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053A - 인큐베이터 및 인큐베이터 오염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인큐베이터 및 인큐베이터 오염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8053A
KR20150058053A KR1020140160847A KR20140160847A KR20150058053A KR 20150058053 A KR20150058053 A KR 20150058053A KR 1020140160847 A KR1020140160847 A KR 1020140160847A KR 20140160847 A KR20140160847 A KR 20140160847A KR 20150058053 A KR20150058053 A KR 20150058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upply
filter
culture space
decontamination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2659B1 (ko
Inventor
가즈히토 타니모토
Original Assignee
시부야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부야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부야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58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7/00Means for sterilizing, maintaining sterile conditions or avoiding chemical or biological contamination
    • C12M37/02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8Hydrogen per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52Mobile; Means for transporting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4Filters; Permeable or porous membranes or plates, e.g. di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20Degassing; Venting; Bubble tra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7/00Means for sterilizing, maintaining sterile conditions or avoiding chemical or biological contam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9/00Means for cleaning the apparatus or avoiding unwanted deposits of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C12M41/14Incubators; Climatic cha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인큐베이터는 환경 조정 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통로 내에 필터들을 포함한다. 분기 통로들은 상기 필터들로부터 상류측에 위치한 공급 통로들의 일부에 연결된다. 상기 분기 통로들은 펌프와 함께 제공되는 단일 공급/배기 통로에 수렴된다. 상기 펌프를 전방 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오염 제거 가스는 배양 공간으로부터 펌핑되고 외부로 방출되며, 개방 공기가 상기 배양 공간 내로 도입된다. 상기 오염 가스를 상기 필터 상에 흡착시키기 위해 상기 오염 가스를 흡인한 후에, 개방 공기가 도입되어 상기 오염 가스는 상기 배양 공간(6) 내로 방출된다.

Description

인큐베이터 및 인큐베이터 오염 제거 방법{INCUBATOR AND METHOD FOR DECONTAMINATING INCUBATOR}
본 발명은 배양될 세포와 같은 배양물을 수용하기 위한 배양 공간을 갖는 인큐베이터, 특히 필터를 통해 CO2 가스, N2 가스, 가습용수 등을 공급하는 인큐베이터, 및 상기 인큐베이터의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양 공간에서 세포, 미생물 등을 수용하여 배양을 수행하는 인큐베이터에 있어서는, 상기 인큐베이터 내부의 오염을 제거하고 세포들 등을 배양 공간에 수용하기 전에 무균 상태를 형성할 필요성을 갖는다. 따라서, 과산화수소 가스(H2O2 가스)와 같은 오염 제거 가스가 오염 제거 가스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배양 공간 내로 도입되어, 상기 배양 공간 내부의 오염을 제거하고 그의 무균 환경을 유지시킨다.
배양 세포 등을 위해 사용되는 인큐베이터에 있어서는, 미리 결정된 농도를 갖는 이산화탄소 가스(CO2 가스) 또는 질소 가스(N2 가스)가 세포 배양을 위한 배양 공간에 적합한 환경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인큐베이터에 제공된 배양 공간 내로 공급되며(일본특허 제4799221호 참조), 상기 배양 공간 내부를 일정한 습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가습용수가 상기 배양 공간 내로 공급된다(계류 중인 일본특허출원 제2011-160672호 참조).
멸균 필터가 CO2 가스, N2 가스, 및 가습용수 등(이후, 이들은 환경 조정 매체로 언급된다)을 상기 배양 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급 통로에 제공되어, 상기 환경 조정 매체가 상기 필터들을 통해 공급된다. 또한, 상기 배양 공간의 멸균을 유지시키기 위해, 이들 필터들은 멸균되야만 한다.
일본특허 제4799221호에 공개된 장치에 있어서는, 인큐베이터의 배양 공간 내측의 멸균이 아이솔레이터의 챔버 내측이 멸균될 때 동시에 수행된다. 즉, 오염 제거 가스는 상기 아이솔레이터와 상기 인큐베이터 사이의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아이솔레이터로부터 상기 인큐베이터 내로 도입된다. 이 때, 상기 배양 공간 내의 오염 제거 가스는 샘플링 파이프로부터 흡인되고, 분기 파이프들을 통해 CO2 가스 및 N2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들로 도입되어, 상기 공급 파이프들에 제공된 필터들을 멸균시킨다.
계류 중인 일본특허출원 제2011-160672호에 공개된 장치에 있어서는, 오염 제거 가스가 필터들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배양 공간으로부터 물 공급 통로로 흡인된다. 따라서, 샘플링 파이프와 같은 파이프를 제공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는, 오염 제거 가스를 멸균화시키기 위해서, 오염 제거 가스에 의해 멸균되는 필터가 오직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는 자외선에 의해서만 조사될 수 있다.
