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5784A -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 - Google Patents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5784A
KR20150055784A KR1020130138175A KR20130138175A KR20150055784A KR 20150055784 A KR20150055784 A KR 20150055784A KR 1020130138175 A KR1020130138175 A KR 1020130138175A KR 20130138175 A KR20130138175 A KR 20130138175A KR 20150055784 A KR20150055784 A KR 20150055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electrode
met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5459B1 (ko
Inventor
박준형
Original Assignee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8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459B1/ko
Priority to US15/036,322 priority patent/US20160285025A1/en
Priority to CN201480062562.7A priority patent/CN105723538B/zh
Priority to JP2016530932A priority patent/JP6451016B2/ja
Priority to PCT/KR2014/010864 priority patent/WO2015072748A1/ko
Publication of KR20150055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2Stacked devices having two or more layers, each emitting at different wavelength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10K50/13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with spacer layers between the electroluminescent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9Tandem OLE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Abstract

본 발명은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층되는 복수 개의 유기 발광층 사이 사이에 형성되는 전하 생성층의 전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유기 발광층;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유기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는 전하 생성층을 포함하되, 상기 전하 생성층은 일함수(work function)가 다른 제1 금속층 및 제2 금속층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TANDEM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층되는 복수 개의 유기 발광층 사이 사이에 형성되는 전하 생성층의 전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및 조명 장치는 경량화, 박막화, 고효율화 및 친환경성 등을 요구 받고 있는데, 이러한 요구에 부흥하기 위하여,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유기발광소자는 유기 발광층의 구성 방법에 따라, 하나의 유기 발광층으로 구성된 단일형과 두 개 이상의 유기 발광층이 직렬로 적층된 탠덤형으로 구분된다. 이중, 탠덤형 유기발광소자는 단일형 유기발광소자에 비하여 높은 안정성과 긴 수명을 갖는 장점이 있어, 고 휘도 및 긴 수명을 요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나 조명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복수의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서로 다른 유기 발광층을 구비한다. 이때, 각각의 유기 발광층 사이에는 전하 생성층(charge generation layer)이 형성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전하 생성층은 유기물, 염(salt), 유-무기물, 금속-유기물로 이루어졌는데, 이 경우, 전하 생성층의 두께증가가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전도성 또한 낮아져 양질의 전하 생성층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이는,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전기적 특성 저하를 초래하게 되었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4966176호(2012.04.06.)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층되는 복수 개의 유기 발광층 사이 사이에 형성되는 전하 생성층의 전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유기 발광층;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유기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는 전하 생성층을 포함하되, 상기 전하 생성층은 일함수(work function)가 다른 제1 금속층 및 제2 금속층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금속층은 상기 제2 금속층보다 일함수가 작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금속층은 어느 하나의 상기 유기 발광층의 전자층과 접하고, 상기 제2 금속층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유기 발광층의 정공층과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금속층은 Li, Cs, Na, Ba, Ca, Mg 및 Al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금속층은 Au, Ag, Cu, Sn, Ti 및 Al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하 생성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상기 제2 금속층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연층은 고분자 절연층, SiOx, SiNx, WOx, MoOx및 Al2O3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하 생성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상기 제2 금속층 사이에 형성되는 반도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도체층은 공액 고분자, 공액 분자, 금속산화물 및 실리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하 생성층은 0.1~50㎚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되는 복수 개의 유기 발광층 사이 사이에 형성되어, 이들을 연결시키는 전하 생성층을 일함수가 서로 다른 제1 금속층/제2 금속층, 제1 금속층/반도체층/제2 금속층 및 제1 금속층/절연층/제2 금속층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함으로써, 전하 생성층의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텐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모식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100)는 베이스 기판(110), 제1 전극(120), 제2 전극(130), 유기 발광층(140) 및 전하 생성층(charge generation layer; CGL)(15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베이스 기판(110)은 유기 발광층(15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 기판(110)은 유기 발광층(140)의 전방, 즉, 유기 발광층(140)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외부로 방출되는 방향에 배치된다. 