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729A -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729A
KR20150053729A KR1020140185746A KR20140185746A KR20150053729A KR 20150053729 A KR20150053729 A KR 20150053729A KR 1020140185746 A KR1020140185746 A KR 1020140185746A KR 20140185746 A KR20140185746 A KR 20140185746A KR 20150053729 A KR20150053729 A KR 20150053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stretching
reflector
pore space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5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0292B1 (ko
Inventor
송주동
Original Assignee
알파비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비젼(주) filed Critical 알파비젼(주)
Priority to KR1020140185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292B1/ko
Publication of KR20150053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2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08Mirrors having a single reflecting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블록공중합체(Block copolymer)와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의 비 상용성(immiscibility)을 이용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사판을 형성하는 기재인 폴리올레핀 계열의 고분자와;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에 대하여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인 폴리에테르 계열의 고분자와; 무기물첨가제와; UV 흡수제와; 산화방지제로 배합된 원재료를 압출 성형기에 투입하여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판으로 제조하는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제조단계와, 상기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시트를 연신기에 투입하여 연신에 의해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 계면들 사이가 분리되면서 추가로 공극(pore space)을 형성하는 연신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74.6wt%, 폴리에테르 계열인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10%, 무기물 첨가제로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을 15wt%, UV흡수제 0.2wt%, 산화방지제 0.2wt%의 무게 비율로 원재료 배합하고, 이를 압출성형기에 투입하여 210℃로 압출 성형하여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반사판으로 제조하는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제조하고, 상기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시트를 연신기에 투입하여 연신배율 4배, 연신 속도 5m/min, 열처리 온도 섭씨 140도에서 연신하여 이를 코로나(corona)처리를 하는 방법으로, 반사판을 형성하는 기재인 폴리올레핀 계열의 고분자와;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에 대하여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인 폴리에테르 계열의 고분자와; 무기물첨가제와; UV 흡수제와; 산화방지제로 배합된 고분자가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반사판으로 성형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이 연신에 의해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 계면들 사이가 분리되면서 추가로 공극(pore space)을 형성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구성한다.

Description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 및 그 제조방법{Immiscibility polymer consisting of reflector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블록공중합체(Block copolymer)와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의 비 상용성(immiscibility)을 이용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를 블렌딩(blending)하여 인장력을 부여하면 두 계면에서 층간 분리로 인하여 공극(pore space)을 형성하게 하여 반사율을 높이는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사판의 반사원리는 반사판을 형성하는 기재의 굴절률에 따라서 그 반사율이 결정되게 되는데 공기 중 입사하는 입사광에 부딪히는 반사판 재질의 굴절률에 따라서 그 반사율 정도가 달라진다.
즉, 입사광이 두 개의 서로 다른 매질을 지나갈 때, 두 매질의 굴절률 차이로 인해서 그 반사율이 결정되게 된다.
상기 내용에 관한 식은 다음의 식 1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pat00001
R: 반사율 (등방체 매질에서 등방체 매질로 수직으로 투사할 때의 반사율)
N0: 입사하는 매질의 굴절률
N : 투사되는 매질의 굴절률
k : 흡수계수
다음 표 1은 반사판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물질의 굴절률을 나타낸 것이다.
[표 1] 물질에 따른 굴절률
Figure pat00002
1. 기존 기재인 폴리프로필렌의 굴절률 차이가 가장 작은 물질이 필요함
기존 특허에서 순수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반사판에 다른 첨가제가 들어가면 반사율 하락 초래
2. 반사율 차이 이산화 티타늄&폴리프로필렌 굴절률 차이보다 이산화 티타늄& 폴리옥시메틸렌의 굴절률차이가 더 크게 되므로 전체적인 반사율은 미세하지만 상승하며 첨가량이 많아 질수록 그 반사율은 더욱 상승한다. 하지만 첨가량이 일정이상 올라가게 된다면 연신공정이 불가능하게 되어 반사판으로 만들 수 없다.
