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669A - 의료용 보호밴드 - Google Patents

의료용 보호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669A
KR20150057669A KR1020130141327A KR20130141327A KR20150057669A KR 20150057669 A KR20150057669 A KR 20150057669A KR 1020130141327 A KR1020130141327 A KR 1020130141327A KR 20130141327 A KR20130141327 A KR 20130141327A KR 20150057669 A KR20150057669 A KR 20150057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ixed
band
fastening portion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병우
황준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to KR1020130141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7669A/ko
Publication of KR20150057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6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1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knees
    • A61F13/062Openable re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2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석침, 지압침, 지압봉 등 의료기구의 삽입 및 부착이 용이하며 사용시 착용감을 개선한 의료용 보호밴드에 관한 것으로, 탄력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앞면과 뒷면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 중앙의 일부 영역이 관통된 개구부; 상기 몸체의 관통된 부분을 상기 개구부에서 방사 방향으로 절개하여 상기 개구부로부터 연장된 개구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에 의해 절개된 부분을 적어도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용 보호밴드{Medical protection band}
본 발명은 의료용 보호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석침, 지압침, 지압봉 등 의료기구의 삽입 및 부착이 용이하며 사용시 착용감을 개선한 의료용 보호밴드에 관한 것이다.
자기요법은, 자장을 이용하여 수족, 장기 및 신체의 해당 부분에 치료적/회복적 처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자기요법이 달성되는 수단은, 하나의 자석 또는 일련의 자석을 대상이 되는 신체의 부분 또는 장기에 부착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한 종래 자기밴드는, 밴드 본체 내측의 적당 개소에 복수 개의 자석을 부착시켜 사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자기밴드는, 자석을 한번 고정한 이후에 위치를 옮겨 재부착하기 위해서는 신체에 부착한 자기밴드를 푼 다음 가능하였다. 즉, 자석의 위치를 재조정한 다음 착용하는 행위를 여러 번 반복해야 원하는 부위에 자석이 오도록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종래 자기밴드는 무릎에 착용하였을 때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견고함을 가지면서 무릎 부위를 조여주는 재질을 사용하는데 관절 부위가 고정되어 있어서 강한 압박으로 인한 관절 부위에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절 부위가 노출되도록 관통홀을 형성하는 동시에 관통홀 주변으로 절개부를 구비함으로써 자석침, 지압침, 지압봉 등 의료기구의 삽입 및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감을 더욱 개선할 수 있는 의료용 보호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탄력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앞면과 뒷면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 중앙의 일부 영역이 관통된 개구부; 상기 몸체의 관통된 부분을 상기 개구부에서 방사 방향으로 절개하여 상기 개구부로부터 연장된 개구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에 의해 절개된 부분을 적어도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보호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탄력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앞면과 뒷면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 중앙의 일부 영역이 관통된 개구부; 상기 몸체의 관통된 부분을 상기 개구부에서 방사 방향으로 절개하여 상기 개구부로부터 연장된 개구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 상기 절개부에 의해 절개된 부분을 적어도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몸체의 뒷면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자석침;을 포함하는 의료용 보호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의료용 보호밴드는,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앞면의 상부 및 하부의 가로변을 따라 각각 위치하는 제1 및 제2 체결부; 및 상기 앞면의 적어도 일측 세로변에 일단이 고정되며 고정된 일단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타단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와 결착되는 제3 및 제4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의료용 보호밴드의 몸체가 양측 가로변이 연결되어 관통된 구조의 원통형상이며, 탄력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의료용 보호밴드는, 상기 몸체의 뒷면에 탈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석침, 지압침, 지압봉 등 의료기구의 삽입 및 위치 조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감이 뛰어나고 사용자가 활동할 때 거동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보호밴드에 자석침을 부착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보호밴드의 실제 착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의료용 보호밴드의 실제 착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의료용 보호밴드의 실제 착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의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의료용 보호밴드의 고정부를 통해 자석침을 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후면도이다.
