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0520A - 단락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 Google Patents

단락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0520A
KR20150060520A KR1020140151945A KR20140151945A KR20150060520A KR 20150060520 A KR20150060520 A KR 20150060520A KR 1020140151945 A KR1020140151945 A KR 1020140151945A KR 20140151945 A KR20140151945 A KR 20140151945A KR 20150060520 A KR20150060520 A KR 20150060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assembly
rubber
battery cell
battery
cell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1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기
김동명
류상백
오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50060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6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in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조립체와 전지케이스 사이에는 절연성 재료가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단락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Battery Cell Having Means for Preventing Short-Circuit}
본 발명은 단락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연료의 고갈에 의한 에너지원의 가격 상승, 환경 오염의 관심이 증폭되며, 친환경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요구가 미래생활을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원자력, 태양광, 풍력, 조력 등 다양한 전력 생산기술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렇게 생산된 에너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력저장장치 또한 지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전지의 형상 면에서는 얇은 두께로 휴대폰 등과 같은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는 각형 이차전지와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고, 재료 면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진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또한,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특히, 최근에는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가, 낮은 제조비, 작은 중량, 용이한 형태 변형 등을 이유로,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고 또한 그것의 사용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이 적층된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에 따라 분류되기도 하며, 대표적으로는, 긴 시트형의 양극들과 음극들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권취한 구조의 젤리-롤형(권취형) 전극조립체, 소정 크기의 단위로 절취한 다수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적층형) 전극조립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최근에는, 상기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및 스택형 전극조립체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젤리-롤형과 스택형의 혼합 형태인 진일보한 구조의 전극조립체로서, 소정 단위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적층한 바이셀(Bi-cell) 또는 풀셀(Full cell)들을 분리필름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권취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이차전지에서 주요 연구 과제 중의 하나는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차전지는 내부 단락, 허용된 전류 및 전압을 초과한 과충전 상태, 고온에의 노출, 낙하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 등 전지의 비정상적인 작동 상태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전지 내부의 고온 및 고압에 의해 전지의 폭발이 초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지셀의 외부에서 금속성 부재에 의한 전지셀의 파손시, 상기 전지셀의 파손 부위로 침투한 금속성 부재가 전극조립체의 전극과 직접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전지셀의 내부단락 및 발화를 일으키는 등 안전성에 큰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전지셀이 금속성 부재에 의해 국부적으로 파손된 경우의 구조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지셀(100)은 양극들(111, 112)과 음극들(121, 122) 사이에 각각 분리막들(131, 132, 133)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150)가 전지케이스(141, 142)에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외부에서 침투한 금속성 부재(160)에 의해 전지셀(100)의 일부가 파손되어 있다.
