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4993A - 복수의 주변장치를 식별하고 주변장치 중 하나의 주변장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텔레비전 세트 - Google Patents

복수의 주변장치를 식별하고 주변장치 중 하나의 주변장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텔레비전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4993A
KR20150054993A KR1020157009294A KR20157009294A KR20150054993A KR 20150054993 A KR20150054993 A KR 20150054993A KR 1020157009294 A KR1020157009294 A KR 1020157009294A KR 20157009294 A KR20157009294 A KR 20157009294A KR 20150054993 A KR20150054993 A KR 20150054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creen
sources
television set
video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9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8284B1 (ko
Inventor
루이즈 로드리게즈 에제키엘
Original Assignee
낫소스 파이낸스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낫소스 파이낸스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낫소스 파이낸스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50054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22Interfacing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81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temporal resolution, e.g. by frame ski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1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 or external card, e.g. to detect processing problems in a handheld device or the failure of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6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language selection, e.g. for the menu or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1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accounts, e.g. accounts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주변장치를 식별하고 주변장치들 중 하나의 주변장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텔레비전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주변장치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소스를 수신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상기 소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표시를 상기 스크린에서 보여주기 위한 그래픽 표시 발생기; 상기 텔레비전 세트의 기능들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커맨드, 특히 상기 주변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기 위한 커맨드를 상기 텔레비전 세트에 발행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주변장치로부터 오는 상기 소스를 처리하여 획득된 복수의 비디오 이미지를 동시에 저장할 수 있는 특히 RAM 유형의 비디오 메모리; 상기 복수의 비디오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비디오 이미지를 상기 인터페이스에 관한 각각의 그래픽 표시에 연관- 이 연관의 결과는 어느 인터페이스가 대응 비디오 이미지와 연관되는지를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범용 비디오 이미지의 형태로 상기 스크린에 전체로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임 -시키기 위해 상기 소스를 구성하는 픽셀을 데시메이트함으로써 상기 소스의 치수를 감소시키도록 적응된 처리 수단; 포인팅 요소를 통하여 상기 비디오 이미지들 중 하나의 비디오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또한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발행된 커맨드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비디오 이미지의 콘텐츠가 전체 스크린 형태로 상기 스크린상에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수의 주변장치를 식별하고 주변장치 중 하나의 주변장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텔레비전 세트{TELEVISION SET CAPABLE OF IDENTIFYING A PLURALITY OF PERIPHERALS AND ALLOWING TO SELECT AND DISPLAY THE CONTENTS OF ONE OF THE SAME}
본 발명은 복수의 주변장치를 식별하고 주변장치 중 하나의 주변장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텔레비전 세트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주변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텔레비전 수신기의 입력에 접속된 비디오 주변장치이다.
최신의 텔레비전 세트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안테나용의 동축 인터페이스, SCART("Syndicat des Constructerus d'Appareils Radiorecepteurs et Televiseurs") 인터페이스, 광학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VGA("Video Graphics Array", 비디오 그래픽 어레이) 인터페이스, 및 "컴포넌트 비디오" 인터페이스, 예컨대 RGB("Red Green Blue"), "컴포넌트 YPbPr",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디지털 비주얼 인터페이스) 및 S-비디오("Separate Video" 또는 "Super Video")와 같은 많은(최대 약 10개까지) 유형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업계에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통신)과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가 또한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소스"는 주변장치, 예를 들면 DVD("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리더 또는 멀티미디어 플랫폼으로부터 출력되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텔레비전 세트로 전송되는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의 소스 또는 스트링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전술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텔레비전 세트는 텔레비전 세트 자체의 이미지 또는 오디오에 관한 파라미터를 사용자가 구성할 수 있게 하는 메뉴를 또한 포함하고; 상기 메뉴는 주변장치를 선택하여 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또한 알려져 있다.
상기 주변장치 선택 메뉴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옵션들의 리스트로 구성되고, 각각의 옵션에 대하여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의 명칭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에 지정된 명칭들은 "EXT1", "EXT2", "HDMI1", "HDMI2", "VGA" 및 "TV"일 수 있고, 여기에서 "EXT1"은 예를 들면 제1 SCART 인터페이스에 주어지는 명칭이고, "HDMI1"은 제1 HDMI 인터페이스에 주어지는 명칭이며, "VGA"는 VGA 인터페이스에 주어지는 명칭 등이다.
다른 공지의 형태에 있어서, 주변장치는 텔레비전 제어 장치에서 이용가능한 작동 수단을 이용하여 대신 선택할 수 있다. 매 작동시마다, 상기 작동 수단은 상기 주변장치 소스의 시각화를 주기적으로 전환하고, 그에 따라서 텔레비전 세트에서 이용가능한 인터페이스의 스캔이 실행되며, 이때 각각의 인터페이스는 단일 소스에 대응한다.
예로서, 주변장치 소스와 텔레비전 세트의 인터페이스 사이에는 하기와 같은 연관이 가능하다; "TV"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DVB-T2 소스("디지털 비디오 방송 - 2세대 지상파 방송), "EXT1"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DVD 리더의 소스, "HDMI1"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BD("블루레이 디스크") 리더의 소스, "HDMI2"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멀티미디어 플랫폼의 소스, 및 "VGA"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퍼스널 컴퓨터의 소스. 따라서, 소스 및 이 소스와 연관된 주변장치의 광범위한 선택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또한, 텔레비전 세트의 하드웨어에 RF("무선 주파수") 모듈을 통합하면, 무선 주파수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적응된 다른 주변장치와 텔레비전 세트 사이에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그러한 텔레비전 세트는 무선 접속을 통해 텔레비전 세트에 접속된 다른 주변장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뿐만 아니라 다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표준에 따라, "스마트폰" 또는 게임 콘솔을 무선 접속(Wi-Fi)을 통해 텔레비전 세트에 접속하는 것 및 상기 "스마트폰" 또는 상기 콘솔의 콘텐츠를 텔레비전 세트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Wi-Fi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것 외에 텔레비전 세트의 메뉴로부터 선택가능한 하나의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로 될 것이다.
현재 시장에서 입수가능한 일부 텔레비전 세트의 메뉴는 사용자가 관련 주변장치의 콘텐츠에 기반하지 않고 인터페이스 명칭을 강조(highlight)하는 그래픽 표시에 의해 원하는 주변장치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다른 메뉴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및 관련 주변장치를 일의어로(univocally) 설명하는 텍스트 필드를 또한 수정할 수 있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제1 예에 있어서, 텔레비전 세트의 재생 수단(3)은 제1 열(5) 및 제2 열(7)을 포함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제1 열(5)은 인터페이스 명칭을 표시하는 제1 텍스트 필드(5a, 5b, 5c, 5d)를 포함하고, 제2 열(7)은 대응하는 주변장치를 일의어로 설명하고 사용자가 마음대로 규정할 수 있는 제2 텍스트 필드(7a, 7b, 7c, 7d)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와 주변장치 간의 연관이 선험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제2 텍스트 필드(7a, 7b, 7c, 7d)는 어느 주변장치가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와 연관되는지를 쉽게 이해하게 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설정해야 한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인터페이스 "EXT 1"은 주변장치 "VHS"와 연관된다.
