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054A -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054A
KR20150057054A KR1020130139871A KR20130139871A KR20150057054A KR 20150057054 A KR20150057054 A KR 20150057054A KR 1020130139871 A KR1020130139871 A KR 1020130139871A KR 20130139871 A KR20130139871 A KR 20130139871A KR 20150057054 A KR20150057054 A KR 20150057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
petals
minutes
dry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9145B1 (ko
Inventor
정석태
김재현
여수환
최지호
최한석
강지은
정의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30139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145B1/ko
Publication of KR20150057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1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1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pressure variation, shock, acceleration or shear stress or cavi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꽃잎이 포함된 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공질 조직사이에 공기가 들어차 있는 건조꽃잎을 꿀에 첨가하여 혼합시 건조꽃잎이 꿀의 표면에 뜨지 않고 고르게 분포되는 꿀을 제조할 수 있고, 건조꽃잎의 영양성분이 꿀과 잘 조화되어 영양 및 맛이 우수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honey including petal}
본 발명은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꽃잎을 꿀에 첨가하여 혼합시 건조꽃잎이 꿀의 표면에 뜨지 않게 고르게 혼합되어 있는 상태의 꿀을 제조할 수 있고, 건조꽃잎의 유용성분이 꿀과 조화를 이루어 영양과 맛이 우수한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벌꿀(honey; 蜂蜜)이란 꿀벌이 꽃의 밀선(蜜腺; 꿀샘, nectary, honey gland)에서 빨아내어 축적한 감미료로, 우리나라의 식품공전에는 「벌꿀이라 함은 꿀벌들이 꽃꿀을 채집하여 벌집에 저장 숙성한 것을 말한다.」라고 정의되어 있다. 꿀은 주로 포도당과 과당으로 이루어진 꿀벌의 기본 탄수화물 먹이이며, 생물학적으로 가장 가치 있는 영양물질이다. 꿀은 크게 꿀벌의 두 가공과정 즉, 꽃꿀이나 단물에 효소를 섞어 다당류를 단당류로 전환시키는 생화학적 성숙 과정과 벌개의 넓은 면적에 펴놓고 물기를 날리는 물리적 성숙 과정을 거쳐 만들어 진다. 꿀벌들이 꽃꿀이나 당분을 완전히 꿀로 만드는 기간은 약 7일 동안이다. 꿀은 그의 기원과 가공방법에 따라 천연꿀과 인조꿀로 나눈다. 천연꿀은 꿀벌들이 식물의 꽃꿀이나 즙액 또는 진디물의 분비물을 날라다가 가공한 것이며, 그것은 단순꽃꿀, 복합꽃꿀, 감로꿀, 빠찌꿀로 구분한다. 인조꿀은 꿀벌의 참가없이 당분을 인공적으로 전환시켜 만든 것이다. 이밖에도 꿀벌들을 충분히 가공하여 벌방에 넣고 뚜껑을 덮게 한 다음 벌개채로 이용하는 개꿀이 있다.
꿀은 벌의 종류와 꿀의 원천, 환경에 따라 화학 구성의 차이가 많지만, 일반적으로 수분이 17% 함유되어 있다. 고형분의 대부분은 당분(83%)으로, 거의 같은 양의 과당(果糖; fruit sugar, fructose, levulose)과 포도당(grape sugar, glucose)으로 되어 있으며, 수크로오스(sucrose)는 약 2%이다. 이들 당분은 원래 꽃에 있던 수크로오스가 꿀벌의 입에서 나오는 전화 효소의 작용으로 전화당인 과당과 포도당으로 변화된 단당류(單糖類)이기 때문에 흡수가 쉽고 칼로리원(源)으로서 속효성(速效性)이고 영양가가 높다. 또한, maltose, dextrin, gum과 질소화합물, organic acid, essential oils, 색소, wax, 식물잔편(특히 화분 과립), yeast, enzymes, 무기염 등이 있다. 꿀은 보통 아주 적은 양의 비타민이 있는데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D, chodline, 비타민 B2, nicotinic acid, pantothenic acid, biotnic acid, folic acid, 비타민 B6, K 등이 들어있다. 질소화합물에는 protein, peptone, proteose, amino acid transferase, peroxidase, amylase 등 효소들이 있다. 그리고 acetylcholine도 있다. 회분에는 마그네슘, 칼슘, 카드뮴, 나트륨, 인, 유황과 미량 원소, 철, 망간, 동, 크롬 등이 있다. 유기산에는 보통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ec acid, acetic acid이 있다. 그리고 formic acid도 함유되어 있으나 함량이 0.01% 이하로 매우 적다.