상기 금속성 부재(160)는 전지케이스(141)를 파손하며 전지셀(100)의 내부로 침투하고, 국부적으로 전극조립체(150)를 파손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전극조립체(150)를 구성하는 양극들(111, 112) 및 음극들(121, 122)은 각각 외부 금속성 부재(16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전지셀(100)의 내부단락을 일으키며, 이로 인한 발화 내지 폭발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극조립체와 전지케이스 사이에 절연성 재료가 부가됨으로써, 금속성 부재에 의한 전지셀 파손시, 전극조립체의 전극과 금속성 부재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한 내부단락 및 발화를 방지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지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극조립체의 형상에 관계 없이 적용가능하며, 간단한 구성으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지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조립체와 전지케이스 사이에는 절연성 재료가 부가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전극조립체와 전지케이스 사이에 절연성 재료가 부가됨으로써, 금속성 부재에 의한 전지셀 파손시, 전극조립체의 전극과 금속성 부재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한 내부단락 및 발화를 방지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극조립체의 형상에 관계 없이, 종래의 전극조립체의 외면 또는 전지케이스의 내면에 절연성 재료만을 부가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전지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절연성 재료는 전극조립체와 전지케이스 사이에서 전극조립체의 외면 또는 전지케이스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부가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절연성 재료가 양극과 음극 사이 등 전극조립체 내부에 외치할 경우, 전극 간 이온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절연성 재료가 전지케이스의 외면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절연성 재료가 외부 환경에 노출됨으로써, 오염물에 의한 약화, 노후화 및 마모 등의 요인으로 인해, 전지케이스가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소망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연성 재료는 전극조립체와 전지케이스 사이에서 전지케이스의 내면에 대면하는 전극조립체의 외면 또는 전극조립체의 외면에 대면하는 전지케이스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부가됨으로써, 외부 금속성 부재에 의한 전지셀의 파손시, 상기 금속성 부재와 전극조립체의 전극 사이에는 절연성 재료가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금속성 부재와 전극조립체의 전극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고, 이로 인한 전지셀의 발화 및 폭발을 방지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절연성 재료는 전극조립체의 외면과 전지케이스의 내면 모두에 부가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절연성 재료는, 전극조립체와 전지케이스 사이에서, 전극조립체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의 일부 또는 전체에 부가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즉, 상기 절연성 재료는 전지셀이 적용되는 디바이스에 따라서, 외부로 노출되어 파손되기 쉬운 부위에만 국부적으로 부가되거나, 전극조립체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제외한 나머지 전체에 부가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절연성 재료는 전극조립체의 외면 또는 전지케이스의 내면의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30 내지 90%의 면적,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의 면적 에 부가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으며, 전극조립체의 두께를 기준으로 0.1 내지 20%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의 두께로 부가되어 있다.
만일, 상기 절연성 재료가 전극조립체의 외면 또는 전지케이스의 내면의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30% 미만의 면적에 부가되거나, 전극조립체의 두께를 기준으로 0.1% 미만의 두께로 부가될 경우, 소망하는 내부 단락 방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고, 전극조립체의 외면 또는 전지케이스의 내면의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90%를 초과하는 면적에 부가되거나, 전극조립체의 두께를 기준으로 20%를 초과하는 두께로 부가될 경우, 전해액에 대한 전극조립체의 함침성을 저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성 재료는, 외부의 금속성 부재에 의해 전지셀이 파손될 경우, 상기 금속성 부재가 전극조립체 사이로 침투하는 과정에서, 탄성에 의해 전극조립체 사이로 침투하는 금속성 부재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상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절연성 재료가 전극조립체의 외면 또는 전지케이스의 내면의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30% 미만의 면적에 부가될 경우, 전극조립체 사이로 침투하는 금속성 부재의 외면을 모두 감쌀 수 없어, 상기 금속성 부재와 전극조립체의 양극 및 음극의 직접적인 접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으며, 소망하는 안전성 향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또한, 전극조립체의 두께를 기준으로 0.1% 미만의 두께로 절연성 재료가 부가될 경우, 금속성 부재의 형상 또는 파손 강도 등에 따라, 절연성 재료가 파손되어, 소망하는 안전성 향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한편, 상기 절연성 재료는 전지셀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전극조립체와 전지케이스의 사이에서, 전극조립체의 외면 또는 전지케이스의 내면에 부가되어, 소망하는 내부단락 방지 및 이에 따른 안전성 향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절연성 도료, 파라필름(Parafilm) 또는 발포성 고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재료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절연성 