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4835A - 다-구역 청취 환경에서의 순차적 오디오 밸런스 및 페이드 - Google Patents

다-구역 청취 환경에서의 순차적 오디오 밸런스 및 페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4835A
KR20150054835A KR1020157006383A KR20157006383A KR20150054835A KR 20150054835 A KR20150054835 A KR 20150054835A KR 1020157006383 A KR1020157006383 A KR 1020157006383A KR 20157006383 A KR20157006383 A KR 20157006383A KR 20150054835 A KR20150054835 A KR 20150054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fade
speaker
speakers
subwoo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6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5500B1 (ko
Inventor
제프리 엠. 브록몰
Original Assignee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54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7Frequency adjustment, e.g. ton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1Multi-channel, i.e. more than two input channels, sound reproduction with two speakers wherein the multi-channel information is substantially preser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3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tereophonic sound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다수의 청취 구역들을 가진 다중-스피커 오디오 시스템에서 스피커 음향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또는 방법은, 최대 또는 최소 설정을 제외하고 밸런스 및 페이드 설정들의 범위에 걸쳐 오디오 시스템의 밸런스 및/또는 페이드 설정들에서의 변화에 응답하여 적어도 제 2 스피커에 대하여 적어도 제 1 스피커의 필터링 및/또는 다른 신호 프로세싱 파라미터들과 같은, 이득 및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파라미터들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정하는 것, 및 최대 또는 최소 밸런스 또는 페이드 설정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음소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구역 청취 환경에서의 순차적 오디오 밸런스 및 페이드 {PROGRESSIVE AUDIO BALANCE AND FADE IN A MULTI-ZONE LISTENING ENVIRONMENT}
관련 출원들에 대한 교차-참조
본 출원은 2012년 9월 13일에 출원된 미국 가 출원 일련 번호 제61/700,881호 및 2012년 9월 26일에 출원된 제61/706,121호에 대한 이득을 주장하며, 그 개시들은 전체적으로 여기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기술 분야
본 개시는 다중 청취 구역들을 가진 환경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오디오 시스템들에서의 페이드 및 밸런스의 순차적 제어에 관한 것이다.
다중-라우드스피커 오디오 시스템에서 밸런스 및 페이드 행동을 구현하기 위한 두 개의 주요 이유들이 있다. 첫 번째는 특정한 사용자 선호들을 수용하기 위해 청취 공간 내에 오디오 이미지를 재-위치시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청취 공간의 특정한 영역들 내에서 청취자들을 방해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오디오를 재배치하는 것이다. 기존의 오디오 시스템 구현들은 양쪽 모두는 아니지만, 이들 갈라지는 목표들 중 하나 또는 다른 것을 처리하여, 각각의 경우에서 비-이상적인 해결책을 이끈다.
오디오를 재-위치시키는 것은 사용자가 개개의 선호에 음향 사운드 필드를 맞추길 원하지만, 여전히 모든 청취자들에 대한 전체 사운드 품질을 요구한다는 것을 내포한다. 이 경우에, 다수의 라우드스피커들은 고른 음색 및 적절한 음향 가중이 청취 환경 전체에 걸쳐 유지되도록 활성인 채로(상이한 이득들 갖지만) 있는 것이 필수적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방으로 오디오를 페이딩하기로 선택한다면, 후방 스피커들은 공간 내에서 의도하지 않은 음향 딥들을 생성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그것들의 저-주파수 콘텐트의 적어도 일 부분을 계속해서 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오디오를 재배치하는 것은 사용자가 특정한 청취자들을 방해하지 않도록 청취 환경의 특정한 영역들로 오디오를 분리하거나 또는 집중시키기를 원한다는 것을 내포한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몇몇 총 사운드 품질을 기꺼이 희생시킨다. 그러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청취 구역들 가까이에 위치된 라우드스피커들은 이들 청취자들에 의해 경험된 음향 출력을 가능한 정도로 감소시키기 위해 완전히 음소거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그것의 전-방향 전파의 특징으로 인해 저-주파수 콘텐트를 제거하기 위해 오디오를 필터링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러한 음소거 및 필터링은 활성 구역에서 이들 청취자들에게 비-이상적인 청취 경험을 제공한다.
다양한 유형들의 오디오 시스템들에서, 사용자는 특정한 범위 내에서 디폴트 또는 디텐트 설정으로부터 좌측/우측 밸런스 및 전방/후방 페이드를 조정할 수 있다. 디텐트 위치들은 의도된 청취 환경의 주 청취 영역에 걸쳐 최적의 오디오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될 수 있다. 밸런스 제어 또는 입력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것은 서로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라우드스피커들의 신호 프로세싱을 조정함으로써 청취 환경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오디오 출력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킨다. 페이드 제어는 청취 환경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오디오 출력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간단한 종래 기술의 구현은 디텐트 또는 디폴트 위치로부터 떨어진 제어의 각각의 조정에 응답하여 라우드스피커들에 대한 이득을 순차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이를 달성한다. 제어가 그것의 범위의 끝에 있을 때, 영향을 받은 라우드스피커들은 음소거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하나 이상의 청취 구역들에서 사용자들에 의해 지각된 바와 같이 손상된 사운드 품질을 야기할 수 있다. 이것은 다수의 라우드스피커들이 청취 환경 주위에 배열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들에서 특히 현저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원하는 공간 사운드 이미지 또는 분배를 제공하기 위해, 우퍼, 미드 레인지, 또는 트위터와 연관된 것들과 같은 상이한 주파수 응답들을 가질 수 있다.
밸런스/페이드 설정들의 범위에 걸쳐 오디오 품질을 유지하는 하나의 해결책은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들과 함께 이득, 필터링, 및/또는 다른 신호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을 동시에 조정함으로써 라우드스피커들의 출력을 수정하는 것이다. 이들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라우드스피커들의 모두는 밸런스 및/또는 페이드 제어가 그것의 범위의 끝에서 최대 또는 최소 설정으로 조정될 때조차 여전히 몇몇 음향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청취자 예상들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불평 사항들 또는 보장 클레임들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청취자들은 특정한 스피커들이 그것들의 최대 또는 최소 위치들로 조정되는 밸런스 및/또는 페이드에 기초하여 제로의 지각 가능한 오디오 출력을 갖는다고 예상할 수 있다.
