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317A - 플레이트 조절식 유체­충전 블레이더 및/또는 발포형 충격력 감쇠 부재를 갖는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 물품 - Google Patents

플레이트 조절식 유체­충전 블레이더 및/또는 발포형 충격력 감쇠 부재를 갖는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8317A
KR20150058317A KR1020157009440A KR20157009440A KR20150058317A KR 20150058317 A KR20150058317 A KR 20150058317A KR 1020157009440 A KR1020157009440 A KR 1020157009440A KR 20157009440 A KR20157009440 A KR 20157009440A KR 20150058317 A KR20150058317 A KR 20150058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forefoot
sole structure
fluid
majo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9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1505B1 (ko
Inventor
로버트 엠 브루스
조슈아 피 허드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150058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outsole or external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26Composites, e.g. carbon fibre or aramid fibre; the sole, one or more sole layers or sole part being made of a composit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43B13/188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9Resilient soles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383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piec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i.e. the joint between the first metatarsal and first phalan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3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joint between the fifth phalange and the fifth metatarsal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8Recesses or holes filled with supports or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화류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밑창 구조체는 (a) 바닥창 구성요소와, (b) 바닥창 구성요소와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 또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중창 구성요소와, (c) 개구 또는 리셉터클 내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또는 발포체 시스템, 및/또는 (d) 유체-충전 블레이더 또는 발포체 시스템(들)에 중첩되는 하나 이상의 강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강성 플레이트 시스템을 포함한다. 강성 플레이트(들)는 중창 구성요소에 직접 고정될 수 있거나, 강성 플레이트(들)는 밑창 구조체가 비압축 상태일 때 중창 구성요소의 표면 약간 위에서 유체-충전 블레이더(들) 또는 발포체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발류 물품과, 밑창 구조체, 및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레이트 조절식 유체­충전 블레이더 및/또는 발포형 충격력 감쇠 부재를 갖는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 물품{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PLATE MODERATED FLUID­FILLED BLADDERS AND/OR FOAM TYPE IMPACT FORCE ATTENUATION MEMBERS}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플레이트 조절식 유체-충전 블레이더 및/또는 발포형 충격력 감쇠 부재를 갖는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 물품"인 2012년 9월 2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3/623,722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미국 특허 출원 제13/623,722호는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신발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강성 플레이트(들)에 중첩되는 유체-충전 블레이더형 및/또는 발포형 충격-감쇠 요소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및/또는 신발류(예를 들면, 운동화류)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운동화류 물품은 2개의 주 요소, 즉 갑피와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갑피는 밑창 구조체에 대해 발을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배치하는 발을 위한 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갑피는 발을 보호하고 통기를 제공하는 구성을 가지고, 이에 의해 발을 냉각시키고 땀을 제거한다. 밑창 구조체는 갑피의 하측면에 고정되고, 일반적으로 발과 임의의 접촉면 사이에 배치된다. 지면 반력을 감쇠하고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에 부가하여, 밑창 구조체는 트랙션(traction)을 제공하고, 과 회내(over pronation)와 같은 잠재적으로 유해한 발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갑피 및 밑창 구조체의 일반적인 특징 및 구성이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갑피는 발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신발류의 내부에 형성한다. 공동은 대체로 발의 형상을 가지며, 발목 개구(ankle opening)에서 공동으로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갑피는 발의 발등 및 발가락 영역 위로, 발의 내측부 및 외측부를 따라, 발의 힐(heel) 영역 둘레로 연장된다. 레이싱(lacing system)은 흔히 갑피에 합체되어 발목 개구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변경하고 착용자가 갑피의 특정 치수, 특히 거스(girth)를 변경하게 하여 다양한 크기를 갖는 발을 수용하도록 한다. 또한, 갑피는 신발류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예를 들면, 끈에 의해 발에 인가되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레이싱 아래에서 연장되는 텅(tongue)을 포함할 수 있고, 갑피는 또한 힐의 이동을 제한 또는 제어하는 힐 카운터(heel count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밑창 구조체는 안창(insole), 중창(midsole) 및 바닥창(outsole)으로 칭해지는 다중층을 통상 포함한다. 안창(깔창(sock liner)을 구성할 수도 있음)은 신발류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수분을 빨아들여 유연하고 편안한 발을 제공하기 위해 갑피 내에서 발바닥(하측)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된 얇은 부재이다. 통상, 갑피의 전체 길이를 따라 갑피에 부착되는 중창은 밑창 구조체의 중간층을 형성하고, 발 운동 제어 및 충격력 감쇠를 포함하는 다양한 목적에 도움을 준다. 바닥창은 신발류의 지면-접촉 요소를 형성하고, 통상 트랙션을 향상시키는 텍스처링(texturing) 및 다른 특징부를 포함하는 내구성 및 내마모성 재료로 제조된다.
통상적인 중창의 주 요소는 신발류의 길이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폴리우레탄 또는 에틸비닐아세테이트(ethylvinylacetate; "EVA")와 같은 탄성의 폴리머 발포 재료이다. 중창의 폴리머 발포 재료의 특성은 주로 중창의 치수 구성과, 폴리머 발포 재료의 밀도를 포함하는, 폴리머 발포체로 선택된 재료의 특정 특성을 포함하는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중창 전체에 걸쳐 이들 요인을 변경함으로써, 상대 강성, 지면 반력 감쇠의 정도 및 에너지 흡수 특성은 신발류가 사용되도록 의도된 활동의 특정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이용가능 신발류 모델 및 특성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신발류 모델 및 구조는 계속 개발되고 있으며,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진보적인 사항들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성 플레이트(들)에 중첩되는 유체-충전 블레이더형 및/또는 발포형 충격-감쇠 요소를 포함하는 신규한 밑창 구조체 및/또는 신발류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요약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기술되는 단순화된 형태의 본 발명에 대한 일부의 일반적인 개념에 대한 도입부이다. 본 요약은 본 발명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인 특징을 확인하려는 것은 아니다.
임의의 소정의 타입 또는 스타일의 신발에 잠재적으로 유용하지만, 본 발명의 양태는 특히 농구화, 런닝화, 크로스-트레이닝화(cross-training shoes), 미끄럼방지 신발(cleated shoes), 테니스화, 골프화 등을 포함하는 운동화류 물품의 밑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양태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밑창 구조체는, (a) 외부 주 표면 및 내부 주 표면을 포함하는 바닥창 구성요소와, (b)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 또는 리셉터클(receptacle)을 포함하는 중창 구성요소와, (c) 개구(들) 또는 리셉터클(들)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또는 발포 부재, 및/또는 (d)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들) 또는 발포 부재(들)에 중첩되는 하나 이상의 강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강성 플레이트 시스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강성 플레이트(들)는 중창 구성요소에 직접 고정되거나, 강성 플레이트(들)는 유체-충전 블레이더(들) 또는 발포 부재(들) 상에, 선택적으로는 밑창 구조체가 비압축 상태일 때 중창 구성요소의 표면의 약간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양태에 따른 다른 밑창 구조체는, (a) 바닥창 구성요소와, (b)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고, 개구 또는 리셉터클이 내부에 형성되는 중창 구성요소로서, 개구 또는 리셉터클에 인접한 중창 구성요소의 표면은 예를 들어 중창 구성요소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언더컷 영역(undercut area)을 포함하는 것인, 중창 구성요소와, (c) 개구 또는 리셉터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또는 발포 부재와, (d)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또는 발포 부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강성 플레이트 시스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강성 플레이트 시스템과 바닥창 구성요소의 외부 주 표면 사이에 인가되는 압축력은 언더컷(들) 및/또는 갭(들)의 높이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른 다른 밑창 구조체는, (a) 외부 주 표면 및 내부 주 표면을 포함하는 바닥창 구성요소와, (b)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고, 리셉터클이 내부에 형성되는 중창 구성요소와, (c) 리셉터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또는 발포 부재, 및/또는 (d)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또는 발포 부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강성 플레이트 부재로서, 강성 플레이트 부재의 바닥면이 밑창 구조체의 아치형 영역에서 노출되어 밑창 구조체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인, 강성 플레이트 부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는 갑피(upper)와, 갑피와 결합되는 상술된 다양한 타입의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술된(그리고,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다양한 타입의 밑창 구조체 및/또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양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j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 및/또는 그 구성요소의 다양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의 다양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의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의 다양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른 중창 구성요소의 다양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의 다양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의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의 다양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부분들의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의 부분들의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 및 신발의 다양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된 요약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여, 다양한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류 구조체 및 구성요소의 다양한 예에 대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고 본 발명의 양태가 실시될 수 있는 다양한 예시적인 구조 및 환경을 예시로서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다. 다른 구조 및 환경도 이용될 수 있으며, 구조적 및 기능적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구조체 및 방법으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Ⅰ. 본 발명의 양태의 일반적인 설명
본 발명의 양태는 강성 플레이트(들)에 중첩되는 유체-충전 블레이더 타입 및/또는 발포형 충격-감쇠 요소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및/또는 신발류(예를 들면, 운동화류)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특징 및 양태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A. 본 발명의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 물품의 특징
본 발명의 일부 양태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 및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운동화류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또는 다른 발-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 따른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는, (a) 외부 주 표면 및 내부 주 표면을 포함하는 바닥창 구성요소로서, 외부 주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 영역(projection area)(예를 들면, 전족부 돌출 영역 및/또는 후족부 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돌출 영역(들)은 바닥창 주 표면 영역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이를 지나 돌출되고, 돌출 영역(들)은 (예를 들면, 돌출 영역(들)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분 둘레에서) 가요성 웨브 부재(flexible web member)에 의해 바닥창 주 표면 영역에 연결될 수 있는, 바닥창 구성요소; (b)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고, 돌출 영역(들)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 또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중창 구성요소; (c) 돌출 영역 위의 리셉터클 또는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또는 발포 부재; 및/또는 (d)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하나 이상의 강성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강성 플레이트 시스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강성 플레이트 시스템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수(예를 들면, 전족부 및 후족부)의 유체-충전 블레이더 및/또는 발포 부재를 덮는 단일의 플레이트 또는 다수의 별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들)는 또한 다른 구조적 특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 전족부 강성 플레이트부는 제1 중족골 및/또는 엄지발가락 지지 구역을 다른 중족골 지지 구역의 하나 이상(예를 들면, 적어도 제5 중족골 지지 구역)과 분리하는 그루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특징부는, 발의 내측부가 발의 외측부에 대해 어느 정도 휠 수 있어 신발에 보다 자연스러운 감촉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이는 걸음걸이(step) 또는 점프 중의 발끝떼기(toe off) 및 회내 동안에 보다 자연스러운 감촉 및/또는 움직임을 허용함).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후족부 플레이트부의 후방 힐 영역은 마찬가지로 발의 내측부가 외측부에 대해 어느 정도 휠 수 있게 하는 그루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강성 플레이트는, 예를 들어 스프링으로서 기능하기 위해, 및/또는 반발 또는 리턴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해, 및/또는 발의 측부들을 감싸거나 연결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지지하기 위해, 힐-발가락 방향(heel-to-toe direction) 및/또는 내측부-외측부 방향(medial side-to-lateral side direction)으로 곡선형일 수도 있다.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고 사용되는 통상의 구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을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취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각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은 단일의 유체-충전 블레이더를 구성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필요에 따라,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의 하나 이상은 각자의 개구 및/또는 리셉터클 영역 내에 위치된 2개 이상의 유체-충전 블레이더(예를 들면, 2개 이상의 적층된 유체-충전 블레이더)를 구성할 수도 있다. 유체-충전 블레이더는 주변 압력(ambient pressure) 또는 고압(elevated pressure)의 가스로 충전된 밀봉된 엔벨로프(envelope) 또는 외부 배리어층(barrier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더(들)는 블레이더의 외부 형상을 제어하기 위해 내부 구조체(예를 들면, 인장 요소) 및/또는 내부 융합 또는 용접 접합부(internal fuse or weld bond)(예를 들면, 상부면과 바닥면의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예의 구조체에 있어서, 바닥창 주 표면 영역(들)은 이들이 위치되는 돌출 영역을 완전히 둘러싼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일부 구조체에 있어서, 중창 구성요소의 개구(들) 및/또는 리셉터클(들)은 바닥창 구성요소의 리세스(recess) 영역(들) 및/또는 리세스 영역 내에 장착된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들)(또는 발포 부재(들))을 완전히 둘러싼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는, (a) 외부 주 표면 및 내부 주 표면을 포함하는 바닥창 구성요소; (b)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고,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과, 리셉터클(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베이스 표면을 포함하는 중창 구성요소; (c) 리셉터클(들) 내에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또는 발포 부재로서,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또는 발포 부재의 상부면은 밑창 구조체가 비압축 상태일 때 중창 구성요소의 베이스 표면 위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또는 발포 부재; 및/또는 (d)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또는 발포 부재의 상부면에 중첩되는 주 표면을 갖는 (예를 들면 상술된 타입의) 하나 이상의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로서,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의 주 표면은 밑창 구조체가 비압축 상태일 때 중창 구성요소의 베이스 표면과 접촉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들)는, 중창 구성요소의 베이스 표면이 밑창 구조체의 압축 동안에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들)의 하향 움직임을 느리게 하거나 정지시키는 백스톱(backstop)으로서 작용하도록, 중창 구성요소의 각각의 베이스 표면(들) 위로 연장되는 주변 에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양태에 따른 다른 추가적인 밑창 구조체는, (a) 외부 주 표면 및 내부 주 표면을 포함하는 바닥창 구성요소; (b)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중창 부품을 포함하는 중창 구성요소로서, 중창 구성요소는 전족부 개구 및/또는 후족부 개구를 포함하고,
(i) 전족부 개구에 인접한 중창 구성요소의 바닥면은 중창 구성요소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 사이에 제1 갭을 형성하는 제1 언더컷 영역을 포함하고, 및/또는
(ii) 후족부 개구에 인접한 중창 구성요소의 바닥면은 중창 구성요소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 사이에 제2 갭을 형성하는 제2 언더컷 영역을 포함하는, 중창 구성요소;
(c) 전족부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또는 발포 부재; (d) 후족부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또는 발포 부재; 및/또는 (e)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또는 발포 부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1 강성 플레이트부, 및/또는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또는 발포 부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2 강성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강성 플레이트 시스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강성 플레이트 시스템과 바닥창 구성요소의 외부 주 표면 사이에 인가되는 압축력은 제1 및/또는 제2 갭의 높이를 감소시킨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의 일부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는 전족부 중창 및 바닥창 구조체만(강성 플레이트가 이들 구조체 위로만 연장됨)을 포함하거나, 또는 후족부 중창 및 바닥창 구조체만(강성 플레이트가 이들 구조체 위로만 연장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중창의 하부와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 사이의 언더컷 영역(들) 및/또는 갭(들)은 그들이 위치되는 개구 또는 리셉터클의 주변부 둘레에서 완전히 연장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언더컷 영역(들) 및/또는 갭(들)은 불연속적일 수도 있다(예를 들면, 각자의 개구 또는 리셉터클의 주변부 둘레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됨). 이들 언더컷 영역(들) 및/또는 갭(들)은 밑창 구조체가 비압축 상태일 때 1 내지 15㎜의 범위 내의 최대 높이를 가질 수 있고, 일부 예에서는, 밑창 구조체가 비압축 상태일 때 1.5 내지 12㎜ 또는 심지어 1.75 내지 10㎜의 최대 높이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는, (a) 외부 주 표면 및 내부 주 표면을 포함하는 전족부 바닥창 구성요소; (b) 전족부 바닥창 구성요소와 분리되어 있으며, 외부 주 표면 및 내부 주 표면을 포함하는 후족부 바닥창 구성요소; (c) 전족부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고, 전족부 리셉터클이 내부에 형성되는 전족부 중창 구성요소; (d) 전족부 바닥창 구성요소와 분리되어 있으며, 후족부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고, 후족부 리셉터클이 내부에 형성되는 후족부 중창 구성요소; (e) 전족부 리셉터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또는 발포 부재; (f) 후족부 리셉터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또는 발포 부재; 및/또는 (g)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또는 발포 부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1 강성 플레이트부, 및/또는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또는 발포 부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2 강성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강성 플레이트 부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의 구조체의 강성 플레이트 부재의 바닥면은 예를 들어 전족부 바닥창 구성요소와 후족부 바닥창 구성요소 사이의 밑창 구조체의 아치형 영역에서 노출되어 밑창 구조체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의 일부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는 전족부 중창 및 바닥창 구성요소만(강성 플레이트가 이들 구성요소 위로만 연장됨)을 포함하거나, 또는 후족부 중창 및 바닥창 구성요소만(강성 플레이트가 이들 구성요소 위로만 연장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리셉터클(예를 들면, 전족부 및/또는 후족부 리셉터클)은 중창 구성요소의 전체 두께를 통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들 리셉터클이 중창 구성요소를 통해 완전히 연장되는 개구를 구성하는 경우, 리셉터클 내에 제공된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들) 및/또는 발포 부재(들)는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 상에 그리고 개구 내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들)의 하부면(들)은 예를 들어 시멘트 또는 접착제에 의해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들) 및/또는 발포 부재(들)의 상부면(들)에 고정될 수 있다.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들)는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따른 적어도 일부 예의 구성에서 중창 구성요소에 고정될 필요는 없다.
