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596A -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596A
KR20150057596A KR1020130141144A KR20130141144A KR20150057596A KR 20150057596 A KR20150057596 A KR 20150057596A KR 1020130141144 A KR1020130141144 A KR 1020130141144A KR 20130141144 A KR20130141144 A KR 20130141144A KR 20150057596 A KR20150057596 A KR 20150057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s
temperature
maintain
temperature senso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6457B1 (ko
Inventor
김민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1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457B1/ko
Publication of KR20150057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59Evaporative processes for the cooling of a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버스에 설치되는 연료전지의 냉각을 위한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발명은 연료전지버스의 루프의 후미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라디에이터; 상기 라디에이터들의 갯수에 대응하여 그룹화되어 상기 라디에이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각각이 상하 한 쌍의 상부팬 및 하부팬의 중첩된 팬 형태로 구현된 복수개의 냉각팬; 상기 라디에이터들의 각각의 입구 및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라디에이터들 각각에 의해 순환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들에 의해 감지되는 냉각수의 온도값들에 대응하여 상기 라디에이터들 각각에 공급되는 풍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그룹화된 냉각팬들 별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냉각의 효율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냉각팬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Fuel cell cooling system in fuel cell bus}
본 발명은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연료전지버스에 설치되는 연료전지의 냉각을 위한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를 이용한 화학반응으로 전력을 생성하여 출력하는데, 연료전지는 전력을 생성하여 출력할 뿐만 아니라,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에 의한 반응 열에너지를 또한 방출한다. 따라서, 연료전지 차량은 연료전지가 반응 열에너지에 의하여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료전지 냉각 시스템을 구비한다.
한국공개특허(10-2010-0025083)에 의하면, 연료전지 냉각시스템은 연료전지가 장착된 차량 후미의 루프에 제1 내지 제4 라디에이터(Radiator), 제1 내지 제4 라디에이터와 18개의 냉각팬을 구비한다.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의 경우, 냉각공기는 차량 측면 그릴을 통해 전적으로 유입되므로, 버스의 전방 측에 배치된 라디에이터에 비해 버스의 후미 측에 배치된 라디에이터에 큰 풍량이 유입되고, 버스의 외측에 배치되는 라디에이터에 비해 버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라디에이터에 냉각 풍량이 보다 크게 유입된다.
한편, 버스는 트럭과는 달리 주행 풍에 의한 램에어(ram air)의 효과는 없으며, 냉각에 이용되는 냉각공기는 전적으로 냉각팬의 흡입력에 의해 결정된다.
그런데, 위와 같이 각 라디에이터로 유입되는 풍량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은 냉각팬 모두가 같은 속도로 회전함으로써 냉각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KR 10-2010-0025083 A
본 발명의 목적은 라디에이터의 방열상태에 따라 냉각팬의 풍량을 조절함으로써 냉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냉각팬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은 연료전지버스의 루프의 후미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라디에이터; 상기 라디에이터들의 갯수에 대응하여 그룹화되어 상기 라디에이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각각이 상하 한 쌍의 상부팬 및 하부팬의 중첩된 팬 형태로 구현된 복수개의 냉각팬; 상기 라디에이터들의 각각의 입구 및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라디에이터들 각각에 의해 순환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들에 의해 감지되는 냉각수의 온도값들에 대응하여 상기 라디에이터들 각각에 공급되는 풍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그룹화된 냉각팬들 별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들에 의해 감지되는 냉각수의 온도값들에 대응하여 상기 냉각팬의 상부팬 및 하부팬을 독립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라디에이터는, 2행 2열의 4개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연료전지버스의 선미측을 기준으로 1행 1열에 배치된 제3 라디에이터, 1행 2열에 배치된 제1 라디에이터, 2행 1열에 배치된 제4 라디에이터 및 2행 2열에 배치된 제2 라디에이터로 구현되며, 상기 제3 라디에이터 및 제1 라디에이터의 각 출구는 냉각수 라인의 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제3 라디에이터와 상기 제4 라디에이터는 냉각수가 흐르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 라디에이터와 상기 제2 라디에이터는 냉각수가 흐르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4 라디에이터 및 제2 라디에이터의 각 입구는 냉각수 라인의 유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냉각팬들은 상기 제3 라디에이터에 대응하는 A 그룹, 상기 제1 라디에이터에 대응하는 B 그룹, 상기 제4 라디에이터에 대응하는 C 그룹 및 상기 제2 라디에이터에 대응하는 D 그룹으로 그룹화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되는 냉각수의 온도값들에 대응하여 상기 A 그룹, B 그룹, C 그룹 및 D 그룹 별로 상기 냉각팬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냉각수 라인의 유입구에 배치되는 제1 온도센서, 상기 냉각수 라인의 유입구와 상기 제4 라디에이터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온도센서, 상기 냉각수 라인의 유입구와 상기 제2 라디에이터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온도센서, 상기 제4 라디에이터의 출구와 상기 제3 라디에이터의 입구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온도센서, 상기 제2 라디에이터의 출구와 상기 제1 라디에이터의 입구 사이에 배치되는 제5 온도센서, 상기 제3 라디에이터의 출구와 상기 냉각수 라인의 배출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6 온도센서 및 상기 제1 라디에이터의 출구와 상기 냉각수 라인의 배출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7 온도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팬이 사전에 정해진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4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4 온도값(T4)으로부터 상기 제6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6 온도값(T6)을 감산한 값이 최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사전에 정해진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4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4 온도값(T4)으로부터 상기 제6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6 온도값(T6)을 감산한 값이 상기 