도료는 NBR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SBR (Styrene Butadiene Rubber), IRR (Isobutylene Isoprene Rubber), CR (Chloroprene Rubber), 및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전극조립체와 전지케이스의 사이에서, 전극조립체의 외면 또는 전지케이스의 내면에 도포되는 방식으로 부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성 고무는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합성고무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에틸렌프리필렌 고무, 다황화물계 고무, 실리콘 고무, 플루오로계 고무, 우레탄 고무, 및 아크릴 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을 이루는 전극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으로,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권취되어 있는 구조이거나, 소정 크기의 단위로 절취한 다수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구조, 또는 소정 크기의 단위로 절취한 다수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구조의 단위셀들을 분리필름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권취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을 이루는 전지케이스는 상기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수납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으로, 원통형 또는 각형 캔, 및 상기 캔의 개방 상단부에 탑재되는 캡을 포함하는 구조의 케이스이거나,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망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것의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인 예로서,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진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
리튬 이차전지를 포함하여 전지셀의 구성, 구조, 제조방법 등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전지셀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바,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파워 툴,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 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 내지 장치들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전극조립체와 전지케이스 사이에 절연성 재료가 부가됨으로써, 금속성 부재에 의한 전지셀 파손시, 전극조립체의 전극과 금속성 부재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한 내부단락 및 발화를 방지할 수 있고, 전극조립체의 형상에 관계 없이 적용가능하며, 종래의 전극조립체의 외면 또는 전지케이스의 내면에 절연성 재료만을 부가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지셀이 금속성 부재에 의해 국부적으로 파손된 경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지셀이 금속성 부재에 의해 국부적으로 파손된 경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절연성 탄성 부재가 부가되는 부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 및 상기 전지셀이 금속성 부재에 의해 국부적으로 파손된 경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지셀(200)은 양극들(211, 212)과 음극들(221, 222) 사이에 분리막들(231, 232, 233)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250)가 전지케이스(241, 242)에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전극조립체(250)와 전지케이스(241, 242)의 사이에는 절연성 재료들(271, 272)이 부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지셀(200)은 외부에서 금속성 부재(260)가 침투하는 경우 전지셀(200)의 일부가 파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성 부재(260)는 전지케이스(241)를 파손하며 전지셀(200)의 내부로 침투하고, 국부적으로 전극조립체(250)가 파손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전극조립체(250)와 전지케이스(241)의 사이에 부가되어 있는 절연성 재료(271)는 전지셀(200) 내부로 침투한 금속성 부재(260)의 외형에 따라, 상기 금속성 부재(260)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연신하며 형상 변경을 일으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성 재료(260)는 전지셀(200) 내부로 침투한 금속성 부재(260)와 전지셀(200)의 전극조립체(250)를 이루는 양극들(211, 212) 및 음극들(221, 222)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전지셀(200)의 내부단락 및 발화를 방지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전지셀의 절연성 탄성 부재가 부가되는 부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들(410, 420)의 각각의 전극조립체들(413, 423)은 외주면 중 동일한 일면에 양극 단자(411) 및 음극 단자(412)가 돌출되어 있거나, 서로 대향하는 일면 및 타면에 양극 단자(421) 및 음극 단자(422)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전지셀들(410, 420)의 전극조립체들(413, 423)과 전지케이스(도시하지 않음) 사이에는 절연성 재료들(414, 424)이 각각 부가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성 재료들(414, 424)은, 전극조립체들(413, 423)과 전지케이스 사이에서, 전극조립체들(413, 423)의 양극 단자들(411, 421) 및 음극 단자들(412, 422)이 돌출되어 있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의 전체에 각각 부가되어 있다.
