 충격 센서 정보, 상태 정보 및 네비게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고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충격 센서 정보는 차량에 탑재된 다수의 충격 센서에 의해 사고 부분에서 측정된 충격량과, 충격 시 시간 흐름 정보를 나타낸다. 충격 시 시간 흐름 정보는 사고 시점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의 흐름 정보를 나타낸다. 상태 정보는 사고 발생시 차량의 속도 정보, 조향각 정보 및 블랙박스 영상과 같이 사고 발생시 차량의 상태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네비게이션 정보는 차량의 이동 경로, 사고 지점 도로 유형, 사고 지점 위치와 같은 정보를 나타낸다. 이러한 사고 정보는 보험사가 보유하고 있는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 발생시의 사고 정보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의 판단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차량의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차량 운전자에 의해 입력된 상대방 측 운전자 정보, 탑승자 정보 및 목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상대방 측 운전자 정보는 예를 들어, 운전자 이름, 전화 번호 및 차량 번호와 같이 운전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탑승자 정보 및 목격자 정보도, 상대방 측 운전자 정보와 마찬가지로, 탑승자 및 목격자 각자를 식별할 수 있는 이름 및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나타낸다.
연동부(120)는 외부 서버와 연동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연동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는 외부 서버로부터 보험 사기 사고 정보 및 보험 사기 이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보험 사기 사고 정보는 예를 들어,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가 발생할 때의 사고 차량의 정보 즉,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 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 정보 및 충격 위치 정보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보험 사기 이력 정보는 예를 들어, 자동차 보험 사기 이력이 있는 사람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여기서 외부 서버는 보험사 서버, 차량 렌트 회사 서버 및 리스 회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서버들로부터 사고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연동부(120)는 이들 서버와 연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동부(120)는 사고 지점에 대한 CCTV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CCTV 센터와 더 연동될 수 있다. CCTV 센터를 통해 촬영된 영상 정보는 차량 단말기에서 송신된 네비게이션 정보와 사고 정보를 근거로 파악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정보는 해당 사고 발생 시의 영상 정보와, 사고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하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해당 사고 발생 지점을 중심으로 기설정된 범위 내의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130)는 수신한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기능을 한다. 즉, 영상 분석부(130)는 영상 정보의 분석을 통해 해당 사고가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인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판단부(140)는 통신부(110) 및 연동부(120)를 통해 수신한 정보들을 근거로, 해당 사고가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인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40)는 상대방 측 운전자 정보, 탑승자 정보 및 목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사고 정보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보험 사기 사고 발생시의 보험 사기 사고 정보 및 보험 사기 이력 정보와의 비교 및 분석을 통해 자동차 보험 사기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즉, 판단부(140)는 수집 및 분석된 정보를 종합하고 종합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140)는 연동부(120)를 통해 이전의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 판례를 수신하고, 수신한 판례와 현재 사고를 비교 분석하여 보다 정확한 판단 결과를 유도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200)를 더 서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200)의 블록도이다. 차량 단말기(200)는 차량 사고 발생 시 사고 현장에 대한 증거 보존을 위해, 차량에 대한 충격 센서 정보, 상태 정보 및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본 발명의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로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200)는 충격 센서부(210), 상태 정보 수집부(220), 네비게이션부(230) 및 차량 통신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서술에서 앞서 도 1을 참조로 언급한 것과 중복되는 사항은 명세서의 명료함을 위해 생략한다.
충격 센서부(210)는 도 1을 참조로 언급한 바와 같이, 차량 사고시 차량에 가해진 충격량과 충격 시 시간의 흐름 정보를 수집한다. 충격 센서부(210)에서 수집된 정보들은 사고의 재현 또는 유추가 가능하도록 사고 시점을 기준으로 사고 전후의 기설정된 시간 동안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한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들은 이전에 각 보험사가 보유한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 발생 시 충격센서 및 차량 상태 정보와 비교 분석에 이용될 수 있다.
