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1936A -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61936A KR20150061936A KR1020130146328A KR20130146328A KR20150061936A KR 20150061936 A KR20150061936 A KR 20150061936A KR 1020130146328 A KR1020130146328 A KR 1020130146328A KR 20130146328 A KR20130146328 A KR 20130146328A KR 20150061936 A KR20150061936 A KR 201500619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ts
- resin
- weight
- primer composition
- modifi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1/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hloropr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hloropr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28—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26—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28—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2—Presence of unspecified polymer
- C09J2400/223—Presence of unspecified polymer in the primer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클로로프렌계 고무,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및 변성 에틸렌비닐아세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에 점착부여제 및 혼합용제를 혼합하여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폐놀계 용제와 같은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작업 환경을 유익하게 개선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DMF(dimethylformamide) 등을 사용하는 세척공정 없이도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발 제조 공장에서의 접착 불량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기능성 사출부품 프라이머 제조기술 확보할 수 있고, 신발 디자인의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폐놀계 용제와 같은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작업 환경을 유익하게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DMF(dimethylformamide) 등을 사용하는 세척공정 없이도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신발에도 패션성과 기능성의 요구가 높아지면서 신발 부품도 디자인과 구조가 복잡해져 접착의 난이도가 높은 신규 제품이 증가하고 있고 환경 문제와 접착 불량에 대한 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접착 공정 간소화 및 프라이머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신발 완제 공장들은 신발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접착 불량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러한 접착 문제는 특정 공정에서 야기된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복합된 원인에 의해 발생하지만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작업자 및 프라이머이므로 공정의 개선 및 프라이머의 성능에 대한 개선이 필수적이다.
한편, 각종 산업에 사용하는 난접착 소재의 종류가 다종, 다양해지고 경제성을 고려하여 사출 부품(예를 들면, 나일론과 같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는데, 접착력 향상을 위해서 기존 프라이머에는 유해한 물질인 폐놀계 용제를 주용제로 하여 접착을 하고 있어 폐놀계 용제를 배제한 프라이머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아울러, 경량화 및 내구성 등 물성을 위해서 유리섬유(glass fiber), 카본섬유(carbon fiber)를 플라스틱에 첨가하여 생산된 사출부품에는 폐놀계 용제를 사용한 프라이머에서도 접착력이 저하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에서와 같이, DMF(dimethylformamide) 등을 사용하여 피착체 표면을 완전히 스크래치 한 후 접착하고 있지만, 접착력이 매우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클로로프렌계 고무,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및 변성 에틸렌비닐아세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에 점착부여제 및 혼합용제를 혼합하여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폐놀계 용제와 같은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작업 환경을 유익하게 개선할 수 있도록 함을 과제로 한다.
또한, DMF(dimethylformamide) 등을 사용하는 세척공정 없이도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발 제조 공장에서의 접착 불량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기능성 사출부품 프라이머 제조기술 확보할 수 있고, 신발 디자인의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함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신발 부품용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
클로로프렌계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 1 ~ 5 중량부,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2 ~ 5 중량부 및 변성 에틸렌비닐아세이트 수지 0.5 ~ 2 중량부로 이루어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부여제 5 ~ 10 중량부 및 혼합용제 500 ~ 2,00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는, 용융지수가 5 ~ 30g/10min(200℃, 5kg)이고, 스타이렌 함량이 15 ~ 25%인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는, 염화도가 10 ~ 50 중량%이고 연화점이 40 ~ 120℃인 염화폴리프로필렌 또는 염화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관능성 액시드계 모노머를 5 ~ 25 중량부를 사용하여 그라프트 중합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성 에틸렌비닐아세이트 수지는, 