벌꿀은 특수한 풍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꿀술이나 제과 원료로 이용되기도 하며, 예로부터 약용으로 귀중하게 사용되어 왔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벌꿀에 대해 「오장육부를 편안하게 하고 기운을 돋우며, 비위를 보강하고 아픈 것을 멎게 하며 독을 푼다. 온갖 약을 조화시키고 입이 헌 것을 치료하며 귀와 눈을 밝게 한다」고 쓰여있다. 또한, 꿀은 피부에 지속력이 좋은 수분을 공급해 피부가 수분을 오랫동안 머금고 있을 수 있도록 도와주어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해주고 피부에서 윤기가 흐를수 있게 해준다. 뿐만 아니라 비타민, 무기질, 아미노산이 풍부하기 때문에 꿀팩을 해줄 경우 피부에 다양한 영양공급을 해 피부를 희게 해주고 주름을 예방하며 피부를 건강하게 해 뾰루지 및 여드름 상처를 빨리 낫게 해준다. 또한, 피부노화, 피부세포를 손상시키는 자유 라디컬이라는 요소를 억제해 피부노화를 지연시키고 피부재생을 도와 여러가지 피부질환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 주는 등 다양한 효능이 있다.
꿀을 제조하는 선행기술로는 꿀벌을 이용한 기능성 벌꿀 제조가공 및 그 방법(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1-0036279 A), 라벤더를 첨가한 꿀(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1-0114376 A), 로즈베리를 첨가한 꿀(한국등록특허공보 10-1158294 B1)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꿀에 한약재 성분을 포함하여 기능성 건강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꿀에 건강식품과 한약재 성분을 혼합 재생산한 꿀(한국공개특허공보 특1996-0009876 A) 및 한약재로 사용하는 약초의 농축 엑기스 분말과 꿀을 혼합한 기능성 벌꿀과 기능성 인조꿀(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2-0070563 A)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한약재 분말을 꿀에 포함함으로써 꿀에 포함된 한약재의 유용성분으로 인하여 영양이 우수한 기능성 건강식품의 벌꿀을 제공할 수 있지만, 한약재 분말이 꿀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고, 꿀의 표면에 뜨지 않게 하는 방법은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1-0036279 A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1-0114376 A 한국등록특허공보 10-1158294 B1 한국공개특허공보 특1996-0009876 A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2-0070563 A
본 발명의 목적은 다공질 조직사이에 공기가 들어차 있는 건조꽃잎을 꿀에 첨가하여 혼합할 경우 건조꽃잎이 고르게 혼합되어 있지 않고 꿀의 표면에 뜨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여 건조꽃잎이 꿀에 고르게 분포 되어 있는 상태의 꿀로 사용됨으로써, 건조꽃잎 자체에 함유된 유용한 성분이 꿀과 잘 조화되어 영양 및 맛이 우수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해결하고자 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건조꽃잎과 물을 혼합하여 1차적으로 가열함으로써 건조꽃잎 속에 들어있는 공기가 제거(탈기)되고, 그 빈 공간에는 물이 채워져 팽윤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건조꽃잎 속에 흡수된 물이 많을 경우, 다시 유리되어 벌꿀과 물이 분리되는 층분리가 일어나며, 꽃잎은 벌꿀의 표면에 다시 부유하게 된다. 이러한 층분리와 건조꽃잎의 재부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꽃잎 속에 들어간 수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데, 물에 팽윤시킨 건조꽃잎을 1차적으로 소량의 벌꿀과 함께 혼합하여 한 번 더 가열함으로써 건조꽃잎 속에 들어 있는 물은 증발되고 꿀을 혼입시킴으로써 팽윤된 건조꽃잎 속에 남아있는 물이 벌꿀과 혼합하였을 때 유리되어 층분리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1) 건조꽃잎에 물을 1:10~1:30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1분~60분 동안 상압에서 80℃이상의 온도로 1차 가열하여 건조꽃잎 속에 들어있는 공기를 탈기시키는 단계; (2) 초기 투입된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1:30~1:70의 중량비로 설정하여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건조꽃잎에 1차적으로 첨가한 후, 1분~30분 동안 상압에서 80℃이상의 온도로 2차 가열하여 물을 증발시키고 벌꿀을 꽃잎 속에 혼입시키는 단계; (3) 초기 투입된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1:600~1:800의 중량비로 설정하여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건조꽃잎에 2차적으로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1) 단계에서의 건조꽃잎은 건조꽃잎 무게 대비 물을 1:20~1:30의 중량비로 혼합한다.
상기 (2) 단계에서의 벌꿀은 초기 투입된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1:30~1:70의 중량비로 혼합한다.
상기 (3) 단계에서의 벌꿀은 초기 투입된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1:600~1:800의 중량비로 혼합한다.
