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1485A -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과 수행주체 선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과 수행주체 선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1485A
KR20150061485A KR1020130145686A KR20130145686A KR20150061485A KR 20150061485 A KR20150061485 A KR 20150061485A KR 1020130145686 A KR1020130145686 A KR 1020130145686A KR 20130145686 A KR20130145686 A KR 20130145686A KR 20150061485 A KR20150061485 A KR 20150061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chnology
human resource
evaluation
technical
external hum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5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8526B1 (ko
Inventor
정의섭
이준우
이성철
유영복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45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526B1/ko
Publication of KR20150061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과 수행주체 선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 선정 시스템은, 복수의 기술 항목들이 기술 분야에 따라 분류 및 저장되는 기술분류 DB와, 외부 인적자원의 정보가 기술 분야에 따라 분류 및 저장되는 인적자원 DB와, 개발 예정 연구과제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을 입력받고, 기술분류 DB에 접속하여 각 연관기술 후보군이 포함되는 기술분야를 탐색하며, 인적자원 DB에 접속하여 탐색된 기술분야에 매칭된 외부 인적자원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 측으로 연관기술 후보군에 대한 평가 요청을 전송하며, 연관기술 후보군에 대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 중에서 핵심기술을 선정하는 핵심기술 선정 장치 및 연관기술 후보군에 대한 평가 요청을 수신하고, 외부 인적자원에 의해 입력되는 평가 점수를 전송하는 인적자원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과 수행주체 선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APPARTUS,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CORE TECHNOLOGY AND DEVELOPER BASED ON THE EVALUATION FROM EXTERNAL HUMAN RESOURCE}
본 발명은 연구에 대한 핵심기술과 수행주체를 선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구과제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 및 과학기술인력에 대하여 해당 기술분야의 외부 인적자원들로부터 평가점수를 입력받고, 각 외부 인적자원의 기술 영향력 지수를 기초로 산출되는 차등적 가중치들 상기 평가점수에 반영하여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 및 과학기술인력에 대한 우선순위를 산출하여 특정 핵심기술과 수행주체를 선정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식과 정보가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지식기반 산업사회로 전환되고, 특히 과학기술경쟁력을 경쟁력의 원천으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세계 각국과 기업, 그리고 연구단체들은 미래의 경쟁에 살아남기 위한 연구과제 및 핵심기술을 정확하게 도출하고 선정하여 집중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해 나가고자 하고 있다.
기술 수요조사란 기술개발분야에 대한 신규 지원을 통하여 미래 기술시장 선점과 수입대체 효과 등이 높은 기술을 발굴하기 위해 기업 등을 상대로 개발대상 기술을 제안받는 활동을 의미한다.
일 예로서, 일반적으로 국가에서 진행하는 연구개발 과제에 대한 선정 과정을 살펴보면,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전체적인 방향성을 정하고, 각 부처에서 예산을 배분한 후, 부처별 연구관리 전문기관에서 정부 연구소, 대학, 기업 등 적합한 연구개발 수행주체를 선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 진다.
즉, 제안된 연구과제들은 관련분야 담당자의 내부검토로 과제 중복성 및 타당성을 1차적으로 판단 후 외부 관련 전문가들을 오프라인 기획회의를 통해 실제 필요로 하는 과제설계를 진행한 후 학술연구용역으로 공고한 후 제출된 제안서에 대한 평가를 통해 적합한 연구기관을 선정하여 과제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국가나 기업의 연구개발 과제를 총체적으로 포괄할 수 있는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지표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기존의 국가 및 기업의 연구과제 선정은 각 기술분야의 전문가들의 주관적 평가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 선정 기법은 평가 기준의 객관성을 담보하기 어렵고, 오프라인을 통한 설문 방식에 따르고 있어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술에 대한 평가를 담당하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해당 기술분야에 대한 이해수준과 영향력이 서로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고려없이 전문자들의 평가를 일률적으로 적용함에 따라 투자 효과가 떨어져, 우리나라 연구개발비가 세계 6위 수준(2011년 기준)임에도 불구하고, 매년 기술무역수지 적자가 발생하는 한편 핵심 기술의 선진국 의존도가 심화되는 이른바 "코리아 패러독스"에서 벗어나는 데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국가의 연구과제의 핵심기술과 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주체를 객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어느 때보다도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490736호: 기술가치 평가 방법 및 그 시스템(2005.05.12)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구관제에 포함된 수많은 기술분야와 해당 기술분야와 관련된 과학기술인력에 대한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온라인을 통해 자동으로 수집 및 분석함으로써, 종래 오프라인으로 실시되었던 핵심기술과 수행주체에 대한 선정 절차를 자동화하고자 한다.
