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5950A -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5950A
KR20150055950A KR1020130138565A KR20130138565A KR20150055950A KR 20150055950 A KR20150055950 A KR 20150055950A KR 1020130138565 A KR1020130138565 A KR 1020130138565A KR 20130138565 A KR20130138565 A KR 20130138565A KR 20150055950 A KR20150055950 A KR 20150055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nit
food waste
fram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천일
Original Assignee
고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천일 filed Critical 고천일
Priority to KR1020130138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5950A/ko
Priority to US14/088,344 priority patent/US20150129693A1/en
Publication of KR20150055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9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02C21/02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8Electromechanically operated l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8Data transmi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5Remot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로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분해 및 건조시키는 음식물쓰레기 처리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구비되고, 바닥면 상에서 상기 하우징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우징 구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 구동유닛은, 상기 하우징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FOOD GARBAGE DISPOSAL EQUIPMENT}
본원은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유기폐기물은 동/식물성 섬유질을 비롯하여 단백질, 탄수화물 및 칼슘 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이에, 유기폐기물을 분해 및 소멸시키지 않고 그대로 매립하면, 유기폐기물로부터 발생하는 추출물이 지중으로 유입되어 토지 및 지하수 등을 오염시키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유기폐기물을 분해 및 소멸 처리하는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가 요구된다.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에 관한 일 예로서, 한국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4-12627호(고안의 명칭: 고속분해발효비료제조기), 한국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4-12628호(고안의 명칭: 유기물발효장치),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1996-4300호(발명의 명칭: 음식물쓰레기의 사료 및 비료화방법 및 플랜트), 한국공고실용신안 공고번호 제20-1995-7395호(고안의 명칭: 음식물쓰레기의 고속퇴비화장치) 및 한국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4-24804호(고안의 명칭: 음식물쓰레기발효통) 등과 같이,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 또는 유기물을 비료 또는 사료화함으로써 처리하는 장치를 들 수 있다.
종래의 일 예에 따른 방법 또는 장치들은 유기폐기물을 감량시키는데 다소의 효과가 있을 수 있는 반면, 분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능률이 낮은 문제점, 및 처리능력이 낮아서 완전히 소멸처리되지 않은 유기폐기물을 배출시켜, 유해가스로 인한 악취가 극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는,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에 관한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270982호(고안의 명칭: 유기 폐기물 분해 장치),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6-19663호(발명의 명칭: 음식물쓰레기 소멸화기기) 및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535699호(발명의 명칭: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교반조 구조)를 들 수 있다.
이 중, 한국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270982호(고안의 명칭: 유기 폐기물 분해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고 미생물이 담긴 원통 모양의 쉘 케이스, 쉘 케이스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 샤프트에 결합되어 쉘 케이스에 투입된 유기 폐기물을 교반 및 분쇄하는 아암 블레이드, 샤프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및 쉘 케이스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예열하는 프리 히터를 포함하여, 미생물 및 가열된 공기를 이용해 유기 폐기물을 고속 소멸할 수 있는 유기 폐기물 분해장치를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6-19663호(발명의 명칭: 음식물쓰레기 소멸화기기)는, 분쇄밀, 그 하부의 교반분쇄날개 및 분사시스템을 포함하여, 투입구를 통해 처리조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밀에 의해 1차 처리한 후, 교반분쇄날개에 의해 2차 처리함으로써, 분해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된 분사시스템에 의해 처리조 내부를 청소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기기를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535699호(발명의 명칭: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교반조 구조)는 배수공을 갖는 상부바닥과 배수구를 갖는 하부바닥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교반조, 교반조의 상부바닥 위에 결합 설치되고 배수공을 갖는 분리형 바닥판 및 분리형 바닥판과 상부바닥 사이에 개입된 망체, 및 교반조 내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키는 교반날개를 포함하여, 음식물쓰레기에서 배출된 취출수를 망체, 하부바닥 및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수할 수 있고, 분리형 바닥판의 교환으로 교반조의 바닥부위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교반조 구조를 개시한다.
