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968A -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8968A
KR20150058968A KR1020130142373A KR20130142373A KR20150058968A KR 20150058968 A KR20150058968 A KR 20150058968A KR 1020130142373 A KR1020130142373 A KR 1020130142373A KR 20130142373 A KR20130142373 A KR 20130142373A KR 20150058968 A KR20150058968 A KR 20150058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frame part
vertical frame
boo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7473B1 (ko
Inventor
김호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명진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명진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명진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30142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473B1/ko
Publication of KR20150058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에 놓이는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상면에 배치되고, 차량부품이 적재되는 파레트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종발이부와, 베이스판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부와, 수직프레임부 상에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파레트가 배치되는 정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파레트를 향해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센서부가 장착되는 수평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CHECKING APPARATUS FOR PALETT}
본 발명은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부품이 적재된 파레트가 설정된 지점에 정확히 배치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일명 "랙 또는 트레이"라고도 한다)는 다양한 형태를 이루는 단품의 차량부품을 각각의 해당 부품별로 적재하고 운반 및 출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차량부품을 적재하거나 추출하는 과정에서 작업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적재 배열의 일관성을 감안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는 사이즈별 소재 절단, 바닥 및 측면 용접작업, 외곽틀 용접작업, 상단부 및 하단부 조립, 검수(검증 및 교정)의 순서로 생산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4092호(2004.03.20 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의 글라스 적재용 파레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차량부품이 적재된 파레트가 설정된 지점에 정확히 배치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는: 바닥면에 놓이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배치되고, 차량부품이 적재되는 파레트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종발이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부; 및 상기 수직프레임부 상에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파레트가 배치되는 정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상기 파레트를 향해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센서부가 장착되는 수평프레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종발이부는, 상기 베이스판에 위치 고정되고, 상기 파레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종발이부; 상기 베이스판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종발이부와 제1방향으로 간격 조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파레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종발이부; 상기 베이스판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종발이부와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간격 조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파레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3종발이부; 및 상기 베이스판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종발이부와 상기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간격 조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파레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4종발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종발이부는, 상기 베이스판 상에 배치되는 제2종발이판; 상기 제2종발이판에 고정되고,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레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종발이; 및 상기 제2종발이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판에 대한 상기 제2종발이판의 제1방향으로의 이동 시에 상기 제2종발이판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상기 베이스판의 제2종발이레일부에 안착되는 제2종발이레일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3종발이부는, 상기 베이스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판에 대해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종발이이동판; 상기 종발이이동판에 고정되고,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레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3종발이; 및 상기 종발이이동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판에 대한 상기 종발이이동판의 제2방향으로의 이동 시에 상기 종발이이동판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상기 베이스판의 제3종발이레일부에 안착되는 제3종발이레일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4종발이부는, 상기 종발이이동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종발이에 대해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4종발이판; 상기 제4종발이판에 고정되고,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레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4종발이; 및 상기 제4종발이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3종발이에 대한 상기 제4종발이판의 제1방향으로의 이동 시에 상기 제4종발이판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상기 종발이이동판의 제4종발이레일부에 안착되는 제4종발이레일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프레임부는, 상기 제1종발이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1수직프레임부; 상기 제1수직프레임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수직프레임부; 상기 제1수직프레임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3수직프레임부; 및 상기 제2수직프레임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3수직프레임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4수직프레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평프레임부는, 상기 제1수직프레임부와 상기 제2수직프레임부 상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파레트가 배치되는 정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상기 파레트를 향해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제1레이저센서부가 적어도 한 개 이상 장착되는 제1수평프레임부; 및 상기 제2수직프레임부와 상기 제4수직프레임부 상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파레트가 배치되는 정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상기 파레트를 향해 상기 제1수평프레임부 상의 레이저센서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제2레이저센서부가 적어도 한 개 이상 장착되는 제2수평프레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레이저센서부는 상기 제1수평프레임부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레이저센서부는 상기 제2수평프레임부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는 제1연결프레임부와 제3연결프레임부 상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천장프레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천장프레임부에는 상기 베이스판을 향해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천장레이저센서부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부품이 적재된 파레트가 설정된 지점에 정확히 배치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파레트에 맞춰 종발이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파레트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안착부를 수평프레임부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파레트의 형상에 따라 레이저센서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센서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 내의 구역에 파레트가 배치되는지를 왁인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파레트가 정위치에 설치되었는지를 검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에서 레이저센서부를 생략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에 파레트가 적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종발이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4종발이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4수직프레임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4수직프레임부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레이저안착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더가 파레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레트와 디바이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더에 차량부품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디바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더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에서 레이저센서부를 생략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에 파레트가 적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종발이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4종발이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4수직프레임부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4수직프레임부의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레이저안착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더가 파레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레트와 디바이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더에 차량부품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디바이더의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더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는 베이스판(100), 종발이부(200), 수직프레임부(300), 수평프레임부(400), 천장프레임부(500), 레이저센서부(600, 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판(100)은 바닥면에 놓인다. 여기서 바닥면은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가 설치되는 공장의 바닥 등을 일컫는다.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판(100)은 베이스(110), 제2종발이레일부(120), 제3종발이레일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110)는 사각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복수개의 종발이부(200)가 배치된다.