상술된 타입의 밑창 구조체는 유체-충전 블레이더 및/또는 발포 부재와 결합하고 밑창 구조체에서 다양한 요소의 소정의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 다른 특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은 하나 이상의 리세스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리셉터클(들)은 바닥창 구성요소의 리세스 영역(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 영역은, 상술된 바와 같이, 바닥창 구성요소의 외부 주 표면의 돌출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예를 들면, 돌출 영역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유체-충전 블레이더(들) 및/또는 발포 부재(들)는 바닥창 구성요소의 리세스 영역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적인 양태는 (예를 들면, 통상의 디자인, 구성 또는 구조를 포함하는 임의의 소정의 디자인, 구성 또는 구조의) 갑피와, 갑피와 결합되는 상술된 다양한 타입의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일부 예에 있어서, 갑피는 그 바닥 표면을 폐쇄시키는 스트로벨(strobel)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트로벨 부재는 밑창 구성요소의 상부면 및 모든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 위에 위치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필요에 따라, 깔창 또는 안창 부재는 중창 구성요소 및/또는 스트로벨 부재(존재하는 경우) 위에 위치될 수 있다.
B. 본 발명의 방법의 특징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는 신발류 물품 또는 신발류 물품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하나의 양태는 상술된 다양한 타입의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 물품의 다양한 구성요소 및 부품이 본 기술분야에 통상적으로 공지되고 사용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방법 양태의 예는 상술된 다양한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식으로 밑창 구조체 및/또는 신발류 부품들을 조합하여 서로 결합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특징, 양태, 구조 및 구성의 일반적인 설명이 상술되었지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신발류 물품의 특정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Ⅱ.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 물품의 상세한 설명
도면 및 하기의 논의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밑창 구조체, 신발류 물품 및 그 특징부가 개시된다. 도시되고 논의되는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는 운동화이며, 이러한 신발류의 다양한 양태에 대해 개시된 개념은, 워킹화, 테니스화, 축구화, 농구화, 런닝화, 크로스-트레이닝화, 골프화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광범위한 운동화류 스타일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의 개념 및 양태는 워크 부츠, 샌들, 로퍼(loafer), 드레스화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비운동화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신발류에 적용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일부 양태에 따른 제1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00)를 도시한다. 도 1a는 밑창 구조체(100)의 분해도(본 예의 구조체(100)의 구성 부품을 나타냄)를 구성하고, 도 1b는 평면도이고, 도 1c는 저면도이다. 도 1d는 도 1b에서 선 1D-1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e는 도 1b에서 선 1E-1E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 구조체(100)는 바닥창 구성요소(110); 후족부(rearfoot)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 전족부(forefoot)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중창 구성요소(140); 및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 부품의 다양한 특징 및 그 구성이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바닥창 구성요소(110)는 외부 주 표면(110a)(도 1c에 도시된 해링본(herringbone) 타입 구조와 같은 트레드(tread), 클리트(cleat), 상승된 표면, 또는 다른 트랙션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 및 내부 주 표면(110b)을 포함한다. 바닥창 구성요소(110)가 단일 피스 또는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전족부 구성요소 및 별개의 후족부 또는 힐 구성요소와 같은 다중 피스 또는 부품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바닥창 구성요소(110)는 신발류 분야에 공지되어 사용되는 재료, 예컨대 고무, 플라스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소정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바닥창 구성요소(110)는 신발류 분야에 공지되고 사용되는 통상의 방식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임의의 소정의 방식으로(예를 들면, 몰딩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도시된 본 예의 바닥창 구성요소(110)의 내부 주 표면(110b)은 전족부 리세스 영역(112) 및 후족부 리세스 영역(114)을 포함한다. 내부 주 표면(110b) 내에 몰딩된 상승된 림(116)은 본 예의 구조체에서 리세스 영역(112, 114)을 형성한다(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이들 리세스 영역(112, 114)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 130)을 수용하고 고정하는 것을 돕는다.
다시 도 1c 내지 도 1e를 참조하면, 이들 도면은 본 예의 바닥창 구성요소 구조체(110)의 외부 주 표면(110a)의 추가적인 상세 사항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주 표면(110a)은 전족부 리세스 영역(112)에 대응하는 전족부 돌출 영역(112a) 및 후족부 리세스 영역(114)에 대응하는 후족부 돌출 영역(114a)을 포함한다. 전족부 돌출 영역(112a)은, 전족부 돌출 영역(112a) 둘레에 그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1 바닥창 주 표면 영역(110c)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도시된 본 예에서는, 완전히 둘러싸임) 이를 지나 돌출된다. 유사하게, 후족부 돌출 영역(114a)은, 후족부 돌출 영역(114a) 둘레에 그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2 바닥창 주 표면 영역(110d)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도시된 본 예에서는, 완전히 둘러싸임) 이를 지나 돌출된다. 이들 "바닥창 주 표면 영역"(110c, 100d)은 도 1c에서 파선 포위부로 도시되어 있고, 이러한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돌출 영역의 외측(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임의의 연결 "웨브" 재료 또는 갭 외측)에 바로 인접하는 바닥창 표면 영역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돌출 영역(112a, 114a)은 약 1 내지 15㎜의 최대(또는 최고) 거리(D돌출), 일부 예에서는 약 1.5 내지 12㎜ 또는 심지어 1.75 내지 10㎜의 거리로 바닥창 주 표면 영역(110c, 110d)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돌출 높이(D돌출)는 전족부 영역 및 후족부 영역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돌출 높이는 돌출 영역(112a, 114a)의 주변부 둘레에서 변할 수도 있다.
도시된 본 예의 전족부 돌출 영역(112a)은 가요성 웨브 부재(116a)에 의해 제1 바닥창 주 표면 영역(110c)에 연결되고, 도시된 본 예의 후족부 돌출 영역(114a)은 다른 가요성 웨브 부재(116b)에 의해 제2 바닥창 주 표면 영역(110d)에 연결된다. 필수 요건은 아니지만, 필요에 따라(그리고,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웨브 부재(116a, 116b)는 그들 각자의 돌출 영역(112a, 114a) 둘레로 완전히 연장된다. 가요성 웨브(116a, 116b)는 상술된 상승된 림(116)의 아래쪽 부분을 형성한다.
중창 구성요소(140)의 하부 주 표면은, 예를 들어 시멘트 또는 접착제에 의해, 기계적 커넥터에 의해, 및/또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사용되는 통상의 방식을 포함하는 다른 방식으로, 바닥창 구성요소(110)의 내부 주 표면(110b)과 결합된다. 중창 구성요소(140)는 단일 피스 또는 다중 피스일 수 있으며, 폴리머 발포 재료(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발포체, 에틸비닐아세테이트 발포체, 파일론(phylon), 파일라이트(phylite) 등)와 같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사용되는 통상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 구성요소(140)는 전족부 개구(140a) 및 후족부 개구(140b)를 포함한다. 전족부 개구(140a)는 전족부 리세스 영역(11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후족부 개구(140b)는 후족부 리세스 영역(11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본 예의 중창 구성요소(140)의 상부 주 표면(140c)은 전족부 개구(140a) 및 후족부 개구(140b) 둘레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리세스 영역(142)을 포함한다. 리세스 영역(142)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의 바닥면을 수용 및 보유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구(140a, 140b)는 각각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을 수용 및 유지하기 위한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돕는다. 도 1d의 본 예의 구조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30)의 주변 에지(130E)는,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30)이 비압축 상태일 때, 중창 구성요소(140)의 전족부 개구(140a)의 측부 에지(144)까지 연장되지 않고 및/또는 그와 접촉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도 1e의 본 예의 구조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의 주변 에지(120E)는,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이 비압축 상태일 때, 중창 구성요소(140)의 후족부 개구(140b)의 측부 에지(146)까지 연장되지 않고 및/또는 그와 접촉되지 않는다. 주변 에지(120E, 130E)와 측부 에지(144, 146) 사이의 갭은 여유 공간(room)을 제공하여, 예컨대 응력 또는 하중 상태에 배치될 때,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발을 내딛거나 점프 착지하는 경우 등에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 130)이 변형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예의 유체-충전 블레이더 구조체의 림 영역(120R, 130R)은 본 예의 유체-충전 블레이더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플라스틱 시트의 2개의 부분 사이의 시임 영역(seam area)(예를 들면, 핫멜트 또는 용접 시임)을 나타낸다. 이들 림 영역(120R, 130R)은 개구(140a, 104b)의 측부 에지(144, 146)로부터 이격될 수 있거나 이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필요에 따라, 이들 림 영역(120R, 130R)의 적어도 일부의 부분은 블레이더가 밑창 구조체(100)에 장착되기 전에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 130)으로부터 트리밍(trimming)될 수도 있다. 개구(140a, 140b)는 일반적으로 크기 및 형상이 그 내에 수용될 블레이더 시스템에 대응할 수 있지만, 개구(140a, 140b)는 상술된 갭을 제공하기 위해 약간 클 수도 있다.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 130)은 본 기술분야에 알려진 통상의 방식으로 및/또는 통상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포함하여, 임의의 소정의 방식으로 및/또는 임의의 소정의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도 1a 및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본 예에 있어서,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30)은 전족부 리세스 영역(112)에 위치된 단일의 유체-충전 블레이더를 구성한다.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30)의 바닥면은 예를 들어 시멘트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리세스 영역(112) 내에서 바닥창 구성요소(110)의 내부 주 표면(110b)에 고정될 수도 있다. 본 예의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30)은 착용자 발의 중족골(metatarsal) 헤드 구역(예를 들면, 착용자 발의 제1 중족골 헤드 구역으로부터 제5 중족골 헤드 구역까지)을 지지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위치설정된다. 임의의 크기의 블레이더 시스템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일부 예의 구조체에 있어서,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30)은 팽창시(및 밑창 구조체에의 장착시)에 0.5 인치 이하의 최대 두께를 갖는다. 일부 다른 가능한 범위로서,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30)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서 (팽창시 및 신발에의 장착시에) 0.25 내지 1 인치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1a 및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의 구조체(100)의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은 후족부 리세스 영역(114)에 위치된 2개의 적층된 유체-충전 블레이더(수직으로 적층되고 수직으로 정렬됨)를 포함한다. 2개의 적층된 블레이더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의 바닥면은 예를 들어 시멘트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리세스 영역(114) 내에서 바닥창 구성요소(110)의 내부 주 표면(110b)에 고정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필요에 따라, 시스템(120)의 2개의 적층된 유체-충전 블레이더는 예를 들어 시멘트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함께 고정될 수도 있다.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은 착용자 힐(예를 들면, 종골(calcaneus bone) 및 둘레 영역)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일부 밑창 구조체에 있어서,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은 팽창시에 그리고 신발에 대한 장착시에 0.75 인치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다른 가능한 범위로서,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서 (팽창시 및 신발에의 장착시에) 0.5 내지 1.5 인치 범위, 또는 심지어 0.625 내지 1.25 인치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본 예의 구조체(100)의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 130)의 상부면(120S, 130S)은 리세스 영역(142) 내에 위치되고 리세스 영역(142) 외측의 상부 주 표면(140c)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되도록(및/또는 상부 주 표면에 대해 원활한 윤곽을 이루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성형된다. 필요에 따라,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 130)의 개별적인 블레이더 중 하나 이상은, 예를 들어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사용되는 방식으로, 블레이더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해 상부면과 바닥면 사이에 내부 구조체(예를 들면, 인장 요소) 및/또는 내부 융합 또는 용접 접합부(internal fuse or weld bond)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부 예로서, 블레이더의 형상은 미국 특허 제5,083,361호, 제6,385,864호, 제6,571,490호 및 제7,386,946호에 개시된 기술과 같은, 내부 접합 및 용접 기술 및/또는 나이키 "ZOOM AIR" 타입 기술을 이용하여 제어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미국 특허 각각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전체적으로 합체된다.