상기 1차 가열의 바람직한 온도는 100℃의 끓는 상태에서 30초 이상 가열하면 상당한 효과 발생되고, 20분을 초과하여 가열하면 너무 익어서 곤란해질 질 수 있다. 따라서, 100℃의 끓는 상태에서 1차 가열의 가장 바람직한 시간은 1분~5분일 수 있다. 한편, 끓지 않는 상태인 80℃ 이상에서 10분 이상을 가열하면 효과가 구현이 가능하나, 끓지 않는 상태인 80℃ 이상에서도 60분 이상을 경과하면 익어버리는 경향이 나타나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2차 가열은 80℃이상에서 끓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 10분~15분 동안 가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제조방법으로는 (1) 건조꽃잎에 물을 1:5~1:30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1분~60분 동안 감압 조건에서 70℃이상의 온도로 1차 가열하여 건조꽃잎 속에 들어있는 공기를 탈기시키는 단계; (2) 초기 투입된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1:30~1:70의 중량비로 설정하여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건조꽃잎에 1차적으로 첨가한 후, 1분~30분 동안 감압 조건에서 70℃이상의 온도로 2차 가열하여 물을 증발시키고 벌꿀을 꽃잎 속에 혼입시키는 단계; (3) 초기 투입된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1:600~1:800의 중량비로 설정하여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건조꽃잎에 2차적으로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1) 단계에서의 건조꽃잎은 건조꽃잎 무게 대비 물을 1:5~1:15의 중량비로 혼합한다.
상기 (2) 단계에서의 벌꿀은 초기 투입된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1:30~1:70의 중량비로 혼합한다.
상기 (3) 단계에서의 벌꿀은 초기 투입된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1:600~1:800의 중량비로 혼합한다.
상기 감압은 550~650mmHg의 감압 조건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1차 가열의 바람직한 온도는 100℃의 끓는 상태에서 30초 이상 가열하면 상당한 효과 발생되고, 20분을 초과하여 가열하면 너무 익어서 곤란해질 질 수 있다. 따라서, 100℃의 끓는 상태에서 1차 가열의 가장 바람직한 시간은 1분~5분일 수 있다. 한편, 끓지 않는 상태인 70℃ 이상에서 10분 이상을 가열하면 효과가 구현이 가능하나, 끓지 않는 상태인 70℃ 이상에서도 120분을 경과하면 익어버리는 경향이 나타나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2차 가열은 70℃이상에서 끓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 10분~15분 동안 가열한다.
상기 건조꽃잎은 분말 및 부스러기 중에서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다공질 조직사이에 공기가 들어차 있는 건조꽃잎을 꿀에 첨가하여 혼합할 경우 건조꽃잎이 고르게 부유되어 있지 않고 꿀의 표면에 뜨게 되는데, 본 발명으로부터 제조된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은 물에 팽윤시킨 건조꽃잎을 1차적으로 소량의 벌꿀과 함께 혼합하여 재 가열하였을 때 건조꽃잎 속에 들어 있는 물은 증발시키고 벌꿀을 꽃잎 속에 혼입시킴으로써 꽃잎과 꿀이 층분리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여 건조꽃잎이 꿀의 표면에 뜨지 않게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꽃잎이 꿀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는 상태의 꿀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건조꽃잎 자체에 함유된 유용한 성분이 꿀과 고르게 잘 조화되어 영양 및 맛이 우수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건조꽃잎'이라 함은 자연 건조 및 건조기 등의 다양한 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꽃잎을 완전히 건조된 상태로 만든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압가열'이라 함은 보통 대기압과 같은 1기압 정도의 압력을 상압이라고 하는데, 특별히 압력을 줄이거나 높이지 않을 때의 압력으로 압력을 가감하지 않고 일반적인 상태의 압력조건으로 가열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감압가열'이라 함은 보통 대기압과 같은 1기압 정도의 압력을 상압이라고 하는데, 1기압보다 압력을 감소시킨 550~650mmHg의 감압 조건으로 가열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건조꽃잎을 꿀에 첨가하여 혼합시 건조꽃잎이 꿀의 표면에 뜨지 않고 고르게 부유되어 있는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은 (1) 건조꽃잎에 물을 1:10~1:30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1분~60분 동안 상압에서 80℃이상의 온도로 1차 가열하여 건조꽃잎 속에 들어있는 공기를 탈기시키는 단계; (2) 초기 투입된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1:30~1:70의 중량비로 설정하여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건조꽃잎에 1차적으로 첨가한 후, 1분~30분 동안 상압에서 80℃이상의 온도로 2차 가열하여 물을 증발시키고 벌꿀을 꽃잎 속에 혼입시키는 단계; (3) 초기 투입된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1:600~1:800의 중량비로 설정하여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건조꽃잎에 2차적으로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1) 단계에서 건조꽃잎과 물은 1:10~1:3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한 범위는 1:20~1:30의 중량비이며,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1: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건조꽃잎에 물을 10 중량비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건조꽃잎 대비 물의 양이 부족하기 때문에 건조꽃잎이 팽윤되지 않고, 30 중량비를 초과할 경우에는 건조꽃잎의 팽윤은 양호하지만, 가열과 증발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1) 단계에서 1차 가열 시간을 1분~60분 동안 처리하여 건조꽃잎 속에 들어있는 공기를 탈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분~30분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분~10분 동안 1차 가열하는 것이 혼합성이 양호하고 물에 의한 층분리가 생기지 않는다. 이때, 상기 1차 가열 시간이 1분 미만일 경우에는 가열시간이 적어 물이 증발되지 않아 물에 의한 층분리가 생기며, 60분을 초과할 경우에는 수분이 너무 많이 증발되어 공기가 다시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2) 단계에서 초기 투입된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1:30~1:70의 중량비로 설정하여 (1) 단계에서 얻어진 건조꽃잎에 1차적으로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1:40~1:60이며,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1:50이다. 