충격 센서부(21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사고 시 충격이 가해질 수 있는 곳에 위치될 수 있다. 충격 센서부(210)의 이러한 배치를 통해 사고 발생시, 어느 범위에 어느 정도의 충격을 받았는지 알 수 있다.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 범죄자들이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를 범죄를 고의적으로 저지르기 위해 주로 대상으로 하는 차량 충돌 부위, 또는 일반적으로 주로 사고 충격이 가해지는 충돌 부위의 부품 위치에 추가적으로 충격 센서를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충격 센서부(210)의 위치 및 개수는 도 4에 도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가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시간의 흐름 정보는 예를 들어, 사고 시점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범위의 시간 동안의 시간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단말기는 별도의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자신에게 연결된 게이트웨이 센서 노드를 통해 배치된 충격 센서 노드의 충격 센서 정보를 무선 및 유선으로 수집을 할 수 있다. 충격 센서로부터 얻어올 수 있는 정보는 충격 센서의 유일한 어드레스 또는 ID, 차량 사고 시 발생한 충격량, 각각의 충격 센서가 충격을 받을 시 시간 정보 등을 얻어온다. 여기서 충격 센서가 충격을 받을 시 시간 정보를 받아오는 이유는 각각의 충격 센서가 충격 시 시간 흐름 정보를 통해 어떻게 차량 사고가 일어났는지 분석 및 재연을 하는데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상태 정보 수집부(220)는 차량 사고 발생 시 차량의 상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사고 발생시 차량의 속도 정보, 조향각 정보 및 블랙박스 영상과 같이 사고 발생시 차량의 상태 정보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 정보는 사고의 과실 판단뿐만 아니라, 자동차 보험 사기의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부(230)는 잘 알려진 네비게이션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고 지점 및 사고 지점까지의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정보는 사고 지점을 알리는 기능을 수행하고, 사고 지점의 영상 정보의 수집 및 분석을 위한 참고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차량 통신부(240)는 충격 센서부(210), 상태 정보 수집부(220) 및 네비게이션부(230)를 통해 수집한 정보들을 본 발명의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로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더 서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의 동작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서술에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사항은 명세서의 명료함을 위해 생략한다.
먼저, 차량 사고시, 차량 단말기(200)에서 충격 센서 정보, 상태 정보 및 네비게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들을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로 송신하는 단계(S510)가 수행된다. 충격 센서 정보, 상태 정보 및 네비게이션 정보는 도 1을 참조로 상세히 언급되었으므로, 추가적인 서술은 생략한다.
또한, S510 단계에서 수집 및 송신된 충격 센서 정보, 상태 정보 및 네비게이션 정보는 자동차 보험 사기의 판단에 사용될 수 있다. 즉, S510 단계에서 수집 및 송신된 충격 센서 정보, 상태 정보 및 네비게이션 정보는 예를 들어, 불법 유턴 차량 대상 보험사기, 일방통행 도로의 역주행 차량 대상 보험사기, 중앙선 침범 차량 대상 보험사기, 횡단보도 사고를 위장한 보험사기, 차선 변경 차량 대상 보험사기, 안전거리 미확보 차량 대상 보험사기, 좁은 골목길 진행 차량 대상 보험사기 등과 같은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를 입증하는데 중요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그 후, 휴대용 단말기(300)에 의해,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로 상대방 측 운전자 정보, 탑승자 정보 및 목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는 단계(S520)가 수행된다. 이러한 정보들은 차량 발생 시, 운전자의 입력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이렇게 입력된 정보들은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로 송신되어, 자동차 보험 사기의 판단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 주행 중 차량 사고가 일어났을 경우 상호 양해 하에 운전자와 상호 운전자가 헤어진 후 추후 뺑소니를 주장하는 보험사기 수법의 방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 후,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에 의해, CCTV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는 단계(S530)가 수행된다. 이러한 CCTV 정보 즉 영상 정보의 수집을 위해,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는 CCTV 센터와 연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연동을 통해, CCTV 센터와 연동하고, 차량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근거로, 사고 지점 주변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CCTV 정보 즉, 영상 정보는 해당 사고 발생 시의 영상 정보와, 사고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하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해당 사고 발생 지점을 중심으로 기설정된 범위 내의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는 이하의 보험 사기 여부 판단 과정뿐만 아니라, 영상 정보를 통한 추가적인 판단을 수행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 후,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에 의해, 외부 서버(400)로 보험 사기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가 수행되고, 외부 서버(400)에 의해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로 보험 사기 정보 및 보험 사기 이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서 외부 서버(S540)는 예를 들어, 보험사 서버, 차량 렌트 회사 서버 및 리스 회사 서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보험 사기 정보는 과거의 자동차 보험 사기 이력을 통해 산출된 정보로서, 과거의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시 차량에 가해진 충격량 정보,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보험 사기 이력 정보는 상대방 측 운전자, 탑승자 및 목격자에 대한 보험 사기 이력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낸다.