도 1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1)는, 앞면(11)과 뒷면(13)으로 이루어진 몸체(10)와, 몸체(10)의 중앙 일부 영역이 개방된 개구부(15)와, 상기 개구부(13)로부터 방사상으로 소정 길이만큼 몸체(10)의 중앙 부분을 절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17)와, 절개부(17)에 의해 절개된 몸체 부분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10)는, 앞면(11)의 상단 및 하단의 일부 영역, 즉, 상, 하단의 가로변을 따라 위치하는 제1 및 제2 체결부(31, 33)와, 몸체(10)의 일측의 세로변에 일단이 고정되며 고정된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31, 33)와 각각 결합하는 제3 및 제4 체결부(41, 4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10)는, 앞면(11)과 뒷면(13)으로 이루어지는데, 한 겹의 원단에 의해 구성되거나, 두 겹 이상의 원단이 결합된 구조를 통해 앞면과 뒷면이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두 겹 이상의 원단이 결합된 구조의 경우, 몸체는 두 겹 이상의 원단이 박음질 또는 접착에 의한 결합으로 내부 공간이 생길 수 있으며, 내부 공간 안에 자석침, 지압침, 지압봉 등 의료기구가 수납되어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의료기구가 직접 신체에 접촉되지 않아 접촉에 의한 상처 또는 압박이 반감되어 착용감이 더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10)는 고탄력의 소재를 이용하여 직조된 밴드일 수 있으며, 몸체(10)의 앞면(11)과 뒷면(13)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거나 서로 다른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10)의 앞면(11)에는, 갈고리가 빽빽하게 형성된 벨크로 후크로 구성된 제1 및 제2 체결부(31, 33)가 상단 및 하단의 가로변을 따라 각각 부착되어 있다.
몸체(10)의 뒷면(13)은, 신체의 굴곡하는 부분, 예를 들어, 무릎, 팔꿈치, 어깨 등에 착용되어 신체와의 접촉면을 제공한다. 여기서, 접촉면은,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면서 탈부착형 의료기구가 부착될 수 있도록 원형고리가 빽빽하게 형성된 벨크로 루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0)의 세로변에는, 벨크로 후크와 결합하는 원형고리가 빽빽하게 형성된 벨크로 루프로 구성된 제3 및 제4 체결부(41, 43)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3 체결부(41)는 일단이 제1 체결부(31)와 연장되는 위치의 세로변에 고정되며, 고정된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타단이 형성된다. 이때, 제3 체결부(41)의 타단은 신체를 휘감은 뒤 제1 체결부(31)와 결합될 수 있는 길이 만큼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제4 체결부(43)는 일단이 제2 체결부(33)와 연장되는 위치의 세로변에 고정되며, 고정된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타단이 형성된다. 이때, 제4 체결부(43)의 타단은 신체를 휘감은 뒤 제2 체결부(33)와 결합될 수 있는 길이 만큼 연장된다.
그리고, 몸체(10)의 중앙에는, 관절 부분이 노출되도록 개구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의료용 보호밴드를 신체의 굴곡하는 부분에 착용시 개구부(15)를 통해 무릎, 팔꿈치, 어깨 등 관절 부분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관절의 움직임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개구부(15)를 원형의 구멍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절 부분을 효과적으로 노출할 수 있다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0)의 중앙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절개부(17)는 몸체의 중앙 부분을 방사 방향으로 절개하여 개방 영역을 형성하며 이에 의해 개구부(15)가 방사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절개부(17)는, 몸체(10)의 중앙 부분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데, 예를 들어, 하나의 절개부는 몸체의 중앙 부분을 소정 길이만큼 방사 방향으로 절개하는 것에 의해 두 영역으로 분할하고 두 개의 절개부는 같은 방식으로 몸체의 중앙 부분을 세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17)를 통해 관절의 노출 부위가 확장됨으로써 관절의 움직임이 더욱 자연스러울 수 있어 착용감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착용 상태에서 의료기구의 삽입 및 부착이 용이할 수 있다.
덧붙여, 몸체(10)의 중앙 부분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용이를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절개부가 형성된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가 형성되면 된다.
