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285A - 복수의 단말기 연결용 보조통합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단말기 연결용 보조통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285A
KR20180056285A KR1020160154376A KR20160154376A KR20180056285A KR 20180056285 A KR20180056285 A KR 20180056285A KR 1020160154376 A KR1020160154376 A KR 1020160154376A KR 20160154376 A KR20160154376 A KR 20160154376A KR 20180056285 A KR20180056285 A KR 20180056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unit
auxiliary
top box
pow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곤
김재복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셋토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셋토퍼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셋토퍼
Priority to KR1020160154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6285A/ko
Priority to CN201710840050.4A priority patent/CN108076380A/zh
Publication of KR20180056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2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04N5/440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단말기 연결용 보조통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TV에 연결되는 셋톱박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기를간편하게 출력전환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복수의 단말기연결용 보조 통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TV의 입력포트와 연결되어 영상 및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출력포트와; 셋톱박스를 포함한 2개 이상의 복수의 단말기와 각각 연결되어 영상 및 음성정보를 입력받는 복수의 입력포트와; 상기 출력포트와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 사이에 각 설치되는 복수의 릴레이와; 리모트컨트롤러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보조IR수광부와; 상기 보조IR수광부에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의 특정되지 않는 어느 한 제어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계속하여 수신될 경우 입력포트 전환신호로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릴레이를 기설정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개폐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수의 단말기 연결용 보조통합장치{An auxiliary integrated device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본 발명은 복수의 단말기 연결용 보조통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TV에 연결되는 셋톱박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기를간편하게 출력전환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복수의 단말기연결용 보조 통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TV,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장치에 DVD플레이어, 셋톱박스, Divx 플레어어 및 스마트폰 미러링 등을 복수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에는 복수의 HDMI 입력포트가 구비되고, 각 HDMI 입력포트에 DVD플레이어, 셋톱박스 등의 단말기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각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리모트컨트롤 등을 이용하여 외부입력에서 해당 단말기를 선택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특히 리모트컨트롤 등의 장치의 조작에 어려움을 느끼는 노인 등은 리모트컨트롤을 이용하여 입력 전환을 쉽게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와 DVD플레이어 등의 단말기의 전원 ON/OFF 동작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예를 들면 TV의 전원은 OFF되어 있으나, DVD플레이어 또는 셋톱박스의 전원이 ON상태인 경우가 많고, 이 경우 불필요한 전력이 소비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멀티기능을 가지는 셋톱박스 등과 관련하여 특허문헌 1 내지 3이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디브이디 플레이어 기능 선택키 및 피씨 기능 선택키를 갖는 리모콘은 기능 선택키의 선택에 따른 기능 선택 신호를 출력하고, 셋탑 박스 내의 무선 신호 수신부는 리모콘으로부터 출력되는 기능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기능 선택부로 출력하고, 기능 선택부는 기능 선택 신호에 따라 디브이디 플레이어 모듈 또는 피씨 모듈을 선택적으로 스위치 온 시켜 각 기능 수행에 따른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셋탑 박스에 연결된 외부 장치인 티브이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멀티 기능을 갖는 셋탑 박스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임. 리모콘의 기능선택키를 선택하여 간편하게 디브이디 플레이어 등으로 출력되도록 전환할 수 있다.
그러나, 리모콘의 조작이 어려운 노인 등의 경우에는 외부입력 출력전환시키기 위한 키의 구분이 어려워 여전히 외부입력 출력전환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는 기 설정된 서비스 모듈이 장착되는 복수개의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슬롯에 대한 상기 서비스 모듈의 장착여부를 확인하여 장착신호를 출력하는 모듈 슬롯부;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서비스 모듈의 인터넷 연결을 절체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장착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합 단말 장치 및 이의 인터넷 자동절체 방법에 관한 것임. IPTV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PTV 셋톱박스, 인터넷 접속을 위한 인터넷 모뎀, 댁내 또는 사무실 내에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넷 공유기를 통합한 통합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TV 등에 연결되는 외부입력 출력전환에 관한 것이 아니는 등 본 발명과 그 목적이 상이하다.