그러나,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장치들은 아날로그 방식에 의한 수동 스위치장치들에 의해 작동되므로, 조작이 불편하고, 자동 또는 수동 모드에 의한 구동을 선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쉘케이스(교반통)의 내부에는 온수를 분사 공급시킬 수 없으므로 음식물쓰레기의 소멸처리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쉘케이스(교반통)의 내부를 깨끗하게 처리할 수 없어 악취가 격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특허받은 등록특허 제10-0808132호(발명의 명칭: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제10-0832785호(발명의 명칭: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시스템장치) 및 제10-0831380호(발명의 명칭: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에 개시된 장치는 분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능률이 떨어지고, 완전히 처리되지 못하고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유해가스 및 극심한 악취가 유발되는 문제점, 아날로그방식에 의해 작동되어 조작이 불편하고, 자동 또는 수동 모드를 선택할 수 없는 문제점, 쉘케이스(교반통)의 내부에 온수를 분사 공급할 수 없어 음식물쓰레기의 소멸처리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 및 쉘케이스(교반통)의 내부를 깨끗하게 처리할 수 없어 악취가 격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그러나, 위의 본 출원인이 특허받은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또는, 소멸 처리시스템장치)는 바퀴를 이용하여 이동 가능하였으나,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설치시키기 위해서는 바퀴를 제거하고 다리를 설치하기 위하여 장치 전체를 들어 올려야 하는 수고가 있었다. 이로 인해,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가 한번 설치되면, 이동이 거의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사람의 이동시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석에서 벽면에 거의 밀착되도록 설치하는데, 이 경우 벽면과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사이에 사람이 들어가서 작업하기 힘들기 때문에, 장치의 전반적인 수평을 맞추기가 매우 힘들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원은 요구되는 장소에 보조기구 없이 용이하게 설치 가능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분해 및 건조시키는 음식물쓰레기 처리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구비되고, 바닥면 상에서 상기 하우징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우징 구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 구동유닛은, 상기 하우징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하우징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하우징 구동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를 들어 올리고 내릴 때 지게차나 다른 보조기구가 필요 없다. 또한, 설치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하우징 중 좌측에 구비된 하우징을 생략한 개략적인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하우징 중 우측에 구비된 하우징을 생략한 개략적인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하우징 중 정면에 구비된 하우징을 생략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하우징 중 상측에 구비된 하우징을 생략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하우징 구동유닛의 일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의 (a)는 하우징을 상승시켰을 때의 하우징 구동유닛의 구동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b)는 하우징을 하강시켰을 때의 하우징 구동유닛의 구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는 도 1의 A부분에서 일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의 (b)는 회전축에 구비된 UCF 베어링 및 UCP 베어링을 설명하기 위해 도 6의 (a)의 일부 구성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7의 (a)는 도 2의 B부분에서 일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의 (b)는 회전축에 구비된 UCF 베어링 및 UCP 베어링을 설명하기 위해 도 7의 (a)의 일부 구성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데이터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전방, 후방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보았을 때 왼쪽이 전방, 오른쪽이 후방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이하 '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하우징(11) 중 좌측에 구비된 하우징(11)을 생략한 개략적인 좌측면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하우징(11) 중 우측에 구비된 하우징(11)을 생략한 개략적인 우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하우징(11) 중 정면에 구비된 하우징(11)을 생략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하우징(11) 중 상측에 구비된 하우징(11)을 생략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부(10) 및 하우징 구동유닛(30)을 포함한다.
음식물쓰레기 처리부(10)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하우징(11) 내에 구비되고, 음식물쓰레기를 분해 및 건조시킨다.