에틸렌-아크릴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코폴리머, 아이노머 수지, 폴리프로필렌-아크릴산수지 또는 열가소성 에틸렌메타아크릴산코폴리머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부여제는, 열반응성 석유수지계, 알킬페놀수지, 열가소성 테르펜변성 페놀수지, 로진에스테르수지 또는 쿠마론인덴수지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합용제는, 노말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알콜, 에탄올, 싸이클로헥산 또는 메틸싸이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3 ~ 5종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폐놀계 용제와 같은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작업 환경을 유익하게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DMF(dimethylformamide) 등을 사용하는 세척공정 없이도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발 제조 공장에서의 접착 불량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기능성 사출부품 프라이머 제조기술 확보할 수 있고, 신발 디자인의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클로로프렌계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 1 ~ 5 중량부,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2 ~ 5 중량부 및 변성 에틸렌비닐아세이트 수지 0.5 ~ 2 중량부로 이루어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부여제 5 ~ 10 중량부 및 혼합용제 500 ~ 2,00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로로프렌계 고무는, 접착강도, 내노화성, 응집력, 열안정성이 우수하고 높은 강도를 발현하는 수지로서,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클로로프렌계 고무를 적용할 수 있으나, 일실시예로써 아세틸렌 또는 부타디엔을 출발원료로 하는 종 중에서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무늬 점도는 15 ~ 70인 것을 사용한다. 이때, 무늬 점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접착강도 또는 응집력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는, 프라이머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 응집력 등을 향상시키고, 점착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 스타이렌-이소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 스타이렌-에티렌-부타디엔-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 스타이렌-에티렌-프로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JIS K7210로 측정된 용융지수가 5 ~ 30 g/10min(200℃, 5kg)이고 스타이렌 함량이 10 ~ 25%인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의 용융지수 조건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흐름성이 맞지 않아 제조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상기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의 사용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기계적 강도, 응집력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흐름성이 낮아 피착재에 대한 젖음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는, 피착재의 표면젖음성 및 응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며, 그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기재에 대한 부착성, 내알칼리성 등의 화학적 성능이 저하되어 접착력이 감소하게 될 우려가 있으며,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의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고가의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사용량에 따른 가격이 상승하므로 이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상승 정도를 고려할 때 제적으로 타당하지 않으며. 또한 수지 용액의 점도가 증가하고 작업성 및 용제에 대한 용해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염화폴리올레핀 수지를 개질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염화도가 10 ~ 50 중량%이고 연화점이 40 ~ 120℃인 염화폴리프로필렌이나 염화폴리에틸렌 등의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관능성 액시드계 모노머를 5 ~ 25 중량부를 사용하여 그라프트 중합하는데, 액시드계 모노머의 사용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선처리제의 접착력이 향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25 중량부를 초과될 경우 분자량이 작아져 오히려 피착제에 대한 계면 응집력이 낮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시드계 모노머로는 카르복실산, 염산, 옥살산, 말산, 안식향산, 황산, 아미노산, 구연산, 아스코르브산, 질산, 아세트산류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그라프트 중합 시, 통상의 공지된 반응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변성 에틸렌비닐아세이트 수지는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에틸렌-아크릴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코폴리머, 아이노머 수지, 폴리프로필렌-아크릴산수지 또는 열가소성 에틸렌메타아크릴산코폴리머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수지의 용해도는 양호하나 접착력이 지나치게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2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용제에 잘 용해도지 않으며, 특히 고형분의 조절이 용이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 점착부여제는,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열반응성 석유수지계, 알킬페놀수지, 열가소성 테르펜변성 페놀수지, 로진에스테르수지 또는 쿠마론인덴수지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며, 그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초기 점착력이 감소하게 될 