예를 들면, 샤프가 제조한 LC-46LE925 "AQUOS" 계열의 텔레비전 세트에 있어서, 텔레비전 세트에 접속된 각각의 주변장치는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 고객 설명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이해의 용이성은 사용자가 특정의 표시를 입력한 후에만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사실, 상기 제1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만일 사용자 자신이 메뉴의 제2 텍스트 필드(7a, 7b, 7c, 7d)에 설명문을 입력해두지 않으면 어느 주변장치가 인터페이스와 연관되는지를 선험적으로 알지 못한다. 특히, 사용자가 희망 주변장치를 선택하기 원하고 상기 메뉴의 제2 텍스트 필드(7a, 7b, 7c, 7d)에 희망 설명문을 미리 입력해두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사용자는 모든 가능한 인터페이스 중에서 희망 주변장치를 검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 만일 주변장치가 켜져 있으면(그렇지 않으면 주변장치를 발견할 수 없다), 사용자는 메뉴에 리스트된 각각의 단일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고 주변장치의 소스의 콘텐츠가 텔레비전 세트의 스크린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며, 그 후 사용자가 희망 주변장치를 찾을 때까지 모든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여야 한다. 이러한 주변장치 스캔은 장시간이 소요되고 사용자에게 지루함을 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서 만일 인터페이스 "EXT 1"과 연관된 텍스트 설명문 "VHS"가 있고 사용자가 다른 주변장치를 그 인터페이스에 접속하면, 사용자는 또한 대응하는 제2 텍스트 필드(7a, 7b, 7c, 7d)의 텍스트 설명문을 변경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제2 텍스트 필드(7a, 7b, 7c, 7d)는 주변장치의 잘못된 설명문을 가질 것이다.
종래 기술의 제2 예에 있어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명칭을 나타내는 그래픽 표시(9)를 통하여 희망 주변장치를 식별할 수 있지만, 상기 그래픽 표시(9)는 메뉴에 포함되지 않는다. 사실, 상기 그래픽 표시(9)는 현재 선택된 주변장치의 소스의 콘텐츠에 중첩되어 텔레비전 세트(11)의 스크린(8)의 코너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텔레비전 세트의 제어 장치에서 이용가능한 주변장치 전환용 작동 수단을 작동시킬 때마다, 상기 그래픽 표시는 주변장치 소스의 콘텐츠와 함께 동시에 변경될 것이다.
전술한 제2 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인터페이스가 어느 주변장치에 대응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와 연관되는 텍스트 설명문을 입력할 가능성마저도 주어지지 않고, 따라서 사용자는 모든 가능한 인터페이스 중에서 희망 주변장치를 검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 만일 주변장치가 켜져 있으면, 사용자는 각각의 단일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고 각각의 접속시에 주변장치의 소스의 콘텐츠가 텔레비전 세트에서 디스플레이될 때까지 수 초 동안 기다려야 하며, 그 후 사용자가 희망 주변장치를 찾을 때까지 모든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여야 한다. 만일 인터페이스의 수가 많으면, 이 처리는 특히 시간 소모적이고 사용자에게 지루함을 줄 수 있다.
또한, 주변장치가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텔레비전 세트에 접속되는 경우, 사용자는 소정의 주어진 시간에 어느 주변장치가 접속된 것인지를 선험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퍼스널 컴퓨터가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텔레비전 세트에 동시에 접속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예로부터, 사용자가 희망 주변장치와 연관된 인터페이스를 식별하고 그 주변장치가 제공하는 소스의 콘텐츠를 신속히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현재의 기술 상태로는 어렵고 시간 소모적이며 지루하고 성가신 일이라는 것이 명백하다.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SCART 인터페이스가 SCART 소켓의 핀에서 직류 전압 신호를 이용하는 주변장치 자동 전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 전환은 SCART 인터페이스를 통해 텔레비전 세트에 접속된 주변장치가 꺼져있는 상태로부터 켜지는 상태로 천이하는 동안에만 발생한다.
사실, 만일 제1 SCART 인터페이스를 통해 텔레비전 세트에 접속된 제1 주변장치가 켜진 상태이고 제1 소스를 송신중에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제1 주변장치를 켠 후에 제2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제2 주변장치의 제2 소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택하였으면, 제1 SCART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제1 주변장치를 다시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는 필연적으로 각각의 단일 인터페이스의 스캔을 수행하고 제1 소스의 콘텐츠가 재생 수단에서 디스플레이될 때까지 상당한 시간 동안 기다려야 하며, 그 후 사용자가 상기 제1 주변장치와 연관된 희망 소스를 찾을 때까지 모든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도 역시, 사용자가 희망 주변장치와 연관된 인터페이스를 식별하고 그 소스의 콘텐츠를 신속히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시간 소모적이고 어려우며 성가신 일이다.
HDMI-CEC("HDMI-Consumer Electronic Control") 디지털 표준은 다수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지금 막 켜진 주변장치에 대응하는 소스로 자동 전환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표준은 전술한 SCART의 경우와 동일한 제한이 있다. 더욱이, 텔레비전 세트 및 이 텔레비전 세트에 접속된 주변장치는 둘 모두가 반드시 CEC 프로토콜을 포함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자동 전환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미국 특허 문서 제US2009/0303197호에는 비디오 소스의 콘텐츠의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사용자는 가정 환경 내에 배치된 텔레비전 세트 또는 단순 모니터와 같은 장치에 스트림을 연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만일 상기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 장치가 비디오 소스 "위성 스트림"(Satellite Stream)의 "ESPN" 채널의 콘텐츠를 침실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하면, 상기 비디오 소스 "위성 스트림"의 많은 콘텐츠 중 하나와 상기 장치 간에 연관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미국 특허 문서는 주변장치와 연관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주변장치를 통하여 볼 수 있는 콘텐츠를 자동으로 식별하는 것에 대하여 교시하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상기 미국 특허 문서는 반대의 문제, 즉 주변장치에 비디오를 전송하고 복수의 주변장치로부터 비디오를 수신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상이한 소스로부터 오는 복수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비디오로부터 희망 소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예컨대 영화 스튜디오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은 전문가 제품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구성 복잡성과 관련되는 한, 그러한 장치의 비용이 가정용 텔레비전 세트의 비용과 비교될 수 없다.
종래의 텔레비전 세트의 다른 하나의 문제점은 만일 하나 이상의 주변장치가 오프되어 있거나 대기(stand-by) 상태에 있으면, 그 주변장치들이 검출되지 않고 및/또는 보여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 상황은 하나보다 많은 주변장치가 꺼져있는 상태일 때 특히 불편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이용가능한 주변장치들 중 하나의 주변장치의 콘텐츠의 선택을 가속화하기 위해, 복수의 주변장치를 식별하고 주변장치들 중 하나의 주변장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텔레비전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종 주변장치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면서, 이용가능한 주변장치들 중 하나의 주변장치의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해 실행하여야 할 사용자 동작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복수의 주변장치를 식별하고 주변장치들 중 하나의 주변장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텔레비전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장치 자체의 생산 비용 및 판매 가격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복수의 주변장치를 식별하고 주변장치들 중 하나의 주변장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텔레비전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들은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지만 단지 간편성을 위해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포함되지 않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서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주변장치를 식별하고 주변장치들 중 하나의 주변장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텔레비전 세트를 통해 달성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복수의 주변장치를 식별하고 주변장치들 중 하나의 주변장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텔레비전 세트에 관한 것이고, 이 텔레비전 세트는,
- 상기 복수의 주변장치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소스를 수신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
- 적어도 하나의 소스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
-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 및/또는 상기 주변장치에 관한 표시를 상기 스크린에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표시 발생기;
- 상기 텔레비전 세트의 기능들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 커맨드, 특히 상기 주변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기 위한 커맨드를 상기 텔레비전 세트에 발행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텔레비전 세트는,
- 상기 주변장치로부터 오는 상기 소스를 처리하여 획득된 복수의 비디오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는 특히 RAM 유형의 비디오 메모리;
- 상기 복수의 비디오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비디오 이미지를 상기 인터페이스 및/또는 상기 주변장치에 관한 각각의 그래픽 표시에 연관- 이 연관의 결과는 어느 인터페이스가 대응 비디오 이미지와 연관되는지를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범용 비디오 이미지의 형태로 상기 스크린에 전체로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임 -시키기 위해 상기 소스의 치수를 스케일링하도록 적응된 처리 수단;
- 포인팅 요소를 통하여 상기 비디오 이미지들 중 하나의 비디오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또한 포함하고,
-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발행된 커맨드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비디오 이미지의 콘텐츠는 그 콘텐츠가 대응 소스로부터 올 때의 본래 형태로 상기 스크린상에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주변장치 선택 메뉴를 보인 도이다.