하우징 구동유닛(30)은 하우징(11)의 하측에 구비되고, 바닥면 상에서 하우징(11)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 때, 하우징 구동유닛(30)은 하우징(11)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바닥면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승 또는 하강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설치 장소로 이동된 다음 하우징 구동유닛(30)에 의해 하우징(11)이 상승됨으로써, 하우징(11)의 하측 공간에 스톱퍼스탠드(stopper stand)(50)가 개재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바퀴를 이용하여 이동 가능하였으나,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설치시키기 위해서는 바퀴를 제거하고 다리를 설치하기 위하여 장치 전체를 들어 올려야 하는 수고가 있었다. 이로 인해,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가 한번 설치되면, 이동이 거의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사람의 이동시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석에서 벽면에 거의 밀착되도록 설치하는데, 이 경우 벽면과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사이에 사람이 들어가서 작업하기 힘들기 때문에, 장치의 전반적인 수평을 맞추기가 매우 힘들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반면, 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하우징(11)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하우징 구동유닛(30)을 구비함으로써, 장치의 설치를 위해 이를 들어 올리고 내릴 때 지게차나 다른 보조기구가 필요 없다.
따라서, 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설치 장소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들과 관련한 구성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우징 구동유닛(30)은 상측에 하우징(11)이 배치되는 상측 프레임부(31), 바닥면을 따라 구름 운동을 하는 바퀴(35)가 설치된 하측 프레임부(33), 및 하측 프레임부(33)에 대하여 상측 프레임부(3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리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하우징 구동유닛(30)의 일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의 (a)는 하우징(11)을 상승시켰을 때의 하우징 구동유닛(30)의 구동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b)는 하우징(11)을 하강시켰을 때의 하우징 구동유닛의 구동상태(30)를 나타낸 것이다.
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하측 프레임부(33)에 구비된 바퀴(35)를 통해, 설치 장소까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고, 설치 장소에서 리프트를 통해 하우징(11)을 들어올림으로써 스톱퍼스탠드(50)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의 확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리프트(32)는,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고정 설치시, 바퀴(35)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 하우징(11)을 지지하는 스톱퍼스탠드(50)가 하우징(11)과 바닥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는 높이까지 상측 프레임부(31)를 상승 구동 가능할 수 있다.
스톱퍼스탠드(50)가 하우징(11)의 하부에 장착된다고 하면, 하우징(11)의 하면의 바닥면으로부터의 이격 높이가 스톱퍼스탠드(50)의 높이보다 높아야 하고, 바퀴(35)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야 한다.
따라서, 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바퀴(35)를 통해 설치 장소로 이동된 후, 리프트에 의해 스톱퍼스탠드(50)의 높이 이상으로 하우징(11)을 들어올려, 하우징(11)의 하측에 스톱퍼스탠드(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가 설치장소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하우징(11)의 하측에 구비되는 스톱퍼스탠드(5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는, 상단이 상측 프레임부(31)에 체결되고, 하단이 하측 프레임부(33)에 체결되는 한 쌍의 리프트암(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리프트암(32) 각각은, 상단이 상측 프레임부(31)에 힌지 체결되는 제1 로드(323), 하단이 하측 프레임부(33)에 힌지 체결되는 제2 로드(325), 및 제1 로드(323)의 하단과 제2 로드(325)의 상단을 링크 연결하는 힌지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리프트암(32) 각각은 힌지부(321)를 중심으로 힌지 회동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1 로드(323) 및 제2 로드(325)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힌지부(321)가 힌지 회동되는 경우, 상측 프레임부(31)는 상승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제1 로드(323) 및 제2 로드(325)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힌지부(321)가 힌지 회동되는 경우, 상측 프레임부(31)는 하강될 수 있다.