우려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프라이머 조성에 저분자량이 많아 프라이머의 응집력이 감소하고 특히 점착력이 높아 프라이머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혼합용제는, 프라이머의 사용효율 등을 고려하여 고형분이 5 ~ 15중량%가 되도록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특히 톨루엔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프라이머의 용해도가 현저히 떨어지므로, 노말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알콜, 에탄올, 싸이클로헥산 또는 메틸싸이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3 ~ 5종을 병용하여 500 ~ 2,000 중량부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용제의 함량 및 고형분의 범위는 사용효율 및 용해도 등을 고려한 이미 공지된 범위로써 그 임계적 의의는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들면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온도조절과 속도조절이 가능한 혼합용기에, 클로로프렌계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 5 중량부,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5 중량부 및 변성 에틸렌비닐아세이트 수지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코폴리머 2 중량부로 이루어진 기재를 혼합하고, 상기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부여제로써, 쿠마론인덴수지 10 중량부 및 노말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알콜을 6 : 3 : 1의 비율로 병용한 혼합용제 2,000 중량부를 투입하여 40 ~ 50℃의 온도에서 8시간동안 교반하여 용해시켜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는 용융지수가 30g/10min(200℃, 5kg)이고, 스타이렌 함량이 25%이며, 상기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는 염화도가 50 중량%이고 연화점이 120℃인 염화폴리프로필렌 또는 염화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관능성 액시드계 모노머인 옥살산을 25 중량부를 사용하여 그라프트 중합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온도조절과 속도조절이 가능한 혼합용기에, 클로로프렌계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 1 중량부,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2 중량부 및 변성 에틸렌비닐아세이트 수지인 에틸렌-아크릴 수지 0.5 중량부로 이루어진 기재를 혼합하고, 상기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부여제로써, 열반응성 석유수지계 5 중량부 및 노말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알콜을 6 : 3 : 1의 비율로 병용한 혼합용제 500 중량부를 투입하여 40 ~ 50℃의 온도에서 8시간동안 교반하여 용해시켜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는 용융지수가 5g/10min(200℃, 5kg)이고, 스타이렌 함량이 15%이며, 상기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는 염화도가 10 중량%이고 연화점이 40℃인 염화폴리프로필렌 또는 염화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관능성 액시드계 모노머인 카르복실산을 5 중량부를 사용하여 그라프트 중합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온도조절과 속도조절이 가능한 혼합용기에, 클로로프렌계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10 중량부, 에틸렌-아크릴 수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기재를 혼합하고, 상기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부여제로써, 열반응성 석유수지계 5 중량부 및 메틸에틸케톤 용제 500 중량부를 투입하여 40 ~ 50℃의 온도에서 8시간동안 교반하여 용해시켜 신발 부품용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동성 NSC사의 180S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3)
화승 T&C사의 PR-307를 사용하였다.
2.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의 평가
(1) 시편제작
25×100mm의 크기의 나일론계 수지로 이루어진 부품을 극성용제로 세척한 후 건조시킨 다음,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프라이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동성NSC DRF) 5 중량부를 혼합한 후 도포하고 60℃에서 5분간 건조시켰다. 또한, 별도의 고무 시트도 25×100mm의 크기로 준비하여 세척한 후 건조한 다음 고무용 프라이머(동성 NSC D-PLY 007)를 도포한 후 60℃에서 5분간 건조시켰다.그리고, 위의 두 피착재에 접착제를 각각 도포한 후 60℃에서 5분간 건조한 후 접합하여 약 10kg의 하중으로 압착하여 접착시켰다. 이때 동일 시험에 사용하는 시험 시편은 5개를 사용하였다.
(2) 시편제작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시편을 이용하여 나일론계 수지로 이루어진 부품과 고무와의 접착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1) 초기 접착력 평가
접착 시편을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만능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100mm/분의 인장속도로 박리하여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2) 상태 접착력 평가
접착 시편을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만능인장시험기(UTM)를 사용하여 100mm/분의 인장속도로 박리하여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3) 내열성 평가
접착 시편을 상온 방치 24시간 후에 90℃에서 1kg의 하중으로 30분간 방치 후 밀린 거리를 측정하였다.
특성 | 실시예 1 | 실시예 2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초기 접착력(kgf/cm) | 3.2 | 3.0 | 용해 안됨 |
2.6 | 2.7 |
상태 접착력(kgf/cm) | 4.2 | 4.0 | 3.0 |
3.4 |
|
내열성(mm) | 4 | 4 | 3 | 4 |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른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의 경우, 비교예 2 및 3에 비해 초기 접척력과 상태 접착력이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비교예 1의 경우에는 메틸에틸케톤 용제만을 사용하여 기재를 용해시켰으나 용해가 제대로 되지 아니하여 평가가 불가능하였다.