최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A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팬 및 하부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A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A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보다 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A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B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B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C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팬 및 하부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C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D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5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5 온도값(T5)으로부터 상기 제7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7 온도값(T7)을 감산한 값이 최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사전에 정해진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5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5 온도값(T5)으로부터 상기 제7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7 온도값(T7)을 감산한 값이 상기 최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B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B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A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보다 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A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B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B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C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C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D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2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2 온도값(T2)으로부터 상기 제4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4 온도값(T4)을 감산한 값이 최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사전에 정해진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2 온도값(T2)으로부터 상기 제4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4 온도값(T4)을 감산한 값이 상기 최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C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C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A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보다 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A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B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B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C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C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D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3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3 온도값(T3)으로부터 상기 제5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5 온도값(T5)을 감산한 값이 최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사전에 정해진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3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3 온도값(T3)으로부터 상기 제5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5 온도값(T5)을 감산한 값이 상기 최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D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D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A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보다 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A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B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B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C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C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D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단계 회전제어를 통해 고온 공기 역류 흐름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다수의 라디에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고속회전 빈도를 줄일 수 있어, 냉각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주행 중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의 냉각팬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의 라디에이터 및 온도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냉각팬들 중 하나인 A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절차도이다.
도 9는 도 6 내지 도 8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60 ℃이상의 경우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제어절차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들에 표시된 구성들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구성에 대한 설명 중 공지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의 냉각팬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의 라디에이터 및 온도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은 라디에이터(200), 냉각팬(100), 온도센서(310~370) 및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라디에이터(200)는 연료전지버스의 루프의 후미에 배치되고, 2행 2열의 4개로 배치될 수 있다.
라디에이터(200)는 연료전지버스의 선미측을 기준으로 1행 1열에 배치된 제3 라디에이터(230), 1행 2열에 배치된 제1 라디에이터(210), 2행 1열에 배치된 제4 라디에이터(240) 및 2행 2열에 배치된 제2 라디에이터(220)로 구현될 수 있다.
제3 라디에이터(230) 및 제1 라디에이터(210)의 각 출구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냉각시스템의 냉각수 라인의 배출구(outlet)에 연결된다.
제3 라디에이터(230)와 제4 라디에이터(240)는 냉각수가 흐르도록 서로 연결된다. 즉 제4 라디에이터(240)의 출구와 제3 라디에이터(230)의 입구가 서로 연결된다.
제1 라디에이터(210)와 제2 라디에이터(220)는 냉각수가 흐르도록 서로 연결된다. 즉 제2 라디에이터(220)의 출구와 제1 라디에이터(210)의 입구가 서로 연결된다.
제4 라디에이터(240) 및 제2 라디에이터(220)의 각 입구는 냉각수 라인의 유입구(inlet)에 연결될 수 있다.