따라서, 전지셀들(410, 420)은 양극 단자들(411, 421) 및 음극 단자들(412, 422)의 돌출 부위를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금속성 부재에 의해 국부적으로 파손되더라도, 상기 금속성 부재와 양극 및 음극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전지셀들(410, 420)의 내부단락 및 발화를 방지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실시예 1>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적층형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제조하고, 상기 전극조립체의 상면, 하면 및 양측면에 테프론(Teflon) 소재로 이루어진 절연성 테이프가 위치하도록 감은 후, 상기 전극조립체를 알루미늄 파우치로 이루어진 전지케이스에 수납하고 밀봉하여, 전지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전극조립체의 상면, 하면 및 양측면에 절연성 테이프가 감겨있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지셀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각각 제조한 전지셀을 각각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고, 상기 전지셀들과 외부 디바이스의 연결 부위에 통전 상태를 검지할 수 있는 통전 검사 장치를 연결한 상태에서, 지름이 15.8mm이고, 무게가 91.9kg인 침상 부재를 610mm 높이에서 낙하시킴으로써,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전지셀의 상면에 충격을 가하였으며, 상기 충격 시험을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전지셀의 각각 다른 부위에 대해, 총 9회 실시하고, 상기 침상 부재와 전극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내부단락의 발생 유무를 관찰하여 각각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내부단락 발생 유무 1회 X O
2회 X O
3회 O X
4회 X O
5회 X O
6회 X O
7회 O O
8회 X O
9회 X O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같이 전극조립체의 상면, 하면 및 양측면에 절연성 테이프를 감은 전지셀의 경우, 상기 절연성 테이프를 감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해, 상기 침상 부재와 전극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한 내부단락의 발생이 현저히 방지되는 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침상 부재에 의한 관통시 상기 절연성 테이프가 침상 부재와 전극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7)

  1.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조립체와 전지케이스 사이에는 절연성 재료가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재료는 전극조립체와 전지케이스 사이에서 전극조립체의 외면 또는 전지케이스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재료는, 전극조립체와 전지케이스 사이에서, 전극조립체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의 일부 또는 전체에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4. 제 3 항에 있어서, 절연성 재료는 전극조립체의 외면 또는 전지케이스의 내면의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30 내지 90%의 면적에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5. 제 3 항에 있어서, 절연성 재료는 전극조립체의 두께를 기준으로 0.1 내지 20%의 두께로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재료는 절연성 도료, 파라필름(Parafilm) 또는 발포성 고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도료는 NBR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SBR (Stylene Butadiene Rubber), IRR (Isobutylene Isoprene Rubber), CR (Chloroprene Rubber), 및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고무는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고무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에틸렌프리필렌 고무, 다황화물계 고무, 실리콘 고무, 플루오로계 고무, 우레탄 고무, 및 아크릴 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권취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소정 크기의 단위로 절취한 다수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구조의 전극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소정 크기의 단위로 절취한 다수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구조의 단위셀들을 분리필름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권취한 구조의 전극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원통형 또는 각형 캔, 및 상기 캔의 개방 상단부에 탑재되는 캡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리튬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6. 제 1 항에 따른 상기 전지셀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파워 툴,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 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140151945A 2013-11-26 2014-11-04 단락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KR201500605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4353 2013-11-26
KR1020130144353 2013-1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520A true KR20150060520A (ko) 2015-06-03

Family

ID=53199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1945A KR20150060520A (ko) 2013-11-26 2014-11-04 단락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53835B2 (ko)
EP (1) EP3051611B8 (ko)
KR (1) KR20150060520A (ko)
CN (1) CN105684191B (ko)
PL (1) PL3051611T3 (ko)
WO (1) WO201508038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323A (ko) * 2016-12-12 2018-06-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KR20180137344A (ko) * 2017-06-16 2018-1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080B1 (ko) 2018-05-08 2021-11-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금속 이차 전지용 케이스, 이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DE102018128975B4 (de) * 2018-11-19 2024-01-0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gehäuse einer Traktionsbatterie
FR3120762B1 (fr) 2021-03-11 2023-12-29 Thales Sa Procede de desentrelacement rapide et robuste de trains d'impulsions