일본특허 제4799221호에 공개된 장치에 있어서는, 샘플링 회로가 CO2 가스 및 N2 가스용 공급 파이프들에 제공된 필터들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은 샘플링 회로가 제공될 필요가 없는 인큐베이터의 경우에 있어서, 샘플링 회로에 대응하는 파이프들이 멸균을 위해 개별적으로 제공되어야만 해서 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계류 중인 일본특허출원 제2011-160672호에 공개된 장치에 있어서는, 멸균된 필터들 상의 오염 제거 가스가 오직 자외선 램프를 사용함으로써 멸균되며, H2O2 가스가 상기 멸균된 필터들 상에 잔류한다. 만약 가습용수가 상기 필터들에 공급되면, H2O2 가스는 가습을 위해 물과 혼합되며, 또한 H2O2 가스는 배양 공간 내로 공급된 습기와 혼합될 수 있으므로, 배양 환경을 파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멸균 필터들을 갖는 오염 제거 가스가 필터들 상에 잔류하지 않으며 최적의 멸균 환경이 형성되는, 인큐베이터 및 상기 인큐베이터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큐베이터는 환경 조정 매체 공급 유닛, 오염 제거 가스 공급 유닛, 오염 제거 가스 흡인 유닛, 및 개방 공기(외기) 도입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환경 조정 매체 공급 유닛은 공급 통로를 가지며, 상기 공급 통로를 통해 저장소에 저장된 환경 조정 매체가 배양물을 수용하는 배양 공간으로 공급된다. 상기 환경 조정 매체 공급 유닛은 상기 배양 공간의 내부 환경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공급 통로에 배치된 필터를 통해 상기 환경 조정 매체를 상기 저장소로부터 상기 배양 공간으로 공급한다. 상기 오염 제거 가스 공급 유닛은 오염 제거 가스를 상기 배양 공간 내로 공급한다. 공급 통로 내의 필터로부터 상류측에 제공되는 상기 오염 제거 가스 흡인 유닛은 상기 오염 제거 가스를 상기 배양 공간 밖으로 흡인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후 상기 오염 제거 가스를 외부로 방출한다. 상기 공급 통로 내의 상기 필터로부터 상류측에 제공되는 개방 공기 도입 유닛은 개방 공기가 상기 공급 통로로 진입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배양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오염 제거 가스 흡인 유닛에 의해 흡인되고 상기 필터 상에 흡착되는 상기 오염 제거 가스는 상기 개방 공기 도입 유닛에 의해 도입되고 상기 배양 공간 내로 방출되는 개방 공기에 의해 역세정된다.
상기 오염 제거 가스 흡인 유닛 및 상기 개방 공기 도입 유닛은 예를 들어 상기 공급 통로 내의 상기 필터로부터 상류측 부분에 연결되는 단일 가스 공급/배기 통로, 및 상기 가스 공급/배기 통로에 제공되는 단일 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오염 제거 가스를 해독하기 위해 상기 가스 공급/배기 통로의 공급/배기 개구에 촉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경 조정 매체 공급 유닛 및 오염 제거 가스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인큐베이터 오염 제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환경 조정 매체 공급 유닛은 공급 통로를 가지며, 상기 공급 통로를 통해 저장소에 저장된 환경 조정 매체가 배양물을 수용하는 배양 공간으로 공급된다. 상기 환경 조정 매체는 상기 배양 공간의 내부 환경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공급 통로에 배치된 필터를 통해 상기 저장소로부터 상기 배양 공간으로 공급된다. 상기 오염 제거 가스 공급 유닛은 오염 제거 가스를 상기 배양 공간 내로 공급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공급 통로를 통해 상기 배양 공간 내로 공급된 오염 제거 가스를 흡인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후 상기 오염 제거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단계, 및 개방 공기가 상기 필터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로부터 상류측에 위치한 상기 공급 통로 내로 상기 개방 공기를 도입하여, 상기 필터 상에 흡착된 상기 오염 제거 가스를 상기 필터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배양 공간 내로 방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인큐베이터가 아이솔레이터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상기 인큐베이터의 환경 조정 매체 공급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회로 다이아그램.
도 3은 제 2 실시예의 인큐베이터의 환경 조정 매체 공급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회로 다이아그램.
도 4는 제 3 실시예의 인큐베이터의 환경 조정 매체 공급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회로 다이아그램.
본 발명은 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 1 실시예의 인큐베이터(2)는 금속 하우징(4) 내에 배양될 세포들과 같은 배양물을 수용하는 배양 공간(6)으로 구성된다.
상기 인큐베이터(2)는 무균성 연결 장치(8)를 통해 아이솔레이터(10)에 연결된다. 상기 아이솔레이터(10)는 내부에 작업 룸(14)을 가지며, 작업자가 글러브들(12)의 사용을 통해 상기 작업 룸(14)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으며, 상기 작업자는 상기 작업 룸(14)에 제공된 원심 분리기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여 배양물인 세포 등을 분리 및 추출시키기 위해 조작할 수 있다.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작업 룸(14)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창(18)이 상기 아이솔레이터(10)의 전방측에 제공된다. (점선으로 도시된) 도어(20)가 도 1의 상기 아이솔레이터(10)의 좌측 상에 제공되며, 상기 도어(20)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작업 룸(14)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인큐베이터(2)는 상기 무균성 연결 장치(8)를 통해 상기 도어(20)에 연결된다.
상기 작업 룸(14) 내부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오염 제거 가스(예를 들면, H2O2 가스)를 발생시키는 오염 제거 가스 발생 장치(22)가 아이솔레이터(10)에 내장된다. 오염 제거 가스의 수용액이 저장되는 컨테이너가 전방측에 제공된 도어(24)를 통해 상기 오염 제거 가스 발생 장치(22) 내로 삽입된다. 상기 오염 제거 가스 발생 장치(22)는 오염 제거 가스의 수용액을 상기 작업 룸(14) 내에 공급된 오염 제거 가스로 전환시킨다.