냉각팬(100)은 라디에이터들의 갯수에 대응하여 그룹화되어 라디에이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냉각팬들 중 하나인 A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냉각팬(100)의 각각이 상하 한 쌍의 중첩된 팬 형태로 구현되며,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냉각팬(100)들 각각은 상부팬(110)과 하부팬(120) 한 쌍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냉각팬(100)은 제3 라디에이터(230)에 대응하는 A 그룹(100A), 제1 라디에이터(210)에 대응하는 B 그룹(100B), 제4 라디에이터(240)에 대응하는 C 그룹(100C) 및 제2 라디에이터(220)에 대응하는 D 그룹(100D)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온도센서(310~370)는 라디에이터들의 각각의 입구 및 출구에 설치되어 라디에이터들 각각에 의해 순환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온도센서(310~370)는 7개의 온도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값은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온도센서(310)는 냉각수 라인의 유입구에 배치되고, 제2 온도센서(320)는 냉각수 라인의 유입구와 제4 라디에이터(240)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3 온도센서(330)는 냉각수 라인의 유입구와 제2 라디에이터(22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4 온도센서(340)는 제4 라디에이터(240)의 출구와 제3 라디에이터(230)의 입구 사이에 배치되고, 제5 온도센서(350)는 제2 라디에이터(220)의 출구와 제1 라디에이터(210)의 입구 사이에 배치된다.
제6 온도센서(360)는, 제3 라디에이터(230)의 출구와 냉각수 라인의 배출구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7 온도센서(370)는 제1 라디에이터(210)의 출구와 냉각수 라인의 배출구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절차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온도센서들(310~370)에 의해 감지되는 냉각수의 온도값들에 대응하여 라디에이터들 각각에 공급되는 풍량이 조절되도록, 그룹화된 냉각팬들 별로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는 온도센서들(310~370)에 의해 감지되는 냉각수의 온도값들에 대응하여 냉각팬의 상부팬(110) 및 하부팬(120)을 독립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온도센서(310)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S32), 냉각팬(100)들 전체의 하부 팬(120)이 사전에 정해진 제1 회전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3).
예를 들면, 최고 임계값은 60 ℃로 정해질 수 있고, 제1 회전수는 2500 rpm으로 정해질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온도센서(310)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보다 큰 상태에서(S32), 제4 온도센서(340)로부터 감지된 제4 온도값(T4)으로부터 제6 온도센서(360)로부터 감지된 제6 온도값(T6)을 감산한 값이 최저 임계값 이상인 경우(S34), 냉각팬들(100) 전체의 하부팬(120)이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S35).
제어부는, 제4 온도센서(340)로부터 감지된 제4 온도값(T4)으로부터 제6 온도센서(360)로부터 감지된 제6 온도값(T6)을 감산한 값이 최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A 그룹(100A)에 속하는 냉각팬들(F11, F13, F15, F17)의 상부팬(110) 및 하부팬(120)이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6). 이에 의해 해당하는 제3 라디에이터(230)의 풍량이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저 임계값은 5 ℃로 정해질 수 있다.
제어부는, A 그룹(100A)에 속하는 냉각팬들(F11, F13, F15, F17)의 상부팬(110) 및 하부팬(120)이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제1 온도센서(310)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S38), 냉각팬들 전체의 하부팬(120)이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S39).
제어부는 제1 온도센서(310)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S38), A 그룹(100A)에 속하는 냉각팬들(F11, F13, F15, F17)의 상부팬(110) 및 하부팬(120)이 제1 회전수보다 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S510). 예를 들면, 제2 회전수는 제1 회전수인 2500 rpm보다 큰 3000 rpm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해당하는 제3 라디에이터(230)의 풍량이 증가할 수 있다.
제어부는, A 그룹(100A)에 속하는 냉각팬들(F11, F13, F15, F17)의 상부팬(110) 및 하부팬(120)이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S520), 냉각팬들 전체의 하부팬(120)이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S525).
제어부는 제1 온도센서(310)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S520), B 그룹(100B)에 속하는 냉각팬들(F12, F14, F16, F18)의 상부팬(110) 및 하부팬(120)이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S530). 이에 의해 해당하는 제1 라디에이터(210)의 풍량이 증가할 수 있다.
제어부는, B 그룹(100B)에 속하는 냉각팬들(F12, F14, F16, F18)의 상부팬(110) 및 하부팬(120)이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제1 온도센서(310)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S540), 냉각팬들 전체의 하부팬(120)이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45).
