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8222A - 영상 데이터의 직접 입출력 경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데이터의 직접 입출력 경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8222A
KR20060118222A KR1020050040792A KR20050040792A KR20060118222A KR 20060118222 A KR20060118222 A KR 20060118222A KR 1020050040792 A KR1020050040792 A KR 1020050040792A KR 20050040792 A KR20050040792 A KR 20050040792A KR 20060118222 A KR20060118222 A KR 20060118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display device
storage device
outpu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민
우성수
김종민
조석현
박형일
정준구
홍정훈
이화순
설재영
진미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0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8222A/ko
Publication of KR20060118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2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ixing or overlaying two or more graphic patter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09G2340/125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wherein one of the images is motion vide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의 직접 입출력 경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로서, 영상 데이터의 캡쳐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캡쳐영역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캡처영역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캡쳐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프레임 버퍼에서 캡쳐하는 과정과, 상기 캡쳐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GPU, RGB, 프레임 버퍼, 오버레이 출력, 캡쳐

Description

영상 데이터의 직접 입출력 경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RATUS FOR DISPLAY WITH DIRECT INPUT OUTPUT PATHS OF IMAGE DATA}
도 1은 일반적인 영상처리와 디스플레이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영상 데이터 직접 입출력 경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접통신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접 입출력 경로를 통한 영상 데이터의 캡쳐와 출력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접 입출력 경로를 통한 영상 데이터의 캡쳐와 출력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접 입출력 경로를 통한 영상 데이터의 출력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기내의 그래픽 처리장치와 무관하게 영상 데이터를 오버레이(overlay) 출력하고 또한 버퍼 내용을 캡쳐 가능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영상처리와 디스플레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기기는 영상처리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5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들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도 1과 같이 입력 소스가 공중파나 비디오 또는 DVD 매체의 재생 영상, 또한 PC의 영상출력과 같은 경우 영상처리 장치(100)가 필수적이다. 즉,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부분을 예로 들면, 상기 영상처리 장치(100)는 비디오카드이며, 디스플레이 장치(150)는 모니터가 될 수 있다.
영상처리와 디스플레이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영상처리장치(100)에서 그래픽 처리부(Graphics Processing Unit, 이하 "GPU"라 칭함)(110)를 통해 그래픽 작업을 처리하고, 그래픽 가속 기능을 통하여 처리된 영상신호를 비디오램 또는 프레임 버퍼(120)로 전송하여, 상기 비디오램(120)에서 출력된 영상 신호는 출력 인터페이스에 따라 분리될 수 있다. 하나는 램댁(Random Access Memory Digital to Analog Convert, 이하 "RAMDAC"이라 칭함) (130)을 통하여 컴퓨터가 보내준 디지털 신호를 모니터가 이해할 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서 출력한다. 즉, 상기 RAMDAC(130)에서 출력된 신호를 D-SUB(Subminiature)인터페이스 아날로그 RGB(Red Green Blue)영상신호(135)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50)로 전송한다. 또 하나는 출력된 디지털 RGB 영상신호(145)를 DVI(Digital Visual Interface)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50)로 전송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50)에서는 메인보드(160)에서 수신한 RGB 영상신호를 음극선관(Cathode-ray Tube, 이하 "CRT"라 칭함)모니터 혹은 액정모니터(170)를 통하여 영상을 출력하게 된다.
우리는 현재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있지만 대부분의 정보가 일방적으로 흐른다. 유비쿼터스 세상에서 이러한 정보의 흐름은 다방면으로 자유로워야 한다. 이와 같은 유비쿼터스 시대에 사용자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동 중에 소지하며, 경우에 따라 TV나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는 최소한의 컴퓨팅 장치가 갖추어져야 가능하다.