물에 팽윤시킨 건조꽃잎을 1차적으로 소량의 벌꿀과 함께 혼합하여 재 가열하였을 때 건조꽃잎 속에 들어 있는 물을 증발시키고 벌꿀을 꽃잎 속에 혼입시킴으로써 팽윤된 건조꽃잎 속에 남아있는 물이 벌꿀과 혼합하였을 때 유리되어 층분리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30 중량비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벌꿀이 충분히 스며들지 못하고, 70 중량비를 초과할 경우에는 가열시간이 길어져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2) 단계에서 2차 가열 시간을 1분~30분 동안 처리하여 물을 증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1분~10분이며,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1~3분이다. 이때, 상기 2차 가열 시간이 1분 미만일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벌꿀 하단에 수분층이 생기는 현상이 있으며, 일부 건조꽃잎이 다시 부유하는 경향을 보였고, 30분을 초과할 경우에는 가열 시간이 길어 과도하게 굳어버리거나 유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2차적으로 나머지 벌꿀과 혼합하기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3) 단계에서 초기 투입된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1:600~1:800의 중량비로 설정하여 (2) 단계에서 얻어진 건조꽃잎에 2차적으로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1:700~1:800중량비이며,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1:750~1:800 중량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건조꽃잎은 분말 및 부스러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1) 단계에서의 1차 가열은 1분~60분 동안 상압에서 80℃이상의 온도의 조건에서 이루어지는데, 상기 1차 가열의 바람직한 온도는 100℃의 끓는 상태에서 30초 이상 가열하면 상당한 효과 발생되고, 20분을 초과하여 가열하면 너무 익어서 곤란해질 질 수 있다. 따라서 100℃의 끓는 상태에서 1차 가열의 가장 바람직한 시간은 1분~5분일 수 있다. 한편, 끓지 않는 상태인 80℃ 이상에서 10분 이상을 가열하면 효과가 구현이 가능하나, 끓지 않는 상태인 80℃ 이상에서도 60분 이상을 경과하면 익어버리는 경향이 나타나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2차 가열은 80℃이상에서 끓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 10분~30분 동안 가열한다.
또 다른 제조방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은 (1) 건조꽃잎에 물을 1:5~1:30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1분~60분 동안 감압 조건에서 70℃이상의 온도로 1차 가열하여 건조꽃잎 속에 들어있는 공기를 탈기시키는 단계; (2) 초기 투입된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1:30~1:70의 중량비로 설정하여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건조꽃잎에 1차적으로 첨가한 후, 1분~30분 동안 감압 조건에서 70℃이상의 온도로 2차 가열하여 물을 증발시키고 벌꿀을 꽃잎 속에 혼입시키는 단계; (3) 초기 투입된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1:600~1:800의 중량비로 설정하여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건조꽃잎에 2차적으로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1) 단계에서 건조꽃잎과 물은 1:5~1:3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1:5~1:15 중량비이며,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1:10이다. 이때, 상기 건조꽃잎에 물을 5 중량비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물의 양이 부족하기 때문에 건조꽃잎이 충분히 팽윤되지 않고, 30 중량비를 초과할 경우에는 30 중량비를 초과하지 않아도 충분한 팽윤이 일어나기 때문에 초과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1) 단계에서 1차 가열 시간을 1분~60분 동안 처리하여 건조꽃잎 속에 들어있는 공기를 탈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분~20분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분~10분 동안 1차 가열하는 것이 혼합성이 양호하고 물에 의한 층분리가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2) 단계에서 초기 투입된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1:30~1:70의 중량비로 설정하여 (1) 단계에서 얻어진 건조꽃잎에 1차적으로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1:40~1:60이며,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1:50이다. 물에 팽윤시킨 건조꽃잎을 1차적으로 소량의 벌꿀과 함께 혼합하여 재가열하였을 때 건조꽃잎 속에 들어 있는 물을 증발시킴으로써 팽윤된 건조꽃잎 속에 남아있는 물이 벌꿀과 혼합하였을 때 유리되어 층분리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2) 단계에서 2차 가열 시간을 1분~30분 동안 처리하여 물을 증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2차 가열 시간이 1분 미만일 경우에는 수분 증발량이 불충분하여 최종적으로 제조된 벌꿀 하단에 미세하게 수분층이 생기는 현상이 일어나고, 30분을 초과할 경우에는 가열 시간이 길어 과도하게 굳어버리거나 유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2차적으로 나머지 벌꿀과 혼합하기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3) 단계에서 초기 투입된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1:600~1:800의 중량비로 설정하여 (2) 단계에서 얻어진 건조꽃잎에 2차적으로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1:700~1:800 중량비이며,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1:750~1:800 중량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건조꽃잎은 분말 및 부스러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1) 단계에서의 1차 가열은 1분~60분 동안 상압에서 70℃이상의 온도의 조건에서 이루어지는데, 상기 1차 가열의 바람직한 온도는 100℃의 끓는 상태에서 30초 이상 가열하면 상당한 효과 발생되고, 20분을 초과하여 가열하면 너무 익어서 곤란해질 질 수 있다. 따라서 100℃의 끓는 상태에서 1차 가열의 가장 바람직한 시간은 1분~5분일 수 있다. 한편, 끓지 않는 상태인 70℃ 이상에서 10분 이상을 가열하면 효과가 구현이 가능하나, 끓지 않는 상태인 70℃ 이상에서도 60분 이상을 경과하면 익어버리는 경향이 나타나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2차 가열은 70℃이상에서 끓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 10분~30분 동안 가열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벌꿀 제조(상압 가열)
건조장미 1g에 물 20g을 첨가하여 5분 20초동안 1차적으로 가열하여 꽃잎 속에 들어있는 공기를 제거(탈기)하고 팽윤을 촉진시켰다. 이때 수분을 증발시켜 물의 양이 최종 7g이 되도록 2차적으로 상압가열하였다. 상기 팽윤된 꽃잎에 50g의 벌꿀을 넣고 3분동안 2차적으로 가열하여 팽윤된 꽃잎이 머금고 있는 잉여수분을 증발 및 탈기가 되도록 3분동안 더 가열한 후, 800g의 벌꿀을 2차적으로 첨가하여 벌꿀을 제조하였다.