도 1a, 도 1b, 도 1d 및 도 1e는 본 예의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 130)의 상부면(120S, 130S) 및 중창 구성요소(140)의 리세스 영역(142)이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는(도시된 본 예에서는, 완전히 덮임) 것을 또한 도시한다.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는 섬유 보강 플라스틱(예를 들면, 탄소 섬유 복합물, 유리섬유 등), 강성 폴리머(예를 들면, PEBAX) 등을 포함하는 비발포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적절한 강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강성 플라스틱 구성요소(150)는 리세스 영역(142) 둘레에서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의 상부면(150S)과 중창 구성요소(140)의 상부면(140c) 사이의 결합부에 높이가 동일하고 및/또는 원활한 전이부가 존재하도록 리세스 영역(142) 내에 위치되게 크기가 정해지고 성형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는 약 1/8 내지 3/8 인치의 두께를 갖고, 일부 예에 있어서, 약 1/8 내지 1/4 인치의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의 바닥면은 예를 들어 시멘트 또는 접착제에 의해, 기계적 커넥터 등에 의해 리세스 영역(142) 및/또는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 130)의 상부면(120S, 130S)에 고정될 수 있다.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의 상부면(150S) 및 중창 구성요소의 상부면(140c)은 착용자의 발을 편안하게 지지하도록 곡선형, 아치형 및/또는 다른 윤곽(예를 들면, 통상의 공지된 중창의 상부면이 곡선형인 방식으로 곡선형)을 가질 수도 있다. 보다 더 구체적인 예로서,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및 후술하는 다른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는 50 내지 80 쇼어 D 경도, 및 일부 예에서는 60 내지 72 쇼어 D 경도를 갖는 PEBAX® Rnew 70R53 SP01 재료 또는 다른 강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PEBAX"는 아케마(Arkema)로부터 입수가능한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재료에 대한 등록 상표임).
도시된 본 예의 구조체(100)에 있어서,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는 중창(140)의 후방 힐 영역으로부터 착용자의 발의 제1 중족골 헤드 구역을 지난 위치까지 그리고 착용자의 발의 제5 중족골 헤드 구역을 지난 위치까지 연장되는 단일의 연속적인 플레이트 부재를 구성한다. 본 예의 강성 플레이트(150)는 또한 2개의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 130)의 상부면(120S, 130S)을 완전히 덮는다.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는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들)에 인가되는 하중을 조절 및 분산하는 것을 돕고,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에 하중이 걸리는 지점을 회피하는 것을 돕는다. 중창 구성요소(140)의 측벽(144, 146)과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 130)의 에지(120E, 130E) 사이의 갭과, 이들 측부를 따라 접착제가 없는 것은, 강성 플레이트 조절식, 유체-충전 블레이더 충격-감쇠 시스템 및/또는 밑창 구조체의 응답성(responsiveness), 효율 및 리턴 에너지(return energy)를 향상시킨다.
도 1a 및 도 1e의 구조체에 있어서,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 130)은 바닥창 구성요소(110)의 내부 주 표면(110b)과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의 바닥면 사이에서 이들에 고정되지만, 중창 구성요소(140)에는 고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은 유체-충전 블레이더가 개구(140a, 140b)에 제공된 갭 내에서 팽창되게 하면서 안정한 전체 밑창 구조체(100)가 여전히 유지되게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특징은 또한 시스템의 응답성, 효율 및 리턴 에너지를 향상시키는 것을 돕는다.
또한, 돌출 영역(112a, 114a)이 바닥창 구성요소(110)에 포함됨으로써 밑창 구조체(100)의 응답성이 향상된다. 도 1d 및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 130) 아래에서, 바닥창 구성요소(110)는 인접한 둘레의 바닥창 베이스 영역(110c, 110d)을 지나 하방으로 돌출된다(상술된 치수 D돌출). 얇은 가요성 웨브 구조체(116a, 116b)는 바닥창 구성요소(100)가 돌출 영역(112a, 114a)에서 상방 및 하방으로 보다 용이하게 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특징은, 전체적인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와 함께, 사용자가 돌출 영역(112a, 114a)으로 발을 내딛고 발을 들어올리기 시작할 때 사용자의 발에 에너지를 리턴시켜, 반발 에너지(rebound energy), 응답성, 및 추진력(propulsive force)의 감촉을 제공한다.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에 반발 에너지, 응답성, 및 추진감을 제공하는 것을 조력하는 다른 특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강성 플레이트 구조체(150)는 비교적 편평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예의 구조체에서는 곡선형 아치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부는 도 1f 및 도 1g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f는,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강성 플레이트 부재(150) 위의 발(160)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g는 측면도를 도시한다. 위치 A, B 및 C(또한, 도 1b 참조)는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가 제1 중족골 헤드(위치 A), 제5 중족골 헤드(위치 B) 및 후방 힐(예를 들면, 종골)(위치 C)을 지지하는 곳을 나타낸다. 이들 위치 A, B 및 C 중 하나 이상은 착용자의 발(160)이 신발에 체중을 실을 때(예를 들면, 걷기 동안, 점프 착지할 때, 점프를 시작하기 위해 하중이 걸릴 때 등) 하향력(downward force)을 받을 수 있다. 도 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는 힐-발가락 방향(heel-to-toe direction) 및/또는 내측부-외측부 방향(medial side-to-lateral side direction)으로 아치형일 수 있다.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가 (도 1g에 어느 정도 과장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정도 상방으로 아치형이면,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에 대한 충분한 하향력은 특히,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의 전족부 및 후족부 부분 모두에 충분한 힘이 존재할 때에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가 어느 정도 편평하게 펴지게 한다. 이러한 힘은 도 1g에 하향력 화살표(162)로 도시되어 있다. 하향력(162)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가 힐-발가락 방향 및/또는 내측부-외측부 방향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로 편평하게 펴지게 할 수도 있다. 그 강성 특성 및 곡선형 구성으로 인해,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는 스프링으로서 작용하여, 하향력(162)이 충분히 감소 또는 해제되는 경우,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가 응력이 걸리지 않은(편평하지 않은) 형상 및 상태로 리턴하려고 하고, 이에 의해 도 1g에 상향력(upward force) 화살표(164)로 도시된 반발 또는 리턴력을 야기한다. 이러한 리턴 또는 반발력(164)은 곡선형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에 추가적인 반발 에너지, 응답성, 및 추진감을 제공한다.
도 1a 내지 도 1e와 관련하여 상술된 구조체에 있어서, 바닥창 구성요소(110)의 돌출 영역(112a, 114a)은 돌출 영역(112a, 114a)의 전체 주변부 둘레로 각각 연장되는 가요성 웨브(116a, 116b)에 의해 바닥창 구성요소(110)의 베이스 부분(110c, 110d)과 각각 결합된다. 이것은 필수 요건은 아니다. 오히려, 도 1h(상술된 도 1c와 유사한 도면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웨브 영역(116a 및/또는 116b)은 돌출 영역(112a, 114a)의 주변부 둘레에서 불연속적일 수도 있다. 인접한 웨브 영역(116a, 116b)들 사이의 돌출 영역(112a, 114a)의 주변부 둘레에는 개방 공간(170)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i 및 도 1j는, 개방 공간(170)이 가요성 웨브 영역(116a, 116b)에 제공되는 영역에서의 단면을 도시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1d 및 도 1e와 각각 유사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임의의 개수의 분리된 가요성 웨브 영역(116a 및/또는 116b) 및 개방 공간(170)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돌출 영역(112a 및/또는 114a)의 주변부 둘레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일부 예의 구성에 있어서, 각각의 돌출 영역(112a, 114a) 둘레의 주변부 길이의 적어도 25%가 가요성 웨브 영역을 포함하고, 일부 예에서는, 주변부 길이의 적어도 40% 또는 주변부 길이의 심지어 적어도 50%가 가요성 웨브 영역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필요에 따라, 돌출 영역(112a 및/또는 114a) 둘레의 가요성 웨브 영역(116a, 116b) 중 적어도 하나는 완전히 생략될 수도 있으며, 즉 바닥창의 돌출 영역(112a 및/또는 114a)이 각각 베이스 영역(110c 및/또는 110d)을 형성하는 밑창 구성요소(들)와 별개의 구성요소이도록 완전히 생략될 수 있다. 돌출 영역(112a 및/또는 114a)은 소정의 거리(예를 들면, 상술된 D돌출)에 의해 베이스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체에 있어서, 돌출 영역(들)(112a 및/또는 114a)은 임의의 소정의 방식으로, 예를 들면 돌출 영역(112a 및/또는 114a)과 위에 배치된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 130)을 고정하는 것에 의해,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 130)과 플레이트 구성요소(150)를 고정하는 것에 의해, 및 플레이트 구성요소(150)와 중창 구성요소(140)를 고정하는 것에 의해 밑창 구조체의 나머지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구성요소(150)는 예를 들어 갑피(예를 들면,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은 스트로벨(strobel) 부재)에 고정될 수도 있다. 다양한 부품은 시멘트 또는 접착제의 사용 및/또는 기계적 커넥터의 사용에 의한 것을 포함하는 임의의 소정의 방식으로 서로 고정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가요성 웨브(116a 및/또는 116b)가 불연속이거나 생략된 구조에 있어서, 예를 들어 물, 수분, 부스러기(debris) 또는 다른 이물질이 밑창 구조체에 침투하고 및/또는 신발류의 내부 챔버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도록, 예를 들어 개구(140a 및/또는 140b) 내에 멤브레인 또는 다른 구조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대안예의 밑창 구조체(200)를 도시한다. 본 예의 밑창 구조체(200)와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것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220)과 관련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적층된 유체-충전 블레이더(예를 들면, 나이키 "ZOOM AIR" 타입의 유체-충전 블레이더) 대신에, 본 예의 구조체(200)에서는,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220)은 중창 구성요소(140) 내의 개구(140b)에 수용된 단일의 유체-충전 블레이더를 포함한다.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220)의 상부면(220S)은 예를 들어 시멘트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유체-충전 블레이더(220)의 바닥면은 예를 들어 시멘트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리세스 영역(114)에서 바닥창 구성요소(110)의 내부 주 표면(110b)에 고정될 수도 있다.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220)의 측부 에지(220E)는 후족부 개구(140b)의 측부 에지(146)로부터 이격되어, 예를 들어 상술된 바와 같은 블레이더(220)의 팽창을 위한 여유 공간을 허용한다.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220)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에 대해 상술된 것과 대체로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또한, 유체-충전 블레이더(220)는 그 형상을 제어 및 유지하는 것을 돕는 인장 요소, 내부 용접부, 및/또는 다른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d, 도 1e, 도 1i, 도 1j 및 도 2b는 개구(140a, 140b)에 있어서 중창 구성요소(140)의 내부 에지(144, 146)와 유체-충전 블레이더의 주변 에지(120E, 130E, 220E) 사이에 별개의 갭이 존재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이러한 갭은, 압축력이 밑창 구조체에 인가될 때 중창 구성요소 및/또는 유체-충전 블레이더에 대한 형상 변화를 수용하기에 적절한 체적이 제공된다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임의의 소정의 크기 및/또는 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2c는 유체-충전 블레이더의 에지(220E)의 부분이 개구 영역(140b) 내의 중창 구성요소(140)의 에지(146)로 연장되거나 심지어 이 에지의 부분에 접촉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 따른 예시적인 구조체를 도시한다(필요에 따라, 블레이더 에지와 개구 에지(144) 사이의 유사한 측부 에지 구성 및 접촉이 전족부 개구(140a)에 사용될 수도 있음). 도 2c의 도시된 예의 구조체에 있어서,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220) 및/또는 중창 구성요소(140)의 휨 및/또는 크기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220)의 상부, 중앙 및/또는 하부 영역 근방에는 일부 공간(230)이 제공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a 내지 도 2c와 관련하여 상술된 것과 같은 밑창 구조체(100)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신발류(300) 물품을 도시한다. 도 3a는 신발(300)의 외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3b는 내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3c 및 도 3d는 도 1d, 도 1e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위치에서의 단면도이지만, 신발류 갑피(302)의 적어도 일부 및 다른 구성 부품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밑창 구조체가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것과 매우 유사하지만, 본 명세서의 이익을 향유하는 당업자들은 도 2a 내지 도 2c의 밑창 구조체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타입의 신발류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갑피(302)는 신발류 분야에 공지되어 사용되는 통상의 구성을 포함하는 임의의 소정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신발류 분야에 공지되어 사용되는 통상의 부품 및/또는 재료를 포함하는 임의의 소정의 개수의 부품 및/또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갑피(302)는, 내구성 및/또는 내마모성을 증대시킨 영역, 통기성(breathability)을 증대시킨 영역, 가요성을 증대시킨 영역, 소정의 지지 레벨을 갖는 영역, 소정의 유연성 또는 편안함 레벨을 갖는 영역 등과 같은, 소정의 특성을 갖는 영역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302)는 발목 개구(304)와, 신발류(300)를 착용자의 발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시스템(306)(예를 들면, 레이스(lace), 스트랩(strap), 버클(buckle) 등)을 포함한다. 텅 부재(tongue member)(308)는 착용자의 발에 대한 고정 시스템(306)의 감촉을 조절하는 것을 돕도록 신발(300)의 발등 영역 위에 제공될 수 있다.
