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784Y1 - 허리 보호대 - Google Patents

허리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784Y1
KR900000784Y1 KR2019870013881U KR870013881U KR900000784Y1 KR 900000784 Y1 KR900000784 Y1 KR 900000784Y1 KR 2019870013881 U KR2019870013881 U KR 2019870013881U KR 870013881 U KR870013881 U KR 870013881U KR 900000784 Y1 KR900000784 Y1 KR 9000007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splint
plate
elastic bands
ba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3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420U (ko
Inventor
이치원
Original Assignee
공신위생재료주식회사
이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신위생재료주식회사, 이치원 filed Critical 공신위생재료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3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0784Y1/ko
Publication of KR8900044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4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7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7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허리 보호대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배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허리 보호대 착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등판부 4a,4b : 띠
8 : 대접판 9 : 스플린트
11a,11b,11c,11d : 신축밴드
본 고안은 용통등으로 고생하는 환자나, 척주교정을 필요로 하는 사람 또는 허리에 과도한 힘을 받는 작업자등이 착용하는 허리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리보호대는 신축성있는 천으로된 띠의 정면일측단과 배면의 타측단에 벨크로 파아스너를 접합시켜된 것으로서, 이를 허리부에 감아 띠를 팽팽히 당긴 상태에서 벨크로 파아스너로 계지하는 것이 알려져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허리보호대는 허리부가 헝겊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허리를 구부리려고 할때 그 압력으로 띠 자체도 구부러져 허리부의 교정에는 부적합하였다.
더구나, 신축성재료로 된 허리보호대를 사용하고 있으면 신축부가 점차로 늘어나서, 변형되므로 장기간 사용후에는 충분히 허리를 조여 고정시켜주지 못하는등, 허리 보호대로 서 적합하다고 할수가 없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허리부의 교정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하여 허리부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허리보호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특징적인 수단으로는 허리부와 띠체에 신축 삼각편을 개재시킴과 아울러 요철형상의 합성수지제로된 스플린트를 접합시키며, 띠체의 일단을 복부 밀착부로 하여 그곳에 대접판을 접합시키고. 전기한 허리부에 접합된 스플린트를 다수개의 신축밴드로 연결하여 이 신축밴드에 의하여 체결고정토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좀더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의 중앙부에는 두꺼운 천으로된 등판부(2)가 형성되며, 이 등판부(2)의 양단에는 신축삼각편(3)이 재봉부착되고, 이 신축삼각편(3)의 빗변부에는 다소 신축성을 갖는 띠(4a)(4b)가 재봉 부착된다.
띠(4a)의 표면 단부에는 부직포(5)가 접합되어져 있고, 이 부직포(5) 는 띠(4b)의 배면단 부에 접합되어 있는 침포(6)과 맞붙어 파스너의 역활을 한다.
또한, 띠(4a)의 배면단부에 형성된 포켓(7)에는 복부형태에 맞추어 대략 구면상으로된 대접판(8)이 삽입보전된다.
등판부(2) 내측에는 허리형태에 맞추어진 요철형상의 스플린트(9) 가 접합된다. 전기한 대접판(8)과 스플린트(9)는 합성수지제로 제작된다.
스플린트(9)는4곳에 각각2개씩의 슬리트공(10)이 뚫어져 있고. 이 슬리트공(10)을 통하여 각각 신축밴드(11a)(11b)(11c)(11d)가 저면에서 삽입되어 그 선단의 침포(11')와 부직포(11')가 맞붙어 계지되는 것에 의해 본체(1)과 연결부착된다.
이 신축밴드(11a)(11b)(11c)(11d)의 타단은 등판부(2)의 양단부에 마련된 안내공(12a)(12b)(12c)(12d)을 통하여 띠(4a)(4b)의 표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하측부에 해당하는 신축밴드(11a)(11b)는 상측부의 신축밴드(11c)(11d)보다 짧게되어, 신축밴드(11c) (11d)에 재봉 부착된다.
또한. 신축밴드(11c)와 (1ld)의 단부에는 버클(13a)(13b)가 부착되어, 허리 보호대를 착용 할 때에 신축밴드(11c)(11d)를 팽팽히 당겨 계지토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4는 착용시 통기를 좋게하고, 허리 보호대의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뚫어놓은 구멍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등판부(2)의 내측에 위치되는 스플린트(9)를 허리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띠(4a)(4b)의 끝을 잡고 팽팽히 당기면서 띠(4a)의 대접판{B)을 내측으로 하여 포개 합치고 부직포(5)와 침포(6)을 계지한다.
이 경우 띠(4a)의 대접판(8)을 완전히 신체에 밀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신축밴드(11c)(11d)의 단부를 잡으면서 양쪽을 팽팽히 당겨 전기한 바와 동일하게 띠(4a)(4b)의 외측에서 계지한다.
이와같이, 띠(4a)(4b)에 의해 죄어지고. 동시에 신축밴드(11a)(11b)(11c)(11d)에 의해 죄어 짐에 따라 대접판(8) 및 스플린트(9)가 신체에 견고히 고정된다.
그 결과, 본실시예에 따른 허리보호대는 띠(4a)와 등판부(2)에 접합된 대접판(8) 및 스플린트(9)에 의해 몸체를 협지하는 상태가 되어 제3도의 도시와 같이된다.
따라서, 몸체는 대접판(8) 및 스플린트(9)에 의해 면 접촉상태로 고정되어, 허리부에 걸리는 압력을 스플린트(9)를 개재하여 분산하고 있기 때문에 허리부의 부담을 경감하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대접판(8) 및 스플린트(9)에 의해 몸체를 협지하고 있기 때문에 몸의 자세가 바르지 않을때, 이것을 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복부의 대접판(8)에 복압이 걸려 띠(4a)(4b)를 복부방향으로 팽팽히 당기기 때문에, 등판부(2)의 스플린트(9)로써 복부를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허리보호대를 풀어낼 경우 계지된 신축밴드(l1c)(1ld)를 풀고, 띠(4a)(4b)를 풀어내면 된다.
허리보호대를 장시간 착용하고 있음에 따라 신체로부터 나오는 땀이나 지방분등에 의해 오염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띠(4a)의 포겟(7)로부터 대접판(8)을 꺼내고, 등판부(2)에 접합된 스플린트 (9)는 신축밴드(11a)(11b)(11c)(11d)단부에 접합된 침포(11')와 부직포(11")를 풀면 천으로된 허리보호대만 분리해낼 수 있어서 세척이 용이한 상태가 된다.
하절기에 있어서는 대접판(8) 및 스플린트(9)에 천공된 구멍(14)로 통기가 되어 착용감이 좋다.
또한, 전기한 바와같이. 허리보호대는 분리 가능하므로, 장시간 사용하여 신축밴드 (11a)(11b)(11c)(11d)가 늘어난 경우에는 교환이 가능케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허리보호대는 신축밴드(11a)·‥ ‥(1ld)를 본체(1)의 겉으로 나오도록 구성한 것이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속으로 계지해도 된다.
다만, 본체(1)에 비교해서 신축밴드(11a) ‥(11d)의 폭이 작기때문에 조임시에 신체에 자국이 생기는 이유로 신축밴드(11a)..(11d)는 걸어 붙이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허리보호대는 신축삼각편(3)과 띠(4a)(4b)를 재봉부착하도록 한 구성이지만, 예를들면, 허리부의 후면전체를 면 파아스너의 고리로 하고, 신축 삼각편(3)의 등판부(2)와의 접합부를 후크로 하면 허리보호대의 길이를 쉽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허리보호대는 띠(4a)(4b) 및 등판부(2)에 대접판(8) 및 스플린트(9)가 부착되어 있고, 이 대접판(8) 및 스플린트(9)에 의해 허리를 조여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종래의 허리보호대에 비교하여 복부의 부담을 상당히 경감 가능케함과 아울러 복압을 이용하면서 복부를 스플린트(9)에 의해 고정토록 구성된 것이므로 고정의 정도가 종래것보다 우수하다.
그리고, 밸크로 파아스너등에 의해 대접판(8) 이나 스플린트(9)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어 세척이 용이할뿐아니라 분리 가능하여 신축성이 소실되면 교환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등판부(2)와 띠(4a)(4b)사이에 신축삼각편(3)을 개재시키고, 전기한 등판부(2)에 요철형상을 이루는 합성수지제의 스플린트(9)를 접합하며. 띠(4a)의 내면단부에 대략구면상의 대접판(8)을 접합함과 아울러 스플린트(9)를 신축밴드(11a)(11b)(11c)(11d)로 연결하여, 이 신축밴드(11a)(11b)(11c)(11d)에 의해 조여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등판부(2)의 내측에 위치되는 스플린트(9)는 신축밴드 (11a)(11b)(11c)(11d)의 단부에 재봉 부착된 침포(11')와 (11")에 의해 착탈 자재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보호대.
KR2019870013881U 1987-08-20 1987-08-20 허리 보호대 KR9000007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3881U KR900000784Y1 (ko) 1987-08-20 1987-08-20 허리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3881U KR900000784Y1 (ko) 1987-08-20 1987-08-20 허리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420U KR890004420U (ko) 1989-04-17
KR900000784Y1 true KR900000784Y1 (ko) 1990-01-30