건조장미 1차 벌꿀 2차 벌꿀
무게 1g 20g 50g 800g
비율 기준 20배 50배 800배
실시예 2: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벌꿀 제조(감압 가열)
건조장미 1g에 물 10g을 감압 플라스크에 넣어 감압은 600mmHg 고정 하에서 5분동안 1차적으로 감압가열하여 꽃잎 속에 들어있는 공기를 제거(탈기)하고 팽윤을 촉진시켰다. 이때 수분을 증발시켜 물의 양이 최종 7g이 되도록 2차적으로 감압가열하였다. 상기 팽윤된 꽃잎에 50g의 벌꿀을 넣고 팽윤된 꽃잎이 머금고 있는 잉여수분을 증발 및 탈기가 되도록 4분 30초동안 감압가열한 후, 800g의 벌꿀을 2차적으로 첨가하여 벌꿀을 제조하였다.
건조장미 1차 벌꿀 2차 벌꿀
중량 1g 10g 50g 800g
비율 기준 10배 50배 800배
비교예 1: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벌꿀 제조
건조장미 1g에 벌꿀 850g을 넣고 8분동안 가열하여 벌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벌꿀 제조
건조장미 1g에 벌꿀 및 물을 2:1 비율로 혼합하여 70g을 넣고, 5분동안 가열한 다음 벌꿀 850g을 첨가하여 벌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벌꿀 제조
건조장미 1g을 100℃에서 스팀처리한 후, 벌꿀 850g을 넣고 혼합하여 벌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벌꿀 제조
건조장미 1g에 물 20g을 첨가하여 8분동안 가열 및 증발시킨 후, 850g의 벌꿀을 첨가하여 벌꿀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제조방법에 따른 제품 특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 제품의 육안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처리 육안 평가 결과
실시예1 건조꽃잎+물 → 1차상압가열 → 1차벌꿀 첨가 → 2차 상압가열 → 2차벌꿀 첨가 꽃잎이 벌꿀 중에 고르게 분포되었고, 벌꿀과 물의 층 분리가 일어나지 않았음.
실시예2 건조꽃잎+물 → 1차감압가열 → 1차벌꿀 첨가 → 2차감압가열 → 2차 벌꿀 첨가 꽃잎이 벌꿀 중에 고르게 분포되었고, 벌꿀과 물의 층 분리도 일어나지 않았음.
비교예1 건조꽃잎+벌꿀 → 가열 꽃잎이 벌꿀 표면에 모두 떠올라 고르게 분포되지 않았음.
비교예2 건조꽃잎 +벌꿀:물(2:1) → 가열 → 벌꿀첨가 꿀에 물을 첨가하여 수분이 많아져 꽃잎의 색이 추출되거나, 꽃잎에 수분이 흡수되지 못하여 꽃잎이 꿀의 표면에 모두 떠오름.
비교예3 건조꽃잎 → 스팀처리 → 벌꿀첨가 건조꽃잎의 스팀처리를 통해서는 꽃잎의 수분을 충분히 흡수시키지 못하였으며, 꽃잎이 벌꿀 표면에 떠올랐음.
비교예4 건조꽃잎+물 → 가열 → 벌꿀첨가 꽃잎이 벌꿀중에 고르게 분포되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꽃잎이 떠오르며 꽃잎이 머금은 수분으로 인하여 벌꿀 하단부위에 수분층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음.