리프트는, 한 쌍의 리프트암(32) 각각의 힌지부(321)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3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부재(37)는 힌지부(321)의 수평 방향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여, 상측 프레임부(31)의 승하강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리프트암(32) 각각의 힌지부는 서로 대칭되게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우징(11)의 수평 균형을 유지시키며 하우징(11)을 안정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재(37)에는, 힌지부(321)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리미트(limit)(37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힌지부(321)가 원하는 구간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범위는 상승 제한 높이 이하의 범위 내에서 하우징(11)이 상승되도록 하는 힌지부(321)의 이동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힌지부(321)가 리미트(371)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면 하우징(11)의 상승이 중지되므로, 하우징(11)이 정해진 높이까지만 상승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한 쌍의 리프트암(32) 중 좌측에 위치한 리프트암(32)에 구비된 힌지부(321)는 가이드부재(37)의 좌측 단부까지만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리미트(371)는 우측에 위치한 리프트암(32)에 구비된 힌지부(321)의 이동 가능구간이 좌측에 위치한 리프트암(32)에 구비된 힌지부(321)의 이동 가능구간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도록 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바퀴(35)는 복수개일 수 있다.
또한, 하측 프레임부(33)는, 복수개의 바퀴(35) 중 일부의 바퀴(35)를 구비하고, 한 쌍의 리프트암(32) 중 어느 하나의 리프트암(32)의 하단이 힌지 체결되는 제1 프레임(333), 복수개의 바퀴(35) 중 나머지의 바퀴(35)를 구비하고 한 쌍의 리프트암(32) 중 다른 하나의 리프트암(32)의 하단이 힌지 체결되는 제2 프레임(335), 및 제1 프레임(333)과 제2 프레임(335)이 수평 방향을 축으로 회동되도록 제1 프레임(333)과 제2 프레임(335)의 사이에 구비되는 힌지 체결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프레임(333) 및 제2 프레임(335)은 한 쌍의 리프트암(32)의 구동에 따라 힌지 체결부(331)를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힌지 회동 가능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333) 및 제2 프레임(335) 각각에 구비된 바퀴(35)가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힌지부(321)의 슬라이드 이동시에 힌지 체결부(331)를 기준으로 제1 프레임(333) 및 제2 프레임(335)이 하향 경사지도록 힌지 회동될 수 있다.
만약, 바퀴(35)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하측 프레임부(33) 자체가 바닥면을 지지하는 수단이 되므로, 하측 프레임부(33)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될 수 없다.
반면, 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바퀴(35)가 구름 이동을 통해 바닥면에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힌지부(321)의 슬라이드 이동시에 힌지 체결부(331)를 기준으로 제1 프레임(333) 및 제2 프레임(335)이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힌지 회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힌지부(321)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리프트암(32)이 펴짐과 동시에, 제1 프레임(333) 및 제2 프레임(335)이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상측 프레임부(31)의 최대 상승 높이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리프트암(32)을 적은 거리만큼 구동시키더라도, 하우징(11)을 원하는 높이까지 쉽게 들어올릴 수 있으므로, 스톱퍼스탠드(5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쉽게 확보할 수 있다.
즉, 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하측 프레임부(33)가 바퀴(35)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는 점과 연계하여 하측 프레임부(33)가 절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프트암(32)의 적은 상승 구동량을 통해서도 하측 프레임의 하향 경사진 절첩에 의하여 하우징(11)을 리프트암(32)의 상승량보다 높은 곳까지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하우징(11)의 상승 구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도 5의 (a) 참조).
이 때, 바퀴(35)는 제1 프레임(333)의 일단과 제2 프레임(335)의 타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프레임(333) 및 제2 프레임(335) 각각에 구비된 바퀴(35)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333)의 일단과 제2 프레임(335)의 타단이 바닥면으로부터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 구동유닛(30)은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2개의 하우징 구동유닛(30) 각각은 하우징(11)의 하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우징(11)의 균형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음식물쓰레기 처리부(10)는,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부, 및 교반부로부터 배출되는 드레인을 집수하여 배출하는 드레인집수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교반부는 교반통(111), 및 교반통(111) 내의 음식물쓰레기에 교반작용을 가하는 교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교반부는 개폐도어(14)를 통해 투입구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키면서, 주위에 배치된 히터(미도시)에 의해 음식물쓰레기를 가열하여 건조시키고, 드레인을 드레인집수부(17)로 배출한다.