도 3c 및 도 3d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의 구조체(300)에 있어서, 갑피(302)의 하부 에지(302a)는 전체 갑피(302)의 하부를 폐쇄시키는 스트로벨 부재(31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은 예를 들어 갑피 에지(302a)를 스트로벨 부재(310)에 소잉(sewing)하는 것에 의해, 또는 예컨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사용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다른 소정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예의 구성의 스트로벨 부재(310) 및 갑피(302)는 발목 개구(304)를 통해 접근가능한 발-수용 챔버를 형성한다. 갑피(302) 및 스트로벨 부재(310)는, 예를 들어 갑피(302) 및 스트로벨 부재(310)를 중창 구성요소(240)(예를 들면, 중창 구성요소(140)의 측부 및/또는 상부면) 및/또는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예를 들면, 그 상부면)에 접착시키거나 달리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밑창 구조체(10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3c 및 도 3d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302)의 발-수용 챔버는 깔창(312)(또는 "안창"이라고도 칭해짐)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깔창(312)은 발-수용 챔버 내에 고정될 수 있지만, 또한 스트로벨 부재(310) 상부에 단순히 배치될 수도 있다. 깔창(312)은 유연하고 편안한 재료(예를 들면, 발포 재료)로 제조되어, 착용자의 발과 결합하기 위한 유연하고 편안한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필요에 따라, 스트로벨 부재(310), 깔창(312) 및/또는 텅 부재(308) 중 하나 이상은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부티 부재(interior bootie member) 또는 다른 구조체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다. 다른 선택으로서, 예를 들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목 개구(304) 둘레의 영역에는, 고정 시스템이 조여질 때 착용자의 발에 대한 편안한 피팅(fitting)을 제공하기 위해 유연하고 편안한 직물 요소(fabric element)(316)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밑창 구조체(100)에 있어서, 바닥창(110)의 외측부는 외측 중족부/전족부 영역(예를 들면, 제5 중족골 헤드 구역의 측부)을 따라 중창 구성요소(140)의 측부 표면 둘레로 연장되어 바닥창의 외측부를 지지하는 상승된 외측 에지(110L)를 포함한다. 외측 에지(110L)는 예를 들어 커팅 또는 터닝(turning) 동작 동안에 발의 외측부에 대한 추가적인 지지체를 제공한다. 바닥창(110)의 전방은 또한 토우 캡(toe cap) 타입 구조체(110T)를 형성하도록(예를 들면, 토우부에 내구성 및 내마모성을 제공하도록) 상방으로 연장된다. 바닥창(110)은 중창 구성요소(140)에 대한 확실하고 내구적인 연결을 위한 증대된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및/또는 증대된 지지체를 제공하기 위해 임의의 소정의 위치에 중창 구성요소(140)의 적어도 일부의 측부 영역을 둘러쌀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예의 중창 구성요소(400)의 평면도 및 저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의 중창 구조체(400)는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또는 발포 재료와 같은 가능한 다른 충격-감쇠 시스템)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전족부 개구(404) 및 후족부 개구(406)를 갖는 상부 주 표면(402)을 포함한다. 상부 주 표면(402)에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404, 406) 둘레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리세스 영역(408)이 제공된다. 관통 구멍으로 설명되었지만, 개구(404 및/또는 406)는 필요에 따라 중창 구성요소(400)의 재료를 통해 부분적으로만 연장되는 블라인드 구멍(blind hole)일 수도 있다. 중창 구성요소(400)의 상부면(402)은 예를 들어 중창 구성요소(400)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의 사용과 연관된 운동 성능을 측정하는 전자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블라인드 구멍(410)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신발류에 포함되는 이러한 타입의 전자 모듈은 NIKE+TM 타입 시스템에 사용된 전자 모듈과 같이 공지되어 있으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 따른 중창 구성요소(400)에 포함될 수 있는 추가적인 특징부를 도시한다. 본 예의 구조체에 있어서의 후족부 개구(406) 둘레의 리세스 영역(408)은 중창 구성요소(400)의 하부에 근접하게 연장되는 절결 영역(412)을 포함한다(그러나, 중창 구성요소(400)를 통해 완전히 연장되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완전히 연장될 수도 있음). 이들 절결 영역(412)은 중창 구성요소(400)의 측벽에 제공된 관통 구멍(도 4a에 파선으로 도시됨)과 정렬되고, 이러한 관통 구멍을 통해 밑창 구조체의 외부로부터 중창 구성요소(400)의 내부에 가시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부는 도 5b 및 도 5c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예의 중창 구성요소(400)의 하부 주 표면(420)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바닥창 구성요소(110)의 상승된 림(116)을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을 제공하기 위해 개구(404, 406) 둘레에 리세스 림(422)을 포함한다. 중창 구성요소(400)의 하부 주 표면(420)은,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110)와 같이, 바닥창 구성요소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예의 구조체(400)의 하부 주 표면(420)은 아치형 또는 중족부 영역에 리세스 영역(424)을 추가로 포함한다. 리세스 영역(424)은 탄소 섬유 또는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아치형 지지 플레이트와 같은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의 아치형 지지 부재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성형될 수 있다. 리세스 영역(424)은 지지 플레이트가 그 내부에 원활하고 높이가 동일한 방식으로 끼워져서 이들 부분들 사이에서 전체적으로 원활하고 높이가 동일한 조인트를 이루도록 적절한 깊이(예를 들면, 1/8 인치 내지 1/4 인치)를 가질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a 및 도 4b와 관련하여 상술된 타입의 중창 구성요소(400)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500)의 상면도, 외측면도, 내측면도 및 저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본 예의 밑창 구조체(500)는 도 1a 내지 도 1e와 관련하여 상술된 타입의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30) 및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을 포함하지만, 블레이더의 개수의 변화를 포함하는 전체 구조의 변화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가능하다(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밑창 구조체는 전족부 블레이더만 또는 후족부 블레이더만을 포함할 수도 있음).
도시된 본 예의 밑창 구조체(500)와 도 1a 내지 도 2c의 밑창 구조체 사이의 하나의 주요 차이점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와 관계가 있다. 도 1a 내지 도 2b가 단일의 강성 플레이트 부재(150)를 도시하지만, 도시된 본 밑창 구조체(500)에 있어서,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는 전족부 강성 플레이트 부재(502) 및 별개의 후족부 강성 플레이트 부재(504)를 포함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중족부 영역에서 전족부 강성 플레이트 부재(502)와 후족부 강성 플레이트 부재(504)에는 갭이 제공된다. 강성 플레이트 부재(502, 504)는, 상술된 바와 같이, 중창 구성요소(400)의 상부 주 표면(402) 상에 제공된 리세스 영역(408)에 끼워맞춰진다. 강성 플레이트 부재(502, 504)(예를 들면, 상술된 바와 같이, 강성 플레이트, 섬유 보강 플라스틱,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등으로 제조됨)는, 예를 들어 시멘트 또는 접착제, 또는 다른 소정의 연결 시스템에 의해,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 130)의 상부면 및/또는 리세스 영역(408)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예의 밑창 구조체(500)에는, 중창 구성요소(400)의 외측 외부면으로부터 내측 외부면으로 아치형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외부 아치형 지지 플레이트(506)에 의해 아치형 영역의 다른 지지체가 제공된다. 특히, 본 예의 구조체(500)에 있어서, 아치형 지지 플레이트(506)는 중창 구성요소(400)의 하부 주 표면(420), 즉 강성 플레이트 부재(502, 504)가 장착된 위치에 대향하는 표면 상에 제공된다. 아치형 지지 플레이트(506)는 중창 구성요소(400)의 하부 주 표면(420) 상에 제공된 리세스 영역(424) 내에 장착되고(도 4b 참조), 바닥창 구성요소(110)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힌다(덮힌 부분이 도 5b 내지 도 5d에서 파선으로 도시됨). 아치형 지지 플레이트(506)는 강성 폴리머 재료(예를 들면, PEBAX® 브랜드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재료), 섬유 보강 폴리머 재료(예를 들면, 탄소 섬유, 유리섬유 등), 금속 재료 등과 같은 임의의 소정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아치형 지지 플레이트(506)는 도 1f 및 도 1g와 관련하여 상술된 스프링 백(spring back) 또는 추진 효과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도록 위치되고, 크기가 정해지고 및/또는 성형될 수 있다.
후족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504)와 분리되어 있는 전족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502)를 제공함으로써, 전체적인 밑창 구조체(500)의 가요성을 증대시키고, 전족부 영역으로부터 후족부 영역의 굴곡 및 움직임을 적어도 어느 정도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분리는 착용자가 걸음을 내디딜 때(그리고, 체중이 힐로부터 전족부로 전이될 때) 신발의 전체적인 편안함과 감촉을 향상시켜, 더 자연스러운 움직임과 감촉을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인 아치형 지지 플레이트(506)는 추가적인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중창 구성요소(400)의 외측에서의 그 위치는 특히 중족부 영역에서의 밑창 구조체(500)의 전체적인 감촉과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에 제공될 수 있는 추가적인 특징부를 도시한다. 도시된 본 밑창 구조체(500)에 있어서, 전족부 강성 플레이트(502)는 제1 중족골 지지 구역(502b)과 제5 중족골 지지 구역(502c)(및 선택적으로 다른 중족골 지지 구역)을 분리시키는 그루브(502a)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중족골 지지 구역(502b)은 착용자의 발의 엄지발가락 영역 모두 또는 사실상 모두를 지지하도록 전방으로 연장된다. 그루브(502a)로 인해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30)의 상부면의 작은 부분이 중창 구성요소(400)의 상부 주 표면(402)에 노출된다. 유사하게, 후족부 강성 플레이트(504)는 내측 힐 지지 구역(504b)과 외측 힐 지지 구역(504c)을 분리시키는 그루브(504a)를 후방 힐 영역에 포함한다. 그루브(504a)로 인해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의 상부면의 작은 부분이 중창 구성요소(400)의 상부 주 표면(402)에 노출된다.
전족부 및 후족부 플레이트 구성요소(502, 504) 각각의 그루브 영역(502a 및/또는 504a)은 전체적인 밑창 구조체(500)의 가요성을 증대시키고, 발의 내측부로부터 발의 외측부의 굴곡을 적어도 어느 정도 분리시킬 수 있다. 걷기, 달리기 또는 다른 보행 활동 동안에, 사람은 일반적으로 신발의 외측 힐 측부에서 발을 내딛고, 걸음걸이를 계속함에 따라, 체중력(weight force)은 발의 외측부로부터 발의 내측부로 그리고 (발의 내측부 상의) 엄지발가락 영역에서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과정은 "회내(pronation)"로 칭해진다. 그루브(502a 및/또는 504a)는 밑창 구조체(500)의 전체적인 강성을 감소시키고, 걸음걸이 사이클 동안 체중이 발의 외측부로부터 내측부로 전이될 때 편안함과 감촉을 향상시키는 것을 돕는다. 그 결과, 걸음걸이 사이클 동안에 더 자연스러운 움직임과 감촉이 달성된다.
도 5b 및 도 5c는, 중창 구성요소(400)의 측벽을 통해 연장되어,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이 장착되는 중창 구성요소(400)의 내부로 관통 구멍 또는 윈도우를 개구하는 중창 구성요소(400)의 절결 영역(412)을 추가적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은 밑창 구조체(500)의 외부로부터 부분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은 절결 영역(412)을 통해 밑창 구조체(500)의 외측으로부터 쉽게 눈에 띄고 보다 명확하게 보여지도록 밑창 구조체의 다른 특징부와 상이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이들 관통 구멍의 외부 영역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임의의 소정의 크기, 형상 및 특징부를 취할 수 있다. 밑창 구조체(500) 내로의 윈도우를 제공하고 또한 밑창 구조체에 관심을 끄는 심미적 외관을 제공하는 것에 부가하여, 관통 구멍은 중창 구성요소(400)를 어느 정도 경량화하는 것을 돕고, 중창 구성요소(400)의 가요성 및 지지 특징을 제어 및/또는 미세 조절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 따르면, 바닥창 구성요소(11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또는 부분적인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 예를 들어 착색되지만, 투명하거나 또는 사실상 투명한 폴리머 구성요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되는 경우, 아래에 배치된 중창 구성요소(400), 아치형 지지 부재(506) 및/또는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의 색상은 바닥창 구성요소(110)의 바닥면을 통해 보여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120, 130)의 하나 이상의 바닥면은 중창 구성요소(400)의 바닥면과 다른 색상을 갖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예를 들면, 유체-충전 블레이더(120, 130)가 중창 구성요소(400)를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되는 개구(140a, 140b)를 통해 바닥창 구성요소(110) 상에 장착된다고 가정하면) 유체-충전 블레이더(120, 130) 및 중창 구성요소(400)는 바닥창 구성요소(110)의 하부를 통해 서로 구별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도면에서, 돌출 영역(112a, 114a)에서의 색상(들)은 바닥창 구성요소(110)를 통해 유체-충전 블레이더(120, 130)의 하부를 볼 수 있으므로 중창 구성요소(400)를 직접 덮는 바닥창 구성요소(110)의 위치에서의 색상(들)과 상이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아치형 지지 부재(506)는 중창 구성요소(400)의 바닥면과 상이한 색상을 갖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지지 부재(506) 및 중창 구성요소(400)는 바닥창 구성요소(110)의 하부를 통해 서로 구별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5d에 도시된 도면에서, 아치형 지지 부재(506)를 덮는 바닥창 영역에서의 색상(들)은 바닥창 구성요소(110)를 통해 지지 부재(506)의 하부를 볼 수 있으므로 중창 구성요소(400)를 직접 덮는 바닥창 구성요소(110)의 위치에서의 색상(들)과 상이할 수도 있다. 돌출 영역(112a, 114a)에서의 유체-충전 블레이더 및 아치형 지지 부재(506)의 바닥면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색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5e는 상술된 플레이트 구성요소(502 및/또는 504) 대신에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플레이트 부재(512, 514)의 다른 특징부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이들 플레이트 구성요소(512, 514)는 도 5a의 플레이트 구성(502, 504)에 도시된 비교적 큰 그루브 영역(502a, 504a)이 없다. 대안예로서, 필요에 따라, 도 5e의 전족부 플레이트(512)는 도 5a의 후족부 플레이트(504)와 함께 사용될 수 있거나, 도 5a의 전족부 플레이트(502)는 도 5e의 후족부 플레이트(514)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도 5e의 예시적인 전족부 플레이트 구조체(512)는 연장된 엄지발가락 지지 구역(502b)을 포함하지만, 이러한 돌출부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또는 플레이트의 전체 상부 에지가 보다 매끄럽게 만곡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음).
도 6a 및 도 6b는 도 5a 내지 도 5e의 것과 같은 밑창 구조체(500)가 합체되는 신발류(600) 물품의 외측면도 및 내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신발류(600)는 밑창 구조체(500)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구성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는 갑피 구성요소(602)를 포함한다. 갑피(602) 및 밑창 구조체(500)는 도 3a 내지 도 3d와 관련하여 상술된 갑피 부재(302)의 특징부 및/또는 특징부의 조합을 포함하여, 상술된 임의의 소정의 특징부 및/또는 특징부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500)의 중창 구성요소(400)는 갑피(602)의 일부분이 노출되는 하나 이상의 후방 힐 관통 구멍(430)을 추가로 포함한다. 밑창 구조체(500)에 관심을 끄는 심미적 외관을 제공하는 것에 부가하여, 후방 관통 구멍(들)(430)은 중창 구성요소(400)를 어느 정도 경량화하는 것을 돕고, 중창 구성요소(400)의 가요성 및 지지 특징을 제어 및/또는 미세 조절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양태에 따른 다른 예의 밑창 구조체(700)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의 밑창 구조체(700)는 외부 주 표면(710a) 및 내부 주 표면(710b)을 포함하는 바닥창 구성요소(710)를 포함한다. 바닥창 구성요소(710)는 바닥창 구성요소(110)에 대한 상술된 재료(예를 들면,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 및/또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사용되는 통상의 바닥창 재료를 포함하는 임의의 소정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7의 예시적인 구조체(700)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바닥창 구성요소(710)의 내부 주 표면(710b)은,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이중 적층된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720)과 같은, 하나 이상의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상승된 영역(상승된 영역(116)과 유사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닥창 구성요소(710)의 내부 주 표면(710b)은 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시멘트에 의해 중창 구성요소(740)와 결합된다. 본 예의 중창 구성요소(740)는 상술된 중창 구성요소(140, 400)의 임의의 특성 또는 성질을 포함하는 임의의 소정의 특성 또는 성질을 가질 수도 있다. 본 예의 중창 구성요소(740)는 임의의 소정의 크기 또는 형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 영역(740a)을 포함한다(예를 들면, 착용자의 발가락 및/또는 중족골 헤드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기 위해 전족부 영역에 위치되거나,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으로부터 중족부 또는 전족부 영역으로 연장되는 단일의 유체-충전 블레이더, 착용자의 힐 등을 지지하기 위해 후족부 영역에 위치됨). 베이스 표면(742)은 리셉터클 영역(740a)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고, 베이스 표면(742)의 적어도 일부의 부분은 중창 구성요소(740)의 상부 주 표면 내로 어느 정도 오목해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중창 구성요소(740)는 별개의 전족부 및 후족부 리셉터클 영역(740a)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리셉터클 영역(740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관통 구멍을 구성할 수 있거나, 블라인드 구멍을 구성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중창 구성요소(740) 또는 중창 재료의 층이 바닥창 구성요소(710)의 내부 주 표면(710b)을 덮는 리셉터클 영역(740a)의 하부에 제공됨).