패스 박스(pass-box; 26)가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는 도어(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상기 작업 룸(14)에 연결된다.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동안, 무균성 컨테이너에 밀봉적으로 둘러싸인 배양 물질이 상기 패스 박스 내에 내장되며, 상기 오염 제거 가스는 상기 컨테이너를 멸균시키기 위해 오염 제거 가스 발생 장치(22)로부터 상기 패스 박스(26) 안으로 공급된다. 그 후, 상기 도어는 개방되고,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작업 룸(14) 안으로 이동된다. 다음에, 상기 배양 물질은 상기 작업 룸(14)에 있는 컨테이너로부터 픽업된다.
통기 필터 박스(28) 및 배기 필터 박스(30)가 상기 작업 룸(14)의 상부에 제공되며, HEPA 필터들(32 및 34)이 상기 통기 필터 박스(28) 및 상기 배기 필터 박스(30)에 내장된다. 상기 필터 박스들(28 및 30)에 제공되는 가스체는 상기 HEPA 필터들(32 및 34)을 통과함으로써 멸균된다.
상기 통기 필터 박스(28)는 통기 파이프(36)에 연결되며, 상기 통기 파이프에 펌프(38) 및 밸브(40)가 제공된다. 상기 펌프(38)를 구동시킴으로써, 통기 개구(42)를 통해 흡인된 공기는 촉매(44)를 통해 상기 통기 필터 박스(28)로 공급되고, 상기 HEPA 필터(32)를 통해 상기 작업 룸(14) 내로 공급된다. 상기 배기 필터 박스(30)는 배기 파이프(46)에 연결되며, 상기 배기 파이프에는 펌프(48) 및 밸브(50)가 제공된다. 상기 펌프(48)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HEPA 필터(34)를 통해 상기 작업 룸(14)으로부터 흡인된 가스체는 해독된 상태로 촉매(52)를 통해 배기 개구(54)로부터 방출된다.
상기 통기 시스템 및 배기 시스템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작업 룸(14)의 압력이 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 룸(14) 내의 압력은 박테리아 등이 상기 작업 룸(14) 내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압으로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오염 제거 가스 발생 장치(22)는 펌프(56) 및 밸브(58)를 통해 상기 통기 필터 박스(28)에 연결된다는 것을 주의하라.
상기 인큐베이터(2)에 형성된 배양 공간(6) 내부를 세포 배양에 적합한 환경으로 조정하기 위해, 상기 인큐베이터(2)에는 가스 공급 통로들(60 및 62) 및 가습용수 공급 통로(66)가 제공되며(도 2 참조), 상기 가스 공급 통로들을 통해 미리 결정된 농도의 이산화탄소 가스(CO2 가스) 및 질소 가스(N2 가스)가 공급되며, 상기 가습용수 공급 통로를 통해 가습용수가 상기 배양 공간(6) 내에 배치된 물 보유 트레이(water holding tray; 64)로 공급된다. CO2 가스, N2 가스, 및 가습용수(이후, 환경 조정 매체로 언급됨)를 공급하는 환경 조정 매체 공급 장치(68)가 도 1의 인큐베이터(2)의 좌측에 부착된다. 상기 배양 공간(6)에 상기 환경 조정 매체를 공급하는 상기 환경 조정 매체 공급 장치(68)에 포함된 공급 장치들(70, 72 및 74)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CO2 가스 공급 장치(70)는 상기 인큐베이터(2)의 배양 공간(6)에 CO2 가스 탱크(76)를 연결하는 CO2 가스 공급 통로(60)를 갖는다. 유량 조절 밸브(78) 및 HEPA 필터(80)가 상기 공급 통로(60)에 제공되며, CO2 가스는 상기 HEPA 필터(80)를 통해 상기 배양 공간(6) 내로 공급된다. 상기 N2 가스 공급 장치(72)는 상기 배양 공간(6)에 N2 가스 탱크(82)를 연결하는 N2 가스 공급 통로(62)를 갖는다. 유량 조절 밸브(84) 및 HEPA 필터(86)가 상기 N2 가스 공급 통로(62)에 제공되고, N2 가스는 상기 HEPA 필터(86)를 통해 상기 배양 공간(6) 내로 공급된다.
가습용수를 저장하는 물 저장소(물 보유 트레이; 64)가 상기 배양 공간(6)의 저부 상에 배치된다. 물 보유 트레이(64)가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음을 주의하라. 히터(88)가 상기 물 보유 트레이(64) 아래에 배치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가습용수 공급 장치(74)로부터 공급된 물은 상기 히터(88)에 의해 가열 및 증발되어, 상기 배양 공간(6)의 내부가 미리 결정된 습도로 유지된다.
상기 물 보유 트레이(64)로 가습용수를 공급하는 가습용수 공급 장치(74)는 상기 인큐베이터(2) 외측에 배치된 물 탱크(90)에 연결되는 가습용수 공급 통로(66)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4)의 측벽을 통과하고 또한 상기 배양 공간(6)에 삽입되는, 상기 가습용수 공급 통로(66)의 선단부(tip portion)는 상기 물 보유 트레이(64)의 상부면과 마주하는 물 공급 노즐(92)에 부착된다. 상기 가습용수 공급 통로(66)에는 펌프(94) 및 솔레노이드 밸브(95)가 제공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95)를 개방시키고 상기 펌프(94)를 구동시킴으로써 가습용수가 상기 물 보유 트레이(64)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인큐베이터(2)에 근접한) 상기 가습용수 공급 통로(66)의 최 하류부에는 HEPA 필터(96)가 제공된다. 상기 물 탱크(90)에 저장된 가습용수가 멸균수일 때, 상기 HEPA 필터(96)는 단순한 필터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하라.