제2종발이레일부(120)는 베이스(110) 상에서 제1방향(도 7 기준 좌우 방향)으로 레일이 배열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2종발이레일부(120)에 의해 안내되는 제2종발이부(220)는 제1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제3종발이레일부(130)는 베이스(110) 상에서 제2방향(도 7 기준 상하 방향)으로 레일이 배열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3종발이레일부(130)에 의해 안내되는 제3종발이부(230)와 제4종발이부(240)는 제2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3종발이레일부(130)는 3개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3개의 제3종발이레일부(130)에 의해 종발이이동판(232)이 좌우 그리고 중앙에서 지지되므로, 종발이이동판(232)은 파레트(P)가 적재된 상태에서도 하측으로 처짐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1,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종발이부(200)는 베이스(110)의 상면에 배치되고, 차량부품이 적재되는 파레트(P)를 복수개의 지점에서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종발이부(200)는 제1종발이부(210), 제2종발이부(220), 제3종발이부(230), 제4종발이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종발이부(210)는 베이스(110)의 상면에 위치 고정되고, 파레트(P)의 하면 일지점을 지지한다.
도 1,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2종발이부(220)는 베이스(110) 상에서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로써 제2종발이부(220)는 위치 고정되어 있는 제1종발이부(210)와의 간격 조정을 이룰 수 있다.
제2종발이부(220)는 제1종발이부(210)와 제1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파레트(P)의 하면 일지점을 지지한다.
제2종발이부(220)는 제2종발이(221), 제2종발이판(222), 제2종발이레일홈부(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종발이(221)는 제2종발이판(222)에 위치 고정되고,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파레트(P)의 하부 일지점을 지지한다.
제2종발이판(222)은 베이스(110) 상에서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종발이판(222)의 이동은 제2종발이판(222)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종발이레일홈부(223)가 제2종발이레일부(12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2종발이레일부(120) 상을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이루어진다.
즉, 제2종발이레일부(120)가 제2종발이레일홈부(223)의 이동 경로를 제1방향으로 안내함에 따라 제2종발이판(222)이 제1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제2종발이판(222)의 이동에 의해 제2종발이(221)는 파레트(P)의 하부를 지지할 지점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3종발이부(230)는 베이스(110) 상에서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로써 제3종발이부(230)는 위치 고정되어 있는 제1종발이부(210)와 제2방향으로의 간격 조정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제2방향은 제1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도 7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제3종발이부(230)는 제1종발이부(210)와 제2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파레트(P)의 하면 일지점을 지지한다. 제3종발이부(230)는 제3종발이(231), 종발이이동판(232), 제3종발이레일홈부(2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3종발이(231)는 종발이이동판(232)에 위치 고정되고,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파레트(P)의 하부 일지점을 지지한다.
종발이이동판(232)은 베이스(110) 상에서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종발이이동판(232)의 이동은 종발이이동판(232)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3종발이레일홈부(233)가 제3종발이레일부(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3종발이레일부(130) 상을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이루어진다.
즉, 제3종발이레일부(130)가 제3종발이레일홈부(233)의 이동 경로를 제2방향으로 안내함에 따라 종발이이동판(232)이 제2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종발이이동판(232)의 이동에 의해 제3종발이(231)는 파레트(P)의 하부를 지지할 지점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4종발이부(240)는 베이스(110) 상에서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로써 제4종발이부(240)는 위치 고정되어 있는 제1종발이부(210)와 제2방향으로의 간격 조정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3종발이부(230)와 제1방향으로의 간격 조정 또한 이룰 수 있다.