제어부는, 제1 온도센서(310)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S540), C 그룹(100C)에 속하는 냉각팬들(F1, F3, F5, F7, F9)의 상부팬(110) 및 하부팬(120)이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S550). 이에 의해 해당하는 제4 라디에이터(240)의 풍량이 증가할 수 있다.
제어부는, C 그룹(100C)에 속하는 냉각팬들(F1, F3, F5, F7, F9)의 상부팬(110) 및 하부팬(120)이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제1 온도센서(310)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S560), 냉각팬들 전체의 하부팬(110)이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S570).
제어부는 제1 온도센서(310)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D 그룹(100D)에 속하는 냉각팬들(F2, F4, F6, F8, F10)의 상부팬(110) 및 하부팬(120)이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S580). 이에 의해 해당하는 제2 라디에이터(220)의 풍량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제1 온도센서(310)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보다 큰 상태에서(S32), 제5 온도센서(350)로부터 감지된 제5 온도값(T5)으로부터 제7 온도센서(370)로부터 감지된 제7 온도값(T7)을 감산한 값이 최저 임계값 이상인 경우(S410), 냉각팬들(100) 전체의 하부팬(120)이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S412).
제어부는, 제5 온도센서(350)로부터 감지된 제5 온도값(T5)으로부터 제7 온도센서(370)로부터 감지된 제7 온도값(T7)을 감산한 값이 최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B 그룹(100B)에 속하는 냉각팬들(F12, F14, F16, F18)의 상부팬(110) 및 하부팬(120)이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14). 이에 의해 해당하는 제1 라디에이터(210)의 풍량이 증가할 수 있다.
제어부는, B 그룹(100B)에 속하는 냉각팬들(F12, F14, F16, F18)의 상부팬(110) 및 하부팬(120)이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전술한 S38단계와 그 이후의 제어절차를 진행한다.
한편, 제어부는, 제1 온도센서(310)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보다 큰 상태에서(S32), 제2 온도센서(320)로부터 감지된 제2 온도값(T2)으로부터 제4 온도센서(340)로부터 감지된 제4 온도값(T4)을 감산한 값이 최저 임계값 이상인 경우(S420), 냉각팬들(100) 전체의 하부팬(120)이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S422).
제어부는, 제2 온도센서(320)로부터 감지된 제2 온도값(T2)으로부터 제4 온도센서(340)로부터 감지된 제4 온도값(T4)을 감산한 값이 최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C 그룹(100C)에 속하는 냉각팬들(F1, F3, F5, F7, F9)의 상부팬(110) 및 하부팬(120)이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24). 이에 의해 해당하는 제4 라디에이터(240)의 풍량이 증가할 수 있다.
제어부는, C 그룹(100C)에 속하는 냉각팬들(F1, F3, F5, F7, F9)의 상부팬(110) 및 하부팬(120)이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전술한 S38단계와 그 이후의 제어절차를 진행한다.
한편, 제어부는, 제1 온도센서(310)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보다 큰 상태에서(S32), 제3 온도센서(330)로부터 감지된 제3 온도값(T3)으로부터 제5 온도센서(350)로부터 감지된 제5 온도값(T5)을 감산한 값이 최저 임계값 이상인 경우(S430), 냉각팬들(100) 전체의 하부팬(120)이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S432).
제어부는, 제3 온도센서(330)로부터 감지된 제3 온도값(T3)으로부터 제5 온도센서(350)로부터 감지된 제5 온도값(T5)을 감산한 값이 최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D 그룹(100D)에 속하는 냉각팬들(F2, F4, F6, F8, F10)의 상부팬(110) 및 하부팬(120)이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32). 이에 의해 해당하는 제2 라디에이터(220)의 풍량이 증가할 수 있다.
제어부는, D 그룹(100D)에 속하는 냉각팬들(F2, F4, F6, F8, F10)의 상부팬(110) 및 하부팬(120)이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전술한 S38단계와 그 이후의 제어절차를 진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냉각수의 온도가 60 ℃ 이상 유지될 때 냉각팬의 다단계 구동에 대해 부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도 6 내지 도 8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60 ℃이상의 경우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제어절차도이다.
제어부는, 냉각수의 온도가 60 ℃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 전체 냉각팬의 하부팬(120)만 저속(예를 들면, 2500 rpm)으로 회전시킨다(S610). 즉 제1 온도센서(310)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인 60 ℃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 전체 냉각팬의 하부팬(120)만 저속(예를 들면, 2500 rpm)으로 회전시킨다.