도 2는 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재생 수단과 연관된 주변장치의 식별 방법을 보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복수의 주변장치를 식별하고 주변장치들 중 하나의 주변장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텔레비전 세트의 일부를 보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형태에 따라 텔레비전 세트에서 획득된 그래픽 시각화의 결과를 보인 도이다.
도 5는 순차적 판독 처리를 위해 비디오 이미지를 스케일링 및 기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형태를 보인 도이다.
이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비디오 처리 수단(20)에 접속된 복수의 주변장치들(34, 36, 38, 40)을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주변장치들(34, 36, 38, 40)에 의해 제공된 소스들(34a, 36a, 38a, 40a)의 콘텐츠를 스크린(22)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텔레비전 세트(10)의 비디오 처리 및 디스플레이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상기 비디오 처리 수단(20)은 텔레비전 세트의 일부이고, 상기 주변장치들(34, 36, 38, 40)은 데이터, 이미지 및 음향을 재생하여 송신하도록 적응된 장치, 특히 DVD 리더, BD 리더, STB(셋톱박스), 멀티미디어 플랫폼 등으로 구성된 장치이다.
상기 비디오 처리 수단(20)은 복수의 인터페이스들(28, 30, 32, 35)을 포함하고, 각각의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관련 주변장치들(34, 36, 38, 40)에 의해 제공된 복수의 이용가능한 소스들(34a, 36a, 38a, 40a) 중에서 하나의 소스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인터페이스들(28, 30, 32, 35)은 상기 비디오 처리 수단(20)의 입력 포트, 예를 들면 SCART, HDMI, VGA, S-비디오 등의 입력 포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들(28, 30, 32, 35)은 텔레비전 세트(10)와 이 텔레비전 세트(10)에 접속된 각종 주변장치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Wi-Fi 무선 인터페이스, 특히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표준을 이용하는 것, 또는 블루투스 및 NFC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텔레비전 세트(10)는 또한 통상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또는 상기 복수의 소스들(34a, 36a, 38a, 40a)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및/또는 이미지 시퀀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2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텔레비전 세트(10)는 상기 비디오 처리 수단(20)이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컨트롤러(26), 적어도 제1 GPU("Graphics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부)(25) 및 제2 GPU(31), 및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26)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용가능한 소스들(34a, 36a, 38a, 40a)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스를 제2 스위치(29)에 전송하는 제1 스위치(27)를 포함하고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29)는 상기 제1 스위치(27)에 의해 선택된 소스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26)의 제어하에, 뒤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이유로, 상기 제1 GPU(25) 또는 상기 제2 GPU(31)에 또한 전송한다.
상기 비디오 처리 수단(20)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26)의 제어하에, 적어도 하나의 소스들(34a, 36a, 38a, 40a)을 스크린(22)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1 GPU(25)의 출력 또는 상기 제2 GPU(31)의 출력으로 전환하는 제3 스위치(33)를 또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GPU(25, 31)는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메모리(24), 예를 들면 RAM(Random Access Memory, 임의 접근 메모리) 유형의 비디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디오 메모리(24)는 상기 복수의 소스들(34a, 36a, 38a, 40a)에 관한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을 스크린(22)에서 재생하는 동안 사용된다. 특히 상기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은 예를 들면 소스 신호보다 더 작은 치수를 가진 이미지, 프레임 또는 프레임 시퀀스와 같은, 상기 복수의 소스들(34a, 36a, 38a, 40a)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포함한 전기 신호이다.
텔레비전 세트(10)는 제어 장치(102), 특히 원격 제어 장치에서 또는 텔레비전 세트(10) 자체에서 이용가능한 예컨대 키 또는 레버 등의 작동 수단(100; 104)을 또한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100; 104)의 각각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스크린(22)은 복수의 주변장치를 식별하고 주변장치들 중 하나의 주변장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적응된 정보를 표시한다. 이 결과를 얻기 위해, 제1 스위치(27)는 규칙적인 시간 간격으로 상기 인터페이스들(28, 30, 32, 35)의 출력에 대한 일련의 주기적인 전환을 수행하여, 한번에 하나의 소스를 선택하고 추가의 처리를 위해 하나의 소스의 프레임을, 그 후 다른 소스의 다른 프레임을 등으로 GPU(25)에게 전송하며, 제2 스위치(29)는 상기 제1 스위치(27)에 의해 선택된 소스들(34a, 36a, 38a, 40a)을 상기 제1 GPU(25)에 전달하여 상기 제1 GPU(25)가 그 후 적어도 하나의 소스들(34a, 36a, 38a, 40a)을 처리하게 하며, 제3 스위치(33)는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을 스크린(22)에 전달한다. 상기 제1 GPU(25)는, 커맨드 및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26)의 처리에 따라서, 한번에 하나의 소스들(34a, 36a, 38a, 40a)을 획득하고 그 콘텐츠를 "다운스케일링" 또는 "업스케일링"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을 동시에 스크린(22)상에 배치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하여 상기 소스들(34a, 36a, 38a, 40a)로부터 획득된 (다운스케일링에 의해 크기가 더 작은 또는 업스케일링에 의해 크기가 더 큰)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의 전체 집합으로 이루어진 단일의 범용 이미지가 그 후 구성된다.
상기 "다운스케일링" 동작은 예를 들면 N개 픽셀 당 하나의 픽셀을 취하는 것에 의해(여기에서 N은 스크린(22)상에 동시에 나타나는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의 수의 함수로서 결정된다) 상기 소스들(34a, 36a, 38a, 40a)로부터 오는 프레임의 행 및 열을 샘플링함으로써 그리고 상기 샘플링된 픽셀들을 이용하여 이전 프레임보다 더 작은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프레임은 그 후 상기 제1 GPU(25)로부터 상기 제3 스위치(33)를 통해 스크린(22)으로 전달된 모든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전체 스크린 범용 이미지를 얻기 위해 다른 주변장치로부터 오는 다른 프레임과 함께 배열된다. 용어 "스케일링"은 일반적으로 이 명세서에서 다운스케일링 및 업스케일링 둘 모두를 지칭한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사용자가 희망 소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스크린(22)이 복수의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을 수신한 때 텔레비전 세트의 오디오가 뮤팅되는 것은 명백하다.
도 4의 경우에, 모두 동일한 선명도를 가진 4개의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이 스크린(22)상에 동시에 나타나고, 상기 샘플링은 각 수평 행의 2개 거른 하나의 픽셀 및 각 프레임의 2개 거른 하나의 행을 취함으로써 행하여질 수 있다.
독립 소스로부터 오는 상이한 프레임의 동기화에 관한 임의의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스위치(27)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스위치(27)는 먼저 예를 들면 소스(34a)로부터 오는 프레임을 제1 GPU(25)에 공급하고; 제1 GPU(25)는 상기 프레임을 전술한 바와 같이 완전히 샘플링하여 그 비디오 메모리(24)에 저장하며; 그 후 스위치(27)는 소스(36a)로부터 오는 프레임에 대하여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고, 그 후 소스(38a 및 40a)로부터 오는 다른 2개의 프레임에 대하여 순서대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만일 소스가 모두 동기화되어 있으면, 사이클을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은 4개의 프레임에 대한 것으로 될 것이다. 그러나 소스들이 동기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시간은 더 길어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위치(27)가 각각의 전환 후에 자신을 재동기화하기 위해 기껏해야 1 프레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기 시간은 8개의 프레임을 초과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비디오 이미지 리프레시 순서는 각종 소스에 의해 생성된 비디오 콘텐츠의 이해를 돕기에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텔레비전 세트(10)의 사용자는 각 주변장치에서 이용가능한 것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
소스들(34a, 36a, 38a, 40a)이 서로 독립적일 뿐만 아니라, 다른 이미지 선명도, 예를 들면 HD 이미지(행당 1920 픽셀 및 프레임당 1080 행으로, 또는 행당 1280 픽셀 및 프레임당 720 행으로 구성된 이미지), 또는 SD 이미지(행당 720 픽셀 및 프레임당 480 행(미국 표준) 또는 프레임당 575 행(유럽 표준)으로 구성된 이미지), 또는 다른 선명도 유형을 갖기 때문에, 마이크로컨트롤러(26)는 스위치(27)에 의해 출력되는 소스의 선명도 유형을 먼저 식별하고, 그 후 수신된 프레임에 적용할 다운스케일링을 그에 따라서 조정해야 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다시 말해서, 만일 범용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이 상이한 선명도를 가진 프레임들로 생성되면, 각종 소스로부터 오는 프레임에 적용되는 다운스케일링의 정도는 다르게 되지만, 스크린(22)에 디스플레이되는 범용 이미지를 구성하는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의 선명도는 동일하게 될 것이다.