각각, 상기 CO2 가스 공급 통로(60), N2 가스 공급 통로(62), 및 가습용수 공급 통로(66)에 위치한 HEPA 필터들(80, 86, 및 96)의 상류에는 분기 통로들(98, 100 및 102)이 제공된다. 이들 3개의 분기 통로들(98, 100 및 102)은 파이프 조인트(104)를 통해 단일 가스 공급/배기 통로(106)로 수렴된다. 상기 공급/배기 통로(106)에는 펌프(108)가 연결되고, 상기 펌프(108)의 작동에 의해 가스체가 상기 가스 공급 통로들(60 및 62) 및 상기 가습용수 공급 통로(66)로 공급되거나 또는 그들로부터 방출되고, 상기 분기 통로들(98, 100 및 102)에는 유량 조절 밸브들(110, 112, 및 114)이 제공된다. 상기 가스 공급/배기 통로(106)의 공급/배기 개구(106a)에는 촉매(116) 및 HEPA 필터(117)가 제공되어, 가스체가 상기 촉매(116) 및 상기 HEPA 필터(117)를 통해 공급 또는 배기된다.
상기 인큐베이터(2)의 배양 공간(6)에는 복수의 랙들(118)이 제공된다. 상기 랙들(118) 상에는 페트리 접시(petri dish)와 같은 배양 컨테이너들(120)이 위치되고, 세포들의 배양이 수행된다.
내부에 배양 공간(6)을 갖는 상기 인큐베이터(2)의 하우징(4) 및 상기 환경 조정 매체 공급 장치(68)는 캐스터들(122)을 갖는 핸드 트럭(124) 상에 배치되며, 상기 핸드 트럭(124)에 부착된 핸들(126)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어(128)가 폐쇄된 상태의 상기 인큐베이터(2)와 도어(20)가 폐쇄된 상태의 상기 아이솔레이터(10)는 상기 무균성 연결 장치(8)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 상태 하에서, 상기 인큐베이터(2)의 도어(128)와 상기 아이솔레이터(10)의 도어(20)는 개방되고, 따라서 상기 인큐베이터(2)의 배양 공간(6)과 상기 아이솔레이터(10)의 작업 룸(14) 사이를 연통시킨다.
비록 상기 무균성 연결 장치(8)가 일본특허출원 제2011-50289호에 공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 상에서는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무균성 연결 장치(8)는 주변 공기로부터 격리되는 연결 공간(130)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인큐베이터(2)의 도어(128)와 상기 아이솔레이터(10)의 도어(20)를 둘러싸는 밀봉 기구를 갖는다.
다음에 상기 인큐베이터(2)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인큐베이터(2)는 상기 도어(128)의 측면이 상기 무균성 연결 장치(8)를 통해 상기 아이솔레이터(10)의 도어(20)의 측면에 연결되는 위치 내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상태 하에서, 상기 아이솔레이터(10)의 도어(128) 및 도어(20)는 개방되고, 따라서 오염 제거 가스(H2O2 가스)가 상기 오염 제거 가스 발생 장치(22)로부터 상기 작업 룸(14) 내로 공급된다. 또한, 오염 제거 가스는 상기 배양 공간(6) 내부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아이솔레이터(10)로부터 상기 인큐베이터(2)의 배양 공간(6) 내부로 도입된다. 따라서, 상기 배양 공간(6) 내부의 오염을 제거할 때, 상기 공급/배기 통로(106)에 제공된 펌프(108)는 상기 배양 공간(6)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배양 공간(6) 내로 상기 오염 제거 가스를 흡인하도록 전방 방향으로 구동된다.
상기 공급/배기 통로(106)의 펌프(108)가 상기 배양 공간(6)의 내부로부터 기체를 흡인하기 위해 구동될 때, 상기 아이솔레이터(10)의 작업 룸(14)으로부터 상기 배양 공간(6) 내로 도입되는 오염 제거 가스는 각각의 분기 통로들(98, 100, 및 102)을 통해 각각의 환경 조정 매체를 위한 공급 통로들(즉, 상기 CO2 가스 공급 통로(60), N2 가스 공급 통로(62), 및 가습용수 공급 통로(66))을 통과하고, 다음에 상기 공급/배기 통로(106)에서 함께 유동한다; 따라서, 상기 H2O2 가스가 분해, 해독된 후 외부로 방출된다. 이 때, 상기 오염 제거 가스가 각각의 공급 통로들(60, 62, 및 66)에서 상기 인큐베이터(2) 측면 상에 제공되는 HEPA 필터들(80, 86, 및 96)을 관통하므로, 상기 HEPA 필터들(80, 86, 및 96) 각각은 상기 오염 제거 가스를 흡착함으로써 오염 제거된다.