특허문헌 3은 단일개의 셋톱박스에 다수개의 튜너를 내장하고, 상기 튜너들을 각각 제어하는 다수개의 리모컨을 구비하여, 상기 리모컨들의 제어에 의해 상기 튜너에 연결된 TV들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멀티 튜너가 내장된 셋톱박스를 이용한 TV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TV로 구성된 디스플레이장치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부에 유선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셋톱박스; 및 상기 셋톱박스와 무선으로 통신되고 상기 TV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리모컨으로 구성되는 리모콘부를 포함하고; 상기 셋톱박스 상기 리모컨부로부터 무선 전송되어온 정보를 수신하는 리모컨수신부와, 위성이나 지상파 안테나 또는 케이블 등을 통해 전송되어온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TV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튜너로 구성되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된 튜너를 통해 수신된 방송 정보가 A/V출력부로 출력되도록 하여주는 튜너부와, 상기 리모컨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리모컨의 고유 ID와 제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리모컨 ID에 해당되는 튜너를 선택하여 주고, 상기 선택된 튜너를 통해 입력된 방송정보가 A/V출력부 중 선택된 A/V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TV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A/V출력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된 A/V출력부 중의 하나를 통해 해당 TV로 오디오 및 비디오신호를 출력하여 주는 A/V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하나의 셋톱박스로 복수의 TV에 각각 상이한 채널을 출력할 수 있는 셋톱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TV 등에 연결되는 외부입력 출력전환에 관한 것이 아니는 등 본 발명과 그 목적이 상이하다.
KR2001-0000453A(2001.01.05) KR2016-0079479A(2016.07.06.) KR2013-0102822(2013.09.23.)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TV의 입력포트에 복수 연결되는 각각의 단말기를 간편하게 출력전환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복수의 단말기연결용 보조 통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TV의 입력포트와 연결되어 영상 및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출력포트와;
셋톱박스를 포함한 2개 이상의 복수의 단말기와 각각 연결되어 영상 및 음성정보를 입력받는 복수의 입력포트와;
상기 출력포트와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 사이에 각 설치되는 복수의 릴레이와;
리모트컨트롤러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보조IR수광부와;
상기 보조IR수광부에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의 특정되지 않는 어느 한 제어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계속하여 수신될 경우 입력포트 전환신호로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릴레이를 기설정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개폐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 연결용 보조통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셋톱박스의 IR수광부에 제어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보조IR발광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IR수광부에 상기 리모트컨트롤러를 통해 제어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수신될 경우 수신된 제어신호와 동일한 제어신호를 상기 보조IR발광부를 통해 상기 셋톱박스의 IR수광부로 송신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TV의 USB포트에 접속되는 USB접속부와;
상기 USB접속부를 통해 입력되는 출력전압에 의해 상기 TV의 전원상태를 판단하는 TV상태 판단부와;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및 음성정보에 의해 각 단말기의 전원상태를 판단하는 단말기상태 판단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 ON/OFF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단말기상태 판단부로부터 판단되는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상태와 상기 TV상태 판단부로부터 판단되는 상기 TV의 전원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TV의 전원상대를 기준으로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상태의 동기화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동기화 판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기화 판단부로부터 상기 셉톱박스의 전원상태의 동기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보조IR발광부에 출력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IR발광부로부터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상태의 동기화를 위한 제어신호가 출력되고 난 후, 2~5초 후 재차 상기 동기화 판단부로부터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상태의 동기화가 필요한지 여부를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연결용 보조 통합장치는 사용자가 리모컨의 아무 키나 5초 이상 길게 누름으로서 TV의 입력포트에 복수 연결되는 각각의 단말기를 간편하게 출력전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TV의 전원 ON/OFF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상태를 동기화시킬 수 있어,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연결용 보조 통합장치의 사용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연결용 보조 통합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용 보조 통합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연결용 보조 통합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용 보조 통합장치의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보조 통합장치와 TV 및 복수의 단말기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연결용 보조 통합장치(10)는 크게, 출력포트(110), 복수의 입력포트(120), 복수의 릴레이(130), 보조IR수광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출력포트(110)는 TV(30)의 입력포트(310)와 