상술된 바와 같이,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720)은 리셉터클 영역(740a) 내에 수용된다. 도 1a 내지 도 6b와 관련하여 상술된 구조체와 대조적으로, 본 예의 밑창 구조체(700)에서는,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720)의 상부면(720S)은 밑창 구조체(700)가 비압축 상태일 때 중창 구성요소(740)의 베이스 표면(742) 위로 연장된다. 비압축 상태에서의 거리 또는 최대 높이(D상승된 영역)는 약 1 내지 15㎜의 범위이고, 일부 예에서는, 약 1.5 내지 12㎜, 또는 심지어 1.75 내지 10㎜의 범위일 수도 있다. 상승된 높이(D상승된 영역)는 전족부 및 후족부 영역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높이는 리셉터클의 주변부 둘레에서 변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의 밑창 구조체(700)는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720)의 상부면(720S) 위에 배치되고 그와 결합되는 하부 주 표면(750S)을 포함하는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750)를 포함한다.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750)는 상술된 다양한 그루브 구조(502a, 504a)를 포함하는, 상술된 임의의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150, 502 및/또는 504)의 구조 및/또는 다른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필수 요건은 아니지만, 필요에 따라,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750)는 예를 들어 시멘트 또는 접착제에 의해, 기계적 커넥터 등에 의해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720)의 상부면(720S)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750)의 주변 에지(750E)는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720)의 에지(720E)를 지나 중창 구성요소(740)의 베이스 표면(742) 위로 연장된다. 그러나, 특히 본 예의 구조체(700)에서는,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750)의 하부 주 표면(750S)은 밑창 구조체(700)가 비압축 상태일 때 중창 구성요소(740)의 베이스 표면(742)과 접촉되지 않는다. 오히려,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750)의 주변 에지(750E)는 밑창 구조체(700)가 비압축 상태일 때 베이스 표면(742) "위에 정지 배치(hover over)"되어, 주변 에지(750E)와 베이스 표면(742) 사이에 공간(760)이 형성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베이스 표면(742)의 일부분(예를 들면, 최외측 에지)은, 밑창 구조체(700)가 비압축 상태일 때, 밑창 구조체(700)에 공간(760)의 일부를 남기면서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750)의 하부 주 표면(750S)까지 연장되어 그와 접촉될 수도 있다.
공간(760)은 본 예의 구성의 밑창 구조체(700)에 대해 다른/추가적인 충격력 감쇠 특성을 제공한다. 하향력(762)이 (예를 들면, 사용자의 걸음걸이, 점프 착지 등으로 인해)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750)에 인가되는 경우,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750)는 하방으로 변위되어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720)을 압축시킨다. 갭(760)으로 인해 임의의 중창 발포 재료를 추가적으로 압축시킬 필요 없이 그런 움직임을 야기시켜, 어느 정도 유연하고 더 편안한 감촉이 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베이스 표면(742)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720)의 압축을 정지시키거나 느리게 하고 이러한 시스템의 과압축을 방지하는 "정지(stop)" 시스템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본 예의 밑창 구조체(700)의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720)이 밀봉형 블레이더 엔벨로프 내에 가압 가스를 포함하기 때문에,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720)은 신속하게 반발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된다. 이러한 작용은 도 7에서 화살표(764)로 표시된 상향력을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750)에 인가한다. 전체적인 밑창 구조체(710)는 착용자에 대한 유연하고 편안한 감촉, 우수한 충격 감쇠, 응답성, 및 소정의 추진 리턴 또는 반발력(764)을 사용자의 발에 제공한다.
도 7에 도시된 타입의 밑창 구조체(700)는 단일의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예를 들면, 전족부에 있거나, 후족부에 있거나, 전족부 및 후족부 모두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거나, 전체 발 지지 블레이더인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필요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밑창 구조체는 예를 들어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된 타입의 다수의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 및/또는 다수의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예를 들면, 수직으로 적층되거나, 수평으로 배열된 것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대안예로서, 필요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타입의 밑창 구조체는 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2c에 도시된 타입의 단일의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 및 다수의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대안예로서, 상술된 임의의 밑창 구조체에 있어서, 단일의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을 덮는 다수의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3개 이상의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및 플레이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및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의 임의의 소정의 개수와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과 관련하여 상술된 밑창 구조체(700)의 충격-감쇠 공간(760) 특징을 포함하는 신발류(800) 물품의 예시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예시적인 갑피(802)는 도 3a 내지 도 3d와 관련하여 상술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구조체는 예를 들어 신발류 구조체의 전족부 영역에 제공될 수 있으며(예를 들면, 도 1a 내지 도 1d 및 도 4a 내지 도 6b와 관련하여 전술함), 도 8b에 도시된 구조체는 예를 들어 신발류 구조체의 후족부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예를 들면, 도 1a 내지 도 1c, 도 1e 및 도 3d 내지 도 6b와 관련하여 전술함). 또한, 필요에 따라, 도 8b에 도시된 적층 백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720)은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단일의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닥창 구조체(880)는 도 1a 내지 도 6b와 관련하여 상술된 바닥창 구조체(110)와 더 유사한 돌출 영역 및 상승된 림을 포함하지만,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바닥창 구성(예를 들면, 바닥창 돌출 영역을 갖지 않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유체-충전 블레이더 영역의 적어도 일부의 아래에 사용될 수도 있다.
갑피(802)는 신발류 분야에 공지되어 사용되는 통상의 구성을 포함하는 임의의 소정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신발류 분야에 공지되어 사용되는 통상의 부품 및/또는 재료를 포함하는 임의의 소정의 개수의 부품 및/또는 재료(임의의 소정의 방식으로 연결됨)로 제조될 수 있다. 갑피(802)는, 내구성 및/또는 내마모성을 증대시킨 영역, 통기성을 증대시킨 영역, 가요성을 증대시킨 영역, 소정의 지지 레벨을 갖는 영역, 소정의 유연성 또는 편안함 레벨을 갖는 영역 등과 같은, 소정의 특성을 갖는 영역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예와 같이, 갑피(802)는 발목 개구와, 신발류(800)를 착용자의 발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시스템(예를 들면, 레이스, 스트랩, 버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텅 부재(808)는 착용자의 발에 대한 고정 시스템의 감촉을 조절하는 것을 돕도록 신발(800)의 발등 영역 위에 제공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의 구조체(800)에 있어서, 갑피(802)의 하부 에지(802a)는 전체 갑피(802)의 하부를 폐쇄시키는 스트로벨 부재(81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은 예를 들어 갑피 에지(802a)를 스트로벨 부재(810)에 소잉하는 것에 의해, 또는 예컨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사용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다른 소정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예의 구성의 스트로벨 부재(810) 및 갑피(802)는 발목 개구를 통해 접근가능한 발-수용 챔버를 형성한다. 갑피(802) 및 스트로벨 부재(810)는, 예를 들어 갑피(802) 및 스트로벨 부재(810)를 중창 구성요소(740)(예를 들면, 중창 구성요소(740)의 측부 및/또는 상부면) 및/또는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750)(예를 들면, 그 상부면)에 접착시키거나 달리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밑창 구조체(81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802)의 발-수용 챔버는 깔창(812)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깔창(812)은 발-수용 챔버 내에 고정될 수 있지만, 또한 스트로벨 부재(810) 상부에 단순히 배치될 수도 있다(그에 따라, 발-수용 챔버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음). 깔창(812)은 유연하고 편안한 재료(예를 들면, 발포 재료)로 제조되어, 착용자의 발에 결합되기 위한 유연하고 편안한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필요에 따라, 스트로벨 부재(810), 깔창(812) 및/또는 텅 부재(808) 중 하나 이상은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부티 부재 또는 다른 구조체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다. 다른 선택으로서, 예를 들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구조체와 같이, 본 예의 갑피(802)의 발목 개구 둘레의 영역에는, 착용자의 발에 대한 편안한 피팅을 제공하기 위해 유연하고 편안한 직물 요소(316)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 따른 다른 예의 밑창 구조체 구성의 후족부 및 전족부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이들 전족부 및 후족부 구조는 필요에 따라 단일의 신발류 구성에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들 구조 중 어느 하나는 개별적으로 사용되고, 및/또는 도 1a 내지 도 8b와 관련하여 상술된 임의의 다른 밑창 구조체 구성요소 또는 구성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이 이하에 제공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밑창 구조체(900)의 힐 또는 후족부 부분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 구조체(900)는 외부 주 표면(910a) 및 내부 주 표면(910b)을 포함하는 바닥창 구성요소(910)를 포함한다. 도시된 본 예의 구조체(900)에 있어서, 바닥창 구성요소(910)는, 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6b, 도 8a 및 도 8b에 대하여, 상술된 돌출 영역을 포함하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돌출 영역이 제공될 수도 있다.
중창 구성요소(940)는 바닥창 구성요소(910)의 내부 주 표면(910b)과 결합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의 중창 구성요소(940)는 그 내부에 형성된 개구(940b)(블라인드 구멍 또는 관통 구멍일 수도 있음)를 포함한다.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920)은 개구(940b)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본 예에서는, 개구(940b) 내에서 바닥창 구성요소(910)의 내부 주 표면(910b)과 결합된다. 강성 플레이트 부재(950)는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920)의 상부면(920S)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됨으로써,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920)의 상부면(920S) 및 플레이트 부재(950)의 바닥면(950S)이 밑창 구조체(900)의 이러한 부분이 비압축 상태일 때 서로 접촉된다(또한,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서로 고정됨).
또한, 도 9a는, 본 예의 구조체(900)에 있어서, 강성 플레이트 부재(950)의 주변 에지(950E)가 중창 구성요소(940)의 상부 주 표면 상에 제공된 베이스 표면(942) 위로 연장되는(그리고, 선택적으로 베이스 표면에 접촉되는) 것을 도시한다. 필요에 따라, 강성 플레이트 부재(950)는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주변 영역에서 중창 구성요소(94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9a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940b)의 내부벽(946)에 인접한 중창 구성요소(940)의 바닥면은 중창 구성요소(940)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바닥창 구성요소(910)의 내부 주 표면(910b)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언더컷 영역(undercut area)(948)을 포함한다. 언더컷 영역(948)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임의의 소정의 크기, 형상 및/또는 체적을 가질 수 있지만, 도시된 본 예의 구조체에서는, 언더컷 영역(948)은 대체로 디스크 형상이며, 밑창 구조체(900)의 이러한 부분이 비압축 상태일 때 1 내지 15㎜ 범위의 최고 또는 최대 높이(H언더컷)를 가지며, 일부 예에서는, 밑창 구조체(900)의 이러한 부분이 비압축 상태일 때 1.5 내지 12㎜ 또는 심지어 1.75 내지 10㎜의 최대 높이를 갖는다. 또한, 언더컷 영역(948)은 개구(940b)의 내부 주변부 영역 둘레로 완전히 연장되거나, 개구(940b)의 내부 주변부 영역 둘레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필요에 따라, 언더컷 영역(948)은 개구(940b)의 내부 주변부 둘레에서 불연속적일 수도 있다(예를 들면, 복수의 분리된 세그먼트로 존재함).
사용시, 압축력(962)이 강성 플레이트 부재(950)와 바닥창 구성요소(910)의 외부 주 표면(910a) 사이에 인가될 때, 언더컷(948) 또는 갭 높이(H언더컷)는 높이가 줄어든다(예를 들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함몰됨). 필요하다면, 언더컷 영역(948)은 또한 블레이더(920) 및/또는 중창 구성요소(940)의 휨과 형상 변화를 위한 여유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다. 유체-충전 블레이더(920)는 반발 에너지, 응답성, 및 추진력의 감촉을 제공한다.
