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218B1 -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218B1
KR101269218B1 KR1020120021997A KR20120021997A KR101269218B1 KR 101269218 B1 KR101269218 B1 KR 101269218B1 KR 1020120021997 A KR1020120021997 A KR 1020120021997A KR 20120021997 A KR20120021997 A KR 20120021997A KR 101269218 B1 KR101269218 B1 KR 101269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fixing pad
extension
house
pac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용
Original Assignee
이범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범용 filed Critical 이범용
Priority to KR1020120021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21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E04H15/642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with covers held by elongated fixing members locking in longitudinal recesses of a frame
    • E04H15/646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with covers held by elongated fixing members locking in longitudinal recesses of a frame the fixing members being locked by an additional lock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9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flexible sheets to other sheets or plates or to strips or b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편리성과 아울러 조립 과정에서 비닐의 찢어짐 등으로 인한 누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하는 선등록(10-1031071호(2011.04.25.)된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의 기술 구성을 적극적으로 개량한 것으로서, 제조 및 사용 편리성을 제공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를 수평결합식으로 구성되도록 이웃하는 고정패드 단부가 끼워지는 제1확장부와, 제1확장부의 단부에 패킹을 끼워지게 제2확장부를 형성하여 비닐 고정패드의 조립 편리성과 아울러 비닐 고정패드를 결합한 상태에서 비닐의 찢어지더라도 패킹에 의해 누수의 위험을 사전 차단하여 결로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Vinyl fixation pad for vinyl-house}
본 발명은 조립 편리성과 아울러 조립 과정에서 비닐의 찢어짐 등으로 인한 누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하는 선등록(10-1031071호(2011.04.25.))된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의 기술 구성을 적극적으로 개량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 및 사용 편리성을 제공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비닐하우스는 터널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통상 지면에 양단이 압입 고정되는 아치형 골조들에 수평방향으로 일자형 골조들에 결합한 상태에서 외부에 비닐을 씌워서 구성한다.
상기한 비닐하우스 중, 중ㆍ대형 비닐하우스의 경우 일자형 골조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6M 정도로 제작되는 비닐 고정패드를 고정하고, 비닐 고정패드에 비닐과 함께 철사를 절곡 구성한 고정스프링을 함께 내입하여 비닐을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 비닐 고정패드는 길이가 6M정도로 짧게 제공되는 바, 비닐하우스에 고정할 때 현장에서는 별도의 연결구를 사용하거나, 또는 비닐 고정패드의 일단을 강제로 확장한 상태에서 상대편 단부를 강재 삽입하는 방법으로 연결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작업방법은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고, 비닐이 고정된 상태에서 비닐 고정패드의 단부와 비닐의 접촉에 의해 비닐이 찢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비닐하우스 내부에 결로현상이 생기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목적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59194호의 비닐하우스용 비닐패드(이하 비닐 고정패드라 한다.)가 출원된 바 있다.
상기 비닐 고정패드의 경우 일단을 확관 혹은 축소시키고, 상대측에는 플랜지부가 도려내어진 절개부를 형성하여 상호 수평방향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현장에서 비닐 고정패드의 일단을 확장하여 끼움 결합함으로 해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비닐 고정패드의 경우 일단을 확장하고 상대편의 플랜지부를 도려내야 하는 등 작업성이 떨어지고, 조립상태에서도 상기와 같은 비닐의 찢어짐이 해결되지 못하여 누수현상이 발생하며, 특히 연결부위의 누수현장으로 동절기 결로현상 발생 및 결로수 낙하로 의한 작물의 성장 장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근자에는 결로수받이를 비닐하우스 내에 별도로 설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바, 시설 농가에서는 이러한 종래 비닐 고정패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능성 비닐 고정패드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대 비닐 고정패드가 직각방향에서 끼워지도록 넓게 확장부를 형성하고, 확장부상에는 이중 확장된 패킹홈을 형성하고 패킹을 결합함으로 해서 비닐 고정패드를 결합한 상태에서 비닐의 찢어지더라도 패킹에 의해 누수의 위험을 사전 차단하여 결로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 과정에서 비닐의 찢어짐 등으로 인한 누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하는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를 출원하여 등록(10-1031071호(2011.04.25.)한 바 있다.
상기한 선등록 발명의 경우 연결부분에 의해 비닐이 손상되더라도 패킹에 의해 누수를 차단할 수 있어 비닐하우스 내부의 결로 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비닐하우스 내부를 상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특히 결로수 낙하에 의한 작물의 냉해 피해를 줄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선등록 발명의 경우 확장부의 중간에 이중 확장된 패킹홈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성형성이 떨어져 생산성이 저조하며, 이웃하는 고정패드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패킹이 이탈되거나 손상되는 경우가 있어 조립에 상당한 주의가 요구되었다.