제4종발이부(240)는 제3종발이부(230)와 종발이이동판(232) 상에서 제1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파레트(P)의 하면 일지점을 지지한다. 제4종발이부(240)는 제4종발이(241), 제4종발이판(242), 제4종발이레일홈부(2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4종발이(241)는 제4종발이판(242)에 위치 고정되고,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파레트(P)의 하부 일지점을 지지한다.
제4종발이판(242)은 종발이이동판(232) 상에서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4종발이판(242)의 이동은 제4종발이판(242)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4종발이레일홈부(243)가 종발이이동판(232) 상의 제4종발이레일부(25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4종발이레일부(250) 상을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이루어진다.
즉, 제4종발이레일부(250)가 제4종발이레일홈부(243)의 이동 경로를 제1방향으로 안내함에 따라 제4종발이판(242)이 제1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제4종발이(231)는 종발이이동판(232)의 이동에 의해 제2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제4종발이판(242)의 이동에 의해 제1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파레트(P)의 하부를 지지할 지점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발이부(200)는 제1종발이부(210), 제2종발이부(220), 제3종발이부(230), 제4종발이부(240)를 구비함으로써, 네지점에서 파레트(P)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특히, 제2종발이부(220), 제3종발이부(230), 제4종발이부(240)의 위치를 제1종발이부(210)에 대해 제1방향 및/또는 제2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파레트(P)의 크기 및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수직프레임부(300)는 베이스(110)의 상면에 배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직프레임부(300)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제1수직프레임부(310), 제2수직프레임부(320), 제3수직프레임부(330), 제4수직프레임부(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수직프레임부(310)는 베이스(110)의 상면에 제1종발이부(210)와 인접하게 설치된다. 제2수직프레임부(320)는 베이스(1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제1수직프레임부(310)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3수직프레임부(330)는 베이스(1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제1수직프레임부(310)로부터 제2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4수직프레임부(340)는 베이스(1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제2수직프레임부(320)로부터 제2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3수직프레임부(330)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2, 3, 4수직프레임부(310, 320, 330, 340)는 베이스(110)의 네모서리에 각각 설치된다.
도 1, 도 4,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수평프레임부(400)는 수직프레임부(300) 상에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수평프레임부(400)에는 파레트(P)가 배치되는 정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파레트(P)를 향해 레이저빔(B)을 조사하는 레이저센서부(600)가 장착된다.
수평프레임부(400)는 제1수평프레임부(410), 제2수평프레임부(420), 제3수평프레임부(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수평프레임부(410)는 제1수직프레임부(310)와 제2수직프레임부(320) 상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수직프레임부(310)와 제2수직프레임부(320)에는 제1수평프레임부(410)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제1수평프레임부(410)에는 레일부에 안착되는 레일홈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수평프레임부(410)의 레일홈부가 제1, 2수직프레임부(310, 320)의 레일부 상을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제1수평프레임부(410)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1수평프레임부(410)는 2개가 서로 평행하게 제1수직프레임부(310)와 제2수직프레임부(320) 상에 설치되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3개 이상의 제1수평프레임부(410)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수평프레임부(410)에는 제1레이저센서부(610)가 장착되는 제1레이저안착부(415)가 설치된다. 제1레이저안착부(415)는 제1수평프레임부(410)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제1레이저안착부(415)는 제1레이저안착판(416), 제1레이저안착레일홈부(417)를 포함한다. 제1레이저안착판(416)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에 제1레이저센서부(610)가 안착된다. 제1레이저안착레일홈부(417)는 제1레이저안착판(416)에 부착되어 제1수평프레임부(410) 상에 설치되는 레일부(미도시)에 안착되면서 레일부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렇듯 제1레이저안착부(415)를 제1수평프레임부(410) 상에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작업자는 제1레이저센서부(610)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레이저안착부(415)는 하나의 제1수평프레임부(410)에 2개씩 설치된다. 