즉,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폐놀계 용제와 같은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작업 환경을 유익하게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DMF(dimethylformamide) 등을 사용하는 세척공정 없이도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 신발 부품용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
클로로프렌계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 1 ~ 5 중량부,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2 ~ 5 중량부 및 변성 에틸렌비닐아세이트 수지 0.5 ~ 2 중량부로 이루어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부여제 5 ~ 10 중량부 및 혼합용제 500 ~ 2,00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는,
용융지수가 5 ~ 30g/10min(200℃, 5kg)이고, 스타이렌 함량이 15 ~ 25%인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는,
염화도가 10 ~ 50 중량%이고 연화점이 40 ~ 120℃인 염화폴리프로필렌 또는 염화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관능성 액시드계 모노머를 5 ~ 25 중량부를 사용하여 그라프트 중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에틸렌비닐아세이트 수지는,
에틸렌-아크릴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코폴리머, 아이노머 수지, 폴리프로필렌-아크릴산수지 또는 열가소성 에틸렌메타아크릴산코폴리머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여제는,
열반응성 석유수지계, 알킬페놀수지, 열가소성 테르펜변성 페놀수지, 로진에스테르수지 또는 쿠마론인덴수지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제는,
노말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알콜, 에탄올, 싸이클로헥산 또는 메틸싸이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3 ~ 5종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6328A KR101577768B1 (ko) | 2013-11-28 | 2013-11-28 |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6328A KR101577768B1 (ko) | 2013-11-28 | 2013-11-28 |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1936A true KR20150061936A (ko) | 2015-06-05 |
KR101577768B1 KR101577768B1 (ko) | 2015-12-15 |
Family
ID=5349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6328A KR101577768B1 (ko) | 2013-11-28 | 2013-11-28 |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7768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98778A (zh) * | 2019-10-15 | 2020-01-17 | 南通大学 | 一种无卤阻燃型环保密封胶材料及其制备方法 |
CN111909638A (zh) * | 2020-08-12 | 2020-11-10 | 深圳先进电子材料国际创新研究院 | 一种防护紫外激光损伤晶圆的临时键合胶材料 |
WO2024072236A1 (es) * | 2022-09-26 | 2024-04-04 | Instituto Tecnológico De La Producción | Adhesivo ecológico, proceso de elaboración y método de aplicación |
-
2013
- 2013-11-28 KR KR1020130146328A patent/KR101577768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98778A (zh) * | 2019-10-15 | 2020-01-17 | 南通大学 | 一种无卤阻燃型环保密封胶材料及其制备方法 |
CN110698778B (zh) * | 2019-10-15 | 2021-12-28 | 南通大学 | 一种无卤阻燃型环保密封胶材料及其制备方法 |
CN111909638A (zh) * | 2020-08-12 | 2020-11-10 | 深圳先进电子材料国际创新研究院 | 一种防护紫外激光损伤晶圆的临时键合胶材料 |
WO2024072236A1 (es) * | 2022-09-26 | 2024-04-04 | Instituto Tecnológico De La Producción | Adhesivo ecológico, proceso de elaboración y método de aplicació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77768B1 (ko) | 2015-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181248B (zh) | 聚乙烯材料用热熔压敏胶粘剂及其制备方法 | |
CN105176443B (zh) | 一种溶剂型橡胶胶粘剂及其制备方法 | |
CA2606748A1 (en) | Adhesives for metal bonding applications | |
CN101445711B (zh) | 一种水性聚异戊二烯共聚乳液胶粘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KR101577768B1 (ko) |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 | |
KR101061073B1 (ko) | 접착보강용 프라이머 조성물 | |
JPWO2018043586A1 (ja) | クロロプレンゴムラテックス接着剤組成物 | |
KR101297673B1 (ko) |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 |
TW200817485A (en) | Vulcanizable aqueous adhesive and the use thereof | |
KR101484906B1 (ko) | 폴리우레탄계 사출부품용 프라이머 조성물 | |
CN108504292B (zh) | 一种橡胶制品的粘合方法 | |
KR101027662B1 (ko) | 페놀 수지 및 톨루엔을 함유하지 않은 폴리아마이드계 신발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 | |
CN104130728A (zh) | 一种耐高温阻燃型溶剂胶及其制备方法 | |
KR101729747B1 (ko) | 난연 필름용 프라이머 조성물 | |
KR100983806B1 (ko) | 사출부품에 착색이 용이한 1액형 선처리제 조성물 | |
KR101399329B1 (ko) | 프라이머 조성물 | |
CN108577049A (zh) | 抗开裂的塑胶鞋及其制备方法 | |
KR20110103716A (ko) |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탄성체용 프라이머 조성물 | |
CN108559411A (zh) | 一种橡胶制品的粘合方法 | |
JP2009191193A (ja) | フィルム貼合せ用接着剤組成物 | |
KR101149741B1 (ko) |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 | |
KR101116296B1 (ko) | 재박리가 용이한 탁구 라켓용 수성 접착제 조성물 | |
JP4920400B2 (ja) | 防水気密用粘着シート | |
KR101988074B1 (ko) | 자동차용 접착필름 | |
KR20150052038A (ko) | 폴리올레핀계 막용의 점착 촉진제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