또한, 핵심기술과 수행주체에 대하여 평가를 수행하는 외부 인적자원들의 해당 기술분야에 대한 영향력을 산출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합리적으로 핵심기술과 수행주체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전문가들의 주관적 평가에서 나아가 논문, 특허 등의 객관적인 지표를 반영함으로써, 연구과제 수행 시 투입되는 인력, 시간, 비용에 대한 성과를 한층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기술분류 DB, 인적자원 DB 및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연구과제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을 입력받는 정보 입력부, 통신부를 통해 기술분류 DB에 접속하여 각 연관기술 후보군이 포함되는 기술분야를 탐색하는 기술분야 탐색부, 통신부를 통해 인적자원 DB에 접속하여 상기 탐색된 기술분야와 매칭된 외부 인적자원 정보를 수집하는 인적자원 정보 수집부, 수집된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 측으로 통신부를 통해 연관기술 후보군에 대한 평가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로부터 연관기술 후보군에 대한 평가 점수를 수신하는 연관기술 평가 관리부 및 수신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 중 중점적으로 추진되는 핵심기술을 선정하는 핵심기술 선정부를 포함하는,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 선정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연관기술 평가 관리부는, 평가 점수 수신 시 외부 인적자원에 대한 본인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핵심기술 선정부는, 외부 인적자원의 기술 영향력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기술 영향력 지수에 근거하여 가중치를 생성하며, 가중치를 상기 평가 점수에 반영하는 가중치 관리 모듈 및 상기 가중치가 반영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 중에서 핵심기술을 선정하는 기술 선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중치 관리 모듈은, 통신부를 통해 수집되는 외부 인적자원의 논문 수, 출원 특허 수, 등록 특허 수, 논문 또는 특허의 피인용율, 연구 기간, 과제 수행 경력, 수상 경력, 연구활동의 증감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기술 영향력 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과학기술인력 DB, 인적자원 DB, 과학기술인력의 단말장치 및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연구과제의 핵심기술에 대한 기술분야를 결정하고,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과학기술인력 DB에 접속하여 상기 기술분야와 연결된 복수의 과학기술인력 정보를 수집하는 과학기술인력 추출부, 과학기술인력의 단말장치 측으로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핵심기술에 대한 수행주체 모집 공고를 전송하고, 상기 과학기술인력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수행주체 모집 공고에 대한 개발 제안서를 수신하는 과학기술인력 모집 관리부,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인적자원 DB에 접속하여 핵심기술에 매칭된 외부 인적자원 정보를 수집하는 인적자원 정보 수집부, 수집된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 측으로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개발 제안서 대한 평가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개발 제안서에 대한 평가 점수를 수신하는 과학기술인력 평가 관리부 및 수신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과학기술인력 중 핵심기술에 대한 수행주체를 선정하는 수행주체 선정부를 포함하는,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수행주체 선정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과학기술인력 평가 관리부는, 평가 점수 수신 시 외부 인적자원에 대한 본인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주체 선정부는, 외부 인적자원의 기술 영향력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기술 영향력 지수에 근거하여 가중치를 생성하며, 가중치를 상기 평가 점수에 반영하는 가중치 부여 모듈 및 가중치가 반영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과학기술인력 중 핵심기술에 대한 수행주체를 선정하는 주체 선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중치 부여 모듈은,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수집되는 외부 인적자원의 논문 수, 출원 특허 수, 등록 특허 수, 논문 또는 특허의 피인용율, 연구 기간, 과제 수행 경력, 수상 경력, 연구활동의 증감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기술 영향력 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기술 항목들이 기술 분야에 따라 분류 및 저장되는 기술분류 DB, 외부 인적자원의 정보가 기술 분야에 따라 분류 및 저장되는 인적자원 DB, 개발 예정 연구과제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을 입력받고, 기술분류 DB에 접속하여 각 연관기술 후보군이 포함되는 기술분야를 탐색하며, 인적자원 DB에 접속하여 상기 탐색된 기술분야에 매칭된 외부 인적자원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 측으로 연관기술 후보군에 대한 평가 요청을 전송하며, 연관기술 후보군에 대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 중에서 핵심기술을 선정하는 핵심기술 선정 장치 및 연관기술 후보군에 대한 평가 요청을 수신하고, 외부 인적자원에 의해 입력되는 평가 점수를 전송하는 인적자원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 선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과학기술인력 정보가 기술 분야에 따라 분류 및 저장되는 과학기술인력 DB, 외부 인적자원의 정보가 기술 분야에 따라 분류 및 저장되는 인적자원 DB, 연구과제의 핵심기술에 대한 기술분야를 결정하고, 과학기술인력 DB에 접속하여 상기 기술분야와 연결된 과학기술인력 정보를 수집하며, 과학기술인력 단말장치 측으로 핵심기술에 대한 수행주체 모집 공고를 전송하고, 과학기술인력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수행주체 모집 공고에 대한 개발 제안서를 수신하며, 인적자원 DB에 접속하여 상기 핵심기술에 매칭된 외부 인적자원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 측으로 상기 개발 제안서 대한 평가 요청을 전송하고,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개발 제안서에 대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과학기술인력 중 핵심기술에 대한 수행주체를 선정하는 수행주체 선정 장치, 핵심기술에 대한 수행주체 모집 공고를 수신하고, 수행주체 모집 공고에 대한 개발 제안서를 전송하는 과학기술인력 단말장치 및 개발 제안서 대한 평가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개발 제안서에 대한 평가 점수를 전송하는 인적자원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수행주체 선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연구과제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을 입력받는 제1 단계, 기술분류 DB에 접속하여 각 연관기술 후보군이 포함되는 기술분야를 탐색하는 제2 단계, 인적자원 DB에 접속하여 상기 탐색된 기술분야에 매칭된 외부 인적자원 정보를 수집하는 제3 단계, 수집된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 측으로 연관기술 후보군에 대한 평가 요청을 전송하는 제4 단계,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로부터 연관기술 후보군에 대한 평가 점수를 수신하는 제5 단계 및 수신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 중 중점적으로 추진되는 핵심기술을 선정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 선정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6 단계 이전에, 상기 기술분야에 대한 외부 인적자원의 기술 영향력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6 단계는, 산출된 기술 영향력 지수에 근거하여 가중치를 생성하고, 가중치를 평가 점수에 반영하는 제6-1 단계 및 가중치가 반영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 중에서 핵심기술을 선정하는 제6-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 영향력 지수는, 외부 인적자원의 논문 수, 출원 특허 수, 등록 특허 수, 논문 또는 특허의 피인용율, 연구 기간, 과제 수행 경력, 수상 경력, 연구활동의 증감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과학기술인력 DB에 접속하여 핵심기술이 포함되는 기술분야와 매칭된 복수의 과학기술인력 정보를 수집하는 제a 단계, 과학기술인력의 단말장치 측으로 핵심기술에 대한 수행주체 모집 공고를 전송하는 제b 단계, 과학기술인력의 단말장치로부터 수행주체 모집 공고에 대한 개발 제안서를 수신하는 제c 단계, 인적자원 DB에 접속하여 상기 핵심기술에 매칭된 외부 인적자원 정보를 수집하는 제d 단계, 수집된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 측으로 개발 제안서 대한 평가 요청을 전송하는 제e 단계,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개발 제안서에 대한 평가 점수를 수신하는 제f 단계 및 수신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과학기술인력 중 핵심기술 수행주체를 선정하는 제g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수행주체 선정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g 단계 이전에, 외부 인적자원의 기술 영향력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g 단계는, 산출된 기술 영향력 지수에 근거하여 가중치를 생성하고, 가중치를 평가 점수에 반영하는 제g-1 단계 및 가중치가 반영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과학기술인력 중 핵심기술에 대한 수행주체를 선정하는 제g-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 영향력 지수는, 외부 인적자원의 논문 수, 출원 특허 수, 등록 특허 수, 논문 또는 특허의 피인용율, 연구 기간, 과제 수행 경력, 수상 경력, 연구활동의 증감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구관제에 포함된 수많은 기술분야와 해당 기술분야와 관련된 과학기술인력에 대한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온라인을 통해 자동으로 수집 및 분석함으로써, 종래 오프라인으로 실시되었던 핵심기술과 수행주체에 대한 선정 절차를 자동화할 수 있다.
