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204B1 - 건물 모서리 녹화공법 - Google Patents

건물 모서리 녹화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204B1
KR101589204B1 KR1020130139530A KR20130139530A KR101589204B1 KR 101589204 B1 KR101589204 B1 KR 101589204B1 KR 1020130139530 A KR1020130139530 A KR 1020130139530A KR 20130139530 A KR20130139530 A KR 20130139530A KR 101589204 B1 KR101589204 B1 KR 101589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corner
water supply
frame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6911A (ko
Inventor
한승원
장하경
예병우
문현준
정명일
김재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30139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204B1/ko
Publication of KR20150056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nishing Wall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건물 모서리 녹화공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모서리 녹화공법은 (a) 격자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삽입공간을 구비하는 모서리용 프레임을 건물의 모서리를 감싸도록 건물 모서리 전면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복수의 삽입공간에 복수의 식생블록을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 모서리 녹화공법{building angle vegetation method}
본 발명은 건물 모서리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물을 이용하여 건물 외면을 녹화시킴으로써, 건물 미관이 친환경적으로 조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건물의 외단열 효과가 향상되도록 한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1783호는 건물 벽면이 복수의 식생블록에 의해 녹화되도록 하는 종래 벽면녹화공법의 일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 건물 외면 녹화공법의 경우, 대부분 평평한 건물 벽면의 녹화를 위한 것이기 때문에, 건물 모서리와 같이 각지고 굽은 부위의 녹화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종래 벽면녹화공법을 사용하여 건물 외면을 전체적으로 녹화시킬 경우, 모서리 쪽에서 단열이 연속되지 못하고, 이로 인해 모서리 부위에서 열의 이동이 많아지게 되는 열교(heat bridge)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건물의 전체적인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건물의 모서리 녹화를 통해 열교현상을 방지하여 외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마련된 건물 모서리 녹화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격자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삽입공간을 구비하는 모서리용 프레임을 건물의 모서리를 감싸도록 건물 모서리 전면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복수의 삽입공간에 복수의 식생블록을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모서리 녹화공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식생블록으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관수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물공급관을 건물 모서리 전방에 건물 모서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하는 단계; 및 (a-2)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에 마련된 조립홀을 이용하여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을 상기 물공급관에 슬라이딩방식으로 끼워 조립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2) 단계는 모서리용 프레임의 대향하는 결합면이 밀착된 상태로 상호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은 건물 모서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건물 모서리 일측 표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프레임과, 건물 모서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건물 모서리 타측 표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관은 건물 모서리 양측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물공급관을 포함하여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립홀은 상기 제1물공급관에 조립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에 마련된 제1조립홀과, 상기 제2물공급관에 조립되도록 상기 제2프레임에 마련된 제2조립홀을 포함하고, 상기 (a-2)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은 해당하는 제1 및 제2물공급관에 순차적으로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호 요철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의 배면에는 탄력성을 갖는 밀착시트가 부착되고, 상기 (a-2) 단계에서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 배면은 상기 밀착시트가 압착되도록 상기 건물 모서리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 모서리 녹화공법에 따르면, 건물 모서리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녹화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건물의 모서리 쪽 외단열 효과를 높여 열교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 모서리 녹화공법에 이용되는 모서리용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 모서리 녹화공법에서 물공급관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 모서리 녹화공법에서 물공급관에 조립되는 모서리용 프레임의 설치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 모서리 녹화공법에서 물공급관에 설치된 모서리용 프레임에 식생블록이 설치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항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은 건물의 모서리 쪽 외단열 효과를 높여 열교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식생블록(1)과, 복수의 식생블록(1)이 건물 모서리 외면을 덮은 상태로 설치되도록 마련된 모서리용 프레임(2)을 구비한다.
모서리용 프레임(2)은 건물 모서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건물 모서리 일측 표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프레임(10)과, 건물 모서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건물 모서리 타측 표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프레임(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프레임(10,20)은 복수의 식생블록(1)이 건물 모서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삽입칸(2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제1 및 제2프레임(10,20)은 건물 모서리(a)의 길이에 맞게 길게 제작된 하나씩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며, 각각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단위프레임(11,21)을 통해서도 구성이 가능하다.