또한, 마이크로컨트롤러(26)는, 상기 제2 GPU(31)에 대하여 작용하여, 상기 제2 GPU(31)가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들(28, 30, 32, 35)에 관한 그래픽 표시들(52a, 52b, 52c, 52d)을 소스들(34a, 36a, 38a, 40a)의 범용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과 연관시키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주변장치들(34, 36, 38, 40)와 연관된 인터페이스들(28, 30, 32, 35)을 식별하고 아마도 그 콘텐츠를 스크린(22)에 디스플레이하게 한다.
표현 "그래픽 표시"(52a, 52b, 52c, 52d)가 인터페이스들(28, 30, 32, 35)의 명칭에 대한 정보, 예를 들면 "EXT 1", "HDMI 2" 등을 지칭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세트(10)는 범용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을 그래픽 표시들(52a, 52b, 52c, 52d)와 연관시켜서 사용자가 주변장치들(34, 36, 38, 40)와 연관된 비디오 처리 수단(20)의 인터페이스들(28, 30, 32, 35) 및 그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주변장치들(34, 36, 38, 40)에 의해 텔레비전 세트(10)에 송신된 소스들(34a, 36a, 38a, 40a)의, 상기 스크린(22)에 디스플레이될 콘텐츠의 선택을 가속화할 수 있다. 제3 스위치(33)를 통해, 상기 그래픽 표시들(52a, 52b, 52c, 52d)은 각종 소스들(34a, 36a, 38a, 40a) 중 하나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프레임의 일부에 중첩되거나 또는 대안으로서 상기 일부에 진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스위치(29)의 기능은 각종 인터페이스들(28, 30, 32, 35)로부터 오는 프레임들을 제2 GPU(31)에 공급하는 것이고, 따라서 상기 제2 GPU(31)는 GPU(25)와 정확히 동일하게 동작하지만, 상기 그래픽 표시들(52a, 52b, 52c, 52d)을 포함해야 하는 "다운스케일링된" 이미지의 행에 대해서만 동작하고; 그래픽 표시들(52a, 52b, 52c, 52d)의 삽입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다른 행에 대하여, 이미지들이 GPU(25)에 의해 스크린(22)에 공급된다. 도 4에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 GPU(31)는 그래픽 표시들(52a, 52b, 52c, 52d)을 포함한 전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범용 이미지 부분을 생성할 것이고(이 경우에는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질 것이다); 예를 들면 풀 HD 범용 이미지의 경우에 GPU(31)는 총 258 프레임 행을 취급할 것이다.
사용자는 제어 장치(102), 특히 원격 제어 장치에서, 또는 텔레비전 세트(10) 자체에서 이용가능한 키 또는 레버 등의 작동 수단(100; 104)을 통하여 소스들(34a, 36a, 38a, 40a)에 관한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 중 하나를 선택한다. 특히, 상기 작동 수단(100)을 작동시킬 때마다 스크린(22)에서 볼 수 있는 포인터(60)가 움직인다. 상기 포인터(60)는 소정의 순간에 사용자가 선택한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희망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을 선택한 때, 예를 들면 OK 키를 누른 때, 스크린(22)은 대응하는 소스들(34a, 36a, 38a, 40a)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것이다. 실제로, 사용자가 주변장치를 선택하면 스위치(27)가 프레임들을 주기적으로 계속하여 전환하는 것이 금지되고, 마이크로컨트롤러(26)의 제어하에, 스위치(27)가 제1 GPU(25)에게 항상 동일한 콘텐츠, 즉 선택된 주변장치로부터 오는 콘텐츠를 공급하게 한다. 물론, 이 경우에, 제1 GPU(25)는 선택된 주변장치로부터 오는 프레임들을 더 이상 다운스케일링하지 않고 상기 프레임들을 본래의 선명도로 스크린(22)에 전송할 것이다. 또한, 제2 GPU(31)는 사용자가 희망 소스를 계속하여 보고 있는 한, 및 사용자가 상기 주변장치들(34, 36, 38, 40)에 관한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의 범용 이미지를 스크린(22)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적응된 제어 장치(102)의 키 또는 레버를 작동시킬 때까지 비활성으로 유지할 것이다. 물론, 이러한 전체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황에서, 텔레비전 세트(10)의 오디오가 복구될 것이다.
특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의 일례로 텔레비전 세트(10)에서 획득되는 그래픽 시각화의 결과를 보인 것이다. 사실, 도 4는 소스들(34a, 36a, 38a, 40a)에 관한 복수의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 각각의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과 연관된 텔레비전 세트(10)의 인터페이스들(28, 30, 32, 35)에 관한 각각의 그래픽 표시들(52a, 52b, 52c, 52d)을 포함한 스크린(22)을 보이고 있고; 스크린(22)상에는 포인터(60)가 또한 나타나 있다. 포인터(60)는 업계에 공지된 여러 가지 방법 중 임의의 한 방법에 따라 획득 및 이동될 수 있다.
이 예에서, 각각의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은 스크린(22)의 일부를 점유하고, 인터페이스들(28, 30, 32, 35)에 관한 각각의 그래픽 표시들(52a, 52b, 52c, 52d)은 각각의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에 중첩된다. 또한 포인터(60)는 스크린(22)의 작은 부분을 점유하고 소정의 순간에 사용자가 선택한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의 부근에 위치된다. 그러나, 전술한 요소들의 위치 및 형상은 다르게 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예를 들면, 포인터는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 중 하나 주위의 프레임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순차적 판독 처리를 위해 비디오 이미지를 스케일링 및 기억하는 방법을 보인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따라서, 주변장치들(34, 36, 38, 40) 중 하나에 연관된 각각의 비디오 신호는 하나의 처리 수단(27a, 27b, 270c, 27d)에 의해 처리된다. 처리 수단(27a, 27b, 270c, 27d)은 복수의 비디오 메모리(24a, 24b, 24c, 24d)에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소스들(34a, 36a, 38a, 40a)의 치수를 스케일링하도록 적응된다. 전술한 요소들은 판독 인스턴스(55)와 함께 제공되는 비디오 메모리(24a, 24b, 24c, 24d)에 저장된 스케일링된 비디오 이미지를 결과로서 제공한다. 판독 인스턴스(55)는 비디오 메모리(24a, 24b, 24c, 24d)의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예를 들면 24a에 의해 시작하여 24d까지 순차적으로 판독한다. 빈도, 치수, 해상도 및 구조 간의 차이 때문에 상이한 유형들로 구성된 상이한 주변장치 신호들을 정합시키기 위하여, 처리 수단(27a, 27b, 27c, 27d)은 비디오 메모리(24a, 24b, 24c, 24d)의 비디오 이미지를 판독할 준비를 제공하기 위해 매번 소스들(34a, 36a, 38a, 40a)을 조절한다. 비디오 메모리(24a, 24b, 24c, 24d)의 비디오 이미지를 판독할 전술한 준비를 제공하기 위한 모든 연산 단계는 처리 수단(27a, 27b, 27c, 27d)에 의해 행하여진다. 상기 판독 인스턴스(55)는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을 상기 제1 GPU(25)에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작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비디오 메모리(24a, 24b, 24c, 24d)를 판독하고 단순 채색 배경 대신에 배경으로서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또는 이미지 신호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 구체적으로, 스크린(22)에 실제로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이미지 주변의 배경은 다른 비디오 이미지, 예를 들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이전 비디오 이미지 또는 그래픽 표시들(52a, 52b, 52c, 52d)을 포함하고 있는 배경일 수 있다. 비디오 메모리(24a, 24b, 24c, 24d)의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판독하기 위해서 및 상기 콘텐츠를 스크린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적절한 제어가 제어 장치(102)에서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인터페이스 "EXT 1"을 통하여 텔레비전 세트(10)에 접속된 DVD 리더의 제1 소스, 인터페이스 "HDMI 1"을 통하여 동일한 텔레비전 세트(10)에 접속된 BD 리더의 제2 소스, 인터페이스 "EXT 2"를 통하여 접속된 셋톱박스의 제3 소스, 및 인터페이스 "PC VGA"를 통하여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의 제4 소스를 생각하자. 사용자는 제1 이미지, 즉 DVD 리더의 소스의 이미지, BD 리더의 소스의 제2 이미지, 셋톱박스의 제3 이미지 및 퍼스널 컴퓨터의 제4 이미지를 스크린에서 볼 것이다.