이로써 제1레이저센서부(610)는 파레트(P)의 양측부를 향해 레이저빔(B)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제1레이저안착부(415)는 제1수평프레임부(410)에 3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제1수직프레임부(310)와 제2수직프레임부(320)는 제1수평프레임부(410)에 의해 서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상부에서는 제1연결프레임부(411)에 의해 서로 연결되므로, 외부 충격 등에 의해서도 흔들리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수평프레임부(420)는 제2수직프레임부(320)와 제4수직프레임부(340) 상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수직프레임부(320)와 제4수직프레임부(340)에는 제2수평프레임부(420)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제2수평프레임부(420)에는 레일부에 안착되는 레일홈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수평프레임부(420)의 레일홈부가 제2, 4수직프레임부(320, 340)의 레일부 상을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제2수평프레임부(420)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2수평프레임부(420)는 2개가 서로 평행하게 제2수직프레임부(320)와 제4수직프레임부(340) 상에 설치되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3개 이상의 제2수평프레임부(420)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수평프레임부(420)에는 제2레이저센서부(620)가 장착되는 제2레이저안착부(425)가 설치된다. 제2레이저안착부(425)는 제2수평프레임부(420)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따라서 제2레이저안착부(425)를 제2수평프레임부(420) 상에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작업자는 제2레이저센서부(620)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제2레이저안착부(425)는 제1레이저안착부(415)와 그 구성 및 작동원리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레이저안착부(425)는 하나의 제2수평프레임부(420)에 2개씩 설치된다. 이로써 제2레이저센서부(620)는 파레트(P)의 양측부를 향해 레이저빔(B)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제2레이저안착부(425)는 제1수평프레임부(420)에 3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제2수직프레임부(320)와 제4수직프레임부(340)는 제2수평프레임부(420)에 의해 서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상부에서는 제2연결프레임부(421)에 의해 서로 연결되므로, 외부 충격 등에 의해서도 흔들리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3수평프레임부(430)는 제3수직프레임부(330)와 제4수직프레임부(340) 상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3수직프레임부(330)와 제4수직프레임부(340)에는 제3수평프레임부(430)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제3수평프레임부(430)에는 레일부에 안착되는 레일홈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3수평프레임부(430)의 레일홈부가 제3, 4수직프레임부(330, 340)의 레일부 상을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제3수평프레임부(430)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3수평프레임부(430)는 2개가 서로 평행하게 제3수직프레임부(330)와 제4수직프레임부(340) 상에 설치되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3개 이상의 제3수평프레임부(430)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3수평프레임부(430)에는 제3레이저센서부(630)가 장착되는 제3레이저안착부(435)가 설치된다. 제3레이저안착부(435)는 제3수평프레임부(430)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따라서 제3레이저안착부(435)를 제3수평프레임부(430) 상에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작업자는 제3레이저센서부(630)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제3레이저안착부(435)는 제1레이저안착부(415)와 그 구성 및 작동원리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3레이저안착부(435)는 하나의 제3수평프레임부(430)에 2개씩 설치된다. 이로써 제3레이저센서부(630)는 파레트(P)의 양측부를 향해 레이저빔(B)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제3레이저안착부(435)는 제1수평프레임부(430)에 3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제3수직프레임부(330)와 제4수직프레임부(340)는 제3수평프레임부(430)에 의해 서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상부에서는 제3연결프레임부(431)에 의해 서로 연결되므로, 외부 충격 등에 의해서도 흔들리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천장프레임부(500)는 제1연결프레임부(411)와 제3연결프레임부(431) 상에 수평 방향, 구체적으로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연결프레임부(411)와 제3연결프레임부(431)에는 천장프레임부(5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천장프레임부(500)에는 레일부에 안착되는 레일홈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천장프레임부(500)의 레일홈부가 제1, 3연결프레임부(411, 431)의 레일부 상을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천장프레임부(5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천장프레임부(500)는 2개가 서로 평행하게 제1연결프레임부(411)와 제3연결프레임부(431) 상에 설치되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3개 이상의 천장프레임부(500)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천장프레임부(500)에는 천장레이저센서부(700)가 장착되는 천장레이저안착부(505)가 설치된다. 천장레이저안착부(505)는 천장프레임부(500)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따라서 천장레이저안착부(505)를 천장프레임부(500) 상에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작업자는 천장레이저센서부(700)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천장레이저안착부(505)는 제1레이저안착부(415)와 그 구성 및 작동원리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천장레이저안착부(505)는 하나의 천장프레임부(500)에 2개씩 설치된다. 이로써 천장레이저센서부(700)는 파레트(P)의 양측부를 향해 레이저빔(B)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천장레이저안착부(505)는 천장프레임부(500)에 3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14를 참조하면, 천장레이저센서부(700)는 파레트(P)가 설정된 정위치에 적치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파레트(P)를 향해 레이저빔(B)을 조사한다.