다수의 청취 구역들을 가진 다중-스피커 오디오 시스템에서 스피커 음향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또는 방법은, 최대 또는 최소 설정을 제외하고 밸런스 및 페이드 설정들의 범위에 걸쳐 오디오 시스템의 밸런스 및/또는 페이드 설정들에서의 변화에 응답하여 적어도 제 2 스피커에 대하여 적어도 제 1 스피커의 필터링 및/또는 다른 신호 프로세싱 파라미터들과 같은, 이득 및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파라미터들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정하는 것, 및 최대 또는 최소 밸런스 또는 페이드 설정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음소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 및 방법은 또한 최대 또는 최소 밸런스 또는 페이드 설정에 응답하여 감소된 비-방향성 음향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 서브우퍼와 같은, 저 주파수 스피커의 비-제로 이득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는 특정한 청취 구역 내에서 스피커 음향 출력들의 원하는 가중을 제공하기 위해 스피커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스펙트럼 관리기의 상류측에서 수행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를 위한 시스템 또는 방법은 차량 실내에 위치된 다수의 스피커들을 가진 차량에서의 오디오 시스템의 헤드 유닛 또는 제어 유닛 내에서 구현된다.
본 개시에 따른 밸런스 및 페이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 인터페이스의 디텐트 또는 디폴트 위치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제어 영역들 또는 범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범위의 밸런스 및 페이드 설정들은 청취 환경 내에서의 대응하는 스피커들과 연관된, 이득과 같은, 적어도 제 1 파라미터를 조정 또는 수정하는 것을 야기한다. 제 2 범위의 밸런스 및 페이드 설정들은 예를 들면, 채널 믹싱과 같은, 적어도 제 2 파라미터를 조정 또는 수정하는 것을 야기한다. 제어는 제 2 범위가,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파라미터들 양쪽 모두, 또는 제 2 파라미터 및 주파수 필터링과 같은 다른 파라미터들의 다양한 조합들을 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수의 제어 범위들은 청취 환경 내에서 사운드 필드를 변경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관된 파라미터들에 대한 순차적 조정들을 갖는 각각의 범위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다수의 제어 범위들은 상기 밸런스 또는 페이드가 마지막 이용 가능한 위치로 설정될 때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음소거하는 것을 야기하는 범위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이점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본 개시에 따른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는 청취자에 의해 예상된 바와 같이 동작하며 불필요한 불평 사항들 또는 보장 클레임들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접근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최대 및 최소 설정들을 제외하고 밸런스 및 페이드 설정들의 범위에 걸쳐 원하는 사운드 품질을 유지하며, 여기에서 하나 이상의 스피커들은 음소거된다. 또한, 본 개시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HMI)의 특정한 구현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는 기존의 제어들에 대한 수정 없이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에 대한 양쪽 이유들 모두를 달성하는 단일 구현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스피커들의 음소거는 부가적인 제어, 버튼, 손잡이, 스위치 등 없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최대/최소 설정들을 제외한 모두를 사용하여 밸런스 및 페이드 설정들의 범위에 걸쳐 청취 환경 내에 오디오를 재-위치시킴으로써 사운드스테이지를 개개의 선호에 미세-조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밸런스 및/또는 페이드 제어들을 그것들의 범위의 끝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청취 환경의 특정한 구역들에서의 오디오 출력을 감소시키도록 선택할 수 있다.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들의 동작 및 결과적인 오디오 시스템 성능은 직관적이며 사용자 기대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많은 사용자들은 그것들의 디텐트 또는 디폴트 위치들에 가까이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들을 갖는 라우드스피커들의 각각으로부터 몇몇 출력을 예상하며, 또한 적어도 몇몇 라우드스피커들이, 제어들이 그것들의 범위의 끝에서 최소/최대 설정에 도달함에 따라 어떤 출력도 갖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상기 이점들 및 본 개시와 연관된 다른 이점들 및 특징들이 첨부한 도면들과 관련되어 취해질 때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에서의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의 대표적인 구현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오디오 품질을 손상시키는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의 종래 기술의 구현의 동작을 예시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득 및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파라미터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수의 청취 구역들을 가진 다중-스피커 오디오 시스템에서의 스피커 음향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또는 방법의 동작을 예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각각 적어도 하나의 연관된 제어 파라미터를 가진 다수의 제어 범위들을 갖는 스피커 음향 출력의 순차적 제어를 위한 시스템 또는 방법의 동작을 예시한다.