물론 상기 도 1과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정지 영상을 캡쳐하는 장치와 내외부 저장 매체가 구비되어 있다면, 상기 내외부 저장매체에 캡쳐 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나 이것은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출력 인터페이스가 내장된 저장매체에 국한 되며,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입력 소스가 전통적인 RGB 영상 신호로 제한되어 외부 영상처리 장치의 출력만을 디스플레이 한다는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있어서는, 캡쳐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영상처리 기능이 제공될 수는 있지만 이는 단방향적인 사용에 지나지 않으며,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는 외부 영상처리 장치를 통해서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처리장치 없이 디스플레이장치만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언제 어디서나 수집하고 출력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프레임버퍼에서 데이터 입출력 경로를 직접적으로 제공하여 외부 컴퓨팅 장치 혹은 영상처리장치가 없어도 언제 어디서나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출력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일 영상 처리장치 소스의 RGB 영상 데이터를 단순 출력하는 전형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내부 프레임버퍼와 직접 입출력 경로를 부가하여, 상기 영상 처리장치와 무관하게 영상 데이터를 오버레이 출력하고, 버퍼 내용을 캡쳐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영상 데이터의 캡쳐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캡쳐영역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캡처영역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캡쳐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프레임 버퍼에서 캡쳐하는 과정과, 상기 캡쳐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영상 데이터의 캡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한 캡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캡쳐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기기의 프레임 버퍼에서 캡쳐하는 캡쳐부와, 상기 캡쳐된 영상데이터를 저장 장치에 저장하기 위하여 저장부와, 상기 저장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영상 데이터의 직접 입출력 경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 중 출력을 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기의 프레임 버퍼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영상 데이터의 직접 입출력 경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동저장장치의 영상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이동저장장치로부터 입력 받는 통신부와, 상기 입력 받은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기기의 프레임 버퍼를 통해 출력하는 오버레이 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단일 그래픽 처리장치 소스의 RGB 영상 데이터를 단순 출력하는 전형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내부 프레임버퍼(frame buffer)와 직접 입출력 경로를 부가하여, 영상 처리장치와 무관하게 영상 데이터를 오버레이(overlay) 출력하고 또한 버퍼 내용을 캡쳐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가 외부 데이터 처리 장치들의 도움 없이, 직접적으로 자신의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자유롭게 출력하고 또한 화면의 전체나 일부분을 정지 또는 동영상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영상 데이터 직접 입출력 경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D-SUB 인터페이스(215)와 DVI 인터페이스(220)를 동시에 지원한다. 상기 D-SUB 인터페이스(215)는 아날로그 RGB영상신호(205)를 입력 받고, 상기 DVI 인터페이스(220)의 경우는 디지털 RGB 영상신호(210)를 입력 받는다. D-SUB 신호들은 CRT 모니터의 경우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액정 모니터의 경우 ADC(Analog Digital Converter)(225)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이 되어야 출력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수신된 디지털 영상 신호들은 프레임버퍼(230)로 입력되어 CRT 혹은 액정(235)에서 출력된다.
상기 프레임버퍼(230)에서는 도시하진 않았으나 사용자가 모니터의 터치스크린이나 포인팅 스틱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내에 구비된 입력 버튼, 또는 이동저장장치에서의 제어(이동저장장치가 리모콘 기능을 수행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경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부분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부분영상 신호는 데이터의 저장과 통신을 수행하는 직접 통신 장치(240)로 전송되고, 상기 직접 통신 장치(240)는 상기 부분 영상 신호를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기기나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라 칭함), IEEE1394등의 외부기기 연결 인터페이스(245)를 통하여 연결된 이동 저장장치(260)로 전달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이동저장 장치(260)에 저장한 부분 영상신호를 상기 블루투스나 USB, IEEE1394 등의 연결 인터페이스(245)를 통하여 직접 통신장치(240)로 전송하고, 상기 직접 통신 장치(240)에서 상기 부분 영상 신호를 프레임버퍼(230)로 전송하여 CRT나 액정(235)으로 상기 부분 영상신호를 오버레이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오버레이 출력은 기존의 TV나 모니터의 경우, 현재 출력중인 영상에 이동저장장치(260)로부터 전달받은 부분 영상 신호를 겹쳐서 출력하는 것으로서 현재 출력중인 화면의 위에 겹쳐서 표시된다. 또한 반드시 오버레이 출력만이 아닌 사용자가 부분 영상 신호만이 보여지길 원할 경우는 기존의 비디오나 DVD(Digital Versatile Disc)시청 시와 같이 비디오 연결모드나 DVD입력 모드에서 부분 영상 신호만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접통신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은 상기 도 2의 직접 통신 장치(240)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어명령 입력부(31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의 명령(305)과 이동 저장장치로 부터의 명령(340), 즉 캡쳐 및 출력 명령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캡쳐 및 출력 명령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동 저장장치 중 사용자가 제어하는 장치로부터 영상을 켭쳐하거나 출력하는 명령요청을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310)에서 명령신호로서 제어부(315)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315)는 수신한 상기 명령신호를 제어하여 캡쳐장치(320), 데이터통신장치(325), 오버레이 장치(330)에 제어신호로 전달하며, 영상의 캡쳐를 원하는 경우는 캡쳐장치(32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캡쳐장치(320)에서는 영상의 캡쳐를 수행하고 프레임 버퍼(300)로부터 부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통신장치(325)로 전달한다. 상기 부분 영상 데이터는 영상처리장치로부터 가공되지 않은 것으로서 영상 출력되기 전의 신호이며, 모든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신호 형식이다. 상기 데이터 통신장치(325)는 이동 저장장치(350)와 연결되어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부분 영상 데이터를 상기 이동 저장장치(350)로 전달한다.