그 후,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에 의해, 차량 단말기(200), 휴대용 단말기(300) 및 외부 서버(400)에서 수집한 정보들을 근거로, 보험 사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S550 단계에서 판단된 판단 결과는 운전자에게 통보되어, 보험 사기 여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더 서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의 동작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6을 참조로 서술되는 실시예는 도 5에서 보험 사기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에서 이루어진 것과 달리, 외부 서버를 통해 이루어지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예시는 예를 들어,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의 과부하를 막기 위해 판단 과정을 분산 처리하기 위해 더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언급된 S510 단계 내지 S530 단계는 본 실시예에서도 그대로 적용되므로, S610 단계 내지 S630 단계에 대한 서술은 명세서의 명료함을 위해 생략된다.
S640 단계는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에 의해, S610 단계를 통해 수신한 충격 센서 정보, 상태 정보 및 네비게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고 정보와, S620 단계를 통해 수신한 상대방 측 운전자 정보, 탑승자 정보 및 목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서버(400)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외부 서버(S540)는 예를 들어, 보험사 서버, 차량 렌트 회사 서버 및 리스 회사 서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 후, 외부 서버(400)에 의해,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을 근거로, 보험 사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50)가 수행된다. S650 단계에서 수행되는 보험 사기 여부 판단 과정은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들과, 외부 서버(400)에서 보유한 또는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된 보험 사기 정보 및 보험 사기 이력 정보의 비교 분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로, 본 발명의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보험 사기 여부 판단 과정을 더 서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에서 수행되는 보험 사기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고 정보와, 보험 사기 사고 발생시의 보험 사기 사고 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는 단계(S561)가 수행된다. 즉, S561 단계는 사고 차량에 대해, 기존에 보험 사기 시 발생한 차량의 충격량 및 충격 부위와 사고 차량을 비교 및 분석하여, 보험 사기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그 후, 상대방 측 운전자 정보, 탑승자 정보 및 목격자 정보를 근거로 해당 운전자, 탑승자 및 목격자에 대한 보험 사기 이력을 분석하는 단계(S562)가 수행된다. S562 단계는 외부 서버에서 수신한 정보들을 근거로, 해당 운전자, 탑승자 및 목격자에 보험 사기 이력이 존재하는지 분석하여, 본 사고에 대한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후, 상대방 측 운전자 및 차량 번호에 따른 차량의 이전 정비 및 점검 견적서 및 내역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S563)가 수행된다. 즉, 과거에 해당 운전자, 탑승자 및 목격자에 보험 사기 이력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상대방 측 차량에 대한 차량의 이전 정비 및 점검 견적서 및 내역서 정보 등을 검사하여, 본 사고가 계획적인 자동차 보험 사기인지의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보험사가 보유한 운전자 및 차량 번호에 따른 이전 차량 사고 시 정비 및 점검 견적서 및 내역서 정보를 통해, 차량 수리의 비용이 정확한 수리 비용보다 과도하게 청구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그 후, 상대방 차량이 렌트 또는 리스한 차량인지 판단하는 단계(S564)가 수행된다. S564 단계에서, 상대방 차량이 렌트 또는 리스한 차량으로 판단되면 제어는 S565 단계로 전달된다. 그렇지 않다면 제어는 S566 단계로 전달된다.
S565 단계는 상대방 측 운전자의 자동차 렌트 또는 리스 보험 관련 이력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이력 정보 분석을 통해, 상대방 운전자의 고의 사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S565 단계는 고가의 차량을 이용한 보험사기로서, 고가의 국내 및 외제 차량을 빌려 고가임을 주장하여 현장 합의와 보험 접수를 요구하는 사기를 방지하기 위해 수행된다.