KR 20-0359194 Y1 2004.08.21. KR 10-1031071 B1 2011.04.25.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가 갖는 문제점들을 개선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수평결합식 구성의 장점과 본 발명자가 개발하여 등록한 구성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개량하여 제조 및 사용 편리성을 제공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를 수평결합식으로 구성되도록 이웃하는 고정패드 단부가 끼워지는 제1확장부와, 제1확장부의 단부에 패킹을 끼워지게 제2확장부를 형성하여 비닐 고정패드의 조립 편리성과 아울러 비닐 고정패드를 결합한 상태에서 비닐의 찢어지더라도 패킹에 의해 누수의 위험을 사전 차단하여 결로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는 수평결합식이므로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제2확장부에 패킹이 조립되므로 연결부분에 의해 비닐이 손상되더라도 패킹에 의해 누수를 차단할 수 있고, 비닐하우스 내부의 결로 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결로수 낙하로 따른 작물의 냉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등 안전한 작물재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 도 3은 본 발명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의 평면도 및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1)는 지면에 양단이 압입 고정되는 아치형 골조들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일자형 골조들에 결합한 상태에서 외부에 비닐을 씌우는 비닐하우스(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일자형 골조들과 같이 수평방향으로 비닐하우스의 길이만큼 여러 개를 연속으로 연결하여 골조에 고정한 상태에서 비닐(A)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적극적으로 개량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비닐 고정패드(1)는 골조와 접하는 바닥판(2) 좌우측에 상부가 좁아져 개구(3)가 형성되게 상단에 마감지지부(4)가 말려지도록 마주보는 경사진 측판(5)이 세워지게 띠 형상의 얇은 철판을 포밍기를 이용하여 절곡 형성한 상태에서 일정길이(통상 6m 정도)로 절단하여 제조하고, 또한 비닐 고정패드(1)의 일단에 제1확장부(6)를 형성하여 상대측 비닐 고정패드(1)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구성되게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 비닐 고정패드(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1확장부(6)의 단부에 제2확장부(7)를 더 형성하고, 이에 패킹(8)을 결합하여 상대측 비닐 고정패드(1)가 끼워질 때 패킹(8)에 면접되어 수밀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1확장부(6)의 내면은 상대측 비닐 고정패드(1)의 외경에 부합하는 치수로 확장되어 상대측 비닐 고정패드(1)가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2확장부(7)는 제1확장부(6)의 단부를 더 확장한 것이다.
이때 제1확장부(6)는 20~30mm로 구성하여 상대측 비닐 고정패드(1)가 결합된 상태에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제2확장부(7)는 10~20mm로 구성하여 후술할 패킹(8)을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제1,2확장부(6)(7)의 바닥판 및 측판과 마감지지부가 동일한 비율로 확장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은 제1확장부(6)와 제2확장부(7)의 제조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포밍기를 통해서 1차 비닐 고정패드를 형성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치구를 내입하는 방법으로 제1확장부(6)와 제2확장부(7)를 형성할 수 있어 성형과정에서 비닐 고정패드(1)의 외관에 손상 없이 성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확장부(7)의 단부에 끼워지는 패킹(8)은 제2확장부(7)의 마구리(7a)와 접하는 마감편(8a)과, 제2확장부(7)의 바닥내면 및 측판의 내면에 접하는 접지부(8b) 및 측판(5) 상단의 마감지지부(4)에 씌워지는 마감덮개(8c)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마감편(8a)과 접지부(8b)의 경계에는 제2확장부(7)의 마구리(7a)가 끼워지는 끼움홈(8d)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패킹(8)은 제2확장부(7)에 끼워질 때 마구리(7a)가 끼움홈(8d)이 삽입되고, 마감지지부(4)가 마감덮개(8c)에 씌워지게 되므로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며, 특히 상대측 비닐 고정패드(1)를 끼움 결합할 때 패킹(8)이 비닐 고정패드(1)와 함께 밀려 이동하지 않고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은 비닐 고정패드(1)에 내입되는 비닐(A)을 고정하는 고정스프링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1)는 비닐하우스에 수평방향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비닐(A)을 고정하거나 혹은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조립 및 작용 효과 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1)의 조립은 먼저 한 개의 비닐 고정패드(1)를 비닐하우스의 골조에 피스를 이용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제2확장부(7)에 패킹(8)을 끼운다.