또한, 핵심기술과 수행주체에 대하여 평가를 수행하는 외부 인적자원들의 해당 기술분야에 대한 영향력을 산출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합리적으로 핵심기술과 수행주체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문가들의 주관적 평가에서 나아가 논문, 특허 등의 객관적인 지표를 반영함으로써, 연구과제 수행 시 투입되는 인력, 시간, 비용에 대한 성과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 선정 시스템의 개락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수행주체 선정 시스템의 개략적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술분류 DB, 인적자원 DB, 과학기술인력 DB의 기술분야에 따른 분류체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 선정 방법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수행주체 선정 방법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임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 선정 시스템의 개락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핵심기술 선정 시스템은 기술분류 DB(10), 인적자원 DB(20), 핵심기술 선정 장치(100) 및 인적자원 단말장치(30)를 포함한다.
우선, 기술분류 DB(10)는 복수의 기술 항목들이 기술 분야에 따라 분류 및 저장되는 저장수단이다. 기술분류 DB(10)에는 산업기술 분류, 국가과학기술표준 분류, 미래유망 신기술 분류, 국가기술지도 분류, 녹색기술 분류, 중소기업형 신성장분야 전략기술 분류, 국가핵심기술 분류 또는 국가연구시설장비 표준분류 등의 기술분류 DB(10)가 저장된다. 또한, 각 기술분류 DB(10)는 세부 기술 항목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산업기술 분류는 정말생산기계, 자동차, 철도, 항공, 우주, 금속재료 등의 항목으로 세분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인적자원 DB(20)는 외부 인적자원의 정보가 기술 분야에 따라 분류 및 저장된다. 여기서 외부 인적자원이란 각 기술 분야에 대한 전문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전문가는 특정 기술분야에 대한 연구, 개발 경험이 일정 수준 이상이고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이 있는 자로서, 해당 기술분야를 전공한 교수, 연구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전문가에 대한 정보에는 성명, 학력, 소속, 연락처 등의 기본적인 인적사항은 물론 논문 수, 출원 특허 수, 등록 특허 수, 논문 또는 특허의 피인용율, 연구 기간, 과제 수행 경력, 수상 경력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핵심기술 선정 장치(100)는 한국특허정보원 웹 싸이트(www.kipris.or.kr)에 접속하여 전문가의 성명을 키워드로 하여 특허 출원 및 특허 등록 현황 데이터(즉, 건수, 출원일, 등록일 등)를 수집하거나,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웹 싸이트(www.riss.kr)에 접속하여 기술분야별 전문가의 학위논문, 학술지 등의 등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문가 정보에는 연구활동의 증감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연구활동 증감율이란 논문 수, 출원 특허 수, 등록 특허 수, 논문 또는 특허의 피인용율, 연구 기간, 과제 수행 경력, 수상 경력 등이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증가 또는 감소한 수치를 통계화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활동 증감율 정보는 매트릭스 또는 그래프 형식으로 핵심기술 선정 장치(100)나 외부 단말장치에 의해 가시화될 수 있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인적자원 DB(20)에 저장되는 외부 인적자원 정보의 분류 체계는 기술분류 DB(10)에 저장된 기술 분야 및 그 세부 항목의 분류 체계와 동일할 수 있다. 이로써, 기술분류 DB(10)에 저장된 특정 기술 분야가 선택되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인적자원 DB(20)로부터 상기 특정 기술 분야와 매칭된 외부 인적자원 정보를 즉시 수집할 수 있다.
인적자원 단말장치(30)는 핵심기술 선정 장치(100)로부터 연관기술 후보군에 대한 평가 요청을 수신하고, 외부 인적자원에 의해 입력되는 평가 점수를 전송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인적자원 단말장치(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 출력수단, 데이터 처리수단 또는 데이터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단말장치로서, 대표적으로 PC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단말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핵심기술 선정 장치(100)는 통신부(110), 정보 입력부(120), 기술분야 탐색부(130), 인적자원 정보 수집부(140), 연관기술 평가 관리부(150) 및 핵심기술 선정부(16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기술분류 DB(10), 인적자원 DB(20) 및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30)와 통신을 수행한다.
네트워크는 광대역 유선 인터넷망, 이동통신망, WiFi망, 모바일 와이맥스(예컨대, 와이브로) 등의 통신망으로서 외부 장치와의 접속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정보 입력부(120)는 연구과제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연관기술 후보군은 중복성 검토를 수행하여, 특정 연구과제의 수행에 요구되는 기술(이하, 제안기술) 중에서 기존 연구과제로 지원되었던 기술이 제외된 기술 목록을 의미한다.
일 예로서, 중복성 검토는 핵심기술 선정 장치(100)에 포함된 컴퓨터 프로세서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동작에 따라, 이전에 수행되었던 연구과제명 또는 개발 기술명 정보에 근거하여 자동 추출(예, 키워드 추출)된 기술 항목을 제안기술 명칭과 비교하고 유사도를 판단하여 기 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해당 제안기술을 제외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기술분야 탐색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기술분류 DB(10)에 접속하여 입력된 각 연관기술 후보군이 포함되는 기술분야를 탐색한다.
인적자원 정보 수집부(140)는 통신부(110)를 통해 인적자원 DB(20)에 접속하여 기술분야 탐색부(130)에 의해 탐색된 기술분야에 매칭된 외부 인적자원 정보를 수집한다. 하나의 기술분야에는 복수의 외부 인적자원 정보가 매칭될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외부 인적자원은 복수의 기술분야와 매칭될 수도 있다.
연관기술 평가 관리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해 인적자원 정보 수집부(140)에 의해 수집된 외부 인적자원의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인적자원 단말장치(30) 측으로 연관기술 후보군에 대한 평가 요청을 전송하고, 인적자원 단말장치(30)로부터 연관기술 후보군에 대한 평가 점수를 수신한다.