본 발명의 텔레비전 세트와 같이 디지털 방식으로 동작하는 텔레비전 세트에 있어서, 아날로그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는 SCART 및 S-비디오와 같은 일부 구 인터페이스의 경우에는 아날로그 주변장치로부터 오는 신호를 GPU(25, 31)에 전송하기 전에 디지털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것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회로가 아날로그 인터페이스의 하류에 삽입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그러한 이미지는 스크린에 동시에 나타나는 다운스케일링된 이미지의 수(N)에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스크린에서 리프레시된다. 지금까지 고려한 경우는 4개의 주변장치들(34, 36, 38, 40)에 관한 4개의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을 스크린상에서 동시에 시각화하는 것과 관련된 것이다. 만일 9개의 주변장치에 관한 9개의 비디오 이미지가 스크린(22)상에 실시간으로 동시에 표시되어야 하면, 비디오 처리 수단(20)은 스위치(27)에 접속된 9개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해야 하고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용해야 한다. 유일한 차이점은 다운스케일링의 정도(증가하는 것) 및 리프레시 시간(역시 증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주변장치로부터 오는 프레임에 적용되는 다운스케일링의 정도는 4개의 비디오 이미지의 경우에 비하여 실질적으로 2배로 되어야 하고, 마이크로컨트롤러(26)는 9개의 비디오 이미지를 동시에 및 거의 실시간으로 스크린(22)상에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방식으로 제1 GPU(25) 및 제2 GPU(31)를 제어하여야 한다.
사용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는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상기 소스들(34a, 36a, 38a, 40a)로부터 오는 비디오 신호를 본래 프레임 레이트의 빈도의 2배로 변환하고(이미지를 메모리에 기입하고 이미지를 기입시의 2배의 빈도로 판독함으로써), 그 후 비디오 이미지의 다운스케일링 및 상기 비디오 이미지를 후속적으로 단일 범용 이미지로 합병하는 것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처리함으로써 이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리프레시 시간은 4개의 비디오 이미지를 스크린(22)에 표시할 때의 전형적인 리프레시 시간으로 복귀할 것이다.
소스의 프레임 레이트를 업그레이드하는 이 기술에 의해, 오늘날 (RAM 메모리에 접근하는 속도 시간의 증가에 기인하여) 최대 200 Hz 또는 300 Hz까지의 프레임 레이트(P)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고, 따라서, 스크린(22)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이미지의 리프레시 시간이 낮아지는 문제점은 더 이상 발생하지 않고, 사용자는 상기 소스들(34a, 36a, 38a, 40a)의 콘텐츠를 실시간 화상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의 그래픽 표시는 각각의 이미지 또는 프레임과 연관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제1 이미지는 그래픽 표시 "EXT 1"을 포함하고 제2 이미지는 그래픽 표시 "HDMI 1"을 포함할 것이다. 전술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주변장치와 연관된 인터페이스를 식별하고 매 순간마다 표시되는 콘텐츠에 기초하여 희망 주변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소정의 빈도로 리프레시되는 복수의 이미지 또는 프레임을 자동으로 동시에 사실상 실시간으로 스크린(22)에서 볼 수 있고, 이 예는 사용자가 하나의 주변장치 또는 다른 주변장치를 신속히 선택하여 관련 콘텐츠를 충분히 즐길 수 있게 하는 것이 얼마나 용이한지를 보여준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제 예를 들면 노트북 컴퓨터 또는 셀룰러 전화기 등의 주변장치가 접속되는, 예컨대 DLNA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간편성을 위해 Wi-Fi로서 지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페이스가 설비된 텔레비전 세트(10)를 생각하자. 이 경우에, 텔레비전 세트(10)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이미지는, 비록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참조하더라도, 다른 무엇보다도 특히 노트북 컴퓨터 또는 셀룰러 전화기의 소스에 관한 비디오 이미지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비디오 이미지의 그래픽 표시는 다를 것이고, 그래서 사용자에 의해 예를 들면 "Wi-Fi 1" 또는 "Wi-Fi 2"로서 식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별은 예를 들면 Wi-Fi 주변장치가 접속된 텔레비전 세트(10)에 의해 교환되는 식별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마이크로컨트롤러(26)에 의해 보장된다.
예컨대 태블릿과 연관된 제3 주변장치가 그 후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텔레비전 세트(10)에 접속된다고 가정하면, 스크린은 그 사이에 접속이 끊어진 비디오 이미지를 교체하여 그래픽 표시 "Wi-Fi 3"와 함께 제3 비디오 이미지를 동적으로 표시할 것이다.