상기 이동 저장장치(350)로부터 부분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는 상기 이동저장장치의 명령(340)을 제어명령 입력부(310)를 통하여 제어부(315)에서 확인한 후, 상기 제어부(315)의 제어하에 데이터 통신장치(325)로부터 부분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오버레이장치(330)로 상기 부분 영상데이터를 전달한다. 상기 오버레이장치(330)에서는 프레임 버퍼(335)에 부분 영상데이터를 오버레이하여 사용자는 부분 영상 데이터에 대한 영상을 시청하게 된다.
만약, 상기 도 3에서 예상치 못한 동영상의 캡쳐는 내부 버퍼를 통해 다음과 같이 구현이 가능하다. 영상 시청 중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나 이동저장장치(350)에 구비된 입력버튼을 통하여 캡쳐 명령을 입력할 경우, 화면 중 지정된 영역에 해당하는 RGB 신호가 일정 크기의 내부 버퍼에 저장(예를 들어, 정지화상의 경우 Jpeg, 동화상의 경우 Motion Jpeg 포맷 등으로 압축될 수 있다.)되기 시작하고 버퍼가 가득 차면 캡쳐를 중지한다. 만일 버퍼가 오버플로우(overflow)되기 전에 이동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저장 버튼이 입력되면 지금까지 버퍼에 저장된 내용과 함께 프레임버퍼의 데이터가 직접적으로 이동저장장치(350)에 저장된다. 사용자의 정지 신호나 이동저장장치가 오버플로우 되기까지 캡쳐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저장단위는 부분 영상의 프레임단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접 입출력 경로를 통한 영상 데이터의 캡쳐와 출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는 상기 도 2내지 도 3과 같이 직접 입출력 구조로 구현된 디스플레이 기기들 간의 영상 데이터의 캡쳐와 출력과정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기차를 타고 여행 중에 직접 통신 기능이 내장된 모니터(410)가 좌석에 붙어 있다면, 사용자는 상기 모니터(410)를 통해 영화나 안내방송을 시청한다. 마침 평소에 관심있던 제품의 좋은 조건의 판매 광고가 모니터(410)에 나올 경우에 메모를 하고 싶지만 필기도구가 없다면, 사용자는 상기 모니터(410)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메모하고 싶은 영역을 지정하고 캡쳐 버튼을 누른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캡쳐 버튼을 누르면 화면에 출력되고 있는 영상데이터의 저장을 시작하고, 다시 누르면 종료하여 캡쳐된 부분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제어가 아닌, 이동저장장치(420)의 연결을 이용한 제어 등 영상데이터 저장 방식은 여러 가지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캡쳐된 부분 영상을 이동저장장치(420)와 연결할 수 있는 블루투스나 USB등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410)의 캡쳐된 부분 영상을 상기 이동저장장치(420)로 저장한다. 상기 저장방법은 상기 모니터(410)의 저장하기 버튼을 누르면 저장 가능한 저장 매체가 나타나고 사용자가 이동저장장치(420)를 선택하여 저장 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저장장치(420)에서 모니터(410)의 내부 버퍼를 제어하여 직접 캡쳐된 부분영상을 가져올 수 도 있다.
사용자는 기차로 이동 후, 숙소에 도착하여 핸드폰에 저장된 광고를 재검토하고 싶다면, 이동저장장치(420)의 화면을 이용하여 볼 수도 있지만 숙소에 마련된 직접 입출력 기능이 내장된 TV(430)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저장장치(420)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재작동 시키고, 상기 TV(430)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입력 버튼을 누르면 입력 가능한 소스들이 나타난다. 여기서 상기 이동저장장치(420)를 선택하면 여러 가지 멀티미디어 파일의 브라우징이 가능하고, 기차에서 저장한 파일을 선택하면 상기 TV(430)에 영상이 오버레이되어 출력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접 입출력 경로를 통한 영상 데이터의 캡쳐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캡쳐를 수행하기 위하여 505단계에서 무선상에 떠있는 여러개의 이동 저장장치들 중 저장을 원하는 하나의 이동저장장치를 선택하여, 510단계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영상에서 캡쳐를 원하는 부분이 있다면, 캡쳐영역을 펜마우스나 포인팅 스틱을 이용하여 선택하거나 캡쳐를 원하는 시간동안 디스플레이기기 상에 있는 버튼이나 이동저장장치에서의 제어를 통하여 원하는 시간만큼의 영상을 선택하여, 515단계에서 캡쳐명령을 실행한다. 520단계에서는 프레임 버퍼에서 캡쳐된 부분 영상데이터를 추출하여 525단계에서 부분 영상데이터를 이동 저장 장치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캡쳐 동작은 상기 505단계의 이동저장장치의 선택을 먼저 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은 510단계부터 수행하여 상기 520단계의 프레임 버퍼에서의 캡쳐된 영상을 추출한 후, 상기 이동저장 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525단계에서 상기 이동저장장치로 캡쳐 영상을 저장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접 입출력 경로를 통한 영상 데이터의 출력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기기는 이동저장장치로부터 부분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고자 한다면, 605단계에서 이동 저장장치를 선택하고, 610단계에서 이동저장장치에 저장된 다수의 영상 중 출력을 원하는 영상을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605단계에서는 블루투스등의 무선통신의 경우라면 주변에 여러가의 이동저장장치가 있을 수 있으므로, 선택과정을 거치게 된다. 615단계에서 선택한 출력 명령을 실행하고, 상기 출력 명령의 실행에 따라 620단계에서 프레임 버퍼에 출력 영상을 오버레이하거나 또는 전송하여 625단계에서 화면에 출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가 외부 데이터 처리 장치들의 도움 없이, 직접적으로 자신의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자유롭게 출력하고 또한 화면의 전체나 일부분을 정지 또는 동영상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에 유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영상 데이터의 캡쳐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캡쳐영역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캡처영역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캡쳐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프레임 버퍼에서 캡쳐하는 과정과,
    상기 캡쳐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데이터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는,