도 9b는 유사한 밑창 구조체 부분(960)이지만, 전체적인 밑창 구조체 및/또는 신발의 전족부 영역에서 더 많이 사용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성형된 밑창 구조체 부분을 도시한다.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도 9a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도록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도 9b에 사용되며, 대응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본 예의 구조체(960)에 있어서, 중창 구성요소(910)는, 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6b, 도 8a 및 도 8b에 대하여, 상술된 돌출 영역을 포함하진 않지만, 필요에 따라 돌출 영역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본 예에 있어서, 언더컷 영역(948)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임의의 소정의 크기, 형상 및/또는 체적을 가질 수 있지만, 도시된 본 예의 구조체에서는, 언더컷 영역(948)은 대체로 디스크 형상이며, 밑창 구조체(960)의 이러한 부분이 비압축 상태일 때 1 내지 15㎜ 범위의 최고 또는 최대 높이(H언더컷)를 가지며, 일부 예에서는, 밑창 구조체(960)의 이러한 부분이 비압축 상태일 때 1.5 내지 12㎜ 또는 심지어 1.75 내지 10㎜의 최대 높이를 갖는다. 또한, 언더컷 영역(948)은 개구(940b)의 내부 주변부 영역 둘레로 완전히 연장되거나, 개구(940b)의 내부 주변부 영역 둘레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필요에 따라, 언더컷 영역(948)은 개구(940b)의 내부 주변부 둘레에서 불연속적일 수도 있다(예를 들면, 복수의 분리된 세그먼트로 존재함). 도 9b의 밑창 구조체(960)는 도 9a의 밑창 구조체(900)에 대해 상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개구(940b)의 주변부 둘레에서 중창 구성요소(940)의 바닥면에 위치된 언더컷 영역(948)을 도시한다(즉, 언더컷 영역(948)에 대한 개구는 중창 구성요소(940)의 개구(940b)의 내부벽(946)에 제공됨). 이것은 필수 요건은 아니다. 오히려, 필요에 따라, 언더컷(948)은, 예를 들어 중창 재료가 언더컷 영역(948)의 상부 및 바닥면 모두를 형성하도록, 중창 구성요소(940)의 내부벽(946)을 따라 다른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부 예로서, 필요에 따라, 언더컷 영역(948)은 내부벽(946)의 중심에 또는 내부벽(946)의 하부 절반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9a 및/또는 도 9b와 관련하여 상술된 언더컷 영역(들)(948) 및 갭(들)은 상술된 임의의 밑창 구조체와 조합되거나 또는 상술된 밑창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대체물로서 상술된 임의의 밑창 구조체에 사용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도 9a 및/또는 도 9b와 관련하여 상술된 언더컷 영역(들)(948) 및 갭(들)과, 언더컷 영역(들)(948) 및 갭(들)을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는 상술된 갑피 구성을 포함하는 임의의 소정의 갑피 구성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추가적인 대안예로서, 필요에 따라, 도 9a 또는 도 9b의 밑창 구조체 부분은 소정의 밑창 구조체 또는 신발에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통상의 다른 충격력 감쇠 구성요소가 밑창 구조체 또는 신발의 다른 영역 또는 구역에 제공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 따른 추가적인 밑창 구조체의 특징부를 도시한다. 도 10a는 저면도를 제공하고, 도 10b는 외측면도를 제공하고, 도 10c는 플레이트 부재(1050)의 단면도를 제공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000)에 있어서, 전족부 중창 및 바닥창 구성요소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후족부 중창 및 바닥창 구성요소와 분리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의 밑창 구조체(1000)는 외부 주 표면(1010a)과, 외부 주 표면에 대향하게(및 전체 밑창 구조체(1000) 내부에) 위치된 내부 주 표면을 포함하는 전족부 바닥창 구성요소(1010)를 포함한다. 전족부 중창 구성요소(1040)는 전족부 바닥창 구성요소(1010)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된다. 전족부 중창 구성요소(1040)는 그 내부에 형성된 전족부 리셉터클(예를 들면, 관통 구멍 또는 블라인드 구멍)을 포함하고, 이러한 리셉터클은 상술된 임의의 형태, 구조 및/또는 특성을 취할 수 있다.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은 예를 들어 상술된 임의의 방식으로 전족부 리셉터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된 전족부 바닥창 구성요소(1010) 및 전족부 바닥창 구성요소 다양한 구성 부품은, 도 10b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영역(1012)을 포함하는, 도 1a 내지 도 9b와 관련하여 상술된 바닥창 구성요소의 임의의 일반적인 형태, 구조 및/또는 특성을 취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족부 바닥창 구성요소(1010)는 강성 플레이트 부재(1050)를 포함하고, 강성 플레이트 부재(1050)는, 예를 들어 상술된 임의의 다양한 방식으로, 중창 구성요소(1040)의 내부에서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술된 다른 밑창 구조체와 대조적으로, 밑창 구조체(1000)에서는, 강성 플레이트 부재(1050)는 전족부 밑창 구성요소(1010) 아래에 위치된 부분(예를 들면, 전족부 중창 구성요소(1040) 및 전족부 중창 구성요소의 리셉터클 내에 수용된 유체-충전 블레이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부분)과, 전족부 바닥창 구성요소(1010) 외측에 위치된 부분을 포함한다. 특히, 도 10a 및 도 10b의 예시적인 구조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 플레이트 부재(1050)의 바닥면(1050a)은 밑창 구조체의 아치형 영역(즉, 전족부 바닥창 구성요소(1010)의 후방 위치)에서 노출되어 전체 밑창 구조체(100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또한, 도시된 본 예의 밑창 구조체(1000)는 밑창 구조체(1000)의 힐 영역에서 지면 반력을 감쇠하기 위한 후족부 충격-감쇠 시스템(1060)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일부 예의 밑창 구조체(1000)에 있어서, 후족부 충격-감쇠 시스템(1060)은, 하나 이상의 유체-충전 블레이더를 포함하는 충격-감쇠 시스템(강성 플레이트 커버 부재를 갖지 않음), 하나 이상의 발포체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충격-감쇠 시스템, 2개 이상의 발포체 칼럼 요소(foam columnar element)를 포함하는 충격-감쇠 시스템, 하나 이상의 기계적 충격 흡수 요소를 포함하는 충격-감쇠 시스템 등과 같은 통상의 형태(예를 들면, 도 1a 내지 도 9a와 관련하여 상술된 다양한 후족부 시스템과 상이함)를 취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대안적으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의 밑창 구조체(1000)에서는, 후족부 충격-감쇠 시스템(1060)은 전족부 바닥창 구성요소(1010a)와 분리된 후족부 바닥창 구성요소(1062) 및 전족부 중창 구성요소(1040)와 분리된 후족부 중창 구성요소(1064)를 포함한다. 전족부 및 후족부 바닥창 구성요소와, 전족부 및 후족부 중창 구성요소는 본 예의 밑창 구조체(1000)의 강성 플레이트 부재(1050)의 노출된 부분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의 밑창 구조체(1000)에서는, 강성 플레이트 부재(1050)의 후방 부분은 전족부 충격-감쇠 시스템(1060)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상부면 위로 연장되어 그와 결합된다(예를 들면, 후족부 중창 구성요소(1064) 또는 후족부 바닥창 구성요소(1062)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면 위에 배치되고 및/또는 그와 결합됨).
또 다른 선택 또는 대안예로서, 필요에 따라, 후족부 충격-감쇠 시스템(1060)은 도 1a 내지 도 9a에 대하여 상술된 일반적인 형태 및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족부 중창 구성요소(1064)(전족부 중창 구성요소(1040)와 분리됨)는 후족부 바닥창 구성요소(1062)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고, 후족부 중창 구성요소(1064)는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형성된 후족부 리셉터클(관통 구멍 또는 블라인드 구멍)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예의 밑창 구조체(1000)에 있어서,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1 강성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에 부가하여, 강성 플레이트 부재(1050)는 후족부 중창 구성요소(1064)에 제공된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그리고, 선택적으로 완전히 덮는) 제2 강성 플레이트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밑창 구조체(1000)의 구성 및/또는 부품은 도 1a(및/또는 도 1a 내지 도 9b에서 상술된 다양한 다른 실시예 및 변형예)의 밑창 구조체(100)의 구성 및/또는 부품과 유사할 수 있지만, 전방 및 후방 중창 및 바닥창 구조체는 아치형 영역에서 분리되고 2개의 별개 부분으로 분할된다. 이러한 구성은 강성 플레이트 부재(1050)의 바닥면(1050a)이 전족부 바닥창 구성요소(1010)와 후족부 바닥창 구성요소(1062) 사이의 아치형 영역에서 노출되어 밑창 구조체(1000)의 바닥면을 형성하게 한다.
도 10b 및 도 10c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의 밑창 구조체(1000)는 밑창 구조체(1000)의 전족부 외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외측부 지지 구성요소(1070)를 포함한다. 본 예의 외측부 지지 구성요소(1070)는 전족부 바닥창 구성요소(1010)와 전족부 중창 구성요소(1040)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한다. 외측부 지지 구성요소(1070)는 갑피(1002)의 일부분을 둘러쌀 수 있고, 예를 들어 신발의 전족부 외측부 또는 제5 중족골 영역을 따라 운동 용도를 위한 추가적인 지지체, 예컨대 달리는 중의 신속한 터닝 또는 커팅 움직임 동안의 추가적인 지지체를 제공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예에 따른 본 밑창 구조체(1000) 및/또는 다른 밑창 구조체(예를 들면, 도 1a 내지 도 9b의 구조체)에 사용될 수 있는 강성 플레이트 부재(1050)의 추가적인 상세 사항을 도시한다. 예를 들면,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 플레이트 부재(1050)는 적어도 밑창 구조체(1000)의 아치형 영역에서 강성 플레이트 부재(1050)의 바닥면(1050a)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외측부 에지(1052) 및 내측부 에지(105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측부 에지(1052, 1054)는 착용자의 발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본 예의 구조체의 강성 플레이트 부재(1050)는 그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리브 요소(1056)를 추가로 포함하고, 도시된 본 예에서는, 리브 요소(1056)들은 평행하거나 사실상 평행하며, 밑창 구조체(1000)의 대체로 전방에서 후방으로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리브 요소(1056)는 아치형 영역에서 플레이트 부재(1050)에 강성을 부가하고, 플레이트 부재(1050)의 전체 중량을 저감하는 것을 돕는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임의의 소정의 크기 및/또는 단면 형상의 리브 요소(1056)를 포함하는 임의의 소정의 개수의 리브 요소(1056)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0a 및 도 10c에서는 내부 표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리브 요소(1056)의 일부 또는 모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플레이트 부재(1050)의 외부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강성 플레이트 부재(1050)는, 예를 들어 상술된 바와 같이, 예컨대 전후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어느 정도 곡선형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0a 및 도 10b는 밑창 구조체(1000)가 갑피(1002)와 결합되어 신발류 물품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갑피(1002)는 상술된 구성 및/또는 재료, 및/또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사용되는 다른 구성 및 재료를 포함하는 임의의 소정의 구성 및/또는 재료를 가질 수 있다. 착용자의 힐을 지지하기 위한 힐 카운터(1072)는 도 10b의 예시적인 구조체에 도시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10c와 관련하여 상술된 다양한 예의 구조체는 중창 구성요소에 형성된 리셉터클 내의 밀봉된 유체-충전 블레이더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예에 사용된 유체-충전 블레이더는 주변 압력 또는 고압(표준 또는 대기 압력 이상)의 가스와 같은 유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체-충전 블레이더는 우수한 충격력 감쇠, 응답성, 및 추진 리턴 또는 반발력을 착용자의 발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강성 플레이트는 (예를 들면, 더 유연한 오버레이 재료에 비해서) 이러한 힘을 착용자에게 양호하게 리턴하는 것을 돕는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일부 예의 구조체에서는, 상술된 구조체 내의 유체-충전 블레이더 중 하나 이상은 폴리우레탄 발포체, 에틸비닐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발포 재료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타입의 발포체는, 예를 들어 상술된 다양한 방식으로, 강성 플레이트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술된 구조체 중 일부는 전족부 및 후족부 영역 모두에 위치되는 강성 플레이트 조절식 유체-충전 블레이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태는 그러한 구조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 강성 플레이트 조절식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또는 발포체 시스템)은 밑창 구조체의 후족부 영역에만 제공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통상의 충격력 감쇠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른 충격력 감쇠 시스템(예를 들면, 폴리머 발포 재료,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기계적 충격 흡수 시스템 등)이 전족부 또는 아치형 영역과 같은 밑창 구조체의 다른 영역에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필요에 따라, 강성 플레이트 조절식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또는 발포체 시스템)은 밑창 구조체의 전족부 영역에만 제공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통상의 충격력 감쇠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른 충격력 감쇠 시스템(예를 들면, 폴리머 발포 재료,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기계적 충격 흡수 시스템 등)이 후족부 또는 아치형 영역과 같은 밑창 구조체의 다른 영역에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추가적인 대안예로서,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강성 플레이트 조절식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또는 발포체 시스템)은, 예를 들어 전족부 영역이 2개 이상의 별개의 강성 플레이트 조절식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을 포함하도록, 및/또는 후족부 영역이 2개 이상의 별개의 강성 플레이트 조절식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을 포함하도록, 전체의 밑창 구조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강성 플레이트 조절식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중족부 또는 아치형 영역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및/또는 전족부 또는 후족부 강성 플레이트 조절식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는 중족부 또는 아치형 영역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Ⅲ. 결론
본 발명이 다양한 실시예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되어 있다. 그러나, 본 개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과 관련된 다양한 특징 및 개념의 예를 제공하는 것이다. 당업자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바와 같은 다양한 변경예와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상술된 실시예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910 : 바닥창 구성요소 910a : 외부 주 표면
910b : 내부 주 표면 920 :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
920S : 상부면 940 : 중창 구성요소
940b : 개구 942 : 베이스 표면
946 : 내부벽 948 : 언더컷 영역
950 : 강성 플레이트 부재 950S : 바닥면
960 : 밑창 구조체 부분

Claims (43)

  1.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에 있어서,
    외부 주 표면 및 내부 주 표면을 포함하는 바닥창 구성요소와,
    상기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는 중창 구성요소로서, 상기 중창 구성요소의 내부에 형성된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언더컷 영역이 상기 중창 구성요소 내에서 상기 리셉터클의 주변부 둘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인, 중창 구성요소와,
    상기 리셉터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과,
    상기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1 강성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강성 플레이트부와 바닥창 구성요소의 외부 주 표면 사이에 인가되는 압축력은 상기 언더컷 영역의 높이를 감소시키는 것인 밑창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 영역은 상기 리셉터클의 주변부 둘레로 완전히 연장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중창 구성요소를 통해 완전히 연장되는 관통 구멍을 구성하며, 상기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은 상기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중창 구성요소의 힐 부분에 제공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중창 구성요소의 전족부에 제공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 영역은 상기 밑창 구조체가 비압축 상태일 때 1㎜ 내지 15㎜의 최대 높이를 갖는 것인 밑창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 영역은 상기 밑창 구조체가 비압축 상태일 때 1.75㎜ 내지 10㎜의 최대 높이를 갖는 것인 밑창 구조체.
  8.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에 있어서,
    외부 주 표면 및 내부 주 표면을 포함하는 바닥창 구성요소와,
    상기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고 전족부 개구를 포함하는 중창 구성요소로서, 상기 전족부 개구에 인접한 중창 구성요소의 바닥면은 상기 중창 구성요소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 사이에 제1 갭을 형성하는 제1 언더컷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중창 구성요소와,
    상기 전족부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는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과,
    상기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1 강성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강성 플레이트부와 바닥창 구성요소의 외부 주 표면 사이에 인가되는 압축력은 상기 제1 갭의 높이를 감소시키는 것인 밑창 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언더컷 영역은 상기 전족부 개구 둘레로 완전히 연장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갭은 상기 밑창 구조체가 비압축 상태일 때 1㎜ 내지 15㎜의 최대 높이를 갖는 것인 밑창 구조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갭은 상기 밑창 구조체가 비압축 상태일 때 1.75㎜ 내지 10㎜의 최대 높이를 갖는 것인 밑창 구조체.
  12.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에 있어서,
    외부 주 표면 및 내부 주 표면을 포함하는 바닥창 구성요소와,
    상기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고 후족부 개구를 포함하는 중창 구성요소로서, 상기 후족부 개구에 인접한 중창 구성요소의 바닥면은 상기 중창 구성요소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 사이에 제1 갭을 형성하는 제1 언더컷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중창 구성요소와,
    상기 후족부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는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과,
    상기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1 강성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강성 플레이트부와 바닥창 구성요소의 외부 주 표면 사이에 인가되는 압축력은 상기 제1 갭의 높이를 감소시키는 것인 밑창 구조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언더컷 영역은 상기 후족부 개구 둘레로 완전히 연장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갭은 상기 밑창 구조체가 비압축 상태일 때 1㎜ 내지 15㎜의 최대 높이를 갖는 것인 밑창 구조체.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갭은 상기 밑창 구조체가 비압축 상태일 때 1.75㎜ 내지 10㎜의 최대 높이를 갖는 것인 밑창 구조체.