몸체(10)의 중앙 부분은 하나의 개구부(15)와 4개의 절개부(17a, 17b, 17c, 17d)에 의해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는데, 제1 절개부(17a)와 이와 인접한 제4 절개부(17d)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영역(19a)과, 제1 절개부(17b)와 이와 인접한 제2 절개부(17b)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영역(19b)과, 제2 절개부(17b)와 이와 인접한 제3 절개부(17c)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19c)과, 제3 절개부(17c)와 제4 절개부(17d) 사이에 위치하는 제4 영역(19d)으로 이루어진다.
각 절개부(17a, 17b, 17c, 17d)는, 제1 절취선 및 제2 절취선으로 이루어지며, 제1 및 제2 절취선은 겹쳐지거나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1 절개부(17a)는 제1 절취선(171) 및 제2 절취선(172)으로 이루어지며, 고정부(20)에 의해 최초 고정된 상태가 제1 및 제2 절취선(171, 172)이 겹쳐진 형태일 수 있으며 신체 착용에 의해 고정부(20)가 늘어나게 되면서 제1 및 제2 절취선(171, 172)이 이격되게 되어 벌어지는 간격의 폭이 확장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절취선(171, 172)이 서로 이격되어 벌어짐에 따라 노출되는 영역은 개구부(15)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각 절개부(17a 내지 17d)에 의해 노출되는 영역은 개구부(15)로부터 연장된 개구 영역이다.
개구부(15)는, 절개부들(17a 내지 17d)과 제1 내지 제4 영역(19a, 19b, 19c, 19d)에 의해 정의된다. 즉, 개구부(15)는 절개부(17)의 절취선들과 제1 영역(19a)의 제1 개구선(151)과, 제2 영역(19b)의 제2 개구선(152)과, 제3 영역(19c)의 제3 개구선(153)과, 제4 영역(19d)의 제4 개구선(154)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체결부(31, 33)는, 개구부(15)를 사이에 두고 몸체(10)의 상, 하단의 가로변을 따라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체결부(31, 33)는, 갈고리가 빽빽하게 형성된 벨크로 후크로 구성된 접착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3 및 제4 체결부(41, 43)는, 제1 및 제2 체결부(31, 33)와 각각 결착되는 체결수단으로, 몸체(10)의 일측 세로변에 일단이 고정되며 고정된 일단으로부터 제1 및 제2 체결부(31, 33)와 동일 직선상으로 연장되도록 타단이 형성된 띠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제3 및 제4 체결부(41, 43)는 서로 다른 세로변에서 대각선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및 제4 체결부(41, 43)는, 제1 및 제2 체결부(31, 33)의 벨크로 후크와 결착되도록 원형고리가 빽빽하게 형성된 벨크로 루프로 구성된 접착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고정부(20)는, 절개부(17)에 의해 분할된 영역들을 고정하기 위해, 개구부(15)를 형성하는 개구선(151 내지 154)을 따라 끝단을 가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진 링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도 1의 (b)의 부분 확대도를 참조하면, 링 형태의 고정부(20)는 절개부에 의해 분할된 영역(19d)의 끝단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홈을 구비한 구조일 수 있으며, 탄성 소재, 예를 들어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20)는, 분할된 영역(19d)의 끝단이 끼워지고 접착제 또는 박음질 등의 방법으로 고정부의 홈에 끝단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20)와 분할된 영역의 끝단이 고정되는 영역은 상기 끝단이 고정부의 홈에 끼워지는 영역 중 일부 영역만 고정될 수 있는데, 고정부가 상기 끝단과 고정되지 않은 영역을 둠으로써 신체의 착용이나 절개부의 들어 올려짐에 의해 고정부가 늘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1)는, 혈액순환 등의 치료를 위해 의료기구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의료기구는 자석침, 지압침, 지압봉 등 신체의 치료에 이용되는 기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1)에서, 몸체(10)의 뒷면(13)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침을 부착할 수 있다. 이때, 몸체(10)의 뒷면(13)은, 원형고리가 빽빽하게 형성된 벨크로 루프로 구성된 접착면을 제공하며, 자석침의 바닥면에는 갈고리가 빽빽하게 형성된 벨크로 후크로 구성된 접착면을 제공한다. 이때, 자석침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1)를 착용한 상태에서, 절개부(17)를 통해 자석침을 몸체의 뒷면(13)에 삽입하여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1)는, 개구부(15) 및 절개부(17)를 통해 굴곡이 있는 신체 부위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여 착용감을 개선하는 동시에, 자석침과 같은 의료기구의 삽입 및 위치 조정이 용이하도록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보호밴드에 자석침을 부착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보호밴드에 자석침을 부착한 구성도, (b)는 자석침의 사시도, (c)는 정면도 및 A에 따른 절단 측면도이다.