천장레이저센서부(700)는 천장레이저안착부(505)에 안착되어 천장프레임부(500)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작업자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파레트(P)에 맞춰 천장레이저센서부(700)가 배치될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3,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레이저센서부(600)는 파레트(P)가 설정된 정위치에 적치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파레트(P)를 향해 레이저빔(B)을 조사한다. 본 실시예에서 레이저센서부(600)는 제1레이저센서부(610), 제2레이저센서부(620), 제3레이저센서부(630)를 포함한다.
제1레이저센서부(610)는 제1레이저안착부(415)에 안착되어 제1수평프레임부(410)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작업자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파레트(P)에 맞춰 제1레이저센서부(610)가 배치될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3레이저센서부(620, 630)는 제2, 3레이저안착부(425, 435)에 안착되어 제2, 3수평프레임부(420, 430)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작업자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파레트(P)에 맞춰 제2, 3레이저센서부(620, 630)가 배치될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레트(P)는 프레임(F)과 디바이더(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F)은 파레트(P)의 골격을 이룬다. 프레임(F)은 X방향으로의 파레트(P)의 골격을 이루는 제1파레트프레임(1), Y방향으로의 파레트(P)의 골격을 이루는 제2파레트프레임(2), Z방향으로의 파레트(P)의 골격을 이루는 제3파레트프레임(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파레트(P)는 제1, 2, 3파레트프레임(1, 2, 3)의 조합에 의해 차량부품(C)에 맞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바이더(10)는 차량부품(C)이 적치될 수 있도록 프레임(F)에 부착된다. 디바이더(10)는 프레임(F)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로써 작업자는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더(10) 중 차량부품(C)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디바이더(10)를 선택하여 프레임(F)에 부착시킬 수 있다.
디바이더(10)는 평판부(11), 돌출판부(12, 13)를 포함한다.
평판부(11)는 프레임(F)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평판부(11)는 평판홀부(11a)를 관통하는 체결부재(20)에 의해 프레임(F)에 고정된다.
돌출판부(12, 13)는 평판부(11)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돌출판부(12, 13)는 그 중앙에 차량부품(C)이 적치되도록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돌출판부(12, 13) 상에 배치된다.
이로써 차량부품(C)은 한 쌍의 돌출판부(12, 13)에 의해 측부로의 이동이 구속되고, 평판부(11)에 의해 하부로의 이동이 구속되면서, 안정적으로 디바이더(10) 상에 적치된다.
한 쌍의 돌출판부(12, 13)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경사면(12a, 13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차량부품(C)이 돌출판부(12, 13) 사이로 삽입될 때 경사면(12a, 13a)이 삽입 경로를 안내하게 된다. 경사면(12a, 13a)은 측부에서 보았을 때 V자 형상을 이루도록 상부에 비해 하부가 서로 근접하게 형성된다.
디바이더(10)는 고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차량부품(C)이 디바이더(10) 상에 적치될 때 차량부품(C)과 디바이더(10)간의 접촉 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이하 도 3, 도 13 및 도 14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자는 차량부품(C)이 적재된 파레트(P)를 지지하기 위해 제1, 2, 3, 4종발이부(210, 220, 230, 240)의 위치를 파레트(P)의 형상에 맞게끔 조정한다. 제1종발이부(210)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이므로 제1종발이부(210)를 기준으로 나머지 제2, 3, 4종발이부(220, 230, 240)의 위치를 조정한다.
제1, 2, 3, 4종발이부(210, 220, 230, 240)의 위치 조정 후에 차량부품(C)이 적재된 파레트(P)를 제1, 2, 3, 4종발이부(210, 220, 230, 240) 상에 올려놓는다.
파레트(P)가 적치된 상태에서 파레트(P)의 적치가 설정된 지점에 정확히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우선 제1, 2, 3수평프레임부(410, 420, 430) 상의 제1, 2, 3레이저안착부(415 425, 435)와 천장프레임부(500) 상의 천장레이저안착부(505)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를 통해 제1, 2, 3레이저안착부(415 425, 435)에 장착되는 제1, 2, 3레이저센서부(410, 420, 430)와 천장레이저안착부(505)에 장착되는 천장레이저센서부(700)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킨다.