또한, 연관기술 평가 관리부(150)는 인적자원 단말장치(30)로부터 평가 점수가 수신되면, 외부 인적자원에 대한 본인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연관기술 평가 관리부(150)는 외부 인적자원 마다 고유의 인증번호를 부여하거나 주민등록번호, 비밀번호 등을 통해, 연관기술 후보군에 대하여 수신된 평가 점수가 실제 외부 인적자원 본인에 의해 입력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핵심기술 선정부(160)는 연관기술 평가 관리부(150)에 의해 관리되는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 중 중점적으로 추진되는 핵심기술을 선정한다. 즉, 핵심기술이란, 복수의 외부 인적자원들에 의한 평가점수를 종합하여 총점을 산출하고, 산출된 총점에 근거하여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며, 우선순위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연관기술 후보군을 의미한다.
핵심기술 선정부(160)는 가중치 관리 모듈(162) 및 기술 선정 모듈(164)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가중치 관리 모듈(162)은 외부 인적자원의 기술 영향력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기술 영향력 지수에 근거하여 가중치를 생성한 후 기 수신된 평가 점수에 반영한다. 이때, 가중치의 상한과 하한은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기술 영향력 지수는 기술 분야별 외부 인적자원의 영향력 내지 공헌도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서 논문 수, 출원 특허 수, 등록 특허 수, 논문 또는 특허의 피인용율, 연구 기간, 과제 수행 경력, 수상 경력 등 다양한 항목 정보에 근거하여 산출될 수 있다. 기술 영향력 지수 산출 시 상기 각 항목 정보가 차지하는 비율은 설정에 따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술 영향력 지수를 측정하기 위한 항목이 10가지인 경우, 연구과제의 특성 및 기술여건 등에 따라 각 항목당 10%의 비율로 설정될 수 있고, 5가지 항목이 5%이고 나머지 5가지 항목이 15%의 비율을 갖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기술 영향력 지수는 연구활동의 증감율에 근거하여 산출될 수 있는 바,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연구활동 자료를 수집하여 증가 또는 감소 수치를 산출하고, 증가 또는 감소 수치가 기 설정된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기준 가중치(예, 1.0)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즉, 가중치 관리 모듈(162)은 기술 영향력 지수에 따라 외부 인적자원에 의해 입력된 평가 점수에 대하여 차등적 가중치를 적용한다. 일 예로서, 등록 특허 수만을 기준으로 가중치를 생성하는 경우, 외부 인적자원 A와 B의 등록 특허 수가 각각 10건과 20건인 것으로 확인되면, 양자의 인적자원 단말장치(30)로부터 전송된 평가 점수가 50점으로 동일하더라도, A에 대한 가중치가 0.8, B에 대한 가중치가 1.1로 생성될 수 있으며, 가중치가 반영된 A와 B의 최종 평가 점수는 각각 40점, 55점으로 산출되어 핵심기술 선정 시 B의 평가 점수가 A의 평가 점수보다 높은 영향을 미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기술 선정 모듈(164)은 가중치 관리 모듈(162)로부터 가중치가 반영된 평가 점수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에 근거하여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 중에서 핵심기술을 선정하여 표시수단에 출력하거나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장치 내지 서버로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수행주체 선정 시스템의 개략적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행주체 선정 시스템은 과학기술인력 DB(40), 인적자원 DB(20), 과학기술인력 단말장치(50) 및 인적자원 단말장치(30)를 포함한다. 인적자원 DB(20) 및 인적자원 단말장치(30)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설명과 동일한 바 생략하기로 한다.
과학기술인력 DB(40)는 복수의 과학기술인력 정보가 기술 분야에 따라 분류 및 저장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과학기술인력이란 연구과제에 대한 기술 개발 역량을 보유한 개발자, 연구원 등의 개인이나 이러한 개인들이 소속된 연구기관 등을 의미한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과학기술인력 DB(40)에 저장되는 과학기술인력 정보의 분류 체계는 인적자원 DB(20)와 마찬가지로 기술분류 DB(10)에 저장된 기술 분야 및 그 세부 항목의 분류 체계와 동일할 수 있다.
과학기술인력 단말장치(50)는 핵심기술 선정 장치에 의해 선정된 핵심기술에 대한 수행주체 모집 공고를 수신하고, 수행주체 모집 공고에 대한 개발 제안서를 전송하는 구성이다. 모집 공고에는 추진 대상 연구과제명, 모집기간, 모집요건 등이 게시된 웹사이트 URL 주소가 삽입될 수 있다. 개발 제안서는 개발을 위한 개략적인 아이디어, 개발 기간, 개발 비용, 개발 전략 등이 항목별로 분류된 파일일 수 있다.
이러한, 과학기술인력 단말장치(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 출력수단, 데이터 처리수단 또는 데이터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단말장치로서, 대표적으로 PC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단말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핵심기술 선정 장치는 데이터 송수신부(210), 과학기술인력 추출부(220), 인적자원 정보 수집부(240), 과학기술인력 평가 관리부(250) 및 수행주체 선정부(260)를 포함한다.
데이터 송수신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과학기술인력 DB(40), 인적자원 DB(20), 과학기술인력의 단말장치(50) 및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30)와 통신을 수행한다.
과학기술인력 추출부(220)는 연구과제의 핵심기술에 대한 기술분야를 결정하고, 데이터 송수신부(210)를 통해 과학기술인력 DB(40)에 접속하여 기술분야와 연결된 복수의 과학기술인력 정보를 수집한다.
예들 들어, 핵심기술 선정 장치에 의해 연구과제의 핵심기술로서 '위성탑재 통신기기'가 선정되면, 과학기술인력 추출부(220)는 '위성탑재 통신기기'가 속하는 기술분야인 '차세대 통신위성 탑재체기술'을 기술분야로 결정하고, 과학기술인력 DB(40)에 저장된 '차세대 통신위성 탑재체기술' 또는 상위 기술 분류인 '위성기술'과 매칭된 과학기술인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인적자원 정보 수집부(24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핵심기술 선정 장치(100)에 포함되는 인적자원 정보 수집부(140)에 관한 사항을 모두 포함하는 바,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과학기술인력 모집 관리부(230)는 과학기술인력 추출부(220)에 의해 수집된 과학기술인력에 대한 정보 중 연락처 정보를 추출하고, 데이터 송수신부(210)를 통해 과학기술인력 단말장치(50) 측으로 핵심기술에 대한 수행주체 모집 공고를 전송하며, 과학기술인력 단말장치(50)로부터 수행주체 모집 공고에 대하여 작성된 개발 제안서를 수신한다.