교반부는 교반통(111)의 하부에 구비되고, 드레인이 드레인집수부(17)로 배출되도록 천공홀이 형성된 천공 플레이트(1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천공 플레이트(1111)는 교반통(111)과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교반통(111)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종래에는 교반기의 하측에 드레인을 내보내도록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탈부착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교반기의 하측과 플레이트가 맞물리는 이음새에 이물질이 끼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이로 인해, 교반기 내의 드레인이 제대로 배출될 수 없었으므로, 교반기를 작동시키는 모터에 과부하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천공 플레이트(1111)와 교반통(111)이 일체로 구비되므로, 이들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아 이물질이 끼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었다.
따라서, 원활하게 드레인이 배출될 수 있으므로, 교반부에 과부하가 걸려 구성이 파손되는 문제점 등이 해소될 수 있고, 나아가, 음식물쓰레기의 건조 및 분해 과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교반부는 교반통(111)과 천공 플레이트(1111) 사이에 구비되는 용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천공 플레이트(1111)는 교반통(111)에 용접되어, 교반통(111)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용접부는 천공 플레이트(1111)가 교반통(111)에 용접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용접부는, 예시적으로 천공 플레이트(1111)가 교반통(111)에 접착제 등을 통해 부착되는 경우에는 접착제가 구비된 부분을 의미하는 등과 같이, 일체로 결합되는 방식에 따라 천공 플레이트(1111)와 교반통(111)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교반기로부터 배출되는 드레인은 도 3에 도시된 드레인관(81)을 통해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외부는, 예시적으로, BOD 저감장치(미도시)일 수 있다. BOD 저감장치는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에서 배출된 드레인을 발효 및 분해하여 낮아진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생화학적 산소요구량)의 정수로 정화한다.
이와 같은 BOD 저감장치의 예로는 본 출원인이 이전에 출원한 한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11-0119269호에 개시된 BPD 저감장치를 들 수 있다.
한편, 교반유닛은 양단이 교반통(11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되, 교반통(111)의 내측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는 회전축(1131), 및 회전축(1131)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교반날개(113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131)은 기어드기동모터(115)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기어드기동모터(115)가 구동되면 기동스프로킷(116)이 회전된다. 따라서, 기동스프로킷(116)과 체인(118)을 통해 연결된 연동스프로킷(117)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축(1131)이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체인(118)은 롤러타입텐션장치(119)에 의해 장력이 조절되며 구동력을 연동스프로킷(117)에 전달할 수 있다.
교반날개(1132)는 회전축(1131)에 의해 회전되면서 교반통(111)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킬 수 있다.
이 때, 회전축(1131)의 양단에는 각각 UCF 베어링(unit cylinder flange bearing)(1135) 및 UCP 베어링(unit cylinder pillow bearing)(1136)이 구비될 수 있다.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양이 많거나 회전축(1131)에 음식물쓰레기가 걸쳐지게 되는 등으로 인해 기어드기동모터(115)에 강한(큰) 부하가 걸리게 될 수 있다. 즉, 기어드기동모터(115)에 설정 부하용량 이상의 부하가 걸릴 수 있다.