JP7380629B2 (ja) * 2021-03-31 2023-1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CN115224344A (zh) * 2022-01-06 2022-10-21 湘潭大学 具有热失控阻断能力的锂离子动力电池模组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8588A (en) * 1985-11-20 1989-04-04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Packaging materials
US5747192A (en) * 1995-06-07 1998-05-05 Avery Dennison Corporation Single ply PSA labels for battery applications
US6294287B1 (en) 1999-08-18 2001-09-25 The Gillette Company Alkaline cell with insulator
JP2003123714A (ja) * 2001-10-16 2003-04-25 Nec Tokin Tochigi Ltd 電池パック
TWM240019U (en) * 2002-08-09 2004-08-01 Tai-Hung Lee Rotary tube-cutter
JP4042613B2 (ja) 2003-04-14 2008-02-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イポーラ電池
JP4238645B2 (ja) 2003-06-12 2009-03-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イポーラ電池
JP4595302B2 (ja) 2003-09-04 2010-12-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イポーラ電池
JP4568123B2 (ja) 2005-01-12 2010-10-27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KR100866767B1 (ko) * 2006-07-10 2008-1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안전부재
KR100824874B1 (ko) 2006-08-24 2008-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재 부착 캔형 이차전지
KR100716596B1 (ko) * 2007-03-26 2007-05-09 새한에너테크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
JP4296522B2 (ja) * 2007-08-23 2009-07-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36799B1 (ko) 2008-04-18 2012-04-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슬림형의 전지팩
US8035246B2 (en) * 2010-01-07 2011-10-11 American Superconductor Corporation Torque limiting coupling for wind turbine
EP2613380B1 (en) 2010-11-05 2015-03-18 LG Chem, Ltd. Enhanced-stability rechargeable battery
KR20120058676A (ko) * 2010-11-05 2012-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리튬 이차전지 및 전지팩
KR101264553B1 (ko) 2010-11-05 2013-05-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KR101259356B1 (ko) 2010-11-30 2013-04-30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Lte 기지국 에뮬레이터의 베이스밴드 처리 장치
DE102012206075A1 (de) * 2011-12-15 2013-06-20 Robert Bosch Gmbh Hartschalenzellgehäuse mit Dampfsperrschicht
JP6146953B2 (ja) 2012-01-31 2017-06-14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電池用外装材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KR101533993B1 (ko) 2012-04-30 2015-07-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시트 부재 및 필름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CN103325987B (zh) 2013-05-30 2015-08-26 广东天劲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防针刺锂电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323A (ko) * 2016-12-12 2018-06-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KR20180137344A (ko) * 2017-06-16 2018-1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84191A (zh) 2016-06-15
WO2015080380A1 (ko) 2015-06-04
PL3051611T3 (pl) 2020-05-18
EP3051611B8 (en) 2020-03-11
EP3051611A4 (en) 2017-05-10
US10553835B2 (en) 2020-02-04
EP3051611B1 (en) 2019-12-18
US20160276632A1 (en) 2016-09-22
EP3051611A1 (en) 2016-08-03
CN105684191B (zh)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9348B2 (en) Cylindrical battery cell comprising metal can having groove
KR20150060520A (ko) 단락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EP2822062B1 (e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integrated anode lead and cathode le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792572B1 (ko) 절연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전극을 포함하는 전지셀
KR20000066414A (ko) 2차전지
US10381605B2 (en) Battery pouch, battery cell and method of making a pouch or battery cell
US20100316905A1 (en) Secondary battery
KR20060112743A (ko) 캡 조립체와 이를 구비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KR20150031724A (ko) 이차 전지
KR20160111614A (ko) 실링부에 벤팅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KR20040099525A (ko) 안전벤트를 가지는 각형 리튬 이차 전지
KR20040037577A (ko) 젤리-롤형의 전지부와, 이의 와인딩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리튬이차전지
KR20160005421A (ko) 분리막의 열 수축성이 억제된 전지셀
KR20190033900A (ko)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원통형 전지셀의 캡 어셈블리
US10615621B2 (en) Apparatus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battery cell comprising insulation mask
KR20180082785A (ko) 단락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3전극 시스템용 전극전위 측정 장치
KR20180067323A (ko)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KR101849990B1 (ko) 분리막의 열 수축성이 억제된 전지셀
KR101587861B1 (ko) 생산성과 성능이 향상된 전지셀
KR101471704B1 (ko) 이차전지용 파우치
KR20160087628A (ko) 전해액 감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2232118B1 (ko) 접속부재 고정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용접 지그
KR102186499B1 (ko) 외주변 부위가 접착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KR101763626B1 (ko) 안전성 향상을 위한 구조의 도전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KR20180001884A (ko)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88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012

Effective date: 2018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