그 결과, 실시예 1 및 2와 같이 건조꽃잎에 물을 첨가하여 상압 또는 감압 가열하여 물을 증발시킨 다음 1차적으로 벌꿀을 첨가한 후, 다시 상압 또는 감압가열 한 다음 잉여 수분을 증발시킨 후 2차 벌꿀을 첨가하여 벌꿀을 제조하는 공정이 건조꽃잎이 벌꿀 중에 고르게 분포되었고, 벌꿀과 물의 층 분리도 일어나지 않았다.
실험예 2: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벌꿀 제조 시, 상압가열 조건 실험
실험예 1의 결과,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벌꿀의 제조방법에서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처리하는 실시예 1의 공정이 우수하여, 처리 조건을 조절하여 최적의 혼합성과 안정성을 보이도록 실험을 실시하였다.
건조꽃잎 + 물 (1g + 20g) → 1차 상압가열 → 1차 벌꿀 첨가 (50g) → 2차 상압가열 → 2차 벌꿀 첨가(800g) → 제품
2-1. 물의 양 및 탈기 조건에 따른 제품 특성
실험예 1의 결과, 가장 효과적으로 제조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중에서 상압 가열 조건인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서 물의 양을 달리하여 가열 시, 냄비 바닥에 고이는 수분이 증발되어 육안상 보이지 않고, 팽윤된 꽃잎만 남을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 및 가열 후 꽃잎의 무게를 측정하여 제품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구분 건조
장미
1차 가열
시간
가열 후 중량 증발율
(%)
제품특성
실시예3 1g 10g 3분 5.5 50.0 꽃잎이 충분히 팽윤되지 않음(가수량 부족)
실시예4 1g 15g 5분 7.8 51.3 꽃잎이 충분히 팽윤되지 않음(가수량 부족)
실시예5 1g 20g 5분 9.5g 54.8 꽃잎의 팽윤이 양호하였음
실시예6 1g 30g 9분 30초 9.5g 69.4 꽃잎의 팽윤은 양호하였으나 가열과 증발에 소요되는 시간이 ③보다 길었음
그 결과, 건조장미 에 물을 20배로 혼합하여 처리하는 실시예 5의 공정이 건조꽃잎의 팽윤이 가장 양호하였다.
2-2. 꽃잎에 물을 첨가 후 1차 가열시간에 따른 증발률 및 제품 특성
벌꿀은 가열에 의한 증발 이외에 수분 증발에 따른 굳는 현상을 보임으로 가열 조작에 있어서 매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품질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으로 수분량을 줄이기 위해서 건조꽃잎에 물을 혼합한 후 가열함으로써 증발되는 최적 조건 설정이 필요하다.
실험예 2와 마찬가지로 실험예 1의 결과, 가장 효과적으로 제조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중에서 상압 가열 조건인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서 건조꽃잎에 물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1차 가열시간에 따른 증발률 및 제품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구분 1차 가열시간 1차 가열 후 중량(g) 2차 가열 후 중량(g) 건조장미총중량
(g)
증발율
(%)
시험 결과
실시예7 5분 9.5 53~54 59.5 9.2 ~10.9 혼합성이 불량하며 수분에 의한 층분리 생김
실시예8 5분 10초 8.0~8.7 52~53 58.0~58.7 9.7 ~10.3 혼합성은 양호하나 수분에 의한 층분리 생김
실시예9 5분 15초 7.3~7.8 51~52 57.3~57.8 10.0 ~11.0 혼합성은 양호하나 수분에 의한 층분리 생김
실시예10 5분 20초 7.0~7.5 50~51 57.0~57.5 11.3 ~12.3 혼합성이 양호하고 수분에 의한 층분리 생기지 않음
그 결과, 건조장미에 물을 20배로 혼합한 후, 5분 20초 동안 1차 가열하는 실시예 10의 공정이 건조장미 투입 무게 대비 총 중량이 7배이고, 1차 벌꿀 첨가 후 2차 가열을 3분동안 처리할 경우 건조꽃잎의 혼합성이 양호하였고, 수분에 의한 층분리도 발생하지 않아 제품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2-3. 1차 벌꿀 첨가 후 2차 가열시간에 따른 증발율 및 제품 특성
실험예 2와 마찬가지로 실험예 1의 결과, 가장 효과적으로 제조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중에서 상압 가열 조건인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서, 1차 벌꿀 첨가 후 2차 가열시간에 따른 증발율 및 제품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구분 팽윤 꽃잎 무게 1차 벌꿀 첨가량 1차 벌꿀 첨가 후 2차 가열시간 가열 후 중량 증발율(%) 2차 벌꿀 첨가량 제품특성
실시예11 9.5g 50g 2분 57g 4.2 200g 하단에 미세하게 수분 층이 생기는 현상이 있었으며, 일부 꽃잎이 다시 부유하는 경향이 있었음.