그 후, 상기 오염 제거 가스 발생 장치(22)로부터의 오염 제거 가스의 공급이 정지되고, 상기 아이솔레이터(10)의 펌프(38)가 개방 공기를 HEPA 필터(32)를 통해 상기 작업 룸(14) 안으로 도입시키기 위해 구동되며, 그에 따라 상기 개방 공기는 멸균되어, 상기 오염 제거 가스는 상기 작업 룸(14)으로부터 방출된다(즉, 통기). 상기 멸균된 공기는 또한 상기 인큐베이터(2)의 배양 공간(6) 내로 도입되고, 따라서 상기 상기 오염 제거 가스가 상기 배양 공간(6)으로부터 방출되도록 통기가 수행된다. 이 때, 상기 환경 조정 매체 공급 장치(68)의 공급 통로들(60, 62, 및 66) 각각에 연결된, 상기 공급/배기 통로(106)의 펌프(108)가 상기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개방 공기가 상기 배양 공간(6) 내로 도입된다. 상기 펌프(108)에 의해 공급된 개방 공기는 상기 분기 통로들(98, 100, 및 102) 각각으로부터 상기 공급 통로들(60, 62, 및 66) 각각으로 유동하고, 상기 공급 통로들(60, 62, 및 66) 각각의 하류에 제공된 HEPA 필터들(80, 86, 및 96)을 관통한 다음, 상기 배양 공간(6)으로 진입한다. 그로 인해, 상기 배양 공간(6)의 오염을 제거할 때 상기 HEPA 필터들(80, 86, 및 96) 상에 흡착된 오염 제거 가스는 개방 공기에 의해 역세정되고 상기 HEPA 필터들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배양 공간(6) 내로 방출된다.
서로 연결된 상기 아이솔레이터(10)의 작업 룸(14)과 상기 인큐베이터(2)의 배양 공간(6)에 대한 오염 제거 및 통기를 실행한 후, 상기 작업 룸(14)에서 미리 결정된 작업을 겪게 되는 세포들과 같은 배양물은 컨테이너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인큐베이터(2)의 배양 공간(6)에 수용된다.
세포 등이 위치된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아이솔레이터(10)의 작업 룸(14)으로부터 상기 인큐베이터(2)의 배양 공간(6)으로 이동된 후, 상기 인큐베이터(2)의 도어(128)는 상기 작업 룸(14)으로부터 폐쇄된다. 상기 배양 공간(6)이 완전 밀폐된 상태 하에, 물이 가습용수 공급 장치(74)로부터 상기 물 보유 트레이(64)로 공급되고, 상기 히터(88)가 작동되어 상기 배양 공간(6) 내의 습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 하에서 상승된다. 또한, 환경 조정 매체를 구성하는 CO2 가스 및 N2 가스가 상기 환경 조정 매체 공급 장치(68)의 CO2 가스 공급 장치(70) 및 N2 가스 공급 장치(72)로부터 상기 배양 공간(6)으로 공급되어, 상기 CO2 가스 및 N2 가스는 세포들의 배양을 가능하게 하는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미리 결정된 수준으로 상기 배양 공간(6) 내에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도어(128)가 폐쇄된 후에, 상기 인큐베이터(2)는 상기 아이솔레이터(10)로부터 분리되고 미리 결정된 위치로 이동된다. 일단,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상기 배양 공간(6) 내의 환경이 유지되는 동안 배양이 실행되면, 상기 인큐베이터(2)는 이동되고 다시 상기 아이솔레이터(10)에 연결되고, 배양된 세포 등은 상기 인큐베이터(2)의 배양 공간(6)으로부터 상기 아이솔레이터(10)의 작업 룸(14) 내로 이동되며, 여기서 상기 세포 등은 상기 작업 룸(14)에서 멸균된 컨테이너에 둘러싸여질 수 있다.
도 3은 제 2 실시예에 대한 인큐베이터(202)를 도시한다.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인큐베이터(202)의 배양 공간(206) 내측의 오염을 제거할 때, 환경 조정 매체 공급 장치(268)의 공급 통로들(260, 262, 및 266) 각각의 하류 단부들에 제공된 HEPA 필터들(280, 286, 296)은 오염이 제거되고, 다음에 상기 HEPA 필터들(280, 286, 296)로부터 오염 제거 가스가 제거된다. 그러나, 본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배양 공간(206)으로부터의 오염 제거 가스의 흡인 및 상기 배양 공간(206) 내로의 개방 공기의 도입에 사용된 배관의 구조가 다르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급 통로들(260, 262, 및 266)의 (상기 인큐베이터(202)에 근접 위치된) 하류 단부들에는 상기 HEPA 필터들(280, 286, 296)과 함께 환경 조정 매체 공급 장치(268)를 형성하는 CO2 가스 공급 장치(270), N2 가스 공급 장치(272), 및 가습용수 공급 장치(274)가 제공된다. 또한, 분기 통로들(298, 300, 및 302)이 상기 공급 통로들(260, 262, 및 266)에 연결되고, 교차 조인트(304)를 통해 단일 가스 공급/배기 통로(306) 내로 수렴된다. 상기 분기 통로들(298, 300, 및 302)에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유량 조절 밸브들(310, 312, 및 314)이 제공된다.