도 2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1)의 몸체 뒷면(13)은 착용시 부드러운 촉감을 주어야 하므로, 원형고리가 형성된 벨크로 루프로 구성된 접착면으로 형성되고, 접착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침(50)이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석침이 몸체 뒷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압침, 지압봉 등 다른 의료기구가 부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자석침(50)은, 몸체의 뒷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접착면을 일면으로 제공하는 접착층(51)과, 접착층(51)의 타면상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53)을 갖는 봉지층(52)과, 홈(53)에 삽입되는 자석(5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접착층(51)의 접착면은 몸체 뒷면(13)의 접착면을 구성하는 벨크로 루프와 결합되도록 갈고리가 형성된 벨크로 후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자석(54)은 N극과 S극이 수직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자석침(50)은, 동일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부착형 자석침(출원번호 10-2012-0116656)을 이용한 것이며, 이웃한 자석간 자기력이 최소가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인체에 미치는 자기력을 최소화시키고 인체의 경락 또는 경혈 부위에 대한 시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보호밴드의 실제 착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1)의 제3 및 제4 체결부(41, 43)를 다리(2)의 무릎 뒤쪽으로 감은 후 몸체의 앞면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체결부(31, 33)에 각각 부착되는 것에 의해 무릎에 착용될 수 있다. 이때, 제3 및 제4 체결부(41, 43)는 서로 다른 세로변의 대각선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3 체결부(41)의 부착 방향(X1)과 제4 체결부(43)의 부착 방향(X2)은 서로 반대 방향이 된다.
이때, 무릎의 슬개골 부분(2a)이 개구부(15)에 의해 노출되며, 개구부(15)를 형성하는 개구선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개구선을 절개하는 절개부(17)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 영역을 통해 무릎의 노출 부위를 더 확장함으로써 무릎의 움직임, 예를 들어, 무릎을 구부리는 행위가 더 쉬워질 수 있어 착용감이 더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절개부(17)를 통해 의료용 보호밴드(1)를 무릎에 착용한 상태에서 자석침(50)을 삽입하여 몸체의 뒷면에 부착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보호밴드의 경우 자석침, 지압침, 지압봉 등 의료기구를 부착한 후 착용하게 되는데, 통증부위와 같이 원하는 위치에 의료기구가 위치하지 않을 경우 의료기구를 재부착하거나 추가 부착하기 위해서는 착용한 보호밴드를 탈착해야 하며, 원하는 위치에 부착될 때까지 보호밴드의 착용 및 탈착을 반복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1)는,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절개부(17)를 통해 자석침(50)을 삽입하여 몸체의 뒷면의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용 보호밴드(1)를 무릎에 착용한 상태에서, 통증이 있는 부위에 해당하는 분할 영역의 절개부를 들어올린 후 통증 부위에 해당하는 위치에 자석침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1)는 제3 및 제4 체결부(41, 43)를 띠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관절의 반대측, 예를 들어 무릎 뒤쪽(오금), 팔꿈치 안쪽을 개방할 수 있다. 이로써 관절의 움직임, 예를 들어 무릎이나 팔을 접었다 폈다 하는 과정에서 관절의 반대측에 밴드가 겹쳐짐에 따라 눌려지면서 느껴지는 불편함을 없애 착용감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의료용 보호밴드(3)는, 제3 및 제4 체결부(41, 45)가 몸체의 같은 세로변에 형성된 구조인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보호밴드(1)와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또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3)는 몸체 앞면(11)의 상, 하단의 가로변을 따라 제1 및 제2 체결부(31, 33)가 위치하며, 몸체(10)의 일측 세로변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1 및 제2 체결부(31, 33)와 동일 선상에서 일단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타단을 갖는 제3 및 제4 체결부(41, 45)를 포함한다.