요구된 대로, 상세한 설명들이 여기에 개시되지만; 개시된 실시예들은 단지 대표적이며 다양하며 대안적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면들은 반드시 스케일 그대로인 것은 아니며; 몇몇 특징들은 특정한 구성요소들의 세부사항들을 도시하기 위해 과장되거나 또는 축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여기에 개시된 특정한 구조적 및 기능적 세부사항들은 제한적인 것으로서가 아닌, 단지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을 다양하게 이용하기 위해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를 교시하기 위한 대표적인 것으로서 해석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에서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의 대표적인 구현을 예시한 블록도가 도시된다. 시스템(10)은 예를 들면, 오디오 시스템의 헤드 유닛 또는 제어 유닛 내에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 블록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10)은 차량에 장착되고 차량 실내에서의 다양한 위치들에 위치된 다수의 라우드스피커들에 연결된 헤드 유닛 내에 포함된다.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본 개시의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 실시에들이 일반적으로 특정한 청취 환경에 독립적이며 다양한 유형들의 다중-채널, 다중-스피커 오디오 시스템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1에 예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시스템(10)은 좌측 및 우측 입력 채널들을 포함하는, 일반적으로 20에 표현된, 스테레오 입력을 수신한다. 다양한 다른 유형들의 다중-채널 입력들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구현에 의존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20에 표현된 오디오 입력은 톤 제어(22)에 대한 설정들에 기초하여 프로세싱되며, 이것은 예를 들면, 동적 필터 프로세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적 필터 프로세싱 블록(22)의 출력은 업믹서(24)에 제공된다. 도 1에 예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업믹서(24)는 이중 채널 입력을 블록(26)에 표현된 바와 같이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 기능들에 제공되는 다중-채널 출력으로 변환하기 위해 잘-알려진 로직 7 다중-채널 서라운드-사운드 기술을 이용한다.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26)는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운드 필드를 재위치시키거나 또는 재배치하기 위해 청취 환경 내에서 음향 출력의 지각된 소스를 수정하도록 사용자-선택된 밸런스 및 페이드 입력들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라우드스피커의 이득에 대하여 라우드스피커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이득을 조정한다.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26)로부터의 조정된 다중-채널 출력은 스펙트럼 관리기(28)에 제공된다. 스펙트럼 관리기(28)는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26)로부터 다중-채널 오디오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동조 가능한 크로스오버 주파수들에 기초하여 오디오 콘텐트를 저-주파수 부분 및 미드 레인지 및/또는 고-주파수 부분으로 분리하도록 오디오 콘텐트를 프로세싱한다. 분리된 주파수 부분들은 청취 환경 내에서 동조 가능한 오디오 필드를 제공하기 위해 오디오 시스템 내에서 다양한 스피커들로 라우팅된다. 대표적인 차량 환경에서, 스피커들은 예를 들면, 좌측 및 우측 전방 스피커들, 하나 이상의 중앙 스피커들, 좌측 및 우측 측면 스피커들, 좌측 및 우측 후방 스피커들, 및 서브우퍼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스피커들은 좌측 전방 우퍼, 좌측 전방 미드 레인지, 우측 전방 우퍼, 및 우측 전방 미드 레인지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후방 스피커들은 좌측 후방 우퍼, 좌측 후방 미드 레인지, 우측 후방 우퍼, 및 우측 후방 미드 레인지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스피커는 일반적으로 미드 레인지 스피커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다양한 스피커들은 미리 결정된 주파수 범위들을 생성하기 위해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우퍼는 20 Hz 내지 100 Hz 사이에서의 주파수들을 생성하기 위해 최적화될 수 있는 반면, 우퍼는 100 Hz 내지 1 kHz 사이에서의 주파수들을 생성하기 위해 최적화될 수 있으며, 미드 레인지은 예를 들면, 300 Hz 내지 5 kHz 사이에서의 주파수들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다. 대표적인 스펙트럼 관리기(28)의 부가적인 세부사항들은 “스펙트럼 관리 시스템”이라는 제목의, 공동 소유된 공개 특허 출원 US 2010/0278346에 설명되며, 그 개시는 여기에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통합된다.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를 통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시스템의 다양한 다른 동작 세부사항들이 “오디오 신호들의 공간 추출을 위한 시스템”이라는 제목의, 공동 소유된 공개 특허 출원 US 2011/0081024에 설명되며, 이것은 여기에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통합된다.
도 1의 대표적인 블록도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 기능들(26)은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들의 대부분의 설정들에 걸쳐 사운드 품질을 상당히 손상시키지 않고 사운드 필드의 유연하며 동적인 제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스펙트럼 관리기(28)의 상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스펙트럼 관리기(28)의 출력은 다양한 라우팅 및 믹싱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동작하는 오디오 프로세싱 블록(30)에 제공된다. 부가적인 외부 경보(32)가 입력으로서 오디오 프로세싱 블록(30)에 제공될 수 있다. 오디오 블록(30)의 출력은 채널 등화기(40)에 제공되며, 이것은 그 후 블록(42)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청취 환경 주위에서의 다양한 스피커들의 배치와 연관된 지연들을 보상받는다. 지연 보상 블록(42)의 출력은 볼륨 및 음소거 제어(44)에 제공된다. 볼륨 및 음소거 제어(44)로부터의 피드백은 입력으로서 오디오 프로세싱 블록(30)에 제공된다. 볼륨 및 음소거 제어(44)로부터의 출력은 신호들이 청취 환경 전체에 걸쳐 위치된 다양한 스피커들에 제공되는 출력 분배 블록(48)에 제공된 블록(46)으로부터의 출력을 갖고 전력 제한 블록(46)에 제공된다.
도 1의 블록도에 일반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및 연관된 방법은 최대 또는 최소 설정을 제외하고 밸런스 및 페이드 설정들의 범위에 걸쳐 오디오 시스템의 밸런스 및/또는 페이드 설정들에서의 변화에 응답하여 적어도 제 2 스피커에 대하여 적어도 제 1 스피커의 필터링 및/또는 다른 신호 프로세싱 파라미터들과 같은, 이득 및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파라미터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정하며, 최대 또는 최소 밸런스 또는 페이드 설정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음소거함으로써 다수의 청취 구역들을 가진 다중-스피커 오디오 시스템에서의 스피커 음향 출력을 제어한다.
도 2a 및 도 2b는 대표적인 차량 애플리케이션에서 종래 기술의 오디오 시스템의 동작 및 성능을 예시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드 및 밸런스 제어들은 전방 좌측 스피커들이, 차량의 나머지 스피커들이 음소거되는 동안 동작적이도록 설정된다. 이것은 그 외 또한 약 200 Hz 이상의 주파수들보다 더 상당히 감쇠된 우측 우퍼 및 전방향 서브우퍼에 의해 제공될 하위 주파수들을 갖고 일반적으로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은 불균형한 주파수 응답을 야기한다. 도 2b에 예시된 불균형 주파수 응답은 감소된 오디오 품질을 야기한다.
도 3a 및 도 3b는 대표적인 차량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종래 기술의 오디오 시스템의 동작 및 성능을 유사하게 예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드 및 밸런스 제어들은 우측 후방 스피커들이, 차량의 나머지 스피커들이 음소거되는 동안 동작적이도록 설정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동작 스피커들에 의해 생성된 주파수들의 열악한 가중을 야기한다. 서브우퍼가 또한 동작적이기 때문에, 약 80 Hz까지의 하위 주파수들에서의 주파수 응답은 약 100 및 300 Hz 사이에서의 주파수들보다 높은 이득을 보인다. 이러한 불균형 주파수 응답은 감소된 오디오 품질을 야기한다.