상기 식 1을 살펴 보면 매질의 굴절률 차이가 클수록 반사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반사의 원리를 보게 되면 반사판의 가장 이상적인 형태는 이산화티타늄과 같은 고굴절률의 기재로만 이루어진 반사판이 가장 이상적인 형태이며 여기에 내부 반사를 고려하게 되면 내부에 기공을 많이 함유한 형태가 되게 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이산화티타늄과 같은 고굴절율 기재를 단독으로 기공층을 가지고 있는 반사판을 만들기에는 그 제조방법이나 경제적인 면 등 여러가지 측면에서 제조하기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반사판은 이산화티타늄과 같은 고굴절율 첨가제를 포함하는 수지에 그 기공을 만들어 내는 형태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원리에 따라서 반사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에는 발포 공정을 통하여 반사판 내부에 기공을 형성시키는 방법과 이산화 티타늄(Titanium dioxide; TiO2)과 같은 백색 안료나 염료 첨가제를 사용하는 방법들로 분류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기공 형성 방법으로는 결정성 영역과 비결정 영역이 혼재되어 있는 플라스틱 소재를 결정화 온도 이하에서 연신하여 비결정 영역이 연신에 의해 고분자 사슬이 배향되게 하면서 플라스틱 소재를 물리적으로 파단 직전까지 만들어 기공을 형성하게 하여 입사광을 반사시키도록 하는 반사판을 제조방법이 있다.
상기 기술된 기존의 반사판들은 가시영역에 대한 입사광에 대하여 반사율을 측정하게 되는데 상기 반사율은 정반사광 포함(specula component included; SCI, 전반사율), 정반사광 제외(specular component excluded; SCE, 확산반사율) 두 가지 반사율로 이루어져 있다.
LED나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광특성은 상기 두 가지 반사율에 대해서 최저 90% 이상의 높은 수치를 요구한다. 전반사율의 경우 입사광에 대하여 전체적인 반사율을 나타내며, 확산반사율의 경우 전반사 중에서 정반사광을 제외한 나머지 반사광의 비율을 나타낸다.
특히, 확산반사율 같은 경우에는 TV나 조명에서 밝기(Brightness)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 중 하나로써 같은 전반사율이 동일한 소재이더라도 확산반사율의 차이에 의해 밝기(Brightness)가 달라지게 된다.
상기한 기술들을 배경으로 지금까지 발명한 선행기술 특허문헌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출원 제10-2006-0116649호(2006.11.24)는 결정성 플래스틱의 비결정화 상태의 재료를 상기 결정성 플래스틱의 결정화온도(crystallization temperature, Tc) 이하에서 연신하여 상기 결정성 플래스틱의 비결정영역이 연신에 의하여 배향하여 입사광을 반사시키도록 함으로써 반사율을 향상시켜서 반사판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연신성이 우수한 결정성 플래스틱 재료를 연신하여 비결정성 영역을 배향함으로써 반사율을 높인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반사율 증대를 위한 발포 공정이나 별도의 첨가제 추가 없이도 배향된 비결정성 영역의 높은 확산반사율로 인하여 반사율을 매우 향상시킨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06-0122338호(2006.12.05)는 대형의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 가능한, 우수한 반사율 및 고백색도를 구현하는 미연신 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단독사용하거나,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가공성을 갖는 코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블렌드하여, 수지의 특성을 최적화하고, 상기 수지에 백색의 무기입자, 하나 이상의 형광증백제 및 실리콘 입자를 고농도의 마스터배치 칩형태로 용융한 후 공압출하여 스킨층(B층)/코어층(A층)/스킨층(B층)의 적층구조로 제조되며, 나아가, 상기 시트 일면에 매트 롤 가공처리에 의한 요철을 형성하여 확산반사 효과를 부여하여 반사특성이 우수한 하도록 한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06-7019993호(2006.09.27)는 50체적%이상 80체적%미만의 폴리프로필렌 수지(A)와,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연신될 수 있는 온도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로부터 상 분리를 초래하는 20체적%이상 50체적%미만의 수지(B)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며, 내부에 세공을 갖는 반사 시트이다. 특허출원 제10-2007-0069383호(2007.07.11)는 광반사 특성 증대를 위한 반사시트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신된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초미세 발포 공정을 수행하여 반사시트을 제조함으로써, 반사시트의 광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고, 제작된 반사시트의 두께를 감소시키며, 그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반사시트 제조 방법으로, (a) 플라스틱 재료를 상온에서 1축 연신 또는 2축 연신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초미세 발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09-7019909호(2008.03.17)는 입체 규칙성을 갖는 폴리올레핀과 변성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 성분 (A) 100 중량부에 대해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성분 (B) 40~24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막, 연신하여 반사 필름으로 하고, 이 반사 필름으로 이루어진 백 라이트용 반사 