비록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단일 공급/배기 통로(106)가 공급/배기 개구(106a)로 직접 연장한다 할지라도, 본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펌프(308)가 제공되고, 바이패스 통로들(336, 340)이 촉매(316) 및 HEPA 필터(317)를 통해 공급/배기 개구(330a)에 연결되는 주 통로(330)에 연결된다. 상기 주 통로(330)에는 (상기 펌프(308)와 촉매(316) 사이의) 상기 펌프(308) 상류에 위치하는 제 1 밸브(332) 및 (상기 펌프(308)와 상기 교차 조인트(304) 사이의) 상기 펌프(308) 하류에 위치하는 제 2 밸브(334)가 제공된다. 상기 제 2 밸브(334) 및 상기 파이프 조인트(304) 사이의 부분과 상기 펌프(308) 및 상기 제 1 밸브(332) 사이의 부분을 연통하는 상기 제 1 바이패스 통로(336)에는 제 3 밸브(338)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펌프(308) 및 상기 제 2 밸브(334) 사이의 부분과 상기 제 1 밸브(332) 및 상기 촉매(316) 사이의 부분을 연통하는 상기 제 2 바이패스 통로(340)가 제공되고, 제 4 밸브(342)가 상기 제 2 바이패스 통로(340)에 제공된다.
상기 펌프(308)의 회전 방향은 일정하며, 가스체를 항상 화살표(A)가 지시하는 하류 방향으로 공급하고, 상기 배양 공간(206)으로부터 오염 제거 가스의 흡인 및 상기 배양 공간(206) 내로의 개방 공기의 공급은 상기 밸브들(332, 334, 338, 및 342) 각각을 개방 및 폐쇄시킴으로써 변화된다.
상기 인큐베이터(202)의 배양 공간(206) 내부를 오염 제거할 때, 상기 주 통로(330) 상에 제공된 상기 제 1 밸브(332) 및 상기 제 2 밸브(334)는 폐쇄되고, 상기 제 1 바이패스 통로(336)의 제 3 밸브(338) 및 상기 제 2 바이패스 통로(340)의 제 4 밸브(342)는 개방된다. 만약, 상기 펌프(308)가 이 상태로 구동될 경우, 상기 배양 공간(206)으로부터 흡인된 오염 제거 가스는 상기 공급 통로들(260, 262, 및 266) 및 상기 분기 통로들(298, 300, 및 302)로부터 상기 가스 공급/배기 통로(306) 내로 유동한다. 그러나, 상기 주 통로(330)의 상기 제 1 밸브(332) 및 상기 제 2 밸브(334)가 폐쇄되므로, 상기 오염 제거 가스는 상기 바이패스 통로(336), 펌프(308)가 제공된 상기 주 통로(330)의 일부, 및 상기 제 2 바이패스 통로(340)를 통과하고, 상기 촉매(316) 및 HEPA 필터(317)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 경우, 상기 오염 제거 가스는 상기 공급 통로들(260, 262, 및 266)의 HEPA 필터들(280, 286, 및 296)을 통과하며, 따라서 상기 HEPA 필터들(280, 286, 및 296)은 오염이 제거된다.
상기 배양 공간(206)의 오염 제거가 완료된 후, 상기 시스템은 상기 주 통로(330)의 제 1 밸브(332) 및 제 2 밸브(334)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 1 바이패스 통로(336)의 제 3 밸브(338) 및 상기 제 2 바이패스 통로(340)의 제 4 밸브(342)를 폐쇄시키고, 또한 상기 펌프(308)를 구동시킴으로써 통기될 수 있다. 비록 상기 펌프(308)로부터의 가스체의 방출 방향(A)이 일정하다 할지라도, 상기 촉매(316) 및 HEPA 필터(317)를 통과함으로써 멸균되는, 상기 공급/배기 개구(330a)로부터 도입되는 개방 공기는 상기 주 통로(330)를 통해 상기 가스 공급/배기 통로(306)로부터 상기 분기 통로들(298, 300, 및 302) 안을 통과하며, 또한 상기 HEPA 필터들(280, 286, 및 296)을 통해 상기 공급 통로들(260, 262, 및 266) 내로 유동하여 상기 배양 공간(206)으로 진입한다. 따라서, 개방 공기는 상기 HEPA 필터들(280, 286, 및 296)을 통해 상기 배양 공간(206) 내로 공급되고, 따라서 상기 HEPA 필터들(280, 286, 및 296) 상에 흡착된 오염 제거 가스는 그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배양 공간(206) 내로 방출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이솔레이터(10)에 제공된 오염 제거 가스 발생 장치(22)로부터 상기 작업 룸(14) 안으로 공급되는 오염 제거 가스는 상기 배양 공간(6)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작업 룸(14)에 연결된 상기 배양 공간(6) 안으로 도입된다는 사실에 주의하라. 역으로,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3의 상부 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솔레이터(10)의 오염 제거 가스 발생 장치(202)가 상기 인큐베이터(202)에 연결될 수 있어서, 오염 제거는 상기 아이솔레이터(10)의 도어(328)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상기 아이솔레이터(10)의 작업 룸(14) 및 상기 인큐베이터(202)의 배양 공간(206)에서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오염 제거 가스 발생 장치가 상기 아이솔레이터(10)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인큐베이터(20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에 의하여도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아이솔레이터 및 상기 오염 제거 가스 공급 장치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들을 사용하여 설명되었음에 주의하라.