다음으로 제1, 2, 3레이저센서부(410, 420, 430)와 천장레이저센서부(700)를 작동시켜 레이저빔(B)을 조사한다. 레이저빔(B)은 직진성을 가지므로 파레트(P)와 레이저빔(B)간의 이격 거리를 통해 파레트(P)가 설정된 지점에 정확히 위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레이저센서부(61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B)과 제2레이저센서부(6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B)은 서로 직교하면서 교차된다. 제1레이저센서부(61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B)과 제2레이저센서부(6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B)간의 4지점을 모서리로 하여 구현되는 사각형 구역은 파레트(P)가 정확히 위치될 구역을 정의한다. 따라서 파레트(P)가 사각형 구역 내에 배치되면서, 사각형을 이루는 개개의 레이저빔(B)과 거의 중첩될 정도로 근접하게 배치되면 파레트(P)가 정위치에 적치된 것으로 파악한다.
반대로 파레트(P)의 일부라도 사각형 구역을 벗어난 경우, 또는 파레트(P)가 사각형 구역 내에 배치되더라도 파레트(P)의 일부가 사각형을 이루는 개개의 레이저(B)과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cm) 이상 이격되게 배치된 경우에는 파레트(P)가 정위치에 벗어나 적치된 것으로 간주한다.
한편, 제1레이저센서부(61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B)과 제2레이저센서부(6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B)에 의해 사각형 구역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3레이저센서부(63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B)과 제2레이저센서부(6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B)에 의해서도 사각형 구역을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천장레이저센서부(700)는 베이스판(100)에 직교하도록 베이스판(100)을 향해 레이저빔(B)을 조사한다. 2개의 천장레이저센서부(70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B)의 내부 구역은 파레트(P)가 정확히 위치될 구역을 정의한다. 따라서 파레트(P)가 내부 구역 내에 배치되면서, 파레트(P)가 개개의 레이저빔(B)과 거의 중첩될 정도로 근접하게 배치되면 파레트(P)가 정위치에 적치된 것으로 파악한다.
반대로 파레트(P)의 일부라도 내부 구역을 벗어난 경우, 또는 파레트(P)가 내부 구역 내에 배치되더라도 파레트(P)의 일부가 개개의 레이저빔(B)과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cm) 이상 이격되게 배치된 경우에는 파레트(P)가 정위치에 벗어나 적치된 것으로 간주한다.
앞서 설명한 파레트(P)는 최초 기준이 되는 파레트(P) 이후에 적치되는 파레트(P)의 정위치 적치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며, 최초 기준이 되는 파레트(P)에 대한 위치 좌표의 설정 또는 측정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베이스판 110 : 베이스
120 : 제2종발이레일부 130 : 제3종발이레일부
200 : 종발이부 210 : 제1종발이부
220 : 제2종발이부 230 : 제3종발이부
240 : 제4종발이부 300 : 수직프레임부
310 : 제1수직프레임부 320 : 제2수직프레임부
330 : 제3수직프레임부 340 : 제4수직프레임부
400 : 수평프레임부 410 : 제1수평프레임부
420 : 제2수평프레임부 430 : 제3수평프레임부
500 : 천장프레임부 600 : 레이저센서부
610 : 제1레이저센서부 620 : 제2레이저센서부
630 : 제3레이저센서부 700 : 천장레이저센서부

Claims (9)

  1. 바닥면에 놓이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배치되고, 차량부품이 적재되는 파레트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종발이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부; 및
    상기 수직프레임부 상에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파레트가 배치되는 정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상기 파레트를 향해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센서부가 장착되는 수평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발이부는, 상기 베이스판에 위치 고정되고, 상기 파레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종발이부;
    상기 베이스판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종발이부와 제1방향으로 간격 조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파레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종발이부;
    상기 베이스판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종발이부와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간격 조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파레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3종발이부; 및
    상기 베이스판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종발이부와 상기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간격 조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파레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4종발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종발이부는, 상기 베이스판 상에 배치되는 제2종발이판;
    상기 제2종발이판에 고정되고,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레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종발이; 및
    상기 제2종발이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판에 대한 상기 제2종발이판의 제1방향으로의 이동 시에 상기 제2종발이판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상기 베이스판의 제2종발이레일부에 안착되는 제2종발이레일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종발이부는, 상기 베이스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판에 대해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종발이이동판;
    상기 종발이이동판에 고정되고,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레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3종발이; 및
    상기 종발이이동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판에 대한 상기 종발이이동판의 제2방향으로의 이동 시에 상기 종발이이동판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상기 베이스판의 제3종발이레일부에 안착되는 제3종발이레일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종발이부는, 상기 종발이이동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종발이에 대해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4종발이판;