시트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필름에 반사성 등의 광학 특성을 부여함에 있어서, 원료 수지 조성물에 필러를 혼합하거나 얻어지는 필름의 표면에 반사를 위한 도포층을 마련하는 일 없이, 고반사 성능을 갖는 폴리올레핀-폴리에스테르계 반사 필름 및 이 반사 필름으로 이루어진 백 라이트용 반사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11-0081719호(2011.08.17)는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저광택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이용한 반사시트에 관한 것으로, 길이 방향의 1축 연신 직후에 접촉하는 상부 접촉 롤 또는 하부 접촉 롤의 적어도 한쪽의 중심선 표면조도(Ra)를 최적화하고, 상부 접촉 롤 또는 하부 접촉 롤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여 필름에 전사하는 것으로서, 얻어진 필름의 표면조도를 높여 난반사를 유도하고 필름의 광택도를 낮춘 저광택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11-0081720호(2011.08.17)는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필름을 이용한 반사시트에 관한 것으로,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공정 중 미연신 시트를 캐스팅 드럼에서 냉각할 때, 캐스팅드럼 표면의 중심선 표면조도(Ra)를 3 내지 30㎛로 제어하고, 상기 캐스팅 드럼면에 형상화한 패턴을 미연신 시트 표면에 전사하는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으로부터 필름의 표면조도를 높여 난반사를 유도하고 필름의 광택도를 40% 이하로 낮춘 저광택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11-7008588호(국제출원일자: 2009.10.13)는 산화티탄을 다량으로 배합하여도 해상성이 우수하고, 고반사율이면서도 고정밀도의 경화물이 얻어지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반사 시트를 제공하는 것으로,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1 분자 내에 에틸렌성 불포화기와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수지와, 비스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와, 모노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와, 산화티탄과,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한 지금까지의 실시방법인 연신 공정만으로는 반사율을 향상에는 그 한계점이 있으며, 단순히 기계적인 연신공정을 이용하여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것은 그 원리가 반사판이 파단 직전까지 연신되면서 생성되는 공극(pore space)에 의한 것으로 이는 반사판에 공극(pore space)을 형성하는 것은 한계와, 파단직전까지 연신하는 공정의 한계점으로 제조 공정상 불량이나 제품 관리 측면에서 기술적으로 취약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반사판의 파단직전의 공극(pore space) 형성이 아니라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들의 계면 분리를 이용하여 충분히 공극(pore space) 형성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기술한 기술적인 단점을 극복하는데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사판을 형성하는 기재인 폴리올레핀 계열의 고분자와;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에 대하여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인 폴리에테르 계열의 고분자와; 무기물첨가제와; UV 흡수제와; 산화방지제로 배합된 원재료를 압출 성형기에 투입하여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판으로 제조하는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제조단계와, 상기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연신기에 투입하여 연신에 의해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 계면들 사이가 분리되면서 추가로 공극(pore space)을 형성하는 연신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74.6wt%, 폴리에테르 계열인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10%, 무기물 첨가제로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을 15wt%, UV흡수제 0.2wt%, 산화방지제 0.2wt%의 무게 비율로 원재료 배합하고, 이를 압출성형기에 투입하여 210℃로 압출 성형하여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판으로 제조하는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제조하고, 상기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연신기에 투입하여 연신배율 4배, 연신 속도 5m/min, 열처리 온도 섭씨 140도에서 연신하여 이를 코로나(corona)처리를 하는 방법으로, 반사판을 형성하는 기재인 폴리올레핀 계열의 고분자와;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에 대하여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인 폴리에테르 계열의 고분자와; 무기물첨가제와; UV 흡수제와; 산화방지제로 배합된 고분자가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판으로 성형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이 연신에 의해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 계면들 사이가 분리되면서 추가로 공극(pore space)을 형성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구성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가시영역의 