상기와 같이 제2확장부(7)에 패킹(8)을 끼운 상태에서 상대측 비닐 고정패드(1)의 단부를 제2확장부(7)를 통해서 밀어 넣으면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결합방법으로 비닐하우스 길이로 연속적으로 연결되게 설치한 상태에서 비닐(A)을 내입하고, 고정스프링(10)으로 비닐(A)을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본 발명은 비닐 고정패드(1)가 수평방향으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으로 마감지지부(4)의 절단 없이 조립이 가능하며, 조립한 상태에서 제2확장부(7)에 결합되어 있는 패킹(8)의 접지부(8b)와 면접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비닐(A)을 고정한 상태에서 비닐(A)이 찢어지더라도 비닐 고정패드(1)의 연결부분을 통해서 누수 되는 등의 문제를 일소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 2:바닥판
3:개구 4:마감지지부
5:측판 6:제1확장부
7:제2확장부 7a:마구리
8:패킹 8a:마감편
8b:접지부 8c:마감덮개
8d:끼움홈 A:비닐

Claims (2)

  1. 바닥판(2) 좌우측에 상부가 좁아져 개구(3)가 형성되도록 마주보는 경사진 측판(5)을 세워 형성한 비닐 고정패드(1)의 일단에 제1확장부(6)를 형성하여 상대측 비닐 고정패드(1)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1확장부의 단부에는 제1확장부를 더 확장한 제2확장부를 형성하고, 제2확장부의 선단에는 패킹(8)을 결합하되,
    상기 제2확장부(7)의 단부에 끼워지는 패킹(8)은 제2확장부(7)의 마구리(7a)와 접하는 마감편(8a)과, 제2확장부(7)의 바닥내면 및 측판의 내면에 접하는 접지부(8b) 및 측판(5) 상단의 마감지지부(4)에 씌워지는 마감덮개(8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마감편(8a)과 접지부(8b)의 경계에는 제2확장부(7)의 마구리(7a)가 끼워지는 끼움홈(8d)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
KR1020120021997A 2012-03-02 2012-03-02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 Active KR101269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997A KR101269218B1 (ko) 2012-03-02 2012-03-02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997A KR101269218B1 (ko) 2012-03-02 2012-03-02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9218B1 true KR101269218B1 (ko) 2013-05-30

Family

ID=48667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997A Active KR101269218B1 (ko) 2012-03-02 2012-03-02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2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085B1 (ko) * 2013-03-28 2014-12-01 정욱철 비닐하우스용 패드의 비닐결합부재
CN108651090A (zh) * 2018-05-03 2018-10-16 朱彩玲 一种高度可调节的农业大棚
KR20240149276A (ko) 2023-04-05 2024-10-14 박태윤 천막 설치용 고정부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1759A (ja) 2000-02-03 2001-08-07 Green System:Kk フイルム固定レール用連結具
KR101031071B1 (ko) 2010-12-07 2011-04-25 이범용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1759A (ja) 2000-02-03 2001-08-07 Green System:Kk フイルム固定レール用連結具
KR101031071B1 (ko) 2010-12-07 2011-04-25 이범용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085B1 (ko) * 2013-03-28 2014-12-01 정욱철 비닐하우스용 패드의 비닐결합부재
CN108651090A (zh) * 2018-05-03 2018-10-16 朱彩玲 一种高度可调节的农业大棚
KR20240149276A (ko) 2023-04-05 2024-10-14 박태윤 천막 설치용 고정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95160S1 (en) Front housing for thermostat
KR101269218B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
US9297594B2 (en) Collector plate for a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r including such a plate
KR101031071B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
ES2329844T3 (es) Estructura de tejado modular para edificios.
US20090230371A1 (en) Plastic fence
KR20110061748A (ko) 외장패널 조립용 프레임
CN102678924B (zh) 用于管材穿插连接的单边孔防水密封组件
KR101138990B1 (ko) 태양광 모듈의 단자 박스
CN202466893U (zh) 一种复合转角板
KR200356601Y1 (ko) 조경용 화단 경계구조물
CN204703319U (zh) 夹芯板
KR200196472Y1 (ko) 건축용 패널의 조립구조
KR101211655B1 (ko) 비닐하우스용 연결패드
JP5330078B2 (ja) 外部用ドア枠における縦枠と下枠の連結構造
CN110468991B (zh) 装配式混凝土建筑预制外墙防水构造
JP6095290B2 (ja) パネルの接合構造
KR200405447Y1 (ko) 지붕패널
KR101531014B1 (ko) 온실용 프로파일
JP6670152B2 (ja) 屋根設置パネル
CN205491481U (zh) 电源供应器及其罩壳
KR20140028641A (ko) 비닐하우스용 비닐고정장치
KR101636260B1 (ko) 벽체 고정 장치 일체형 선홈통
KR20120005007U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KR102150192B1 (ko) 차량용 차광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1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