또한, 베이스 기판(110)은 제1 전극(120), 제2 전극(130), 유기 발광층(140) 및 전하 생성층(150)으로 이루어진 소자층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즉, 상기와 같은 소자층을 인캡슐레이션 시키기 위해, 베이스 기판(110)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예컨대, 에폭시와 같은 씰링재를 매개로, 제2 전극(130) 상부에 이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후면 기판(미도시)과 접합된다. 이때, 서로 대향되는 베이스 기판(110) 및 후면 기판(미도시) 그리고 이들 테두리에 형성되는 씰링재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 공간은 불활성 기체로 채워지거나 진공 분위기로 조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기판(110)은 투명 기판으로, 광 투과율이 우수하고 기계적인 물성이 우수한 것이면 어느 것이든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베이스 기판(110)으로는 열경화 또는 UV 경화가 가능한 유기필름인 고분자 계열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기판(110)으로는 화학강화유리인 소다라임 유리(SiO2-CaO-Na2O) 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유리(SiO2-Al2O3-Na2O)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10)가 조명용인 경우, 베이스 기판(110)으로는 소다라임 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베이스 기판(110)으로는 금속산화물이나 금속질화물로 이루어진 기판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베이스 기판(110)으로 두께 1.5㎜ 이하의 박판 유리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박판 유리는 퓨전(fusion) 공법 또는 플로팅(floating) 공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기판(110)과 인캡슐레이션을 이루는 후면 기판(미도시)은 베이스 기판(110)과 동일 또는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극(120)은 베이스 기판(110)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전극(120)은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100)의 애노드(anode)로서의 역할을 하는 투명전극으로, 유기 발광층(140)으로의 정공 주입이 잘 일어나도록 일함수(work function)가 큰 물질 중 유기 발광층(140)에서 발광된 빛이 잘 투과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120)은 ITO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극(130)은 제1 전극(120)과 대향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전극(130)과 제1 전극(120) 사이에는 유기 발광층(140) 및 전하 생성층(150)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제2 전극(130)은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100)의 캐소드(cathode)로서의 역할을 하는 금속전극으로, 유기 발광층(140)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전방 즉, 베이스 기판(110) 측으로 반사시키는 물질 중 유기 발광층(140)으로의 전자 주입이 잘 일어나도록 일함수가 작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130)은 Al, Al:Li 또는 Mg:Ag와 같은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130)은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100)의 발광 효율 증가를 위해, 제1 전극(120)과 미세 공동(micro-cavity)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130)과 제1 전극(120)이 미세 공동을 이루게 되면, 유기 발광층(140)으로부터 발광된 빛은 미세 공동 내에서 보강간섭 및 공진현상을 통해 발광하게 되고, 이에 따라, 베이스 기판(110) 측으로의 발광 효율은 증가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140)은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100)를 이루기 위해, 제1 전극(120)과 제2 전극(130) 사이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된다. 즉, 2개 이상의 유기 발광층(140)은 전하 생성층(150)을 매개로 교번 배치된다. 이러한 유기 발광층(140)은 도시하진 않았지만, 예컨대,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과 같은 정공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과 같은 전자층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1 전극(120) 및 제2 전극(130)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면, 유기 발광층(140)이 제1 전극(120)과 전하 생성층(150)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 전하 생성층(150)으로부터 전자가 전자 주입층 및 전자 수송층을 통해 발광층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 전극(120)으로부터 정공이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을 통해 발광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유기 발광층(140)이 제2 전극(130)과 전하 생성층(150)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전극(130)으로부터 전자가 발광층으로 이동하게 되고, 전하 생성층(150)으로부터 정공이 발광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유기 발광층(140)의 상, 하에 전하 생성층(150)이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부 전하 생성층(150)으로부터 전자가, 하부 전하 생성층(150)으로부터 정공이 발광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광층 내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은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을 생성하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excited state)에 기저상태(ground state)로 전이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되는데, 이때, 방출되는 빛의 밝기는 애노드인 제1 전극(120)과 캐소드인 제2 전극(130)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에 비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느 하나의 유기 발광층(140)의 발광층은 청색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유기 발광층(140)의 발광층은 오렌지-적색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저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들 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되는 청색 광과 오렌지-적색 광의 혼합 효과에 의해 백색 광이 구현된다. 