식생블록(1)은 상토더미를 코코넛섬유재질과 같은 통기성 소재로 감싸고, 그 표면을 다시 철망으로 감싸 구성할 수 있다. 철망의 형태를 조절함으로 식생블록(1)은 수용칸(2a)의 형태에 맞는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복수의 식생블록(1)은 녹화를 위한 식물이 전면을 통해 식재된 상태에서 모서리용 프레임(2) 전방에서 각각의 삽입칸(2a)으로 수납되어 모서리용 프레임(2)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프레임(10,20) 사이는 건물 모서리 중심에서 상호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상호 대향되는 제1 및 제2프레임(10,20)의 결합면 중 어느 한 쪽에는 반대쪽으로 돌출되도록 조립돌기(11a)가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한 쪽에는 조립돌기(11a)가 끼워지도록 조립홈(21a)이 마련된다. 조립돌기(11a)와 조립홈(21a)은 제1 및 제2프레임(10,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건물 모서리 녹화 시스템은 모서리용 프레임(2)이 건물 모서리 전방에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로 밀착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식생블록(1)으로 수분이 공급되도록 하는 관수유로를 형성하는 물공급관(3)을 구비한다.
관수유로를 형성하도록 물공급관(3)은 중공의 파이프를 통해 구성될 수 있으며, 물공급관(3)의 측면에는 물공급관(3)을 통해 공급되는 수분이 모시리용 프레임(2)의 삽입칸(2a)으로 안내되도록 복수의 물공급홀(2a)이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관수유로로 수분이 공급되도록 물공급관(2) 상단에는 저수조 등이 연결될 수 있다.
또 삽입칸(2a) 사이의 제1 및 제2프레임(10,20)에는 상부 쪽 삽입칸(2a)으로 공급된 수분이 하부 쪽 삽입칸(2a)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홀(2b)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은 식생블록(1)은 물론 모서리용 프레임(2)을 통해서도 수분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수분의 공급 및 배수 능력이 향상된다.
이러한 물공급관(3)은 건물 모서리(a) 전방에 건물 모서리(a)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되며, 모서리용 프레임(2)이 물공급관(3)에 슬라이딩방식으로 조립되도록 모서리용 프레임(2)에는 조립홀(11b,21b)이 마련된다.
수직방향의 건물 모서리를 녹화시킬 경우, 물공급관(3)의 하단은 지면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물공급관(3)의 상단은 건물 옥상 등에 설치되는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또 물공급관(3)의 양단이 각각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도록 할 경우,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은 지면에 평행한 건물 모서리의 녹화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후술하게 될 물공급관(3)과 조립홀(11b,21b)의 조립을 위해 물공급관(3)의 양단 중 일단은 모서리용 프레임(2)이 물공급관(3)에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공급관(3)은 건물 모서리 중심 양측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물공급관(30,40)을 포함하여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조립홀(11b,21b)은 제1물공급관(30)에 조립되도록 제1프레임(10)에 마련된 제1조립홀(11b)과, 제2물공급관(40)에 조립되도록 제2프레임(20)에 마련된 제2조립홀(21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홀(11b,21b)의 위치는 삽입칸(2a) 내부 물공급관(3)의 위치를 결정하게 되는데, 물공급관(3)이 삽입칸(2a) 중앙으로 배치될 경우에는 식생블록(1)을 삽입칸(2a)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물공급관(3)이 걸리게 될 우려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물공급관(3)이 식생블록(1)의 설치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제1 및 제2조립홀(11b,21b)은 제1 및 제2프레임(10,20)의 가장자리 쪽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물공급관(30,40)이 모서리용 프레임(2) 가장자리 양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물공급관(3)의 위치조절을 통해 한 쌍의 물공급관(30,40) 사이에서 제1 및 제2프레임(10,20) 사이를 조일 수 있게 되므로, 제1 및 제2프레임(10,20) 사이의 결합력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모서리용 프레임(2)이 건물 모서리(a) 외면에 보다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모서리용 프레임(2)의 배면에는 탄력성을 갖는 밀착시트(4)가 부착될 수 있으며, 밀착시트(4)는 고무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서리용 프레임(2) 배면은 모서리용 프레임(2)이 조립홀(11b,21b)을 통해 물공급관(3)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밀착시트(4)가 압착된 상태로 건물 모서리(a) 외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무재질로 마련되는 밀착부재(4)는 건물 모서리(a)가 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모서리의 각이 바르지 못한 상태에서도 모서리용 프레임(2)의 고정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압착 정도를 달리하면서 모서리용 프레임(2) 배면과 건물 모서리(1) 외면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모서리용 프레임(2)의 조립과정에서 밀착부재(4)가 모서리용 프레임(2)과 건물 모서리 외면 사이에서 압착되기 용이하도록 물공급관(3)에 조립된 상태의 모서리용 프레임(2) 배면과 건물 모서리 사이의 간격은 외력을 받지 않은 상태의 밀착시트(4) 두께보다 좁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을 이용하여 건물 모서리를 녹화시킬 때는 모서리용 프레임(2)을 건물의 모서리를 감싸도록 건물 모서리 전면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모서리용 프레임(2)의 각 삽입칸(2a)에 식생블록(1)을 장착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모서리용 프레임(2)을 설치할 때는 먼저 제1 및 제2프레임(10,20)의 배면에 접착제나 체결부재를 통해 밀착시트(4)를 부착시키게 되고, 이 상태에서는 관수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물공급관(3)을 건물 모서리 전방에 건물 모서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물공급관(30,40)은 건물 모서리 양측으로 상호 평행하게 설치된다.
물공급관(3)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모서리용 프레임(2)에 마련된 조립홀(11b,21b)을 이용하여 모서리용 프레임(2)을 물공급관(3)에 슬라이딩방식으로 끼워 조립하게 된다.
모서리용 프레임(2)의 조립시 제1프레임(10)은 제1조립홀(11b)을 통해 제1물공급관(30)에 끼워져 조립되고, 제2프레임(20)은 제2조립홀(21b)을 통해 제2물공급관(40)에 끼워져 조립되는데, 이때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은 순차적으로 해당 물공급관(3)으로 조립되면서 상기 조립돌기(11a)와 조립홈(21a)을 통해 상호 요철결합되며, 모서리용 프레임(2)의 배면은 밀착시트(4)가 압착된 상태로 건물 모서리 외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모서리용 프레임(2)은 건물 모서리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건물 모서리 전방에 설치가 완료되며, 이 상태에서 준비된 복수의 식생블록(1)을 각각의 삽입칸(2a)에 장착함에 따라 건물 모서리의 녹화공정은 완료된다.
1: 식생블록 2: 모서리용 프레임
2a: 삽입칸 2b: 배수홀
3: 물공급관 3a: 물공급홀
4: 밀착시트 10: 제1프레임
11a: 조립돌기 11b: 제1조립홀
20: 제2프레임 21a: 조립홈
21b: 제조립홀 30: 제1물공급관
40: 제2물공급관