    상기 제4종발이판에 고정되고,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레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4종발이; 및
    상기 제4종발이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3종발이에 대한 상기 제4종발이판의 제1방향으로의 이동 시에 상기 제4종발이판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상기 종발이이동판의 제4종발이레일부에 안착되는 제4종발이레일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부는, 상기 제1종발이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1수직프레임부;
    상기 제1수직프레임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수직프레임부;
    상기 제1수직프레임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3수직프레임부;
    상기 제2수직프레임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3수직프레임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4수직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부는, 상기 제1수직프레임부와 상기 제2수직프레임부 상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파레트가 배치되는 정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상기 파레트를 향해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제1레이저센서부가 적어도 한 개 이상 장착되는 제1수평프레임부; 및
    상기 제2수직프레임부와 상기 제4수직프레임부 상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파레트가 배치되는 정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상기 파레트를 향해 상기 제1수평프레임부 상의 레이저센서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제2레이저센서부가 적어도 한 개 이상 장착되는 제2수평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저센서부는 상기 제1수평프레임부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레이저센서부는 상기 제2수평프레임부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제1연결프레임부와 제3연결프레임부 상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천장프레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천장프레임부에는 상기 베이스판을 향해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천장레이저센서부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



KR1020130142373A 2013-11-21 2013-11-21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 KR101547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373A KR101547473B1 (ko) 2013-11-21 2013-11-21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373A KR101547473B1 (ko) 2013-11-21 2013-11-21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968A true KR20150058968A (ko) 2015-05-29
KR101547473B1 KR101547473B1 (ko) 2015-08-26

Family

ID=53393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373A KR101547473B1 (ko) 2013-11-21 2013-11-21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4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66163A (zh) * 2016-07-21 2016-11-02 国网河北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堆垛机与立体货架垂直度的在线监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687B1 (ko) * 2020-02-05 2020-07-13 천봉수 차량 부품 적재용 파레트의 제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726B1 (ko) * 2008-12-15 2009-04-17 주식회사 디알에스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 및 검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66163A (zh) * 2016-07-21 2016-11-02 国网河北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堆垛机与立体货架垂直度的在线监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7473B1 (ko)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5251B1 (en)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KR101547473B1 (ko)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
US10702951B2 (en) Laser machine, laser machining method, planar-member machining system, and planar-member machining method
JP6475794B2 (ja) 車両中心線表示装置及びこの表示装置を用いた車両センサー調整用基準具の位置決め装置
KR20170076383A (ko) 배터리의 레이저 웰딩용 지그를 보호하는 커버 및 커버를 구비한 지그
KR101491490B1 (ko)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
US20180265149A1 (en) System for adjusting an active roof panel position
KR101059369B1 (ko) 레이저 용접용 지그장치
BRPI1104285A2 (pt) dispositivo para a detecção óptica da superfície de materiais em forma de placa a serem cortados
KR100893726B1 (ko)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 및 검수방법
KR20150058969A (ko) 파레트
KR101261279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정렬 지그
CN205852336U (zh) 一种机械加工用卡箍
KR101166966B1 (ko) 마찰교반용접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용접방법
JP7305266B2 (ja) 部品実装システム、部品実装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6294464B2 (ja) 部品実装装置
KR20120031795A (ko) 지그 교체장치
JP2006328864A (ja) 移動観覧席の移動制御システム
KR102200346B1 (ko) 레이저 가공용 테이블 고정장치
US9179585B2 (en) Positioning device for inserting pin into printed circuit broad
CN111053400A (zh) 尿布更换台用的垫子
JP2013241228A (ja) 移動棚装置のレール構造
CN211995292U (zh) 座椅框架
KR101762926B1 (ko) 탑차용 플로어 보드
KR102328301B1 (ko) 자동 곡 가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