이에, 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회전축(1131)에 이중 베어링(double bearing)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양이 많아 회전축(1131)에 걸리는 부하에 의해 회전축(1131)이 휘어지거나 베어링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교반유닛의 보다 높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의 (a)는 도 1의 A부분에서 일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의 (b)는 회전축(1131)에 구비된 UCF 베어링(1135) 및 UCP 베어링(1136)을 설명하기 위해 도 6의 (a)의 일부 구성에 대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7의 (a)는 도 2의 B부분에서 일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의 (b)는 회전축(1131)에 구비된 UCF 베어링(1135) 및 UCP 베어링(1136)을 설명하기 위해 도 7의 (a)의 일부 구성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UCF 베어링(1135)과 UCP 베어링(1136)은 회전축(1131)의 자중 및 회전축(1131)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축(1131)의 회전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부(10)에 의해 분해 및 건조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예를 들어 미국에서의 판매 모델은 소비자가 장치를 리스(lease)하고 이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한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의 판매 모델이 많다.
이러한 방식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며, 이에 따라, 장치를 리스해주는 판매회사는 하루, 일주일, 한달 단위 등과 같이 주기적으로 각 사용자가 얼마만큼의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지 모니터링을 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된다.
이에, 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데이터부(70)를 통해 처리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에 관련된 데이터를 회사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를 리스해주는 회사는 음식물쓰레기 양에 따라 청구서를 발행할 수 있다.
데이터부(70)는, 음식물쓰레기 처리부(10)가 사용하는 물의 사용량 데이터를 측정하는 유량계(flow meter), 및 음식물쓰레기 처리부(10)가 사용하는 전기의 사용량 데이터를 측정하는 전력계(watt 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를 소멸 및 분해시키는 과정, 특히, 음식물쓰레기에 수분을 공급하고, 열을 가하며, 교반유닛을 가동시키는 과정 등에서 공통적으로 물과 전기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물과 전기의 사용량을 측정함을 통해, 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를 통해 처리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카운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유량계 및 전력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유량계 및 전력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전장부의 좌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유량계 및 전력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부(70)는 장치 내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메인공급관(90)과 전기를 공급받는 기어드기동모터(115)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데이터부(70)가 수집한 데이터를,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를 모니터링하는 서버(sever)에 전송하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예시적으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를 리스해주는 판매회사의 서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판매자는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부(70)로부터 데이터를 원격으로 수집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서버는, 예시적으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를 리스한 사용자의 서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온라인상에서 장치의 사용량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통신부는 온라인으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도록 PLC(power line communication)에 이더넷 네트워크 카드(Ethernet network card)를 장착할 수 있다.
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하우징(11)의 하측에 구비된 하우징 구동유닛(30)을 통해, 설치 장소까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고, 설치 장소에서 리프트를 통해 하우징(11)을 들어올림으로써 스톱퍼스탠드(50)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의 확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장치 전체를 들어 올렸다 내리기 위한 지게차나 다른 보조기구가 필요 없고, 하우징(11) 전체를 수평 균형을 용이하게 맞추며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회전축(1131)의 양단 각각에 UCF 베어링과 UCP 베어링을 구비함으로써, 이중 베어링 구조를 통해 회전축(1131)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교반통(111)에 천공 플레이트(1111)를 하나의 유니바디(unibody)로 구비함으로써, 교반통(111)과 천공 플레이트(1111)가 맞물리는 이음새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1131)에 과부하를 주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는 데이터부(70)를 포함하여, 사용자와 판매자가 온라인 상에서 장치의 사용량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를 리스해주고,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양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음식물쓰레기 처리부 11: 하우징