도 4는 대표적인 종래 기술의 시스템의 최소/최대 설정들에서 적용된 상대적인 이득들을 예시한 차트이다.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의 디텐트 위치는 시스템에서의 모든 스피커들에 걸쳐 균형 잡힌 감쇠 또는 이득을 갖고 도 4에서의 제 1 로우에 예시된다. 제 1 로우는 후방 스피커들을 감쇠시키도록 조정된 밸런스 및 페이드 설정들을 나타낸다. 이것은 좌측 후방 미드 레인지 및 우측 후방 미드 레인지 스피커들에 대한 상대적인 감쇠 또는 이득 값들에 의해 예시된다. 유사하게, 도 4의 표에서의 각각의 로우는 각각 청취 환경의 전방, 후방, 좌측, 우측, 전방 좌측, 전방 우측, 후방 좌측, 및 재기록 위치로 사운드 필드를 조정하기 위한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들에 대한 최대 또는 최소 설정을 나타낸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표적인 종래 기술의 시스템의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 범위들의 끝에 적용된 최대/최소 설정들은 특정한 청취 구역과 연관되지 않은 스피커들을 완전히 음소거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후방 우측 청취 구역은, 그것들이 여전히 지각 가능한 음향 출력을 제공할지라도, 좌측 후방 및 중앙 미드 레인지 스피커들을 감쇠시킨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를 통합한 오디오 시스템의 동작 및 성능을 예시한다.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 설정들은 전방 좌측 청취 구역을 향해 사운드 필드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바이어싱하도록 조정되어 왔다. 그러나, 우측 우퍼 및 서브우퍼는 최대/최소 설정을 제외하고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들의 범위의 대다수에 걸쳐 활성인 채로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도 5b에서의 평탄 주파수 응답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신호들의 적절한 가중을 야기한다.
유사하게,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를 통합한 오디오 시스템의 동작 및 성능을 예시한다.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 설정들은 후방 우측 청취 구역을 향해 사운드 필드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바이어싱하도록 조정되어 왔다. 그러나, 서브우퍼 및 우측 후방 스피커들은 최대/최소 설정을 제외하고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 설정들의 범위의 대다수에 걸쳐 활성인 채로 있다. 이것은 우수한 오디오 품질에 대응하는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평탄 주파수 응답을 야기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를 통합한 오디오 시스템의 최소/최대 설정에 적용된 상대적 이득들을 예시한 차트이다.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들의 디텐트 또는 디폴트 위치가 도 7의 표에서 제 1 로우에 의해 표현된다.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 범위들의 최대/최소 설정들에 적용된 상대적 이득들에 대한 대표적인 값들은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들의 다양한 조합들을 위해 제공된다. 제 1 컬럼은 컬럼 주제에 의해 표시된 스피커들의 각각과 연관된 대표적인 이득 값들을 가진 나머지 컬럼들을 갖고 청취 영역 또는 구역을 지정한다.
예를 들면,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로우는 스피커들 중 임의의 것에 적용된 이득/감쇠 없이 디텐트 또는 디폴트/중심 위치에 대응한다. 제 2 로우는 청취 영역의 전방 구역으로 사운드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시프트하기 위해 각각의 스피커에 적용된 상대적 이득/감쇠에 대응한다. 이것은 밸런스 제어가 디텐트 위치에 남아있는 동안 최대(또는 최소 위치)로 페이드 제어를 조정함으로써 표시될 것이다. 이와 같이, 이 예에서, -72 dB의 상대적 이득은 서브우퍼를 실질적으로 음소거하는 서브우퍼에 적용될 것이다. 어떤 상대적 이득 조정들(0 dB)도 전방 스피커들에 적용되지 않으며, 이것은 좌측 전방 우퍼, 우측 전방 우퍼, 좌측 전방 미드 레인지, 및 우측 전방 미드 레인지를 포함한다. -72 dB의 상대적 이득 값들은 좌측 후방 미드 레인지 및 우측 후방 미드 레인지 스피커들에 적용되며, 어떤 상대적 이득(0 dB)도 중앙 미드 레인지 스피커에 적용되지 않는다. 유사한 방식으로, 도 7의 마지막 로우는 그것의 디텐트로부터 “후방”에 대응하는 최대(또는 최소) 위치/설정으로의 페이드 제어 및 “우측”에 대응하는 최대(또는 최소) 위치/설정으로의 밸런스 제어를 조정함으로써 청취 면적의 후방 우측 영역으로 사운드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시프트하는 것에 대응한다. 마지막 로우에서의 값들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서브우퍼에 적용된 -36 dB, 우측 후방 미드 레인지 스피커에 적용된 0 dB, 및 우측 후방 미드 레인지 및 서브우퍼에 의해 모두를 실질적으로 음소거하는 모든 다른 스피커들에 적용된 -72 dB의 상대적 이득을 야기할 것이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들의 최대 및 최소 위치들은 도 4의 차트에 표현된 바와 같이 대표적인 종래 기술의 오디오 시스템보다 상당히 더 많은 감쇠를 야기한다. 이것은 하나 이상의 의도되지 않은 스피커들이 계속해서 지각 가능한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는 종래 기술의 구현과 대조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특정한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 최소/최대 설정과 연관된 의도되지 않은 스피커들의 유효 음소거를 야기한다. 이와 같이, 시스템의 동작은 대응하는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들이 제어 범위의 그것들 각각의 최소/최대 위치로 설정될 때 특정한 청취 구역과 연관되지 않는 스피커들을 음소거함으로써 사용자 기대들과 일치한다. 도 1의 블록도에 관하여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대적 이득 설정들 외에, 필터링 및/또는 다른 신호 프로세싱 파라미터들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파라미터가 또한 최소/최대 설정들에서의 음소거 또는 유효 음소거를 갖는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들에 대한 다양한 제어 설정들에서 순차적 밸런스 및 페이드를 제공하기 위해 상대적 이득 조정들을 갖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정될 수 있다.
