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6908A -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6908A
KR20150056908A KR1020130139526A KR20130139526A KR20150056908A KR 20150056908 A KR20150056908 A KR 20150056908A KR 1020130139526 A KR1020130139526 A KR 1020130139526A KR 20130139526 A KR20130139526 A KR 20130139526A KR 20150056908 A KR20150056908 A KR 20150056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frame
edge
corne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9229B1 (ko
Inventor
한승원
장하경
예병우
문현준
정명일
김재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30139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229B1/ko
Publication of KR20150056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Abstract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은 복수의 식생블록이 건물 모서리 외면을 덮은 상태로 설치되도록 마련된 모서리용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은 건물 모서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건물 모서리 일측 표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프레임과, 건물 모서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건물 모서리 타측 표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 사이는 건물 모서리 중심에서 상호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building angle vegetation system}
본 발명은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물을 이용하여 건물 외면을 녹화시킴으로써, 건물 미관이 친환경적으로 조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건물의 외단열 효과가 향상되도록 한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1783호는 건물 벽면이 복수의 식생블록에 의해 녹화되도록 하는 벽면녹화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 건물 외면 녹화구조의 경우, 대부분 평평한 건물 벽면 녹화를 위한 것으로, 건물 모서리와 같이 각지고 굽은 부위의 녹화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종래 벽면녹화시스템을 사용하여 건물 외면을 전체적으로 녹화시킬 경우, 모서리 쪽에서 단열이 연속되지 못하고, 이로 인해 모서리 부위에서 열의 이동이 많아지게 되는 열교(heat bridge)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건물의 전체적인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건물의 모서리 녹화를 통해 열교현상을 방지하여 외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마련된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식생블록이 건물 모서리 외면을 덮은 상태로 설치되도록 마련된 모서리용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은 건물 모서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건물 모서리 일측 표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프레임과, 건물 모서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건물 모서리 타측 표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 사이는 건물 모서리 중심에서 상호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을 지지하며,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조립홀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은 상기 조립홀을 통해 상기 지지봉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직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봉은 상기 건물 모서리 양측 전방에 고정된 제1 및 제2지지봉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홀은 상기 제1지지봉에 조립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에 마련된 제1조립홀과, 상기 제2지지봉에 조립되도록 상기 제2프레임에 마련된 제2조립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봉은 상기 식생블록으로 수분을 공급하도록 관수유로를 형성하는 물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식생블록이 건물 모서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에 장착되도록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에는 복수의 삽입칸이 건물 모서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삽입칸 사이의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에는 상부 쪽 상기 삽입칸의 수분의 하부 쪽 상기 삽입칸으로 배수되도록 배수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의 배면에 마련되어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과 상기 건물 모서리사이에서 압착되는 탄력성을 갖는 밀착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 배면에 마련된 밀착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이 상기 조립홀을 통해 상기 물공급관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밀착시트가 압착된 상태로 상기 건물 모서리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관에 조립된 상태의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 배면과 상기 건물 모서리 사이의 간격은 외력을 받지 않은 상태의 상기 밀착시트 두께보다 좁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 사이는 상기 건물 모서리 중심에서 상호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상호 대향되는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의 결합면 중 어느 한 쪽에는 조립돌기가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한 쪽에는 조립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에 따르면, 건물 모서리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녹화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건물의 모서리 쪽 외단열 효과를 높여 열교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에 있어서 모서리용 프레임의 구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에 있어서 물공급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에 있어서 모서리용 프레임이 물공급관에 조립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에 있어서 모서리용 프레임이 식생블록이 설치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항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은 건물의 모서리 쪽 외단열 효과를 높여 열교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식생블록(1)과, 복수의 식생블록(1)이 건물 모서리 외면을 덮은 상태로 설치되도록 마련된 모서리용 프레임(2)을 구비한다.
모서리용 프레임(2)은 건물 모서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건물 모서리 일측 표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프레임(10)과, 건물 모서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건물 모서리 타측 표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프레임(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프레임(10,20)은 복수의 식생블록(1)이 건물 모서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삽입칸(2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제1 및 제2프레임(10,20)은 건물 모서리(a)의 길이에 맞게 길게 제작된 하나씩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며, 각각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단위프레임(11,21)을 통해서도 구성이 가능하다.