  16.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에 있어서,
    외부 주 표면 및 내부 주 표면을 포함하는 바닥창 구성요소와,
    상기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중창 부품과, 전족부 개구 및 후족부 개구를 포함하는 중창 구성요소로서,
    (a) 상기 전족부 개구에 인접한 중창 구성요소의 바닥면은 상기 중창 구성요소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 사이에 제1 갭을 형성하는 제1 언더컷 영역을 포함하고,
    (b) 상기 후족부 개구에 인접한 중창 구성요소의 바닥면은 상기 중창 구성요소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 사이에 제2 갭을 형성하는 제2 언더컷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중창 구성요소와,
    상기 전족부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는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과,
    상기 후족부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는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과,
    상기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1 강성 플레이트부, 및 상기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2 강성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강성 플레이트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강성 플레이트 시스템과 바닥창 구성요소의 외부 주 표면 사이에 인가되는 압축력은 상기 제1 및 제2 갭의 높이를 감소시키는 것인 밑창 구조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플레이트 시스템은 단일의 연속적인 강성 플레이트 부재를 구성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플레이트 시스템은 상기 제1 강성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제1 강성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1 강성 플레이트 부재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2 강성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제2 강성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은 상기 전족부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단일의 유체-충전 블레이더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은 상기 후족부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단일의 유체-충전 블레이더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은 상기 후족부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2개의 적층된 유체-충전 블레이더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22.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에 있어서,
    외부 주 표면 및 내부 주 표면을 포함하는 바닥창 구성요소와,
    상기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고, 전족부 리셉터클, 상기 전족부 리셉터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전족부 베이스 표면, 후족부 리셉터클, 및 상기 후족부 리셉터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후족부 베이스 표면을 포함하는 중창 구성요소와,
    상기 전족부 리셉터클 내에 수용되는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의 상부면은 상기 밑창 구조체가 비압축 상태일 때 상기 중창 구성요소의 전족부 베이스 표면 위로 연장되는 것인,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과,
    상기 후족부 리셉터클 내에 수용되는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으로서, 상기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의 상부면은 상기 밑창 구조체가 비압축 상태일 때 상기 중창 구성요소의 후족부 베이스 표면 위로 연장되는 것인,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과,
    상기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의 상부면에 중첩되는 주 표면을 갖는 전족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로서, 상기 전족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의 주 표면은 상기 밑창 구조체가 비압축 상태일 때 상기 중창 구성요소의 전족부 베이스 표면에 접촉되지 않는 것인, 전족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와,
    상기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의 상부면에 중첩되는 주 표면을 갖는 후족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로서, 상기 후족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의 주 표면은 상기 밑창 구조체가 비압축 상태일 때 상기 중창 구성요소의 후족부 베이스 표면에 접촉되지 않는 것인, 후족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23.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에 있어서,
    외부 주 표면 및 내부 주 표면을 포함하는 바닥창 구성요소와,
    상기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고, 전족부 리셉터클, 및 상기 전족부 리셉터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전족부 베이스 표면을 포함하는 중창 구성요소와,
    상기 전족부 리셉터클 내에 수용되는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의 상부면은 상기 밑창 구조체가 비압축 상태일 때 상기 중창 구성요소의 전족부 베이스 표면 위로 연장되는 것인,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과,
    상기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의 상부면에 중첩되는 주 표면을 갖는 전족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로서, 상기 전족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의 주 표면은 상기 밑창 구조체가 비압축 상태일 때 상기 중창 구성요소의 전족부 베이스 표면에 접촉되지 않는 것인, 전족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 리셉터클은 상기 중창 구성요소를 통해 완전히 연장되는 제1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은 상기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 상에 그리고 상기 제1 개구 내에 장착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는 상기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는 상기 중창 구성요소에 고정되지 않는 것인 밑창 구조체.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은 전족부 리세스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전족부 리셉터클은 상기 바닥창 구성요소의 전족부 리세스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전족부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창 구성요소의 외부 주 표면은 전족부 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족부 돌출 영역은 제1 바닥창 주 표면 영역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제1 바닥창 주 표면 영역을 지나 돌출되고, 상기 전족부 돌출 영역은 제1 가요성 웨브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바닥창 주 표면 영역에 연결되며, 상기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은 상기 전족부 돌출 영역에서 상기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는 상기 전족부 베이스 표면 위로 연장되는 주변 에지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는 제1 중족골 지지 구역을 제5 중족골 지지 구역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31.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은 착용자의 발의 제1 종족골 헤드 구역 및 착용자의 발의 제5 중족골 헤드 구역을 지지하며, 상기 전족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는 제1 중족골 지지 구역을 제5 중족골 지지 구역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32.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 베이스 표면은 상기 전족부 리셉터클을 완전히 둘러싸는 것인 밑창 구조체.
  33.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 베이스 표면은 상기 밑창 구조체의 전족부 영역이 압축될 때 상기 전족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결합되는 리세스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34.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에 있어서,
    외부 주 표면 및 내부 주 표면을 포함하는 바닥창 구성요소와,
    상기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고, 후족부 리셉터클, 및 상기 후족부 리셉터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후족부 베이스 표면을 포함하는 중창 구성요소와,
    상기 후족부 리셉터클 내에 수용되는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으로서, 상기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의 상부면은 상기 밑창 구조체가 비압축 상태일 때 상기 중창 구성요소의 후족부 베이스 표면 위로 연장되는 것인,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과,
    상기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의 상부면에 중첩되는 주 표면을 갖는 후족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로서, 상기 후족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의 주 표면은 상기 밑창 구조체가 비압축 상태일 때 상기 중창 구성요소의 후족부 베이스 표면에 접촉되지 않는 것인, 후족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후족부 리셉터클은 상기 중창 구성요소를 통해 완전히 연장되는 제1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은 상기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 상에 그리고 상기 제1 개구 내에 장착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후족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는 상기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후족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는 상기 중창 구성요소에 고정되지 않는 것인 밑창 구조체.
  3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은 후족부 리세스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후족부 리셉터클은 상기 바닥창 구성요소의 후족부 리세스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후족부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3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창 구성요소의 외부 주 표면은 후족부 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후족부 돌출 영역은 제1 바닥창 주 표면 영역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제1 바닥창 주 표면 영역을 지나 돌출되고, 상기 후족부 돌출 영역은 제1 가요성 웨브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바닥창 주 표면 영역에 연결되며, 상기 후족부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은 상기 후족부 돌출 영역에서 상기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40.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후족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는 상기 후족부 베이스 표면 위로 연장되는 주변 에지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41.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후족부 베이스 표면은 상기 후족부 리셉터클을 완전히 둘러싸는 것인 밑창 구조체.
  42.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후족부 베이스 표면은 상기 밑창 구조체의 후족부 영역이 압축될 때 상기 후족부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결합되는 리세스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43.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에 있어서,
    외부 주 표면 및 내부 주 표면을 포함하는 바닥창 구성요소와,
    상기 바닥창 구성요소의 내부 주 표면과 결합되고, 리셉터클 영역, 및 상기 리셉터클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베이스 표면을 포함하는 중창 구성요소와,
    상기 리셉터클 영역 내에 수용되는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의 상부면은 상기 밑창 구조체가 비압축 상태일 때 상기 중창 구성요소의 베이스 표면 위로 연장되는 것인,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과,
    상기 유체-충전 블레이더 시스템의 상부면에 중첩되는 주 표면을 갖는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로서, 상기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의 주 표면은 상기 밑창 구조체가 비압축 상태일 때 상기 중창 구성요소의 베이스 표면에 접촉되지 않는 것인, 강성 플레이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KR1020157009440A 2012-09-20 2013-09-11 플레이트 조절식 유체­충전 블레이더 및/또는 발포형 충격력 감쇠 부재를 갖는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 물품 KR101811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623,722 US9456658B2 (en) 2012-09-20 2012-09-20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plate moderated fluid-filled bladders and/or foam type impact force attenuation members
US13/623,722 2012-09-20
PCT/US2013/059268 WO2014046940A1 (en) 2012-09-20 2013-09-11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plate moderated fluid-filled bladders and/or foam type impact force attenuation memb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317A true KR20150058317A (ko) 2015-05-28
KR101811505B1 KR101811505B1 (ko) 2017-12-21

Family

ID=49226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440A KR101811505B1 (ko) 2012-09-20 2013-09-11 플레이트 조절식 유체­충전 블레이더 및/또는 발포형 충격력 감쇠 부재를 갖는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 물품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9456658B2 (ko)
EP (2) EP2897482B1 (ko)
JP (1) JP6076482B2 (ko)
KR (1) KR101811505B1 (ko)
CN (2) CN104661547B (ko)
AU (2) AU2013318385B2 (ko)
BR (1) BR112015006180B1 (ko)
CA (1) CA2884263C (ko)
ES (1) ES2708431T3 (ko)
IN (1) IN2015DN02862A (ko)
MX (1) MX356222B (ko)
WO (1) WO2014046940A1 (ko)
ZA (1) ZA20150264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802A (ko) * 2018-01-09 2019-07-17 황성달 접지력이 향상된 다목적 신발밑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5893B2 (en) 2011-08-10 2014-06-10 Gavrieli Brands LLC Split-sole footwear
US9894959B2 (en) * 2009-12-03 2018-02-20 Nike, Inc. Tethered fluid-filled chamber with multiple tether configurations
DE102012206094B4 (de) 2012-04-13 2019-12-05 Adidas Ag Sohlen für Sportschuhe, Schuh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uhsohle
US9775402B2 (en) * 2012-05-10 2017-10-03 Asics Corporation Shoe sole having outsole and midsole
JP5442170B1 (ja) * 2013-01-24 2014-03-12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13202291B4 (de) 2013-02-13 2020-06-18 Adidas Ag Dämpfungselement für Sportbekleidung und Schuh mit einem solchen Dämpfungselement
US9610746B2 (en) 2013-02-13 2017-04-04 Adidas Ag Methods for manufacturing cushioning elements for sports apparel
US9930928B2 (en) 2013-02-13 2018-04-03 Adidas Ag Sole for a shoe
DE102013002519B4 (de) 2013-02-13 2016-08-18 Adidas Ag Herstellungsverfahren für Dämpfungselemente für Sportbekleidung
DE102013202306B4 (de) 2013-02-13 2014-12-18 Adidas Ag Sohle für einen Schuh
US20140296762A1 (en) * 2013-03-15 2014-10-02 Ovation Medical Shock absorber insert for an orthopedic walking boot
USD776410S1 (en) 2013-04-12 2017-01-17 Adidas Ag Shoe
USD740003S1 (en) 2013-04-12 2015-10-06 Adidas Ag Shoe
US20140310981A1 (en) * 2013-04-23 2014-10-23 Newton Running Company, Inc. Sole construction for biomechanical stability and afferent feedback
US11470917B1 (en) * 2013-07-12 2022-10-18 Opvet Inc. System and method for insert
US9554622B2 (en) * 2013-09-18 2017-01-31 Nike, Inc. Multi-component sole structure having an auxetic configuration
US10226906B2 (en) * 2014-04-14 2019-03-12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sole assembly formed of multiple preforms
US9578920B2 (en) * 2014-05-13 2017-02-28 Ariat International, Inc. Energy return, cushioning, and arch support plates, and footwear and footwear soles including the same
US20150351492A1 (en) * 2014-06-05 2015-12-10 Under Armour, Inc. Article of Footwear
DE102014215897B4 (de) 2014-08-11 2016-12-22 Adidas Ag adistar boost
DE102014216115B4 (de) 2014-08-13 2022-03-31 Adidas Ag Gemeinsam gegossene 3D Elemente
USD884323S1 (en) 2014-11-14 2020-05-19 Gavrieli Brands LLC Dual-sole shoe with yellow outpatch sole
WO2016109773A1 (en) * 2014-12-31 2016-07-07 Chinook Asia Llc Resilient midoles for footwear
DE102015202013B4 (de) 2015-02-05 2019-05-09 Adida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formteils, Kunststoffformteil und Schuh
DE102015102157A1 (de) * 2015-02-15 2016-08-18 Jürgen Stumpf Schuhsohl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Sohle und Schuh mit einer solchen Sohle
DE102015204060B4 (de) 2015-03-06 2023-07-27 Adidas Ag Stabilisierende Komponente für einen Schuh, insbesondere einen Bergsportschuh
JP6679363B2 (ja) 2015-03-23 2020-04-15 アディダス アーゲー ソールおよびシューズ
DE102015206486B4 (de) * 2015-04-10 2023-06-01 Adidas Ag Schuh, insbesondere Sportschuh,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DE102015206900B4 (de) 2015-04-16 2023-07-27 Adidas Ag Sportschuh
US10123586B2 (en) * 2015-04-17 2018-11-13 Nike, Inc. Independently movable sole structure
WO2016172171A1 (en) 2015-04-24 2016-10-27 Nike Innovate C.V. Footwear sole structure having bladder with integrated outsole
DE102015209795B4 (de) 2015-05-28 2024-03-21 Adidas Ag Bal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10070689B2 (en) * 2015-05-28 2018-09-11 Nike, Inc. Sole structure with electrically controllable damping element
JP2017006293A (ja) * 2015-06-19 2017-01-12 美津濃株式会社 フットウエア用ソール構造体
JP2017023229A (ja) * 2015-07-17 2017-02-02 美津濃株式会社 野球用スパイクシューズのソール構造
USD783264S1 (en) 2015-09-15 2017-04-11 Adidas Ag Shoe
US10448701B2 (en) 2015-09-18 2019-10-22 Nike, Inc. Footwear sole structure with nonlinear bending stiffness
