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729A -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53729A KR20150053729A KR1020140185746A KR20140185746A KR20150053729A KR 20150053729 A KR20150053729 A KR 20150053729A KR 1020140185746 A KR1020140185746 A KR 1020140185746A KR 20140185746 A KR20140185746 A KR 20140185746A KR 20150053729 A KR20150053729 A KR 201500537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mer
- stretching
- reflector
- pore space
- absorb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08—Mirrors having a single reflecting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블록공중합체(Block copolymer)와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의 비 상용성(immiscibility)을 이용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사판을 형성하는 기재인 폴리올레핀 계열의 고분자와;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에 대하여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인 폴리에테르 계열의 고분자와; 무기물첨가제와; UV 흡수제와; 산화방지제로 배합된 원재료를 압출 성형기에 투입하여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판으로 제조하는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제조단계와, 상기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시트를 연신기에 투입하여 연신에 의해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 계면들 사이가 분리되면서 추가로 공극(pore space)을 형성하는 연신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74.6wt%, 폴리에테르 계열인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10%, 무기물 첨가제로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을 15wt%, UV흡수제 0.2wt%, 산화방지제 0.2wt%의 무게 비율로 원재료 배합하고, 이를 압출성형기에 투입하여 210℃로 압출 성형하여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반사판으로 제조하는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제조하고, 상기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시트를 연신기에 투입하여 연신배율 4배, 연신 속도 5m/min, 열처리 온도 섭씨 140도에서 연신하여 이를 코로나(corona)처리를 하는 방법으로, 반사판을 형성하는 기재인 폴리올레핀 계열의 고분자와;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에 대하여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인 폴리에테르 계열의 고분자와; 무기물첨가제와; UV 흡수제와; 산화방지제로 배합된 고분자가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반사판으로 성형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이 연신에 의해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 계면들 사이가 분리되면서 추가로 공극(pore space)을 형성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구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블록공중합체(Block copolymer)와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의 비 상용성(immiscibility)을 이용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를 블렌딩(blending)하여 인장력을 부여하면 두 계면에서 층간 분리로 인하여 공극(pore space)을 형성하게 하여 반사율을 높이는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사판의 반사원리는 반사판을 형성하는 기재의 굴절률에 따라서 그 반사율이 결정되게 되는데 공기 중 입사하는 입사광에 부딪히는 반사판 재질의 굴절률에 따라서 그 반사율 정도가 달라진다.
즉, 입사광이 두 개의 서로 다른 매질을 지나갈 때, 두 매질의 굴절률 차이로 인해서 그 반사율이 결정되게 된다.
상기 내용에 관한 식은 다음의 식 1과 같이 표현된다.
R: 반사율 (등방체 매질에서 등방체 매질로 수직으로 투사할 때의 반사율)
N0: 입사하는 매질의 굴절률
N : 투사되는 매질의 굴절률
k : 흡수계수
다음 표 1은 반사판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물질의 굴절률을 나타낸 것이다.
[표 1] 물질에 따른 굴절률
1. 기존 기재인 폴리프로필렌의 굴절률 차이가 가장 작은 물질이 필요함
기존 특허에서 순수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반사판에 다른 첨가제가 들어가면 반사율 하락 초래
2. 반사율 차이 이산화 티타늄&폴리프로필렌 굴절률 차이보다 이산화 티타늄& 폴리옥시메틸렌의 굴절률차이가 더 크게 되므로 전체적인 반사율은 미세하지만 상승하며 첨가량이 많아 질수록 그 반사율은 더욱 상승한다. 하지만 첨가량이 일정이상 올라가게 된다면 연신공정이 불가능하게 되어 반사판으로 만들 수 없다.