연결되어 영상 및 음성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상 및 음성정보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는 HDMI 포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영상 및 음성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이면 족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120)는 셋톱박스를 포함한 2개 이상의 복수의 단말기와 각각 연결되어 영상 및 음성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출력포트(110)와 같이 HDMI 포트로 구성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는 입력포트(120)를 제1 입력포트(121), 제2 입력포트(122) 및 제3 입력포트(123)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개의 입력포트 또는 4개 이상의 입력포트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120)는 영상 및 음성정보를 출력가능한 복수의 단말기, 즉 셋톱박스, DVD플레이어, Dvix플레이어, 스마트폰 미러링모듈 등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입력포트(121)에는 셋톱박스(410), 제2 입력포트(122)에는 DVD플레이어(420), 제3 입력포트(123)에는 스마트폰 미러링모듈(430)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릴레이(130)는 상기 출력포트(110)와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120) 사이에 각각 설치된다. 이에 상기 복수의 릴레이(130)의 수는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120)의 수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도 1과 같이 상기 입력포트가 3개로 구성될 경우 상기 복수의 릴레이(130)는 제1 릴레이(131), 제2 릴레이(132) 및 제3 릴레이(133)으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릴레이(130)는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1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및 음성정보를 상기 출력포트(110)에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복수의 릴레이(130)는 어느 한 릴레이에 한하여 접점이 폐쇄(closed)되고, 나머지 릴레이의 접점은 개방(open)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릴레이(130)가 도 1과 같이 제1 릴레이(131), 제2 릴레이(132) 및 제3 릴레이(133)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릴레이(131)의 접점이 폐쇄될 때 나머지 릴레이인 상기 제2 릴레이(132) 및 상기 제3 릴레이(133)의 접점은 개방되어 상기 제1 릴레이(131)에 연결된 상기 제1 입력포트(121)의 영상 및 음성정보가 상기 출력포트(110)로 출력된다.
상기 보조IR수광부(140)는 셋톱박스 등의 단말기를 리모트 컨트롤하기 위한 리모트컨트롤러의 IR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조 통합장치(10)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보조IR수광부(140)에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의 특정되지 않는 어느 한 제어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계속하여 수신될 경우 입력포트 전환신호로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릴레이(130)를 기설정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개폐시킨다.
상기 특정되지 않는 어느 한 제어신호는 리모트컨트롤러의 특정된 키가 아닌 아무 키나 눌러 조작하여 발생하는 제어신호를 일컫는 것으로서, 시력이 좋지 않은 노약자가 '외부입력' 등의 키를 찾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3초 내지 6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3초 미만일 경우에는 리모트컨트롤러를 길게 누르는 습관을 가지는 있는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 의도와 다르게 단말기의 출력이 전활될 우려가 있고, 6초 초과일 경우에는 노약자 등의 사용이 불편하고 엄지손가락의 통증을 유발시킬 우려가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보조IR수광부(140)로부터 입력포트(120) 전환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복수의 릴레이(130)를 순차적으로 개폐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릴레이(131) 폐쇄, 제2 릴레이(132) 개방, 제3 릴레이(133) 개방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50)에 입력포트(120) 전환신호가 수신되면 제1 릴레이(131) 개방, 제2 릴레이(132) 폐쇄, 제3 릴레이(133) 개방하고, 다시 상기 제어부(150)에 입력포트(120) 전환신호가 수신되면 제1 릴레이(131) 개방, 제2 릴레이(132) 개방, 제3 릴레이(133) 폐쇄시킨다. 즉, 제1 릴레이(131) → 제2 릴레이(132) → 제3 릴레이(133) 순서대로 반복 전환되도록 각 릴레이(130)의 접점을 폐쇄시킨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트컨트롤러의 아무 키나 일정 시간 이상 누르는 조작만으로 복수의 단말기가 연결된 복수의 입력포트(120)와 출력포트(110)를 순차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음에 따라 TV(30)의 입력포트(310)에 복수 연결되는 각각의 단말기를 간편하게 출력전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는 상기 셋톱박스(410)의 IR수광부(414)에 제어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보조IR발광부(160)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IR발광부(160)의 IR제어신호가 상기 셋톱박스(410)의 IR수광부(414)에 효과적으로 수광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IR발광부(160)를 상기 셋톱박스(410)의 IR수광부(414)의 전면에 부착 등의 방법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조 통합장치(10)를 TV의 근처에 설치한 경우 셋톱박스 등의 단말기를 TV의 뒤쪽, 거실장 내에 배치할 수 있고, 이때 리모트컨트롤러의 수신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보조IR수광부(140)로 상기 셋톱박스(41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와 동일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150)가 상기 보조IR발광부(160)를 통해 상기 셋톱박스(410)의 IR수광부(414)에 송신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보조IR수광부(140)에 상기 리모트컨트롤러를 통해 제어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수신된 경우에 한하여 수신된 제어신호와 동일한 제어신호를 상기 보조IR발광부(160)를 통해 상기 셋톱박스(410)의 IR수광부(414)로 송신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보조 통합장치(10)에는 상기 TV의 전원상태와 상기 셋톱박스(410)의 전원상태를 동기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TV의 USB포트(320)에 접속되는 USB접속부(170)와, 상기 USB접속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출력전압에 의해 상기 TV의 전원상태를 판단하는 TV상태 판단부(152),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12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및 음정정보에 의해 각 단말기의 전원상태를 판단하는 단말기상태 판단부(154)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셋톱박스(410)의 전원 ON/OFF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저장되는 메모리(180)가 구비된다. 