실시예12 9.5g 50g 3분 54g 9.2 200g 벌꿀의 유동성이 양호하게 유지되었으며, 전반적으로 꽃잎이 벌꿀중에 고르게 분포하였음
실시예13 9.5g 50g 4분 49g 17.6 200g ③④번 처리의 경우, 과도하면 굳어버리거나 유동성이 떨어져 2차로 첨가하는 벌꿀과 혼합하기가 곤란하였음
실시예14 9.5g 50g 5분 45g 24.4 200g
그 결과, 2차 가열시간을 3분동안 처리할 경우 최종 벌꿀 제품의 유동성이 양호하게 유지되었으며, 벌꿀 내의 건조꽃잎이 고르게 분포됨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건조꽃잎을 물에 첨가하여 가열함으로써 건조꽃잎 속에 들어있는 공기가 제거(탈기)되고, 그 빈 공간을 물이 채워져 팽윤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꽃잎 속에 스멸 들어간 물은 꽃잎을 벌꿀과 혼합하였을 때 유리되어 벌꿀과 물이 분리되는 층분리가 일어나며, 꽃잎은 벌꿀의 표면에 다시 부유하게 된다. 이러한 층분리와 꽃잎의 재부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꽃잎 속에 들어간 물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데, 물에 팽윤시킨 꽃잎을 소량의 벌꿀과 함께 혼합하여 재가열하였을 때 꽃잎속에 들어 있는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팽윤된 꽃잎속에 남아있는 수분이 벌꿀과 혼합하였을 때 유리되어 층분리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과 같이 제조된 소량의 건조꽃잎을 적당량의 벌꿀과 혼합함으로써 꽃잎을 효과적으로 벌꿀에 침적시킬 수 있었다.
실험예 3: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벌꿀 제조 시, 감압가열 조건 실험
실험예 1의 결과,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벌꿀의 제조방법에서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처리하는 실시예 2의 공정이 우수하여, 처리 조건을 조절하여 최적의 혼합성과 안정성을 보이도록 실험을 실시하였다.
건조꽃잎 +가수 (1g + 10g) → 1차 감압가열 → 1차 벌꿀 첨가 (50g) → 2차 감압가열 → 2차 벌꿀 첨가(50g) → 제품
3-1. 1차 가열 온도 및 가열시간 측정 실험
실험예 1의 결과, 가장 효과적으로 제조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중에서 감압 가열 조건인 실시예 2의 제조방법에서, 감압가열 조건에서의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을 조절하여 최적의 조건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와 같다.
가열온도
(℃, 중탕)
가열시간(min) 가열 후 중량(g) 시험 결과
실시예15 60 45 11 부적합(낮은 온도로 인해 수분이 증발이 곤란하였으며 45분간 가열한 후에도 잔여수분이 남음)
실시예16 70 20 7 부적합(증발되기는 하나 수분제거에 장시간 소요)
실시예17 75 7 7
실시예18 80 6 7
실시예19 85 5 7 적합 (꽃잎의 팽윤이 양호하였음)
그 결과, 표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5 내지 18의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은 벌꿀 제조 공정에 적합하지 않았고, 실시예 19는 가열온도가 85℃이고, 가열시간이 5분으로 꽃잎의 팽윤이 양호하였다.
3-2. 2차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 측정 실험
실험예 1의 결과, 가장 효과적으로 제조된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벌꿀인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중에서 감압 가열 조건인 실시예 2의 제조방법에서, 감압가열 조건에서의 1차 벌꿀 첨가 후,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을 조절하여 최적의 조건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8과 같다.
팽윤 장미
(g)
1차 벌꿀
(g)
가열
온도
(℃)
가열
시간
(초)
가열 후 중량
(g)
시험결과
실시예20 7 50 85 120 55.3 부적합(수분 증발량 불충분)
실시예21 7 50 85 180 54.2 부적합(수분 증발량 불충분)
실시예22 7 50 85 240 53.1 부적합(수분 증발량 불충분)
실시예23 7 50 85 255 51.8 부적합(수분 증발량 불충분)
실시예24 7 50 85 270 50.5 적합
상기 1차 가열온도 실험에서 85℃로 처리할 경우 가장 꽃잎의 팽윤이 양호하였기 때문에 2차 가열온도도 동일하게 85℃로 처리하였고, 가열 시간만 조절하여 실험을 진행한 결과, 가열시간이 270초(4분 50초)일 경우 충분한 팽윤 및 증발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Claims (16)

  1. (1) 건조꽃잎에 물을 1:10~1:30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1분~60분 동안 상압에서 80℃이상의 온도로 1차 가열하여 건조꽃잎 속에 들어있는 공기를 탈기시키는 단계;
    (2) 초기 투입된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1:30~1:70의 중량비로 설정하여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건조꽃잎에 1차적으로 첨가한 후, 1분~30분 동안 상압에서 80℃ 이상의 온도로 2차 가열하여 물을 증발시키고 벌꿀을 꽃잎 속에 혼입시키는 단계;
    (3) 초기 투입된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1:600~1:800의 중량비로 설정하여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건조꽃잎에 2차적으로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에서의 건조꽃잎은 건조꽃잎 무게 대비 물을 1:20~1:3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의 벌꿀은 초기 투입된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1:30~1:7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에서의 벌꿀은 초기 투입된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1:600~1:80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가열은 80℃이상에서 끓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 10분~60분 동안 가열하고, 2차 가열은 80℃이상에서 끓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 10분~30분 동안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가열은 끓는 상태에서 30초~20분 동안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가열은 끓는 상태에서 1분~5분 동안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
  8. (1) 건조꽃잎에 물을 1:5~1:30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1분~60분 동안 감압 조건에서 70℃이상의 온도로 1차 가열하여 건조꽃잎 속에 들어있는 공기를 탈기시키는 단계;
    (2) 초기 투입된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1:30~1:70의 중량비로 설정하여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건조꽃잎에 1차적으로 첨가한 후, 1분~30분 동안 감압 조건에서 70℃이상의 온도로 2차 가열하여 물을 증발시키고 벌꿀을 꽃잎 속에 혼입시키는 단계;