식생블록(1)은 상토더미를 코코넛섬유재질과 같은 통기성 소재로 감싸고, 그 표면을 다시 철망으로 감싸 구성할 수 있다. 철망의 형태를 조절함으로 식생블록(1)은 수용칸(2a)의 형태에 맞는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복수의 식생블록(1)은 녹화를 위한 식물이 전면을 통해 식재된 상태에서 모서리용 프레임(2) 전방에서 각각의 삽입칸(2a)으로 수납되어 모서리용 프레임(2)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프레임(10,20) 사이는 건물 모서리 중심에서 상호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상호 대향되는 제1 및 제2프레임(10,20)의 결합면 중 어느 한 쪽에는 반대쪽으로 돌출되도록 조립돌기(11a)가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한 쪽에는 조립돌기(11a)가 끼워지도록 조립홈(21a)이 마련된다. 조립돌기(11a)와 조립홈(21a)은 제1 및 제2프레임(10,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건물 모서리 녹화 시스템은 모서리용 프레임(2)이 건물 모서리 전방에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로 밀착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봉을 포함한다.
지지봉은 길이가 긴 형태로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 형태이거나, 내부가 꽉 찬 선재일 수 있으며, 그 단면 형상은 원형 기타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봉은 일 예로, 제1 및 제2 프레임이 건물 모서리 양측 전방에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로 밀착되게 고정할 수 있는 동시에 식생블록(1)으로 수분이 공급되도록 하는 관수유로를 형성하는 물공급관(3)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른 형태의 지지봉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물공급관(3)을 일 예로 하여 지지봉을 설명하도록 한다.
관수유로를 형성하도록 물공급관(3)은 중공의 파이프를 통해 구성될 수 있으며, 물공급관(3)의 측면에는 물공급관(3)을 통해 공급되는 수분이 모시리용 프레임(2)의 삽입칸(2a)으로 안내되도록 복수의 물공급홀(2a)이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관수유로로 수분이 공급되도록 물공급관(2) 상단에는 저수조 등이 연결될 수 있다.
또 삽입칸(2a) 사이의 제1 및 제2프레임(10,20)에는 상부 쪽 삽입칸(2a)으로 공급된 수분이 하부 쪽 삽입칸(2a)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홀(2b)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은 식생블록(1)은 물론 모서리용 프레임(2)을 통해서도 수분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수분의 공급 및 배수 능력이 향상된다.
이러한 물공급관(3)은 건물 모서리(a) 전방에 건물 모서리(a)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되며, 모서리용 프레임(2)이 물공급관(3)에 슬라이딩방식으로 조립되도록 모서리용 프레임(2)에는 조립홀(11b,21b)이 마련된다.
수직방향의 건물 모서리를 녹화시킬 경우, 물공급관(3)의 하단은 지면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물공급관(3)의 상단은 건물 옥상 등에 설치되는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또 물공급관(3)의 양단이 각각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도록 할 경우,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은 지면에 평행한 건물 모서리의 녹화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후술하게 될 물공급관(3)과 조립홀(11b,21b)의 조립을 위해 물공급관(3)의 양단 중 일단은 모서리용 프레임(2)이 물공급관(3)에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공급관(3)은 건물 모서리 중심 양측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물공급관(30,40)을 포함하여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조립홀(11b,21b)은 제1물공급관(30)에 조립되도록 제1프레임(10)에 마련된 제1조립홀(11b)과, 제2물공급관(40)에 조립되도록 