도 4는, 오염 제거 및 통기를 위한 배관이 별도로 제공되는, 제 3 실시예의 인큐베이터(402)의 오염 제거 및 통기를 위한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2개의 분기 파이프들이 환경 조정 매체 공급 장치(468)의 CO2 가스 공급 장치(470), N2 가스 공급 통로(472), 및 가습용수 공급 장치(474)에 연결된 공급 통로들(460, 462, 및 466)의 HEPA 필터들(480, 486, 및 496)의 상류 부분에 제공된다.
오염 제거를 위해 제공되는, (도 4의 상향으로 연장하는) 3개의 분기 통로들(498, 500, 및 502)로 이루어진 하나의 그룹이 상기 공급 통로들(460, 462, 및 466)에 연결되고 또한 교차 조인트(404)를 통해 단일 배기 통로(506)로 수렴된다. 오염 제거 펌프(408)가 상기 배기 통로(506)에 연결되며 촉매(416)가 배기 개구(506a)의 측면 상에 제공된다. 통기를 위해 제공되는, (도 4의 하향으로 연장하는) 3개의 분기 통로들(499, 501, 및 503)로 이루어진 다른 그룹이 상기 공급 통로들(460, 462, 및 466)에 연결되고 또한 교차 조인트(405)를 통해 단일 통기 통로(407)로 수렴된다. 상기 통기 통로(407)에는 통기 펌프(409) 및 HEPA 필터(411)가 제공되며, 개방 공기가 상기 펌프(409)를 구동시킴으로써 흡입 개구(407a)를 통해 흡인된다. 상기 분기 통로들(498, 500, 502, 499, 501, 및 503)에는 유량 조절 밸브들(510, 512, 514, 511, 513, 및 515)이 제공된다.
상기 인큐베이터(402)의 배양 공간(406) 내부의 오염을 제거할 때, 상기 오염 제거 가스가 오염 제거 공급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상기 배양 공간(406) 으로 공급되며, 상기 오염 제거 펌프(408)는 오염 제거 가스를 상기 배양 공간(406) 외부로 흡인한다. 상기 배양 공간(6) 외부로 펌핑된 오염 제거 가스는 공급 통로들(460, 462, 및 464)에 연결된 HEPA 필터들(480, 486, 및 496)를 통과하고, 상기 분기 통로들(498, 500, 및 502)로 진입된다. 다음에, 상기 오염 제거 가스는 파이프 조인트(404)를 통해 상기 배기 통로(506)로 수렴되고, 상기 배기 개구(506a)를 통해 방출되기 전에 상기 촉매(416)를 통과함으로써 해독된다.
상기 배양 공간(406)의 통기가 실행될 때, 상기 통기 펌프(409)가 구동되고, 따라서 상기 HEPA 필터(411)에 의해 멸균된 개방 공기가 상기 분기 통로들(499, 501, 및 503)로 공급된다. 다음에, 개방 공기는 상기 공급 통로들(460, 462, 및 466)을 통과하고, 상기 배양 공간(406)에 공급되어, 통기가 실행된다. 이 때, 개방 공기는 상기 공급 통로들(460, 462, 및 466)에 연결된 HEPA 필터들(480, 486, 및 496)을 통과하여, 이들 HEPA 필터들(480, 486, 및 496) 상에 흡착된 상기 오염 가스가 그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배양 공간(406) 안으로 방출된다. 본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들과 동일한 효과들이 얻어진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다 할지라도, 당업자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Claims (4)

  1. 인큐베이터에 있어서,
    공급 통로를 갖는 환경 조정 매체 공급 유닛으로서, 상기 공급 통로를 통해 저장소에 저장된 환경 조정 매체가 배양물을 수용하는 배양 공간으로 공급되며, 상기 배양 공간의 내부 환경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공급 통로에 배치된 필터를 통해 상기 환경 조정 매체를 상기 저장소로부터 상기 배양 공간으로 공급하는 상기 환경 조정 매체 공급 유닛;
    오염 제거 가스를 상기 배양 공간 내로 공급하는 오염 제거 가스 공급 유닛;
    상기 오염 제거 가스를 상기 배양 공간 밖으로 흡인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후 상기 오염 제거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상기 공급 통로 내의 상기 필터로부터 상류측에 제공되는 오염 제거 가스 흡인 유닛; 및
    개방 공기가 상기 공급 통로로 진입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배양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 통로 내의 상기 필터로부터 상류측에 제공되는 개방 공기 도입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오염 제거 가스 흡인 유닛에 의해 흡인되고 상기 필터 상에 흡착되는 상기 오염 제거 가스는 상기 개방 공기 도입 유닛에 의해 도입되고 상기 배양 공간 내로 방출되는 상기 개방 공기에 의해 역세정되는, 인큐베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제거 가스 흡인 유닛 및 상기 개방 공기 도입 유닛은 상기 공급 통로 내의 상기 필터로부터 상류측 부분에 연결되는 단일 가스 공급/배기 통로, 및 상기 가스 공급/배기 통로에 제공되는 단일 펌프를 포함하는, 인큐베이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제거 가스를 해독하기 위해 상기 가스 공급/배기 통로의 공급/배기 개구에 촉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인큐베이터.