제3 및 제4 체결부(41, 45)는, 제1 및 제2 체결부(31, 33)와 각각 결합하기 위해 뒷면에 원형고리를 갖는 벨크로 루프로 구성된 접착면을 제공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의료용 보호밴드의 실제 착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3)의 제3 및 제4 체결부(41, 45)를 다리(2)의 무릎 뒤쪽으로 감은 후 몸체의 앞면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체결부(31, 33)에 각각 부착되는 것에 의해 무릎에 착용될 수 있다. 이때, 제3 및 제4 체결부(41, 45)는 같은 세로변에서 이격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3 체결부(41)의 결합 방향(X1)과 제4 체결부(45)의 결합 방향(X1)은 동일한 방향이 된다.
그리고, 무릎의 슬개골 부분(2a)이 개구부(15)에 의해 노출되며, 개구부(15)를 형성하는 개구선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개구선을 절개하는 절개부(17)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 영역을 통해 무릎의 움직임, 예를 들어, 무릎을 구부리는 행위가 쉬워질 수 있어 착용감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절개부(17)를 통해 의료용 보호밴드(1)를 무릎에 착용한 상태에서 자석침(50)을 삽입하여 몸체의 뒷면의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체결부(41, 45)가 띠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관절의 반대측, 예를 들어 무릎 뒤쪽(오금), 팔꿈치 안쪽을 개방할 수 있다. 이로써 관절의 움직임, 예를 들어 무릎이나 팔을 접었다 폈다 하는 과정에서 관절의 반대측에 밴드가 겹쳐짐에 따라 눌려지면서 느껴지는 불편함을 없애 착용감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제3 및 제4 체결부가 서로 다른 세로변의 대각선 위치에 형성된 구조, (b)는 제3 및 제4 체결부가 같은 세로변의 이격한 위치에 형성된 구조의 각 정면도이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의료용 보호밴드(4, 5)는 고정부가 절개부 별로 개별 구비된 구조인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다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보호밴드(1)와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게 사용하도록 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4)는, 고정부가 절개부에 의해 분할된 각 영역을 고정하기 위해, 각 절개부 별로 형성된 제5 체결부(60)일 수 있다.
제5 체결부(60)는, 각 절개부에 의해 몸체의 중앙 부분이 두 영역으로 분할되며, 분할된 하나의 영역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이 분할된 다른 영역과 결합됨으로써 몸체의 중앙 부분의 절개 영역을 고정할 수 있다.
확대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제5 체결부(60)의 구조를 설명한다. 이때, 다수의 절개부 중 제1 절개부(17a)를 예를 들어 설명하며 제1 절개부와 다른 절개부의 구조는 동일하다.
몸체의 중앙 부분은 제1 절개부(17a)에 의해 제1 영역(19a)과 제2 영역(19b)으로 분할되고, 제2 영역(19b)에 제5 체결부(60)의 일단(61)이 고정되면 제5 체결부(60)의 타단이 제5 체결부가 고정되지 않은 제1 영역(19a)에 부착될 수 있다. 반대로 제1 영역(19a)에 제5 체결부(60)의 일단이 고정되면 제2 영역(19b)에 타단이 부착될 수도 있다. 즉, 절개부에 의해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제5 체결부의 일단이 고정되기만 하면 된다.
그리고, 제5 체결부(60)는 앞면(63)과 배면(65)으로 이루어지며, 배면(65)은 갈고리가 빽빽하게 형성된 벨크로 후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5 체결부(60)의 타단이 부착되는 제1 영역(19a)의 앞면은 벨크로 후크와 결합되는 원형고리가 빽빽하게 형성된 벨크로 루프로 구성된 접착 영역이 형성될 있다.
이처럼 제5 체결부(60)를 통해 절개부에 의해 분할된 두 영역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제5 체결부(60)의 탈부착을 통해 자석침의 삽입 또는 위치 수정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및 제4 체결부(41, 43)는 몸체(10)의 양측 세로변의 대각선상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b)를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5)는, 도 6의 (a)에 도시된 의료용 보호밴드(4)와 다른 구성요소는 동일하며, 단지 제3 및 제4 체결부(41, 45)가 몸체의 동일측 세로변에 제1 및 제2 체결부(31, 33)와 결합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구조가 차이가 있다.