다수의 청취 구역들을 가진 다중-스피커 오디오 시스템에서 스피커들에 적용된 상대적 이득 값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스피커 음향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또는 방법은 최대 또는 최소 설정을 제외하고 밸런스 및 페이드 설정들의 범위에 걸쳐 오디오 시스템의 밸런스 및/또는 페이드 설정들에서의 변화에 응답하여 적어도 제 2 스피커에 대하여 적어도 제 1 스피커의 필터링 및/또는 다른 신호 프로세싱 파라미터들과 같은, 이득 및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파라미터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정하며, 최대 또는 최소 밸런스 또는 페이드 설정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음소거한다. 적어도 제 2 스피커에 대하여 적어도 제 1 스피커의 필터링 및/또는 다른 신호 프로세싱 파라미터들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본 개시의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최대 및 최소 설정들을 제외하고 밸런스 및 페이드 설정들의 범위에 걸쳐 원하는 사운드 품질을 유지하며, 여기에서 하나 이상의 스피커들은 최소/최대 설정에서 밸런스 또는 페이드 설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기대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음소거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각각 적어도 하나의 연관된 제어 파라미터를 가진 다수의 제어 범위들을 갖는 스피커 음향 출력의 순차적 제어를 위한 시스템 또는 방법의 동작을 예시한다. 3개의 제어 범위들 또는 영역들이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에 예시되지만,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는 부가적인 제어 영역들이 적어도 하나의 연관된 제어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관된 오디오 응답 특성을 가진 각각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제어 영역은 참조 번호 1에 의해 지정되며 디텐트, 디폴트, 또는 중간 위치를 둘러싸는 밸런스 및 페이드 설정들을 나타낸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영역 1 내에서의 제어 설정들은 그것들의 디텐트 위치들에 가장 가까운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 설정들에 대응한다. 전체 디텐트에서, 채널 레벨들은 그것들의 설계 또는 이상적인 레벨들로 동조되며, 이것은 특정한 청취 환경을 위해 최적화될 수 있다. 디텐트 위치들로부터 떨어진 조정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이 예에서 이득)가 오디오 패닝을 달성하도록 조정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제어 구역은 제 1 제어 구역을 둘러싸며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들(2, 3, 및 4)에 의해 표현된다. 영역(2)에서, 페이드 제어 설정은 영역 1의 바깥쪽에서 진행하지만, 영역(5)(제 3 제어 구역)에서는 진행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이 예에서 채널 믹스 및 채널 이득)는 오디오가 전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페이딩하도록 이러한 제어 영역에서 조정된다. 이것은 측면 채널 믹싱이 전방을 향해 시프트하고 후방 채널 믹싱이 측면들을 향해 시프트하도록 믹싱 조정들뿐만 아니라 채널 이득 조정들을 갖고 성취된다. 영역(3)은 중심 채널의 부가를 제외하고, 영역(2)과 유사한 제어 전략을 가진다. 영역(3)에서, 페이드 제어는 영역(1)의 바깥쪽에서 진행하지만, 영역(5)에서는 진행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오디오가 청취 환경의 후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페이딩하도록 조정된다(이 예에서 이득 및 믹싱). 이것은 전방 및 중심 채널 믹싱이 측면들을 향해 가상 사운드 소스를 시프트하며, 측면 채널 믹싱이 후방을 향해 시프트하도록 채널 이득들 및 믹싱을 갖고 성취된다.
영역(4)에서, 밸런스 제어는 영역(1) 설정들의 바깥쪽에서 진행하지만, 영역(5)에서는 진행하지 않는다. 이 영역에서, 이득, 필터링, 및/또는 믹싱과 같은, 파라미터들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페이딩하도록 제어된다. 이것은 채널 이득들을 갖고 성취되며 또한 좌측 또는 우측 채널들은 각각 우측 또는 좌측으로 믹싱할 것이다. 중심 채널은 또한 좌측 및 우측 채널들과 함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믹싱할 것이다.
영역(5)에 의해 표현된 제 3 제어 구역에서,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들은 최대 또는 마지막 이용 가능한 설정에 있다.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이 오디오가 완전히 페이딩되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채널 이득들의 대응하는 조정에 의해 음소거되도록 조정된다. 예를 들면, 필터링 및/또는 부가적인 음향 파라미터들 외에 상대적 이득들이 음향 필드를 순차적으로 시프트하거나 또는 페이딩하도록 신호 프로세서에 의해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음소거된 또는 실질적으로 음소거된(지각 가능한 오디오 출력이 없음) 스피커는 최소/최대 밸런스/페이드 설정들과 연관된 특정한 청취 영역 또는 구역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도 8의 최상부에서의 영역(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방으로의 페이드는 후방 스피커(들)의 음소거를 야기한다. 유사하게, 도 8의 우측 측면에서의 영역(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에 이르도록 밸런스를 설정하는 것은 좌측 스피커(들) 등의 음소거를 야기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설명되며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 밸런스 및 페이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 인터페이스의 디텐트 또는 디폴트 위치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제어 영역들 또는 범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범위의 밸런스 및 페이드 설정들은 청취 환경 내에서의 대응하는 스피커들과 연관된, 이득과 같은 적어도 제 1 파라미터를 조정 또는 수정하는 것을 야기한다. 제 2 범위의 밸런스 및 페이드 설정들은 예를 들면, 채널 믹싱과 같은, 적어도 제 2 파라미터를 조정 또는 수정하는 것을 야기한다. 제어는 제 2 범위가,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파라미터들 양쪽 모두, 또는 제 2 파라미터 및 주파수 필터링과 같은 다른 파라미터들의 다양한 조합들을 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수의 제어 범위들은 청취 환경 내에서 사운드 필드를 변경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관된 파라미터들에 대한 순차적 조정들을 갖는 각각의 범위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제어 범위들은, 밸런스 또는 페이드가 마지막 이용 가능한 위치로 설정될 때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음소거하는 것을 야기하는, 도 8에서의 영역(5)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은, 범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 및 방법은 또한 최대 또는 최소 밸런스 또는 페이드 설정에 응답하여 감소된 비-방향성 음향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 서브우퍼와 같은, 저 주파수 스피커의 비-제로 이득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이 이해할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가 다양한 유형들의 청취 환경들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청취 환경의 다양한 영역들 또는 구역들 내에 위치된 스피커들 사이에서 또는 그 중에서 상대적 이득들, 필터링, 채널 믹싱 등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정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갖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를 위한 시스템 또는 방법은 차량 실내에 위치된 다수의 스피커들을 가진 차량에서의 오디오 시스템의 헤드 유닛 또는 제어 유닛 내에 구현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는 청취자들에 의해 예상된 바와 같이 동작하는 하이브리드 접근법을 제공하며 특정한 청취 영역 또는 구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스피커들을 음소거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음소거함으로써 불필요한 불평 사항들 또는 보장 클레임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최대 및 최소 설정들을 제외하고 밸런스 및 페이드 설정들의 범위에 걸쳐 원하는 사운드 품질을 유지하며, 여기에서 하나 이상의 스피커들은 음소거된다. 