상기 식 1을 살펴 보면 매질의 굴절률 차이가 클수록 반사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반사의 원리를 보게 되면 반사판의 가장 이상적인 형태는 이산화티타늄과 같은 고굴절률의 기재로만 이루어진 반사판이 가장 이상적인 형태이며 여기에 내부 반사를 고려하게 되면 내부에 기공을 많이 함유한 형태가 되게 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이산화티타늄과 같은 고굴절율 기재를 단독으로 기공층을 가지고 있는 반사판을 만들기에는 그 제조방법이나 경제적인 면 등 여러가지 측면에서 제조하기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반사판은 이산화티타늄과 같은 고굴절율 첨가제를 포함하는 수지에 그 기공을 만들어 내는 형태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원리에 따라서 반사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에는 발포 공정을 통하여 반사판 내부에 기공을 형성시키는 방법과 이산화 티타늄(Titanium dioxide; TiO2)과 같은 백색 안료나 염료 첨가제를 사용하는 방법들로 분류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기공 형성 방법으로는 결정성 영역과 비결정 영역이 혼재되어 있는 플라스틱 소재를 결정화 온도 이하에서 연신하여 비결정 영역이 연신에 의해 고분자 사슬이 배향되게 하면서 플라스틱 소재를 물리적으로 파단 직전까지 만들어 기공을 형성하게 하여 입사광을 반사시키도록 하는 반사판을 제조방법이 있다.
상기 기술된 기존의 반사판들은 가시영역에 대한 입사광에 대하여 반사율을 측정하게 되는데 상기 반사율은 정반사광 포함(specula component included; SCI, 전반사율), 정반사광 제외(specular component excluded; SCE, 확산반사율) 두 가지 반사율로 이루어져 있다.
LED나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광특성은 상기 두 가지 반사율에 대해서 최저 90% 이상의 높은 수치를 요구한다. 전반사율의 경우 입사광에 대하여 전체적인 반사율을 나타내며, 확산반사율의 경우 전반사 중에서 정반사광을 제외한 나머지 반사광의 비율을 나타낸다.
특히, 확산반사율 같은 경우에는 TV나 조명에서 밝기(Brightness)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 중 하나로써 같은 전반사율이 동일한 소재이더라도 확산반사율의 차이에 의해 밝기(Brightness)가 달라지게 된다.
상기한 기술들을 배경으로 지금까지 발명한 선행기술 특허문헌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지금까지의 실시방법인 연신 공정만으로는 반사율을 향상에는 그 한계점이 있으며, 단순히 기계적인 연신공정을 이용하여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것은 그 원리가 반사판이 파단 직전까지 연신되면서 생성되는 공극(pore space)에 의한 것으로 이는 반사판에 공극(pore space)을 형성하는 것은 한계와, 파단직전까지 연신하는 공정의 한계점으로 제조 공정상 불량이나 제품 관리 측면에서 기술적으로 취약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반사판의 파단직전의 공극(pore space) 형성이 아니라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들의 계면 분리를 이용하여 충분히 공극(pore space) 형성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기술한 기술적인 단점을 극복하는데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사판을 형성하는 기재인 폴리올레핀 계열의 고분자와;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에 대하여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인 폴리에테르 계열의 고분자와; 무기물첨가제와; UV 흡수제와; 산화방지제로 배합된 원재료를 압출 성형기에 투입하여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판으로 제조하는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제조단계와, 상기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연신기에 투입하여 연신에 의해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 계면들 사이가 분리되면서 추가로 공극(pore space)을 형성하는 연신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74.6wt%, 폴리에테르 계열인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10%, 무기물 첨가제로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을 15wt%, UV흡수제 0.2wt%, 산화방지제 0.2wt%의 무게 비율로 원재료 배합하고, 이를 압출성형기에 투입하여 210℃로 압출 성형하여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판으로 제조하는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제조하고, 상기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연신기에 투입하여 연신배율 4배, 연신 속도 5m/min, 열처리 온도 섭씨 140도에서 연신하여 이를 코로나(corona)처리를 하는 방법으로, 반사판을 형성하는 기재인 폴리올레핀 계열의 고분자와;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에 대하여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인 폴리에테르 계열의 고분자와; 무기물첨가제와; UV 흡수제와; 산화방지제로 배합된 고분자가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판으로 성형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이 연신에 의해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 계면들 사이가 분리되면서 추가로 공극(pore space)을 형성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구성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가시영역의 입사광에 대하여 우수한 반사율을 보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정반사광 포함(specula component included; SCI) 98%, 정반사광 제외(specular component excluded; SCE) 97% 이상의 