그 후, 보험사의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 판례 정보와 비교 분석하는 단계(S566)가 수행되고, 그 후 상술한 단계들을 통해 분석된 정보들을 근거로, 자동차 보험 사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67)가 수행된다. S567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보험 사기로 판단되면, 운전자에게 이를 통지해주고, 경찰서 및 보험사에 바로 신고 및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고 후 처리가 미흡한 운전자를 대상으로 한 보험사기를 예방이 가능해진다. 또한, 자동차 보험 사기 사고가 아닐지라도 현장에서 합의할 경우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고 일지, 사고 장소, 합의 금액, 자필 서명 정보를 입력 받아 현장에서 합의가 이루어졌음을 증명한다. 그리고 현장 합의를 하지 않을 경우 경찰서 또는 보험사에 연결 및 신고를 하여 차량 사고 처리하는데 도움을 요청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100 :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
200 : 차량 단말기 300 : 휴대용 단말기
400 : 외부 서버 500 : CCTV 센터

Claims (1)

  1. 차량 사고 시 차량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충격 센서 정보, 상태 정보 및 네비게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 운전자에 의해 입력된 상대방 측 운전자 정보, 탑승자 정보 및 목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통신부;
    외부 서버와 연동을 수행하는 연동부; 및
    상기 상대방 측 운전자 정보, 탑승자 정보 및 목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사고 정보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보험 사기 사고 발생시의 보험 사기 사고 정보 및 보험 사기 이력 정보와의 비교 및 분석을 통해 자동차 보험 사기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서버.
KR1020130146511A 2013-11-28 2013-11-28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50062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511A KR20150062018A (ko) 2013-11-28 2013-11-28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511A KR20150062018A (ko) 2013-11-28 2013-11-28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018A true KR20150062018A (ko) 2015-06-05

Family

ID=5349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511A KR20150062018A (ko) 2013-11-28 2013-11-28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201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80177A (zh) * 2016-01-15 2016-04-13 深圳市险萝卜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车载智能终端实现车辆出险防欺诈的方法
CN108877235A (zh) * 2017-05-16 2018-11-23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补偿方法、补偿装置和电子设备
CN109791679A (zh) * 2016-09-26 2019-05-21 哈曼国际工业有限公司 用于汽车保修欺诈的预测的系统和方法
CN110148058A (zh) * 2018-12-26 2019-08-20 华晨宝马汽车有限公司 识别可疑汽车售后索赔保单的方法和系统
KR20210053257A (ko) * 2019-11-01 2021-05-1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사고정보 신뢰도 기반 보험금 지급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80177A (zh) * 2016-01-15 2016-04-13 深圳市险萝卜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车载智能终端实现车辆出险防欺诈的方法
CN105480177B (zh) * 2016-01-15 2019-12-27 深圳市险萝卜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车载智能终端实现车辆出险防欺诈的方法
CN109791679A (zh) * 2016-09-26 2019-05-21 哈曼国际工业有限公司 用于汽车保修欺诈的预测的系统和方法
CN108877235A (zh) * 2017-05-16 2018-11-23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补偿方法、补偿装置和电子设备
CN110148058A (zh) * 2018-12-26 2019-08-20 华晨宝马汽车有限公司 识别可疑汽车售后索赔保单的方法和系统
KR20210053257A (ko) * 2019-11-01 2021-05-1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사고정보 신뢰도 기반 보험금 지급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9911B1 (en) Automated accident detection, fault attribution, and claims processing
US115624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accident analysis
US10417713B1 (en) Determining whether a vehicle is parked for automated accident detection, fault attribution, and claims processing
US20170076396A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11605292B2 (en) Vehicle turn detection
CN105785969B (zh) 标识车辆撞击的起源以及关于撞击的数据的选择性交换
KR20150062018A (ko) 자동차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1500060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vheicle accident information
US11756130B1 (en) Telematics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detection and notification
KR101071914B1 (ko) 자동차 충돌사고 알림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60273922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and reporting tailgating incidents
KR20090090464A (ko) 차량용 블랙박스와 연동된 사고 처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31583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exchange in vehicles
CN106920293A (zh) 车辆事故自动记录分析方法
US9299252B2 (en) Method for checking communication messages in vehicle-to-environment communication and suitable receiver
CN106327336A (zh) 车险查勘辅助系统及其实现方法
KR101491020B1 (ko) 지능형 실시간 교통위반단속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US8890669B2 (en) Method for monitoring by collaborating between MTC devices, related device and system
KR20100073893A (ko)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1989680A (zh) 入侵地点确定装置以及入侵地点确定方法
CN109671270B (zh) 行车事故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GB2554559A (en) Vehicle accident detection and notification
CN111801714A (zh) 用于对车辆缺陷报告进行加密的方法
CN111148282A (zh) 一种机动车辆的智能化资产管理方法及系统
TWI782751B (zh) 交通違規的智能輔助判斷及處理方法及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