입사광에 대하여 우수한 반사율을 보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정반사광 포함(specula component included; SCI) 98%, 정반사광 제외(specular component excluded; SCE) 97% 이상의 광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LCD, LED등과 같은 광디스플레이 분야에서 반사시트로 적용할 수 있으며 광소자에서 발생하는 입사광 손실을 최소한도로 줄여서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조명용 등에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발포 공정이나 단순 연신 공정에 의해서 공극(pore space) 형성을 하는 방법과 달리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를 블렌딩(blending) 함으로써 서로 다른 고분자 계면 사이에 공극(pore space)을 형성하며, 연신을 통해 두 계면이 분리되어 단순 연신 공정보다 더 많은 공극(pore space)을 형성하게 되므로, 발포 공정보다 상대적으로 제조 비용이 경제적이고 단순 연신에 의한 공정보다 품질관리나 성능면에서 뛰어난 반사판을 제조할 수 있는 신규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반사판을 형성하는 기재인 폴리올레핀 계열의 고분자와;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에 대하여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인 폴리에테르 계열의 고분자와; 무기물첨가제와; UV 흡수제와; 산화방지제로 배합된 고분자를 압출 성형기에 투입하여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판으로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74.6wt%, 폴리에테르 계열인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10wt%, 무기물 첨가제로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을 15wt%, UV흡수제 0.2wt%, 산화방지제 0.2wt%의 무게 비율로 원재료 배합하고, 이를 압출성형기에 투입하여 210℃로 압출 성형한다.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은 반사판을 형성하는 기재인 폴리올레핀 계열의 고분자와;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에 대하여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인 폴리에테르 계열의 고분자와; 무기물첨가제와; UV 흡수제와; 산화방지제로 배합되어,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판으로 성형된다.
이때,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74.6wt%, 폴리에테르 계열인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10wt%, 무기물 첨가제로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을 15wt%, UV흡수제 0.2wt%, 산화방지제 0.2wt%의 무게 비율로 원재료 배합하고, 이를 압출성형기에 투입하여 210℃로 압출 성형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얻게 된다.
다음으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반사판을 형성하는 기재인 폴리올레핀 계열의 고분자와;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에 대하여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인 폴리에테르 계열의 고분자와; 무기물첨가제와; UV 흡수제와; 산화방지제로 배합된 원재료를 압출 성형기에 투입하여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판으로 제조하는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제조단계와, 상기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연신기에 투입하여 연신에 의해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 계면들 사이가 분리되면서 추가로 공극(pore space)을 형성하는 연신단계를 실시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74.6wt%, 폴리에테르 계열인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10wt%, 무기물 첨가제로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을 15wt%, UV흡수제 0.2wt%, 산화방지제 0.2wt%의 무게 비율로 원재료 배합하고, 이를 압출성형기에 투입하여 210℃로 압출 성형하여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반사판으로 제조하는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제조하고, 상기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연신기에 투입하여 연신배율 4배, 연신 속도 5m/min, 열처리 온도 섭씨 140℃에서 연신하여 이를 코로나(corona)처리를 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은, 반사판을 형성하는 기재인 폴리올레핀 계열의 고분자와;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에 대하여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인 폴리에테르 계열의 고분자와; 무기물첨가제와; UV 흡수제로 배합된 고분자가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판으로 성형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이 연신에 의해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 계면들 사이가 분리되면서 추가로 공극(pore space)을 형성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얻게 된다.