과학기술인력 평가 관리부(250)는 데이터 송수신부(210)를 통해 수집된 외부 인적자원 정보 중 연락처 정보에 근거하여 인적자원 단말장치(30) 측으로 개발 제안서 대한 평가 요청을 전송하고,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30)로부터 개발 제안서에 대한 평가 점수를 수신한다. 또한, 과학기술인력 평가 관리부(250)는 평가 점수 수신 시 외부 인적자원에 대한 본인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수행주체 선정부(260)는 과학기술인력 평가 관리부(250)에 의해 관리되는 개발 제안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복수의 과학기술인력 중 해당 핵심기술의 개발을 담당할 수행주체를 선정한다. 즉, 복수의 외부 인적자원들에 의한 평가점수를 종합하여 총점을 산출하고, 산출된 총점에 근거하여 복수의 과학기술인력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며, 우선순위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과학기술인력이 수행주체로 출력된다.
수행주체 선정부(260)는 가중치 부여 모듈(262) 및 주체 선정 모듈(264)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가중치 부여 모듈(262)은 외부 인적자원의 기술 영향력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기술 영향력 지수에 근거하여 가중치를 생성한 후 기 수신된 개발 제안서 평가 점수에 반영한다.
즉, 가중치 부여 모듈(262)은 기술 영향력 지수에 따라 외부 인적자원에 의해 입력된 개발 제안서 평가 점수에 대하여 차등적 가중치를 적용한다.
주체 선정 모듈(264)은 가중치 부여 모듈(262)로부터 가중치가 반영된 평가 점수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에 근거하여 복수의 과학기술인력들 중에서 해당 연구과제의 핵심기술 개발을 담당할 과학기술인력을 선정하여 표시수단에 출력하거나 데이터 송수신부(210)를 통해 외부 장치 내지 서버로 제공한다.
전술된 핵심기술 선정 장치(100)와 수행주체 선정 장치(200)는 웹 서버(Web Server) 또는 왑 서버(WAB Serv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Web Server) 또는 왑 서버(WAP Sever)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 선정 방법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핵심기술 선정 방법로서, 우선 연구과제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을 입력받는 단계(S510)가 진행된다.
연관기술 후보군은 관리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거나, 특정 연구과제의 수행에 요구되는 제안기술들 중에서 이미 연구과제로 지원되었던 기술이 중복성 검토를 통해 제외된 기술 목록을 의미한다. 이러한 중복성 검토는 핵심기술 선정 장치에 포함된 컴퓨터 프로세서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동작에 따라, 이전에 수행되어 저장된 연구과제명 또는 개발 기술명 정보에 근거하여 자동 추출(예, 키워드 추출)된 기술 항목을 제안기술 명칭과 비교하여 유사도를 판단하고, 유사도가 기 설정된 레벨 이상인 제안기술은 제외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어, S520 단계에서는 기술분류 DB(10)에 접속하여 S510 단계에서 입력된 각 연관기술 후보군이 포함되는 기술분야를 탐색한다.
다음으로, S530 단계에서는 인적자원 DB(20)에 접속하여 S520 단계에서 탐색된 기술분야에 매칭된 외부 인적자원 정보를 수집한다. 즉, 인적자원 DB(20)에 저장된 외부 인적자원 정보는 기술분류 DB(10)에 저장된 기술분류 DB(10)체계와 동일할 수 있다.
이어, S540 단계에서는 수집된 외부 인적자원 정보 중 연락처 정보를 통해 인적자원 단말장치(30) 측으로 연관기술 후보군에 대한 평가 요청을 전송하고, S550 단계에서는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30)로부터 연관기술 후보군에 대한 평가 점수를 수신한다. 이때, 평가 요청에는 연구과제명, 합목적성, 파급효과 등의 평가 항목이 포함된 평가용 서식 파일이 함께 첨부될 수 있다.
한편, S550 단계까지 수행되는 과정 중에서 기술분야에 대한 외부 인적자원의 기술 영향력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즉, S530 단계에서 수집되는 외부 인적자원 정보에 해당 인적자원의 기술 영향력 지수가 기 산출되어 포함되거 있거나, S530 단계에서 수집되는 외부 인적자원 정보에 근거하여 기술 영향력 지수가 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 영향력 지수는 외부 인적자원의 논문 수, 출원 특허 수, 등록 특허 수, 논문 또는 특허의 피인용율, 연구 기간, 과제 수행 경력, 수상 경력, 연구활동의 증감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S560 단계에서는 S550 단계에서 수신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 중 핵심기술을 선정하여 출력한다. 즉,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들 중 평가 점수의 총합이 가장 높은 순서대로 상위 소정 개수의 후보군이 핵심기술로 선정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S560 단계는 앞서 산출된 외부 인적자원별 기술 영향력 지수에 근거하여 가중치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중치를 해당 외부 인적자원의 인적자원 단말장치(30)로부터 수신한 평가 점수에 반영하는 단계(S562) 및 가중치가 반영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 중에서 핵심기술을 선정하는 단계(S56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최근 3년 간의 연구활동의 증감율에 근거하여 기술 영향력 지수를 산출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외부 인적자원 A의 총 특허 등록 건수가 외부 인적자원 B의 총 특허 등록 건수 보다 많더라도, 연구활동 분석 결과 최근 3년 간 B의 특허 등록 건수가 A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B의 기술 영향력 지수가 A 보다 높게 산출되고 이에 따라 B의 평가 점수에 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수행주체 선정 방법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즉, 이하에서는 관리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거나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에 따라 선정된 핵심기술의 개발을 수행할 주체를 선정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S610에서는 과학기술인력 DB(40)에 접속하여 핵심기술이 포함되는 기술분야와 매칭된 복수의 과학기술인력 정보를 수집한다. 일 예로서, 과학기술인력 DB(40)에는 기술분류 DB(10)와 동일한 기술 분류 체계로 과학기술인력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핵심기술이 포함되는 기술분야가 결정되면 해당 기술분야와 매칭된 과학기술인력의 정보가 추출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핵심기술이 포함되는 기술분야는 복수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S620 단계에서는 과학기술인력의 정보 중 연락처 정보에 근거하여 과학기술인력의 단말장치(50) 측으로 핵심기술에 대한 수행주체 모집 공고를 전송하고, S630 단계에서는 과학기술인력의 단말장치(50)로부터 수행주체 모집 공고에 대한 개발 제안서를 수신한다.