즉, 제3 및 제4 체결부(41, 45)는, 일단이 제1 및 제2 체결부(31, 33)의 동일 일직선상에 각각 고정되며 타단이 고정된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띠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체결부(31, 33)에 부착되는 배면에 원형고리가 빽빽하게 형성된 벨크로 루프로 구성되며 부드러운 촉감을 가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100)는, 원통형의 몸체(110)와, 몸체의 중앙 영역이 일부 관통된 개구부(115)와, 개구부(115)를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몸체의 중앙 영역을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117)와, 절개부(117)에 의해 분할된 영역들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110)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원통형으로 착용자의 신체 부위, 예를 들어 무릎과 오금 부위를 전반적으로 감싸 착용할 수 있도록 탄력성을 갖는 소재의 밴드가 한 겹 또는 2겹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0)는 바깥쪽면(111)과 안쪽면(113)을 가진다. 안쪽면(113)은 부드러운 착용감을 제공하는 동시에, 자석침이 부착될 수 있도록 원형고리가 빽빽하게 형성된 벨크로 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자석침은 안쪽면(113)에 부착되기 위해, 갈고리가 빽빽하게 형성된 벨크로 후크로 구성된 접착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자석침은, 동일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부착형 자석침(출원번호 10-2012-0116656)을 이용한 것이며, 이웃한 자석간 자기력이 최소가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인체에 미치는 자기력을 최소화시키고 인체의 경락 또는 경혈 부위에 대한 시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0)는 중앙, 상부 및 하부로 구분할 수 있으며, 몸체(110)의 전면 중앙 영역, 예를 들어, 무릎의 전면(슬개골 부분)이 위치하는 영역은 신체 부위를 노출하도록 관통된 개구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117)는 개구부(115)를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몸체(110)의 중앙 부분을 절개하여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즉, 절개부(117)는 몸체(110) 중앙 부분을 방사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절개하여 개구부(115)와 연장되는 개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 영역은 착용 전에는 형성되지 않다가 착용에 의해 절개부를 이루는 두 절취선이 벌어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절개부(117)가 몸체(110)의 중앙 부분을 방사 방향으로 소정 면적만큼 잘라내는 것에 의해 개구부(115)와 연장되는 개구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부(120)는, 절개부(117)에 의해 분할된 영역들의 끝단들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링 형상일 수 있으며, 탄력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20)는 고무 링 형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된 제5 체결부(60)와 같은 띠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절개부에 의해 분할된 영역의 끝단을 고정할 수 있는 형태면 어떠한 형태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100)는, 신체 부위 착용시 개구부와 절개부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 영역으로 인해 관절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착용감이 개선되는 동시에, 절개부에 의해 자석침의 삽입 및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의료용 보호밴드의 실제 착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100)를 무릎에 착용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팔꿈치, 발꿈치 등 신체의 굴곡진 부분에 착용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보호밴드(100)는 신축성 및 탄력성을 갖는 소재의 몸체를 늘려 다리(2)를 끼워 개구부를 통해 관절 부위, 즉, 무릎의 전면인 슬개골 부위(2a)가 노출되도록 착용한다.
그리고, 절개부를 통해 자석침을 원하는 위치에 부착한 후 고정부를 이용해 절개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가압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보호밴드(100)는 착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개구부 및 절개부에 의해 무릎의 움직임이 자유로워져 착용감이 개선되는 동시에 자석침의 부착이 용이한 구조를 가진다.