또한, 본 개시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HMI)의 특정한 구현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는 기존의 제어들에 대한 수정 없이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에 대한 양쪽 이유들 모두를 달성하는 단일 구현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스피커들의 음소거는 부가적인 제어, 버튼, 손잡이, 스위치 등 없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최대/최소 설정들을 제외한 모두를 사용하여 밸런스 및 페이드 설정들의 범위에 걸쳐 청취 환경 내에 오디오를 재-위치시킴으로써 사운드스테이지를 개개의 선호에 미세-조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밸런스 및/또는 페이드 제어들을 그것들의 범위의 끝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청취 환경의 특정한 구역들에서의 오디오 출력을 감소시키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개시의 다양한 실시에들에 따른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들의 동작 및 결과적인 오디오 시스템 성능은 직관적이며 사용자 기대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많은 사용자들은 그것들의 디텐트 또는 디폴트 위치들에 가까이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들을 갖는 라우드스피커들의 각각으로부터 몇몇 출력을 예상하며, 또한 적어도 몇몇 라우드스피커들이, 제어들이 그것들의 범위의 끝에서 최소/최대 설정에 도달함에 따라 어떤 출력도 갖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대표적인 실시예들이 상기 설명되지만, 이들 실시예들이 모든 가능한 형태들의 청구된 주제를 설명한다는 것이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명세서에 사용된 단어들은 제한보다는 설명의 단어들이며, 다양한 변화들이 개시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부가적으로, 다양한 구현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또는 설명되지 않은 추가 실시예들을 형성하기 위해 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가 인지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원하는 특성들에 대하여 다른 실시예들 또는 종래 기술의 구현들에 비해 이점들을 제공하거나 또는 선호되는 것으로서 설명되었지만, 하나 이상의 특징들 또는 특성들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구현에 의존하는, 원하는 전체 시스템 속성들을 달성하기 위해 타협될 수 있다. 이들 속성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비용, 세기, 내구성, 수명 사이클 비용, 시장성, 외관, 패키징, 크기, 서비스 가능성, 무게, 제조 가능성, 조립의 용이함 등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특성들에 대하여 다른 실시예들 또는 종래 기술의 구현들보다 덜 바람직한 것으로 설명된 실시예들은 개시의 범위 밖에 있지 않으며 특정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바람직할 수 있다.

Claims (18)

  1. 다수의 청취 구역들을 가진 다중-스피커 오디오 시스템에서 스피커 음향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 1 스피커 및 제 2 스피커; 및
    최대 또는 최소 밸런스 또는 페이드 설정을 제외하고, 밸런스 및 페이드 설정들의 범위에 걸쳐 상기 오디오 시스템의 밸런스 또는 페이드 설정들에서의 변화에 응답하여 적어도 제 2 스피커에 대하여 적어도 제 1 스피커의 이득 및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음향 파라미터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정하며, 상기 최대 또는 최소 밸런스 또는 페이드 설정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음소거하도록 구성된 오디오 신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스피커 음향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중-스피커 오디오 시스템은 서브우퍼를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신호 프로세서는 상기 최대 또는 최소 밸런스 또는 페이드 설정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우퍼의 이득을 비-제로 이득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스피커 음향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피커들에 대한 주파수 응답들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스펙트럼 관리기를 포함하며, 상기 이득은 지정된 청취 구역 내에서 스피커 음향 출력들의 원하는 가중(summation)을 제공하도록 상기 스펙트럼 관리기의 상류측에서 조정되는, 스피커 음향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피커들은 차량 실내에 장착되는, 스피커 음향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프로세서는 상기 스피커가 지각 가능한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의 상기 이득을 조정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음소거하도록 구성되는, 스피커 음향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피커들은 청취 환경의 전방 구역의 좌측 및 우측 영역들에 위치된 미드 레인지(mid-range) 스피커들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청취 환경의 후방 구역의 좌측 및 우측 영역들에 위치된 제 3 및 제 4 미드 레인지 스피커들;
    상기 청취 환경의 상기 후방 구역에 위치된 서브우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신호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및 제 4 미드 레인지 스피커들을 음소거하고 상기 서브우퍼의 이득을 조정하여, 최소 또는 최대 페이드 설정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우퍼에 비-제로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스피커 음향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피커들은 청취 환경의 전방 구역의 좌측 및 우측 영역들에 위치된 미드 레인지 스피커들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청취 환경의 후방 구역의 좌측 및 우측 영역들에 위치된 제 3 및 제 4 미드 레인지 스피커들;
    상기 청취 환경의 상기 후방 구역에 위치된 서브우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신호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및 제 3 미드 레인지 스피커들을 음소거하고 상기 서브우퍼의 이득을 조정하여, 최소 또는 최대 밸런스 설정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우퍼에 비-제로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스피커 음향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피커들은 청취 환경의 전방 구역의 좌측 및 우측 영역들에 위치된 미드 레인지 스피커들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청취 환경의 후방 구역의 좌측 및 우측 영역들에 위치된 제 3 및 제 4 미드 레인지 스피커들;
    상기 청취 환경의 상기 후방 구역에 위치된 서브우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신호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제 3 및 제 4 미드 레인지 스피커들을 음소거하고 상기 서브우퍼의 이득을 조정하여, 최소 밸런스 설정 및 최소 페이드 설정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우퍼에 비-제로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스피커 음향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9. 