광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LCD, LED등과 같은 광디스플레이 분야에서 반사시트로 적용할 수 있으며 광소자에서 발생하는 입사광 손실을 최소한도로 줄여서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조명용 등에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발포 공정이나 단순 연신 공정에 의해서 공극(pore space) 형성을 하는 방법과 달리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를 블렌딩(blending) 함으로써 서로 다른 고분자 계면 사이에 공극(pore space)을 형성하며, 연신을 통해 두 계면이 분리되어 단순 연신 공정보다 더 많은 공극(pore space)을 형성하게 되므로, 발포 공정보다 상대적으로 제조 비용이 경제적이고 단순 연신에 의한 공정보다 품질관리나 성능면에서 뛰어난 반사판을 제조할 수 있는 신규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반사판을 형성하는 기재인 폴리올레핀 계열의 고분자와;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에 대하여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인 폴리에테르 계열의 고분자와; 무기물첨가제와; UV 흡수제와; 산화방지제로 배합된 고분자를 압출 성형기에 투입하여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판으로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74.6wt%, 폴리에테르 계열인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10wt%, 무기물 첨가제로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을 15wt%, UV흡수제 0.2wt%, 산화방지제 0.2wt%의 무게 비율로 원재료 배합하고, 이를 압출성형기에 투입하여 210℃로 압출 성형한다.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은 반사판을 형성하는 기재인 폴리올레핀 계열의 고분자와;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에 대하여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인 폴리에테르 계열의 고분자와; 무기물첨가제와; UV 흡수제와; 산화방지제로 배합되어,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판으로 성형된다.
이때,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74.6wt%, 폴리에테르 계열인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10wt%, 무기물 첨가제로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을 15wt%, UV흡수제 0.2wt%, 산화방지제 0.2wt%의 무게 비율로 원재료 배합하고, 이를 압출성형기에 투입하여 210℃로 압출 성형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얻게 된다.
다음으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반사판을 형성하는 기재인 폴리올레핀 계열의 고분자와;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에 대하여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인 폴리에테르 계열의 고분자와; 무기물첨가제와; UV 흡수제와; 산화방지제로 배합된 원재료를 압출 성형기에 투입하여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판으로 제조하는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제조단계와, 상기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연신기에 투입하여 연신에 의해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 계면들 사이가 분리되면서 추가로 공극(pore space)을 형성하는 연신단계를 실시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74.6wt%, 폴리에테르 계열인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10wt%, 무기물 첨가제로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을 15wt%, UV흡수제 0.2wt%, 산화방지제 0.2wt%의 무게 비율로 원재료 배합하고, 이를 압출성형기에 투입하여 210℃로 압출 성형하여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반사판으로 제조하는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제조하고, 상기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연신기에 투입하여 연신배율 4배, 연신 속도 5m/min, 열처리 온도 섭씨 140℃에서 연신하여 이를 코로나(corona)처리를 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은, 반사판을 형성하는 기재인 폴리올레핀 계열의 고분자와;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에 대하여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인 폴리에테르 계열의 고분자와; 무기물첨가제와; UV 흡수제로 배합된 고분자가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판으로 성형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이 연신에 의해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 계면들 사이가 분리되면서 추가로 공극(pore space)을 형성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얻게 된다.
이때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74.6wt%, 폴리에테르 계열인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10wt%, 무기물 첨가제로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을 15wt%, UV흡수제 0.2wt%, 산화방지제 0.2wt%의 무게 비율로 원재료 배합하고, 이를 압출성형기에 투입하여 210℃로 압출 성형함으로써 계면 분리가 되며 공극(pore space)을 가진 시트를 연신배율 4배, 연신 속도 5m/min, 열처리 온도 섭씨 140℃에서 연신하여 두 계면 사이에 분리현상이 일어난 공극을 형성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얻게 된다.