Claims (5)

  1. 건물의 모서리 쪽 벽면을 식생블록을 이용하여 녹화시키기 위한 건물 모서리 녹화공법에 있어서,
    (a) 건물 모서리 쪽 벽면 전방에 식생블록이 수용되도록 전방으로 개방된 삽입공간을 구비하는 박스모양의 모서리용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와, (b) 상기 삽입공간에 식생블록을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은 건물 모서리 일측 전방에 설치되도록 마련된 제1프레임과, 건물 모서리 타측 전방에 설치되도록 마련된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은 상호 대응하는 측면이 각각 건물 모서리의 일측 및 타측 벽면과 둔각을 이룬 상태에서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되며,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의 상호 대응하는 측면을 건물 모서리 전방에서 상호 대면된 상태로 밀착시키는 건물 모서리 녹화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식생블록으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관수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물공급관을 건물 모서리 전방에 건물 모서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하는 단계; 및
    (a-2)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에 마련된 조립홀을 이용하여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을 상기 물공급관에 슬라이딩방식으로 끼워 조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모서리 녹화공법.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관은 건물 모서리 양측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물공급관을 포함하여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립홀은 상기 제1물공급관에 조립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에 마련된 제1조립홀과, 상기 제2물공급관에 조립되도록 상기 제2프레임에 마련된 제2조립홀을 포함하고,
    상기 (a-2)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은 해당하는 제1 및 제2물공급관에 순차적으로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호 요철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모서리 녹화공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의 배면에는 탄력성을 갖는 밀착시트가 부착되고,
    상기 (a-2) 단계에서 상기 모서리용 프레임 배면은 상기 밀착시트가 압착되도록 상기 건물 모서리 외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모서리 녹화공법.
KR1020130139530A 2013-11-18 2013-11-18 건물 모서리 녹화공법 KR101589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530A KR101589204B1 (ko) 2013-11-18 2013-11-18 건물 모서리 녹화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530A KR101589204B1 (ko) 2013-11-18 2013-11-18 건물 모서리 녹화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911A KR20150056911A (ko) 2015-05-28
KR101589204B1 true KR101589204B1 (ko) 2016-02-04

Family

ID=53391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530A KR101589204B1 (ko) 2013-11-18 2013-11-18 건물 모서리 녹화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2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614B1 (ko) * 2010-08-09 2012-04-27 손창락 벽면식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614B1 (ko) * 2010-08-09 2012-04-27 손창락 벽면식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911A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3402B2 (en) Frame unit of a curtain wall
RU2012157772A (ru) Улучшенные способы и системы откосов оконных проемов
KR20100120867A (ko) 커튼월 샷시조립체
KR101878820B1 (ko) 단열용 커튼 월
RU2014136537A (ru) Дистанционный профиль для дистанционной рамки стеклопакета с внутрипакетными элементами и стеклопакет
JP2014531544A (ja) 複層ガラスシステム
KR101732474B1 (ko) 이격 틈새를 갖는 내부 공기 배출형 내진 외벽패널 조립체의 시공방법
KR101589204B1 (ko) 건물 모서리 녹화공법
KR101589229B1 (ko) 건물 모서리 녹화시스템
US7328613B2 (en) Profile element for sound reduction roller blinds
KR101225569B1 (ko) 전열·후열 말뚝 연결재
KR101031071B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
KR200439110Y1 (ko)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KR101279140B1 (ko)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6749730B2 (ja) 建物外壁の接合具、建物外壁の接合構造及び建物外壁の接合方法
KR101247163B1 (ko) 패널 어셈블리
KR101269218B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
KR101276698B1 (ko) 단열층 형성이 용이한 비닐하우스
KR101331461B1 (ko) 비닐하우스용 이중 비닐시트
FR2927345A1 (fr) Dispositif a debordement apte a etre positionne sur les parois en bois d'une piscine
KR100617964B1 (ko) 방습용 및 아트용 벽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조립체
KR20140047278A (ko) 단열 스터드
KR101748783B1 (ko) 조립 블록과 이를 이용한 아치형 하우스 구조물
JP6184744B2 (ja) 屋外構造物の屋根
KR101492580B1 (ko) 유리온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