다음, 제어부는 온도센서들(310~370)로부터 감지되는 온도값들에 대응하여, A 그룹(100A)에 해당되는 냉각팬들(F11, F13, F15, F17)의 상부팬 및 하부팬을 저속 회전시키고, B 그룹(100B), C 그룹(100C) 및 D 그룹(100D)에 해당되는 냉각팬들의 하부팬을 저속 회전시킨다(S615).
다음, 제어부는 온도센서들(310~370)로부터 감지되는 온도값들에 대응하여, A 그룹(100A) 및 B 그룹(100B)에 해당되는 냉각팬들(F11, F13, F15, F17, F12, F14, F16, F18)의 상부팬(110) 및 하부팬(120)을 저속 회전시키고, C 그룹(100C) 및 D 그룹(100D)에 해당되는 냉각팬들의 하부팬을 저속 회전시킨다(S620).
다음, 제어부는 온도센서들(310~370)로부터 감지되는 온도값들에 대응하여, A 그룹(100A), B 그룹(100B) 및 C 그룹(100C)에 해당되는 냉각팬들(F11, F13, F15, F17, F12, F14, F16, F18, F1, F3, F5, F7, F9)의 상부팬(110) 및 하부팬(120)을 저속 회전시키고, D 그룹(100D)에 해당되는 냉각팬들의 하부팬을 저속 회전시킨다(S625).
다음, 제어부는 온도센서들(310~370)로부터 감지되는 온도값들에 대응하여, A 그룹(100A), B 그룹(100B), C 그룹(100C) 및 D 그룹(100D)에 해당되는 냉각팬들(F11, F13, F15, F17, F12, F14, F16, F18, F1, F3, F5, F7, F9, F2, F4, F6, F8, F10)의 상부팬(110) 및 하부팬(120)을 저속 회전시킨다(S630).
다음, 제어부는 온도센서들(310~370)로부터 감지되는 온도값들에 대응하여, A 그룹(100A)에 해당되는 냉각팬들(F11, F13, F15, F17)의 상부팬 및 하부팬을 고속 회전시키고, B 그룹(100B), C 그룹(100C) 및 D 그룹(100D)에 해당되는 냉각팬들의 상부팬(110) 및 하부팬(120)을 저속 회전시킨다(S640).
다음, 제어부는 온도센서들(310~370)로부터 감지되는 온도값들에 대응하여, A 그룹(100A) 및 B 그룹(100B)에 해당되는 냉각팬들(F11, F13, F15, F17, F12, F14, F16, F18)의 상부팬(110) 및 하부팬(120)을 고속 회전시키고, C 그룹(100C) 및 D 그룹(100D)에 해당되는 냉각팬들의 상부팬 및 하부팬을 저속 회전시킨다(S650).
다음, 제어부는 온도센서들(310~370)로부터 감지되는 온도값들에 대응하여, A 그룹(100A), B 그룹(100B) 및 C 그룹(100C)에 해당되는 냉각팬들(F11, F13, F15, F17, F12, F14, F16, F18, F1, F3, F5, F7, F9)의 상부팬(110) 및 하부팬(120)을 고속 회전시키고, D 그룹(100D)에 해당되는 냉각팬들의 상부팬 및 하부팬을 저속 회전시킨다(S660).
다음, 제어부는 온도센서들(310~370)로부터 감지되는 온도값들에 대응하여, A 그룹(100A), B 그룹(100B), C 그룹(100C) 및 D 그룹(100D)에 해당되는 냉각팬들(F11, F13, F15, F17, F12, F14, F16, F18, F1, F3, F5, F7, F9, F2, F4, F6, F8, F10)의 상부팬(110) 및 하부팬(120)을 고속 회전시킨다(S67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은 냉각수 각 루트에 온도센서를 7개를 장착하여 각 라디에이터(210, 220, 230, 240)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라디에이터 입 출구 온도 차 및 전체 냉각수 유입온도를 감지하여 냉각팬을 제어함으로써 냉각팬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은 냉각계 입구부의 냉각수 온도가 60 ℃ 미만일 경우 전체 18개 냉각팬의 하부팬(120)의 전체를 저속제어하고 각 라디에이터 입출구 온도차를 동시에 검출하여 온도차가 5 ℃ 미만이 되는 경우 각 그룹별로 저속회전수로 상부팬 및 하부팬 모두 회전시켜 중첩팬의 기능을 부여한다.