(a)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반사판 제조법은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와 그 외 첨가제로 구성되어 배합된 원재료를 압출 성형기에 투입하여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판으로 제조하는 단계; (b) 압출 성형기에서 제조된 판을 연신기에 투입하여 연신에 의해 비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 계면들 사이가 분리되면서 추가로 공극(pore space)을 형성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된 (a)단계에서는 반사판을 형성하는 기재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상기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에 대하여 비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인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첨가제는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UV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으로 배합하여 시트를 만들게 된다.
상기 (a)단계에서의 원재료 배합은 제품의 균일성을 위해 분산성이 요구되며, 분산성을 위해 미리 마스터 배치(master batch)를 제조하여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단계에서 반사판을 제조하였을 때,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은 서로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로서 서로 독립된 계면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제조된 시트는 그 계면 사이의 비 상용성(immiscibility)으로 인해 제조된 반사판에서 공극(pore space)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조된 반사판을 (b)단계에서 연신하게 되면 두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의 독립된 계면은 연신 공정을 거치게 되면서 두 계면 사이에 분리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이것은 기존의 공극(pore space) 형성방법과는 다른 방법이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형성되는 공극(pore space)은 반사판을 파단 직전까지 연신을 하지 않아도 충분한 공극(pore space) 형성 효과를 나타내며, 단순히 연신을 통하여 공극(pore space)을 형성했을 때보다 더 많은 공극(pore space)을 형성할 수 있어 더 높은 반사율을 가지게 된다.
다음 표2는 발포 공정에 의해 제조된 반사판, 단순 연신 공정에 의해 제조된 반사판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반사판의 각 반사율을 비교한 것이며, 표3은 각 반사판에 대한 BLU(Back Light Unit)에 조립 후, 휘도(Brightness)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표 2] 반사판 제조 공정에 따른 반사율 비교
[표 3] 40인치 LED BLU(Back Light Unit) 조립 후, 휘도(Brightness) 비교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실시예로써 제조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써 제공되어지는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아니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실시예 1>
비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 블렌딩 원재료를 투입하여 압출성형 공정으로 시트를 제조
(1) 폴리올레핀 계열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74.6wt%, 폴리에테르 계열인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을 10wt%, 무기물 첨가제로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을 15wt%, UV흡수제 0.2wt%, 산화방지제 0.2wt%의 무게 비율로 원재료 배합을 하였다.
(2) 원재료를 압출성형기에 투입하고 압출 성형시, 성형 온도는 섭씨 210℃에서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압출성형된 판을 연신공정으로 공극(pore space) 형성을 하여 반사판 제조
(1)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된 시트를 연신기에 투입하여 연신배율 4배, 연신 속도 5m/min, 열처리 온도 섭씨 140℃에서 연신하여 반사판으로 제조하였다.
(2) 상기 단계(1)에서 제조된 반사판을 코로나(corona) 처리를 하여 코팅, 인쇄 등과 같은 후가공 공정에 대한 접착력 확보를 시켰다.
(3) 상기 단계(2)에서 코로나(corona) 처리한 반사판을 제단기로 컷팅하였다.
상기한 본 발명은 TV나 컴퓨터모니터, 조명기구의 반사판으로 제작함에 있어서 적용이 가능하는 등 산업상 이용가치가 대단하다 할 것이다.
Claims (2)
- 반사판을 형성하는 기재인 폴리올레핀 계열의 고분자와;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에 대하여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인 폴리에테르 계열의 고분자와; 무기물첨가제와; UV 흡수제와; 산화방지제로 배합된 원재료를 압출 성형기에 투입하여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판으로 제조하는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제조단계와, 상기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연신기에 투입하여 연신에 의해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 계면들 사이가 분리되면서 추가로 공극(pore space)을 형성하는 연신단계로,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74.6wt%, 폴리에테르 계열인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10wt%, 무기물 첨가제로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을 15wt%, UV흡수제 0.2wt%, 산화방지제 0.2wt%의 무게 비율로 원재료 배합하고, 이를 압출성형기에 투입하여 210℃로 압출 성형하여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반사판으로 제조하는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제조하고, 상기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연신기에 투입하여 연신배율 4배, 연신 속도 5m/min, 열처리 온도 섭씨 140도에서 연신하여 이를 코로나(corona) 처리를 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 제조방법.