상기 메모리(180)에는 상기 셋톱박스(410)의 전원 제어신호가 기저장될 수 도 있으나, 별도로 상기 셋톱박스(410)의 전원 제어신호를 상기 보조IR수광부(140)를 통해 수신하여 이를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상태 판단부(154)로부터 판단되는 상기 셋톱박스(410)의 전원상태와 상기 TV상태 판단부(152)로부터 판단되는 상기 TV의 전원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TV의 전원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셋톱박스(410)의 전원상태의 동기화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동기화 판단부(156)가 구비된다.
상기 동기화 판단부(156)에 의해 상기 셋톱박스(410)의 전원상태의 동기화기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셋톱박스(410)의 전원상태를 동기화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기화 판단부(156)에 의해 상기 셋톱박스(410)의 전원상태의 동기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예를 들면, 상기 TV의 전원상태가 ON이면서 상기 셋톱박스(410)의 전원상태가 OFF인 경우, 상기 TV의 전원상태가 OFF이면서 상기 셋톱박스(410)의 전원상태가 ON인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TV의 전원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셋톱박스(410)의 전원상태를 동기화시키기 위해 상기 메모리(180)로부터 상기 셋톱박스(410) 전원 제어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보조IR발광부(160)를 통해 상기 셋톱박스(410)의 IR수광부(414)로 발신한다.
이에 상기 셋톱박스(410)는 상기 TV의 전원상태와 동일하게 동기화된다.
한편, 상기 보조IR발광부(160)를 통해 송신되는 상기 셋톱박스(410)의 전원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셋톱박스(410)의 전원상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보조IR발광부(160)로부터 상기 셋톱박스(410)의 전원상태의 동기화를 위한 제어신호가 출력되고 난 후, 2~5초 후 재차 상기 동기화 판단부(156)로부터 상기 셋톱박스(410)의 전원상태의 동기화가 필요한지 여부를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동기화기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보조IR발광부(160)를 통해 상기 셋톱박스(410)의 IR수광부(414)에 전원제어신호를 송신한다.
10: 보조 통합장치,
110: 출력포트,
120: 복수의 입력포트,
130: 복수의 릴레이,
140: 보조IR수광부,
150: 제어부,
160: 보조IR발광부,
170: USB접속부,
180: 메모리

Claims (5)

  1. TV의 입력포트와 연결되어 영상 및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출력포트와;
    셋톱박스를 포함한 2개 이상의 복수의 단말기와 각각 연결되어 영상 및 음성정보를 입력받는 복수의 입력포트와;
    상기 출력포트와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 사이에 각 설치되는 복수의 릴레이와;
    리모트컨트롤러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보조IR수광부와;
    상기 보조IR수광부에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의 특정되지 않는 어느 한 제어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계속하여 수신될 경우 입력포트 전환신호로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릴레이를 기설정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개폐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 연결용 보조통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의 IR수광부에 제어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보조IR발광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IR수광부에 상기 리모트컨트롤러를 통해 제어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수신될 경우 수신된 제어신호와 동일한 제어신호를 상기 보조IR발광부를 통해 상기 셋톱박스의 IR수광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 연결용 보조통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TV의 USB포트에 접속되는 USB접속부와;
    상기 USB접속부를 통해 입력되는 출력전압에 의해 상기 TV의 전원상태를 판단하는 TV상태 판단부와;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및 음성정보에 의해 각 단말기의 전원상태를 판단하는 단말기상태 판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 연결용 보조통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 ON/OFF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단말기상태 판단부로부터 판단되는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상태와 상기 TV상태 판단부로부터 판단되는 상기 TV의 전원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TV의 전원상대를 기준으로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상태의 동기화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동기화 판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기화 판단부로부터 상기 셉톱박스의 전원상태의 동기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보조IR발광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 연결용 보조통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IR발광부로부터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상태의 동기화를 위한 제어신호가 출력되고 난 후, 2~5초 후 재차 상기 동기화 판단부로부터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상태의 동기화가 필요한지 여부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복수의 단말기 연결용 보조통합장치.