14: 개폐도어 111: 교반통
1131: 회전축 115: 기어드기동모터
116: 기동스프로킷 117: 연동스프로킷
118: 체인 119: 롤러타입텐션장치
1135: UCF 베어링 1136: UCP 베어링
1132: 교반날개 1111: 천공플레이트
17: 드레인집수부
30: 하우징 구동유닛 31: 상측 프레임부
32: 리프트암 321: 힌지부
323: 제1 로드 325: 제2 로드
33: 하측 프레임부 331: 힌지 체결부
333: 제1 프레임 335: 제2 프레임
35: 바퀴 37: 가이드부재
371: 리미트 40: 터치스크린부
41: 터치스크린 43: 수납함
45: 커버 60: 드레그탱크
70: 데이터부 81: 드레인관
50: 스톱퍼스탠드 90: 워터메인공급관

Claims (18)

  1.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에 있어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분해 및 건조시키는 음식물쓰레기 처리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구비되고, 바닥면 상에서 상기 하우징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우징 구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 구동유닛은, 상기 하우징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구동유닛은,
    상측에 상기 하우징이 배치되는 상측 프레임부;
    상기 바닥면을 따라 구름 운동을 하는 바퀴가 설치된 하측 프레임부; 및
    상기 하측 프레임부에 대하여 상기 상측 프레임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리프트를 포함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상기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고정 설치시, 상기 바퀴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스톱퍼스탠드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바닥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는 높이까지 상기 상측 프레임부를 상승 구동 가능한 것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구비되는 상기 스톱퍼스탠드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상단이 상측 프레임부에 체결되고, 하단이 하측 프레임부에 체결되는 한 쌍의 리프트암을 포함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리프트암 각각은,
    상단이 상기 상측 프레임부에 힌지 체결되는 제1 로드;
    하단이 상기 하측 프레임부에 힌지 체결되는 제2 로드; 및
    상기 제1 로드의 하단과 상기 제2 로드의 상단을 링크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상기 한 쌍의 리프트암 각각의 상기 힌지부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리프트암 각각의 상기 힌지부는 서로 대칭되게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힌지부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리미트가 구비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복수개이고,
    상기 하측 프레임부는,
    상기 복수개의 바퀴 중 일부의 바퀴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리프트암 중 어느 하나의 리프트암의 하단이 힌지 체결되는 제1 프레임;
    상기 복수개의 바퀴 중 나머지의 바퀴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리프트암 중 다른 하나의 리프트암의 하단이 힌지 체결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이 수평 방향을 축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힌지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리프트암의 구동에 따라 상기 힌지 체결부를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힌지 회동 가능한 것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구동유닛은 2개로 구비되고,
    상기 2개의 하우징 구동유닛 각각은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처리부는,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부; 및
    상기 교반부로부터 배출되는 드레인을 집수하여 배출하는 드레인집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교반부는,
    교반통, 및 상기 교반통 내의 상기 음식물쓰레기에 교반작용을 가하는 교반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교반통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드레인이 상기 드레인집수부로 배출되도록 천공홀이 형성된 천공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천공 플레이트는, 상기 교반통과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교반통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교반통과 상기 천공 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용접부를 포함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유닛은,
    양단이 상기 교반통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교반통의 내측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교반날개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는 각각 UCF 베어링 및 UCP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처리부에 의해 분해 및 건조되는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양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부는,
    상기 음식물쓰레기 처리부가 사용하는 물의 사용량 데이터를 측정하는 유량계(flow meter); 및