    (3) 초기 투입된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1:600~1:800의 중량비로 설정하여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건조꽃잎에 2차적으로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에서의 건조꽃잎은 건조꽃잎 무게 대비 물을 1:5~1:1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의 벌꿀은 초기 투입된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1:30~1:7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에서의 벌꿀은 초기 투입된 건조꽃잎 대비 벌꿀을 1:600~1:80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은 550~650mmHg의 감압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가열은 70℃이상에서 끓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 10분~60분 동안 가열하고, 2차 가열은 70℃이상에서 끓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 10분~30분 동안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가열은 끓는 상태에서 30초~20분 동안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가열은 끓는 상태에서 1분~5분 동안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
  16. 제 1 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꽃잎은 분말 및 부스러기 중에서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





KR1020130139871A 2013-11-18 2013-11-18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 KR101549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871A KR101549145B1 (ko) 2013-11-18 2013-11-18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871A KR101549145B1 (ko) 2013-11-18 2013-11-18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054A true KR20150057054A (ko) 2015-05-28
KR101549145B1 KR101549145B1 (ko) 2015-09-01

Family

ID=53391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871A KR101549145B1 (ko) 2013-11-18 2013-11-18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1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614B1 (ko) * 2018-10-19 2020-04-06 김보민 꽃잎이 함유된 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꽃잎이 함유된 꿀
KR20200106354A (ko) * 2019-03-04 2020-09-1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
KR102329881B1 (ko) * 2020-12-08 2021-11-23 주식회사 꽃담에프앤씨 꿀을 함유한 건조 꽃잎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꿀을 함유한 건조 꽃잎
KR20230079761A (ko) 2021-11-29 2023-06-07 주식회사 꽃담에프앤씨 식용 꽃, 허브, 과일추출물 및 벌꿀을 이용한 벌꿀 스프레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벌꿀 스프레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7568A (zh) * 2018-02-27 2018-09-04 四川健生堂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高质量蜂王浆生产加工工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614B1 (ko) * 2018-10-19 2020-04-06 김보민 꽃잎이 함유된 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꽃잎이 함유된 꿀
KR20200106354A (ko) * 2019-03-04 2020-09-1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
KR102329881B1 (ko) * 2020-12-08 2021-11-23 주식회사 꽃담에프앤씨 꿀을 함유한 건조 꽃잎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꿀을 함유한 건조 꽃잎
KR20230079761A (ko) 2021-11-29 2023-06-07 주식회사 꽃담에프앤씨 식용 꽃, 허브, 과일추출물 및 벌꿀을 이용한 벌꿀 스프레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벌꿀 스프레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145B1 (ko) 201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145B1 (ko) 건조꽃잎을 포함하는 꿀의 제조방법
KR101615199B1 (ko)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및 식품첨가제
KR101601947B1 (ko) 땅콩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343343A (zh) 一种降三高的多穗柯苦荞组合物及其应用
CN103783369B (zh) 一种牛蒡咀嚼片及其制备方法
KR102273966B1 (ko) 인삼의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
RU2724478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джи-флаксов
KR20130092652A (ko) 숙취해소용 자연차
KR20100026487A (ko) 대추를 이용한 숙취해소음료 및 이 제조방법
KR101426006B1 (ko) 방풍이 함유된 떡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떡
KR101905497B1 (ko) 수삼과 모링가를 이용한 정과 제조방법
CN103549260B (zh) 辅助降血糖的保健保鲜年糕及其制作方法
CN105285603A (zh) 一种火龙果饮料
KR100755728B1 (ko) 천식 개선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U2630494C1 (ru) Пищевая добавка для кондитерских изделий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варианты)
KR20200072138A (ko) 홍시 조청의 제조방법
KR20140125204A (ko) 과일분말이 도포된 홍삼절편의 제조방법
CN103947797A (zh) 一种发酵型牡丹嫩芽茶复合饮品的制备方法
WO2018101515A1 (ko) 버섯튀김의 제조방법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CN105581253A (zh) 一种提取物燕麦片及其制备方法
CN111631285A (zh) 荷叶薏苡沙棘茶及其制备方法
KR101810510B1 (ko) 어물 튀김의 제조방법
KR102238374B1 (ko) 공진단 제조방법
CN110537600A (zh) 一种刺梨水果袋泡茶的制备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