한편,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를 설명함에 있어서, 탈부착 가능한 자석침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몸체의 뒷면(또는 안쪽면)의 중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자석침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릎이나 팔꿈치 등에 의료용 보호밴드가 착용될 때 혈액순환이나 자기 치료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 경혈에 위치할 수 있도록 고정 자석침을 부착할 수 있다. 이때, 고정 자석침은 접착층의 일면이 몸체의 뒷면(안쪽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점이 차이가 있을 뿐 상술한 자석침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의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고정부에 의해 절개부가 조여진 상태, (b)는 임의의 절개부를 연 경우 절개부 및 고정부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의 고정부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고정부를 대체할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도면부호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는, 몸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단부(210)와, 접단부(210)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접단부(210)는, 관통공(미도시)을 구비하며, 이웃한 절개부의 일측 절개선을 서로 연결하는 분할영역의 끝단이 일정 길이만큼 접어 올려져 박음질 또는 접착제(211)에 의해 몸체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공은 링 형태의 고정부(220)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접단부(210)는, 절개부에 의해 분할된 분할영역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220)는,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원형의 링 형태일 수 있으며, 탄성력을 갖는 소재는 고무일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220)는, 접단부(210)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몸체의 중앙 부분, 즉, 분할 영역들을 신체의 피부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절개부가 조이게 되어 절개부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b)를 참조하면, 다수의 절개부 중 하나의 절개부를 들어올릴 경우, 들어 올려진 절개부의 폭이 확장되며(화살표 방향 참조), 고정부도 함께 들어 올려지므로 길이가 늘어나 그 굵기가 얇아질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의료용 보호밴드의 고정부를 통해 자석침을 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의 고정부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고정부를 대체할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도면부호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를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자석침을 부착하고 싶은 부위에 해당하는 절개부의 일 측을 들어올린 후, 몸체의 뒷면(230)에 자석침(250)을 부착할 수 있다.
즉, 절개부의 일 측을 들어올리면, 접단부(210)의 관통공에 삽입된 링 형태의 고정부(220)도 함께 들어 올려지면서 절개부의 폭이 확장되고 몸체의 뒷면(230)에 자석침(250)을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는, 몸체의 중앙 부분에 절개부를 구비함으로써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원하는 부위에 자석침을 부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보호밴드는, 탄성 소재의 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절개부의 조임 및 확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몸체의 중앙 부분을 항시 신체의 피부면에 밀착되도록 유지하면서 자유로운 신체 움직임을 보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의료용 보호밴드로 구현될 수 있다.
1, 3, 4, 5, 100. 의료용 보호밴드 2. 다리
10. 몸체 11, 111. 몸체의 앞면(바깥쪽면)
13, 113. 몸체의 뒷면(안쪽면) 15, 115. 개구부
17, 117. 절개부 20, 120. 고정부
31, 33. 제1 및 제2 체결부 41, 43. 제3 및 제4 체결부
45. 제4 체결부 50. 자석
60. 제5 체결부

Claims (19)

  1. 탄력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앞면과 뒷면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 중앙의 일부 영역이 관통된 개구부;
    상기 몸체의 관통된 부분을 상기 개구부에서 방사 방향으로 절개하여 상기 개구부로부터 연장된 개구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에 의해 절개된 부분을 적어도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보호밴드.
  2. 탄력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앞면과 뒷면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 중앙의 일부 영역이 관통된 개구부;
    상기 몸체의 관통된 부분을 상기 개구부에서 방사 방향으로 절개하여 상기 개구부로부터 연장된 개구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
    상기 절개부에 의해 절개된 부분을 적어도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몸체의 뒷면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자석침;을 포함하는 의료용 보호밴드.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앞면의 상부 및 하부의 가로변을 따라 각각 위치하는 제1 및 제2 체결부; 및
    상기 앞면의 적어도 일측 세로변에 일단이 고정되며 고정된 일단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타단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와 결착되는 제3 및 제4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호밴드.
  4. 청구항 3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는 갈고리가 형성된 벨크로 후크로 구성되며, 상기 제3 및 제4 체결부는 원형고리가 형성된 벨크로 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호밴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체결부는, 상기 앞면의 양측 세로변의 대각선상의 위치에 각각의 일단이 고정되되,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와 동일 직선상에 상기 일단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호밴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체결부는, 상기 앞면의 동일측 세로변의 이격된 위치에 일단이 고정되되,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와 동일 직선상에 상기 일단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호밴드.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양측 가로변이 연결되어 관통된 구조의 원통형상이며, 탄력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호밴드.