    상기 음식물쓰레기 처리부가 사용하는 전기의 사용량 데이터를 측정하는 전력계(watt meter)를 포함하는 것인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부가 수집한 데이터를, 상기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를 모니터링하는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1020130138565A 2013-11-14 2013-11-14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2015005595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565A KR20150055950A (ko) 2013-11-14 2013-11-14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US14/088,344 US20150129693A1 (en) 2013-11-14 2013-11-23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565A KR20150055950A (ko) 2013-11-14 2013-11-14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950A true KR20150055950A (ko) 2015-05-22

Family

ID=53042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565A KR20150055950A (ko) 2013-11-14 2013-11-14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29693A1 (ko)
KR (1) KR201500559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73410A (zh) * 2023-05-11 2023-06-23 安徽建筑大学 一种建筑施工中的建筑垃圾排放装置及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9889A1 (en) 2014-06-27 2015-12-30 Emerson Electric Co. System for food waste disposal comprising visual detection system for activating flow of water
CA2976080C (en) * 2014-12-16 2021-03-16 Gilles Nadon Odourless waste disposer unit
CN107971326A (zh) * 2017-12-25 2018-05-01 广东惜福环保科技有限公司 餐厨垃圾转化设备及餐厨垃圾转化系统
CN109465082A (zh) * 2018-11-07 2019-03-15 谢运和 一种分层式农村固态垃圾粉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9260A (en) * 1976-08-23 1978-12-12 Baker Marlin J Garbage disposal
US4408724A (en) * 1981-04-17 1983-10-11 Meyer Charles R Pulverizer device for handling liquids containing solid and semi-solid materials
US4457682A (en) * 1981-04-27 1984-07-03 Fabcon, Inc. Machine for casting concrete members
US5090093A (en) * 1991-04-16 1992-02-25 Kelly Ralph B Organic comminuting apparatus
US5897066A (en) * 1997-04-07 1999-04-27 Forrest C. Bacon Claw drum for shredding used carpet
US20090174162A1 (en) * 2007-12-21 2009-07-09 Gass Stephen F Mobile base for a table saw
JP2005514198A (ja) * 2002-01-12 2005-05-19 チュン イル コー 有機性廃棄物分解装置およびその自動洗浄システム
CA2450514A1 (en) * 2002-12-02 2004-06-02 Madvac Inc. Garbage container for a sweeper
KR100808132B1 (ko) * 2007-03-02 2008-02-29 고천일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US8505684B1 (en) * 2009-02-05 2013-08-13 Marc Bogue Aerial work platform apparatus and method
GB2481411A (en) * 2010-06-22 2011-12-28 Peter Sage-Passant Waste disposal apparatus
US8740191B2 (en) * 2011-06-10 2014-06-03 Ace Laser Tek, Inc. Laboratory jack
AU2013205580A1 (en) * 2012-08-30 2014-03-20 Pioneer Waste Management Holdings Trust Pty Limited Organic waste treatment system
AU2013347133B2 (en) * 2012-09-20 2016-05-19 Costa Express Limited Beverage Ma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73410A (zh) * 2023-05-11 2023-06-23 安徽建筑大学 一种建筑施工中的建筑垃圾排放装置及使用方法
CN116273410B (zh) * 2023-05-11 2023-08-04 安徽建筑大学 一种建筑施工中的建筑垃圾排放装置及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29693A1 (en) 2015-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5950A (ko)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DE4112886C2 (de) Naßabfall-Beseitigungsvorrichtung
US7762713B2 (en) Food waste disposal system
CN111837972A (zh) 一种排泄物筛分装置及方法
CN210230110U (zh) 工程建筑废料处理装置
CN203040358U (zh) 一种猫砂盛装和清理装置
US20130263786A1 (en) Compositing apparatus and method
DE19530471A1 (de) Vorrichtung zum Verarbeiten von organischen Feststoffabfall
US20130099034A1 (en) Food Waste Disposal System
CN210146193U (zh) 一种杂木颗粒粉碎烘干一体机
CN206549774U (zh) 一种用于重金属污染土壤治理的粉碎搅拌装置
CN111790737A (zh) 一种建筑垃圾处理装置
CN211586900U (zh) 一种厨余垃圾处理装置
KR101222877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2263392U (zh) 一种医疗用垃圾处理装置
CN210437827U (zh) 一种垃圾回收利用装置
US11524253B2 (en) Wash press having improved rotor structure and housing for removing the same
JP2008126176A (ja) 生ごみ処理装置
CN103962362A (zh) 一种垃圾预处理系统
CN206104543U (zh) 一种有机污染土壤修复装置
KR20090106032A (ko) 음식물 쓰레기 저장 호퍼
CN201319788Y (zh) 一种动物马桶
CN207287666U (zh) 一种可快速粉碎垃圾的垃圾粉碎装置
KR101412169B1 (ko) 음식물류폐기물의 종량제 수거장치
CN111389889A (zh) 一种智慧农业土壤治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522

Effective date: 2015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