  4. 환경 조정 매체 공급 유닛 및 오염 제거 가스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인큐베이터 오염 제거 방법으로서, 상기 환경 조정 매체 공급 유닛은 공급 통로를 가지며, 상기 공급 통로를 통해 저장소에 저장된 환경 조정 매체가 배양물을 수용하는 배양 공간으로 공급되며, 상기 배양 공간의 내부 환경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공급 통로에 배치된 필터를 통해 상기 환경 조정 매체를 상기 저장소로부터 상기 배양 공간으로 공급하고, 상기 오염 제거 가스 공급 유닛은 오염 제거 가스를 상기 배양 공간 내로 공급하는, 상기 인큐베이터 오염 제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급 통로를 통해 상기 배양 공간 내로 공급된 오염 제거 가스를 흡인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후 상기 오염 제거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단계; 및
    개방 공기가 상기 필터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로부터 상류측에 위치한 상기 공급 통로 내로 상기 개방 공기를 도입하여, 상기 필터 상에 흡착된 상기 오염 제거 가스를 상기 필터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배양 공간 내로 방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큐베이터 오염 제거 방법.
KR1020140160847A 2013-11-18 2014-11-18 인큐베이터 및 인큐베이터 오염 제거 방법 KR102262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37995A JP6271224B2 (ja) 2013-11-18 2013-11-18 インキュベータおよびインキュベータの除染方法
JPJP-P-2013-237995 2013-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053A true KR20150058053A (ko) 2015-05-28
KR102262659B1 KR102262659B1 (ko) 2021-06-10

Family

ID=52133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847A KR102262659B1 (ko) 2013-11-18 2014-11-18 인큐베이터 및 인큐베이터 오염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22066B2 (ko)
EP (1) EP2873724A1 (ko)
JP (1) JP6271224B2 (ko)
KR (1) KR1022626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13344B2 (ja) * 2016-05-09 2020-06-24 株式会社エアレックス インキュベータ
JP6786872B2 (ja) * 2016-05-19 2020-11-18 澁谷工業株式会社 アイソレータシステム
JP6898552B2 (ja) * 2017-05-01 2021-07-07 澁谷工業株式会社 アイソレータシステムのエアレーション方法
WO2019040676A1 (en) * 2017-08-22 2019-02-28 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CELL SERIES, UNDER REGULATED ATMOSPHERE, IN A WATERPROOF SYSTEM
JP7390833B2 (ja) 2019-09-24 2023-12-04 清水建設株式会社 細胞培養施設の空気調節システム及び細胞培養施設の空気調節方法
JP6870873B2 (ja) * 2020-03-12 2021-05-12 株式会社エアレックス インキュベータ
DE102020126038A1 (de) * 2020-07-16 2022-01-20 S-Biosystems Gmbh Vorrichtung zur Gewährleistung einer sterilen Umgebung für die Inkubation von Zellkulturen
CN114395472B (zh) * 2022-02-12 2023-12-08 南通大学 一种临床医学用医疗活菌培养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6538A (ko) * 2006-03-06 2008-12-08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아이솔레이터용 인큐베이터
KR20110090826A (ko) * 2010-02-04 2011-08-10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인큐베이터
KR20120122877A (ko) * 2011-04-28 2012-11-07 파나소닉 헬스케어 주식회사 아이솔레이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4569A (ja) * 1995-12-13 1997-06-17 Fujiwara Techno Art:Kk 雑菌数低減固体培養方法
EP2210618B8 (en) 2009-01-26 2013-06-26 Panasonic Healthcare Co., Ltd. Isolator
JP5626507B2 (ja) 2009-08-31 2014-11-19 澁谷工業株式会社 接続装置
JP5559737B2 (ja) * 2011-04-28 2014-07-23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株式会社 アイソレータ
JP5823727B2 (ja) 2011-04-28 2015-11-25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アイソレ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6538A (ko) * 2006-03-06 2008-12-08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아이솔레이터용 인큐베이터
KR20110090826A (ko) * 2010-02-04 2011-08-10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인큐베이터
KR20120122877A (ko) * 2011-04-28 2012-11-07 파나소닉 헬스케어 주식회사 아이솔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39855A1 (en) 2015-05-21
JP2015097480A (ja) 2015-05-28
JP6271224B2 (ja) 2018-01-31
KR102262659B1 (ko) 2021-06-10
US9222066B2 (en) 2015-12-29
EP2873724A1 (en)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2659B1 (ko) 인큐베이터 및 인큐베이터 오염 제거 방법
JP5587629B2 (ja) インキュベーター
US9086225B2 (en) Isolator system
CN101400779B (zh) 隔离器用培养箱
JP5462025B2 (ja) アイソレータおよび細胞自動培養装置、ならびにアイソレータの滅菌処理方法
JP4924570B2 (ja) アイソレータシステム
KR102316664B1 (ko) 무균 작업 시스템
US20110027146A1 (en) Sterilizer
WO2019012696A1 (ja) 安全キャビネットおよびその滅菌方法
JP6471853B2 (ja) インキュベータ
JP3203002U (ja) 細胞培養システム
CN213431947U (zh) 一种口罩快速消毒复用装置
CN211367554U (zh) 一种二氧化碳培养箱气源管路原位灭菌装置
WO2017090773A1 (ja) 細胞培養システム及び滅菌方法
CN214385752U (zh) 一种气调杀虫消毒系统
JP2018148846A (ja) 培養容器運搬装置
WO20230736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apid and sterile transfer of a vial into an isolator
CN115672412A (zh) 一种厌氧无菌操作设备
JPH0246235A (ja) 植物培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