이때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74.6wt%, 폴리에테르 계열인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10wt%, 무기물 첨가제로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을 15wt%, UV흡수제 0.2wt%, 산화방지제 0.2wt%의 무게 비율로 원재료 배합하고, 이를 압출성형기에 투입하여 210℃로 압출 성형함으로써 계면 분리가 되며 공극(pore space)을 가진 시트를 연신배율 4배, 연신 속도 5m/min, 열처리 온도 섭씨 140℃에서 연신하여 두 계면 사이에 분리현상이 일어난 공극을 형성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얻게 된다.
(a)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반사판 제조법은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와 그 외 첨가제로 구성되어 배합된 원재료를 압출 성형기에 투입하여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판으로 제조하는 단계; (b) 압출 성형기에서 제조된 판을 연신기에 투입하여 연신에 의해 비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 계면들 사이가 분리되면서 추가로 공극(pore space)을 형성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된 (a)단계에서는 반사판을 형성하는 기재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상기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에 대하여 비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인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첨가제는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UV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으로 배합하여 시트를 만들게 된다.
상기 (a)단계에서의 원재료 배합은 제품의 균일성을 위해 분산성이 요구되며, 분산성을 위해 미리 마스터 배치(master batch)를 제조하여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단계에서 반사판을 제조하였을 때,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은 서로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로서 서로 독립된 계면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제조된 시트는 그 계면 사이의 비 상용성(immiscibility)으로 인해 제조된 반사판에서 공극(pore space)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조된 반사판을 (b)단계에서 연신하게 되면 두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의 독립된 계면은 연신 공정을 거치게 되면서 두 계면 사이에 분리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이것은 기존의 공극(pore space) 형성방법과는 다른 방법이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형성되는 공극(pore space)은 반사판을 파단 직전까지 연신을 하지 않아도 충분한 공극(pore space) 형성 효과를 나타내며, 단순히 연신을 통하여 공극(pore space)을 형성했을 때보다 더 많은 공극(pore space)을 형성할 수 있어 더 높은 반사율을 가지게 된다.
다음 표2는 발포 공정에 의해 제조된 반사판, 단순 연신 공정에 의해 제조된 반사판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반사판의 각 반사율을 비교한 것이며, 표3은 각 반사판에 대한 BLU(Back Light Unit)에 조립 후, 휘도(Brightness)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표 2] 반사판 제조 공정에 따른 반사율 비교
Figure pat00003
[표 3] 40인치 LED BLU(Back Light Unit) 조립 후, 휘도(Brightness) 비교
Figure pat00004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실시예로써 제조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써 제공되어지는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아니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실시예 1>
비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 블렌딩 원재료를 투입하여 압출성형 공정으로 시트를 제조
(1) 폴리올레핀 계열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74.6wt%, 폴리에테르 계열인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을 10wt%, 무기물 첨가제로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을 15wt%, UV흡수제 0.2wt%, 산화방지제 0.2wt%의 무게 비율로 원재료 배합을 하였다.
(2) 원재료를 압출성형기에 투입하고 압출 성형시, 성형 온도는 섭씨 210℃에서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압출성형된 판을 연신공정으로 공극(pore space) 형성을 하여 반사판 제조
(1)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된 시트를 연신기에 투입하여 연신배율 4배, 연신 속도 5m/min, 열처리 온도 섭씨 140℃에서 연신하여 반사판으로 제조하였다.
(2) 상기 단계(1)에서 제조된 반사판을 코로나(corona) 처리를 하여 코팅, 인쇄 등과 같은 후가공 공정에 대한 접착력 확보를 시켰다.
(3) 상기 단계(2)에서 코로나(corona) 처리한 반사판을 제단기로 컷팅하였다.
상기한 본 발명은 TV나 컴퓨터모니터, 조명기구의 반사판으로 제작함에 있어서 적용이 가능하는 등 산업상 이용가치가 대단하다 할 것이다.