JP6480846B2 (ja) * 2015-10-01 2019-03-13 美津濃株式会社 シューズ
US10182612B2 (en) 2015-11-05 2019-01-22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nonlinear bending stiffness with compression grooves and descending ribs
JP6162784B2 (ja) * 2015-12-24 2017-07-12 美津濃株式会社 シューズ用アウトソール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クリーツシューズ
US10058145B2 (en) * 2016-03-04 2018-08-2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and sole structure with a central sensory node element
EP3429395B1 (en) * 2016-03-15 2024-03-13 Nike Innovate C.V. Fluid-filled bladder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DE102016209046B4 (de) 2016-05-24 2019-08-08 Adida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uhsohle, schuhsohle, schuh und vorgefertigte tpu-gegenstände
DE102016209045B4 (de) 2016-05-24 2022-05-25 Adida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herstellen von schuhsohlen, sohlen und schuhe
DE102016209044B4 (de) 2016-05-24 2019-08-29 Adidas Ag Sohlenform zum Herstellen einer Sohle und Anordnung einer Vielzahl von Sohlenformen
CN109475200B9 (zh) * 2016-07-20 2021-09-2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鞋板
US20180020772A1 (en) * 2016-07-20 2018-01-25 Vionic Group LLC Composite orthotic device
USD840136S1 (en) 2016-08-03 2019-02-12 Adidas Ag Shoe midsole
USD840137S1 (en) 2016-08-03 2019-02-12 Adidas Ag Shoe midsole
USD852475S1 (en) 2016-08-17 2019-07-02 Adidas Ag Shoe
US10660400B2 (en) * 2016-08-25 2020-05-26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grooves and a flex control insert with ribs
JP1582717S (ko) 2016-09-02 2017-07-31
DE102016216675A1 (de) 2016-09-02 2018-03-08 Mammut Sports Group Ag Schuhsohlenkonstruktion
CN109788824B (zh) * 2016-10-10 2021-06-29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鞋类物品的具有第一和第二鞋中底本体的鞋底结构
US20180140044A1 (en) * 2016-11-21 2018-05-24 Jason Guadalajara System and Method for Stabilizing Footwear
DE102016223980B4 (de) 2016-12-01 2022-09-22 Adida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formteils
US20180160768A1 (en) * 2016-12-12 2018-06-14 Jason Clifton Comfort system for footwear
WO2018144756A1 (en) * 2017-02-01 2018-08-09 Nike Innovate C.V. Stacked cushioning arrangement for sole structure
KR102217483B1 (ko) 2017-02-27 2021-02-22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유체-충진 블래더 챔버들을 포함하는 조절 가능한 발 지지 시스템
DE102017205830B4 (de) 2017-04-05 2020-09-24 Adidas Ag Verfahren für die Nachbehandlung einer Vielzahl einzelner expandierter Partikel für die Herstellung mindestens eines Teils eines gegossenen Sportartikels, Sportartikel und Sportschuh
WO2018195387A1 (en) * 2017-04-21 2018-10-25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with proprioceptive elemen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e structure
CN114668221A (zh) * 2017-05-23 2022-06-28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分阶段压缩刚度的圆顶状鞋底夹层
US10624416B2 (en) * 2017-06-01 2020-04-21 Vionic Group LLC Footwear and the manufacture thereof
KR101872026B1 (ko) 2017-07-07 2018-06-27 노민환 교정판이 장착된 밑창을 갖는 스윙교정용 골프화
JP1617832S (ko) 2017-09-21 2018-11-12
USD899061S1 (en) 2017-10-05 2020-10-20 Adidas Ag Shoe
TWI675629B (zh) * 2017-10-27 2019-11-01 劉懿賢 可選擇支撐足弓不同區域的鞋墊
US11058174B2 (en) 2017-12-29 2021-07-13 Nike, Inc. Footwear sole structure
WO2019136237A1 (en) * 2018-01-07 2019-07-11 Cole Haan Llc Shoe having cushion within heel member
US11583029B2 (en) * 2018-01-22 2023-02-21 Adidas Ag Article of footwear with ribbed outsole and notched midsole
US11452334B2 (en) 2018-01-31 2022-09-27 Nike, Inc. Airbag for article of footwear
US10149513B1 (en) 2018-01-31 2018-12-11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CN115281419A (zh) * 2018-04-20 2022-11-0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带有板和中间流体填充囊的鞋底结构及其制造方法
WO2019207569A1 (en) * 2018-04-22 2019-10-31 Insand Ltd. Insole, insert, sole, and shoes and footwear having such components
US11026476B2 (en) * 2018-07-17 2021-06-08 Nike, Inc. Airbag for article of footwear
US10524540B1 (en) 2018-07-17 2020-01-07 Nike, Inc. Airbag for article of footwear
WO2020021622A1 (ja) * 2018-07-24 2020-01-30 株式会社Bmz 靴用インソール
CN108783748B (zh) * 2018-08-21 2023-12-19 安踏(中国)有限公司 一种运动鞋鞋底和应用
USD861303S1 (en) * 2018-09-13 2019-10-01 Nike, Inc. Shoe
USD888391S1 (en) 2018-10-31 2020-06-30 Wolverine Outdoors, Inc. Footwear sole
US20200128913A1 (en) * 2018-10-31 2020-04-30 Wolverine Outdoors, Inc. Footwear with active gripping outsole
EP4368053A2 (en) 2019-01-02 2024-05-15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D889090S1 (en) * 2019-01-10 2020-07-07 Nike, Inc. Shoe
USD889791S1 (en) * 2019-01-10 2020-07-14 Nike, Inc. Shoe
WO2020159885A1 (en) * 2019-01-31 2020-08-06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fluid-filled bladder elements
CN113423299B (zh) * 2019-03-22 2023-03-1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区域性缓冲系统的鞋类物品
US11779078B2 (en) * 2019-03-22 2023-10-1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zonal cushioning system
WO2020243398A1 (en) * 2019-05-30 2020-12-03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11259593B2 (en) * 2019-07-31 2022-03-01 Nike, Inc. Sole structure with tiered plate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JP7104113B2 (ja) * 2019-08-26 2022-07-20 アクシュネット カンパニー 牽引部材を含む相互交差トラック付きアウトソールを具備するゴルフ靴
EP3785559A1 (en) * 2019-08-30 2021-03-03 Shire Hill Partners, LLC Shoe, sole, and insole with foam extending through insole board
US11297897B2 (en) * 2019-11-27 2022-04-12 Cole Haan Llc Shoe with multiple material sole
US11766092B2 (en) * 2020-02-21 2023-09-26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11641906B2 (en) 2020-02-27 2023-05-09 Nike, Inc. Medially-located lateral footwear stabilizer
US11986046B2 (en) 2020-04-07 2024-05-21 Nike, Inc. Footwear sole structure with nested foam core
WO2023168433A1 (en) * 2022-03-04 2023-09-07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502A (en) 1904-09-06 1905-07-25 Eugene Gareau Spring-heel for shoes.
US1011460A (en) 1909-11-24 1911-12-12 James Mcnair Pneumatic tread for boots and shoes.
US1059543A (en) 1912-08-15 1913-04-22 Silas L Kelley Boot and shoe.
US1114685A (en) 1914-04-13 1914-10-20 George Terry Trist Freeman Pneumatic heel for boots and shoes.
US3120712A (en) * 1961-08-30 1964-02-11 Menken Lester Lambert Shoe construction
FR2452889A1 (fr) * 1979-04-03 1980-10-31 Reber Walter Dispositif destine a faciliter la locomotion de l'homme se deplacant a pied sur le sol
GB2119630B (en) 1982-03-15 1985-07-17 Kwaun Peng Koh An article of footwear
US4546555A (en) 1983-03-21 1985-10-15 Spademan Richard George Shoe with shock absorbing and stabiizing means
US4592153A (en) 1984-06-25 1986-06-03 Jacinto Jose Maria Heel construction
US4638575A (en) 1986-01-13 1987-01-27 Illustrato Vito J Spring heel for shoe and the like
US4779359A (en) 1987-07-30 1988-10-25 Famolare, Inc. Shoe construction with air cushioning
JPH0180008U (ko) * 1987-11-18 1989-05-29
US5083361A (en) 1988-02-05 1992-01-28 Robert C. Bogert Pressurizable envelope and method
GB2221378A (en) * 1988-08-02 1990-02-07 Far East Athletics Limited Sole with the compressible shock absorbers
US5528842A (en) * 1989-02-08 1996-06-25 The Rockport Company, Inc. Insert for a shoe sole
US4910884A (en) 1989-04-24 1990-03-27 Lindh Devere V Shoe sole incorporating spring apparatus
JPH0363703U (ko) * 1989-10-25 1991-06-21
US5381608A (en) 1990-07-05 1995-01-17 L.A. Gear, Inc. Shoe heel spring and stabilizer
FR2686233A1 (fr) 1992-01-22 1993-07-23 Beyl Jean Joseph Alfred Chaussure, en particulier chaussure de sport, comportant au moins un ressort dispose dans la semelle, cassette et ressort pour une telle chaussure.
US5771606A (en) 1994-10-14 1998-06-30 Reebok International Ltd. Support and cush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5741568A (en) * 1995-08-18 1998-04-21 Robert C. Bogert Shock absorbing cushion
US5649374A (en) * 1996-05-10 1997-07-22 Chou; Hsueh-Li Combined resilient sole of a shoe
FR2748372B1 (fr) 1996-05-13 1998-08-14 Paradis Frederic Chaussure equipee d'un dispositif elastique d'amortissement des chocs
US5915819A (en) 1996-11-26 1999-06-29 Gooding; Elwyn Adaptive, energy absorbing structure
US5926974A (en) 1997-01-17 1999-07-27 Nike, Inc. Footwear with mountain goat traction elements
US5852887A (en) 1997-08-14 1998-12-29 Converse Inc. Shoe with lateral support member
DE29801638U1 (de) 1998-01-31 1998-05-20 Danza S R L Schuh, insbesondere Sport- oder Tanzschuh
JP3063703U (ja) * 1999-05-10 1999-11-26 正伸 森崎 履口のサイズが変わる靴
FR2794005B1 (fr) * 1999-05-26 2001-06-29 Imp Ation De Diffusion Ou Dist Semelle de chaussure
US6176025B1 (en) 1999-05-28 2001-01-23 Spalding Sports Worldwide, Inc. Cushioning system for golf shoes
US6354020B1 (en) * 1999-09-16 2002-03-12 Reebok International Ltd. Support and cush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6497057B1 (en) * 1999-11-01 2002-12-24 Ariat International, Inc. Heel cushion
US7752775B2 (en) 2000-03-10 2010-07-13 Lyden Robert M Footwear with removable lasting board and cleats
US6550160B2 (en) 2000-03-13 2003-04-22 Miller, Ii Eugene T. Method and device for orienting the foot when playing golf
US6571490B2 (en) 2000-03-16 2003-06-03 Nike, Inc. Bladder with multi-stage regionalized cushioning
US6385864B1 (en) 2000-03-16 2002-05-14 Nike, Inc. Footwear bladder with controlled flex tensile member
DK174667B1 (da) * 2000-08-09 2003-08-18 Ecco Sko As Skomellemsål
WO2002078480A2 (en) 2000-12-01 2002-10-10 Britek Footwear Development, Llc Sole construction for energy storage and rebound
US20020170203A1 (en) 2001-05-17 2002-11-21 Walter Sanner Shoe ventilation insert and booty
US6393731B1 (en) 2001-06-04 2002-05-28 Vonter Moua Impact absorber for a shoe
US7426792B2 (en) 2002-05-09 2008-09-23 Nike, Inc. Footwear sole component with an insert
US6920707B1 (en) * 2002-05-14 2005-07-26 Nike, Inc. System for modifying properties of an article of footwear
US20040098882A1 (en) * 2002-11-26 2004-05-27 Wei-Jei Tuan Airbag buffer for footwear
US20050026849A1 (en) * 2003-03-28 2005-02-03 Singh Chandra U. Water soluble formulations of digitalis glycosides for treating cell-proliferative and other diseases
JP2005013718A (ja) 2003-06-05 2005-01-20 Mizuno Corp シューズのソール構造体
US7020988B1 (en) 2003-08-29 2006-04-04 Pierre Andre Senizergues Footwear with enhanced impact protection
US7076891B2 (en) 2003-11-12 2006-07-18 Nike, Inc. Flexible fluid-filled bladd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8474155B2 (en) * 2004-06-04 2013-07-0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outsole web and midsole protrusions
US7200955B2 (en) * 2004-06-04 2007-04-1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sole structure with compressible inserts
US7334351B2 (en) 2004-06-07 2008-02-26 Energy Management Athletics, Llc Shoe apparatus with improved efficiency
US7152343B2 (en) 2004-06-25 2006-12-26 Cronus, Inc. Footwear system
US8256147B2 (en) * 2004-11-22 2012-09-04 Frampton E. Eliis Devices with internal flexibility sipes, including siped chambers for footwear
WO2006127427A2 (en) 2005-05-20 2006-11-30 Bivab, Llc Shoe sole with pivotal ground engaging plate
KR100683242B1 (ko) 2005-06-03 2007-02-15 주식회사 트렉스타 신발 밑창
US20070028484A1 (en) 2005-08-04 2007-02-08 Skechers U.S.A., Inc. Ii Shoe bottom heel portion
JP4886260B2 (ja) * 2005-09-28 2012-02-29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底の緩衝構造
US8074377B2 (en) 2005-10-20 2011-12-13 Asics Corporation Shoe sole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US8549774B2 (en) 2005-11-15 2013-10-08 Nike, Inc. Flexible shank for an article of footwear
AU2007238887B2 (en) 2006-04-14 2013-01-31 Ka Shek Neville Lee Article of footwear
US7685740B2 (en) 2006-07-13 2010-03-30 Nike, Inc. Dance shoe
US7578077B2 (en) 2006-12-18 2009-08-25 Michel Marc Shoe sole construction
US8056261B2 (en) 2007-07-20 2011-11-15 Wolverine World Wide, Inc. Footwear sole construction
US7954257B2 (en) * 2007-11-07 2011-06-07 Wolverine World Wide, Inc. Footwear construction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KR100849600B1 (ko) 2008-01-18 2008-07-31 (주)알와이엔코리아 연결판 생크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에어백미드솔 구조
US8943709B2 (en) 2008-11-06 2015-02-0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support columns having fluid-filled bladders
US8752306B2 (en) 2009-04-10 2014-06-17 Athletic Propulsion Labs LLC Shoes, devices for shoes, and methods of using shoes
US9055784B2 (en) * 2011-01-06 2015-06-1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a plate and chamb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802A (ko) * 2018-01-09 2019-07-17 황성달 접지력이 향상된 다목적 신발밑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75779A1 (en) 2014-03-20
IN2015DN02862A (ko) 2015-09-11
US20160360831A1 (en) 2016-12-15
EP2897482B1 (en) 2018-10-31
ZA201502649B (en) 2016-10-26
CN106263248A (zh) 2017-01-04
BR112015006180B1 (pt) 2020-12-15
WO2014046940A1 (en) 2014-03-27
ES2708431T3 (es) 2019-04-09
AU2013318385B2 (en) 2016-08-25
CN106263248B (zh) 2019-07-02
EP2897482A1 (en) 2015-07-29
US9456658B2 (en) 2016-10-04
CN104661547A (zh) 2015-05-27
JP2015529139A (ja) 2015-10-05
CN104661547B (zh) 2016-10-12
AU2013318385A1 (en) 2015-03-12
CA2884263C (en) 2017-06-13
EP3430933A1 (en) 2019-01-23
KR101811505B1 (ko) 2017-12-21
JP6076482B2 (ja) 2017-02-08
MX356222B (es) 2018-05-18
MX2015003650A (es) 2015-09-25
AU2016244231A1 (en) 2016-11-03
BR112015006180A2 (pt) 2017-07-04
CA2884263A1 (en) 2014-03-27
EP3430933B1 (en) 2020-07-15
AU2016244231B2 (en)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505B1 (ko) 플레이트 조절식 유체­충전 블레이더 및/또는 발포형 충격력 감쇠 부재를 갖는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 물품
KR101754006B1 (ko) 플레이트 조절식 유체­충전 블레이더 및/또는 발포형 충격력 감쇠 부재를 갖는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 물품
EP3114950B1 (en)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plate moderated fluid-filled bladders and/or foam type impact force attenuation members
US20190037964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Dynamic Edge Cavity Midsole
US20090139114A1 (en) Sole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EP3054803B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