  8. 청구항 1, 2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뒷면은 원형고리가 형성된 벨크로 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호밴드.
  9. 청구항 1, 2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몸체의 관통된 부분의 끝단을 형성하는 개구선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개구선은 상기 절개부에 의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호밴드.
  10. 청구항 1, 2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일단이 교차하는 제1 절취선과 제2 절취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절취선은 겹쳐지거나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호밴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절취선 간 이격 거리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개구부로부터 연장되는 개구 영역의 면적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호밴드.
  12. 청구항 1, 2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의 관통된 부분의 끝단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탄성 소재의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호밴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의 관통된 부분의 끝단이 삽입되는 홈을 갖는 고무 소재의 링 형상이며, 상기 끝단과 접착제 또는 박음질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호밴드.
  14. 청구항 1, 2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관통된 부분의 끝단이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 접어져 고정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 관통공을 갖는 접단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호밴드.
  15. 청구항 1, 2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상기 몸체의 관통된 부분이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으로 이루어지며, 두 영역 중 일 영역에 일단이 고정되며 고정된 일단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타 영역에 부착되는 타단을 갖는 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호밴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타 영역에 부착되는 면이 갈고리가 형성된 벨크로 후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호밴드.
  17. 청구항 1, 2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뒷면에 탈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호밴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자석침은, 상기 몸체의 뒷면에 부착되도록 갈고리가 형성된 벨크로 후크로 구성되는 접착면을 바닥면으로 제공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타면상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을 갖는 봉지층과, 상기 홈에 삽입되되 이웃한 자석 간 자기력이 최소가 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호밴드.
  1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자석침은 상기 몸체의 뒷면에 일며이 고정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타면상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을 갖는 봉지층과, 상기 홈에 삽입되되 이웃한 자석 간 자기력이 최소가 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호밴드.
KR1020130141327A 2013-11-20 2013-11-20 의료용 보호밴드 KR201500576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327A KR20150057669A (ko) 2013-11-20 2013-11-20 의료용 보호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327A KR20150057669A (ko) 2013-11-20 2013-11-20 의료용 보호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669A true KR20150057669A (ko) 2015-05-28

Family

ID=53392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327A KR20150057669A (ko) 2013-11-20 2013-11-20 의료용 보호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76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2083A (zh) * 2017-04-11 2019-12-24 强生消费者公司 可延展的敷料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2083A (zh) * 2017-04-11 2019-12-24 强生消费者公司 可延展的敷料
US11266534B2 (en) 2017-04-11 2022-03-08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Extensible dressings
US11266535B2 (en) 2017-04-11 2022-03-08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Extensible dressings
CN110612083B (zh) * 2017-04-11 2022-07-12 强生消费者公司 可延展的敷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1221B2 (en) Compression sleeve with improved position retention
JP2010082454A (ja) 取り外し部分を有する圧縮デバイス
KR101365593B1 (ko) 착용이 용이한 수술가운
JP6083836B1 (ja) 顎固定用ベルト
CN106794075A (zh) 压缩系统
US10548354B2 (en) Support for body portion
KR20150057669A (ko) 의료용 보호밴드
JP6296811B2 (ja) 腰用サポータ
JP2010057852A (ja) 足関節装具
IES86962B2 (en) A retaining device and a method for retaining a dressing on a site to be treated of the body of a human or animal subject
JP2006055591A (ja) 外反母趾保護具
JP3225814U (ja) ショーツ
CN218075448U (zh) 用于下肢的压力带
KR101005166B1 (ko) 하체 성장판을 자극하는 다리 스트레칭 도구
CN210382692U (zh) 用于静脉曲张的弹力裤
JP2013124433A (ja) 膝サポータ
JP3180100U (ja) 個対応装具
KR900000784Y1 (ko) 허리 보호대
JP2003290263A (ja) 外反母趾用装具
AU2013248259B2 (en) Compression sleeve with improved position retention
JP2022064491A (ja) サポーター
CN117414256A (zh) 用于下肢的压力带及其制造方法
KR20210117426A (ko) 지혈대 압박 고정 기구
JP2013236840A (ja) 膝用サポータ
WO2017085804A1 (ja) 着用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