    어느 디스플레이 기기에서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프레임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이동저장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저장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은,
    범용직렬버스(USB)포트 혹은 IEEE1394포트를 이용하거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캡쳐된 영상을 전송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영상 데이터의 캡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한 캡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캡쳐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기기의 프레임 버퍼에서 캡쳐하는 캡쳐부와,
    상기 캡쳐된 영상데이터를 저장 장치에 저장하기 위하여 저장부와,
    상기 저장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데이터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는,
    어느 디스플레이 기기에서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프레임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이동저장 장치로 송수신하기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범용직렬버스(USB)포트 혹은 IEEE1394포트를 이용하거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캡쳐된 영상을 전송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1. 영상 데이터의 직접 입출력 경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 중 출력을 하고자 하 는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기의 프레임 버퍼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데이터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는,
    어느 디스플레이 기기에서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프레임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저장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은,
    범용직렬버스(USB)포트 혹은 IEEE1394포트를 이용하거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캡쳐된 영상을 전송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기기에서의 영상데이터 디스플레이 과정은,
    상기 이동저장 장치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 중에서 출력할 영상데이터를 선택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6. 영상 데이터의 직접 입출력 경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동저장장치의 영상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이동저장장치로부터 입력 받는 통신부와,
    상기 입력 받은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기기의 프레임 버퍼를 통해 출력하는 오버레이 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데이터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는,
    어느 디스플레이 기기에서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프레임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범용직렬버스(USB)포트 혹은 IEEE1394포트를 이용하거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캡쳐된 영상을 전송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KR1020050040792A 2005-05-16 2005-05-16 영상 데이터의 직접 입출력 경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방법 및 장치 KR200601182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792A KR20060118222A (ko) 2005-05-16 2005-05-16 영상 데이터의 직접 입출력 경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792A KR20060118222A (ko) 2005-05-16 2005-05-16 영상 데이터의 직접 입출력 경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222A true KR20060118222A (ko) 2006-11-23

Family

ID=37705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792A KR20060118222A (ko) 2005-05-16 2005-05-16 영상 데이터의 직접 입출력 경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82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259741B (zh) 一种剧集经典看点的展示方法及显示设备
WO2021031623A1 (zh) 显示设备、分享文件的方法和服务器
CN111510788B (zh) 一种双屏双系统屏幕切换动画的显示方法及显示设备
CN111405221B (zh) 显示设备及录制文件列表的显示方法
CN112073788B (zh) 视频数据处理方法、装置及显示设备
CN111970549B (zh) 菜单显示方法和显示设备
CN111526415A (zh) 一种双屏显示设备及其hdmi的切换方法
TWI343524B (en)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20230017791A1 (en) Display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for operation prompt information of input control
CN100466699C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WO2021189708A1 (zh) 一种显示设备开启屏幕保护的方法及显示设备
CN111464840A (zh) 显示设备及显示设备屏幕亮度的调节方法
CN112040309B (zh) 一种频道切换方法及显示设备
CN112040276B (zh) 一种视频进度同步方法、显示设备及冷藏设备
CN111954043B (zh) 一种信息栏显示方法及显示设备
CN112463267B (zh) 在显示设备屏幕上呈现屏保信息的方法及显示设备
CN112328553A (zh) 一种缩略图的抓取方法及显示设备
CN112214190A (zh) 显示设备资源播放方法及显示设备
CN111078926A (zh) 一种人像缩略图像的确定方法及显示设备
JP2011165006A (ja)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11857936B (zh) 一种应用程序的用户界面显示方法和显示设备
CN111935530B (zh) 一种显示设备
WO2020248654A1 (zh) 显示设备及应用共同显示的方法
KR20060118222A (ko) 영상 데이터의 직접 입출력 경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방법 및 장치
CN111988649A (zh) 一种控件分离放大方法及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