이후에도 냉각계 입구부의 온도가 60 ℃ 이상이 계속 유지되면 A 그룹(100A), B 그룹(100B), C 그룹(100C), D 그룹(100D) 순서로 냉각팬의 상부팬 및 하부팬을 고속회전제어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냉각계 입구부의 냉각수가 60 ℃이상으로 계속 유지되면 먼저 A 그룹(100A)에 해당되는 중첩팬이 고속회전을 하게 되고, 이어서 B 그룹(100B), C 그룹(100C), D 그룹(100D)의 순서로 고속회전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순서로 다단계 회전제어를 하게 되면 고온 공기 역류 흐름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다수의 라디에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팬의 고속회전 빈도를 줄일 수 있어, 냉각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주행 중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냉각팬
100A: A 그룹
100B: B 그룹
100C: C 그룹
100D: D 그룹
200: 라디에이터
210: 제1 라디에이터
220: 제2 라디에이터
230: 제3 라디에이터
240: 제4 라디에이터
310: 제1 온도센서
320: 제2 온도센서
330: 제3 온도센서
340: 제4 온도센서
350: 제5 온도센서
360: 제6 온도센서
370: 제7 온도센서

Claims (25)

  1. 연료전지버스의 루프의 후미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라디에이터;
    상기 라디에이터들의 갯수에 대응하여 그룹화되어 상기 라디에이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각각이 상하 한 쌍의 상부팬 및 하부팬의 중첩된 팬 형태로 구현된 복수개의 냉각팬;
    상기 라디에이터들의 각각의 입구 및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라디에이터들 각각에 의해 순환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들에 의해 감지되는 냉각수의 온도값들에 대응하여 상기 라디에이터들 각각에 공급되는 풍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그룹화된 냉각팬들 별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들에 의해 감지되는 냉각수의 온도값들에 대응하여 상기 냉각팬의 상부팬 및 하부팬을 독립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는, 2행 2열의 4개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연료전지버스의 선미측을 기준으로 1행 1열에 배치된 제3 라디에이터, 1행 2열에 배치된 제1 라디에이터, 2행 1열에 배치된 제4 라디에이터 및 2행 2열에 배치된 제2 라디에이터로 구현되며, 상기 제3 라디에이터 및 제1 라디에이터의 각 출구는 냉각수 라인의 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제3 라디에이터와 상기 제4 라디에이터는 냉각수가 흐르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 라디에이터와 상기 제2 라디에이터는 냉각수가 흐르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4 라디에이터 및 제2 라디에이터의 각 입구는 냉각수 라인의 유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냉각팬들은 상기 제3 라디에이터에 대응하는 A 그룹, 상기 제1 라디에이터에 대응하는 B 그룹, 상기 제4 라디에이터에 대응하는 C 그룹 및 상기 제2 라디에이터에 대응하는 D 그룹으로 그룹화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되는 냉각수의 온도값들에 대응하여 상기 A 그룹, B 그룹, C 그룹 및 D 그룹 별로 상기 냉각팬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냉각수 라인의 유입구에 배치되는 제1 온도센서, 상기 냉각수 라인의 유입구와 상기 제4 라디에이터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온도센서, 상기 냉각수 라인의 유입구와 상기 제2 라디에이터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온도센서, 상기 제4 라디에이터의 출구와 상기 제3 라디에이터의 입구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온도센서, 상기 제2 라디에이터의 출구와 상기 제1 라디에이터의 입구 사이에 배치되는 제5 온도센서, 상기 제3 라디에이터의 출구와 상기 냉각수 라인의 배출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6 온도센서 및 상기 제1 라디에이터의 출구와 상기 냉각수 라인의 배출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7 온도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사전에 정해진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4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4 온도값(T4)으로부터 상기 제6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6 온도값(T6)을 감산한 값이 최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사전에 정해진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4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4 온도값(T4)으로부터 상기 제6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6 온도값(T6)을 감산한 값이 상기 최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A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A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보다 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B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B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C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C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D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5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5 온도값(T5)으로부터 상기 제7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7 온도값(T7)을 감산한 값이 최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사전에 정해진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5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5 온도값(T5)으로부터 상기 제7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7 온도값(T7)을 감산한 값이 상기 최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B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B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A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보다 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B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B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C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C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D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2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2 온도값(T2)으로부터 상기 제4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4 온도값(T4)을 감산한 값이 최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사전에 정해진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2 온도값(T2)으로부터 상기 제4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4 온도값(T4)을 감산한 값이 상기 최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C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C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A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보다 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B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B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C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C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D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2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3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3 