Family

ID=19266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3881U KR900000784Y1 (ko) 1987-08-20 1987-08-20 허리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078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703A1 (ko) * 2020-08-07 2022-02-10 밸류앤드트러스트(주) 의복 일체형 허리 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420U (ko) 198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08354B1 (en) Adjustable knee support
US5188585A (en) Lumbo-sacral orthopedic support
US3463147A (en) Body joint support
US7264605B2 (en) Knee support device for applying radial pressure
US3598114A (en) Adjustable rib belt
US6582382B2 (en) Orthopedic supports
US4576150A (en) Orthopaedic support for the head and neck
KR20090092772A (ko) 압박랩
BRPI0709471B1 (pt) faixa não elástica em composto de tecido com espuma
US6126627A (en) Adjustable ankle brace system
US7850673B1 (en) Waist belt for absorbent garments
US3307535A (en) Orthopedic appliance
US20180161194A1 (en) Jaw fixation belt
US3515136A (en) Ankle support
KR900000784Y1 (ko) 허리 보호대
JP2004162183A (ja) 膝サポータ
JP6296811B2 (ja) 腰用サポータ
JP2004160075A (ja) 膝サポータ
JP4430288B2 (ja) 膝サポータ
US5316544A (en) Splint pad
JPH0584316U (ja) 腰痛帯
JPH08206146A (ja) 鎖骨固定具
JPS6214840Y2 (ko)
JPS5839700Y2 (ja) 腰部保護腹帯
JPH0510407U (ja) コルセツ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