S640 단계에서는 인적자원 DB(20)에 접속하여 핵심기술과 연관된 기술분야에 매칭된 외부 인적자원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S640 단계와 S620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는 바뀌어도 무방한다.
이어, S650 단계에서는 S640 단계에서 수집된 외부 인적자원 정보 중 연락처 정보에 근거하여 인적자원 단말장치(30) 측으로 개발 제안서 대한 평가 요청을 전송하고, S660 단계에서는 인적자원 단말장치(30)로부터 개발 제안서에 대한 평가 점수를 수신한다.
한편, S660 단계까지 수행되는 과정 중에서 외부 인적자원의 기술 영향력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기술 영향력 지수는, 외부 인적자원의 논문 수, 출원 특허 수, 등록 특허 수, 논문 또는 특허의 피인용율, 연구 기간, 과제 수행 경력, 수상 경력, 연구활동의 증감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S670 단계에서는 S660 단계를 통해 수신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복수의 과학기술인력 중 핵심기술의 개발을 담당할 수행주체를 선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670 단계는 앞서 산출된 외부 인적자원의 기술 영향력 지수에 근거하여 가중치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중치를 외부 인적자원의 인적자원 단말장치(30)로부터 수신한 평가 점수에 반영하는 단계(S672) 및 가중치가 반영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복수의 과학기술인력 중 연구과제의 핵심기술에 대한 수행주체를 선정하는 단계(S67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연구과제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 및 과학기술인력에 대하여 해당 기술분야의 외부 인적자원들로부터 평가점수를 입력받고, 각 외부 인적자원의 기술 영향력 지수를 기초로 산출되는 차등적 가중치들 상기 평가점수에 반영하여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 및 과학기술인력에 대한 우선순위를 산출함으로써, 국가나 기업의 연구과제와 관련된 특정 핵심기술 및 수행주체의 선정에 활용할 수 있다.
10: 기술분류 DB 20: 인적자원 DB
30: 인적자원 단말장치 40: 과학기술인력 DB
50: 과학기술인력 단말장치
100: 핵심기술 선정 장치 110: 통신부
120: 정보 입력부 130: 기술분야 탐색부
140: 인적자원 정보 수집부 150: 연관기술 평가 관리부
160: 핵심기술 선정부 162: 가중치 관리 모듈
164: 기술 선정 모듈
200: 수행주체 선정 장치 210: 데이터 송수신부
220: 과학기술인력 추출부 230: 과학기술인력 모집 관리부
240: 인적자원 정보 수집부 250: 과학기술인력 평가 관리부
260: 수행주체 선정부 262: 가중치 부여 모듈
264: 주체 선정 모듈

Claims (16)

  1. 네트워크를 통해 기술분류 DB, 인적자원 DB 및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연구과제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을 입력받는 정보 입력부;
    통신부를 통해 기술분류 DB에 접속하여 각 연관기술 후보군이 포함되는 기술분야를 탐색하는 기술분야 탐색부;
    통신부를 통해 인적자원 DB에 접속하여 상기 탐색된 기술분야와 매칭된 외부 인적자원 정보를 수집하는 인적자원 정보 수집부;
    수집된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 측으로 통신부를 통해 연관기술 후보군에 대한 평가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로부터 연관기술 후보군에 대한 평가 점수를 수신하는 연관기술 평가 관리부; 및
    수신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 중 중점적으로 추진되는 핵심기술을 선정하는 핵심기술 선정부;
    를 포함하는,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 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기술 평가 관리부는, 평가 점수 수신 시 외부 인적자원에 대한 본인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 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기술 선정부는,
    외부 인적자원의 기술 영향력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기술 영향력 지수에 근거하여 가중치를 생성하며, 가중치를 상기 평가 점수에 반영하는 가중치 관리 모듈; 및
    상기 가중치가 반영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 중에서 핵심기술을 선정하는 기술 선정 모듈;
    을 포함하는,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 선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관리 모듈은,
    통신부를 통해 수집되는 외부 인적자원의 논문 수, 출원 특허 수, 등록 특허 수, 논문 또는 특허의 피인용율, 연구 기간, 과제 수행 경력, 수상 경력, 연구활동의 증감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기술 영향력 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 선정 장치.
  5. 네트워크를 통해 과학기술인력 DB, 인적자원 DB, 과학기술인력의 단말장치 및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연구과제의 핵심기술에 대한 기술분야를 결정하고,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과학기술인력 DB에 접속하여 상기 기술분야와 연결된 복수의 과학기술인력 정보를 수집하는 과학기술인력 추출부;
    과학기술인력의 단말장치 측으로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핵심기술에 대한 수행주체 모집 공고를 전송하고, 상기 과학기술인력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수행주체 모집 공고에 대한 개발 제안서를 수신하는 과학기술인력 모집 관리부;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인적자원 DB에 접속하여 핵심기술에 매칭된 외부 인적자원 정보를 수집하는 인적자원 정보 수집부;
    수집된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 측으로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개발 제안서 대한 평가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개발 제안서에 대한 평가 점수를 수신하는 과학기술인력 평가 관리부; 및
    수신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과학기술인력 중 핵심기술에 대한 수행주체를 선정하는 수행주체 선정부;
    를 포함하는,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수행주체 선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과학기술인력 평가 관리부는, 평가 점수 수신 시 외부 인적자원에 대한 본인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수행주체 선정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주체 선정부는,
    외부 인적자원의 기술 영향력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기술 영향력 지수에 근거하여 가중치를 생성하며, 가중치를 상기 평가 점수에 반영하는 가중치 부여 모듈; 및
    가중치가 반영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과학기술인력 중 핵심기술에 대한 수행주체를 선정하는 주체 선정 모듈;
    을 포함하는,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수행주체 선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부여 모듈은,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수집되는 외부 인적자원의 논문 수, 출원 특허 수, 등록 특허 수, 논문 또는 특허의 피인용율, 연구 기간, 과제 수행 경력, 수상 경력, 연구활동의 증감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기술 영향력 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수행주체 선정 장치.