Claims (2)

  1. 반사판을 형성하는 기재인 폴리올레핀 계열의 고분자와;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에 대하여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인 폴리에테르 계열의 고분자와; 무기물첨가제와; UV 흡수제와; 산화방지제로 배합된 원재료를 압출 성형기에 투입하여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판으로 제조하는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제조단계와, 상기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연신기에 투입하여 연신에 의해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 계면들 사이가 분리되면서 추가로 공극(pore space)을 형성하는 연신단계로,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74.6wt%, 폴리에테르 계열인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10wt%, 무기물 첨가제로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을 15wt%, UV흡수제 0.2wt%, 산화방지제 0.2wt%의 무게 비율로 원재료 배합하고, 이를 압출성형기에 투입하여 210℃로 압출 성형하여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반사판으로 제조하는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제조하고, 상기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연신기에 투입하여 연신배율 4배, 연신 속도 5m/min, 열처리 온도 섭씨 140도에서 연신하여 이를 코로나(corona) 처리를 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 제조방법.
  2. 반사판을 형성하는 기재인 폴리올레핀 계열의 고분자와;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에 대하여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인 폴리에테르 계열의 고분자와; 무기물첨가제와; UV 흡수제와; 산화방지제로 배합된 원재료를 압출 성형기에 투입하여 계면 분리가 되어 있고 공극(pore space)을 가진 판으로 제조하는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제조단계와, 상기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연신기에 투입하여 연신에 의해 비 상용성 고분자(immiscible polymer) 계면들 사이가 분리되면서 추가로 공극(pore space)을 형성하는 연신단계로, 폴리올레핀 계열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74.6wt%, 폴리에테르 계열인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10wt%, 무기물 첨가제로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을 15wt%, UV흡수제 0.2wt%, 산화방지제 0.2wt%의 무게 비율로 배합되어서 두 계면 사이에 분리현상이 일어난 공극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
KR1020140185746A 2014-12-22 2014-12-22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30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5746A KR101530292B1 (ko) 2014-12-22 2014-12-22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5746A KR101530292B1 (ko) 2014-12-22 2014-12-22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5790A Division KR101497034B1 (ko) 2013-11-08 2013-11-08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시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729A true KR20150053729A (ko) 2015-05-18
KR101530292B1 KR101530292B1 (ko) 2015-06-22

Family

ID=53390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5746A KR101530292B1 (ko) 2014-12-22 2014-12-22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2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6943A (en) * 1987-05-13 1990-01-3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ncapsulated-lens retroreflective sheeting having improved cover film
JP2001305313A (ja) * 2000-04-20 2001-10-31 Toyobo Co Ltd 面光源用反射フィルム
KR101117125B1 (ko) * 2009-08-20 2012-02-2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1040311A1 (ja) * 2009-09-30 2011-04-07 東レ株式会社 白色フィル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292B1 (ko) 201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08863B (zh) 一种光学反射膜及其制备方法
JP6295664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JPWO2006112425A1 (ja) 反射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法
KR20080084723A (ko)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78451B1 (ko)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반사 시트
US9835766B2 (en) Optical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15087420A (ja)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201334966A (zh) 高耐熱性多層光學膜及其製備方法
JP2010271682A (ja) 高効率の光拡散高分子フィルム及びこの製造方法
CN112485946A (zh) 一种用于薄型直下式液晶显示装置的反射膜及其制备方法
CN111936566B (zh) 白色聚酯膜
JP2015086240A (ja)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2020532B1 (ko) 백색 폴리에스테르 반사필름의 제조방법, 그에 의한 반사필름 및 그를 이용한 반사시트
JP6862829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KR101530292B1 (ko)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497034B1 (ko) 비 상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반사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38639A (ko) 액정디스플레이 백라이트유닛용 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61288B1 (ko) 저광택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사시트
KR101675350B1 (ko)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70087314A (ko) 백색 폴리에스테르 반사필름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사시트
KR101577367B1 (ko)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반사 시트
KR101671817B1 (ko) 저광택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반사 시트
JP2015174383A (ja)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12236296B (zh) 双轴取向的聚酯反射膜及其制造方法
KR20190090224A (ko) 광학용 고투명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