제2프레임(20)에 마련된 제2조립홀(21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홀(11b,21b)의 위치는 삽입칸(2a) 내부 물공급관(3)의 위치를 결정하게 되는데, 물공급관(3)이 삽입칸(2a) 중앙으로 배치될 경우에는 식생블록(1)을 삽입칸(2a)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물공급관(3)이 걸리게 될 우려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물공급관(3)이 식생블록(1)의 설치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제1 및 제2조립홀(11b,21b)은 제1 및 제2프레임(10,20)의 가장자리 쪽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물공급관(30,40)이 모서리용 프레임(2) 가장자리 양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물공급관(3)의 위치조절을 통해 한 쌍의 물공급관(30,40) 사이에서 제1 및 제2프레임(10,20) 사이를 조일 수 있게 되므로, 제1 및 제2프레임(10,20) 사이의 결합력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모서리용 프레임(2)이 건물 모서리(a) 외면에 보다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모서리용 프레임(2)의 배면에는 탄력성을 갖는 밀착시트(4)가 부착될 수 있으며, 밀착시트(4)는 고무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서리용 프레임(2) 배면은 모서리용 프레임(2)이 조립홀(11b,21b)을 통해 물공급관(3)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밀착시트(4)가 압착된 상태로 건물 모서리(a) 외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무재질로 마련되는 밀착부재(4)는 건물 모서리(a)가 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모서리의 각이 바르지 못한 상태에서도 모서리용 프레임(2)의 고정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압착 정도를 달리하면서 모서리용 프레임(2) 배면과 건물 모서리(1) 외면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모서리용 프레임(2)의 조립과정에서 밀착부재(4)가 모서리용 프레임(2)과 건물 모서리 외면 사이에서 압착되기 용이하도록 물공급관(3)에 조립된 상태의 모서리용 프레임(2) 배면과 건물 모서리 사이의 간격은 외력을 받지 않은 상태의 밀착시트(4) 두께보다 좁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을 이용하여 건물 모서리를 녹화시킬 때는 모서리용 프레임(2)을 건물의 모서리를 감싸도록 건물 모서리 전면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모서리용 프레임(2)의 각 삽입칸(2a)에 식생블록(1)을 장착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모서리용 프레임(2)을 설치할 때는 먼저 제1 및 제2프레임(10,20)의 배면에 접착제나 체결부재를 통해 밀착시트(4)를 부착시키게 되고, 이 상태에서는 관수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물공급관(3)을 건물 모서리 전방에 건물 모서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물공급관(30,40)은 건물 모서리 양측으로 상호 평행하게 설치된다.
물공급관(3)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모서리용 프레임(2)에 마련된 조립홀(11b,21b)을 이용하여 모서리용 프레임(2)을 물공급관(3)에 슬라이딩방식으로 끼워 조립하게 된다.
모서리용 프레임(2)의 조립시 제1프레임(10)은 제1조립홀(11b)을 통해 제1물공급관(30)에 끼워져 조립되고, 제2프레임(20)은 제2조립홀(21b)을 통해 제2물공급관(40)에 끼워져 조립되는데, 이때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은 순차적으로 해당 물공급관(3)으로 조립되면서 상기 조립돌기(11a)와 조립홈(21a)을 통해 상호 요철결합되며, 모서리용 프레임(2)의 배면은 밀착시트(4)가 압착된 상태로 건물 모서리 외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모서리용 프레임(2)은 건물 모서리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건물 모서리 전방에 설치가 완료되며, 이 상태에서 준비된 복수의 식생블록(1)을 각각의 삽입칸(2a)에 장착함에 따라 건물 모서리의 녹화공정은 완료된다.