  9. 복수의 기술 항목들이 기술 분야에 따라 분류 및 저장되는 기술분류 DB;
    외부 인적자원의 정보가 기술 분야에 따라 분류 및 저장되는 인적자원 DB;
    개발 예정 연구과제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을 입력받고, 기술분류 DB에 접속하여 각 연관기술 후보군이 포함되는 기술분야를 탐색하며, 인적자원 DB에 접속하여 상기 탐색된 기술분야에 매칭된 외부 인적자원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 측으로 연관기술 후보군에 대한 평가 요청을 전송하며, 연관기술 후보군에 대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 중에서 핵심기술을 선정하는 핵심기술 선정 장치; 및
    연관기술 후보군에 대한 평가 요청을 수신하고, 외부 인적자원에 의해 입력되는 평가 점수를 전송하는 인적자원 단말장치;
    를 포함하는,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 선정 시스템.
  10. 복수의 과학기술인력 정보가 기술 분야에 따라 분류 및 저장되는 과학기술인력 DB;
    외부 인적자원의 정보가 기술 분야에 따라 분류 및 저장되는 인적자원 DB;
    연구과제의 핵심기술에 대한 기술분야를 결정하고, 과학기술인력 DB에 접속하여 상기 기술분야와 연결된 과학기술인력 정보를 수집하며, 과학기술인력 단말장치 측으로 핵심기술에 대한 수행주체 모집 공고를 전송하고, 과학기술인력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수행주체 모집 공고에 대한 개발 제안서를 수신하며, 인적자원 DB에 접속하여 상기 핵심기술에 매칭된 외부 인적자원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 측으로 상기 개발 제안서 대한 평가 요청을 전송하고,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개발 제안서에 대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과학기술인력 중 핵심기술에 대한 수행주체를 선정하는 수행주체 선정 장치;
    핵심기술에 대한 수행주체 모집 공고를 수신하고, 수행주체 모집 공고에 대한 개발 제안서를 전송하는 과학기술인력 단말장치; 및
    개발 제안서 대한 평가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개발 제안서에 대한 평가 점수를 전송하는 인적자원 단말장치;
    를 포함하는,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수행주체 선정 시스템.
  11. 연구과제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을 입력받는 제1 단계;
    기술분류 DB에 접속하여 각 연관기술 후보군이 포함되는 기술분야를 탐색하는 제2 단계;
    인적자원 DB에 접속하여 상기 탐색된 기술분야에 매칭된 외부 인적자원 정보를 수집하는 제3 단계;
    수집된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 측으로 연관기술 후보군에 대한 평가 요청을 전송하는 제4 단계;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로부터 연관기술 후보군에 대한 평가 점수를 수신하는 제5 단계; 및
    수신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 중 중점적으로 추진되는 핵심기술을 선정하는 제6 단계;
    를 포함하는,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 선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 이전에,
    상기 기술분야에 대한 외부 인적자원의 기술 영향력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6 단계는,
    산출된 기술 영향력 지수에 근거하여 가중치를 생성하고, 가중치를 평가 점수에 반영하는 제6-1 단계;
    가중치가 반영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연관기술 후보군 중에서 핵심기술을 선정하는 제6-2 단계;
    를 포함하는,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 선정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 영향력 지수는, 외부 인적자원의 논문 수, 출원 특허 수, 등록 특허 수, 논문 또는 특허의 피인용율, 연구 기간, 과제 수행 경력, 수상 경력, 연구활동의 증감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 선정 방법.
  14. 과학기술인력 DB에 접속하여 핵심기술이 포함되는 기술분야와 매칭된 복수의 과학기술인력 정보를 수집하는 제a 단계;
    과학기술인력의 단말장치 측으로 핵심기술에 대한 수행주체 모집 공고를 전송하는 제b 단계;
    과학기술인력의 단말장치로부터 수행주체 모집 공고에 대한 개발 제안서를 수신하는 제c 단계;
    인적자원 DB에 접속하여 상기 핵심기술에 매칭된 외부 인적자원 정보를 수집하는 제d 단계;
    수집된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 측으로 개발 제안서 대한 평가 요청을 전송하는 제e 단계;
    외부 인적자원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개발 제안서에 대한 평가 점수를 수신하는 제f 단계; 및
    수신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과학기술인력 중 핵심기술 수행주체를 선정하는 제g 단계;
    를 포함하는,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수행주체 선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g 단계 이전에,
    외부 인적자원의 기술 영향력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g 단계는,
    산출된 기술 영향력 지수에 근거하여 가중치를 생성하고, 가중치를 평가 점수에 반영하는 제g-1 단계;
    가중치가 반영된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과학기술인력 중 핵심기술에 대한 수행주체를 선정하는 제g-2 단계;
    를 포함하는,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수행주체 선정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 영향력 지수는, 외부 인적자원의 논문 수, 출원 특허 수, 등록 특허 수, 논문 또는 특허의 피인용율, 연구 기간, 과제 수행 경력, 수상 경력, 연구활동의 증감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수행주체 선정 방법.