그러므로, 물리적 인터페이스, 즉 주변장치에 대한 물리적 접속을 필요로 하는 물리적 인터페이스의 넘버링은 텔레비전 세트(10)에서 이용가능한 인터페이스의 수와 관련되고 각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일의적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서, 만일 텔레비전 세트(10)가 3개의 HDMI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면, 각각의 HDMI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제1 HDMI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HDMI 1", 제2 HDMI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HDMI 2" 및 제3 HDMI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HDMI 3"과 같이 고정된 그래픽 표시를 가질 것이고, 이러한 그래픽 표시는 시간이 지나더라도 불변으로 유지될 것이다. 그 대신, 무선 인터페이스의 넘버링은 고정되지 않고 동적이며, 얼마나 많은 무선 주변장치가 텔레비전 세트(10)에 접속되는지에 의존한다. 사실, 상기 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주어진 Wi-Fi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 자체의 명칭(예를 들면, Wi-Fi) 및 접속된 Wi-Fi 주변장치에 의존하는 점증하는 수를 포함한 그래픽 표시가 연관되는 더 많은 주변장치의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DLNA 표준은 압축 비디오를 송신하기 때문에, 그러한 비디오는 GPU(25, 27)에 전송되기 전에 디코드되어야 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한 디코딩은 마이크로컨트롤러(26)에 의해 또한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시각화의 추가적인 문제점은 하나 이상의 주변장치가 오프되어 있거나 대기 상태에 있을 때 발생한다. 그 경우에는 관련 주변장치의 인터페이스의 입력으로 이용가능한 소스가 없을 것이다. 마이크로컨트롤러(26)는 GPU(25)와 함께 픽셀 및 행 데시메이션(decimation)을 위해 각종 소스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마이크로컨트롤러(26)의 각종 기능은 소스의 특정 수의 프레임 동안 신호가 없는지 확인하고 그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주변장치가 오프되어 있거나 또는 분리되었다고 추론하는 것을 또한 포함한다. 그러므로, 그 경우에는 마이크로컨트롤러(26)가 그래픽 표시들(52a, 52b, 52c, 52d)을 생성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문자 생성기에 지시하여 예를 들면 "주의! 주변장치가 오프되어 있거나 분리되어 있습니다. 주변장치를 켜거나 접속하시오" 등의 경고 메시지를 준비하게 할 것이다. 이 방법으로, 사용자는 주변장치를 켜거나 재접속함으로써 적절한 방책을 취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에 따라 텔레비전 세트(10)에 접속된 복수의 주변장치들(34, 36, 38, 40)을 식별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특히 상기 방법은,
- 상기 복수의 주변장치들(34, 36, 38, 40)에 의해 복수의 인터페이스들(28, 30, 32, 35)에 송신되는 복수의 소스들(34a, 36a, 38a, 40a)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소스들(34a, 36a, 38a, 40a)을 스크린(22)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 소스 이미지를 형성하는 행 픽셀 및 행의 수를 데시메이트함으로써 복수의 소스들(34a, 36a, 38a, 40a)의 치수를 감소시키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수단(24)을 통해, 선행 단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소스들(34a, 36a, 38a, 40a)로부터 획득된 복수의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을 저장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처리 수단(25, 26)을 통해, 상기 복수의 소스들(34a, 36a, 38a, 40a)의 상기 복수의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을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들(28, 30, 32, 35)에 관한 복수의 그래픽 표시들(52a, 52b, 52c, 52d)와 연관시키는 단계;
-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주변장치들(34, 36, 38, 40)의 콘텐츠와 연관된 인터페이스들(28, 30, 32, 35)을 식별하고 스크린에 실시간으로 나타나는 콘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장치들(34, 36, 38, 40) 중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명령이 있을 때 상기 연관의 전체 집합을 텔레비전 세트(10)의 스크린(22)에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그래픽 표시들(52a, 52b, 52c, 52d)은 상기 인터페이스들(28, 30, 32, 35)에 관한 데이터, 특히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형태의 전기 신호일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에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방식 대신에, 사용자가 포인터에 의해 선택된 인터페이스의 명칭을 생성하는 음성 합성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후자의 경우에, 음성 합성기의 언어는 텔레비전 세트를 설치(install)하는 동안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설치 절차는 사용자에게 그래픽 표시를 보이기 위해 사용되는 언어를 규정하는 단계를 이미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그 장점은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다.
복수의 주변장치를 식별하고 주변장치 중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는 본 텔레비전 세트의 제1 장점은 텔레비전 세트가 가용 주변장치 중 하나의 콘텐츠를 신속히 선택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세트 및 관련 방법의 제2 장점은 주변장치가 꺼져 있을 때 텔레비전 세트(10)의 어느 인터페이스가 상기 주변장치와 연관되어 있는지 사용자가 식별하고, 사용자가 이 문제를 복구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통보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세트 및 관련 방법의 제3 장점은 텔레비전 세트(10)의 어느 인터페이스가 주변장치와 연관되어 있는지 식별하기 위해 사용자가 실행해야 할 동작들을 감소시키고, 각종 주변장치로부터 이용가능한 콘텐츠의 일반적인 표시에 의해, 상기 주변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소스의 콘텐츠의 실현을 가속화한다는 것이다.
복수의 주변장치를 식별하고 복수의 주변장치 중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는 텔레비전 세트의 추가적인 장점은 상기 기능들이 텔레비전 세트의 비용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소비자 시장에서 정상적으로 입수가능한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구현된다는 것이다.
텔레비전 세트에 접속된 복수의 주변장치 및 그 콘텐츠를 식별하는 시스템 및 관련 방법은 본 발명 개념의 신규성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많은 가능한 변화를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제 구현시에 전술한 세부들은 다른 형상을 갖거나 다른 기술적으로 동등한 요소로 교체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서, 만일 텔레비전 세트의 스크린상의 단일 비디오 이미지 내에 8개 이상의 비디오 이미지가 나타나야 하면, 이 이미지들은 교대로 디스플레이되는 2개의 연속 스크린으로 나타날 수 있고, 사용자가 제어 키보드에 의해 관심 있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변형 예는 스위치(27)가 소스들(34a, 36a, 38a, 40a)의 프레임을 공급하는 GPU(그래픽 처리 장치)를 2개 대신 1개(예를 들면, GPU(25))만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 그래픽 표시들(52a, 52b, 52c, 52d)을 생성하는 제2 GPU(31)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은 GPU(25)에 포함된 적절한 문자 생성기에 의해 행하여질 수 있다. 더욱이, GPU(25)는 LCD를 제어하기 위해 텔레비전 세트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RAM 비디오 메모리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텔레비전 세트 자체에 접속된 복수의 주변장치 및 그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텔레비전 세트 및 관련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서 명확하게 특정되는 것처럼, 본 발명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균등 부분 및 균등 요소에 대하여 많은 수정, 개선 또는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Claims (21)

  1. 복수의 주변장치들(34, 36, 38, 40)을 식별하고, 상기 주변장치들 중 하나의 주변장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허용할 수 있는 텔레비전 세트(10)에 있어서,
    - 상기 주변장치들(34, 36, 38, 40)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소스들(34a, 36a, 38a, 40a)을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인터페이스들(28, 30, 32, 35);
    - 상기 소스들(34a, 36a, 38a, 40a) 중 적어도 하나의 소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크린(22);
    -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들(28, 30, 32, 35) 및/또는 상기 주변장치들(34, 36, 38, 40)에 관한 표시들을 상기 스크린(22) 상에 보여주기 위한 그래픽 표시들(52a, 52b, 52c, 52d)의 발생기;
    - 상기 텔레비전 세트(10)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26);
    - 커맨드들, 특히 상기 주변장치들(34, 36, 38, 40)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커맨드를 상기 텔레비전 세트(10)에 발행하기 위한 제어 수단(102)
    을 포함하며,
    - 상기 주변장치들(34, 36, 38, 40)로부터 오는 상기 소스들(34a, 36a, 38a, 40a)을 처리함으로써 획득된 복수의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을 저장할 수 있는 특히 RAM 유형의 비디오 메모리(24);