KR1020160154376A 2016-11-18 2016-11-18 복수의 단말기 연결용 보조통합장치 KR20180056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376A KR20180056285A (ko) 2016-11-18 2016-11-18 복수의 단말기 연결용 보조통합장치
CN201710840050.4A CN108076380A (zh) 2016-11-18 2017-09-15 用于连接多个终端的辅助集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376A KR20180056285A (ko) 2016-11-18 2016-11-18 복수의 단말기 연결용 보조통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285A true KR20180056285A (ko) 2018-05-28

Family

ID=62159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376A KR20180056285A (ko) 2016-11-18 2016-11-18 복수의 단말기 연결용 보조통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56285A (ko)
CN (1) CN108076380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9140B1 (ko) * 1996-04-13 1999-09-01 윤종용 에이/브이기기 통합제어장치
US8001300B2 (en) * 2002-04-24 2011-08-16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pecifying analog connections for data bus network devices having both digital and analog outputs
KR20050099596A (ko) * 2004-04-10 2005-10-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전의 외부 입력 전환 방법
US20060129442A1 (en) * 2004-12-14 2006-06-15 Chao-Hung Wu Audio-visual electronic secretary device and method for the same
CN101751014B (zh) * 2008-12-09 2011-12-14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自动控制该电子装置操作的方法
US9521352B2 (en) * 2012-09-13 2016-12-13 Naxos Finance Sa Television set capable of identifying a plurality of peripherals and allowing to select and display the contents of one of the same
KR101489811B1 (ko) * 2013-02-27 2015-02-06 유한회사 셋토퍼 전원자동제어장치 및 전원자동제어방법
US9167300B2 (en) * 2013-10-24 2015-10-20 VIZIO Inc. Muting notif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76380A (zh) 201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955B1 (ko) 대기전력 최소화를 위한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US200300189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audio and video monitoring
JP2008079128A (ja) 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表示システムを構成するメイン装置およびサブ装置
JP2007060658A (ja) シナリオによる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US9363355B2 (en) Wireless terminal adapted to control broadcast in external device
US7532258B1 (en) Video remote controller incorporating audio speaker and speaker volume control
KR100778757B1 (ko) 동작인식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별 맞춤형 스마트 텔레비젼장치 및 방법
CN101345831A (zh) 接收机以及配备有该接收机的接收系统
US11743532B2 (en) Location-tracked media delivery across multiple media consumption devices
CN107069750B (zh) 功率模式控制设备以及用于控制设备的功率模式的方法
JP4557004B2 (ja) 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放送受信装置および操作端末
KR20080030320A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56285A (ko) 복수의 단말기 연결용 보조통합장치
US20140176805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starting thereof
KR100855003B1 (ko) 지능형 원격 제어 장치
KR2011004254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060101674A (ko) 단일 리모콘을 통한 dtv stb와 ready tv의제어 방법
US20080313693A1 (en) Set top box, digital broadcast view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broadcast viewing system
KR200311654Y1 (ko) 단축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리모콘 장치.
US20140168522A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ler, and code processing method
KR100651283B1 (ko) 원격제어시스템
US20130076983A1 (en) Television system and method of watching television programs
KR100606840B1 (ko) 착탈 가능 리모트 컨트롤러
KR20060117483A (ko)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방송 채널 선국 방법
US20060048195A1 (en) Synchronizing a media center on a correct cha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