다수의 청취 구역들에 배열된 적어도 제 1 스피커 및 적어도 제 2 스피커를 가진 다중-스피커 오디오 시스템에서 스피커 음향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최대 또는 최소 밸런스 또는 페이드 설정을 제외하고, 밸런스 및 페이드 설정들의 범위에 걸쳐 상기 오디오 시스템의 밸런스 또는 페이드 설정들에서의 변화에 응답하여 적어도 상기 제 2 스피커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제 1 스피커의 이득 및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음향 파라미터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정하고, 상기 최대 또는 최소 밸런스 또는 페이드 설정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음소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스피커 음향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다중-스피커 오디오 시스템은 서브우퍼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최대 또는 최소 밸런스 또는 페이드 설정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우퍼의 이득을 비-제로 이득으로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스피커 음향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음소거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어떤 오디오 출력도 생성하지 않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의 이득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스피커 음향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피커들은 청취 환경의 전방 구역의 좌측 및 우측 영역들에 위치된 미드 레인지 스피커들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청취 환경의 후방 구역의 좌측 및 우측 영역들에 위치된 제 3 및 제 4 미드 레인지 스피커들 및 상기 청취 환경의 상기 후방 구역에 위치된 서브우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 3 및 제 4 미드 레인지 스피커들을 음소거하고 상기 서브우퍼의 이득을 조정하여, 최소 또는 최대 페이드 설정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우퍼에 비-제로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스피커 음향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피커들은 청취 환경의 전방 구역의 좌측 및 우측 영역들에 위치된 미드 레인지 스피커들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청취 환경의 후방 구역의 좌측 및 우측 영역들에 위치된 제 3 및 제 4 미드 레인지 스피커들 및 상기 청취 환경의 상기 후방 구역에 위치된 서브우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및 제 3 미드 레인지 스피커들을 음소거하고 상기 서브우퍼의 이득을 조정하여, 최소 또는 최대 밸런스 설정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우퍼에 비-제로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스피커 음향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피커들은 청취 환경의 전방 구역의 좌측 및 우측 영역들에 위치된 미드 레인지 스피커들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청취 환경의 후방 구역의 좌측 및 우측 영역들에 위치된 제 3 및 제 4 미드 레인지 스피커들 및 상기 청취 환경의 상기 후방 구역에 위치된 서브우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제 3, 및 제 4 미드 레인지 스피커들을 음소거하고 상기 서브우퍼의 이득을 조정하여, 최소 또는 최대 밸런스 설정 및 최소 또는 최대 페이드 설정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우퍼에 비-제로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스피커 음향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5. 복수의 스피커들 및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들의 디텐트 위치를 둘러싸는 복수의 제어 범위들을 가진 상기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들을 포함한 제어 인터페이스를 가진 다중-스피커 청취 환경에서 밸런스 및 페이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의 제 1 범위의 밸런스 및 페이드 제어 설정들에 대한 적어도 제 1 오디오 파라미터를 조정하고, 제 2 범위의 밸런스 및 페이드 설정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오디오 파라미터와 상이한 적어도 제 2 오디오 파라미터를 조정하며, 제 3 범위의 밸런스 및 페이드 설정들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음소거하도록 구성된 오디오 신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밸런스 및 페이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 2 범위의 밸런스 및 페이드 설정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오디오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밸런스 및 페이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디오 파라미터는 이득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오디오 파라미터는 채널 믹싱을 포함하는, 밸런스 및 페이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프로세서는 또한 단지, 대응하는 마지막 이용 가능한 제어 설정으로 설정되는 상기 밸런스 제어 또는 상기 페이드 제어 중 하나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음소거하도록 구성되는, 밸런스 및 페이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157006383A 2012-09-13 2013-09-13 다-구역 청취 환경에서의 순차적 오디오 밸런스 및 페이드 KR102145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00881P 2012-09-13 2012-09-13
US61/700,881 2012-09-13
US201261706121P 2012-09-26 2012-09-26
US61/706,121 2012-09-26
PCT/US2013/059708 WO2014043501A1 (en) 2012-09-13 2013-09-13 Progressive audio balance and fade in a multi-zone listening environ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835A true KR20150054835A (ko) 2015-05-20
KR102145500B1 KR102145500B1 (ko) 2020-08-18

Family

ID=49253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6383A KR102145500B1 (ko) 2012-09-13 2013-09-13 다-구역 청취 환경에서의 순차적 오디오 밸런스 및 페이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03819B2 (ko)
EP (1) EP2896224B1 (ko)
JP (2) JP6278966B2 (ko)
KR (1) KR102145500B1 (ko)
CN (1) CN104620607B (ko)
CA (1) CA2883803C (ko)
WO (1) WO20140435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6435A1 (en) * 2018-02-07 2019-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laying audio data using dual speak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3501A1 (en) * 2012-09-13 2014-03-20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Progressive audio balance and fade in a multi-zone listening environment
DE102014214699A1 (de) * 2014-07-25 2016-01-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Wiedergabe tieffrequenter Audiosignale durch Körperschall
US9782672B2 (en) 2014-09-12 2017-10-10 Voyetra Turtle Beach, Inc. Gaming headset with enhanced off-screen awareness
US9774974B2 (en) * 2014-09-24 2017-09-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udio metadata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ultichannel audio data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to support dynamic format conversion
US9913065B2 (en) * 2015-07-06 2018-03-06 Bose Corporation Simulating acoustic output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source position data
US9854376B2 (en) 2015-07-06 2017-12-26 Bose Corporation Simulating acoustic output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source position data
US9847081B2 (en) 2015-08-18 2017-12-19 Bose Corporation Audio systems for providing isolated listening zones
EA034936B1 (ru) * 2015-08-25 2020-04-08 Долби Интернешнл Аб Кодирование и декодирование звук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араметров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представления
WO2017058097A1 (en) 2015-09-28 2017-04-06 Razer (Asia-Pacific) Pte. Ltd. Computers, methods for controlling a computer, and computer-readable media
WO2020033595A1 (en) 2018-08-07 2020-02-13 Pangissimo, LLC Modular speaker system
JP2020036113A (ja) * 2018-08-28 2020-03-05 シャープ株式会社 音響システム
JP7025303B2 (ja) * 2018-08-28 2022-02-24 シャープ株式会社 音響システム