    - 상기 복수의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을 생성하고 상기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을 상기 인터페이스들(28, 30, 32, 35) 및/또는 상기 주변장치들(34, 36, 38, 40)에 관한 각각의 그래픽 표시들(52a, 52b, 52c, 52d)과 연관 ― 상기 연관의 결과는 어느 인터페이스(28, 30, 32, 35) 및/또는 상기 주변장치들(34, 36, 38, 40)이 대응 비디오 이미지(50a, 50b, 50c, 50d)와 연관되는지를 사용자가 식별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범용(general) 비디오 이미지의 형태로 상기 스크린(22) 상에 전체로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임 ― 시키기 위해 상기 소스들(34a, 36a, 38a, 40a)의 치수들을 스케일링하도록 적응된 처리 수단(25, 27);
    - 특히 포인팅 요소(60) 또는 하이라이트 처리 요소를 통하여 상기 비디오 이미지들 중 하나의 비디오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102)에 의해 발행된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정된 상기 비디오 이미지의 콘텐츠가 상기 스크린 상에 보여지는 것인, 텔레비전 세트(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의 각각의 비디오 이미지는, 상기 소스(34a, 36a, 38a, 40a)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수단(25, 27)에 포함된 스위칭 장치(27)에 공급되는 비디오 이미지를 구성하는 프레임들의 시퀀스로서 구조화된 전기 신호로 구성된 것인, 텔레비전 세트(10).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25, 27)은 상기 소스들(34a, 36a, 38a, 40a)을 수신하고, 상기 소스들(34a, 36a, 38a, 40a)의 치수를 스케일링하기 위해 상기 소스들(34a, 36a, 38a, 40a)을 처리하고, 결과적인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을 상기 비디오 메모리 수단(24)에 저장하고, 상기 비디오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범용 비디오 이미지로 구조화할 수 있는 제1 그래픽 처리 유닛(25)을 포함하며, 상기 범용 비디오 이미지는 그 후 상기 그래픽 처리 유닛(25)에 의해 상기 스크린(22)에 전송되는 것인, 텔레비전 세트(1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들(34a, 36a, 38a, 40a)은, 상기 제어 유닛(26)의 제어하에 상기 복수의 소스들(50a, 50b, 50c, 50d)의 각각의 소스의 하나의 프레임을 상기 제1 그래픽 처리 유닛(25)에 주기적으로 및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상기 스위칭 장치(27)의 입력들에 공급되고, 상기 제1 그래픽 처리 유닛(25)은 그 후 상기 프레임을 처리하여, 다른 소스의 다른 프레임을 수신하기 이전에 상기 프레임의 치수를 스케일링하는 것인, 텔레비전 세트(10).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비디오 이미지의 일부로 상기 스크린(22) 상에 보여지는 상기 그래픽 표시들(52a, 52b, 52c, 52d)의 발생기를 포함하는 제2 그래픽 처리 유닛(31)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그래픽 처리 유닛(31)은, 상기 제1 그래픽 처리 유닛(25)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고 상기 그래픽 표시들(52a, 52b, 52c, 52d)을 포함한 상기 범용 비디오 이미지의 프레임 행들에 대해서만 활성인 것인, 텔레비전 세트(1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비디오 이미지의 일부로 상기 스크린(22) 상에 보여지는 그래픽 표시들(52a, 52b, 52c, 52d)은 상기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 상에 중첩되거나 또는 상기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의 대안으로서 입력되는 것인, 텔레비전 세트(10).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26)의 제어하에, 다른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의 상기 프레임들을 상기 제1 그래픽 처리 유닛(25) 또는 제2 그래픽 처리 유닛(31)에 공급하고 상기 제1 그래픽 처리 유닛(25) 또는 제2 그래픽 처리 유닛(31)에 의해 출력된 신호들을 상기 스크린(22) 쪽으로 전환하는 스위칭 수단(29, 33)이 더 제공되는, 텔레비전 세트(1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들(34a, 36a, 38a, 40a)의 치수들의 스케일링은 N개 픽셀 당 하나의 픽셀을 취해 프레임의 행들 및 열들을 샘플링함으로써 획득되며, 여기서 N은 상기 스크린(22) 상에 동시에 보여질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의 수의 함수로서 결정되는 것인, 텔레비전 세트(1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장치(27)에 공급된 상기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이 상이한 선명도(definition)를 갖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26)은 먼저 상기 스위칭 장치(27)에 의해 출력되는 각각의 소스의 선명도 유형을 식별하고, 그 후 상기 스크린(22) 상에 균일한 선명도를 갖는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을 획득하도록 상기 다른 소스들(34a, 36a, 38a, 40a)의 프레임들에 적용될 선명도 스케일링을 조정하는 것인, 텔레비전 세트(10).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래픽 처리 유닛(31)은 상기 스크린(22) 상에 보여진 상기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 중 하나의 비디오 이미지를 식별하고 상기 소스들(34a, 36a, 38a, 40a) 중의 어느 소스가 전체 스크린으로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어 수단(102)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포인터(60) 또는 하이라이트 처리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수단(102)은 디스플레이될 소스의 선택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 키(OK)를 포함하며, 상기 확인 키(OK)를 눌렀을 때 상기 제어 유닛(26)은 상기 제2 그래픽 처리 유닛(31)의 동작을 금지시키고, 상기 추가적인 스위칭 수단(29, 31)을 통해, 상기 선택된 소스를 상기 선택된 소스의 치수들의 스케일링 없이 상기 스크린(22) 쪽으로 직접 전환하는 것인, 텔레비전 세트(10).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의 리프레시 빈도는 상기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의 프레임 빈도보다 적은 M회의 빈도이고, 여기서 M은 상기 스크린(22)에 보내지는 상기 범용 이미지에 포함된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의 수의 2배를 넘지 않는 것인, 텔레비전 세트(1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들(34a, 36a, 38a, 40a)은, 상기 처리 수단(25, 27)에 공급되기 전에, 상기 장치들(34, 36, 38, 40)로부터 오는 본래의 프레임 레이트에 대하여 P배 더 큰 프레임 레이트를 가진 비디오 신호로 적절한 변환 수단을 통하여 변환되고, 여기서 P는 1보다 더 큰 정수인 것인, 텔레비전 세트(10).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들(28, 30, 32, 35)의 하나 이상의 입력들이 아날로그 형태의 비디오 신호들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입력과 상기 스위칭 장치(27) 사이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가 존재하는 것인, 텔레비전 세트(10).
  14. 제1항에 있어서,
    특히 DLNA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페이스(28, 30, 32, 35)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28, 30, 32, 35)로부터 오는 상기 소스(34a, 36a, 38a, 40a)는, 적절한 디코딩 수단에 의해 디코드된 후에, 상기 범용 비디오 이미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이미지(50a, 50b, 50c, 50d)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처리 수단(25, 27)에 공급되는 것인, 텔레비전 세트(10).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26)은 상기 소스들(34a, 36a, 38a, 40a)의 콘텐츠를 분석하고, 주어진 소스들(34a, 36a, 38a, 40a)의 특정 수의 프레임들 동안 콘텐츠가 없는 경우, 사용자에 대하여 서면(written)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그래픽 표시들(52a, 52b, 52c, 52d)의 발생기에 지시하여, 상기 주어진 소스(34a, 36a, 38a, 40a)를 제공하는 상기 주변장치(34, 36, 38, 40)가 오프되어 있거나 관련 인터페이스(28, 30, 32, 35)로부터 연결해제될 수 있음을 시그널링하는 것인, 텔레비전 세트(10).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표시들(52a, 52b, 52c, 52d)의 발생기는,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들(28, 30, 32, 35)에 관한 표시들을 상기 스크린(22) 상에 보여주기 위해, 상기 포인터(60)에 의해 선택된 상기 인터페이스의 명칭을 생성하는 음성 합성기로 교체되는 것인, 텔레비전 세트(10).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합성기의 언어는 상기 텔레비전 세트를 설치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설치 절차는 상기 사용자에게 그래픽 표시들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될 언어를 규정하는 단계를 이미 포함하는 것인, 텔레비전 세트(10).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은 하나보다 많은 범용 비디오 이미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사용자가 관심 있는 이미지는 상기 제어 수단(102)을 통해 선택되는 것인, 텔레비전 세트(10).
  1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들(34a, 36a, 38a, 40a)을 수신하고 상기 소스들(34a, 36a, 38a, 40a)의 치수들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소스들(34a, 36a, 38a, 40a)을 처리할 수 있는 단 하나의 그래픽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단 하나의 그래픽 처리 유닛은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들(28, 30, 32, 35)에 관한 표시들을 상기 스크린(22) 상에 보여주기 위한 상기 그래픽 표시들(52a, 52b, 52c, 52d)의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인, 텔레비전 세트(10).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26)은, 상기 텔레비전 세트(10)와 상기 무선 주변장치들 간에 교환되는 식별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어느 주변장치가 무선 접속을 통해 상기 텔레비전 세트(10)에 접속되는지를 식별하고, 그래픽 표시(52a, 52b, 52c, 52d)를 각각의 주변장치에 할당하며, 상기 주변장치의 명칭은 어느 무선 주변장치가 텔레비전 세트(10)의 주어진 사용 순간에 접속되는지에 따라 정해지는 것인, 텔레비전 세트(10).