온도값(T3)으로부터 상기 제5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5 온도값(T5)을 감산한 값이 최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사전에 정해진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3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3 온도값(T3)으로부터 상기 제5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5 온도값(T5)을 감산한 값이 상기 최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D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D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A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보다 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B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B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C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C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팬들 전체의 상기 하부 팬이 상기 제1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온도값(T1)이 상기 최고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D 그룹에 속하는 상기 냉각팬들의 상부 팬 및 하부 팬이 상기 제2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KR1020130141144A 2013-11-20 2013-11-20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KR101966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144A KR101966457B1 (ko) 2013-11-20 2013-11-20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144A KR101966457B1 (ko) 2013-11-20 2013-11-20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596A true KR20150057596A (ko) 2015-05-28
KR101966457B1 KR101966457B1 (ko) 2019-04-05

Family

ID=53392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144A KR101966457B1 (ko) 2013-11-20 2013-11-20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4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3355A (zh) * 2019-01-11 2019-05-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风机系统及其控制方法、机组
CN112803036A (zh) * 2019-11-14 2021-05-14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燃料电池热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US11642982B2 (en) 2018-11-29 2023-05-09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thermal management systems of power plant
CN116454316A (zh) * 2023-06-19 2023-07-18 上海重塑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针对大功率燃料电池系统的散热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8407A (ko) * 2008-04-11 2009-10-15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냉각팬 조립체
KR20100025083A (ko) 2008-08-27 2010-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버스의 연료전지 냉각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30005003A (ko) * 2011-07-05 2013-01-15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냉각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8407A (ko) * 2008-04-11 2009-10-15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냉각팬 조립체
KR20100025083A (ko) 2008-08-27 2010-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버스의 연료전지 냉각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974757B1 (ko) * 2008-08-27 2010-08-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버스의 연료전지 냉각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30005003A (ko) * 2011-07-05 2013-01-15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냉각팬 어셈블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2982B2 (en) 2018-11-29 2023-05-09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thermal management systems of power plant
US11872908B2 (en) 2018-11-29 2024-01-16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thermal management systems of power plant
CN109823355A (zh) * 2019-01-11 2019-05-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风机系统及其控制方法、机组
CN112803036A (zh) * 2019-11-14 2021-05-14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燃料电池热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CN116454316A (zh) * 2023-06-19 2023-07-18 上海重塑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针对大功率燃料电池系统的散热控制方法及系统
CN116454316B (zh) * 2023-06-19 2023-09-08 上海重塑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针对大功率燃料电池系统的散热控制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457B1 (ko) 201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457B1 (ko) 연료전지버스의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JP4984534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CA2838961C (en) Centrifugal blower system and fuel cell incorporating same
JP2007095482A (ja) 電源装置と電池の冷却方法
JP6870621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7200650A (ja) 燃料電池発電装置およびその換気方法
CN101138115A (zh) 空气冷却式燃料电池系统
US20130052554A1 (en) Fuel cell system and method of reducing decrease in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fuel cell
CN109962268A (zh) 燃料电池汽车热管理方法
CN106452106A (zh) 变流器散热装置
JP6456261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冷却装置
EP3349999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CN202534952U (zh) 一种可自检调温的配电柜
CN107689436A (zh) 一种均衡加热散热的电池箱及电池箱的控制方法
Xinlong et al. An improved air supply scheme for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s
CN102238856A (zh) 散热系统与散热方法
JP2006318704A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温度制御方法
CN109980321A (zh) 车辆和电池装置及其热管理方法
KR101927158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6023683B2 (ja) 床面の吹出し口の面積を決定する方法
JP2006049182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20110017524A (ko) 풍량보조팬이 구비된 풍력발전기
US11973205B2 (en) Cell temperature regulation
KR20100001736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 냉각시스템
KR101510333B1 (ko) 연료전지 차량의 전장 부품 냉각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