- 반사판을 형성하는 기재인 폴리올레핀 계열의 고분자와;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에 대하여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인 폴리에테르 계열의 고분자와; 무기물첨가제와; UV 흡수제와; 산화방지제로 배합된 원재료를 압출 성형기에 투입하여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판으로 제조하는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제조단계와, 상기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연신기에 투입하여 연신에 의해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 계면들 사이가 분리되면서 추가로 공극(pore space)을 형성하는 연신단계로, 폴리올레핀 계열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74.6wt%, 폴리에테르 계열인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10wt%, 무기물 첨가제로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을 15wt%, UV흡수제 0.2wt%, 산화방지제 0.2wt%의 무게 비율로 배합되어서 두 계면 사이에 분리현상이 일어난 공극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5746A KR101530292B1 (ko) | 2014-12-22 | 2014-12-22 |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5746A KR101530292B1 (ko) | 2014-12-22 | 2014-12-22 |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 및 그 제조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35790A Division KR101497034B1 (ko) | 2013-11-08 | 2013-11-08 |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시트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3729A true KR20150053729A (ko) | 2015-05-18 |
KR101530292B1 KR101530292B1 (ko) | 2015-06-22 |
Family
ID=53390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85746A KR101530292B1 (ko) | 2014-12-22 | 2014-12-22 |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0292B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96943A (en) * | 1987-05-13 | 1990-01-30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Encapsulated-lens retroreflective sheeting having improved cover film |
JP2001305313A (ja) * | 2000-04-20 | 2001-10-31 | Toyobo Co Ltd | 面光源用反射フィルム |
KR101117125B1 (ko) * | 2009-08-20 | 2012-02-24 |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WO2011040311A1 (ja) * | 2009-09-30 | 2011-04-07 | 東レ株式会社 | 白色フィルムの製造方法 |
-
2014
- 2014-12-22 KR KR1020140185746A patent/KR10153029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30292B1 (ko) | 2015-06-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908863B (zh) | 一种光学反射膜及其制备方法 | |
JP6295664B2 (ja) | 液晶ディスプレイ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 |
JPWO2006112425A1 (ja) | 反射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法 | |
KR20080084723A (ko) |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 |
KR102078451B1 (ko) |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반사 시트 | |
US9835766B2 (en) | Optical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JP2015087420A (ja) |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 |
TW201334966A (zh) | 高耐熱性多層光學膜及其製備方法 | |
JP2010271682A (ja) | 高効率の光拡散高分子フィルム及びこの製造方法 | |
CN112485946A (zh) | 一种用于薄型直下式液晶显示装置的反射膜及其制备方法 | |
CN111936566B (zh) | 白色聚酯膜 | |
JP2015086240A (ja) |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 |
KR102020532B1 (ko) | 백색 폴리에스테르 반사필름의 제조방법, 그에 의한 반사필름 및 그를 이용한 반사시트 | |
JP6862829B2 (ja) | 白色反射フィルム | |
KR101530292B1 (ko) |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497034B1 (ko) |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시트 및 그 제조방법 | |
KR20140038639A (ko) | 액정디스플레이 백라이트유닛용 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561288B1 (ko) | 저광택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사시트 | |
KR101675350B1 (ko) |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 |
KR20170087314A (ko) | 백색 폴리에스테르 반사필름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사시트 | |
KR101577367B1 (ko) |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반사 시트 | |
KR101671817B1 (ko) | 저광택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반사 시트 | |
JP2015174383A (ja) |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 |
CN112236296B (zh) | 双轴取向的聚酯反射膜及其制造方法 | |
KR20190090224A (ko) | 광학용 고투명 필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