  21. 복수의 주변장치들(34, 36, 38, 40)을 식별하고, 상기 주변장치들 중 하나의 주변장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허용할 수 있는 텔레비전 세트(10)에 있어서,
    - 상기 주변장치들(34, 36, 38, 40)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소스들(34a, 36a, 38a, 40a)을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인터페이스들(28, 30, 32, 35);
    - 상기 소스들(34a, 36a, 38a, 40a)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크린(22);
    -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들(28, 30, 32, 35) 및/또는 상기 주변장치들(34, 36, 38, 40)에 관한 표시들을 상기 스크린(22) 상에 보여주기 위한 그래픽 표시들(52a, 52b, 52c, 52d)의 발생기;
    - 상기 텔레비전 세트(10)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26);
    - 커맨드들, 특히 상기 주변장치들(34, 36, 38, 40)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커맨드를 상기 텔레비전 세트(10)에 발행하기 위한 제어 수단(102)
    을 포함하며,
    - 상기 복수의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을 생성하고 상기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을 상기 인터페이스들(28, 30, 32, 35) 및/또는 상기 주변장치들(34, 36, 38, 40)에 관한 각각의 그래픽 표시들(52a, 52b, 52c, 52d)와 연관시키기 위해 상기 소스들(34a, 36a, 38a, 40a)의 치수들을 스케일링하도록 적응된 적어도 하나의 처리 수단(27a, 27b, 27c, 27d);
    - 상기 주변장치들(34, 36, 38, 40)로부터 오는 상기 소스들(34a, 36a, 38a, 40a)을 처리함으로써 획득된 복수의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의 적어도 하나의 스케일링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는 특히 RAM 유형의 복수의 비디오 메모리들(24a, 24b, 24c, 24d);
    - 특히 포인팅 요소(60) 또는 하이라이트 처리 요소를 통하여 상기 비디오 이미지들(50a, 50b, 50c, 50d) 중 하나의 비디오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고,
    - 상기 연관의 결과는 범용 비디오 이미지의 형태로 또는 배경 신호와 결합된 범용 비디오 이미지의 형태로 상기 복수의 비디오 메모리들(24a, 24b, 24c, 24d)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케일링된 이미지(50a, 50b, 50c, 50d)를 순차적으로 판독함으로써 판독 인스턴스(55)를 통해 상기 스크린(22) 상에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배경 신호는 어느 인터페이스(28, 30, 32, 35) 및/또는 상기 주변장치들(34, 36, 38, 40)이 대응 비디오 이미지(50a, 50b, 50c, 50d)와 연관되는지를 사용자가 식별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상기 주변장치들(34, 36, 38, 40) 중 하나로부터 온 것이거나 또는 디폴트 배경 신호이며;
    - 상기 제어 수단(102)에 의해 발행된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정된 상기 비디오 이미지의 콘텐츠가 상기 스크린(22) 상에 보여지는 것인, 텔레비전 세트(10).
KR1020157009294A 2012-09-13 2012-09-13 복수의 주변장치를 식별하고 주변장치 중 하나의 주변장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텔레비전 세트 KR1016982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2/067952 WO2014040626A1 (en) 2012-09-13 2012-09-13 Television set capable of identifying a plurality of peripherals and allowing to select and display the contents of one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993A true KR20150054993A (ko) 2015-05-20
KR101698284B1 KR101698284B1 (ko) 2017-01-19

Family

ID=46851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294A KR101698284B1 (ko) 2012-09-13 2012-09-13 복수의 주변장치를 식별하고 주변장치 중 하나의 주변장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텔레비전 세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21352B2 (ko)
EP (1) EP2895947B1 (ko)
KR (1) KR101698284B1 (ko)
CN (1) CN104620594B (ko)
ES (1) ES2710912T3 (ko)
WO (1) WO201404062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033A (ko) * 2019-09-20 2021-03-31 기가 바이트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이미지 소스들을 스위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운영 시스템
KR20210035031A (ko) * 2019-09-20 2021-03-31 기가 바이트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이미지 소스들을 스위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운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5611A (zh) * 2015-04-17 2016-11-23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影像显示系统及其影像呈现方法
KR20180056285A (ko) * 2016-11-18 2018-05-28 유한회사 셋토퍼 복수의 단말기 연결용 보조통합장치
CN109542386B (zh) * 2017-09-22 2022-05-06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录音装置
KR20190132072A (ko) * 2018-05-18 2019-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US11435875B2 (en) 2020-09-08 2022-09-06 Dell Products L.P. Static dynamic on screen display menu
CN114625330A (zh) 2020-12-11 2022-06-14 慧荣科技股份有限公司 多屏幕显示控制装置
CN114625329A (zh) * 2020-12-11 2022-06-14 慧荣科技股份有限公司 多屏幕显示控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8239A (en) * 1994-12-14 1998-05-05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a stored preexisting image on a user's image recording medium
US20060064719A1 (en) * 2004-09-17 2006-03-23 Youden John J Simultaneous video input display and selection system and method
US20070064811A1 (en) * 2005-01-13 2007-03-22 Silicon Optix Inc. Method and system for rapid and smooth selection of digitally compressed video programs
KR100747518B1 (ko) * 2001-04-06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다중화면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134A (ko) * 2001-02-20 2002-08-27 엘지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pip 표시방법
US7197143B2 (en) * 2002-01-18 2007-03-27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Digital video authenticator
TW200636478A (en) * 2005-04-08 2006-10-16 Coretronic Corp Method for selecting signal sources of a display
US20080313674A1 (en) * 2007-06-12 2008-12-18 Dunton Randy R User interface for fast channel browsing
NZ588888A (en) 2008-05-02 2012-10-26 Savant Systems Llc Multimedia controller with a touch screen for selectively connecting input devices to output devices
KR101636714B1 (ko) * 2009-12-08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8239A (en) * 1994-12-14 1998-05-05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a stored preexisting image on a user's image recording medium
KR100747518B1 (ko) * 2001-04-06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다중화면 처리 장치
US20060064719A1 (en) * 2004-09-17 2006-03-23 Youden John J Simultaneous video input display and selection system and method
US20070064811A1 (en) * 2005-01-13 2007-03-22 Silicon Optix Inc. Method and system for rapid and smooth selection of digitally compressed video progra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033A (ko) * 2019-09-20 2021-03-31 기가 바이트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이미지 소스들을 스위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운영 시스템
KR20210035031A (ko) * 2019-09-20 2021-03-31 기가 바이트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이미지 소스들을 스위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운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5947B1 (en) 2018-11-14
KR101698284B1 (ko) 2017-01-19
EP2895947A1 (en) 2015-07-22
ES2710912T3 (es) 2019-04-29
WO2014040626A1 (en) 2014-03-20
CN104620594B (zh) 2018-12-11
US9521352B2 (en) 2016-12-13
CN104620594A (zh) 2015-05-13
US20150271434A1 (en)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284B1 (ko) 복수의 주변장치를 식별하고 주변장치 중 하나의 주변장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텔레비전 세트
US11425443B2 (en) Multimedia device connected to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088814B2 (en)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WO2018000852A1 (zh) 显示设备的控制方法、控制装置以及显示设备
CN114286138B (zh) 显示设备、外接设备及多视角比例显示方法
KR101299683B1 (ko)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44086B1 (ko) 해상도 변경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스템
US20060181645A1 (en) TV and method of setting wallpaper or screen saver mode thereof
US20180165793A1 (en)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1176603A (zh) 一种用于显示设备的图像显示方法及显示设备
US20160191841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120092558A1 (en) Television and displaying method for information source thereof
CN114302204B (zh) 一种分屏播放方法及显示设备
CN100571346C (zh) 电视功能图标的放大显示方法
CN112799576A (zh) 一种虚拟鼠标移动的方法及显示设备
JP2010011183A (ja) 使用状況監視装置及び外部接続装置の監視方法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2013217972A (ja)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処理方法
US20120093478A1 (en) Quick disk player configuration to send content to tv
JP2019020613A (ja) 表示装置、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方法
KR20080093235A (ko) Av 입력신호 판단기능을 구비한 영상재생장치 및 그 방법
CN114979773A (zh) 显示设备、视频处理方法及存储介质
CN117687584A (zh) 显示设备和图片显示方法
KR100767852B1 (ko) 영상표시방법 및 장치
JP2010220260A (ja) 使用状況監視装置及び外部接続装置の監視方法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KR20060118222A (ko) 영상 데이터의 직접 입출력 경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