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 다양한 구조, 형태 및 물질로 복수 개의 유기 발광층(140)을 구비하여 백색 광을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청색 광과의 혼합 효과로 백색을 발광할 수 있다면, 다른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발광층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전하 생성층(150)은 서로 이웃하는 유기 발광층(140) 사이에 형성된다. 전하 생성층(150)은 서로 인접한 혹은 서로 이웃하는 유기 발광층(140) 간의 전하 균형 조절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연결층(interconnecting layer)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하 생성층(150)은 진공 증착, 스퍼터, 액상 코팅(sol-gel) 등의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전하 생성층(150)은 일함수가 다른 제1 금속층(151) 및 제2 금속층(152)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면기준으로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층(140)의 전자층인 전자 주입층이나 전자 수송층과 접하는 제1 금속층(151)은 아래쪽 유기 발광층(140)으로의 전자 주입을 돕는 n형 전하 생성층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층으로, 제2 금속층(142)보다 일함수가 작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금속층(151)은 Li, Cs, Na, Ba, Ca, Mg 및 Al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면기준으로 위쪽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층(140)의 정공층인 정공 주입층이나 정공 수송층과 접하는 제2 금속층(152)은 위쪽 유기 발광층(140)으로의 정공 주입을 돕는 p형 전하 생성층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층으로, 제1 금속층(151)보다 일함수가 큰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2 금속층(152)은 Au, Ag, Cu, Sn, Ti 및 Al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금속층(151)과 제2 금속층(152)은 일함수가 서로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지므로, 성분이 동일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하 생성층(150)은 아주 얇은 두께, 예컨대, 0.1~50㎚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이웃하는 유기 발광층(140) 간의 전하 균형 조절 역할을 하는 제1 금속층(151) 및 제2 금속층(152)의 특성이 상실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하 생성층(150)은 제1 금속층(151)과 제2 금속층(152)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절연층(미도시)은 고분자 절연층, SiOx, SiNx, WOx, MoOx및 Al2O3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하 생성층(150)은 절연층(미도시)의 전하 이동도 개선을 위해, 제1 금속층(151)과 제2 금속층(152) 사이에 형성되는 반도체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반도체층(미도시)은 공액 고분자(conjugated polymer), 공액 분자(conjugated molecule), 금속산화물 및 실리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100)는 일함수가 서로 다른 제1 금속층(151)과 제2 금속층(152)으로 이루어진 2층 구조 또는 제1 금속층(151)과 제2 금속층(152) 사이에 절연층(미도시)이 형성된 3층 구조 또는 제1 금속층(151)과 제2 금속층(152) 사이에 반도체층(미도시)이 형성된 3층 구조를 통해, 이들 구조로 이루어진 전하 생성층(150)의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 110: 베이스 기판
120: 제1 전극 130: 제2 전극
140: 유기 발광층 150: 전하 생성층
151: 제1 금속층 152: 제2 금속층

Claims (10)

  1.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유기 발광층;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유기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는 전하 생성층;
    을 포함하되,
    상기 전하 생성층은 일함수(work function)가 다른 제1 금속층 및 제2 금속층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층은 상기 제2 금속층보다 일함수가 작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층은 어느 하나의 상기 유기 발광층의 전자층과 접하고, 상기 제2 금속층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유기 발광층의 정공층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층은 Li, Cs, Na, Ba, Ca, Mg 및 Al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은 Au, Ag, Cu, Sn, Ti 및 Al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생성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상기 제2 금속층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고분자 절연층, SiOx, SiNx, WOx, MoOx및 Al2O3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생성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상기 제2 금속층 사이에 형성되는 반도체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은 공액 고분자, 공액 분자, 금속산화물 및 실리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생성층은 0.1~50㎚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
KR1020130138175A 2013-11-14 2013-11-14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 KR101525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175A KR101525459B1 (ko) 2013-11-14 2013-11-14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