US11797264B2 (en) 2021-12-23 2023-10-24 Alps Alpine Co., Ltd. Dynamic acoustic control systems and methods
WO2023239639A1 (en) * 2022-06-08 2023-12-14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Immersive audio fad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1887A (ja) * 1990-01-18 1995-05-19 Bose Corp 車両内のラウドスピーカの空間特性変更装置
JP2003143700A (ja) * 2001-10-11 2003-05-16 Hyundai Motor Co Ltd 位相調整手段を備えたオーディオシステム
JP2005210717A (ja) * 2004-01-13 2005-08-04 Bose Corp 車両オーディオシステムサラウンドモード
JP2006246490A (ja) * 2005-03-04 2006-09-14 Bose Corp フェーディング及びサラウンド信号レベルの制御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6698A (ja) * 1988-07-26 1990-02-06 Mazda Motor Corp 車両用オーディオ装置
US5661811A (en) * 1994-08-25 1997-08-26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Rear seat audio control with multiple media
US5901231A (en) * 1995-09-25 1999-05-04 Noise Cancellation Technologies, Inc. Piezo speaker for improved passenger cabin audio systems
US6009178A (en) * 1996-09-16 1999-12-28 Aureal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osstalk cancellation
DE19914805C2 (de) * 1999-03-31 2001-04-26 Becker Gmbh Sound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r Initialisierung eines solchen
JP2002191100A (ja) * 2000-12-20 2002-07-05 Pioneer Electronic Corp 音響装置
US7447321B2 (en) * 2001-05-07 2008-11-04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ound processing system for configuration of audio signals in a vehicle
WO2002098171A1 (en) * 2001-05-28 2002-12-0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Vehicle-mounted stereophonic sound field reproducer/silencer
JP2002354600A (ja) * 2001-05-29 2002-12-06 Pioneer Electronic Corp 音響装置
US6778073B2 (en) * 2001-06-26 2004-08-17 Medi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udio devices
US7190799B2 (en) * 2001-10-29 2007-03-1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Audio routing for an automobile
US20050100174A1 (en) * 2002-11-08 2005-05-12 Damian Howard Automobile audio system
US7305097B2 (en) * 2003-02-14 2007-12-04 Bose Corporation Controlling fading and surround signal level
US7526093B2 (en) * 2003-08-04 2009-04-28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ystem for configuring audio system
FR2865096B1 (fr) * 2004-01-13 2007-12-28 Cabasse Systeme acoustique pour vehicule et dispositif correspondant
US20070211908A1 (en) 2004-09-22 2007-09-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channel audio control
CN100488237C (zh) * 2004-10-27 2009-05-13 海信集团有限公司 电视机的渐变静音方法
US8090116B2 (en) * 2005-11-18 2012-01-03 Holmi Douglas J Vehicle directional electroacoustical transducing
US8654995B2 (en) * 2007-03-16 2014-02-18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Audio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US20090190787A1 (en) * 2008-01-25 2009-07-30 Pieklik William R Speaker
JP5820806B2 (ja) 2009-05-01 2015-11-24 ハーマ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スペクトル管理システム
CN102687536B (zh) 2009-10-05 2017-03-08 哈曼国际工业有限公司 用于音频信号的空间提取的系统
JP5609445B2 (ja) * 2010-09-03 2014-10-22 ソニー株式会社 制御端末装置、制御方法
US20130279706A1 (en) * 2012-04-23 2013-10-24 Stefan J. Marti Controlling individual audio output devices based on detected inputs
WO2014043501A1 (en) * 2012-09-13 2014-03-20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Progressive audio balance and fade in a multi-zone listening environment
CA2866652A1 (en) * 2013-10-07 2015-04-07 Roswell Wake-Air Enterprises Inc. Modular audio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1887A (ja) * 1990-01-18 1995-05-19 Bose Corp 車両内のラウドスピーカの空間特性変更装置
JP2003143700A (ja) * 2001-10-11 2003-05-16 Hyundai Motor Co Ltd 位相調整手段を備えたオーディオシステム
JP2005210717A (ja) * 2004-01-13 2005-08-04 Bose Corp 車両オーディオシステムサラウンドモード
JP2006246490A (ja) * 2005-03-04 2006-09-14 Bose Corp フェーディング及びサラウンド信号レベルの制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6435A1 (en) * 2018-02-07 2019-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laying audio data using dual speaker
US10567877B2 (en) 2018-02-07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laying audio data using dual sp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201828A (ja) 2017-11-09
WO2014043501A1 (en) 2014-03-20
CN104620607A (zh) 2015-05-13
EP2896224B1 (en) 2017-09-06
CN104620607B (zh) 2017-08-25
US20150256934A1 (en) 2015-09-10
JP6278966B2 (ja) 2018-02-14
CA2883803A1 (en) 2014-03-20
JP2015532068A (ja) 2015-11-05
CA2883803C (en) 2020-11-03
KR102145500B1 (ko) 2020-08-18
EP2896224A1 (en) 2015-07-22
US9503819B2 (en)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500B1 (ko) 다-구역 청취 환경에서의 순차적 오디오 밸런스 및 페이드
US8031880B2 (en) Vehicle audio system surround modes
JP5063735B2 (ja) 乗物におけるオーディオ信号構成のためのサウンド処理システム
KR101486867B1 (ko) 스펙트럼 관리 시스템
EP3393141B1 (en) Volume control for individual sound zones
JP5266995B2 (ja) 放音装置
US7856110B2 (en) Audio processor
US20080107293A1 (en) Controlling Fading And Surround Signal Level
US7305097B2 (en) Controlling fading and surround signal level
US114123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und zone experience optimization control
US20230336911A1 (en) Subwoofer Phase Align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US9647619B2 (en) Multichannel speaker enclosure
JP2000197182A (ja) ラウドネス制御方法および装置
GB2427808A (en) An audio system which provides sound output in a fade condition to first speaker(s) with little loss of bass even when those speakers have less bass response
KR100279710B1 (ko) 실조화음향공간구현장치
JP2004040625A (ja) 音声制御手段及び音声制御プログラム
RU2575883C2 (ru) Акус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ее работы
JP2003274495A (ja) 車室内音場補正方法および車室内音場補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