1: 식생블록 2: 모서리용 프레임
2a: 삽입칸 2b: 배수홀
3: 물공급관 3a: 물공급홀
4: 밀착시트 10: 제1프레임
11a: 조립돌기 11b: 제1조립홀
20: 제2프레임 21a: 조립홈
21b: 제조립홀 30: 제1물공급관
40: 제2물공급관

Claims (10)

  1. 복수의 식생블록이 건물 모서리 외면을 덮은 상태로 설치되도록 마련된 모서리용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은 건물 모서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건물 모서리 일측 표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프레임과, 건물 모서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건물 모서리 타측 표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 사이는 건물 모서리 중심에서 상호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을 지지하며,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봉을 포함하는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조립홀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은 상기 조립홀을 통해 상기 지지봉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직 관통되는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상기 건물 모서리 양측 전방에 고정된 제1 및 제2지지봉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홀은 상기 제1지지봉에 조립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에 마련된 제1조립홀과, 상기 제2지지봉에 조립되도록 상기 제2프레임에 마련된 제2조립홀을 포함하는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
  5. 제 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상기 식생블록으로 수분을 공급하도록 관수유로를 형성하는 물공급관을 포함하는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식생블록이 건물 모서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에 장착되도록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에는 복수의 삽입칸이 건물 모서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삽입칸 사이의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에는 상부 쪽 상기 삽입칸의 수분의 하부 쪽 상기 삽입칸으로 배수되도록 배수홀이 마련되는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의 배면에 마련되어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과 상기 건물 모서리사이에서 압착되는 탄력성을 갖는 밀착시트를 더 포함하는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 배면에 마련된 밀착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이 상기 조립홀을 통해 상기 물공급관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밀착시트가 압착된 상태로 상기 건물 모서리 외면에 밀착되는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관에 조립된 상태의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 배면과 상기 건물 모서리 사이의 간격은 외력을 받지 않은 상태의 상기 밀착시트 두께보다 좁게 마련되는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 사이는 상기 건물 모서리 중심에서 상호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상호 대향되는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의 결합면 중 어느 한 쪽에는 조립돌기가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한 쪽에는 조립홈이 마련되는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
KR1020130139526A 2013-11-18 2013-11-18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 KR101589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526A KR101589229B1 (ko) 2013-11-18 2013-11-18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526A KR101589229B1 (ko) 2013-11-18 2013-11-18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908A true KR20150056908A (ko) 2015-05-28
KR101589229B1 KR101589229B1 (ko) 2016-02-03

Family

ID=5339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526A KR101589229B1 (ko) 2013-11-18 2013-11-18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2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40894A1 (fr) * 2022-10-17 2024-04-19 On-Scènes Module végétal isolant pour murs et toitures de bâtimen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683A (ko) * 2008-10-31 2010-05-11 안승한 건축물의 외벽 녹화구조
KR20120014528A (ko) * 2010-08-09 2012-02-17 손창락 벽면식재장치
KR101296738B1 (ko) * 2012-08-03 2013-08-20 박정미 벽면녹화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 수직정원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683A (ko) * 2008-10-31 2010-05-11 안승한 건축물의 외벽 녹화구조
KR20120014528A (ko) * 2010-08-09 2012-02-17 손창락 벽면식재장치
KR101139614B1 (ko) * 2010-08-09 2012-04-27 손창락 벽면식재장치
KR101296738B1 (ko) * 2012-08-03 2013-08-20 박정미 벽면녹화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 수직정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229B1 (ko)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3402B2 (en) Frame unit of a curtain wall
KR100652129B1 (ko) 가스켓을 사용한 단열 구조를 가진 은폐식 커튼월 시스템
JP2019516892A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101543455B1 (ko) 조립식 커튼월 단열보강구조체
US20180023295A1 (en) Mullion-transom structure
US20170260797A1 (en) Plug-in connector
KR101498832B1 (ko) 단창 구조 칸막이
KR101589229B1 (ko)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
KR101589204B1 (ko) 건물 모서리 녹화공법
KR101099373B1 (ko) 건축용 조립식 판넬의 연결구조
KR20110136143A (ko) 전열·후열 말뚝 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2열 자립식 흙막이 시공방법
KR101031071B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
KR102041344B1 (ko) 커튼월 시스템
CN205329931U (zh) 单元式幕墙单板结构及幕墙系统
KR101247163B1 (ko) 패널 어셈블리
KR101269218B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
CN109194264B (zh) 光伏组件的边框结构
KR101276698B1 (ko) 단열층 형성이 용이한 비닐하우스
KR200318014Y1 (ko) 샌드위치패널 구조물
JP6184744B2 (ja) 屋外構造物の屋根
JP2011069066A (ja) ガラス板取付構造
KR101824461B1 (ko) 샌드위치 패널 커플링 유니트
KR101492580B1 (ko) 유리온실
CN214229034U (zh) 一种种植装置
KR100617964B1 (ko) 방습용 및 아트용 벽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