US15/036,322 US20160285025A1 (en) 2013-11-14 2014-11-12 Tandem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CN201480062562.7A CN105723538B (zh) 2013-11-14 2014-11-12 串联白色有机发光器件
JP2016530932A JP6451016B2 (ja) 2013-11-14 2014-11-12 タンデム型の白色有機発光素子
PCT/KR2014/010864 WO2015072748A1 (ko) 2013-11-14 2014-11-12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175A KR101525459B1 (ko) 2013-11-14 2013-11-14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784A true KR20150055784A (ko) 2015-05-22
KR101525459B1 KR101525459B1 (ko) 2015-06-03

Family

ID=53057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175A KR101525459B1 (ko) 2013-11-14 2013-11-14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285025A1 (ko)
JP (1) JP6451016B2 (ko)
KR (1) KR101525459B1 (ko)
CN (1) CN105723538B (ko)
WO (1) WO20150727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369B1 (ko) 2016-03-25 2024-03-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518836B1 (ko) * 2016-11-29 2023-04-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특성이 개선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CN107425129B (zh) 2017-07-26 2019-12-06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其色温调节方法及显示装置
KR102522288B1 (ko) * 2018-03-13 2023-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에 포함되는 전하생성층용 화합물
CN117042491A (zh) 2019-10-17 2023-11-10 北京夏禾科技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5178A (en) * 1975-11-08 1977-08-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ducing gas sensor
US6337492B1 (en) * 1997-07-11 2002-01-08 Emagin Corporation Serially-connect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stack having conductors sandwiching each light emitting layer
US7273663B2 (en) * 2004-08-20 2007-09-25 Eastman Kodak Company White OLED having multiple white electroluminescence units
US7494722B2 (en) * 2005-02-23 2009-02-24 Eastman Kodak Company Tandem OLED having an organic intermediate connector
KR101407574B1 (ko) * 2007-01-12 2014-06-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 발광 소자
US8372526B2 (en) * 2008-07-16 2013-02-12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Intermediate connector for stack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JP5476061B2 (ja) * 2008-07-30 2014-04-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54252A (ko) * 2008-11-14 2010-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다이오드
KR101365824B1 (ko) * 2010-10-22 2014-0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777123B1 (ko) * 2010-12-22 2017-09-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1715857B1 (ko) * 2010-12-24 2017-03-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1786880B1 (ko) * 2010-12-29 2017-10-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20130032675A (ko) * 2011-09-23 2013-04-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듀얼 모드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
CN103137876B (zh) * 2011-11-22 2016-01-13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装置及其制备方法
KR101429924B1 (ko) * 2011-12-08 2014-08-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탠덤형 백색 유기 발광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51016B2 (ja) 2019-01-16
CN105723538A (zh) 2016-06-29
JP2016537777A (ja) 2016-12-01
US20160285025A1 (en) 2016-09-29
CN105723538B (zh) 2018-06-12
KR101525459B1 (ko) 2015-06-03
WO2015072748A1 (ko)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8664B2 (ja) 有機el装置
KR101135541B1 (ko) 유기 발광 장치
TWI527211B (zh) 有機發光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JP5805935B2 (ja) 有機発光装置
JP4898560B2 (ja) 有機発光装置
KR102059601B1 (ko) 유기 발광 장치
KR102077142B1 (ko) 유기 발광 소자
US929373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having emission layers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including fullerene and lithium quinolate
KR101525459B1 (ko) 탠덤형 백색 유기발광소자
KR20120042038A (ko) 유기 발광 장치
KR20140018621A (ko) 유기 발광 장치
US9704924B2 (en) Light emitting device
KR102379123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를 적용한 차량용 조명장치
JP5717373B2 (ja) 有機発光装置
KR101262816B1 (ko) 발광 소자
JP2012059962A (ja) 有機el素子
US20180166644A1 (en) Tandem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10256439B2 (en) Tandem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KR20160133505A (ko) 유기 발광 소자
JP2013157424A (ja) 有機elパネル
KR101717969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TW200529693A (en) Full color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with double layer emission pix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