KR1020130145686A 2013-11-27 2013-11-27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과 수행주체 선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548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686A KR101548526B1 (ko) 2013-11-27 2013-11-27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과 수행주체 선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686A KR101548526B1 (ko) 2013-11-27 2013-11-27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과 수행주체 선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485A true KR20150061485A (ko) 2015-06-04
KR101548526B1 KR101548526B1 (ko) 2015-09-01

Family

ID=5349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5686A KR101548526B1 (ko) 2013-11-27 2013-11-27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과 수행주체 선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526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6215A1 (ko) * 2015-12-31 2017-07-06 박상호 평가지표 자율제안에 의한 연구개발과제 선정 시스템 및 방법
WO2018093010A1 (ko) * 2016-11-18 2018-05-24 성진계장 주식회사 기술인 중개 서비스 시스템
KR101941989B1 (ko) * 2018-07-25 2019-01-24 (주)엔터랩 블록체인을 이용한 과제매칭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949510B1 (ko) * 2019-01-15 2019-02-18 (주)엔터랩 블록 체인 및 가상 화폐를 이용한 과제 매칭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교차검증 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949508B1 (ko) * 2019-01-15 2019-02-18 (주)엔터랩 과제 수행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972554B1 (ko) * 2018-08-08 2019-04-26 김보언 에이전시 매칭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010579B1 (ko) * 2018-11-15 2019-08-13 김보언 전문가 검증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066371B1 (ko) * 2019-03-26 2020-01-14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에이전시 매칭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066372B1 (ko) * 2019-03-26 2020-01-14 김보언 인공지능 기반 에이전시 매칭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WO2020040482A3 (ko) * 2018-08-24 2020-04-16 김보언 전문가 플랫폼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112025B1 (ko) * 2019-06-13 2020-05-18 (주)엔터랩 전문가 플랫폼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56906A (ko) * 2019-08-06 2020-05-25 김보언 크롤링을 이용한 전문가 검증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56907A (ko) * 2019-08-06 2020-05-25 김보언 정형정보 및 비정형 정보를 이용한 전문가 검증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143243A (ko) * 2020-05-11 2020-12-23 (주)엔터랩 전문가 매칭을 위한 전문가 풀 생성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WO2021006505A1 (ko) * 2019-07-05 2021-01-14 김보언 전문가 경력 관리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10077945A (ko) 2019-12-18 2021-06-28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블록체인 환경에서의 제안서 평가 진행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52756A (ko) * 2021-05-10 2022-11-17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연구개발 과제 평가 환경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725B1 (ko) * 2018-07-25 2018-11-27 (주)엔터랩 인공지능 과제매칭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0905A (ko) * 2015-12-31 2017-07-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평가지표 자율제안에 의한 연구개발과제 선정 시스템 및 방법
US11068816B2 (en) 2015-12-31 2021-07-20 Sangho Park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through autonomous proposals of evaluation indicators
WO2017116215A1 (ko) * 2015-12-31 2017-07-06 박상호 평가지표 자율제안에 의한 연구개발과제 선정 시스템 및 방법
WO2018093010A1 (ko) * 2016-11-18 2018-05-24 성진계장 주식회사 기술인 중개 서비스 시스템
WO2020022668A1 (ko) * 2018-07-25 2020-01-30 (주)엔터랩 블록체인을 이용한 과제매칭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941989B1 (ko) * 2018-07-25 2019-01-24 (주)엔터랩 블록체인을 이용한 과제매칭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972554B1 (ko) * 2018-08-08 2019-04-26 김보언 에이전시 매칭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WO2020032468A1 (ko) * 2018-08-08 2020-02-13 김보언 에이전시 매칭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WO2020040482A3 (ko) * 2018-08-24 2020-04-16 김보언 전문가 플랫폼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010579B1 (ko) * 2018-11-15 2019-08-13 김보언 전문가 검증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949508B1 (ko) * 2019-01-15 2019-02-18 (주)엔터랩 과제 수행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949510B1 (ko) * 2019-01-15 2019-02-18 (주)엔터랩 블록 체인 및 가상 화폐를 이용한 과제 매칭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교차검증 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066372B1 (ko) * 2019-03-26 2020-01-14 김보언 인공지능 기반 에이전시 매칭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066371B1 (ko) * 2019-03-26 2020-01-14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에이전시 매칭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112025B1 (ko) * 2019-06-13 2020-05-18 (주)엔터랩 전문가 플랫폼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WO2021006505A1 (ko) * 2019-07-05 2021-01-14 김보언 전문가 경력 관리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56906A (ko) * 2019-08-06 2020-05-25 김보언 크롤링을 이용한 전문가 검증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56907A (ko) * 2019-08-06 2020-05-25 김보언 정형정보 및 비정형 정보를 이용한 전문가 검증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10077945A (ko) 2019-12-18 2021-06-28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블록체인 환경에서의 제안서 평가 진행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43243A (ko) * 2020-05-11 2020-12-23 (주)엔터랩 전문가 매칭을 위한 전문가 풀 생성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20152756A (ko) * 2021-05-10 2022-11-17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연구개발 과제 평가 환경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526B1 (ko) 201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526B1 (ko) 외부 인적자원의 평가를 이용한 핵심기술과 수행주체 선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230297890A1 (en) Customizable machine learning models
US202200051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alternative data sources for risk analysis and insurance
CN103294816B (zh) 一种为求职者推荐职位的方法和职位推荐系统
Brandt et al. Real time, time series forecasting of inter-and intra-state political conflict
US11727328B2 (en) Machine learning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ve engagement
US20150074033A1 (en) Crowdsourced electronic documents review and scoring
WO2001088781A2 (en) Internet based employee/executive recruting system and method
Sharara et al. Active surveying: A probabilistic approach for identifying key opinion leaders
US20150161555A1 (en) Scheduling tasks to operators
Choetkiertikul et al. Who will answer my question on stack overflow?
Balagot et al. The homeless Coordinated Entry System: the VI-SPDAT and other predictors of establishing eligibility for services for single homeless adults
Kaya et al. Statistics an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avement performance and remaining service life prediction models for flexible and composite pavement systems
CN113239173A (zh) 问答数据的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与电子设备
Nikolina et al. Assessment of digitalization of public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at the level of territorial communities
Mofazali et al. Towards a customized foresight model on “disaster risk management” in developing countries
Fung et al. A predictive modeling approach to estimating seismic retrofit costs
WO20191440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alternative data sources for risk analysis and insurance
Field et al. Assessing the value of removing earthquake-hazard-related epistemic uncertainties, exemplified using average annual loss in California
CN106575418A (zh) 建议的关键词
KR101278693B1 (ko) 합격률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KR102103023B1 (ko) 확정기여형제도 기반 사업자 비교를 이용한 퇴직연금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JP5233518B2 (ja) 検索分析サーバ装置及び検索分析方法
JP2011210196A (ja) サーバ装置、評価方法、及び評価プログラム
US20210201177A1 (en) Prediction system, prediction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